KR20160115089A - 행거폴대 조절구 - Google Patents

행거폴대 조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5089A
KR20160115089A KR1020150042073A KR20150042073A KR20160115089A KR 20160115089 A KR20160115089 A KR 20160115089A KR 1020150042073 A KR1020150042073 A KR 1020150042073A KR 20150042073 A KR20150042073 A KR 20150042073A KR 20160115089 A KR20160115089 A KR 20160115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pole
tapered portion
tube
pole
co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3969B1 (ko
Inventor
김정숙
Original Assignee
김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숙 filed Critical 김정숙
Priority to KR1020150042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969B1/ko
Publication of KR20160115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5Composite members, i.e. made up of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08Three-dimensional corner connectors, the legs thereof being received within hollow, elongated fram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25Uprights secured to ceiling and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06Hangers for hanging articles on bars, tringles, bracket a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0Joints for furnitur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행거폴대 조절구에 관한 것으로서, 중공의 상부 행거폴대 및 상부 행거폴대를 수용하는 중공의 하부 행거폴대와, 상기 상부 행거폴대와 하부 행거폴대가 중첩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하부 행거폴대로부터 상부 행거폴대를 신축조정하여 고정하는 조절구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하부 행거폴대의 상단에 결합되며, 외측둘레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나사관체와; 상부 행거폴대를 수용하는 중공형의 제1관부 일측에 제1테이퍼부가 확장 형성되는 한편, 제1테이퍼부에는 제1테이퍼부를 오므리기 용이한 제1장홈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1테이퍼부와 반대되는 제1관부의 단부의 외측둘레에는 걸림턱 및 걸림턱을 포함하는 제2장홈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제1테이퍼부의 내경에는 패킹고정부가 형성되어 상부 행거폴대를 압착 지지하는 콜레트와; 상기 패킹고정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부 행거폴대의 외측둘레를 밀착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패킹부재와; 상기 나사관체 및 콜레트를 수용하는 중공형의 제2관부 일측에 상기 제1테이퍼부를 수용 및 가압하는 제2테이퍼부가 확장 형성되고, 제2관부의 내경에는 콜레트의 걸림턱을 걸어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 및 나사관체의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나선부가 형성된 체결관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본 발명에 따른 행거폴대 조절구는 실내측 천장과 바닥사이에 행거폴대인 하부 행거폴대로부터 상부 행거폴대를 최대한 신장시켜 상부 행거폴대를 가고정한 상태에서 조절구를 구성하는 나사관체로부터 체결관체의 나선결합하는 정도로써 콜렛트의 제1테이퍼부를 체결관체의 제2테이퍼부에 걸려지는 형태, 제2테이퍼부로 하여금 콜레트의 제1테이퍼부를 가압하여 상부 행거폴대를 상향 전진 및 천장에 가압하면서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선반, 빨래건조대, 의류 걸이대 등으로 활용할 수 있고, 취급이 간편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해체 및 조립성이 뛰어난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행거폴대 조절구{Level adjuster for hanger pole}
본 발명은 행거폴대 조절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각종 물품을 안치하기 위한 선반, 옷걸이대, 건조대 등의 활용 목적으로 실내에 바닥과 천장사이에 수직으로 세워 장치하는 행거폴대에 있어, 행거폴대를 신축고정하는 조절구를 개선하여 행거폴대의 신속한 설치 및 해체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최종 고정상태에서는 체결관체 및 콜레트와 함께 상부측 행거폴대를 밀어 올려 하부측 행거폴대에 대한 상부 행거폴대를 견고하게 수직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행거폴대 조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를 옷걸이에 걸어 보관하기 위한 의류 보관대, 빨래 건조대, 각종 기타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선반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행거폴대는 2개가 한 세트로 판매되고 있으며, 길이는 중공의 파이프를 이용하여 통상 2단 혹은 3단으로 높이 조절가능하도록 하여 실내측 천장과 바닥면 사이에 상,하부가 밀착고정되게 수직 설치된다.
즉, 2개의 행거폴대를 각각 대응되게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기본 골조를 이루게 되며, 여기에 횡바 혹은 선반을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행거폴대 관련 선행기술을 살피면,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21453호(명칭: 옷걸이 행거용 고정지주의 길이 조정장치, 등록일자: 2006년 07월 06일)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을 살피면,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파이프(2a)의 내경에 밀착하는 외경을 갖는 상부파이프(2)가 하부파이프(2)에 관 삽입되고, 상기 상,하부파이프(2)(2a)의 경계면(3) 외주로는 조절장치(4)가 구비되어진 고정지주의 길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4)는 상측으로 원통 형상의 하우징(5)과 하측으로 나사부(5a) 및 나사부(5a)에 체결되는 너트형조절구(5b)가 단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5)의 내부에는 상부파이프(2)의 외경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갖는 코일스프링(6)과 상,하로 유동되면서 그 내주면으로 상부파이프(2)의 외경을 가압 및 해제하는 작동캠(7)을 내설하되, 작동캠(7)의 하부는 경사지면서 그 경사면에 와샤링(8)을 밀착시켜 와샤링(8) 일측의 돌출편(8a)이 작동캠(7) 일측의 요홈(7a)에 끼워지도록 하고, 원통형 하우징(5)의 전방에는 내부로 결합홈(9a)을 형성한 연장편(9)을 형성하여 상기의 결합홈(9a) 내로 푸쉬버튼(10)을 끼워 푸쉬버튼(10)의 단부 삼각침부(10a)가 와샤링(8) 일측의 돌출편(8a)에 밀착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조절장치(4)의 하부에는 하부파이프(2a)의 외주면에 관삽되어 고정볼트(14)에 의해 고정되는 체결구(11)를 결합하되, 상기의 체결구(11)에는 사방으로 끼움편(11a)을 형성하여 다수의 옷걸이가 걸리는 횡바(12) 양단의 결합구(13)에 형성된 끼움바(13a)가 억지끼움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푸쉬버튼을 이용한 조절장치와 외주면 너트형 조절구의 나사 체결을 통해 상기 푸쉬버튼을 이용한 조절장치의 작동캠을 상,하로 유동시켜 작동캠의 내주면이 상부파이프의 외경을 가압 및 해제하여 상부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장치를 하나의 조절장치로 통합한 단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부파이프의 길이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뿐 아니라 조절된 후에는 그 고정상태가 보다 견고토록 하여 고정지주의 기능을 완벽히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는 구성이 복잡하고 푸시버튼에 의해 파이프의 길이조절을 할 수 있는 구조는 푸시버튼의 풀림에 의해 급작스럽게 파이프가 하강하거나 궁극적으로는 쓰러질 수 있게 되어 특히 천정과 바닥을 지지하는 타입의 지주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따르고, 일반적으로 길이조절에 따른 고정 및 해체시에 취급이 불편한 단점이 있고, 견고한 수직고정이 보장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각종 물품을 안치하기 위한 선반, 옷걸이대, 건조대 등의 활용 목적으로 실내에 바닥과 천장사이에 수직으로 세워 장치하는 행거폴대에 있어, 행거폴대를 신축고정하는 조절구를 개선하여 행거폴대의 신속한 설치 및 해체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최종 고정상태에서는 체결관체 및 콜레트와 함께 상부측 행거폴대를 밀어 올려 하부측 행거폴대에 대한 상부 행거폴대를 견고하게 수직고정시킬 수 있는 행거폴대 조절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공의 상부 행거폴대 및 상부 행거폴대를 수용하는 중공의 하부 행거폴대와, 상기 상부 행거폴대와 하부 행거폴대가 중첩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하부 행거폴대로부터 상부 행거폴대를 신축조정하여 고정하는 조절구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하부 행거폴대의 상단에 결합되며, 외측둘레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나사관체와; 상부 행거폴대를 수용하는 중공형의 제1관부 일측에 제1테이퍼부가 확장 형성되는 한편, 제1테이퍼부에는 제1테이퍼부를 오므리기 용이한 제1장홈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1테이퍼부와 반대되는 제1관부의 단부의 외측둘레에는 걸림턱 및 걸림턱을 포함하는 제2장홈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제1테이퍼부의 내경에는 패킹고정부가 형성되어 상부 행거폴대를 압착 지지하는 콜레트와; 상기 패킹고정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부 행거폴대의 외측둘레를 밀착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패킹부재와; 상기 나사관체 및 콜레트를 수용하는 중공형의 제2관부 일측에 상기 제1테이퍼부를 수용 및 가압하는 제2테이퍼부가 확장 형성되고, 제2관부의 내경에는 콜레트의 걸림턱을 걸어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 및 나사관체의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나선부가 형성된 체결관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장홈에 대해 제2장홈은 교호로 배열되는 방향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패킹고정부는 패킹부재의 양단이 안내되어 이탈되지 않는 더브테일형의 패킹삽입홈과, 패킹삽입홈이 시작되는 내경의 단부측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패킹삽입홈에 삽입된 패킹부재를 액상의 접착제 주입으로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주입홈과, 접착제주입홈으로부터 수직되는 하나 이상의 접착제유도홈과, 외부로부터 패킹삽입홈을 관통하는 접착제주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패킹부재는 우레탄소재 및 연질의 합성수지소재로 일면에는 상부 행거폴대의 외측둘레에 밀착되는 삼각돌부가 다수개 배열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체결관체의 이탈방지턱 및 나선부는 다수개로 간격을 두고 나뉘어 형성되되, 이탈방지턱과 나선부의 간격은 사출성형시 코어에 걸리지 않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행거폴대 조절구는 실내측 천장과 바닥사이에 행거폴대인 하부 행거폴대로부터 상부 행거폴대를 최대한 신장시켜 상부 행거폴대를 가고정한 상태에서 조절구를 구성하는 나사관체로부터 체결관체의 나선결합하는 정도로써 콜렛트의 제1테이퍼부를 체결관체의 제2테이퍼부에 걸려지는 형태, 제2테이퍼부로 하여금 콜레트의 제1테이퍼부를 가압하여 상부 행거폴대를 상향 전진 및 천장에 가압하면서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선반, 빨래건조대, 의류 걸이대 등으로 활용할 수 있고, 취급이 간편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해체 및 조립성이 뛰어난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고정지주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고정지주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요부확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인 행거폴대에 조절구가 적용되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 하부 행거폴대 및 조절구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행거폴대 조절구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콜레트의 패킹고정부에 패킹부재가 적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관체를 내부를 보여주기 위한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행거폴대 조절구를 결합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체결관체를 나사관체로부터 풀어 상향시키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에서 콜레트와 함께 상부 행거폴대가 전진하여 고정되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행거폴대 조절구는 첨부된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
중공의 상부 행거폴대(10) 및 상부 행거폴대를 수용하는 중공의 하부 행거폴대(20)와, 상기 상부 행거폴대와 하부 행거폴대가 중첩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하부 행거폴대로부터 상부 행거폴대를 신축조정하여 고정하는 공지의 행거폴대 조절구(100)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100)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하부 행거폴대(20)의 상단에 결합되며, 외측둘레에 수나사부(111)가 형성된 나사관체(110)와; 상부 행거폴대(10)를 수용하는 중공형의 제1관부(121) 일측에 제1테이퍼부(122)가 확장 형성되는 한편, 제1테이퍼부(122)에는 제1테이퍼부를 오므리기 용이한 제1장홈(123)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1테이퍼부와 반대되는 제1관부(121)의 단부의 외측둘레에는 걸림턱(124) 및 걸림턱(124)을 포함하는 제2장홈(125)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제1테이퍼부(122)의 내경에는 패킹고정부(126)가 형성되어 상부 행거폴대(10)를 압착 지지하는 콜레트(120)와; 상기 패킹고정부(126)에 각각 결합되어 상부 행거폴대(10)의 외측둘레를 밀착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패킹부재(130)와; 상기 나사관체(110) 및 콜레트(120)를 수용하는 중공형의 제2관부(141) 일측에 상기 제1테이퍼부(122)를 수용 및 가압하는 제2테이퍼부(142)가 확장 형성되고, 제2관부(141)의 내경에는 콜레트(120)의 걸림턱(124)을 걸어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143) 및 나사관체(110)의 수나사부(111)에 체결되는 나선부(144)가 형성된 체결관체(14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장홈(123)에 대해 제2장홈(125)은 교호로 배열되는 방향에서 형성된다. 여기서 교호로 배열되도록 함은 상기 콜레트(120)를 이루는 제1테이퍼부(122) 및 제1관부(121)는 각각 상기 제1장홈 및 제2장홈을 통해 오므려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체결관체(140)의 내경으로부터 오므려지는 형태로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콜레트(120)의 패킹고정부(126)는 패킹부재(130)의 양단이 안내되어 이탈되지 않는 더브테일형의 패킹삽입홈(126a)과, 패킹삽입홈(126a)이 시작되는 내경의 단부측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패킹삽입홈(126a)에 삽입된 패킹부재(130)를 액상의 접착제 주입으로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주입홈(126b)과, 접착제주입홈(126b)으로부터 수직되는 하나 이상의 접착제 유도홈(126c)과, 외부로부터 패킹삽입홈(126a)을 관통하는 접착제주입공(126d)이 형성된다.
즉, 상기 패킹삽입홈(126a)을 통한 접착제주입홈(126b)은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지점 형성된 것으로 접착액이 주입되고, 접착액은 접착제주입홈(126b)이 종단되는 지점으로부터 퍼져 패킹부재(130)가 접하는 배면을 상기 패킹삽입홈(126a)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또한 상기 접착제주입공(126d)을 통해서도 접착액을 소량 주입하면, 패킹부재(130)의 배면 부분은 상기 패킹삽입홈(126a)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킹부재(130)는 우레탄소재 및 연질의 합성수지소재로 일면에는 상부 행거폴대의 외측둘레에 밀착되는 삼각돌부(131)가 다수개 배열형성된다.
상기 삼각돌부의 일부분은 상기 콜레트(120)의 내경에 형성된 패킹삽입홈(126a)으로부터 0.5~0.8mm 돌출되는 조건에서 상기 콜레트(120)를 관통하는 상부 행거폴대(10)의 외측둘레에 접촉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관체(140)의 이탈방지턱(143) 및 나선부(144)는 다수개로 간격을 두고 나뉘어 형성되되, 이탈방지턱과 나선부의 간격은 사출성형시 코어에 걸리지 않게 배열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관체(140)의 나선부(144)는 내경 전체길이에 형성되지 않고 일부(나사산의 피치 혹은 나사산 피치를 2~4개로 나눈 형태)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나사관체(110)의 수나사부(111)의 나선구간을 따라 체결되도록 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1은 상기 상부 행거폴대(10)의 단부에 결합되어 천장에 받쳐지는 천장고정대를 나타내고, 부호 21은 상기 하부 행거폴대(20)의 단부에 결합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바닥고정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조절구를 이용한 하부 행거폴대로부터 상부 행거폴대의 길이조절 및 고정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부 행거폴대(20)의 단부에 결합된 나사관체(110)의 수나사부(111)에 대해 체결관체(140)의 제2관부(141)측 제2테이퍼부(142)에는 콜렛트(120)의 하부측을 안내시키면서 강압적으로 밀어주면, 상기 콜레트(120)의 제1관부(121)의 단부에 형성된 제2장홈(125)에 의해 제1관부(121)는 순간적으로 오므려 지면서 걸림턱(124)은 체결관체(140)의 이탈방지턱(143)을 강압적으로 넘어서면 더 이상 콜레트(120)를 진입한 반대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콜레트(120)의 유동은 상기 걸림턱(124)에 의해 체결관체(140)의 이탈방지턱(143)과 나선부(144) 사이에서 유동되는 것으로 상부측은 상기 이탈방지턱(143)에 걸림턱(124)이 하부측은 나선부(144)에 걸려 양방향 모두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조립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체결관체(140)의 내경측 나선부(144)를 나사관체(110)의 수나사부(111)에 체결하여 주면, 첨부된 도 8에서와 같이 나사관체(110)의 수나사부(111) 측 단부는 상기 콜레트(120)의 걸림턱(124) 저면에 밀착되는 위치에 오도록 체결 조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콜레트(120)의 내경으로는 상부 행거폴대(10)의 하단부를 관통시켜 하부 행거폴대(20)측으로 수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하부 행거폴대(20)에 대해 상부 행거폴대(10)를 자유롭게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이다.
이는 첨부된 도 8에서 발췌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관체(140)의 제2테이퍼부(142)에 대해 콜레트(120)의 제1테이퍼부(122)가 유격을 갖는 상태로서, 패킹고정부(126)에 설치된 패킹부재(130)의 삼각돌부(131)는 관통된 상부 행거폴대(10)에 살짝 접촉만 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부 행거폴대(10)를 상향 조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체결관체(140)를 왼방향, 즉 나사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결관체(140)의 나선부(144)는 나사관체(110)의 수나사부(111)를 따라 상향 위치되고, 이때 콜레트(120)의 걸림턱(124)은 체결관체(140)의 이탈방지턱(143)으로부터 이격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체결관체(140)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키다 보면, 콜레트(120)의 제1테이퍼부(122)에 대해 체결관체(140)의 제2관부(141)측 제2테이퍼부(142)의 내측이 첨부된 도 9에서 발췌된 상태와 같이 상호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콜레트(120)의 제1테이퍼부(122)가 체결관체(140)의 제2테이퍼부(142)에 접촉되어 걸리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상부 행거폴대(10)를 상향 잡아당기고, 손을 놓게 되면, 임의적으로 상승시킨 상부 행거폴대(10)의 자중이 수직 하방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면서 콜레트(120)측의 패킹부재(130)가 상부 행거폴대(10)의 하강을 방지시킨다.
이는 상부 행거폴대(10)의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이 콜레트(120)의 제1테이퍼부(122)가 상기 체결관체(140)의 제2테이퍼부(144)에 걸리는 형태가 되어 더 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때는 오로지 상향으로만 상기 상부 행거폴대(10)를 조정할 수 있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부 행거폴대(10)를 최대한 상향 위치시킨 상태, 즉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상부 행거폴대(10)의 상단에 설치한 천장고정대(11)가 천장 저부에 닫는 상태까지 상승시켜 준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체결관체(140)를 나사관체(110)의 풀림방향으로 점차 회전시키면, 상기 콜레트(120)의 제1테이퍼부(122)는 상부 행거폴대(10)와 밀착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첨부된 도 10에서와 같이 상향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상기 콜레트(120)에 의한 패킹부재(130)는 상부 행거폴대(10)의 상부측 천장고정대(11)를 천장 저부에 강하게 밀착고정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콜레트(120)의 제1테이퍼부(122)는 체결관체(140)의 제2테이퍼부(142)가 갖는 각도에 대해 제1장홈(123)이 오므려지면서 상부 행거폴대(10)를 강력하게 고정함으로써, 하부 행거폴대(20)에 대한 상부 행거폴대(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체결관체(140)를 나사관체(110)의 수나사부(111)에 대해 잠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부 행거폴대(10)를 지지하고 있는 콜레트(120)의 제1테이퍼부(1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관체(140)의 제2테이퍼부(142)에 걸려지는 형태로서 상부 행거폴대의 급작스런 하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하부 행거폴대에 대한 상부 행거폴대를 각각 길이조정하여 바닥과 천장 사이에 수직으로 받쳐 설치하고, 여기에 행거 선반, 건조대, 의류 걸이대를 횡으로 연결 설치하면, 소비자가 요구하는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행거폴대의 해체는 체결관체를 도 8과 같은 상태로 나사관체에 체결하여 주면, 상부 행거폴대를 손으로 잡고 유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절구를 이용한 수직 행거폴대의 길이조정 및 바닥으로부터 천장에 행거폴대의 설치, 해체를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상기 행거폴대는 도면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설치 및 해체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횡방향으로도 동일하게 행거폴대를 신축가능하게 하면서 양단을 견고하게 벽면에 밀착시킬 수 있거나 혹은 양단은 상기 수직으로 설치된 행거폴대에 대해 자유 단인 조립 걸이대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상부 행거폴대 20: 하부 행거폴대
11: 천장고정대 21: 바닥고정대
100: 조절구 110: 나사관체
111: 수나사부 120: 콜레트
121: 제1관부 122: 제1테이퍼부
123: 제1장홈 124: 걸림턱
125: 제2장홈 126: 패킹고정부
126a: 패킹삽입홈 126b: 접착제주입홈
126c: 접착제유입홈 126d: 접착제주입공
130: 패킹부재 131: 삼각돌부
140: 체결관체 141: 제2관부
142: 제2테이퍼부 143: 이탈방지턱
144: 나선부

Claims (5)

  1. 중공의 상부 행거폴대(10) 및 상부 행거폴대를 수용하는 중공의 하부 행거폴대(20)와, 상기 상부 행거폴대와 하부 행거폴대가 중첩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하부 행거폴대로부터 상부 행거폴대를 신축조정하여 고정하는 조절구(100)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100)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하부 행거폴대(20)의 상단에 결합되며, 외측둘레에 수나사부(111)가 형성된 나사관체(110)와;
    상부 행거폴대(10)를 수용하는 중공형의 제1관부(121) 일측에 제1테이퍼부(122)가 확장 형성되는 한편, 제1테이퍼부(122)에는 제1테이퍼부를 오므리기 용이한 제1장홈(123)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1테이퍼부와 반대되는 제1관부(121)의 단부의 외측둘레에는 걸림턱(124) 및 걸림턱(124)을 포함하는 제2장홈(125)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제1테이퍼부(122)의 내경에는 패킹고정부(126)가 형성되어 상부 행거폴대(10)를 압착 지지하는 콜레트(120)와;
    상기 패킹고정부(126)에 각각 결합되어 상부 행거폴대(10)의 외측둘레를 밀착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패킹부재(130)와;
    상기 나사관체(110) 및 콜레트(120)를 수용하는 중공형의 제2관부(141) 일측에 상기 제1테이퍼부(122)를 수용 및 가압하는 제2테이퍼부(142)가 확장 형성되고, 제2관부(141)의 내경에는 콜레트(120)의 걸림턱(124)을 걸어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143) 및 나사관체(110)의 수나사부(111)에 체결되는 나선부(144)가 형성된 체결관체(1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폴대 조절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홈(123)에 대해 제2장홈(125)은 교호로 배열되는 방향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폴대 조절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고정부(126)는 패킹부재(130)의 양단이 안내되어 이탈되지 않는 더브테일형의 패킹삽입홈(126a)과,
    패킹삽입홈(126a)이 시작되는 내경의 단부측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패킹삽입홈(126a)에 삽입된 패킹부재(130)를 액상의 접착제 주입으로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주입홈(126b)과,
    접착제주입홈(126b)으로부터 수직되는 하나 이상의 접착제유도홈(126c)과,
    외부로부터 패킹삽입홈(126a)을 관통하는 접착제주입공(126d)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폴대 조절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130)는 우레탄소재 및 연질의 합성수지소재로 일면에는 상부 행거폴대의 외측둘레에 밀착되는 삼각돌부(131)가 다수개 배열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폴대 조절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관체(140)의 이탈방지턱(143) 및 나선부(144)는 다수개로 간격을 두고 나뉘어 형성되되, 이탈방지턱과 나선부의 간격은 사출성형시 코어에 걸리지 않게 배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폴대 조절구.
KR1020150042073A 2015-03-26 2015-03-26 행거폴대 조절구 KR101693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073A KR101693969B1 (ko) 2015-03-26 2015-03-26 행거폴대 조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073A KR101693969B1 (ko) 2015-03-26 2015-03-26 행거폴대 조절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089A true KR20160115089A (ko) 2016-10-06
KR101693969B1 KR101693969B1 (ko) 2017-01-06

Family

ID=57164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073A KR101693969B1 (ko) 2015-03-26 2015-03-26 행거폴대 조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9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842A (ko) 2022-06-24 2024-01-03 임주현 폴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407U (ko) * 1987-06-30 1989-01-13
JP2004251297A (ja) * 2003-02-18 2004-09-09 Teramoto Corp 伸縮ロッド、および清掃用具
KR20080006526A (ko) * 2007-12-28 2008-01-16 장세권 파이프 부재용 길이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407U (ko) * 1987-06-30 1989-01-13
JP2004251297A (ja) * 2003-02-18 2004-09-09 Teramoto Corp 伸縮ロッド、および清掃用具
KR20080006526A (ko) * 2007-12-28 2008-01-16 장세권 파이프 부재용 길이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969B1 (ko) 2017-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969B1 (ko) 행거폴대 조절구
KR100813705B1 (ko) 지주 결합구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반장치
CN102641070A (zh) 一种用于安装置物架的撑杆
KR102614797B1 (ko) 체결 장치 및 체결 하위-어셈블리
KR101371025B1 (ko) 너트체결장치
KR200420174Y1 (ko) 수납 선반용 고정구
KR20080006526A (ko) 파이프 부재용 길이조절장치
KR101794830B1 (ko) 다단 파이프 고정구조
KR102083127B1 (ko) 선반용 결속장치
CN105974725A (zh) 投影幕f型可调节支架
CN213742248U (zh) 一种抽拉式拼接钢管
CN205548749U (zh) 一种实验用老鼠固定装置
KR200469992Y1 (ko)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
KR20040060893A (ko) 옷걸이용 행거의 봉체 길이 조절구조
JP3176816U (ja) 物干しスタンドのパイプホルダー
KR20180002558U (ko) 행거용 지주받침대
KR102633268B1 (ko) 체결 장치 및 체결 어셈블리
CN208491060U (zh) 一种雨伞
CN203702786U (zh) 一种立柱与底座的弹片卡位固定装置
KR200325357Y1 (ko) 옷걸이용 행거의 봉체 길이 조절구조
KR20040060892A (ko) 옷걸이용 행거의 봉체 길이 조절구조
CN212729311U (zh) 一种型材立柱上脚塞
CN218454611U (zh) 一种方形注水伸缩旗杆
CN218073813U (zh) 一种伞柄的连接结构
KR101789286B1 (ko) 와이어의 장력을 이용한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