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561Y1 - 비계틀의 비계기둥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비계틀의 비계기둥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561Y1
KR200469561Y1 KR2020130004369U KR20130004369U KR200469561Y1 KR 200469561 Y1 KR200469561 Y1 KR 200469561Y1 KR 2020130004369 U KR2020130004369 U KR 2020130004369U KR 20130004369 U KR20130004369 U KR 20130004369U KR 200469561 Y1 KR200469561 Y1 KR 2004695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ffolding
column
connector
scaffold
longitudinal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3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창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동철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동철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동철강
Priority to KR20201300043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5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5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5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20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for ends of members only, e.g. for connecting members in end-to-end re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공사장에서 사용하는 비계틀을 구축하기 위해 하측비계틀의 비계기둥위에 상측비계틀의 비계기둥을 조립하기 위한 비계기둥 연결장치에 관한 것인데 보다 구체적인 것은, 하측비계틀을 구성하는 하측비계기둥의 상단부에 상측비계틀의 상측비계기둥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가지고 일정길이를 유지하는 원통형 연결자를 그 하반부가 하측비계기둥 상단개방부에 삽입되게 결합하여 용접으로 부착하고, 상기 하측비계기둥 상단부 외주면에 4등분된 지점을 선택하여 원주외면에서 중심을 향해 절곡되고 절곡된 단면이 반원형으로 되는 4개의 세로방향 결합돌조를 형성하여 세로방향결합돌조 사이에 각각 삽입부를 형성하고 삽입부 하단부에서 직각으로 되고 삽입부와 접하는 세로방향결합돌조의 측벽을 관통하는 통공부를 형성하여 통공부 입구를 삽입부 표면높이 보다 낮게 형성하고, 통공부 출구는 삽입부 표면 보다 높게 걸림턱이 형성되는 결합홈을 형성하여, 이에 상측비계기둥의 연결부 내면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착탈가능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연결자의 상단연결부가 상측비계기둥의 연결부 내면에 결합하면 연결자의 연결부에 형성된 세로방향결합돌조 외면이 상측비계기둥 연결부 내면의 4방에 접촉하여 연결부를 잡아주게 되고 상측비계기둥의 연결부를 회전시켜 연결돌기가 하측비계기둥의 결합홈에 결합하면 상측비계기둥의 연결부가 하측비계기둥의 연결부 외면에 흔들림없이 결합되어 견고한 연결이 이루어지게 만든 비계틀의 비계기둥 연결장치이다.

Description

비계틀의 비계기둥 연결장치{Scaffolding frame scaffolding poles connected devices}
본 고안은 건축공사장에서 사용하는 비계틀을 구축하기 위해 하측비계틀의 비계기둥위에 상측비계틀의 비계기둥을 조립하기 위한 비계기둥 연결장치에 관한 것인데 보다 구체적인 것은, 비계틀을 구축할 때 하측비계기둥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상측비계기둥을 안전하고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연결부의 구성을 새롭게 구성한 연결장치를 통해 보다 안전하고 견고한 비계틀을 구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의 비계기둥 연결장치를 보면,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비계기둥의 양단부중 어느한쪽의 비계기둥(10)을 타측비계기둥(10a)의 내경과 동일하도록 직경을 축소시켜 일정길이를 가지는 연결부(2')를 형성하고, 연결부 내측에 단턱(2")을 형성하며 축소된 연결부의 끝에서 내측방향으로 안내홈(3')을 형성하고, 안내홈끝에서 원주방향으로 직각되게 걸림홈(4')을 각각 형성하는 결합홈부를 만들어 연결부에 끼워지는 반대쪽 비계기둥내면에 걸림핀(60)을 비계기둥의 지름을 횡단하게 설치하여 일측비계기둥(10)의 연결부(2')를 타측비계기둥(10a)의 연결부속에 끼워 넣으면서 걸림핀이 연결부의 안내홈을 통해 걸림홈에 결합하도록 한 연결장치가 실용신안등록 제20-0277932호로 공지되어 있고, 또, 도 7에 예시한바와 같이 하측비계기둥(100)의 상단부에 상측비계기둥(100a)의 내경과 동일하도록 만든 연결자(200)를 삽입하여 연결자의 절반을 하측비계기둥에 용접(w)하고, 하측비계기둥 상단부로 돌출되는 연결자의 상반부 주벽 양측에 연결자끝에서 내측방향으로 세로홈(300)을 내고 세로홈내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세로홈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걸림홈(400)을 형성한 다음 상측비계기둥의 내면에 걸림돌기(600)를 형성하여 상측기계기둥을 하측비계기둥 상단에 결합하면 상측비계기둥의 걸림돌기(600)가 세로홈을 타고 삽입되어 걸림홈에 결합하도록한 연결장치가 실용신안등록 제20-0410997호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실용신안등록 제20-0277932호의 경우는 연결부에 형성된 결합홈이 안내홈(3') 하단에서 직각방향으로 걸림홈(4')이 형성되는 " ㄴ " 형 개방홈으로 되어 연결부의 주벽 양측이 절개되므로 주벽지탱력이 허약해져 연결부의 견고성이 부실하게 되고, 하측비계기둥의 연결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을 때 외부에서 연결부로 충격이 가해지면 연결부의 주벽이 쉽게 찌그러져 안내홈(3')이 변형되므로 연결핀(60)이 삽입될 때, 결합이 어렵게 되는 경우가 잦아 수시로 안내홈(3')을 바르게 교정해야 하는 불편이 있어 사용하기가 불편하고,
실용신안등록 제20-0410997호의 경우는 연결자 주벽에 세로홈(300)을 내고 세로홈내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직각되게 걸림홈(400)을 형성하여 상측비계기둥의 내측걸림돌기(600)가 세로홈을 통해 걸림홈에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연결자의 주벽입구가 절개되지 않아 연결자의 주벽입구를 절개한것보다는 견고성이 보강되는 이점이 있지만 세로홈이 연결자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세로홈의 입구가 상측비계기둥의 걸림돌기(600)폭에 대응하는 규격으로 형성되어 입구가 비교적 좁기 때문에 공사현장에서 길이가 2m 정도되는 상측비계기둥을 한손으로 잡고 하단부의 걸림돌기를 세로홈입구에 맞추어 결합해야 하는 현실을 감안할 때, 상측비계기둥의 걸림돌기를 세로홈에 투입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불편이 있을 뿐 아니라 연결자의 주벽상단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땅콩껍질모양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정원이 유지되지 않아 사방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균형 있게 받아내지 못해 견고성이 부족한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측비계틀을 구성하는 하측비계기둥의 상단부에 상측비계틀의 상측비계기둥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가지고 일정길이를 유지하는 원통형 연결자를 그 하반부가 하측비계기둥 상단개방부에 삽입되게 결합하여 용접으로 부착하고, 상기 원통형 연결자의 상단부 외주면에 4등분된 지점을 선택하여 원주외면에서 중심을 향해 절곡되고 절곡된 단면이 반원형으로 되는 4개의 세로방향 결합돌조를 형성하여 세로방향결합돌조 사이에 각각 삽입부를 형성하고 삽입부 하단부에서 직각으로 되고 삽입부와 접하는 세로방향결합돌조의 측벽을 관통하는 통공부를 형성하여 통공부 입구를 삽입부 표면높이 보다 낮게 형성하고, 통공부 출구는 삽입부 표면 보다 높게 걸림턱이 형성되는 결합홈을 형성하여, 이에 상측비계기둥의 연결부 내면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착탈가능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연결자의 상단연결부가 상측비계기둥의 연결부 내면에 결합하면 연결자의 연결부에 형성된 세로방향결합돌조 외면이 상측비계기둥 연결부 내면의 4방에 접촉하여 연결부를 잡아주게 되고 상측비계기둥의 연결부를 회전시켜 연결돌기가 하측비계기둥의 결합홈에 결합하면 상측비계기둥의 연결부가 하측비계기둥의 연결부 외면에 흔들림없이 결합되어 견고한 연결이 이루어지게 만든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하측비계틀의 하측비계기둥(1) 상단에 형성된 연결자(2)의 하반부가 하측비계기둥속에 삽입되어 용접으로 부착되어 있고, 하측비계기둥상단에서 위로 돌출된 연결부에는 주벽외주면의 4등분된 지점에서 길이방향으로 단면이 반원형으로 된 세로방향결합돌조가 형성되어 있어서 하측비계기둥연결봉에 상측비계기둥의 하단연결부를 결합하면 상측비계기둥의 연결부 내면에 하측비계기둥의 연결자가 삽입되어 연결자 외주면에 형성된 4개의 세로방향결합돌조가 연결부 내주면에 균등히 접촉하므로 상측비계기둥의 연결부를 하측비계기둥연결자에 흔들림 없이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세로방향결합돌조 사이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삽입홈 하단부에서 세로방향결합돌조를 향해 직각되는 방향으로 통공부가 형성된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측비계기둥의 하단연결부를 하측비계기둥연결부에 결합할 때 4개의 삽입홈중 어느쪽으로든지 결합돌기가 삽입될 수 있어서 길이가 2M정도되는 상측비계기둥을 한손으로 잡고 하측비계기둥의 연결자에 결합할 때 결합이 쉬운 이점이 있으며, 삽입홈으로 결합돌기가 투입된후 상측비계기둥을 일정각도만 회전시키면 삽입홈 측방으로 있는 결합홈에 상측비계기둥의 결합돌기가 투입되어 상향이탈이 방지되므로 안전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어 정밀하고 견고한 연결장치를 얻을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실시된 비계틀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연결장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연결자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연결장치 조립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연결자에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평면예시도
도 6, 도 7은 종래의 연결장치 예시도
도 8은 도 7의 연결자 부분평면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세로방향 결합돌조 성형장치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작동상태 예시도이다.
본 고안은 하측비계틀을 구성하는 하측비계기둥(1)의 상단부에 상측비계틀을 구성하는 상측비계기둥(1a)의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가지고 일정길이를 유지하는 원통형 연결자(2)를 그 하반부가 하측비계기둥(1) 상단개방부에 삽입되게 결합하여 용접(W)으로 부착하고, 상기하측비계기둥 상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자(2)의 주벽 외주에 주벽외주면을 4등분한 지점에 단면이 반원형으로 되는 세로방향결합돌조(20)를 나란히 형성하여 4개의 세로방향결합돌조를 형성하고, 상기 세로방향결합돌조 사이에 각각 바닥이 평면으로 되고 바닥높이가 세로방향결합돌조 외표면보다 낮은 삽입부(30)을 형성하여 4개의 삽입부(30)가 연결자 외주면에 형성되게하며, 삽입부 하단부에서 삽입부와 인접한 세로방향결합돌조의 측면을 관통하고 세로방향결합돌조 길이방향과 직각을 유지하는 통공부(201)를 형성하여 통공부입구(201a)는 삽입부 표면보다 낮게하고 통공부출구(201b)는 삽입부 표면 보다 높게 걸림턱이 형성되는 결합홈(20a)을 형성하여 상측비계기둥(1a)의 연결부 내면에 형성된 걸림돌기(6)가 삽입부(30)를 통해 걸림홈(20a)에 착탈되도록 결합부를 형성시킨 구성이다.
상기에서 세로방향결합돌조는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정4각형의 모서리에 각각 세로돌조(a)가 형성된 코어재(b)를 연결자제조용 파이프(p)속에 삽입하고, 코어재외측에 배치되며 4개로 등분되어 각 분할체 내측면 중앙에 평면가압부(c)가 형성되고 그 양측에 세로방향결합돌조 성형홈(d)이 형성되며 상단부에 경사면(e)이 형성된 성형구(가)를 구비하고, 성형구 상단에 가압구(f)를 장치한 압착성형장치에 의하여 성형되어지게하여 단면이 반원형으로 되고 외표면의 높이가 연결자(2)의 외경과 동일하고 삽입부가 세로방향결합돌조 사이에 낮게 형성되는 세로방향결합돌조를 형성하게 된다.
1 : 하측비계기둥 1a : 상측비계기둥
2 : 연결자 6 : 걸림돌기
20 : 세로방향결합돌조 20a : 결합홈
30 : 삽입부 201 : 통공부
201a : 통공부입구 201b : 통공부출구
a : 세로돌조 b : 코어재
c : 평면가압구 d : 성형홈
e : 경사면 f : 가압구
p : 파이프 w : 용접

Claims (1)

  1. 하측비계기둥(1)의 상단부에 상측비계틀을 구성하는 상측비계기둥(1a)의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가지고 일정길이를 유지하는 원통형 연결자(2)를 그 하반부가 하측비계기둥(1) 상단개방부에 삽입되게 결합하여 용접(W)으로 부착하고, 상기하측비계기둥 상단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자(2)의 주벽 외주에 주벽외주면을 4등분한 지점에 단면이 반원형으로 되는 세로방향결합돌조(20)를 나란히 형성하여 4개의 세로방향결합돌조를 형성하고, 상기 세로방향결합돌조 사이에 각각 바닥이 평면으로 되고 바닥높이가 세로방향결합돌조 외표면보다 낮은 삽입부(30)을 형성하여 4개의 삽입부(30)가 연결자 외주면에 형성되게하며, 삽입부 하단부에서 삽입부와 인접한 세로방향결합돌조의 측면을 관통하고 세로방향결합돌조 길이방향과 직각을 유지하는 통공부(201)를 형성하여 통공부입구(201a)는 삽입부 표면보다 낮게하고 통공부출구(201b)는 삽입부 표면 보다 높게 걸림턱이 형성되는 결합홈(20a)을 형성하여 상측비계기둥(1a)의 연결부 내면에 형성된 걸림돌기(6)가 삽입부(30)를 통해 걸림홈(20a)에 착탈되도록 결합부를 형성시킨 비계틀의 비계기둥 연결장치



KR2020130004369U 2013-05-30 2013-05-30 비계틀의 비계기둥 연결장치 KR2004695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369U KR200469561Y1 (ko) 2013-05-30 2013-05-30 비계틀의 비계기둥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369U KR200469561Y1 (ko) 2013-05-30 2013-05-30 비계틀의 비계기둥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561Y1 true KR200469561Y1 (ko) 2013-10-18

Family

ID=50737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369U KR200469561Y1 (ko) 2013-05-30 2013-05-30 비계틀의 비계기둥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56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696A (ko) * 2017-01-02 2018-07-11 민복기 시스템 비계용 단관 연결구 및 단관 연결구조
KR102130228B1 (ko) * 2018-12-28 2020-07-03 장윤근 수평비계 시스템
KR200496863Y1 (ko) * 2022-05-26 2023-05-12 박희석 적층이 용이한 비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696A (ko) * 2017-01-02 2018-07-11 민복기 시스템 비계용 단관 연결구 및 단관 연결구조
KR102130228B1 (ko) * 2018-12-28 2020-07-03 장윤근 수평비계 시스템
KR200496863Y1 (ko) * 2022-05-26 2023-05-12 박희석 적층이 용이한 비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32698A1 (en) Electronic cigarette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KR200469561Y1 (ko) 비계틀의 비계기둥 연결장치
KR20130061158A (ko) 연결용 커플러
KR20090049250A (ko)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KR20170097357A (ko) 콘크리트 전주용 전주 연결구
KR101516423B1 (ko) 비계의 수평파이프용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KR102054706B1 (ko) 하이브리드 비계 구조물, 이를 위한 일체형 연결구
KR100645323B1 (ko) 형광램프와 소켓의 체결구조
KR101190382B1 (ko) 슬라이드식 철근 이음장치
CN204780886U (zh) 用于卡接式连接件的插接头
JP4896238B2 (ja) コネクタ
KR101208341B1 (ko) 다리 연결구를 갖는 테이블
JPS585806Y2 (ja) マンホ−ル用柵
CN207598655U (zh) 一种卡扣连接件
KR200413192Y1 (ko) 텐트폴 연결구
KR100308547B1 (ko) 철근연결구
KR20150003868U (ko) 파이프 결속장치
KR20150134826A (ko) 콘크리트 거푸집의 내측 모서리 부재
KR20130001979U (ko) 호스연결용 소켓
CN104453212A (zh) 一种新型凹凸螯合榫卯锁扣
KR20150088126A (ko) 비정형 그리드 쉘 구조물의 테넌 조인트
KR200410997Y1 (ko) 건축용 비계틀
KR100625067B1 (ko) 원터치 텐트의 폴대
KR20180020533A (ko) 내진용 철근 커플링장치
JP3116016U (ja) 合成樹脂製フェ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