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127B1 - 선반용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선반용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127B1
KR102083127B1 KR1020190099315A KR20190099315A KR102083127B1 KR 102083127 B1 KR102083127 B1 KR 102083127B1 KR 1020190099315 A KR1020190099315 A KR 1020190099315A KR 20190099315 A KR20190099315 A KR 20190099315A KR 102083127 B1 KR102083127 B1 KR 102083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elf
groove
close contact
suppor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무정
Original Assignee
박무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무정 filed Critical 박무정
Priority to KR1020190099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4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screwbolts as connect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1Cantilever bra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0Joints for furniture tub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47B2220/0038Brackets having a pincer shape supporting a cantilever shel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7Releasable locking means or connectors for fastening together parts of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반용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에 조임구를 조이는 조작만으로 지지대의 임의의 위치에 식기건조대나 씽크선반, 코너선반과 같은 주방용품이나 욕실용품 등의 선반을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지지대에 설치된 선반의 높이 조절 및 해체 역시 조임구만 풀고 조이는 조작만으로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는 선반용 결속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반용 결속장치{ Shelf jointing apparatus }
본 발명은 선반용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조임구를 조이거나 푸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상하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의 임의의 위치에 선반을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선반의 높이 조절 및 해체도 수행할 수 있는 선반용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건조대나 씽크선반, 코너선반과 같은 주방용품이나 욕실용품은 다수의 봉체를 종횡으로 배열하여 스폿웰딩(Spot Welding)한 선반과 상기 선반을 지지하도록 그 둘레에 수직으로 입설된 지지대를 스폿웰딩하여 제품 구성하거나, 상기 지지대 대신에 양측 지지구를 설치하여 상기 지지구 상간에 선반이 배치되도록 지지구의 결합공에 선반의 본체 프레임이 삽입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보편적인 구조였다.
이러한 종래의 주방용품이나 욕실용품의 조립방식은 선반과 지지대를 용접 결합하므로 조립작업이 상당히 번거롭고 비용에 비해 생산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수분에 의해 용접부위가 부식되기 쉽고 부착력이 약하며 외관형상이 단조로운 문제점이 있었고, 본체프레임이 지지구의 결합공에 단순히 삽입 결합되어 탑재 보관되는 식기의 무게 및 자체 하중에 대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의 견고한 지지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방용품이나 욕실용품의 수평방향 구조체를 이루는 선반 및 수직방향 구조체를 이루는 지지대가 상호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 및 조임 결합되면서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는 선반용 결속장치의 예로 등록특허 제10-0406836호(참고문헌 1) 및 등록특허 제10-0762916호(참고문헌 2)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우선 참고문헌 1은 봉선반용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직방향 구조체인 지지대가 봉조임링으로 체결되어 조립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봉조임링의 절결된 양측으로 탭삽입구가 형성되고, 중앙의 선반지지판을 중심으로 상기 봉조임링의 반대쪽에는 커버체결볼트가 돌출 형성된 결속구본체와; 상기 결속구본체의 봉조임링을 조여줄 수 있도록 상기 봉조임링 양측의 탭삽입구에 고정너트와 함께 체결되는 조임탭과; 상기 결속구본체의 커버체결볼트에 체결되어 수평방향 구조체인 선반이 걸림고정될 수 있도록 중앙에 볼트통과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볼트통과공 양쪽으로 일면에 선반걸림홈이 요홈 형성된 선반고정구와; 상기 선반고정구에 걸림 고정되는 상기 선반이 위치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선반고정구와 함께 상기 결속구본체의 커버체결볼트에 체결되는 선반고정커버를 포함한다.
그런데 이러한 참고문헌 1의 선반 고정방식은 지지대에 각각 봉선반 결속구의 봉조임링을 끼워 적절하게 위치를 조절한 후 조임탭과 고정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한 다음, 선반고정구에 형성된 선반걸림홈에 선반의 양쪽 측면프레임을 끼우고 결속구본체의 커버체결볼트에 선반고정커버를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하여 고정함에 따라 조립이 번거롭고, 선반 설치 후 높이를 조절하거나 해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조임탭 및 선반고정커버를 각기 개별적으로 작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다음으로, 참고문헌 2는 수납 선반용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임커버, 선반고정구, 결합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조임커버는 외측으로 파지부를 이루고 중심부 내측으로는 나선으로 이루어진 나사부가 형성되고, 선반고정구는 원형의 판체로서 그 중심에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외주면에는 선반프레임 고정용 홈이 형성되며, 결합구는 지지봉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구성은 몸체, 걸림부재, 잠금부재를 포함한다.
그런데 이러한 참고문헌 2의 선반 고정방식은 지지봉을 몸체의 끼움구 내로 위치시킨 뒤 걸림부재를 회전시켜 지지봉을 완전히 감싼 상태에서, 잠금부재의 레버에 형성된 걸림돌기를 몸체의 걸림턱에 걸리도록 레버를 당겨 회동시켜 지지봉에 결속장치를 고정한 다음, 조임커버를 선반고정구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하여 고정하므로, 참고문헌 1의 선반 고정 방식과 마찬가지로 선반 설치 후 높이를 조절하거나 해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레버 및 조임커버를 각기 개별적으로 작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여전히 존재한다.
참고문헌 1 : 등록특허 제10-0406836호 참고문헌 2 : 등록특허 제10-0762916호
이러한 종래 선반용 결속장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임구를 조이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상하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의 임의의 위치에 선반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선반용 결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지대에 설치된 선반의 높이 조절 및 해체 역시 조임구를 풀거나 조이는 조작만으로 간단히 수행할 수 있는 선반용 결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에 선반을 고정하는 선반용 결속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상기 지지대가 상하 수직으로 통과하는 제1 관통부가 형성되는 제1 몸체의 일측에 제1 선반 지지부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선반 지지부의 상부에는 선반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선반 메인지지홈이 형성되는 하측 지지구와; 상기 하측 지지구의 상측에 구비되되 상기 지지대가 상하 수직으로 통과하는 제2 관통부가 형성되는 제2 몸체의 일측에 제2 선반 지지부가 일체로 구비되는 중간 지지구와; 상기 중간 지지구의 상측에 구비되되 상기 지지대가 상하 수직으로 통과하는 제3 관통부가 형성되는 제3 몸체의 일측에 제3 선반 지지부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3 선반 지지부의 하부에는 선반을 지지하기 위한 제2 선반 메인지지홈이 형성되는 상측 지지구와; 상기 제1 내지 제3 관통부에 삽입되며 수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4 몸체의 중앙에 지지대가 가이드되는 제4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4 몸체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탄성날개가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되는 밀착구와; 상기 상측 지지구의 상측에 구비되되 제5 몸체의 중앙에 상기 지지대가 상하 수직으로 통과하는 제5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5 관통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밀착구의 수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조임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결속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하측 지지구는 상기 제1 몸체의 일측에 수평하게 바(bar) 형상의 제1 선반 지지부가 돌출되며, 상기 제1 선반 지지부의 상부에는 제1 선반 메인지지홈이 일직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측 지지구는 상기 제3 몸체의 일측에 수평하게 바(bar) 형상의 제3 선반 지지부가 돌출되고, 상기 제3 선반 지지부의 하부에는 제2 선반 메인지지홈이 일직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 지지구는 상기 제2 몸체의 일측에 수평하게 바(bar) 형상의 제2 선반 지지부가 돌출되고, 상기 제2 선반 지지부의 하부에는 상기 하측 지지구의 제1 선반 메인지지홈에 대응되는 제1 선반 보조지지홈이 일직선으로 더 형성되고, 상기 제2 선반 지지부의 상부에는 상기 상측 지지구에 형성된 제2 선반 메인지지홈에 대응되는 제2 선반 보조지지홈이 일직선으로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측 지지구는 상기 제1 관통부 내주면에 상기 밀착구의 탄성날개의 외측면이 밀착 안내되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 지지구는 상기 제2 관통부의 하측에 내주면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는 제2 경사면이 상기 하측 지지구의 제1 관통부에 형성된 제1 경사면과 연속되게 형성되며; 상기 밀착구의 탄성날개는 상기 제4 몸체의 하단에 연장되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하단에 연장되어 외측으로 확장되는 날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날개 내측면에는 상기 지지대의 외주면에 밀착 가능하도록 밀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날개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측 지지구의 제1 몸체의 하면에 지지 가능한 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조임구는 원통 형상의 제5 몸체의 중앙에 상기 지지대가 상하 수직으로 통과하는 제5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5 관통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밀착구의 수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5 몸체의 외주면에는 손으로 잡고 돌리는 경우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 방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5 몸체의 중앙 상단에는 상기 제5 관통부에 비해 내경이 축소되어 지지대가 통과하는 안내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착구의 제4 관통부에는 내경을 축소하기 위해 내경 축소구가 더 구비되며; 상기 내경 축소구는 원통 형상의 제6 몸체의 중앙에 상기 제4 관통부에 비해 내경이 축소된 제6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6 몸체의 상단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상기 밀착구의 제4 관통부의 상단 테두리에 걸쳐지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선반은 바닥을 이루는 본체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따라 측면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프레임은 하측 및 상측 수평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중간 지지구의 상기 제2 선반 지지부 하부에는 상기 하측 지지구의 제1 선반 메인지지홈에 대응되는 제1 선반 보조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선반 지지부의 상부에는 상기 상측 지지구에 형성된 제2 선반 메인지지홈에 대응되는 제2 선반 보조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측 수평프레임은 상기 하측 지지구에 형성된 제1 선반 메인지지홈과 상기 중간 지지구에 형성된 제1 선반 보조지지홈에 지지되며, 상기 상측 수평프레임은 상기 상측 지지구에 형성된 제2 선반 메인지지홈과 상기 중간 지지구에 형성된 제2 선반 보조지지홈에 지지되며; 상기 중간 지지구의 제2 선반 지지부의 외측 하단 및 상단에는 선반의 하측 및 상측 수평프레임이 제1 및 제2 선반 보조지지홈으로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경사안내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에 식기건조대나 씽크선반, 코너선반과 같은 주방용품이나 욕실용품 등의 선반을 고정시 임의의 위치로 선반용 결속장치를 이동시킨 후 조임구를 조이면 지지대에 선반용 결속장치가 견고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선반은 하측 지지구와 중간 지지구 및 상측 지지구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됨에 따라 한번의 조임구 작동으로 지지대에 선반을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임구만 풀면 지지대에 설치된 선반을 쉽게 분리 해체할 수 있고 선반의 높이를 조절한 후에도 조임구만 다시 조여주면 견고하게 지지대에 선반을 설치할 수 있어 선반의 해체 및 높이 조절 역시 간단하고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반용 결속장치의 전면 및 후면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반용 결속장치를 상측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반용 결속장치의 결속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반용 결속장치의 결속 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반용 결속장치를 이용해 선반을 지지대에 결속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반용 결속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선반용 결속장치를 적용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반용 결속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반용 결속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선반용 결속장치(100)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대(10)에 식기건조대나 씽크선반, 코너선반과 같은 주방용품이나 욕실용품 등의 선반(20)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10)는 중공 형태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지지대(10)의 하단에는 바닥면에서 고정되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로 성형되는 바닥 받침구(30)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10)의 상단에는 천장면에서 고정되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로 성형되는 천장 받침구(40)가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대(10)는 일 예로 사용환경에 따라 실내의 다양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선반(20)은 물건을 올려놓거나 보관하기 사용하는 것으로,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선반용 결속장치(100)에 의해 지지대(10)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반용 결속장치(100)는 중앙에 상기 지지대(10)가 상하 수직으로 통과하는 제1 관통부(112)가 형성되는 제1 몸체(111)의 일측에 제1 선반 지지부(114)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선반 지지부(114)의 상부에는 선반(20)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선반 메인지지홈(114a)이 형성되는 하측 지지구(110)와; 상기 하측 지지구(110)의 상측에 밀착 구비되되 상기 지지대(10)가 상하 수직으로 통과하는 제2 관통부(122)가 형성되는 제2 몸체(121)의 일측에 제2 선반 지지부(124)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2 선반 지지부(124)의 하부에는 선반(20)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선반 메인지지홈(114a)에 대응되는 제1 선반 보조지지홈(124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선반 지지부(124)의 상부에는 선반(20)을 지지하기 위해 제2 선반 보조지지홈(124b)이 형성되는 중간 지지구(120)와; 상기 중간 지지구(120)의 상측에 밀착 구비되되 상기 지지대(10)가 상하 수직으로 통과하는 제3 관통부(132)가 형성되는 제3 몸체(131)의 일측에 제3 선반 지지부(134)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3 선반 지지부(134)의 하부에는 선반(20)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2 선반 보조지지홈(124b)에 대응되게 제2 선반 메인지지홈(134a)이 형성되는 상측 지지구(130)와; 상기 제1 내지 제3 관통부(112,122,132)에 삽입되며 수나사산(141a)이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4 몸체(141)의 중앙에 지지대(10)가 가이드되는 제4 관통부(142)가 형성되고 상기 제4 몸체(141)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탄성날개(144)가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탄성날개(144)의 내측면에는 상기 지지대(10)의 외주면에 밀착 가능하도록 밀착부(145)가 구비되는 밀착구(140)와; 상기 상측 지지구(130)의 상측에 구비되되 제5 몸체(151)의 중앙에 상기 지지대(10)가 상하 수직으로 통과하는 제5 관통부(152)가 형성되고 상기 제5 관통부(152)의 내주면에는 상기 밀착구(140)의 수나사산(141a)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152a)이 형성되는 조임구(150);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선반(20)은 물 빠짐이 원활하도록 단면이 원형인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스틸 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봉체들을 종횡으로 배열하여 스폿웰딩(Spot Welding)하여 접시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바닥을 이루는 본체프레임(21)의 가장자리를 따라 측면프레임(22)이 형성된다.
이러한 선반(20)의 측면프레임(22)은 적어도 2개의 하측 및 상측 수평프레임(22a,22b)이 구비되며, 상기 하측 수평프레임(22a)은 하측 지지구(110) 및 중간 지지구(120)에 형성된 제1 선반 메인지지홈(114a) 및 제1 선반 보조지지홈(124a)에 지지되며, 상기 상측 수평프레임(22b)은 중간 지지구(120) 및 상측 지지구(130)에 형성된 제2 선반 보조지지홈(124b) 및 제2 선반 메인지지홈(134a)에 지지된다.
이 경우 선반(20)의 하측 수평프레임(22a)은 하측 지지구(110)에 형성된 제1 선반 메인지지홈(114a)에만 지지되고 상기 상측 수평프레임(22b)은 상측 지지구(130)에 형성된 제2 선반 메인지지홈(134a)에만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며, 따라서 상기 중간 지지구(120)에는 필요에 따라 제1 선반 보조지지홈(124a)과 제2 선반 보조지지홈(124b)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우선 상기 하측 지지구(110)는 제1 몸체(111)의 중앙에 상기 지지대(10)가 상하 수직으로 통과하는 제1 관통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몸체(111)의 일측에는 선반(20) 고정을 위한 제1 선반 지지부(114)가 일체로 구비된다.
이러한 제1 몸체(111)는 전체적으로 짧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원형인 제1 관통부(112)가 중앙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 몸체(111)의 일측에 수평하게 바(bar) 형상의 제1 선반 지지부(114)가 돌출되고, 상기 제1 선반 지지부(114)의 상부에는 제1 선반 지지부(114)의 길이 방향으로 선반(20)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선반 메인지지홈(114a)이 일직선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몸체(111)와 제1 선반 지지부(114)의 연결부위에는 보강부(113)가 더 형성되어 제1 몸체(111)와 제1 선반 지지부(114)의 연결부위의 강도를 향상시켜준다.
아울러 상기 제1 관통부(112)는 내주면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는 제1 경사면(112a)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하측 지지구(110)의 제1 관통부(112)를 따라 밀착구(140)가 상측으로 이동시 제1 경사면(112a)을 따라 밀착구(140)의 탄성날개(144)가 안내되며 탄성날개(144)의 외측면이 밀착 안내된다.
더욱이 상기 조임구(150)를 조이고 오랜 시간이 경과하여도 상기 밀착구(140)의 탄성날개(144)가 상기 하측 지지구(110)의 제1 관통부(112)에 들러붙지 않게 하여 추후 선반(20)의 해체 및 위치 이동시 하측 지지구(110)의 제1 관통부(112)에서 쉽게 이탈되도록 제1 경사면(112a)에 요철이 형성된다. 이러한 요철은 상하로 길게 요철 및 요홈이 교대로 연속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측 지지구(110)는 PP 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 지지구(120)는 상기 하측 지지구(110)의 상측에 밀착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제2 몸체(121)의 중앙에 상기 지지대(10)가 상하 수직으로 통과하는 제2 관통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몸체(121)의 일측에는 선반(20) 고정을 위한 제2 선반 지지부(124)가 일체로 구비된다.
이러한 제2 몸체(121)는 전체적으로 짧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원형인 제2 관통부(122)가 중앙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2 몸체(121)의 일측에 수평하게 바(bar) 형상의 제2 선반 지지부(124)가 돌출되고, 상기 제2 선반 지지부(124)의 하부에는 제2 선반 지지부(124)의 길이 방향으로 선반(20)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선반 보조지지홈(124a)이 하측 지지구(110)의 제1 선반 메인지지홈(114a)에 대응되게 일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선반 지지부(124)의 상부에는 제2 선반 지지부(124)의 길이 방향으로 선반(20)을 지지하기 위한 제2 선반 보조지지홈(124b)이 상측 지지구(130)에 형성된 제2 선반 메인지지홈(134a)에 대응되게 일직선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몸체(121)와 제2 선반 지지부(124)의 연결부위에는 보강부(123)가 더 형성되어 제2 몸체(121)와 제2 선반 지지부(124)의 연결부위의 강도를 향상시켜준다. 물론 상기 중간 지지구(12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길이를 하측 및 상측 지지구(130)에 비해 2배 정도 길게 형성할 수 있으나, 이러한 길이는 적용환경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설계 변경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관통부(122)의 하측은 내주면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는 제2 경사면(122a)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중간 지지구(120)의 제2 관통부(122)를 따라 밀착구(140)가 상측으로 이동시 제2 경사면(122a)을 따라 밀착구(140)의 탄성날개(144)가 안내되며 탄성날개(144)의 외측면이 밀착 안내된다.
이 경우 상기 중간 지지구(120)의 제2 관통부(122)의 제2 경사면(122a)은 상기 하측 지지구(110)의 제1 관통부(112)의 제1 경사면(112a)과 단차지지 않고 연속적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밀착구(140)의 탄성날개(144)가 제1 경사면(112a)과 제2 경사면(122a)을 따라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상승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중간 지지구(120)의 제2 관통부(122)의 하단 내경은 상기 하측 지지구(110)의 제1 관통부(112)의 상단 내경과 동일하거나 미세한 차이로 작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조임구(150)를 조이고 오랜 시간이 경과하여도 상기 밀착구(140)의 탄성날개(144)가 상기 중간 지지구(120)의 제2 관통부(122)에 들러붙지 않게 하여 추후 선반(20)의 해체 및 위치 이동시 중간 지지구(120)의 제2 관통부(122)에서 쉽게 이탈되도록 제2 경사면(122a)에 요철이 형성된다. 이러한 요철은 상하로 길게 요철 및 요홈이 교대로 연속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간 지지구(120)는 PP 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중간 지지구(120)는 하측 지지구(110)의 상측에 밀착시 하측 지지구(110) 및 중간 지지구(120)의 제1 선반 메인지지홈(114a) 및 제1 선반 보조지지홈(124a)에 선반(20)의 측면프레임(22)을 구성하는 하측 수평프레임(22a)이 안착 지지된다.
이때 상기 제1 선반 메인지지홈(114a)은 깊게 형성하고 제1 선반 보조지지홈(124a)은 낮게 형성하여 상하로 긴 타원형 단면을 갖는 하측 수평프레임(22a)이 걸쳐진 상태로 제1 및 제2 선반 지지부(114,124)가 서로 가압되는 경우 밀착되며 견고히 지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선반 메인지지홈(114a) 및 제1 선반 보조지지홈(124a)은 단면이 타원 이외에도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대응되는 형상의 상하로 긴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측 수평프레임(22a)을 지지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제1 선반 메인지지홈(114a) 및 제1 선반 보조지지홈(124a)의 단면이 대칭되도록 반원형, 브이(v)형, 정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원형, 마름모, 정사각형 등의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갖는 하측 수평프레임(22a)을 제1 및 제2 선반 지지부(114,124)에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선반 메인지지홈(114a) 및 제1 선반 보조지지홈(124a)의 형상과 하측 수평프레임(22a)의 형상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이러한 정도의 설계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상기 중간 지지구(120)의 제2 선반 지지부(124)의 외측 하단 및 상단에는 선반(20)의 하측 및 상측 수평프레임(22a,22b)이 제1 및 제2 선반 보조지지홈(124a,124b)으로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경사안내면(124c,124d)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측 지지구(130)는 제3 몸체(131)의 중앙에 상기 지지대(10)가 상하 수직으로 통과하는 제3 관통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제3 몸체(131)의 일측에는 선반(20) 고정을 위한 제3 선반 지지부(134)가 일체로 구비된다.
이러한 제3 몸체(131)는 전체적으로 짧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원형인 제3 관통부(132)가 중앙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3 몸체(131)의 일측에 수평하게 바(bar) 형상의 제3 선반 지지부(134)가 돌출되고, 상기 제3 선반 지지부(134)의 하부에는 제3 선반 지지부(134)의 길이 방향으로 선반(20)을 지지하기 위한 제2 선반 메인지지홈(134a)이 상기 중간 지지구(120)의 제2 선반 보조지지홈(124b)에 대응되게 일직선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3 몸체(131)와 제3 선반 지지부(134)의 연결부위에는 보강부(133)가 더 형성되어 제3 몸체(131)와 제3 선반 지지부(134)의 연결부위의 강도를 향상시켜준다. 이러한 상측 지지구(130)는 PP 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측 지지구(130)를 중간 지지구(120)의 상측에 밀착시 중간 지지구(120) 및 상측 지지구(130)의 제2 선반 보조지지홈(124b) 및 제2 선반 메인지지홈(134a)에 선반(20)의 측면프레임(22)을 구성하는 상측 수평프레임(22b)이 안착 지지된다.
이때 상기 제2 선반 보조지지홈(124b)은 낮게 형성하고 제2 선반 메인지지홈(134a)은 깊게 형성하여 상하로 긴 타원형 단면을 갖는 상측 수평프레임(22b)이 걸쳐진 상태로 제2 및 제3 선반 지지부(124,134)가 서로 가압되는 경우 밀착되며 견고히 지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 선반 보조지지홈(124b) 및 제2 선반 메인지지홈(134a)은 단면이 타원 이외에도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대응되는 형상의 상하로 긴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측 수평프레임(22b)을 지지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제2 선반 보조지지홈(124b) 및 제2 선반 메인지지홈(134a)의 단면이 대칭되도록 반원형, 브이(v)형, 정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원형, 마름모, 정사각형 등의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갖는 상측 수평프레임(22b)을 제2 및 제3 선반 지지부(124,134)에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선반 보조지지홈(124b) 및 제2 선반 메인지지홈(134a)의 형상과 상측 수평프레임(22b)의 형상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이러한 정도의 설계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상기 밀착구(140)는 상기 하측 지지구(110)와 중간 지지구(120) 및 상측 지지구(130)의 제1 내지 제3 관통부(112,122,132)에 삽입되어 상기 조임구(150)와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원통 형상의 제4 몸체(141)의 중앙에 상기 지지대(10)가 상하 수직으로 통과하는 제4 관통부(142)가 형성되고, 상기 제4 몸체(141)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14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4 몸체(141)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하측 지지구(110)의 제1 관통부(112)에 형성된 제1 경사면(112a)과 상기 중간 지지구(120)의 제2 관통부(122)에 형성된 제2 경사면(122a)에 밀착 가능한 복수의 탄성날개(144)가 외측으로 확장되며 벌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탄성날개(144)의 내측면에는 상기 지지대(10)의 외주면에 밀착 가능하도록 밀착부(145)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탄성날개(144)의 재질이 연질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조임구(150)의 조임정도에 따라 밀착부(145)를 더 구비하지 않아도 지지대(10) 외주면에 견고히 밀착 지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밀착부(145)는 복수의 탄성날개(144) 모두에 구비되거나 어느 하나의 탄성날개(144)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밀착구(140)는 PP 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날개(144)는 상기 제4 몸체(141)의 하단에 연장되는 탄성부(144a)와, 상기 탄성부(144a)의 하단에 연장되어 외측으로 확장되는 날개부(144b)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탄성날개(144)는 탄성을 갖도록 탄성부(144a)를 날개부(144b)에 비해 얇게 형성함으로서 탄성날개(144)의 하부가 내외측으로 원활하게 회동가능하다.
아울러 복수의 탄성날개(144) 중에 어느 하나 이상의 탄성날개(144)의 외측면에는 수직안내돌부(미도시됨)를 더 형성하고 하측 지지구(110)의 제1 관통부(112)에는 수직안내돌부가 안내되는 수직안내홈부(미도시됨)를 더 형성하여 상기 하측 지지구(110)와 중간 지지구(120) 및 상측 지지구(130)의 제1 내지 제3 관통부(112,122,132)를 따라 상기 밀착구(140)가 헛돌지 않고 그대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수직안내돌부(미도시됨)와 수직안내홈부(미도시됨)의 형성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으며 그 형상이나 크기 등도 다양한 형태로 설계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착구(140)의 탄성날개(144)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측 지지구(110)의 제1 몸체(111)의 하면에 지지 가능한 지지턱(144c)이 형성된다.
이러한 밀착구(140)의 밀착부(145)는 지지대(10)의 외주면을 잡아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밀착 가능한 고무, 연질PVC 등의 연질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밀착부(145)는 탄성날개(144)의 내측면에 접착제로 부착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145) 외측에 지지돌기(145a)를 형성하고 탄성날개(144)에 지지공(144d)을 형성함으로서 지지돌기(145a)를 지지공(144d)에 끼워 지지함도 가능하며, 상기 밀착부(145)는 탄성날개(144) 내측면에 미끄럼 방지용 요철을 형성한 구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구성의 밀착구(140)의 밀착부(145)에 의해 지지대(10)의 외주면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잡아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밀착구(140)의 밀착부(145)는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이러한 정도의 설계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한편, 상기 조임구(150)는 상측 지지구(13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밀착구(140)와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원통 형상의 제5 몸체(151)의 중앙에 상기 지지대(10)가 상하 수직으로 통과하는 제5 관통부(152)가 형성되고, 상기 제5 관통부(152)의 내주면에는 상기 밀착구(140)의 수나사산(141a)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152a)이 형성되며, 상기 제5 몸체(151)의 외주면에는 손으로 잡고 돌리는 경우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 방지부(153)가 요철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조임구(150)는 제5 몸체(151)의 중앙 상단에 지지대(10)가 관통시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5 관통부(152)에 비해 내경이 축소되는 안내공(154)이 형성되어 밀착구(140)의 상단이 통과하지 못하면서도 지지대(10)만 통과가 가능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의 선반용 결속장치를 이용해 지지대에 선반을 고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밀착구(140)를 상기 하측 지지구(110)와 중간 지지구(120) 및 상측 지지구(130)의 제1 내지 제3 관통부(112,122,132)를 통해 차례 통과하며 삽입한 본 발명의 선반용 결속장치(100)를 지지대(10)의 상하로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로 옮긴다.
물론 이 경우 선반(20)의 측면프레임(22)을 구성하는 하측 수평프레임(22a)은 하측 지지구(110) 및 중간 지지구(120)에 형성된 제1 선반 메인지지홈(114a) 및 제1 선반 보조지지홈(124a)에 지지하고, 선반(20)의 측면프레임(22)을 구성하는 상측 수평프레임(22b)은 중간 지지구(120) 및 상측 지지구(130)에 형성된 제2 선반 보조지지홈(124b) 및 제2 선반 메인지지홈(134a)에 지지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구조는 조임구(150)를 밀착구(140)에 조여주는 과정에서 하측 수평프레임(22a)과 상측 수평프레임(22b)이 제1 선반 메인지지홈(114a) 및 제1 선반 보조지지홈(124a)과, 제2 선반 보조지지홈(124b) 및 제2 선반 메인지지홈(134a)에 각각 지지되므로 하측 지지구(110)와 중간 지지구(120) 및 상측 지지구(130)가 각자 회전하며 흐트러지는 방지하여 정렬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후 상측 지지구(130)의 상측에 위치하는 조임구(150)를 일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밀착구(140)에 조여주면 상기 밀착구(140)가 제1 내지 제3 관통부(112,122,132)를 따라 서서히 상승하면서 상기 탄성날개(144)의 내측은 지지대(10)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탄성날개(144)의 외측은 제1 및 제2 관통부(112,122)의 제1 및 제2경사면(112a,122a)에 밀착되어 지지대(10)의 임의의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선반용 결속장치(100)가 지지대(10)에서 하강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이 경우에도 하측 지지구(110)와 중간 지지구(120) 및 상측 지지구(130)들의 상하부가 서로 견고히 밀착되는 상태가 아니어서 선반(20)이 상기 하측 지지구(110)와 중간 지지구(120) 및 상측 지지구(130) 사이가 느슨하게 지지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조임구(150)를 더욱 조이게 되면 조임구(150)의 하단 테두리는 상측 지지구(130)의 제3 몸체(131) 상면을 가압하고 밀착구(140)는 상승하면서 밀착구(140)의 지지턱(144c)은 하측 지지구(110)의 제1 몸체(111)의 하면을 상측으로 받쳐주면서 밀어 올리게 되어 하측 지지구(110)와 중간 지지구(120) 및 상측 지지구(130)가 서로 가압되면서 하측 수평프레임(22a)은 하측 지지구(110) 및 중간 지지구(120)에 형성된 제1 선반 메인지지홈(114a) 및 제1 선반 보조지지홈(124a)에 견고히 가압 지지되며, 상기 상측 수평프레임(22b)은 중간 지지구(120) 및 상측 지지구(130)에 형성된 제2 선반 보조지지홈(124b) 및 제2 선반 메인지지홈(134a)에 견고히 가압 지지된다.
물론 이러한 구조는 추후 조임구(150)를 타방향(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지대(10)를 따라 상하로 위치 이동이 가능함은 물론 선반(20)을 지지대(1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반용 결속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상기 지지대(10)는 설치공간이 너무 높은 경우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파이프(11)의 상측에 상부 파이프(12)를 삽입하여 전체적인 지지대(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선반용 결속장치(100)를 구성하는 밀착구(140)의 제4 관통부(142) 내경이 하부 파이프(11)의 외경에 맞게 제작된 경우 상부 파이프(12)의 외경은 하부 파이프(11)의 외경에 비해 축소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본 발명의 선반용 결속장치(100)를 구성하는 밀착구(140)의 제4 관통부(142)에 상부 파이프(12)가 끼워지면 상부 파이프(12)는 헐거워진 상태여서 조임구(150)와 밀착구(140)의 견고한 나사조립을 기대할 수 없다. 이에 상기 밀착구(140)의 제4 몸체(141)에 형성된 제4 관통부(142)에 삽입하여 내경을 축소하기 위해 내경 축소구(160)를 더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경 축소구(160)는 원통 형상의 제6 몸체(161)의 중앙에 상기 지지대(10)가 상하 수직으로 통과하는 제6 관통부(162)가 형성되는 구조로서, 상기 제6 관통부(162)는 상기 밀착구(140)의 제4 관통부(142)에 비해 내경이 축소됨은 당연하다.
이때, 상기 내경 축소구(160)의 제6 몸체(161)의 상단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걸림턱(163)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밀착구(140)의 제4 관통부(142)의 상측을 통해 내경 축소구(160)를 삽입시 걸림턱(163)이 상기 밀착구(140)의 제4 관통부(142)의 상단 테두리에 걸쳐지게 되어 내경 축소구(160)가 제4 관통부(142)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내경 축소구(160)는 전체적으로 상하 길이를 상기 밀착구(140)의 제4 몸체(141)의 길이만큼만 형성하거나 밀착구(140)의 제4 몸체(141)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형성된 구간에 해당하는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내경 축소구(160)를 결합한 상태의 밀착구(140)가 구비된 선반용 결속장치(100')는 외경이 축소된 지지대(10)의 상부 파이프(12)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측 지지구(110)의 제1 관통부(112)의 내경이 상측 지지구(130)의 제3 관통부(132)의 내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커서 그대로 사용하는 하측 지지구(110)의 제1 관통부(112)에 밀착구의 탄성날개(144)가 밀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상부 파이프(12)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중간 지지구(120)를 기준으로 하측 지지구(110)와 상측 지지구(130)의 위치를 바꾸어, 상측 지지구(130)와 중간 지지구(120) 및 하측 지지구(110)를 하측에서부터 차례대로 끼워 상측으로 적층한 상태에서 조임구(150)로 나사결합하면 상대적으로 내경이 축소된 상측 지지구(130)의 제3 관통부(132)에 밀착구(140)의 탄성날개(144)가 하부 파이프(11)에 비해 외경이 축소된 상부 파이프(12)의 외주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선반용 결속장치(100)는 지지대(10)의 하부 파이프(11)에 그대로 사용하고, 하부 파이프(11)에 비해 외경이 축소된 상부 파이프(12)에는 내경 축소구(160)를 적용한 선반용 결속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2개의 선반을 하나의 지지대(10)에 동시에 고정하는데 유리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10: 지지대 20: 선반
21: 본체프레임 22: 측면프레임
22a: 하측 수평프레임 22b: 상측 수평프레임
30: 바닥 받침구 40: 천장 받침구
100: 선반용 결속장치 110: 하측 지지구
111: 제1 몸체 114: 제1 선반 지지부
120: 중간 지지구 121: 제2 몸체
124: 제2 선반 지지부 130: 상측 지지구
131: 제3 몸체 134: 제3 선반 지지부
140: 밀착구 141: 제4 몸체
144: 탄성날개 145: 밀착부
150: 조임구 151: 제5 몸체
160: 내경 축소구 161: 제6 몸체
163: 걸림턱

Claims (6)

  1.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대(10)에 선반(20)을 고정하는 선반용 결속장치(100)에 있어서,
    중앙에 상기 지지대(10)가 상하 수직으로 통과하는 제1 관통부(112)가 형성되는 제1 몸체(111)의 일측에 제1 선반 지지부(114)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선반 지지부(114)의 상부에는 선반(20)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선반 메인지지홈(114a)이 형성되는 하측 지지구(110)와;
    상기 하측 지지구(110)의 상측에 구비되되 상기 지지대(10)가 상하 수직으로 통과하는 제2 관통부(122)가 형성되는 제2 몸체(121)의 일측에 제2 선반 지지부(124)가 일체로 구비되는 중간 지지구(120)와;
    상기 중간 지지구(120)의 상측에 구비되되 상기 지지대(10)가 상하 수직으로 통과하는 제3 관통부(132)가 형성되는 제3 몸체(131)의 일측에 제3 선반 지지부(134)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3 선반 지지부(134)의 하부에는 선반(20)을 지지하기 위한 제2 선반 메인지지홈(134a)이 형성되는 상측 지지구(130)와;
    상기 제1 내지 제3 관통부(112,122,132)에 삽입되며 수나사산(141a)이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4 몸체(141)의 중앙에 지지대(10)가 가이드되는 제4 관통부(142)가 형성되고 상기 제4 몸체(141)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탄성날개(144)가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되는 밀착구(140)와;
    상기 상측 지지구(130)의 상측에 구비되되 제5 몸체(151)의 중앙에 상기 지지대(10)가 상하 수직으로 통과하는 제5 관통부(152)가 형성되고 상기 제5 관통부(152)의 내주면에는 상기 밀착구(140)의 수나사산(141a)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152a)이 형성되는 조임구(1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결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지지구(110)는 상기 제1 몸체(111)의 일측에 수평하게 바(bar) 형상의 제1 선반 지지부(114)가 돌출되며, 상기 제1 선반 지지부(114)의 상부에는 제1 선반 메인지지홈(114a)이 일직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측 지지구(130)는 상기 제3 몸체(131)의 일측에 수평하게 바(bar) 형상의 제3 선반 지지부(134)가 돌출되고, 상기 제3 선반 지지부(134)의 하부에는 제2 선반 메인지지홈(134a)이 일직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 지지구(120)는 상기 제2 몸체(121)의 일측에 수평하게 바(bar) 형상의 제2 선반 지지부(124)가 돌출되고, 상기 제2 선반 지지부(124)의 하부에는 상기 하측 지지구(110)의 제1 선반 메인지지홈(114a)에 대응되는 제1 선반 보조지지홈(124a)이 일직선으로 더 형성되고, 상기 제2 선반 지지부(124)의 상부에는 상기 상측 지지구(130)에 형성된 제2 선반 메인지지홈(134a)에 대응되는 제2 선반 보조지지홈(124b)이 일직선으로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결속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지지구(110)는 상기 제1 관통부(112) 내주면에 상기 밀착구(140)의 탄성날개(144)의 외측면이 밀착 안내되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는 제1 경사면(112a)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 지지구(120)는 상기 제2 관통부(122)의 하측에 내주면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는 제2 경사면(122a)이 상기 하측 지지구(110)의 제1 관통부(112)에 형성된 제1 경사면(112a)과 연속되게 형성되며;
    상기 밀착구(140)의 탄성날개(144)는 상기 제4 몸체(141)의 하단에 연장되는 탄성부(144a)와, 상기 탄성부(144a)의 하단에 연장되어 외측으로 확장되는 날개부(144b)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날개(144) 내측면에는 상기 지지대(10)의 외주면에 밀착 가능하도록 밀착부(145)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날개(144)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측 지지구(110)의 제1 몸체(111)의 하면에 지지 가능한 지지턱(144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결속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구(150)는 원통 형상의 제5 몸체(151)의 중앙에 상기 지지대(10)가 상하 수직으로 통과하는 제5 관통부(152)가 형성되고, 상기 제5 관통부(152)의 내주면에는 상기 밀착구(140)의 수나사산(141a)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152a)이 형성되며, 상기 제5 몸체(151)의 외주면에는 손으로 잡고 돌리는 경우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 방지부(153)가 형성되며, 상기 제5 몸체(151)의 중앙 상단에는 상기 제5 관통부(152)에 비해 내경이 축소되어 지지대(10)가 통과하는 안내공(15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결속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구(140)의 제4 관통부(142)에는 내경을 축소하기 위해 내경 축소구(160)가 더 구비되며;
    상기 내경 축소구(160)는 원통 형상의 제6 몸체(161)의 중앙에 상기 제4 관통부(142)에 비해 내경이 축소된 제6 관통부(162)가 형성되고, 상기 제6 몸체(161)의 상단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상기 밀착구(140)의 제4 관통부(142)의 상단 테두리에 걸쳐지는 걸림턱(16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결속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20)은 바닥을 이루는 본체프레임(21)의 가장자리를 따라 측면프레임(22)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프레임(22)은 하측 및 상측 수평프레임(22a,22b)이 구비되고;
    상기 중간 지지구(120)의 제2 선반 지지부(124) 하부에는 상기 하측 지지구(110)의 제1 선반 메인지지홈(114a)에 대응되는 제1 선반 보조지지홈(124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선반 지지부(124)의 상부에는 상기 상측 지지구(130)에 형성된 제2 선반 메인지지홈(134a)에 대응되는 제2 선반 보조지지홈(124b)이 형성되며;
    상기 하측 수평프레임(22a)은 상기 하측 지지구(110)에 형성된 제1 선반 메인지지홈(114a)과 상기 중간 지지구(120)에 형성된 제1 선반 보조지지홈(124a)에 지지되며, 상기 상측 수평프레임(22b)은 상기 상측 지지구(130)에 형성된 제2 선반 메인지지홈(134a)과 상기 중간 지지구(120)에 형성된 제2 선반 보조지지홈(124b)에 지지되며;
    상기 중간 지지구(120)의 제2 선반 지지부(124)의 외측 하단 및 상단에는 선반(20)의 하측 및 상측 수평프레임(22a,22b)이 제1 및 제2 선반 보조지지홈(124a,124b)으로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경사안내면(124c,124d)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결속장치.
KR1020190099315A 2019-08-14 2019-08-14 선반용 결속장치 KR102083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315A KR102083127B1 (ko) 2019-08-14 2019-08-14 선반용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315A KR102083127B1 (ko) 2019-08-14 2019-08-14 선반용 결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127B1 true KR102083127B1 (ko) 2020-02-28

Family

ID=69638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315A KR102083127B1 (ko) 2019-08-14 2019-08-14 선반용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1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8642A (ko) * 2021-01-04 2022-07-12 김은하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836B1 (ko) 2003-06-11 2003-11-22 전영채 봉선반용 결속장치
KR20050122191A (ko) * 2005-12-12 2005-12-28 전영채 수납선반용 결속구
KR200420174Y1 (ko) * 2006-04-19 2006-06-28 주식회사 새샘 수납 선반용 고정구
KR100762916B1 (ko) 2007-06-27 2007-10-02 (주)영인정공 수납 선반용 결속장치
KR100909253B1 (ko) * 2008-09-09 2009-07-27 홍석범 수납용 선반의 연결구
KR20090013012U (ko) * 2008-06-17 2009-12-28 강혁 조립식 선반 설치용 홀더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836B1 (ko) 2003-06-11 2003-11-22 전영채 봉선반용 결속장치
KR20050122191A (ko) * 2005-12-12 2005-12-28 전영채 수납선반용 결속구
KR200420174Y1 (ko) * 2006-04-19 2006-06-28 주식회사 새샘 수납 선반용 고정구
KR100762916B1 (ko) 2007-06-27 2007-10-02 (주)영인정공 수납 선반용 결속장치
KR20090013012U (ko) * 2008-06-17 2009-12-28 강혁 조립식 선반 설치용 홀더
KR200449273Y1 (ko) * 2008-06-17 2010-07-01 강혁 조립식 선반 설치용 홀더
KR100909253B1 (ko) * 2008-09-09 2009-07-27 홍석범 수납용 선반의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8642A (ko) * 2021-01-04 2022-07-12 김은하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
KR102485310B1 (ko) * 2021-01-04 2023-01-04 김은하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7496B2 (en) Adjustable pole caddy
KR200380827Y1 (ko) 선반지지장치
US9254051B2 (en) Display system
US9693660B1 (en) Repositionable and adjustable baskets shelves and accessories
US9498058B2 (en) Closet storage assemblies, connectors, brackets and systems
KR102083127B1 (ko) 선반용 결속장치
KR101505001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체결 지주봉
KR100909253B1 (ko) 수납용 선반의 연결구
KR100813705B1 (ko) 지주 결합구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반장치
KR200420174Y1 (ko) 수납 선반용 고정구
US9958112B1 (en) Mounting system for holding items
US9677258B1 (en) System for mounting a sink
KR100766910B1 (ko) 개폐식 수납선반 고정클램프
CN212852897U (zh) 一种层板托架以及使用该层板托架的壁柜
KR101379281B1 (ko) 칸막이 설치용 클립
KR200461750Y1 (ko) 가구용 다리
KR100406836B1 (ko) 봉선반용 결속장치
KR101162580B1 (ko) 싱크대 다리
KR101088036B1 (ko) 싱크대 다리
KR200484207Y1 (ko) 행거부속물 거치용 홀더
KR200377296Y1 (ko) 조립식 다용도 선반
KR101854151B1 (ko) 선반 고정 장치
KR200449273Y1 (ko) 조립식 선반 설치용 홀더
SK285899B6 (sk) Profilová koľajnica a spojovací prvok, nosné zariadenie obsahujúce profilové koľajnice a spojovací prvok
KR200405611Y1 (ko) 개량된 봉선반용 결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