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382B1 - 슬라이드식 철근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식 철근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382B1
KR101190382B1 KR1020120016606A KR20120016606A KR101190382B1 KR 101190382 B1 KR101190382 B1 KR 101190382B1 KR 1020120016606 A KR1020120016606 A KR 1020120016606A KR 20120016606 A KR20120016606 A KR 20120016606A KR 101190382 B1 KR101190382 B1 KR 101190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reinforcing
coupling housing
fixing screw
cri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사현
Original Assignee
김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사현 filed Critical 김사현
Priority to KR1020120016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3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382B1/ko
Priority to PCT/KR2013/001265 priority patent/WO20131224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6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different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플링 하우징상의 중앙부에 고정나사를 삽입할 시 커플링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철근 압착구의 횡방향 이동에 의해 커플링 하우징의 바깥쪽 단부로부터 삽입되는 철근을 고정시킴으로써 철근 이음 결합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식 철근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단부측에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일측단부가 삽입되는 철근 삽입구가 형성되며 중앙부에 종방향의 고정나사 삽입구가 형성된 커플링 하우징과, 상기 커플링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며 적어도 두개 이상의 복수개로 분할된 철근 압착구와, 상기 고정나사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각 철근 압착구를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시켜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단부 일정길이가 상기 철근 압착구에 의해 압착 고정되게 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슬라이드식 철근 이음장치{SLIDING TYPE REINFORCING IRON ROD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철근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플링 하우징상의 중앙부에 고정나사를 삽입할 시 커플링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철근 압착구의 횡방향 이동에 의해 커플링 하우징의 바깥쪽 단부로부터 삽입되는 철근을 고정시킴으로써 철근 이음 결합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식 철근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근 콘크리트는 철근과 콘크리트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서로 보완되게 일체 시켜 구성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압축응력에 대한 저항력 및 압축강도에 비해 인장응력에 대한 저항력 즉, 인장강도가 약해 약간의 인장응력으로도 균열이 생겨 파괴된다. 이와 같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콘크리트의 단점을 보강하기 위해 콘크리트의 인장응력이 작용하는 부분에 철근을 배치하여,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콘크리트에는 압축응력을 철근에는 인장응력을 각각 부담시켜 서로 협력하여 외력에 저항할 수 있게 조성된 구조물이다.
이러한 철근콘크리트의 생산방식에 있어서 시공의 가장 기초공정이 되는 배근공정은 철근콘크리트의 수명과 안정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공정이다. 여기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대형화 및 고층화로 인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내입되는 철근의 길이도 연장되게 되는데, 철근의 경우 일정길이의 규격품으로 그 길이가 한정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철근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이음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철근 이음 방법은 주로 겹이음, 가스압접 이음 및 기계적 이음 들이 이용되며, 특히 철근의 형상에 기계적, 물리적 변화를 주지 않고 철근을 연결시키는 기계적 이음 방법은 정하중과 동하중을 충분히 흡수하여 철근 이음 부분의 내구성을 지니도록 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시공을 확보할 수 있는 연결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철근 이음장치의 일 예를 도 6과 도 7에 도시하였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비되어 내주연에 다수개의 마디홈(12b)을 형성시키고 외주연 양측으로 숫나사(12a)를 형성시킨 결속구(12)와, 상기 결속구(12) 양측 외주연에 나사체결로 결합되도록 내주연에 암나사(11a)를 형성시키고 중앙부에 관통공(11b)을 형성시킨 슬리브 커플링(11)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철근 이음장치(10)의 이음 구조는 외주연에 다수개의 마디돌기(1a)를 형성시킨 양 철근(1)을 상호 연접시킨 다음, 이음 부분이 결속구(12)의 내주연 중앙부분에 위치되도록 하여 마디홈(12b)에 철근(1)의 마디돌기(1a)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한 쌍의 결속구(12)를 철근(1)에 가 결합시킨다. 이후, 슬리브 커플링(11)의 관통공(11b)을 철근(1)에 관통시켜 결속구(12) 외주연 양측에 형성시킨 숫나사(12a)에 슬리브 커플링(11)을 나사 체결로 결합하여 철근(1)과 결합된 한 쌍의 결속구(12)를 일체로 고정하여 철근(1)을 이음 결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10)는 이음 결합되는 철근(1)의 양단부를 정확한 치수로 절단하지 않을 경우 철근(1)의 양단부가 밀착되지 않아 연결장치(10)의 내부에서 철근(1)이 흔들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두개의 부재로 분할된 결속구는 서로 대향 되게 위치하여 슬리브 커플링의 결합에 의해 압착될 시 철근 측으로 충분한 압착력을 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철근 이음장치의 내부에서 철근이 미동하게 되어 철근 연결부위에서의 철근의 압축 및 굽힘 강도가 약하게 되고, 이로 인해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압축 및 굽힘에 대한 강성 및 변형을 감소시켜 철근 콘크리트구조물의 내진성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개발하여 출원한 철근이음장치인 특허출원 제10-2011-0017917호가 있다. 그러나 상기 개선된 철근이음장치에 있어서는, 철근의 이음 체결력은 유지되는 장점이 있으나 체결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여 사용상의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철근 이음을 위한 체결작업이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인 철근 이음을 도모할 수 있는 철근 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슬라이드식 철근 이음장치는, 단부측에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일측단부가 삽입되는 철근 삽입구가 형성되며 중앙부에 종방향의 고정나사 삽입구가 형성된 커플링 하우징과, 상기 커플링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며 적어도 두개 이상의 복수개로 분할된 철근 압착구와, 상기 고정나사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각 철근 압착구를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시켜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단부 일정길이가 상기 철근 압착구에 의해 압착 고정되게 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플링 하우징은 원형단면 구조를 가지며, 내주면의 직경은 가운데에서 단부쪽 방향으로 일정길이는 동일크기로 유지되고, 나머지 길이는 단부쪽으로 갈수록 작아져 경사지게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철근 압착구는, 상기 고정나사와 일측면이 접촉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로부터 단부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며,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압착 날개부와, 상기 각 압착 날개부의 내측면상에 형성된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구성이 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철근 압착구의 각 압착 날개부는 외측면부는 길이방향의 일정 지점을 기준으로 내측 중심부쪽은 직선부, 바깥쪽 단부측은 하향 경사면으로 형성된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철근 압착구의 중심부는 고정나사의 하부이동에 따라 철근 압착구의 횡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측의 일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부위는 직선부로 형성되게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커플링 하우징과 상기 철근 압착구의 접촉부는 철근 압착구의 횡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철근 압착구의 외측면상에 균일한 압력이 인가되도록 상기 커플링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각 철근 압착구의 외측면이 상호 대응되는 직선면과 경사면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고정나사는 외주면이 나사로 형성된 일정길이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저부에 형성된 경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상부면상에는 렌치홈이 형성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커플링 하우징은 일자형, 기역자형, 티(T)자형, 십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플링 하우징의 내부에서 철근 압착구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한 상호작용에 의해 커플링 하우징 내부에 삽입된 철근이 압착 고정되므로 철근 이음효과가 크며, 커플링 하우징의 상측에 고정나사만을 회전 삽입시키는 것만으로 철근이음이 이루어지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철근 이음에 따른 작업이 간단하여 작업능률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아울러, 삽입된 철근의 외측면과 직접 접촉하는 철근 압착구의 내측면상에 다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연결코자 하는 철근과의 물림효과도 뛰어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일자형의 커플링 하우징을 갖는 철근 이음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상기 도 1의 커플링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단일 철근 압착구의 사시도,
도 2b는 상기 도 1의 커플링 하우징의 중심부에 삽입되는 고정나사의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상기 도 1의 철근 이음장치의 내부 결합 구조를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철근 이음장치에 철근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철근 이음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과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예를 도시한 도면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일자형의 커플링 하우징을 갖는 철근 이음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는 상기 도 1의 커플링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단일 철근 압착구의 사시도이며,
도 2b는 상기 도 1의 커플링 하우징의 중심부에 삽입되는 고정나사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c는 상기 도 1의 철근 이음장치의 내부 결합 구조를 단면도로서, 도 3b는 고정나사가 커플링 본체부로 부터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3c는 상기 도 3a의 일부 확대도이다.
상기 도면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철근 이음장치(100)는 중앙부에 종방향의 고정나사 삽입구(81,83)가 형성되고 양측단에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 단부가 삽입되는 철근 삽입구(12,32)가 형성된 커플링 하우징(10,30)과, 상기 커플링 하우징(10,30)의 내측에 수용되며 내부로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도 4의 200a,200b)을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철근 압착구(50)와, 상기 고정나사 삽입구(81,83)로 삽입되어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각 철근 압착구(50)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고정나사(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서, 본 발명의 커플링 하우징(10,30)은 원형단면 구조를 가지며, 내주면의 직경은 가운데에서 단부쪽 방향으로의 일정길이는 동일크기로 유지되어 일직선을 이루고, 나머지 단부쪽 방향으로의 길이는 단부쪽으로 갈수록 작아져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하우징(10)의 내측면상에서 중앙부로부터 단부쪽으로 가는 길이 방향의 일정지점(P2)을 기준으로 중앙부쪽의 일정길이는 직선면으로, 단부쪽의 일정길이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도면상에서의 경사각은 (a)로 도시하였다. 상기 경사각(a)은 철근 압착구(50)의 횡방향 이동에 따라 삽입된 철근이 철근 압착구(50)에 의해 충분히 고정될 수 있는 범위에서 설정되게 한다.
또한, 철근 압착구(50)의 중심부에서 상기 지점 (P2)까지의 거리는 커플링 하우징(10)의 전체 길이의 대략 1/3 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플링 하우징(10,30)은 두 개의 구조로 분할된 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데, 이는 커플링 하우징(10,30)의 내부에 철근 압착구(50)가 수용되기 때문이며, 두 개의 분할된 커플링 하우징(10,30)은 가운데 부위에서 상호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게 한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하우징(10,30)의 두 나사 결합부(15,35)에서 나사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예시된 본 발명의 커플링 하우징(10,30)은 도 1에 도시된 일자형의 커플링 하우징(100) 이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의 커플링 하우징(300), 기역자형 커플링 하우징(500), 티(T)자형 커플링 하우징(700)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각 커플링 하우징의 형상에 따라 그 내부에 삽입되는 철근 압착구(50)의 수도 달라지게 된다.
예컨대, 일자형의 커플링 하우징(100)과 기역자형 커플링 하우징(500)의 경우 내부에 삽입되는 철근 압착구(50)의 수는 두 개가 되고, 티자형의 경우 세 개, 십자형의 경우 네 개가 된다.
본 발명의 커플링 하우징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일자형의 커플링 하우징(10,30)의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나사(70)가 삽입되는 나사 삽입구(81)는 본 발명의 커플링 하우징(10,30)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나사 삽입구(81)와 내주면은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고정나사(70)의 회전에 의해 고정나사(70)의 종방향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커플링 하우징(10,30)에 형성된 나사 삽입구(81)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크기를 가지나, 그 하측의 나사 삽입구(83)는 철근 압착구(50)의 횡방향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크기가 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철근 압착구(50)는, 도 2a 및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삽입구(81)를 중심으로 서로 대향 해 있는 위치로 상기 커플링 하우징(10,30)의 내부에 삽입된다.
즉, 본 발명의 철근 압착구(50)는 커플링 하우징(10,30)의 내부에서 서로 대향 해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만 각 철근 압착구(50)는 동일한 구조를 이룬다.
즉, 본 발명의 철근 압착구(50)는 고정나사(70)와 경사지게 접촉하는 중심부(51)와, 상기 중심부(51)로부터 바깥쪽 단부 부위로 연장되어 나오며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압착 날개부(53,55)와, 상기 각 압착 날개부(53,55)의 내측면상에 형성된 고정돌기(53a,55a)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철근 압착구(50)의 각 압착 날개부(53,55)에 있어서 외측면부는 길이방향의 일정지점(도 3c의 P1)을 기준으로 중심부측의 길이는 직선면으로, 단부측의 길이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는 커플링 하우징(10,30)의 내주면이 일정 지점(도 3c의 P2)을 기준으로 중심부측의 길이는 직선면으로, 단부측의 바깥측 길이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여 접촉하는 철근 압착구(50)의 해당부분도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커플링 하우징(10,30)의 내부에 삽입된 철근 압착구(50)가 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경우 철근 압착구(50)의 외측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동일하게 작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 압착구(50)의 전체 길이에 있어서, 중심부(51)로부터 중간의 일정 지점(P1)까지의 길이(ℓ1)는 일직선으로 되고, 상기 지점(P1)에서 단부측의 바깥까지의 길이(ℓ2)는 철근 압착구(50)의 직경이 작아져 경사진 구조를 이룬다. 즉 커플링 하우징(50)의 내주면의 직경이 바깥쪽 단부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므로 이에 대응하여 그 내측에 위치한 철근 압착구(50)의 외측면의 직경도 상기 지점(P1)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하여 철근 압착구(50)의 횡방향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철근 압착구(50)에 인가되는 압력이 균일하게 작용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철근 압착구(50)의 중심부(51)에 있어서, 상측의 일부는 경사면(51a)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는 일직선면(51b)으로 형성되게 한다. 이에 의해 고정나사(70)가 커플링 하우징(10,30)의 고정나사 삽입구(81)로 삽입되면 고정나사의 하부 경사부(도 2b의 73)가 철근 압착구 중심부(51)의 상부 경사면(51b)에 접촉하여 철근 압착구(50)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고정나사(70)의 하향 이동하는 거리에 따라 철근 압착구(50)는 횡방향(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고정나사(70)의 하부는 서로 대향 해 있는 두 개의 철근 압착구(50)의 중심부에 동시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두 개의 철근 압착구(50)는 함께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플링 하우징(10,30)과 상기 철근 압착구(50)의 접촉부는 철근 압착구(50)의 횡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철근 압착구(50)의 외측면상에 균일한 압력이 인가되도록 상기 커플링 하우징(10,30)의 내측면과 상기 각 철근 압착구(50)의 외측면이 상호 대응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고정나사(7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이 나사로 형성된 일정길이의 몸체(71)와, 상기 몸체(71)의 저부에 형성된 경사부(73)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71)의 상부면상에는 렌치와 같은 별도의 기구를 삽입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렌치홈(7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의 고정나사(70)는 커플링 하우징(10,30)에 형성된 고정나사 삽입구(81,83) 안으로 삽입되고, 삽입된 상태에서는 고정나사(70)의 상부면과 커플링 하우징(10,30)의 외측면이 동일 평면이 되도록 그 길이가 설정되도록 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철근 이음장치에 철근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철근 이음장치(100)에 연결된 철근(200a,220b)이 커플링 하우징(10,30)에 삽입되며, 고정나사(70)의 삽입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고정나사(70)가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나, 철근의 이음이 완료되는 상태에서는 고정나사(70)가 커플링 하우징(10,3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 상부면이 평면을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철근 이음장치에 있어서의 작동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호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200a,200b)의 일측 단부를 커플링 하우징(10,30)의 단부측 철근 삽입구(12,32)에 삽입한다. 이때 철근(200a,200b)을 삽입할 시에는 커플링 하우징(10,30)의 내부에 함께 설치되어 있는 철근 압착구(50)의 중심부(51)에 이르기까지 충분히 삽입하도록 한다.
이 후 커플링 하우징(10,30)의 중심부에 형성된 고정나사 삽입구(81) 측으로 고정나사(70)를 회전시켜 삽입시킨다. 고정나사(70)의 종방향 삽입이 이루어지면 고정나사의 하부 경사부(73)가 철근 압착구 중심부(51)의 상부 경사면(51a)과 접촉하여 철근 압착구(50)를 횡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때 철근 압착구(50)의 설치된 수만큼 동시에 접촉이 이루어지므로 다수의 철근 압착구(50)는 함께 이동이 이루어진다.
철근 압착구(50)의 횡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일정거리만큼 이루어지면 커플링 하우징(10,30)의 내주면이 경사져 있으므로, 횡방향으로 수평하게 이동하는 철근 압착구(50)의 작용에 의해 철근 압착구(50)의 압착 날개부(53,55)는 반경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이 힘에 의해 철근 압착구(50)의 압착 날개부(53,55)는 내부 삽입된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외측면을 압박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철근 압착구(50)의 압착 날개부(53,55)의 내측면에는 고정돌기(53a,55a)가 형성되어 있어 압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53a,55a)는 뾰족한 핀 형태로 할 수도 있으나 측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하여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30 : 커플링 하우징 11,31,51 : 나선부
12,32 : 철근 삽입구 13,33 : 커플링 하우징 내주면
15, 35 : 체결부
50 : 철근 압착구 51 : 철근 압착구 중심부
51a : 경사부 51b : 직선부
53,55 : 압착 날개부 53a, 55a : 고정돌기
56 : 이격 공간부
70 : 고정나사 71 : 몸체
73 : 경사부 75 : 렌치홈
80 : 커플링 본체부 81,83 : 고정나사 삽입구

Claims (9)

  1. 단부측에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일측단부가 삽입되는 철근 삽입구가 형성되며 중앙부에 종방향의 고정나사 삽입구가 형성된 커플링 하우징과,
    상기 커플링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며 적어도 두개 이상의 복수개로 분할된 철근 압착구와,
    상기 고정나사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각 철근 압착구를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시켜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단부 일정길이가 상기 철근 압착구에 의해 압착 고정되게 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각 철근 압착구는, 상기 고정나사와 일측면이 접촉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로부터 단부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며,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압착 날개부와, 상기 각 압착 날개부의 내측면상에 형성된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슬라이드식 철근 이음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하우징은 일자형, 기역자 형, 티(T)자 형, 십자형 중 임의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슬라이드식 철근 이음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하우징은 원형단면 구조를 가지며, 내주면의 직경은 가운데에서 단부쪽 방향으로 일정길이는 동일크기로 유지되고, 나머지 길이는 단부쪽으로 갈수록 작아져 경사지게 형성된 슬라이드식 철근 이음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근 압착구의 각 압착 날개부는 외측면부는 길이방향의 일정 지점을 기준으로 내측 중심부쪽은 직선부, 바깥쪽 단부측은 하향 경사면으로 형성된 구조를 이루는 슬라이드식 철근 이음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철근 압착구의 중심부는 고정나사의 하부이동에 따라 철근 압착구의 횡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측의 일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부위는 직선부로 형성된 슬라이드식 철근 이음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하우징과 상기 철근 압착구의 접촉부는 철근 압착구의 횡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철근 압착구의 외측면상에 균일한 압력이 인가되도록 상기 커플링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각 철근 압착구의 외측면이 상호 대응되는 직선면과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철근 이음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나사는 외주면이 나사로 형성된 일정길이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저부에 형성된 경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의 상부면상에는 렌치홈이 형성된 슬라이드식 철근 이음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하우징은 두개의 분할된 조립식 구조로 형성된 철근 이음장치.
KR1020120016606A 2012-02-17 2012-02-17 슬라이드식 철근 이음장치 KR101190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606A KR101190382B1 (ko) 2012-02-17 2012-02-17 슬라이드식 철근 이음장치
PCT/KR2013/001265 WO2013122439A1 (ko) 2012-02-17 2013-02-18 슬라이드식 철근 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606A KR101190382B1 (ko) 2012-02-17 2012-02-17 슬라이드식 철근 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0382B1 true KR101190382B1 (ko) 2012-10-16

Family

ID=47287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606A KR101190382B1 (ko) 2012-02-17 2012-02-17 슬라이드식 철근 이음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90382B1 (ko)
WO (1) WO201312243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0342A1 (ko) * 2013-08-28 2015-03-05 Lee Jong-Youl 유압력을 이용하여 철근을 커플링하는 장치
KR20180006093A (ko) * 2016-07-08 2018-0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페어 타이어 고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1147A (zh) * 2015-10-14 2015-12-30 沈阳建筑大学 一种钢筋偏心连接全灌浆套筒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438B1 (ko) * 2005-04-18 2007-05-02 (주)국제정공 철근 커플러
US20080172979A1 (en) * 2007-01-19 2008-07-24 Wilson Eric J Reinforcing bar splice with cutting edge bolts
KR100973437B1 (ko) * 2010-04-22 2010-08-02 거성 이.엔.지 주식회사 원터치 철근 커플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120B1 (ko) * 2011-03-08 2011-06-07 김현호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438B1 (ko) * 2005-04-18 2007-05-02 (주)국제정공 철근 커플러
US20080172979A1 (en) * 2007-01-19 2008-07-24 Wilson Eric J Reinforcing bar splice with cutting edge bolts
KR100973437B1 (ko) * 2010-04-22 2010-08-02 거성 이.엔.지 주식회사 원터치 철근 커플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0342A1 (ko) * 2013-08-28 2015-03-05 Lee Jong-Youl 유압력을 이용하여 철근을 커플링하는 장치
KR20180006093A (ko) * 2016-07-08 2018-0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페어 타이어 고정 시스템
KR102417396B1 (ko) * 2016-07-08 2022-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페어 타이어 고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22439A1 (ko) 201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5715Y1 (ko) 철근 이음장치
KR100665544B1 (ko) 철근 이음장치
JP5746809B2 (ja) 補強棒
US20220220742A1 (en) Rebar coupler
KR101190382B1 (ko) 슬라이드식 철근 이음장치
KR102062732B1 (ko) 나사체결 방식의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JP2020522634A (ja) 鉄筋連結具
KR101375535B1 (ko) 유압력을 이용하여 철근을 커플링하는 장치
KR20170059840A (ko) 결합성을 향상시킨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102101699B1 (ko) 철근 연결용 커플링
KR101374598B1 (ko) 철근 커플러
KR20120098159A (ko) 철근 이음장치
KR101858024B1 (ko) 철근이음장치
KR200341839Y1 (ko) 철근 이음장치
KR200321183Y1 (ko) 철근 이음장치
KR100633313B1 (ko) 철근 연결구
KR200469561Y1 (ko) 비계틀의 비계기둥 연결장치
KR200370224Y1 (ko) 철근 연결구
KR200378282Y1 (ko) 철근 이음장치
KR20190027066A (ko) 나선철근용 철근연결구
KR102027085B1 (ko) 철근 커플러
KR102163592B1 (ko)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100372832B1 (ko) 원터치형 철근 연결 장치
CN111441536A (zh) 一种榫卯装配式的半镂空灌浆套筒及其连接方法
KR200286102Y1 (ko) 철근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