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992Y1 -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 - Google Patents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992Y1
KR200469992Y1 KR2020120006354U KR20120006354U KR200469992Y1 KR 200469992 Y1 KR200469992 Y1 KR 200469992Y1 KR 2020120006354 U KR2020120006354 U KR 2020120006354U KR 20120006354 U KR20120006354 U KR 20120006354U KR 200469992 Y1 KR200469992 Y1 KR 2004699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spiral
connector
emboss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3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학
Original Assignee
장동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동학 filed Critical 장동학
Priority to KR20201200063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9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9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9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대를 연결하는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되고, 이 나선형 연결구에 폴대를 적게 회전시켜 결합하였다가 분리 할 수 있으므로 폴대의 결합과 분리가 편리하며, 폴대 조립시 발생하는 안전사고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 후 폴대의 연결부위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에 관한 것으로, 관형상으로 일단의 내주연에 내부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 엠보싱부가 형성된 폴대 및
관형상으로 양단에 엠보싱부의 결합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나선형의 나사선이 구비된 나선부와, 나선부의 길이방향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폴대의 결합을 구분하는 경계단턱이 형성된 연결구가 포함되어, 폴대의 엠보싱부가 연결구의 나선부에 가이드되며 결합 또는 분리가 되기 때문에 폴대의 결합 및 분리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엠보싱부가 나선부의 나사선의 나선형 모양을 따라 여러 열로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엠보싱부를 통해 적은 회전으로도 폴대를 연결구의 나선부에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 {Pole With Helical Connector}
본 고안은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대를 연결하는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되고, 이 나선형 연결구에 폴대를 적게 회전시켜 결합하였다가 분리 할 수 있으므로 폴대의 결합과 분리가 편리하며, 폴대 조립시 발생하는 안전사고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 후 폴대의 연결부위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종래 기술의 구성과 작용 및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록킹팁이 적용된 폴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폴대는 텐트나 타프를 지지하기 위한 골조로서, 대게 원통형의 파이프로 제작되고, 다수의 폴대들을 록킹팁(1)으로 결합한다.
이 경우 폴대들을 조립하거나 분리할 때, 록킹팁(1)을 손으로 직접 조작하여, 폴대와 폴대를 조립 또는 분리 해줘야 하기 때문에, 폴대의 조립과 분리가 불편하고, 이 과정에서 폴대의 단부와 단부 사이에 손이 끼거나, 집히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폴대의 단부와 단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록킹팁(1)의 조작에 필요한 여유공간 확보에 따른 공간이 생겨, 폴대와 폴대의 연결 부위에 흔들림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폴대의 연결 구조가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20-1996-0005938 Y1
본 고안의 목적은 폴대를 연결하는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되고, 이 나선형 연결구에 폴대를 적게 회전시켜 결합하였다가 분리 할 수 있으므로 폴대의 결합과 분리가 편리한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폴대 조립시 발생하는 안전사고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 후 폴대의 연결부위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관형상으로 일단의 내주연에 내부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 엠보싱부(110)가 형성된 폴대(100)(100'); 및 관형상으로 양단에 상기 엠보싱부(110)의 결합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나선형의 나사선(212)이 구비된 나선부(210)와, 상기 나선부(210)의 길이방향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폴대(100)(100')의 결합을 구분하는 경계단턱(230)이 형성된 연결구(20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상기 연결구(200)의 양단에 형성된 나사선(212) 중 어느 한쪽의 나사선(212)의 나사골 간격은 상기 엠보싱부(110)가 상기 나사선(212)에 억지 끼움 되도록 상기 엠보싱부(11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관형상으로 일단의 내주연에 내부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 엠보싱부(110)가 형성된 폴대(100)(100'); 및 관형상으로 상기 엠보싱부(110)의 결합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나선형의 나사선(212)이 구비된 나선부(210)와, 상기 나선부(210)에서 연장되며 상기 나선부(210)에 결합된 폴대(100)와는 다른 폴대(100')의 일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재(220)와, 상기 나선부(210)와 상기 고정부재(220)의 경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폴대(100)(100')의 결합을 구분하는 경계단턱(230)이 구비된 연결구(20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상기 고정부재(220)의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부재(220)의 입구측에서 상기 경계단턱(230)을 향하여 갈수록 그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테이퍼부(22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상기 엠보싱부(110)는 상기 나사선(212)의 형상을 따라 복수가 배치되어, 복수의 엠보싱부(110)가 상기 나사선(212)에 함께 가이드되어 상기 복수의 엠보싱부(110)가 상기 나선부(210)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상기 엠보싱부(110)는 상기 나사선(212)의 형상을 따라 복수가 배치되어, 복수의 엠보싱부(110)가 상기 나사선(212)에 함께 가이드되어 상기 복수의 엠보싱부(110)가 상기 나선부(210)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의 상기 연결구(200)의 양단 중 어느 한쪽의 내주연에는 내부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어 지그에 고정되는 길이방향의 고정돌기(24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폴대(100)의 상단에는 줄을 거치할 수 있는 줄걸림부(300)가 포함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상기 줄걸림부(300)는 상기 폴대(100)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몸체(310)와, 상기 고정몸체(310)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줄걸림핀(320)이 포함되되, 상기 줄걸림핀(320)의 상부는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32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폴대(100)(100')의 엠보싱부(110)가 연결구(200)의 나선부(210)에 가이드되며 결합 또는 분리가 되기 때문에 폴대(100)(100')의 결합 및 분리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엠보싱부(110)가 나선부(210)의 나사선(212)의 나선형 모양을 따라 여러 열로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엠보싱부(110)를 통해 적은 회전으로도 폴대(100)(100')를 연결구(200)의 나선부(210)에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폴대(100)(100')의 단부와 단부가 연결구(200)를 통해 나사 결합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손이 집히는 등의 안전사고가 예방된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폴대(100)(100')의 내부에 위치한 복수의 엠보싱부(110)가 연결구(200)의 나선부(210)에 끼워져 상기 나선부(210)를 지지해줌으로써, 폴대(100)(100')를 상기 나선부(210)에 결합한 후에도 그 연결부위가 흔들림 없는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록킹팁이 적용된 폴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의 지그 고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의 하부 폴대의 고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의 상부 폴대의 고정을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의 하부 폴대의 고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의 상부 폴대의 고정을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는, 일단에 엠보싱부(110)가 형성된 폴대(100)(100')와, 양단에 상기 엠보싱부(11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나사선(212)이 구비된 나선부(210)와, 상기 나선부(210)의 길이방향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경계단턱(230)이 형성된 연결구(2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200)의 양단에 형성된 나사선(212) 중 어느 한쪽의 나사선(212)의 나사골 간격은 상기 엠보싱(11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엠보싱부(110)는 상기 나사선(212)의 형상을 따라 복수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구(200)의 양단 중 어느 한쪽의 내주연에는 내부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돌기(240)가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폴대(100)의 상단에는 줄을 거치할 수 있는 줄걸림부(3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줄걸림부(300)는 상기 폴대(100)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몸체(310)와, 상기 고정몸체(310)에서 돌출되는 줄걸림핀(320)이 포함되고, 상기 줄걸림핀(320)의 상부에는 절개부(322)가 형성된다.
상기 폴대(100)(100')는 중공형의 긴 원형 관으로, 상기 폴대(100)(100')가 연결구(200)를 통해 다단으로 결합되어 텐트나 타프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폴대(100)(100')의 일단에는 내주연에서 내측 중심을 향해 돌출된 돌기 모양의 엠보싱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엠보싱부(110)는 연결구(200)의 나선부(210)에 형성된 나사선(212)에 끼워져 결합된다. 즉 상기 폴대(100)(10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엠보싱부(110)가 상기 나사선(212)에 가이드되며 상기 폴대(100)가 상기 연결구(200)의 나선부(210)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엠보싱부(110)는 상기 나사선(212)의 나선형 모양을 따라 복수가 배치된다. 즉 도 3의 확대도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자면, 엠보싱부(110)가 상기 나사선(212)의 나선형 모양을 따라 폴대(100)(100')의 일단에 여러 열로 배치된다. 그래서 복수의 엠보싱부(110)를 통해 적은 회전으로 폴대(100)(100')를 상기 연결구(200)의 나선부(210)에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엠보싱부(110)가 상기 나선부(210)의 나사선(212)에 끼워져서 가이드 됨에 따라 상기 엠보싱부(110)의 두께는 상기 나사선(212)의 나사골 간격 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나사선(212)의 나사골 간격이 2.9mm라면 상기 엠보싱부(110)의 두께는 2.7mm가 적당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결구(200)는 중공형의 원형 관으로 외주연 지름이 상기 폴대(100)(100')의 내주연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나선부(210)가 상기 폴대(100)(100')의 엠보싱부(110)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폴대(100)(100')의 일단 내측으로 삽입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구(200)는 상기 폴대(100)와 상기 폴대(100')를 중앙에서 다단으로 결합시켜주는 것으로 양단에 엠보싱부(11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나사선(212)이 각각 형성된 나선부(210)와, 상기 나선부(210)의 길이방향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경계단턱(230) 그리고 양단 중 어느 한쪽의 내주연에는 내부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돌기(240)가 포함된다.
상기 나선부(210)는 외측에 나사골(미도시)과 나사산(미도시)으로 이뤄진 나사선(212)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폴대(100)(100')의 엠보싱부(110)가 각각 결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나사선(212)의 나사골 간격은 상기 엠보싱부(110)이 두께보다 넓게 형성되며, 이로써 상기 엠보싱부(110)가 상기 나사선(212)에 끼워져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연결구(200)를 중심으로 하부에 고정되는 폴대(100')가 결합되는 나선부(210) 나사선(212)의 나사골 간격이 폴대(100)(100')의 엠보싱(110)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연결구(200)와 상기 폴대(100')를 제조과정에서 사전 결합하고, 사용자는 나머지 하나의 폴대(100) 즉, 상기 연결구(200)를 중심으로 상부에 고정되는 폴대(100) 만을 간편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기 엠보싱(110)의 두께가 2.7mm 라면 상기 나사선(212)의 나사골 간격은 전 길이에 걸처 2.5mm로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폴대(100')를 회전시켜 엠보싱부(110)를 상기 나사선(212)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폴대(100')가 나선부(2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이때 상기 엠보싱부(110)의 형상이 하부는 넓고, 상부가 좁은 원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엠보싱부(110)의 하부 즉 폴대(100')의 내주연과 연결된 부분은 넓고, 나사선(212)에 접촉되는 부분은 좁은 형상이다. 이는 엠보싱부(110)가 상기 나사선(212)에 억지 끼움 되었을 때, 상기 엠보싱부(110)의 상단은 상기 나사선(212)의 나사골 바닥과 접촉되고, 상기 엠보싱부(110)의 외측은 상기 나사선(212)의 나사골 양측벽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엠보싱부(110)의 돌출 높이가 1.5mm라면 상기 나사선(212)의 깊이는 1.3mm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하여 상기 엠보싱부(110)가 상기 나사선(212)에 억지끼움 되었을 때,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며,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선(212)과 엠보싱부(110)의 사이에 틈이 없기 때문에 결합 부위의 흔들림이 없어지게 되고, 그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경계단턱(230)은 상기 나선부(210)의 길이방향 중심에 외주연에서 링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지름이 상기 폴대(100)(100')의 외주연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경계단턱(230)은 폴대(100)와 폴대(100')가 각각 연결구(200)에 결합되었을 때, 각각의 폴대(100)와 폴대(100')의 접촉을 차단하며, 구분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경계단턱(230)의 위치는 나선부(21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며, 상기 나선부(210)의 중앙 또는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게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돌기(240)는 연결구(200)의 양단 중 상기 연결구(200)를 중심으로 상부에 고정되는 폴대(100)가 결합되는 나선부(210)의 내주연에서 내부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다.
상기 고정돌기(240)는 상기 나선부(210)가 형성된 길이방향 즉, 상기 나선부(210)의 내주연을 따라 복수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나선부(210)의 내주연을 따라 균등하게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돌기(240)가 형성된 길이는 상기 연결구(200)의 전 길이의 3/1 이상의 길이를 차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돌기(240)에는 지그(500)에 형성된 고정홈(510)(도 4 참조)에 끼워지고, 상기 지그(50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폴대(100')의 엠보싱부(110)를 상기 나선부(210)의 나사선(212)에 억지끼움으로 결합시킨다. 상기 고정돌기(240)가 지그(500)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나선부(210)는 상기 경계단턱(230)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오른 나사로 형성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줄걸림부(300)는 폴대(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텐트나 타프를 칠 때 줄을 걸칠 수 있다. 상기 줄걸림부(300)는 상기 폴대(100)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몸체(310)와, 상기 고정몸체(310)에서 돌출되는 줄걸림핀(320)이 포함된다.
상기 고정몸체(310)는 원통형으로 상기 폴대(100)의 상단에 끼움 결합된다. 상기 고정몸체(310)는 지름이 상기 폴대(100)의 내주연보다 크게 형성되어,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또는 상기 고정몸체(310)에 상기 폴대(100) 보다 직경이 큰 단턱(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몸체(310)를 상기 폴대(10)의 상단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줄걸림핀(320)은 상기 고정몸체(310)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상부에 일부가 절개되는 절개부(322)가 형성된다. 상기 줄걸림핀(320)은 금속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절개부(322)에 텐트나 타프 등의 줄을 걸칠 수 있다. 이로써 텐트나 타프의 줄을 용이하게 걸칠 수 있다.
상기 고정캡(400)은 폴대(100')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부로 갈수록 뾰족한 원뿔형태를 취하며, 상기 폴대(100')의 하단에 억지 끼움 고정된다. 상기 고정캡(400)을 지면에 꽂아 폴대(10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캡(400)은 지면에 꽂아, 상기 폴대(1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의 지그 고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의 하부 폴대의 고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의 상부 폴대의 고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지그(500)의 고정홈(510)을 연결구(200)의 고정돌기(240)에 끼워 결합시킨다. 그리고 지그(500)가 회전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지그(500)는 원기둥형태의 막대로, 상기 연결구(20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일단은 고정홈(510)이 형성되고, 타단은 바이스(미도시) 등으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일단은 상기 연결구(200)의 내주연과 동일하게 형성되지만, 타단은 연결구(20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각진 형태가 바람직하다.
그 다음으로 지그(500)로 고정된 연결구(200)에 폴대(100')를 결합시킨다. 상기 폴대(100')의 일단 즉 엠보싱부(110)가 형성된 부분을 상기 연결구(200)의 나선부(210)에 위치시켜 상기 폴대(100')를 상기 나선부(210)에 강재로 밀어 넣음과 동시에 회전시킨다. 이때 강재로 밀어 넣으며 회전 시키는 것은 기계의 힘을 이용하여 가하는데, 예를 들면 에어공구, 전동공구, 너트런너 등을 이용한다.
이때 상기 나선부(210)의 나사선(212)의 나사골 간격은 상기 폴대(100')의 엠보싱부(110)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지그(500)로 연결구(200)가 회전되지 않도록 잡아준 상태에서 상기 폴대(100')를 회전시켜 상기 나선부(210)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폴대(100')가 상기 나선부(210)에 억지끼움으로 강하게 결합된다.
경계단턱(230)을 기준으로 상기 폴대(100')가 결합되는 부분 전 길에 걸쳐 형성된 나사선(212)의 나사골 간격이 상기 엠보싱부(11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폴대(100')가 회전될 수록 억지끼움되면서 상기 폴대(100')의 끝단이 상기 경계단턱(230)에 맞닿을 때가지 강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폴대(100')를 결합하기 위해 강재로 밀어 넣으며 회전시켰던 힘 보다 더 강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연결구(200)에서 상기 폴대(100')를 분리하기가 어렵다.
이후 연결구(200)에서 지그(500)를 분리한 후, 나머지 반대쪽 폴대(100)를 연결구(200)의 나선부(210)에 결합시키면 된다.
이 단계까지는 폴대 제조 과정에서 결합해 놓는 것으로 사용자는 다른 한 쪽의 폴대(100) 만을 연결구(200)에 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사용자는 폴대(100)의 엠보싱부(110)가 하부로 위치하게 하여, 연결구(200)의 나선부(210)에 접촉시킨다. 이때 상기 나선부(210)의 외주연 지름이 상기 폴대(100)의 내주연 지름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폴대(100)를 상기 나선부(21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아랫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서 상기 폴대(100)를 회전시키면 상기 폴대(100)의 복수개 형성된 엠보싱부(110)가 나선부(210)의 나사선(212)을 따라 가이드되며 끼워진다. 즉 복수의 엠보싱부(110)가 동시에 나사선(212)의 나선형 형상으로 가이드되서면 끼워진다.
이로써 상기 폴대(100)에 작은 힘을 가해도 상기 연결구(20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폴대(100)를 적은 회전으로도 편리하게 상기 연결구(200)에 결합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는, 일단에 엠보싱부(110)가 형성된 폴대(100)와, 양단에 상기 엠보싱부(11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나사선(212)이 구비된 나선부(210)와, 상기 나선부(210)에서 연장되며 폴대(100')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부재(220)와, 상기 나선부(210)와 상기 고정부재(220)의 경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경계단턱(230)이 구비된 연결구(2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220)의 외주연에는 상기 경계단턱(230)을 향할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테이퍼부(222)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엠보싱부(110)는 상기 나사선(212)의 형상을 따라 복수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구(200)의 양단 중 어느 한쪽의 내주연에는 내부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고정돌기(240)가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폴대(100)의 상단에는 줄을 거치할 수 있는 줄걸림부(3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줄걸림부(300)는 상기 폴대(100)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몸체(310)와, 상기 고정몸체(310)에서 돌출되는 줄걸림핀(320)이 포함되고, 상기 줄걸림핀(320)의 상부에는 절개부(322)가 형성된다.
먼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연결구를 구비한 폴대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제1실시예와 달라지는 부분에 대하여 중점을 두고 설명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달리 연결구(200)를 중심으로 하부에 고정되는 폴대(100')에 엠보싱부(110)가 없으며, 연결구(200)는 경계단턱(230)을 중심으로 일단에는 나선부(210)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고정부재(220)가 형성된다.
상기 폴대(100)(100')는 연결구(200)를 통해 다단으로 결합되어 텐트나 타프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연결구(200)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폴대(100)가 위치하고, 하단에는 상부 폴대(100)와는 다른 폴대(100')가 위치한다. 이때 상기 폴대(100')에는 엠보싱부(110)가 생략된다.(도 7 참조)
이는 상기 폴대(100')는 연결구(200)의 고정부재(22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되기 때문이다.
상기 연결구(200)는 중공형의 원형 관으로 외주연 지름이 상기 폴대(100)(100')의 내주연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나선부(210)가 상기 폴대(100)(100')의 엠보싱부(110)와 결합되었을 때, 상기 폴대(100)(100')의 일단 내측으로 삽입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구(200)는 상기 폴대(100)와 상기 폴대(100')를 중앙에서 다단으로 결합시켜주는 것으로 일단에 엠보싱부(11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나사선(212)이 형성된 나선부(210)와, 상기 나선부(210)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폴대(100')가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부재(220)와, 상기 나선부(210)와 상기 고정부재(220)이 경계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경계단턱(230)과, 상기 나선부(210)의 내주연에서 내부 중심을 향해 돌출되는 고정돌기(240)가 포함된다.
상기 고정부재(220)는 상기 나선부(210)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220)와 상기 나선부(210)의 경계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경계단턱(23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220)의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부재(220)의 입구측에서 부터 상기 경계단턱(230)을 향하여 그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테이퍼부(222)가 형성된다.
상기 테이퍼부(222)에는 상기 폴대(100')가 억지끼움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테이퍼부(222)의 시작점 지름은 상기 폴대(100')의 내주연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220)의 끝 지름 즉, 상기 경계단턱(230)과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폴대(100')의 내주연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폴대(100')를 상기 고정부재(220)에 강재로 밀어 넣으면서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폴대(100')에 회전력을 가하면서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 고정돌기(240)는 상기 나선부(210)의 내주연에서 내부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다.
상기 고정돌기(240)는 상기 나선부(210)가 형성된 길이방향 즉, 상기 나선부(210)의 내주연을 따라 복수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나선부(210)의 내주연을 따라 균등하게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돌기(240)가 형성된 길이는 상기 연결구(200)의 전 길이의 3/1 이상의 길이를 차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돌기(240)는 지그(500)에 형성된 고정홈(510)에 끼워지고, 상기 지그(50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폴대(100')의 일단을 상기 고정부재(220)에 억지끼움으로 결합시킨다.(도 8 참조) 상기 고정돌기(240)가 지그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이하,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제2실시에에 따른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의 하부 폴대의 고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의 상부 폴대의 고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지그(500)의 고정홈(510)을 연결구(200)의 고정돌기(240)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지그(500)가 회전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지그(500)는 원기둥형태의 막대로, 상기 연결구(20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일단은 고정홈(510)이 형성되고, 타단은 바이스(미도시) 등으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일단은 상기 연결구(200)의 내주연과 동일하게 형성되지만, 타단은 연결구(20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각진 형태가 바람직하다.
그 다음으로 지그(500)에 고정된 연결구(200)에 폴대(100')를 결합시킨다. 상기 폴대(100')의 일단, 즉 고정캡(400)이 고정된 반대 쪽 단부를 상기 연결구(200)의 고정부재(220)에 위치시켜 상기 폴대(100')를 강재로 밀어 넣어준다. 이때 강재로 밀어 넣는 힘은 기계의 힘을 이용하여 가하는데, 예를 들면 프레스, 유공압실린더 및 에어실린더 등을 이용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220)의 외주연은 상기 폴대(100')의 내주연 지름보다 크게 테이퍼부(222)가 형성되어 있어 억지끼움으로 고정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지그(500)가 연결구(200)가 회전되지 않도록 잡아준 상태에서 상기 폴대(100')를 강재로 밀어 넣어 상기 고정부재(220)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폴대(100')가 상기 고정부재(220)에 억지끼움으로 강하게 고정된다.
이로써 폴대(100')를 결합하기 위해 강재로 밀어 넣었던 힘 보다 더 강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연결구(200)에서 상기 폴대(100')를 분리하기가 어렵다.
이후 연결구(200)에서 지그(500)를 분리한 후, 나머지 반대쪽 폴대(100)를 연결구(200)의 나선부(210)에 결합시키면 된다.
이 단계까지는 폴대 제조 과정에서 결합해 놓는 것으로 사용자는 다른 한 쪽의 폴대(100) 만을 연결구(200)에 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사용자는 폴대(100)의 엠보싱부(110)가 하부로 위치하게 하여, 연결구(200)의 나선부(210)에 접촉시킨다. 이때 상기 나선부(210)의 외주연 지름이 상기 폴대(100)의 내주연 지름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폴대(100)를 상기 나선부(21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아랫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서 상기 폴대(100)를 회전시키면 상기 폴대(100)의 복수개 형성된 엠보싱부(110)가 나선부(210)의 나사선(212)을 따라 가이드되며 끼워진다. 즉 복수의 엠보싱부(110)가 동시에 나사선(212)의 나선형 형상으로 가이드되서면 끼워진다.
이로써 상기 폴대(100)에 적은힘을 가해도 상기 연결구(20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폴대(100)를 적은 회전으로도 편리하게 상기 연결구(200)에 결합할 수 있다.
100, 100' : 폴대
110 : 엠보싱부
200 : 연결구
210 : 나선부 212 : 나사선
220 : 고정부재 222 : 테이퍼부
230 : 경계단턱 240 : 고정돌기
300 : 줄걸림부
310 : 고정몸체 320 : 줄걸림핀 322 : 절개부
400 : 고정캡
500 : 지그
510 : 고정홈

Claims (8)

  1. 관형상으로 일단의 내주연에 내부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 엠보싱부(110)가 형성된 폴대(100)(100'); 및
    관형상으로 양단에 상기 엠보싱부(110)의 결합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나선형의 나사선(212)이 구비된 나선부(210)와, 상기 나선부(210)의 길이방향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폴대(100)(100')의 결합을 구분하는 경계단턱(230)이 형성된 연결구(20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00)의 양단에 형성된 나사선(212) 중 어느 한쪽의 나사선(212)의 나사골 간격은 상기 엠보싱부(110)가 상기 나사선(212)에 억지 끼움 되도록 상기 엠보싱부(11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
  3. 관형상으로 일단의 내주연에 내부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 엠보싱부(110)가 형성된 폴대(100)(100'); 및
    관형상으로 상기 엠보싱부(110)의 결합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 나선형의 나사선(212)이 구비된 나선부(210)와, 상기 나선부(210)에서 연장되며 상기 나선부(210)에 결합된 폴대(100)와는 다른 폴대(100')의 일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재(220)와, 상기 나선부(210)와 상기 고정부재(220)의 경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폴대(100)(100')의 결합을 구분하는 경계단턱(230)이 구비된 연결구(20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20)의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부재(220)의 입구측에서 상기 경계단턱(230)을 향하여 갈수록 그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테이퍼부(22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110)는 상기 나사선(212)의 형상을 따라 복수가 배치되어, 복수의 엠보싱부(110)가 상기 나사선(212)에 함께 가이드되어 상기 복수의 엠보싱부(110)가 상기 나선부(210)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00)의 양단 중 어느 한쪽의 내주연에는 내부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어 지그에 고정되는 길이방향의 고정돌기(24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100)의 상단에는 줄을 거치할 수 있는 줄걸림부(30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줄걸림부(300)는 상기 폴대(100)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몸체(310)와, 상기 고정몸체(310)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줄걸림핀(320)이 포함되되,
    상기 줄걸림핀(320)의 상부는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32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
KR2020120006354U 2012-07-17 2012-07-17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 KR2004699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354U KR200469992Y1 (ko) 2012-07-17 2012-07-17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354U KR200469992Y1 (ko) 2012-07-17 2012-07-17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992Y1 true KR200469992Y1 (ko) 2013-11-18

Family

ID=50741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354U KR200469992Y1 (ko) 2012-07-17 2012-07-17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9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413A (ko) 2015-01-27 2016-08-04 홍창표 레져용 폴대
KR101757260B1 (ko) * 2016-09-29 2017-07-12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연결구를 이용한 독립형 무단횡단 금지 펜스 및 이의 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460Y1 (ko) 2002-03-14 2002-06-14 라제건 텐트폴용 팁 고정장치
KR20030011491A (ko) * 2001-08-03 2003-02-11 김국진 텐트지지용 폴의 연결조인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491A (ko) * 2001-08-03 2003-02-11 김국진 텐트지지용 폴의 연결조인트
KR200278460Y1 (ko) 2002-03-14 2002-06-14 라제건 텐트폴용 팁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2413A (ko) 2015-01-27 2016-08-04 홍창표 레져용 폴대
KR101757260B1 (ko) * 2016-09-29 2017-07-12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연결구를 이용한 독립형 무단횡단 금지 펜스 및 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38075A1 (en) Central lock and canopy
US6517223B2 (en) Lamp rack and lamp holder quick-release connecting structure
US20120261370A1 (en) Curtain Pole Assembly
US20120103924A1 (en) Curtain Pole Assembly Having Detachable Structure
CN205493263U (zh) 双层床横梁和立柱的快拆机构及双层床
KR200469992Y1 (ko) 나선형 연결구가 구비된 폴대
CN105008095A (zh) 可折弯的保持装置
KR101059233B1 (ko) 철근 연결구
US20130133136A1 (en) Joint between bed frame and fabric member
KR20140040315A (ko)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KR101794830B1 (ko) 다단 파이프 고정구조
US6982373B1 (en) Musical instrument stand
US4634307A (en) Quick-disconnect connector
CN215098083U (zh) 折叠器及折叠车辆
CN103934772B (zh) 灯具组装用灯座
KR200469561Y1 (ko) 비계틀의 비계기둥 연결장치
KR200470667Y1 (ko) 폴대용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폴대
KR200475775Y1 (ko) 금속제 프레임과 유리 또는 합성수지제 전등갓의 결합구조체
KR200473489Y1 (ko) 조립식가구의 고정지주 압착장치
US6513957B2 (en) Self-supported lamp structure
KR101389271B1 (ko) 와이어 펜스 고정장치
KR200439989Y1 (ko) 릴낚싯대
JP2010043432A (ja) ワイヤを仕切り要素とする防護柵
JP4196219B2 (ja) フックの吊下装置
KR20050067124A (ko) 퍼머로드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