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310B1 -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 - Google Patents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310B1
KR102485310B1 KR1020210000584A KR20210000584A KR102485310B1 KR 102485310 B1 KR102485310 B1 KR 102485310B1 KR 1020210000584 A KR1020210000584 A KR 1020210000584A KR 20210000584 A KR20210000584 A KR 20210000584A KR 102485310 B1 KR102485310 B1 KR 102485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space
horizontal frame
water rescue
vertical frame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8642A (ko
Inventor
김은하
Original Assignee
김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하 filed Critical 김은하
Priority to KR1020210000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310B1/ko
Publication of KR20220098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6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comprising vertical members connected by horizontal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2011/023Accessories for diving arranged or for use outside the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는: 평면상 서로 이웃한 한 쌍의 방형 골격을 이루도록 구비된 하부 수평 프레임;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방형 골격의 모서리 부분 각각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하부 수직 프레임; 상기 하부 수직 프레임 각각에 조립 및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수직 프레임;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방형 골격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수난 구조복이 거꾸로 매달려 건조되는 제1 건조 공간의 상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 중 제1 건조 공간을 이루는 상부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제1 상부 수평 프레임;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방형 골격 중 다른 하나의 상부에 부력 재킷이 거꾸로 매달려 건조되는 제2 건조 공간의 상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 중 제2 건조 공간을 이루는 상부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제2 상부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제1 건조 공간과 제2 건조 공간의 상부 중심부를 가로질러 구비되도록 평면상 상기 제1 상부 수평 프레임과 제2 상부 수평 프레임 각각의 전방 측과 후방 측의 사이에 구비된 메인 행거 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수난구조용품 중 건식 수난 구조복, 부력 재킷이 각각 구획 분리되어 손쉽고 간편하게 거꾸로 매달린 상태에서 물 빠짐 및 건조가 이뤄지도록 할 수 있고, 호흡기, 게이지, 납 벨트, 수경, 스노클 장비, 오리발 등의 소형 장비들도 간편하게 거치 되어 효과적으로 물 빠짐 및 건조가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 {multifunctional smart drying stand for water rescue supplies}
본 발명은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난구조용품 중 건식 수난 구조복, 부력 재킷이 각각 구획 분리되어 손쉽고 간편하게 거꾸로 매달린 상태에서 물 빠짐 및 건조가 이뤄지도록 할 수 있고, 호흡기, 게이지, 납 벨트, 수경, 스노클 장비, 오리발 등의 소형 장비들도 간편하게 거치 되어 효과적으로 물 빠짐 및 건조가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 구조 현장 중 물과 관련된 수난 구조 현장에서는 소방관들이 잠수복과 같은 수난 구조복, 공기통을 착용하기 위한 부력 재킷, 호흡기, 납 벨트, 수경, 스노클, 오리발 등과 같은 각종 수난구조 장비들을 착용하고 구조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수난구조 장비들은 구조 작업 종료 후 소방관들이 그 착용 상태를 해체하고 일정한 장소에 매달거나 거치하여 수난구조용품들의 젖은 상태가 말려지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습식 수난 구조복이 아닌 건식 수난 구조복의 경우에도 더더욱 내부에 들어간 물이 외부로 완전히 빠져나가도록 하며 건조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일선 현장에서 상기한 수난구조용품들이 매달리거나 거치 되어 건조되도록 하는 건조대의 일 예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195694호(2000년07월01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건조대는 단순히 빨래를 널어 말릴 수 있는 구조로만 되어 있기 때문에 수난 구조복이나 부력 재킷, 호흡기, 게이지, 납 벨트, 수경, 스노클, 오리발 등과 같은 비교적 무거운 수난구조용품들을 매달거나 거치하기가 곤란해 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건조대에 수난구조용품들을 단순히 널어 말리더라도 내부의 물기는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고 건조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195694호(2000년07월01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난구조용품 중 건식 수난 구조복, 부력 재킷이 각각 구획 분리되어 손쉽고 간편하게 거꾸로 매달린 상태에서 물 빠짐 및 건조가 이뤄지도록 할 수 있고, 호흡기, 게이지, 납 벨트, 수경, 스노클 장비, 오리발 등의 소형 장비들도 간편하게 거치 되어 효과적으로 물 빠짐 및 건조가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는: 평면상 서로 이웃한 한 쌍의 방형 골격을 이루도록 구비된 하부 수평 프레임;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방형 골격의 모서리 부분 각각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하부 수직 프레임; 상기 하부 수직 프레임 각각에 조립 및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수직 프레임;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방형 골격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수난 구조복이 거꾸로 매달려 건조되는 제1 건조 공간의 상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 중 제1 건조 공간을 이루는 상부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제1 상부 수평 프레임;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방형 골격 중 다른 하나의 상부에 부력 재킷이 거꾸로 매달려 건조되는 제2 건조 공간의 상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 중 제2 건조 공간을 이루는 상부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제2 상부 수평 프레임; 및, 상기 제1 건조 공간과 제2 건조 공간의 상부 중심부를 가로질러 구비되도록 평면상 상기 제1 상부 수평 프레임과 제2 상부 수평 프레임 각각의 전방 측과 후방 측의 사이에 구비된 메인 행거 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망체의 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되며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으로부터 상부로 이격 되게 상기 하부 수직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수평으로 구비되어 납 벨트가 거치 된 상태로 건조되게 하는 제1 그물망과, 스테인리스 재질로 망체의 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건조 공간을 상하로 분할하도록 상기 제2 건조 공간의 하부 수직 프레임 및 상부 수직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수평으로 구비되어 수경 또는 스노클 장비들이 거치 된 상태로 건조되게 하는 제2 그물망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건조 공간 및 제2 건조 공간은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상기 제1 건조 공간 및 제2 건조 공간이 서로 맞닿은 부분에 구비된 상기 하부 수직 프레임 및 상부 수직 프레임은 상호 회동 절첩 가능하게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난구조용품 중 건식 수난 구조복, 부력 재킷이 각각 구획 분리되어 손쉽고 간편하게 거꾸로 매달린 상태에서 물 빠짐 및 건조가 이뤄지도록 할 수 있고, 호흡기, 게이지, 납 벨트, 수경, 스노클 장비, 오리발 등의 소형 장비들도 간편하게 거치 되어 효과적으로 물 빠짐 및 건조가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 행거 축에 신발 삽입 굴곡부가 형성된 것과 신발 삽입 굴곡부에 반데르발스 접착부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의 제1 건조 공간과 제2 건조 공간이 상호 회동 절첩 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의 제1 건조 공간에서 건조되는 수난 구조복의 내부가 열풍 건조 스틱에 의해 건조되는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열풍 건조 스틱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 서로 이웃한 한 쌍의 방형 골격을 이루도록 구비된 하부 수평 프레임(100)과, 하부 수평 프레임(100)에 의해 형성된 방형 골격의 모서리 부분 각각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하부 수직 프레임(200)과, 하부 수직 프레임(200) 각각에 조립 및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수직 프레임(300)과, 제1 상부 수평 프레임(400)과, 제2 상부 수평 프레임(500)과, 메인 행거 축(600)을 포함한다.
하부 수평 프레임(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의 후술할 제1 건조 공간(101)과 제2 건조 공간(102)의 하부를 각각 구성하도록 총 8개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제1 건조 공간(101)과 제2 건조 공간(102)은 각각 장방형의 하부를 갖도록 이들 중 4개는 장 변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4개는 단 변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수평 프레임(100)의 하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의 이동 설치가 간편해지도록 하부 수직 프레임(200)이 구비된 위치에 대응되게 이동 바퀴(110)들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수직 프레임(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수직 프레임(300)과 후술할 제1 그물망(210), 제2 그물망(220)과의 조립 및 높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판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높이 조절공(201)들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다.
상부 수직 프레임(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수직 프레임(200)과의 조립 및 높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하부에 높이 조절 볼트(103)가 조임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높이 조절 볼트(103)가 높이 조절공(201)들 중 어느 하나로 끼워져 조임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하부 수직 프레임(200)에 조립되는 상부 수직 프레임(300)의 높이가 간편하게 조절되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의 전체적인 높이가 대략 2 m 이내에서 다양하게 조절되어 조립되도록 할 수 있고, 분해 해체시에도 높이 조절 볼트(103)의 조임 상태를 간편하게 풀어주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수직 프레임(200)과 상부 수직 프레임(300)은, 제1 건조 공간(101)과 제2 건조 공간(102)에 각각 수난 구조복(10)들과 부력 재킷(20)들이 물을 머금은 채로 거꾸로 매달리더라도 전복되거나 분리 해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단면 계수를 갖는 형상이면 되고, 사각 파이프 또는 원형 파이프 등 다양한 형태의 단면을 갖는 파이프 부재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건조 공간(101) 및 제2 건조 공간(102)은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제1 건조 공간(101) 및 제2 건조 공간(102)이 서로 맞닿은 부분에 구비된 하부 수직 프레임(200) 및 상부 수직 프레임(300)은 상호 회동 절첩 가능하게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의 보관 또는 운반시 대략 2 m 이상의 폭을 갖는 건조대를 간편하게 절반으로 접어서 건조대가 차지하는 공간을 크게 최소화하여 건조대의 보관 또는 운반이 편리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건조 공간(101) 및 제2 건조 공간(102)이 서로 맞닿은 부분에서 후방에 구비된 상부 수직 프레임(300)과 하부 수직 프레임(200)의 사이에는 경첩을 포함하는 회동 힌지(310)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상부 수평 프레임(4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수평 프레임(100)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방형 골격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수난 구조복(10)이 거꾸로 매달려 건조되는 제1 건조 공간(101)의 상부를 형성하도록 상부 수직 프레임(300) 중 제1 건조 공간(101)을 이루는 상부 수직 프레임(300)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된다.
수난 구조복(10)은 장화의 기능을 갖는 신발과 잠수복 바지 및 상부 잠수복이 모두 일체로 형성된 건식 수난 구조복으로서, 구조자가 중간 부분을 통해 몸을 넣어 착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건조 공간(101)을 이루는 전방과 후방의 제1 상부 수평 프레임(400)의 사이에는 정면상과 평면상으로 모두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 행거 축(410)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난 구조복(10)의 신발 부분을 메인 행거 축(600)과 경사 행거 축(410)의 사이로 끼워 넣어 수난 구조복(10)이 거꾸로 매달린 상태로 제1 건조 공간(101) 내에서 물 빠짐과 함께 건조가 원활히 이뤄지도록 할 수 있고, 경사 행거 축(410)이 정면과 평면상으로 모두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수난 구조복(10)이 거꾸로 매달린 상태에서 수난 구조복(10)의 신발 부분을 메인 행거 축(600)과 경사 행거 축(410)의 사이로 끼워 넣어 배치하는 과정이 손쉽고 편리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행거 축(410)은 제1 건조 공간(101)의 상부에서 평면상 메인 행거 축(600)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건조 공간(10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다수의 수난 구조복(10)들을 거꾸로 매달아 놓고 효과적으로 한꺼번에 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에 의하면, 제1 건조 공간(101)의 전방에 한 쌍, 후방에 한 쌍, 이렇게 총 4벌의 수난 구조복(10)들이 한꺼번에 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행거 축(410)은 일측이 제1 상부 수평 프레임(400)에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타측이 높이 조절에 의해 경사 각도가 조절될 수 있게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경사 행거 축(410)의 경사진 각도가 조절될 수 있게 구비됨으로써, 수난 구조복(10)의 종류와 신발 부분의 사이즈에 따라서 용이하게 조절되어 수난 구조복(10)이 맞춤식으로 좀더 간편하게 거꾸로 매달리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행거 축(410)에는 건조되는 수난 구조복(10)의 신발 부분의 형상에 대응되게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을 갖도록 굴곡지게 신발 삽입 굴곡부(420)가 복수 개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경사 행거 축(410)과 메인 행거 축(600)의 사이로 수난 구조복(10)의 신발 부분을 끼워 넣어 걸 때에 신발 삽입 굴곡부(420)에 신발 부분이 안착 되도록 하여 수난 구조복(10)을 거꾸로 매다는 과정이 보다 편리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행거 축(410)의 신발 삽입 굴곡부(420)에서 신발 부분과 접촉되는 표면에는 반데르발스 접착부(421)가 구비되어 수난 구조복(10)의 신발 부분이 탈부착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데르발스 접착부(421)는 신발 삽입 굴곡부(420)와 신발 부분의 사이에 강력한 반데르발스(van der Waals) 접착력이 작용하도록 길이 대략 10 μm, 직경 대략 5 μm 정도로 탄소나노공정 처리된 복수의 강모(剛毛)들로 신발 삽입 굴곡부(420)의 표면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반데르발스 접착부(421)에 의해 신발 삽입 굴곡부(420)와 수난 구조복(10)의 신발 부분의 사이에 반데르발스 접착력이 강하게 작용 되도록 하여 경사 행거 축(410)과 메인 행거 축(600)의 사이로 끼워 넣은 수난 구조복(10)의 신발 부분이 자중에 의해 쉽게 빠져나와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상부 수평 프레임(5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수평 프레임(100)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방형 골격 중 다른 하나의 상부에 부력 재킷(20)이 거꾸로 매달려 건조되는 제2 건조 공간(102)의 상부를 형성하도록 상부 수직 프레임(300) 중 제2 건조 공간(102)을 이루는 상부 수직 프레임(300)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된다.
메인 행거 축(6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건조 공간(101)과 제2 건조 공간(102)의 상부 중심부를 가로질러 구비되도록 평면상 제1 상부 수평 프레임(400)과 제2 상부 수평 프레임(500) 각각의 전방 측과 후방 측의 사이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수난구조용품 중 수난 구조복(10), 부력 재킷(20)이 각각 구획 분리되어 손쉽고 간편하게 거꾸로 매달린 상태에서 물 빠짐 및 건조가 이뤄지도록 할 수 있고, 호흡기, 게이지, 납 벨트, 수경, 스노클 장비, 오리발 등의 소형 장비들도 간편하게 거치 되어 효과적으로 물 빠짐 및 건조가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행거 축(600)에서 제2 건조 공간(102)의 상부로 연장된 부분에는 부력 재킷(20)이 거꾸로 매달리는 재킷 행거(610)가 걸리도록 구비된다.
재킷 행거(6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서 상부로 길게 연장되어 메인 행거 축(600)에 걸리게 되는 중심 걸이부와, 부력 재킷(20)의 허리 벨트 부분이 거꾸로 매달린 상태를 잡아주도록 중심 걸이부의 주위로 방사상 연장되어 하부로 절곡 되었다가 상부로 다시 만곡 형성된 다수의 요대 걸이부(611)들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재킷 행거(610)의 요대 걸이부(611)에 의해 부력 재킷(20)이 거꾸로 손쉽게 매달려 제2 건조 공간(102) 내에서 용이하게 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요대 걸이부(611)는 중심 걸이부에서 연장되는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어 부력 재킷(20)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서 재킷 행거(610)의 전체 폭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력 재킷(20)은 수난 구조복(10)의 바깥으로 구조자가 착용하여 공기통의 원활한 결착 및 구조자가 수면에 장시간 떠 있게 하는 중요한 수난구조용품이다.
따라서, 부력 재킷(20)은 잠수 활동으로 인해 호스와 같은 공기 주입 및 배출구로 물이 쉽게 들어가게 될 수 있어 보통의 건조 방식으로는 내부로 유입된 물을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거꾸로 매달아 부력 재킷(20)의 공기 주입 및 배출구가 아래로 처지게 하여 물을 빼내며 건조시켜야 한다.
한편,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행거 축(600)에서 제2 건조 공간(102)의 상부로 연장된 부분에는 재킷 행거(610)가 쉽게 걸릴 수 있도록 외주면에서 함몰되게 행거 걸이부(62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행거 걸이부(620)에도 별도의 반데르발스 접착부가 구비되어 재킷 행거(610)의 걸림 시 강력한 반데르발스 접착력에 의해 재킷 행거(610)가 부력 재킷(20)이 매달린 상태에서도 쉽게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 재질로 망체의 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되며 하부 수평 프레임(100)으로부터 상부로 이격 되게 하부 수직 프레임(200)에 착탈 가능하게 수평으로 구비되어 호흡기, 게이지, 납 벨트 등이 거치 된 상태로 건조되게 하는 제1 그물망(210)과, 스테인리스 재질로 망체의 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되며 제2 건조 공간(102)을 상하로 분할하도록 제2 건조 공간(102)의 하부 수직 프레임(200) 및 상부 수직 프레임(300)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수평으로 구비되어 수경 또는 스노클(snorkel) 장비들이 거치 된 상태로 건조되게 하는 제2 그물망(22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그물망(210)과 제2 그물망(220)에 다양한 종류의 소형 장비들도 간편하게 거치 되어 효과적으로 물 빠짐 및 건조가 이뤄지도록 할 수 있고, 제1 그물망(210)과 제2 그물망(220)의 재질이 스테인리스 재질로 마련되어 거치 되는 소형 장비들의 수분에 의해 녹이 슬게 되는 현상도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그물망(220)의 하부에는 오리발을 걸어두어 건조할 수 있도록 다수의 오리발 걸이(221)들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제1 그물망(210)과 제2 그물망(220)은 모두 하부 수직 프레임(2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높이가 조절가능하게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그물망(210)과 제2 그물망(220)에도 높이 조절 볼트(103)가 하부 수직 프레임(200)의 높이 조절공(201)으로 끼워져 제1 그물망(210)과 제2 그물망(220)의 높이가 조절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제1 그물망(210)은 바닥에서 대략 10 cm 정도로 이격 되는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2 그물망(220)의 높이를 충분히 높여준다면 오리발 걸이(221)에 오리발 외에도 긴 길이를 갖는 호스를 포함하는 호흡기와 같은 용품들도 걸어두어 효과적으로 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수직 프레임(200)에는 제1 그물망(210)과 제2 그물망(22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보조 걸이대(230)가 수평으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걸이대(230)에 다른 종류의 소형 수난구조용품들이 손쉽게 매달려 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를 이루는 하부 수직 프레임(200), 상부 수직 프레임(300), 하부 수평 프레임(100), 제1 상부 수평 프레임(400), 제2 상부 수평 프레임(500), 메인 행거 축(600) 등 모든 구성 부품들도 매달리거나 거치 되는 수난구조용품들의 수분에 의해 녹슬지 않도록 스테인리스 재질로 마련되거나 알루미늄 도금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건조 공간(101)에 거꾸로 매달려 건조되는 수난 구조복(10)의 내부에는 열풍 건조 스틱(700)이 삽입되도록 하여 열풍 건조 스틱(700)에 의해 더욱 효과적으로 건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열풍 건조 스틱(7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지팡이의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부에 만곡 형성되어 메인 행거 축(600)에 걸려 결합되는 스틱 걸이부(710)와, 상측에 형성된 다수의 외기 흡입공(720)과, 외기 흡입공(720)의 하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형성된 다수의 열풍 배출공(730)과, 내부 일측에 구비된 소형 히터(740)와, 소형 히터(740)에 연결되어 스틱의 내부로 연장된 열선(741)과, 내부 타측에 구비된 소형 송풍기(75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건조 공간(101)에 거꾸로 매달린 수난 구조복(10)의 내부로 열풍 건조 스틱(700)이 삽입되도록 스틱 걸이부(710)는 메인 행거 축(600)에 걸리도록 하고 스틱의 몸체 부분은 수난 구조복(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 후, 소형 히터(740)와 소형 송풍기(750)가 작동되도록 하여 수난 구조복(10)의 내부가 열풍으로 보다 손쉽고 신속하게 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 건조 스틱(700)의 내부에는 외부의 리모콘(800)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신호를 주고 받으며 리모콘(800)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전달받아 소형 히터(740)와 소형 송풍기(750)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통신모듈(미도시)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하부 수평 프레임 101 : 제1 건조 공간
102 : 제2 건조 공간 103 : 높이 조절 볼트
200 : 하부 수직 프레임 201 : 높이 조절공
210 : 제1 그물망 220 : 제2 그물망
221 : 오리발 걸이 300 : 상부 수직 프레임
310 : 회동 힌지 400 : 제1 상부 수평 프레임
410 : 경사 행거 축 420 : 신발 삽입 굴곡부
500 : 제2 상부 수평 프레임 600 : 메인 행거 축
610 : 재킷 행거 611 : 요대 걸이부
620 : 행거 걸이부 700 : 열풍 건조 스틱
710 : 스틱 걸이부 720 : 외기 흡입공
730 : 열풍 배출공 740 : 소형 히터
741 : 열선 750 : 소형 송풍기
800 : 리모콘

Claims (3)

  1. 평면상 서로 이웃한 한 쌍의 방형 골격을 이루도록 구비된 하부 수평 프레임(100);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100)에 의해 형성된 방형 골격의 모서리 부분 각각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하부 수직 프레임(200);
    상기 하부 수직 프레임(200) 각각에 조립 및 높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수직 프레임(300);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100)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방형 골격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수난 구조복(10)이 거꾸로 매달려 건조되는 제1 건조 공간(101)의 상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300) 중 제1 건조 공간(101)을 이루는 상부 수직 프레임(300)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제1 상부 수평 프레임(400);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100)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방형 골격 중 다른 하나의 상부에 부력 재킷(20)이 거꾸로 매달려 건조되는 제2 건조 공간(102)의 상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 수직 프레임(300) 중 제2 건조 공간(102)을 이루는 상부 수직 프레임(300)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제2 상부 수평 프레임(500); 및
    상기 제1 건조 공간(101)과 제2 건조 공간(102)의 상부 중심부를 가로질러 구비되도록 평면상 상기 제1 상부 수평 프레임(400)과 제2 상부 수평 프레임(500) 각각의 전방 측과 후방 측의 사이에 구비된 메인 행거 축(600);
    을 포함하고,
    스테인리스 재질로 망체의 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되며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100)으로부터 상부로 이격 되게 상기 하부 수직 프레임(200)에 착탈 가능하게 수평으로 구비되어 납 벨트가 거치 된 상태로 건조되게 하는 제1 그물망(210)과, 스테인리스 재질로 망체의 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2 건조 공간(102)을 상하로 분할하도록 상기 제2 건조 공간(102)의 하부 수직 프레임(200) 및 상부 수직 프레임(300)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수평으로 구비되어 수경 또는 스노클 장비들이 거치 된 상태로 건조되게 하는 제2 그물망(2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건조 공간(101) 및 제2 건조 공간(102)은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상기 제1 건조 공간(101) 및 제2 건조 공간(102)이 서로 맞닿은 부분에 구비된 상기 하부 수직 프레임(200) 및 상부 수직 프레임(300)은 상호 회동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건조 공간(101)을 이루는 전방과 후방의 상기 제1 상부 수평 프레임(400)의 사이에는 정면상과 평면상으로 모두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 행거 축(410)이 구비되며, 상기 경사 행거 축(410)은 상기 제1 건조 공간(101)의 상부에서 평면상 상기 메인 행거 축(600)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경사 행거 축(410)은 일측이 상기 제1 상부 수평 프레임(400)에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타측이 높이 조절에 의해 경사 각도가 조절될 수 있게 구비되며, 상기 경사 행거 축(410)에는 건조되는 수난 구조복(10)의 신발 부분의 형상에 대응되게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을 갖도록 굴곡지게 신발 삽입 굴곡부(420)가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 행거 축(410)의 상기 신발 삽입 굴곡부(420)에서 신발 부분과 접촉되는 표면에는 반데르발스 접착부(421)가 구비되어 수난 구조복(10)의 신발 부분이 탈부착 되도록 하되, 상기 반데르발스 접착부(421)는 상기 신발 삽입 굴곡부(420)와 신발 부분의 사이에 반데르발스 접착력이 작용하도록 길이 10 μm, 직경 5 μm로 탄소나노공정 처리된 복수의 강모(剛毛)들로 상기 신발 삽입 굴곡부(420)의 표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

  2. 삭제
  3. 삭제
KR1020210000584A 2021-01-04 2021-01-04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 KR102485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584A KR102485310B1 (ko) 2021-01-04 2021-01-04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584A KR102485310B1 (ko) 2021-01-04 2021-01-04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642A KR20220098642A (ko) 2022-07-12
KR102485310B1 true KR102485310B1 (ko) 2023-01-04

Family

ID=82419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584A KR102485310B1 (ko) 2021-01-04 2021-01-04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3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305B1 (ko) 2022-08-30 2024-02-05 이정호 폴더블 슬림 행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511B1 (ko) * 2013-02-08 2014-06-24 한석만 오징어 건조장치
KR200484730Y1 (ko) * 2017-07-11 2017-10-19 이태섭 과메기 건조대
KR102083127B1 (ko) * 2019-08-14 2020-02-28 박무정 선반용 결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3338U (ko) * 1997-12-05 1999-07-05 전경환 건조대
KR200195694Y1 (ko) 1998-07-16 2000-11-01 이재섭 절첩식 건조대의 프레임 및 걸이봉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511B1 (ko) * 2013-02-08 2014-06-24 한석만 오징어 건조장치
KR200484730Y1 (ko) * 2017-07-11 2017-10-19 이태섭 과메기 건조대
KR102083127B1 (ko) * 2019-08-14 2020-02-28 박무정 선반용 결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642A (ko) 202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4145B1 (en) Hanger for a flak vest
US20070221691A1 (en) Bootyhook sporting goods hanger
KR102485310B1 (ko) 다기능 스마트 수난구조용품 건조대
US7588254B2 (en) Sports equipment bag with integral drying rack
CA2121223A1 (en) Sports equipment rack
US20150176899A1 (en) Apparatus for drying sporting equipment
US8789729B2 (en) Pole-mounted garment hanger air dryer
US20130264162A1 (en) Piece of luggage, in particular suitcase
US20170045295A1 (en) Sports equipment rack with odor mitigating enclosure
US7246463B1 (en) Christmas tree support assembly
US7374070B2 (en) Device for hanging and storing undergarments and method therefor
US2197427A (en) Camper's pack
AU2013100680B4 (en) Laundry / hamper hangers
US5950882A (en) Hanging garment dryer
NO326979B1 (no) Sammenleggbar hengeseng
US20070080181A1 (en) Boot hanger
CN108992876A (zh) 用于包的带组件和制造具有带组件的包的方法
US5575219A (en) Clothes basket combination
US6842920B1 (en) Arched hammock stand
KR200458127Y1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의 절첩구조
US20020124873A1 (en) Equipment rinsing frame for self-contained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
CN109663248B (zh) 一种船舶消防员装备存放机构
CN208875956U (zh) 一种浴室更衣架
US980219A (en) Garment-hanger.
US890554A (en) Collapsible wardro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