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5357Y1 - 옷걸이용 행거의 봉체 길이 조절구조 - Google Patents

옷걸이용 행거의 봉체 길이 조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5357Y1
KR200325357Y1 KR20-2003-0018931U KR20030018931U KR200325357Y1 KR 200325357 Y1 KR200325357 Y1 KR 200325357Y1 KR 20030018931 U KR20030018931 U KR 20030018931U KR 200325357 Y1 KR200325357 Y1 KR 200325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sliding tube
fixed
pressing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9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구
Original Assignee
이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구 filed Critical 이정구
Priority to KR20-2003-00189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53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5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53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옷걸이를 횡으로 걸어 진열하는 데 이용되는 옷걸이용 행거를 구성하는 종, 횡의 봉체에 적용되는 길이 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고정관체의 내부에 습동관체가 끼워진 상태로 출몰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 상기 고정관체의 일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체내에 위치되는 신축성이 양호한 재질의 압압용 오링을 고정체에 유동 가능하게 나사 체결되는 조임구의 테이퍼진 선단을 이용하여 신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임구내에 끼워진 습동관체의 표면을 선택적으로 압압 지지하여 구속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봉체의 구속과 해제를 조임구의 단순한 돌림 동작만으로 해결할 수 있어 취급에 편의성을 기할 수 있으며, 구조를 적용하기 위해 별도로 봉체에 임의 보조 구조를 설치하거나 가공하는 과정이 필요없어 적용과정이 간편하고 기존의 구조에도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비교적 단순한 구조이고 봉체의 표면을 손상, 변형시키지 않는 구조이어서 제조원가의 절감과 외관의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옷걸이용 행거의 봉체 길이 조절구조{the length controler of post for hanger}
본 고안은 옷걸이를 횡으로 걸어 진열하는 데 이용되는 옷걸이용 행거를 구성하는 종, 횡의 봉체에 적용되는 길이 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고정관체의 내부에 습동관체가 끼워진 상태로 출몰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 상기 고정관체의 일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체내에 위치되는 신축성이 양호한 재질의 압압용 오링을 고정체에 유동 가능하게 나사 체결되는 조임구의 테이퍼진 선단을 이용하여 신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임구내에 끼워진 습동관체의 표면을 선택적으로 압압 지지하여 구속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봉체의 구속과 해제를 조임구의 단순한 돌림 동작만으로 해결할 수 있어 취급에 편의성을 기할 수 있으며, 구조를 적용하기 위해 별도로 봉체에 임의 보조 구조를 설치하거나 가공하는 과정이 필요없어 적용과정이 간편하고 기존의 구조에도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비교적 단순한 구조이고 봉체의 표면을 손상, 변형시키지 않는 구조이어서 제조원가의 절감과 외관의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칸 이상 설치되는 조립식 행거는 복수개의 종봉(포스트)을 천정과 지면사이에 반발력으로 일렬로 되게 설치한 후, 옷걸이가 걸리는 횡봉을 일단 또는 다단으로 고정되게 조립하여 사용하거나,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일부의 포스트 하부에 캐스터를 장착한 후 상기 종봉에 횡봉을 일단 또는 다단으로 고정되게 조립하여 의류의 진열과 보관을 용이토록 한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행거의 종, 횡봉은 하나의 단일 관체로 형성되거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고정관체 내에 습동관체가 삽입되어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데,
단일 관체로 된 행거의 기둥은 높이조절이 불가능하고 포장 및 운반이 불편하여 현재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주로 고정관체와 습동관체가 분리되는 구조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행거의 봉체는 고정관체에서 습동관체가 인출되는 길이에 따라 높이가 결정되는데 이때, 일정높이까지 인출된 습동관체를 고정관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 요구되었던 것으로 기존에는 볼트나 핀 또는 고정관체의 내면과 습동관체의 외면에 나선 홈을 형성하여 고정하도록 한 것을 사용한다.
하지만 볼트를 조여 습동관체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볼트를 조이고 푸는 작업이 번거로울 뿐 만 아니라 볼트 끝단에 의해 습동관체에 흠집이 남고 심하게는 조여진 부분이 찌그러져 외관이 흉해지고, 핀 고정식의 경우에는 습동관체의 외주에 일정간격으로 구멍을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 또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며, 볼트나 핀 등은 옷걸이 기둥에 포함되지 않는 작은 부품으로 분실의 우려가 높게 된다.
그리고 고정관체의 내면과 습동관체의 외면에 나선 홈을 형성하여 고정하는 경우에는 나선 홈이 형성된 부분까지만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천정의 높이나 옷가지의 길이에 따라 높이를 다변화하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외에도 바닥과 천장을 매개로 하는 옷걸이용 행거의 길이 조절장치는 1999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23201호에 게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 하부로 개구된 수장부의 상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일 측면에는 푸쉬버튼을 결합하기 위한 장착홈이 형성된 원통형상위 상부체와 일측으로 경사각을 이룬 체결부와 일 측면에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체를 일체로 결합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수장부에는 상부지주의 외경 보다 큰 직경은 갖는 코일스프링과 상, 하로 이동되면서 상부지주를 고정 및 해제하는 와셔를 내설하고, 일측에 형성된 장착홈에는 단부에 침부가 구비된 삼각형상의 푸쉬버튼을 일체로 결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옷걸이용 고정지주의 높이 조절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옷걸이용 고정지주의 길이조절장치는 푸쉬 버튼을 압압하여 상부지주의 외주연에 끼워진 와셔를 수평상태로 유지하여 고정지주와 와셔와의 사이에 형성된 미세간격에 의해 고정지주를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시키면서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고정지주의 길이 조절장치는 스프링의 상부에 안치되어 상부지주를 지지하는 와셔가 평면상태이므로 스프링의 불균형과 탄성을 저하시키고, 또 와셔에는 고정수단이 마련되지 않아 푸쉬버튼이 자연스럽게 작동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구조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봉체의 구속과 해제를 고정구의 단순한 돌림 동작만으로 해결할 수 있어 취급에 편의성을 기할 수 있으며, 또한 구조의 적용을 위해 봉체를 별도로 가공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기존의 구조에도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비교적 단순한 구조이고 봉체의 표면을 손상, 변형시키지 않는 구조의 행거의 길이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고정관체의 내부에 습동관체가 끼워진 상태로 출몰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 상기 고정관체의 일 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체내에 위치되는 신축성이 양호한 재질의 압압용 오링을 고정체에 유동 가능하게 나사 체결되는 조임구의 테이퍼진 선단을 이용하여 신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임구내에 끼워진 습동관체의 표면을 선택적으로 압압 지지하여 구속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적용된 행거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일 구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적용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예시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고정관체 2 : 습동관체
10 : 고정체 11 : 체결용 암나사부
12 : 걸림턱 13 : 변형 유도용 라운딩부
20 : 압압용 오링 30 : 조임구
31 : 돌림용 손잡이부 32 : 절결부
33 : 안내 경사면
도 1은 본 고안의 적용된 행거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일 구조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적용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예시도이다.
상기의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는 고정관체(1)의 내부에 습동관체(2)가 끼워진 상태로 출몰되는 종횡의 행거용 봉체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체(1)의 일 단부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며 내부에 체결용 암나사부(11)와 변형 유도용 라운딩부(13)를 구비하는 걸림턱(12)을 구비하는 관체형의 고정체(10)와;
상기 고정체(10)의 내부에 위치되며 외력에 의해 내경의 신축이 가능하도록 고무나 우레탄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 등의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의 습동관체(2)를 선택적으로 압압 구속하기 위한 원형 단면의 압압용 오링(20)과;
상기 고정체(10)의 체결용 암나사부(11)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며 외측단에는 돌림용 손잡이부(31)가 구성되고 내측단에는 내경 수축이 가능하도록 일정 깊이로 다수의 절결부(32)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압압용 오링(20)의 변형량이 습동관체(2)의 표면으로 집중되도록 중앙을 향해 요입되게 경사지는 안내 경사면(33)을 구비하는 관체형의 조임구(3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고정관체(1)와 습동관체(2)로 구성되는 봉체는 도 1에서와 같이 천장면과 바닥면을 기초로 하여 입설시킨 한 조의 종봉에 횡봉을 횡으로 결합시켜 행거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체(10)는 걸림턱(12)을 기준으로 체결용 암나사부(11)의 반대 측에 고정관체(1)가 결합되며 결합방식은 억지 끼움 또는 별도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일체화시키게 되며 압압용 오링(20)의 내경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았을 때 습동관체(2)의 외경에 비해 약간 크거나 같도록 하여 습동관체(2)의 유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 정도로 한다.
도 3의 상태는 조임구(30)를 조이기 전의 상태로서 조임구(30)가 체결용 암나사부(11)에 완전히 체결되지 않아 추가적인 조임이 가능한 상태이고 따라서 조임구(30) 선단의 안내 경사면(33)이 압압용 오링(20)을 압박 변형시키지 않는 상태로내경수축이 발생되지 않아 압압용 오링(20)은 내부에 끼워진 습동관체(2)에 압압 지지력을 가하지 않고 단순히 접촉되거나 떨어져 있는 상태로서 고정관체(1)내에서 습동관체(2)가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종봉 또는 횡봉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일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는 습동관체(2)를 고정관체(1)에서 적당한 길이만큼 인출시키거나 몰입시켜 길이를 조절한 다음 도 4에서와 같이 조임구(30)를 조임 방향으로 돌려주면 조임구(30)가 체결용 암나사부(11)를 타고 전진되면서 고정체(10)의 내부로 몰입되며 안내 경사면(33)이 전진되면서 압압용 오링(20)을 밀게 되면 걸림턱(12)에 걸려져 이동이 불가능한 압압용 오링(20)의 단면은 찌그러지면서 변형되고 그 변형부분은 안내 경사면(33)의 각도에 의해 습동관체(2)의 표면으로 집중되는 것으로 조임구(30)단부의 내경 수축에 층이어서 강한 압압력과 마찰력을 통해 습동관체(2)를 구속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조임구(30)가 몰입될 때 내측단부는 변형 유도용 라운딩부(13)에 접하면서 도 4에서와 같이 안으로 모아지면서 내경이 수축되어 습동관체(2)의 표면을 압박하게 되어 구속력을 보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습동관체(2)의 구속력은 압압용 오링(20)의 수축력과 비례하며 압압용 오링(20)은 적정의 강도와 탄성력이 요구되며 내구성이 우수하며 금속 관체와의 마찰력이 우수한 소재를 적용함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조임구(30)의 조임 상태에서 재차 봉체의 길이 조절이 요구되는 경우에 구속된 습동관체(2)를 풀어주기 위하여 조임구(30)를 역방향으로 돌려주면조임구(30)가 고정체(10)에서 빠져 나오면서 압압용 오링(20)을 압박하고 있던 안내 경사면(33)의 후퇴에 의해 압압용 오링(20)에 가하고 있는 압압력이 완화, 해제되어 더 이상 습동관체(2)를 구속하지 않게 되고 절결부(32) 또한 원위치로 복귀되어 내경이 원래의 의기로 복귀되어 습동관체(2)를 압박하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봉체의 구속과 해제를 고정구의 단순한 돌림 동작만으로 해결할 수 있어 취급에 편의성을 기할 수 있으며, 또한 구조의 적용을 위해 봉체를 별도로 가공할 필요가 없는 것이어서 제조공정의 단축과 원가의 절감을 기할 수 있으며, 기존의 구조에도 신속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어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비교적 단순한 구조이고 봉체의 표면을 손상, 변형시키지 않는 구조이어서 외관의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품의 신지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갖는 고정관체(1)의 내부에 습동관체(2)가 끼워진 상태로 출몰되는 종횡의 행거용 봉체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체(1)의 일 단부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며 내부에 체결용 암나사부(11)와 변형 유도용 라운딩부(13)를 구비하는 걸림턱(12)을 구비하는 관체형의 고정체(10)와;
    상기 고정체(10)의 내부에 위치되며 외력에 의해 내경의 신축이 가능하도록 고무나 우레탄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 등의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며 상기의 습동관체(2)를 선택적으로 압압 구속하기 위한 원형 단면의 압압용 오링(20)과;
    상기 고정체(10)의 체결용 암나사부(11)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며 외측단에는 돌림용 손잡이부(31)가 구성되고 내측단에는 내경 수축이 가능하도록 일정 깊이로 다수의 절결부(32)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압압용 오링(20)의 변형량이 습동관체(2)의 표면으로 집중되도록 중앙을 향해 요입되게 경사지는 안내 경사면(33)을 구비하는 관체형의 조임구(3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용 행거의 봉체 길이 조절구조.
KR20-2003-0018931U 2003-06-13 2003-06-13 옷걸이용 행거의 봉체 길이 조절구조 KR2003253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931U KR200325357Y1 (ko) 2003-06-13 2003-06-13 옷걸이용 행거의 봉체 길이 조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931U KR200325357Y1 (ko) 2003-06-13 2003-06-13 옷걸이용 행거의 봉체 길이 조절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801A Division KR20040060893A (ko) 2004-06-10 2004-06-10 옷걸이용 행거의 봉체 길이 조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5357Y1 true KR200325357Y1 (ko) 2003-09-02

Family

ID=49337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931U KR200325357Y1 (ko) 2003-06-13 2003-06-13 옷걸이용 행거의 봉체 길이 조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53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901B1 (ko) U형채널과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
KR200325357Y1 (ko) 옷걸이용 행거의 봉체 길이 조절구조
KR20040060893A (ko) 옷걸이용 행거의 봉체 길이 조절구조
KR20040060892A (ko) 옷걸이용 행거의 봉체 길이 조절구조
KR200325358Y1 (ko) 옷걸이용 행거의 봉체 길이 조절구조
KR101025032B1 (ko) 스프링클러용 지지대
CN208863748U (zh) 一种免打孔可快速拆装的置物架
KR100819888B1 (ko) 수납 선반용 신축 지주
KR20120002743U (ko) 등산 지팡이의 길이 조절장치
KR200421453Y1 (ko) 옷걸이 행거용 고정지주의 길이 조절장치
KR101693969B1 (ko) 행거폴대 조절구
KR20040076236A (ko) 옷걸이 행거용 봉체 길이 조절구의 구조
KR200332358Y1 (ko) 옷걸이 행거용 봉체 길이 조절구의 구조
CN102638738A (zh) 一种麦克风支架
GB2368076A (en) Fabric tensioner
CN217153550U (zh) 一种支架
KR20060012496A (ko) 낚싯대용 팔 받침대
AU2004200862C1 (en) A toggle
KR100994290B1 (ko) 낚시대 받침틀에 사용하는 신축조절지주
CN212337819U (zh) 一种可保护钓台腿的抱紧式结构
CN113521652B (zh) 一种健身车用束缚式脚蹬结构
CN202514045U (zh) 一种麦克风支架
KR20140004487U (ko) 길이 가변형 다목적 기둥
KR200366213Y1 (ko) 화환 받침대
JPH08228869A (ja) 押圧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