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830B1 - 다단 파이프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다단 파이프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830B1
KR101794830B1 KR1020150158319A KR20150158319A KR101794830B1 KR 101794830 B1 KR101794830 B1 KR 101794830B1 KR 1020150158319 A KR1020150158319 A KR 1020150158319A KR 20150158319 A KR20150158319 A KR 20150158319A KR 101794830 B1 KR101794830 B1 KR 101794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iameter
diameter pipe
fixed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8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5303A (ko
Inventor
손미란
Original Assignee
손미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미란 filed Critical 손미란
Priority to KR1020150158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830B1/ko
Publication of KR20170055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00Sticks with supporting, hanging or carr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 파이프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대구경의 파이프에 소구경의 파이프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이를 펼쳐서 고정하도록 할 때 고정 및 해제가 용이하면서도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대구경 파이프의 내경에 소구경 파이프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다단의 파이프가 삽입되도록 하고 소구경 파이프를 일부를 제외하고 인출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다단 파이프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소구경 파이프의 대구경 파이프에 삽입되는 일단은 내경에서 외경으로 관통된 관통홀과 버튼홀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소구경 파이프의 일측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소구경 파이프의 내경면 방향으로 가압되며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관통하여 외경면에 돌출되는 고정훅과,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홀을 관통하여 고정훅 보다 크고 더욱 돌출되는 버튼을 구비하는 누름부재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대구경 파이프의 소구경 파이프가 삽입되는 일단에 삽입 고정되고,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내경이 단턱지게 축소되는 걸림단턱부와, 상기 걸림단턱부와 인접하여 내주면을 따라 대구경 파이프의 내경보다 크게 단턱지게 함몰되어 상기 고정훅이 안착되는 고정훅 안착부를 구비하는 마감플렌지와;
일단은 상기 걸림단턱부와 인접한 내경에 외경이 밀착되고 타측은 상기 대구경 파이프의 내경과 동일하도록 내경이 단턱지게 축소되는 단턱부를 구비하여 걸림단턱부와 사이에 고정훅 안착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보조플렌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파이프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단 파이프 고정구조{The fixing struture of a multi-step foldable pipe}
본 발명은 다단 파이프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대구경의 파이프에 소구경의 파이프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필요에 따라 이를 펼쳐서 고정하도록 할 때 고정 및 해제가 용이하면서도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다단 파이프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길게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관경이 다른 여러 개의 파이프를 순차적으로 삽입하고 이를 인출하여 고정하는 절첩식 방식과 여러 개의 파이프를 끝단을 서로 조립하여 사용하는 분리형 방식의 두 가지가 대표적이다.
분리형 방식의 경우 분리하면 길이가 짧아져 긴 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며 연결방식에 따라 견고한 연결이 가능하다는 특성이 있으나 부피에서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아 보관 및 휴대성에서는 한계가 있다.
반면에 절첩식 방식의 경우 길이뿐만 아니라 부피도 대폭 줄어들어 보관 및 휴대에 매우 용이하지만 대부분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절첩식에서의 고정방식은 예전 안테나와 낚시대에서 볼 수 있는 대구경의 파이프에 삽입된 소구경의 파이프가 인출되면서 점차 외경이 확장되어 고정되는 방식이 있는대 이 경우 외력에 의하여 다시 접히는 경우가 많아 길이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부분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대구경 파이프 끝단에 나사산에 의하여 결합하는 한 쌍의 플렌지를 두어 외부의 플렌지를 회전하면 내부의 플렌지가 소구경 파이프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방식의 경우 고정하는 과정이 번거로우며 구성이 복잡하고 많이 사용할 경우 헐거워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내부의 스프링에 의하여 돌출되는 훅이 대구경의 파이프의 홈에 삽입되어 걸리는 방식이 있으나 이 경우 약간만 회전하여도 어긋나 고정되지 않으며, 우산과 같이 버튼 혹은 훅에 대구경의 파이프 하단에 걸려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방식은 버튼이 대구경의 파이프 하단과 밀착된 상태로 버튼을 누르기 불편하고 헐거워 유동이 심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을 가지도록 하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면서 사용이 용이한 다단 파이프 고정구조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150482-0000호 (2012년05월21일)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65544-0000호 (2013년02월19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325560-0000호 (2013년10월30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329279-0000호 (2013년11월07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472658-0000호 (2014년12월08일)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훅을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하면서 고정 및 해제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대구경의 파이프의 내부로 소구경의 파이프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절첩되는 다단 파이프 고정구조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구경 파이프의 내경에 소구경 파이프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다단의 파이프가 삽입되도록 하고 소구경 파이프를 일부를 제외하고 인출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다단 파이프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소구경 파이프의 대구경 파이프에 삽입되는 일단은 내경에서 외경으로 관통된 관통홀과 버튼홀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소구경 파이프의 일측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소구경 파이프의 내경면 방향으로 가압되며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관통하여 외경면에 돌출되는 고정훅과,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홀을 관통하여 고정훅 보다 크고 더욱 돌출되는 버튼을 구비하는 누름부재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대구경 파이프의 소구경 파이프가 삽입되는 일단에 삽입 고정되고,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내경이 단턱지게 축소되는 걸림단턱부와, 상기 걸림단턱부와 인접하여 내주면을 따라 대구경 파이프의 내경보다 크게 단턱지게 함몰되어 상기 고정훅이 안착되는 고정훅 안착부를 구비하는 마감플렌지와;
일단은 상기 걸림단턱부와 인접한 내경에 외경이 밀착되고 타측은 상기 대구경 파이프의 내경과 동일하도록 내경이 단턱지게 축소되는 단턱부를 구비하여 걸림단턱부와 사이에 고정훅 안착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보조플렌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보조플렌지는 단턱부의 상부로 연장되어 대구경파이프의 외경과 내경이 억지끼움 고정되는 보강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마감플렌지는 상기 보조플렌지의 외경에 상응하여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일측은 상기 대구경 파이프의 내경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결합되는 소구경 파이프의 내경면에 고정되어 소구경 파이프가 인출되어 고정될 때 소구경 파이프가 대구경 파이프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는 탄성와이어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훅에 의하여 소구경 파이프가 대구경 파이프에 고정되도록 삽입되는 고정훅은 대구경 파이프에 장착되는 마감플렌지의 내측 내경면을 따라 형성되는 안착홈에 삽입되도록 하여 파이프 상호 간의 회전에도 안정된 고정이 이루어지면서, 고정축과 연결되는 별도의 버튼을 구비하여 고정하고 해제 및 절첩하는 과정이 보다 안전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될 등산 스틱과 고정대를 나타낸 사시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대구경 파이프(11)의 내경에 소구경 파이프(12)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다단의 파이프가 삽입되도록 하고 소구경 파이프(12)를 일부를 제외하고 인출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수단(2)을 구비하는 다단 파이프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소구경 파이프(12)의 대구경 파이프(11)에 삽입되는 일단은 내경에서 외경으로 관통된 관통홀(121)과 버튼홀(122)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2)은 소구경 파이프(12)의 일측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부재(21)와;
상기 탄성부재(21)에 의하여 소구경 파이프(12)의 내경면 방향으로 가압되며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관통홀(121)을 관통하여 외경면에 돌출되는 고정훅(221)과,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홀(122)을 관통하여 고정훅(221) 보다 크고 더욱 돌출되는 버튼(222)을 구비하는 누름부재(22)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대구경 파이프(11)의 소구경 파이프(12)가 삽입되는 일단에 삽입 고정되고,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내경이 단턱지게 축소되는 걸림단턱부(231)와, 상기 걸림단턱부(231)와 인접하여 내주면을 따라 대구경 파이프(11)의 내경보다 크게 단턱지게 함몰되어 상기 고정훅(221)이 안착되는 고정훅 안착부(232)를 구비하는 마감플렌지(2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파이프 고정구조를 나타내었다.
이때 본원에서의 대구경 파이프(11)는 다른 파이프(1)의 소구경 파이프가 될 수도 있고, 소구경 파이프(12)도 다른 파이프(1)의 대구경 파이프가 될 수 있다.
먼저 종래 기술에서 본원과 같은 고정훅(221)에 의하여 대구경 파이프(11)에 소구경 파이프(12)가 고정되는 구조는 대구경 파이프(11)에 고정훅(221)이 삽입될 수 있는 홀을 형성하여 고정되도록 하고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약간만 회전하여도 고정훅(221)과 홀이 어긋나 고정되지 않는 단점이 있어 우산에 적용될 경우에는 파이프가 육각이나 팔각 단면을 가지도록 하여 회전을 방지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원은 마감플렌지(23)에 의하여 링 형상으로 고정훅 안착부(232)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회전을 하더라도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원의 마감플렌지(24)는 걸림단턱부(241)와 대구경파이프(11)의 끝단을 이격시켜 고정훅 안착부(232)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걸림단턱부(241)에 고정훅 안착부(232)를 형성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구조는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강한 구조로 상기 관통홀(121)은 사각형의 홀로 형성하고 고정훅(221)을 사각기둥 형상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버튼(222)은 마감플렌지(23)와 이격되어 우산과 같이 밀착되어 누름이 불편하거나 사용 중 다칠 우려가 없으며 버튼(222)을 누르면 고정훅(221)은 고정훅 안착부(232)에서 이탈하게 되고 소구경 파이프(12)는 대구경 파이프(11)의 내경면으로 삽입되고 최종적으로 버튼(222)도 대구경 파이프(12)의 내경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접는 과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버튼(222)의 돌출된 끝단은 라운드 처리를 하거나 대구경 파이프(11) 방향으로 경사면을 두어 버튼(222)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수단(2)은 일단은 상기 걸림단턱부(231)와 인접한 내경에 외경이 밀착되고 타측은 상기 대구경 파이프(11)의 내경과 동일하도록 내경이 단턱지게 축소되는 단턱부(241)를 구비하여 걸림단턱부(231)와 사이에 고정훅 안착부(232)가 형성되도록 하는 보조플렌지(24)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에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상기 보조플렌지(24)는 단턱부(241)의 상부로 연장되어 대구경파이프(11)의 외경과 내경이 억지끼움 고정되는 보강부(242)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마감플렌지(23)는 상기 보조플렌지(24)의 외경에 상응하여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보조플렌지(24)를 대구경 파이프(11)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된 실시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로서, 일측은 상기 대구경 파이프(11)의 내경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결합되는 소구경 파이프(12)의 내경면에 고정되어 소구경 파이프(12)가 인출되어 고정될 때 소구경 파이프(12)가 대구경 파이프(1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는 탄성와이어(25)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사용자가 소구경 파이프(12)를 너무 강하게 당길 경우 고정훅(221)이 고정훅 안착부(232)에 안착될 사이가 없이 이탈될 우려가 있는 것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와이어(25)를 이용하여 이탈을 방지하고 복원력에 의하여 다시 소구경 파이프(12)가 삽입되면서 고정훅(221)이 고정훅 안착부(232)에 안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될 등산 스틱과 고정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원의 다단 파이프 고정구조는 길이방향의 압력에 고정력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등산 스틱(3)에 적용할 수 있으며, 텐트의 지주역할을 하는 고정대(4)로의 사용도 가능하다.
특히 등산 스틱(3)의 경우 이러한 길이 방향의 힘을 많이 받는 것으로 단일의 파이프로 이용하거나 여러 개의 파이프 끝단으로 서로 조립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길이의 문제 및 부피의 문제가 있었으나 최소한의 부피로 보관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1 : 파이프
11 : 대구경 파이프
12 : 소구경 파이프
121 : 관통홀 122 : 버튼홀
2 : 고정수단
21 : 탄성부재
22 : 누름부재
221 : 고정훅 222 : 버튼
23 : 마감플렌지
231 : 걸림단턱부 232 : 고정훅 안착부
24 : 보조플렌지
241 : 단턱부 242 : 보강부
25 : 탄성와이어
3 : 등산 스틱
4 : 고정대

Claims (4)

  1. 삭제
  2. 대구경 파이프(11)의 내경에 소구경 파이프(12)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다단의 파이프가 삽입되도록 하고 소구경 파이프(12)를 일부를 제외하고 인출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수단(2)을 구비하는 다단 파이프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소구경 파이프(12)의 대구경 파이프(11)에 삽입되는 일단은 내경에서 외경으로 관통된 관통홀(121)과 버튼홀(122)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2)은 소구경 파이프(12)의 일측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부재(21)와;
    상기 탄성부재(21)에 의하여 소구경 파이프(12)의 내경면 방향으로 가압되며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관통홀(121)을 관통하여 외경면에 돌출되는 고정훅(221)과,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홀(122)을 관통하여 고정훅(221) 보다 크고 더욱 돌출되는 버튼(222)을 구비하는 누름부재(22)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대구경 파이프(11)의 소구경 파이프(12)가 삽입되는 일단에 삽입 고정되고,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내경이 단턱지게 축소되는 걸림단턱부(231)와, 상기 걸림단턱부(231)와 인접하여 내주면을 따라 대구경 파이프(11)의 내경보다 크게 단턱지게 함몰되어 상기 고정훅(221)이 안착되는 고정훅 안착부(232)를 구비하는 마감플렌지(23)와
    일단은 상기 걸림단턱부(231)와 인접한 내경에 외경이 밀착되고 타측은 상기 대구경 파이프(11)의 내경과 동일하도록 내경이 단턱지게 축소되는 단턱부(241)를 구비하여 걸림단턱부(231)와 사이에 고정훅 안착부(232)가 형성되도록 하는 보조플렌지(2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파이프 고정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플렌지(24)는 단턱부(241)의 상부로 연장되어 대구경파이프(11)의 외경과 내경이 억지끼움 고정되는 보강부(242)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마감플렌지(23)는 상기 보조플렌지(24)의 외경에 상응하여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파이프 고정구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대구경 파이프(11)의 내경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결합되는 소구경 파이프(12)의 내경면에 고정되어 소구경 파이프(12)가 인출되어 고정될 때 소구경 파이프(12)가 대구경 파이프(1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는 탄성와이어(25)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파이프 고정구조.
KR1020150158319A 2015-11-11 2015-11-11 다단 파이프 고정구조 KR101794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319A KR101794830B1 (ko) 2015-11-11 2015-11-11 다단 파이프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319A KR101794830B1 (ko) 2015-11-11 2015-11-11 다단 파이프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303A KR20170055303A (ko) 2017-05-19
KR101794830B1 true KR101794830B1 (ko) 2017-11-09

Family

ID=59049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319A KR101794830B1 (ko) 2015-11-11 2015-11-11 다단 파이프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8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127B1 (ko) * 2018-10-11 2020-06-23 이학용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비닐하우스 파이프지지대 및 그 파이프지지대가 구비된 파이프받침대
KR102046845B1 (ko) * 2019-02-26 2019-12-02 윤영태 등산용 스틱
KR102175980B1 (ko) * 2019-03-22 2020-11-11 손미란 다단 파이프 고정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867B1 (ko) * 2010-01-29 2010-03-22 오성듀랄루민(주) 보턴식 등산용 다단식 지팡이의 지지체
JP5800210B1 (ja) 2014-10-20 2015-10-28 有限会社ブレスレン・インク 折り畳み式ステッ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867B1 (ko) * 2010-01-29 2010-03-22 오성듀랄루민(주) 보턴식 등산용 다단식 지팡이의 지지체
JP5800210B1 (ja) 2014-10-20 2015-10-28 有限会社ブレスレン・インク 折り畳み式ステッ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303A (ko) 2017-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4830B1 (ko) 다단 파이프 고정구조
US7156114B2 (en) Angle adjusting device for the canopy of a hang umbrella
US20070003361A1 (en) Locking device for a telescopic tube
EP2500248A1 (en) Handlebar grip
US10603779B2 (en) Adaptable pole for a pool device
EP1820435A1 (en) Mop with drying mechanism
FR2832472A3 (fr) Element de retenue
EP3797844A1 (en) Locking mechanism for foldable pole and foldable pole
US7331543B2 (en) Strap reel support device for a strap reel stand
JP7368237B2 (ja) 長手方向に調節可能なポールのための締め付け装置
US20150374081A1 (en) Adjustible walking cane
US20160338461A1 (en) Pull Handle of Luggage
US20140224290A1 (en) Assembly Tent
WO2019168073A1 (ja) 金属シャフトの組み付け構造
US6931694B2 (en) Hanging ring used in curtain
US20150323128A1 (en) Item mounting apparatus
KR100894883B1 (ko) 연결 장치
KR200469992Y1 (ko)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
KR100383229B1 (ko) 등산용 지팡이의 조립장치
US670040A (en) Internal fastener for telescoping tubular parts.
KR200451953Y1 (ko) 등산지팡이의 길이조절용 조임 장치
KR102175980B1 (ko) 다단 파이프 고정구조
US20050284878A1 (en) Window protective membrane dispenser
FR2727170A1 (fr) Assemblage mecanique ecrou-support et outillage pour monter ledit ecrou dans le support
JP3613626B2 (ja) 伸縮ロッド用ク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