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3705B1 - 지주 결합구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반장치 - Google Patents

지주 결합구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3705B1
KR100813705B1 KR1020070025951A KR20070025951A KR100813705B1 KR 100813705 B1 KR100813705 B1 KR 100813705B1 KR 1020070025951 A KR1020070025951 A KR 1020070025951A KR 20070025951 A KR20070025951 A KR 20070025951A KR 100813705 B1 KR100813705 B1 KR 100813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opening
support
coupled
protrusion
hel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9806A (ko
Inventor
이남진
Original Assignee
이남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진 filed Critical 이남진
Publication of KR20070109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5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clamping means, e.g. with sliding bolts or sliding wed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선반 조립체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결합구가 지주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매우 간편하게 물품 수납용 래크나 선반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지주 결합구가 개시된다. 상기 지주 결합구는 지주의 측면으로 지주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해주는 측면개구와 측면개구 양측으로 형성된 홈 또는 돌기형태의 제1걸림부를 갖는 측면개구관체, 제1걸림부에 걸리는 제2걸림부를 구비하여 측면개구관체에 결합되어 측면개구관체와 함께 지주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고 제2걸림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를 갖는 측면개구결합체 및 측면개구결합체에 결합되어 측면개구결합체를 바깥쪽으로 당겨줌으로써 상기 측면개구관체를 바깥쪽으로 당겨주거나 조여주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지주의 측면을 통해 지주에 결합할 수 있어 래크 등을 매우 편리하게 지주에 고정할 수 있다.
선반, 선반기구, 선반장치, 지주, 래크

Description

지주 결합구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반장치 {Coupler for coupling a multipurpose rack to a support and rack device utiliz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결합구에 의하여 래크가 지주에 결합되는 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예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분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정면도,
도 8과 도 9는 도 2의 변형 예를 각각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 결합구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예들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측면개구관체 112 : 측면개구
116 : 제1걸림부 130 : 측면개구결합체
132 : 제1돌출부 134 : 제1나선
136 : 제2걸림부 150 : 손잡이
152 : 홈 154 : 제2나선
156 : 제2돌출부 170 : 래크지지부재
172 : 결합공 190 : 탄성체
본 발명은 다용도실이나 욕실(浴室) 등에 설치되는 다용도 선반의 지주 결합구와 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반 조립체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결합구가 지주(支柱)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매우 간편하게 물품 수납용 래크(rack)나 선반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이나 다용도실에는 다단으로 구성된 선반이 설치되어 있고 선반에는 비누, 샴푸, 치약, 빗, 면도기와 같은 각종 세면도구나 기타 타월과 같은 각종 물품들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선반 조립체는 주로 파이프로 구성된 지주들을 조립하여 바닥과 천장 사이에 고정시키고 지주에 고정된 결합관들을 사용하여 케이스나 래크(rack)와 같은 선반을 다단으로 설치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선반 조립체는 지주에 결합관을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작업을 완료하고, 지주들을 조립하여 천장과 바닥 사이에 설치한 후 선반을 다단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항상 정확한 조립순서에 따라 선반을 조립해야 하는 등의 불편한 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선반들의 간격 및 높이의 조절을 위해서는 다시 지주와 결합관을 분해한 후 조립해야 하는 것이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없었다.
또한, 조립이 완료되어 사용 중인 선반 조립체에서 선반을 1단 늘리거나 1단 줄이는 경우에도 선반 조립체를 전체를 분해한 후 다시 조립해야 하는 것이므로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주의 측면을 통해 지주에 결합하여 선반 등을 고정하여줄 수 있는 지주 결합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반의 추가 또는 제거가 편리한 지주 결합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반 등을 지주의 측면을 통해 지주에 고정하여줄 수 있는 다용도 선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반의 추가 또는 제거가 편리한 다용도 선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주 결합구는 지주에 필요한 물건을 걸거나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주 결합구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측면으로 상기 지주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해주는 측면개구와 상기 측면개구 양측으로 형성된 홈 또는 돌기형태의 제1걸림부를 갖는 측면개구관체, 상기 제1걸림부에 걸리는 제2걸림부를 구비하여 상기 측면개구관체에 결합되어 상기 측면개구관체와 함께 상기 지주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2걸림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를 갖는 측면개구결합체 및 상기 측면개구결합체에 결합되어 상기 측면개구결합체를 바깥쪽으로 당겨줌으로써 상기 측면개구관체를 바깥쪽으로 당겨주거나 조여주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제1돌출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제1나선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제1나선에 결합되는 제2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상기 제1돌출부는 중공의 관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나선은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나선은 상기 손잡이에 형성된 홈의 내주면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에는 상기 측면개구관체 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나선이 상기 제1나선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지주의 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손잡이가 상기 지주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측면개구결합체를 바깥쪽으로 당겨줄 수 있도록 해주는 제2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돌출부는 중공의 관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나선은 상기 돌출부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나선은 상기 제1나선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지주의 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손잡이가 상기 지주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측면개구결합체를 바깥쪽으로 당겨줄 수 있도록 해주는 제2돌출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 또는 상기 제2걸림부에는 상기 제2나선이 상기 제1나선에 결 합되어 상기 측면개구결합체가 바깥쪽으로 당겨짐에 따라 서로 접촉되어 상기 측면개구가 좁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측면개구관체의 측면개구 양측을 밀어주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측면개구관체와 상기 손잡이 사이에는 상기 돌출부의 관통을 허용하는 통공을 구비하고 전면에는 지지하기 위한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래크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반장치는 물건을 담아두기 위한 선반, 상기 선반을 지지하기 위한 지주 및 상기 선반을 지주에 고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주 결합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 파이프로 구성된 지주(10)들이 천장(2)과 바닥(3) 사이에 고정되어 있고, 복수의 지주(10)들이 연속 결합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지주(10)의 최 상측에는 스프링으로 지지되는 받침구(11)가 천장(2)에 밀착되어 지주(10)가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지주(10)에는 물품을 담을 수 있는 래크(20)가 지주 결합구(100)에 의하여 다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상기 지주 결합구(100)가 지주(10)의 측면을 통해 지주(10)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주 결합구(100)는 측면개구(112)를 갖는 측면개구관 체(110), 측면개구(112)에 장착되는 측면개구결합체(130), 손잡이(1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필요에 따라 래크 지지부재(1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측면개구관체(110)는 측면개구(112)를 구비한다. 이 측면개구(112)는 측면개구관체(110)를 지주(10)의 측면을 통해서 지주(10)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특징을 이루는 부분이다. 이 측면개구관체(110)는 지주(10)의 둘레 일부를 감싸도록 지주(10)에 설치된다.
측면개구관체(110)에는 반원형의 안내홈(114)이 형성되어 있고, 안내홈(114)의 입구인 측면개구(112)의 양측에는 제1걸림부(11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걸림부(116)에는 제1돌출부(132)의 후방 양측에 형성된 제2걸림부(136)가 결합되고, 반원형 안내홈(114)과 측면개구결합체(130)의 내측면(138)에 의하여 지주(10)가 감싸지도록 설치된다.
래크 지지부재(170)는 측면개구결합체(130)와 손잡이(150) 사이에 설치되어 래크(2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에는 결합공(172)이 뚫려져 있고, 결합공(172)에는 측면개구결합체(130)의 제1돌출부(132)가 관통 결합된다. 이 래크 지지부재(170)는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서 지지턱(174)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지지턱(174)의 양측에는 반원형의 홈(176)이 형성되어 있다. 양측의 홈(176)들에는 래크(20)의 양측 금속봉(21)들이 세로 방향으로 각각 결합된다.
래크(20)의 금속봉(21)들이 손잡이(150)와 측면개구결합체(130) 사이에 결합되거나 손잡이(150)에 걸려서 설치되어도 무방한 경우에는 래크 지지부재(170)는 없어도 된다.
손잡이(150)의 후방에는 제2돌출부(156)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제2돌출부(156)는 래크 지지부재(170)에 뚫려진 결합공(172)과 제1돌출부(132) 내측으로 결합된다.
제2돌출부(156) 후방에는 고무와 같은 탄성체(190)가 결합되어 있고, 탄성체(190)는 지주(10)에 밀착 고정된다.
제2돌출부(156)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홈(152)에는 제2나선(15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나선(154)은 제1돌출부(13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나선(134)과 나사 결합되어 래크(20)를 지지하는 래크 지지부재(17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주 결합구(100)를 지주(10)에 결합시켜 래크(20)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주(10)가 천장(2)과 바닥(3)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측면개구관체(110)의 반원형 안내홈(114)을 지주(10)에 결합시키면 안내홈(114)의 입구인 측면개구(112)가 살짝 벌어지면서 결합된 후 다시 오므려져 안내홈(114)이 지주(10)의 둘레에 밀착 고정되고, 제1돌출부(132)의 후방 양측에 형성된 제2걸림부(136)를 제1걸림부(116)에 슬라이드 결합시키면 제1돌출부(132)가 측면개구관체(110)에 결합되어 지주(10)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어서, 래크 지지부재(170)에 뚫려진 결합공(172)을 제1돌출부(43)에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한 후 손잡이(150)의 후방 제2돌출부(156)를 제1돌출부(132) 내측으로 삽입하고, 홈(152)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나선(154)을 제1돌출부(13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나선(134)에 나사 결합하여 조여 주면 제2돌출부(156)의 후방 탄성 체(190)가 지주(10)에 밀착되어 측면개구결합체(130)를 당겨주고, 이에 따라 측면개구관체(110)의 내주면이 지주(10)에 밀착되어 지주 결합구(100)가 지주(1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므로 래크(20)가 래크 지지부재(50)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주(1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측면개구관체(110)를 지주(10)의 측면개구(112)를 통해 지주(10)에 결합한 상태에서 측면개구결합체(130)를 측면개구관체(110)에 결합하고 래크 지지부재(170)에 래크(20)를 결합시킨 후 손잡이(150)의 후면에 형성된 홈(152)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나선(154)을 제1돌출부(132)의 제1나선(134)에 나사 결합하여 조여 주면 래크 지지부재(170)가 측면개구관체(110)와 손잡이(150)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래크(20)가 지주(10)에 간편하게 설치되는 것이므로 결합구(100) 및 래크(20)의 설치가 신속 간편하게 완료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손잡이(150)를 반대로 회전시켜 제2나선(154)을 제1돌출부(132)에서 분리하면 래크(20), 래크 지지부재(170), 측면개구결합체(130) 및 측면개구관체(110)를 지주(10)에서 분리하거나, 필요한 높이로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서 재조립할 수 있는 것이므로 천장(2)과 바닥(3) 사이에 고정된 지주(10)는 분해하지 않은 상태에서 결합구(100)의 분리 및 결합이 자유롭게 이루어져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것으로서 지주(10)에 결합된 래크(20)들 중 하나를 분리하거나 새롭게 래크(20)를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다용도 선반을 다양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제2나선(154)이 제1돌출부(132)의 제1나선(134)에서 분리되지 않을 정도로 손잡이(150)를 적당히 회전시키면 제2돌출부(156) 후방의 탄성체(190)가 지주(10)에서 밀착된 상태에서 이탈되어 측면개구관체(110)와 측면개구결합체(130)가 지주(10)에서 느슨한 결합상태를 이루는 것이므로 측면개구관체(110)와 측면개구결합체(130)를 상하로 승강시켜 지주(10)에 설치된 래크(20)들의 간격을 간편하게 조절한 후 다시 손잡이(150)를 조여 주면 래크(20)들이 지주(10)에 고정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 의한 결합구(100)는 보다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8과 도 9는 도 2의 변형 예를 각각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 제1걸림부(116a)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개구(112)쪽의 내측면 대신에 외측면에 형성하고, 제2걸림부(136a)는 측면개구결합체(130)의 내측으로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주 결합구(100)를 구성할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 래크(20)의 금속봉(21)이 결합되는 래크 지지부재(170)에 형성되는 홈(176a)은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고, 수직, 수평 양측으로 모두 형성되어도 되고, 더 나아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나머지 사항은 도 2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 결합구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에서 설명한 래크 지지부재(170)를 없애는 대신에 측면개구관체(110)의 전면에 래크(20)의 금속봉(21)이 결합될 수 있는 홈(118)을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주 결합구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개구관 체(110)의 전면을 조금 넓게 형성하면 된다. 그리고 래크(20)는 경우에 따라 제1돌출부(132) 등에 걸린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으므로 홈(118)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예들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걸림부(116b)와 제2걸림부(136b)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손잡이(150)를 회전시켜 제2나선(154)이 제1나선(134)에 체결됨에 따라 손잡이(150)가 측면개구결합체(130)를 바깥쪽으로 당겨주고, 그 결과 측면개구결합체(130)의 경사면(S2)이 측면개구관체(110)의 경사면(S1)을 가압하여 측면개구관체(110)가 조여지도록 하여 지주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손잡이(150)에 형성되던 도 10의 제2돌출부(156)는 없어도 된다.
또 경우에 따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돌출부(132) 내측면에 제1나선(134)을 형성하고, 제2돌출부(156) 외주면에 제2나선(154)을 형성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나머지 사항은 도 10과 도 1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가 사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인 경우, 측면개구관체(110a)로는 안내홈(114a)이 사각형 형상의 것을 이용하면 되고, 측면개구결합체(130)의 내측면은 평면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나머지 사항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구 결합구와 이를 이용하는 선반장치에서는 지주의 측면을 통해 지주 결합구를 지주에 결합할 수 있 어 래크 등을 매우 편리하게 지주에 고정할 수 있고, 쉽게 선반을 추가하여 설치하거나 설치된 것을 제거할 수 있다.
측면개구관체, 측면개구결합체, 손잡이 등의 부품은 변형 적용성이 뛰어나 다양한 지주 결합구와 선반장치 제품을 만들 수 있다.
측면개구관체의 넓은 면적이 지주에 접촉되고 또 탄성부재를 이용하거나 경사면을 이용하여 측면개구관체를 당겨주거나 조여 주기 때문에 지주에 흠집이 생기지 않는다.
래크의 금속봉이 결합되는 홈을 구비하고 있어 래크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는 장점도 있다.

Claims (8)

  1. 지주에 필요한 물건을 걸거나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주 결합구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측면으로 상기 지주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해주는 측면개구와 상기 측면개구 양측으로 형성된 홈 또는 돌기형태의 제1걸림부를 갖는 측면개구관체;
    상기 제1걸림부에 걸리는 제2걸림부를 구비하여 상기 측면개구관체에 결합되어 상기 측면개구관체와 함께 상기 지주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2걸림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를 갖는 측면개구결합체; 및
    상기 측면개구결합체에 결합되어 상기 측면개구결합체를 바깥쪽으로 당겨줌으로써 상기 측면개구관체를 바깥쪽으로 당겨주거나 조여 주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결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제1나선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제1나선에 결합되는 제2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결합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는 중공의 관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나선은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나선은 상기 손잡이에 형성된 홈의 내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결합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는 상기 측면개구관체 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나선이 상기 제1나선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지주의 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손잡이가 상기 지주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측면개구결합체를 바깥쪽으로 당겨줄 수 있도록 해주는 제2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결합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는 중공의 관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나선은 상기 돌출부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나선은 상기 제1나선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지주의 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손잡이가 상기 지주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측면개구결합체를 바깥쪽으로 당겨줄 수 있도록 해주는 제2돌출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결합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 또는 상기 제2걸림부에는 상기 제2나선이 상기 제1나선에 결합되어 상기 측면개구결합체가 바깥쪽으로 당겨짐에 따라 서로 접촉되어 상기 측면개구가 좁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측면개구관체의 측면개구 양측을 밀어주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결합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개구관체와 상기 손잡이 사이에는 상기 돌출부의 관통을 허용하는 통공을 구비하고 전면에는 지지하기 위한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래크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결합구.
  8. 물건을 담아두기 위한 선반;
    상기 선반을 지지하기 위한 지주; 및
    상기 선반을 지주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지주 결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선반장치.
KR1020070025951A 2006-05-11 2007-03-16 지주 결합구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반장치 KR100813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42436 2006-05-11
KR1020060042436 2006-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806A KR20070109806A (ko) 2007-11-15
KR100813705B1 true KR100813705B1 (ko) 2008-03-13

Family

ID=39064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951A KR100813705B1 (ko) 2006-05-11 2007-03-16 지주 결합구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37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756B1 (ko) 2008-06-10 2011-05-09 이윤일 수직기둥에 설치되는 독서대
KR101039445B1 (ko) 2009-04-01 2011-06-07 이안제 방향제를 설치한 선반 클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253B1 (ko) * 2008-09-09 2009-07-27 홍석범 수납용 선반의 연결구
KR100933824B1 (ko) * 2009-03-06 2009-12-24 이안제 방향제를 설치한 선반 클램프
KR102018949B1 (ko) * 2017-08-16 2019-09-04 김민수 다단 선반용 고정장치
KR102111981B1 (ko) * 2019-03-04 2020-05-18 세비앙 주식회사 모듈식 거치대
CN220124239U (zh) * 2023-02-27 2023-12-05 东莞凌全五金制品有限公司 置物框安装结构及多层置物架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6119A (en) 1987-12-31 1989-05-02 Selfix, Inc. Article retaining fixture with supporting structure
JPH0658734U (ja) * 1993-02-01 1994-08-16 株式会社田窪工業所 小物整理棚の取付具
KR20030064350A (ko) * 2003-06-11 2003-07-31 전영채 봉선반용 결속장치
KR200368931Y1 (ko) 2004-09-16 2004-12-03 허명근 포스트형 조립식 선반
KR200417197Y1 (ko) 2006-02-28 2006-05-24 전영채 수납 선반용 결속구의 조임구조
KR100698948B1 (ko) 2005-12-12 2007-03-23 전영채 수납선반용 결속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6119A (en) 1987-12-31 1989-05-02 Selfix, Inc. Article retaining fixture with supporting structure
JPH0658734U (ja) * 1993-02-01 1994-08-16 株式会社田窪工業所 小物整理棚の取付具
KR20030064350A (ko) * 2003-06-11 2003-07-31 전영채 봉선반용 결속장치
KR200368931Y1 (ko) 2004-09-16 2004-12-03 허명근 포스트형 조립식 선반
KR100698948B1 (ko) 2005-12-12 2007-03-23 전영채 수납선반용 결속구
KR200417197Y1 (ko) 2006-02-28 2006-05-24 전영채 수납 선반용 결속구의 조임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756B1 (ko) 2008-06-10 2011-05-09 이윤일 수직기둥에 설치되는 독서대
KR101039445B1 (ko) 2009-04-01 2011-06-07 이안제 방향제를 설치한 선반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806A (ko)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705B1 (ko) 지주 결합구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반장치
KR20190000099U (ko) 수납되는 물품에 의해 쳐짐이 발생되지 않는 장난감 정리대
US9498058B2 (en) Closet storage assemblies, connectors, brackets and systems
CA2830139A1 (en) Adjustable storage assembly
WO2009039792A1 (fr) Cadre de garde-corps amovible
KR101900162B1 (ko) 가구용 골격 조립 구조
US11425998B2 (en) Shelf system and method of mounting a shelf
US8100275B2 (en) Connecting member for a clothes airer
KR100909253B1 (ko) 수납용 선반의 연결구
KR20170001238U (ko) 수납되는 물품에 의해 쳐짐이 발생되지 않는 장난감 정리대
KR102083127B1 (ko) 선반용 결속장치
KR101990044B1 (ko)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
KR101835701B1 (ko) 조립형 다용도 선반
KR20140110359A (ko) 조립가구용 고정지주의 하부관체와 상부관체의 연결구조
JP2006068073A (ja) メタルラックの多重組合せ位置決め装置
JP3667309B2 (ja) 折り畳み支持脚及びこれを用いたテーブル
KR200449273Y1 (ko) 조립식 선반 설치용 홀더
KR200377296Y1 (ko) 조립식 다용도 선반
CN211714116U (zh) 一种厨房水槽
JP7334998B2 (ja)
JPS602833Y2 (ja) コ−ナ−用組立棚
KR100290586B1 (ko) 의복걸이대
TWM513624U (zh) 收納置放架及其調整支撐單元
JP2823533B2 (ja) 置 棚
KR200377297Y1 (ko) 조립식 다용도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