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4641A - 화상 표시 디바이스 및, 화상 표시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 디바이스 및, 화상 표시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4641A
KR20160114641A KR1020167023146A KR20167023146A KR20160114641A KR 20160114641 A KR20160114641 A KR 20160114641A KR 1020167023146 A KR1020167023146 A KR 1020167023146A KR 20167023146 A KR20167023146 A KR 20167023146A KR 20160114641 A KR20160114641 A KR 20160114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display
cells
cell group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3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4285B1 (ko
Inventor
마사미 이노쿠치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4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28Diffraction gratings; Holog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4Pass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09Photograph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02B5/1842Gratings for image gene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005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 G03H1/0011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for security o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03H1/024Hologram nature or properties
    • G03H1/0244Surface relief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93Special hologra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conoscopic, referenceless holograph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G03H1/30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discrete holograms only
    • G06F19/12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03H2001/0208Individual components other than the hologram
    • G03H2001/0232Mechanical components or mechanical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93Special hologra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conoscopic, referenceless holography
    • G03H2001/0497Dot matrix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49Holobject properties
    • G03H2001/2263Multicoloured holobject
    • G03H2001/2271RGB holobjec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10/00Object characteristics
    • G03H2210/50Nature of the object
    • G03H2210/54For individualisation of produc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7/00Mechanical components or mechanical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3H2227/04Production line for mass produ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50/00Laminate comprising a hologram layer
    • G03H2250/10Laminate comprising a hologram layer arranged to be transferred onto a carrier bod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50/00Laminate comprising a hologram layer
    • G03H2250/36Conform enhancement lay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50/00Laminate comprising a hologram layer
    • G03H2250/42Reflective lay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70/00Substrate bearing the hologram
    • G03H2270/10Composition
    • G03H2270/12Fibrous, e.g. paper, texti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Holo Graphy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Abstract

화상 표시 디바이스는, 각각 홀로그램층을 가지며 2차원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상 셀을 구비한다. 홀로그램층은,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1차원의 격자 패턴이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서 반복된 회절 격자를 포함한다. 복수의 화상 셀 중, 제2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며, 또한, 하나의 색에 대응지어진 복수의 화상 셀이, 하나의 화상 셀군이다. 화상 셀군은, 화상 표시 디바이스에 대한 소정의 방향에 시점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화상 셀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상 셀이 서로 동일한 색을 표시하도록, 제2 방향에 있어서 화상 셀군의 한쪽 단부로부터의 거리가 클수록 회절 격자의 공간 주파수가 작은 부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표시 디바이스 및, 화상 표시 매체{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DIUM}
본 개시의 기술은,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디바이스 및, 화상 표시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매체에 관한 것이다.
개인 인증 매체의 일례인 여권은, 소유자의 얼굴 화상을 표시하는 소유자 표시부를 갖고 있다. 얼굴 사진의 게재에 의한 얼굴 화상의 표시는, 얼굴 사진을 바꾸어 붙임에 의한 개찬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최근의 소유자 표시부는, 얼굴 사진의 게재를 대신하여, 소유자의 얼굴 화상을 지면에 고정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내지 3을 참조). 그 중에서도, 회절 격자를 포함하는 광학적 박막을 얼굴 화상 위에 접착하거나, 나아가서는, 홀로그램 리본의 일부를 여권에 열 전사하여 홀로그램에 의해 얼굴 화상을 표시하거나 하는 OVD(광학적 가변 디바이스: Optical Variable Device) 기술은, 부정 행위를 억제하는 점에 있어서 효과적이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4를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2674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49-13114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2317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0-49647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OVD 기술을 이용한 여권이어도, 그것의 위조나 개찬 등의 부정 행위는 끊이지 않는다. 그로 인해, 얼굴 화상의 진위를 이용자의 육안에 의해 용이하게 판별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화상의 진위 판별을 용이하게 하는 요청은, 여권이 갖는 소유자 표시부에 한하지 않고, OVD 기술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디바이스에 있어서 공통된다.
본 개시의 기술은, 육안에 의한 화상의 진위 판별이 용이한 화상 표시 디바이스 및, 화상 표시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화상 표시 디바이스는, 각각 홀로그램층을 가지며 2차원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상 셀을 구비하고, 상기 홀로그램층이,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1차원의 격자 패턴이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서 반복된 회절 격자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디바이스이다. 또한, 복수의 상기 화상 셀 중,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며, 또한, 하나의 색에 대응지어진 복수의 상기 화상 셀이, 하나의 화상 셀군이다. 그리고, 상기 화상 셀군은, 상기 화상 표시 디바이스에 대한 소정의 방향에 시점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화상 셀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상기 화상 셀이 서로 동일한 색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화상 셀군의 한쪽 단부로부터의 거리가 클수록 상기 회절 격자의 공간 주파수가 작은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다른 화상 표시 디바이스는, 홀로그램층을 가지며 2차원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상 셀을 구비하고, 상기 홀로그램층이,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1차원의 격자 패턴이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서 반복된 회절 격자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디바이스이다. 또한, 복수의 상기 화상 셀 중,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며, 또한, 하나의 색에 대응지어진 복수의 상기 화상 셀이, 하나의 화상 셀군이다. 그리고, 상기 화상 표시 디바이스에 대한 소정의 방향에 시점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하나의 상기 화상 셀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상기 화상 셀이 서로 동일한 색을 표시하도록, 상기 화상 셀군은, 상기 화상 셀군에 있어서의 상기 회절 격자의 공간 주파수 f와, 상기 하나의 색의 광 파장 λ가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부분을 갖는다.
f=(sinα-sinβ)/λ (α>β) …(1)
입사각 α는, 상기 화상 표시 디바이스에 대한 조명광의 입사각이며, 회절각 β는, 상기 격자 패턴에 있어서의 회절광 중에서 상기 시점을 통과하는 회절광의 회절각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화상 표시 매체는, 소유자의 얼굴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매체이며, 상기 화상 표시 디바이스는, 상술한 화상 표시 디바이스이다.
상기 각 구성에 의하면, 화상 셀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상 셀의 각각이 같은 색을 표시하기 때문에, 이러한 시인의 결과가 얻어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화상의 진위를 판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기술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매체를 여권에 구체화한 일 실시 형태의 여권을 제1 화상 표시부와 제2 화상 표시부를 포함하는 지면이 펼쳐진 상태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화상 표시부에 있어서의 단층 표시부의 평면 구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 평면도이며, 수상층(受象層)의 일부가 가상적으로 박리된 상태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제1 화상 표시부에 있어서의 단층 표시부의 단면 구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2의 3-3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화상 표시부에 있어서의 적층 표시부의 평면 구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 평면도이며, 수상층의 일부가 가상적으로 박리된 상태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화상 표시부에 있어서의 적층 표시부의 단면 구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4의 5-5선 단면도이다.
도 6은 홀로그램 리본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홀로그램 리본의 평면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미세 요철 형성층의 형성 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미세 요철 형성층이 강화하는 광의 파장과 미세 요철 형성층에 있어서의 공간 주파수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기하 광학도이다.
도 9의 (a)는 미세 요철 형성층에 있어서의 공간 주파수의 분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미세 요철 형성층의 측면도 및, 도 9의 (b)는 미세 요철 형성층에 있어서의 공간 주파수의 분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미세 요철 형성층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홀로그램 리본을 피전사체에 전사하여 화상 셀을 형성하는 전사 공정을 홀로그램 리본의 단면 구조를 사용하여 도시하는 공정도이며, 도 10의 (a)는 홀로그램 리본이 피전사체에 면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10의 (b)는 화상 셀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1 화상 표시부의 단면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전사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3은 홀로그램 리본에 있어서 전사되는 범위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제1 화상 표시부가 표시하는 얼굴 화상의 관찰 결과를 도시하는 표시 화상도이며, 도 14의 (a)는 실시예의 제1 화상 표시부가 표시하는 얼굴 화상의 관찰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의 (b)는 비교예의 제1 화상 표시부가 표시하는 얼굴 화상의 관찰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변형예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공 정도이다.
도 16은 변형예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기술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매체를 여권에 구체화한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권(10)은, 화상 표시 디바이스의 일례인 제1 화상 표시부(12) 및, 제2 화상 표시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여권(10)을 구성하는 복수의 시트(11)는, 예를 들어 여권(10)을 구성하는 철해진 종이이며, 제1 화상 표시부(12) 및, 제2 화상 표시부(13)는, 여권(10)을 구성하는 복수의 시트(11) 중에서, 소유자의 신원을 나타내는 시트(11)에 형성되어 있다.
제1 화상 표시부(12)는, 시트(11)의 지면 상에 있어서 소유자의 얼굴 화상을 표시하는 광학 디바이스를 갖고, 소유자의 얼굴 화상을 구성하는 광의 진폭, 광의 파장 및, 광의 위상으로서 소유자의 얼굴 화상을 기억하는 부분이다. 제1 화상 표시부(12)는, 광학 디바이스로서 회절 격자를 포함하는 홀로그램층을 갖고 있다. 제1 화상 표시부(12)는, 예를 들어 서멀 헤드를 사용한 홀로그램 시트의 열전사 기록, 서멀 헤드를 사용한 열전사 기록 후의 핫 스탬프, 또는, 열 롤을 사용한 열전사 기록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 화상 표시부(12)는, 단층 표시부(12a)와 적층 표시부(12b)를 포함하고 있다.
제2 화상 표시부(13)는, 시트(11)의 지면 상에 있어서 소유자의 얼굴 화상을 표시하는 안료나 색소 등으로 구성되고, 소유자의 얼굴 화상을 구성하는 광의 진폭 및, 광의 파장으로서 소유자의 얼굴 화상을 기억하는 부분이다. 즉, 제2 화상 표시부(13)는, 소유자의 얼굴 화상을 광의 진폭과 광의 파장에 의해 표현한 인쇄부이다. 제2 화상 표시부(13)가 표시하는 소유자의 얼굴 화상은, 제1 화상 표시부(12)가 표시하는 소유자의 얼굴 화상과 같은 외관을 나타낸다. 제2 화상 표시부(13)는, 예를 들어 서멀 헤드를 사용한 열전사 기록법, 잉크젯 기록법, 전자 사진법, 감열 발색제를 포함한 발색층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빔 묘화법 등, 이들 방법 중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사용함으로써, 또는, 이들 방법 중 복수를 조합한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화상 표시부(12)가 갖는 면적은, 제2 화상 표시부(13)가 갖는 면적에 비하여, 예를 들어 0.25배 이상, 2배 이하의 범위 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화상 표시부(12)가 갖는 면적이, 제2 화상 표시부(13)가 갖는 면적에 비하여 상기 범위 내의 배율을 가질 때, 제1 화상 표시부(12)가 표시하는 화상과, 제2 화상 표시부(13)가 표시하는 화상의 비교가 용이하며, 화상끼리의 대조의 정밀도가 높아진다. 제1 화상 표시부(12)가 표시하는 얼굴 화상과, 제2 화상 표시부(13)가 표시하는 얼굴 화상에 있어서, 세로 방향을 따른 각 얼굴 화상의 길이는, 가로 방향을 따른 각 얼굴 화상의 길이에 비하여 서로 동일한 비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제1 화상 표시부(12)가 표시하는 화상과, 제2 화상 표시부(13)가 표시하는 화상의 비교가 용이하며, 화상끼리의 대조의 정밀도가 높아진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1 화상 표시부(12)의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제1 화상 표시부(12)의 단층 표시부(12a)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제1 화상 표시부(12)의 적층 표시부(12b)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11) 중에서 단층 표시부(12a)가 형성된 부분은, 종이재(15)와 수상층(16)을 구비하고, 수상층(16)은, 광투과성을 갖는 수지로 형성되며, 종이재(15)를 피복하고 있다.
단층 표시부(12a)에 있어서, 수상층(16)의 표면(16a) 상에는, 복수의 화상 셀(20)이 2차원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화상 셀(20)은, 제1 화상 셀(20a), 제2 화상 셀(20b) 및, 제3 화상 셀(20c)을 포함한다. 복수의 화상 셀(20)은, 수상층(16)의 표면(16a)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미소한 원형 형상을 갖고 있다. 복수의 화상 셀(20)의 중심은, 수상층(16)의 표면(16a)에 있어서, 도 2의 점선이 나타내듯이, 가상의 평면 격자인 정방 격자(16b)의 격자점(16c)에 위치하고 있다.
제1 화상 셀(20a)은, 얼굴 화상을 구성하는 광의 진폭, 광의 파장 및, 광의 위상을 기억한 릴리프 구조를 갖고 있다. 릴리프 구조에 있어서,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인 격자 패턴이, 가로 방향과 직교하는 세로 방향을 따라 반복되어 있다. 가로 방향은, 제1 방향의 일례이며, 세로 방향은, 제2 방향의 일례이다. 제1 화상 셀(20a)은, 릴리프 구조를 회절에 사용하는 홀로그램 소자이며, 세로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화상 셀(20a)은, 하나의 제1 화상 셀군을 구성하고 있다.
미리 정해진 입사 각도로부터 제1 화상 셀(20a)에 조명광이 입사될 때, 미리 정해진 시점인 정점(定点)에 있어서, 특정한 파장을 가진 광끼리 서로 강화하도록, 제1 화상 셀(20a)의 공간 주파수는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상 셀(20a)은, 적색에 대응하는 광을 서로 강화하는 공간 주파수를 갖고 적색에 대응지어져 있다. 적색에 대응하는 광은, 단일의 파장을 갖는 광이어도 되고, 일정한 범위를 가진 파장을 갖는 광이어도 되며, 적색으로서 시인되는 광이면 된다.
제2 화상 셀(20b)도 또한, 얼굴 화상을 구성하는 광의 진폭, 광의 파장 및, 광의 위상을 기억한 릴리프 구조를 갖고, 제2 화상 셀(20b)이 갖는 릴리프 구조는, 제1 화상 셀(20a)이 갖는 릴리프 구조와는 상이한 파장을 기억하고 있다. 세로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2 화상 셀(20b)은, 하나의 제2 화상 셀군을 구성하고 있다. 미리 정해진 입사 각도로부터 제2 화상 셀(20b)에 조명광이 입사될 때, 미리 정해진 시점인 정점에 있어서, 제1 화상 셀(20a)과는 상이한 특정한 파장을 가진 광끼리 서로 강화하도록, 제2 화상 셀(20b)의 공간 주파수는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2 화상 셀(20b)은, 녹색에 대응하는 광을 서로 강화하는 공간 주파수를 갖고 녹색에 대응지어져 있다. 녹색에 대응하는 광은, 단일의 파장을 갖는 광이어도 되고, 일정한 범위를 가진 파장을 갖는 광이어도 되며, 녹색으로서 시인되는 광이면 된다.
제3 화상 셀(20c)도 또한, 얼굴 화상을 구성하는 광의 진폭, 광의 파장 및, 광의 위상을 기억한 릴리프 구조를 갖고, 제3 화상 셀(20c)이 갖는 릴리프 구조는, 제1 화상 셀(20a)이 갖는 릴리프 구조 및, 제2 화상 셀(20b)이 갖는 릴리프 구조와는 상이한 파장을 기억하고 있다. 세로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3 화상 셀(20c)은, 하나의 제3 화상 셀군을 구성하고 있다. 미리 정해진 입사 각도로부터 제3 화상 셀(20c)에 조명광이 입사될 때, 미리 정해진 시점인 정점에 있어서, 제1 화상 셀(20a) 및, 제2 화상 셀(20b)과는 상이한 특정한 파장을 가진 광끼리 서로 강화하도록, 제3 화상 셀(20c)의 공간 주파수는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3 화상 셀(20c)은, 청색에 대응하는 광을 서로 강화하는 공간 주파수를 갖고 청색에 대응지어져 있다. 청색에 대응하는 광은, 단일의 파장을 갖는 광이어도 되고, 일정한 범위를 가진 파장을 갖는 광이어도 되며, 청색으로서 시인되는 광이면 된다.
세로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모든 화상 셀(20)의 각각은, 제1 화상 셀군, 제2 화상 셀군 및, 제3 화상 셀군 중 어느 하나에 속해 있다. 그로 인해, 세로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화상 셀(20)의 각각이 3개의 색 중 어느 것에 귀속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화상의 진위가 판별되기 때문에, 하나의 색의 시인에만 의해 화상의 진위가 판별되는 구성과 비하여, 화상의 진위의 판별에 있어서의 결과의 정밀도가 높아진다.
도 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층 표시부(12a)에 있어서, 수상층(16)의 표면(16a)의 위에는, 제1 화상 표시부(12)를 구성하는 복수의 화상 셀(20)이 위치하고 있다. 수상층(16)은, 복수의 화상 셀(20)의 각각과 종이재(15)를 접착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복수의 화상 셀(20)은, 수상층(16)의 표면(16a)을, 화상 셀(20)이 위치하는 영역인 단층 셀 영역과, 화상 셀(20)이 위치하지 않는 영역인 비셀 영역으로 구획한다.
도 4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11) 중에서 적층 표시부(12b)가 설치된 부분은, 단층 표시부(12a)가 설치된 부분과 동일하게, 종이재(15)와 수상층(16)을 구비하고 있다. 적층 표시부(12b)에 있어서, 수상층(16)의 표면(16a)의 위에는, 단층 표시부(12a)와 동일하게, 복수의 화상 셀(20)이 2차원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화상 셀(20)은, 수상층(16)의 표면(16a)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거의 정사각형 형상을 갖고, 도 4의 점선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상의 평면 격자인 정방 격자(16b)의 격자점(16c)에 위치하고 있다. 적층 표시부(12b)는, 제1 화상 셀(20a), 제2 화상 셀(20b), 제3 화상 셀(20c) 중 어느 하나가 세로 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부위를 갖고 있다. 동일한 종류의 화상 셀(20)이 세로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부위는, 그 종류의 화상 셀(20)이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띠 형상을 갖고 있다.
도 5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층 표시부(12b)는, 2개의 화상 셀(20)이 겹쳐지는 부위를 갖고 있다. 겹쳐진 2개의 화상 셀(20)은, 제1 화상 셀(20a), 제2 화상 셀(20b), 제3 화상 셀(20c) 중에서, 서로 상이한 2종류의 화상 셀(20)이어도 되고, 미리 선택되는 1종류의 화상 셀(20)이어도 된다. 도 5에서는, 제2 화상 셀(20b)에 제3 화상 셀(20c)이 겹쳐지는 부위와, 제1 화상 셀(20a)에 제3 화상 셀(20c)이 겹쳐지는 부위가 예시되어 있다.
또한, 화상 셀(20)의 위치를 정하는 가상적인 평면 격자는, 정방 격자(16b)에 한하지 않고, 삼각 격자나 직사각형 격자 등의 다른 격자여도 된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화상 셀(20)의 위치는, 화상 셀(20)의 윤곽끼리 1점에서 접해도 되고, 화상 셀(20)의 일부끼리 서로 중첩되어 있어도 되며, 화상 셀(20)의 윤곽끼리 서로 이격되어 있어도 된다. 서로 인접하는 화상 셀(20)에 있어서, 화상 셀(20) 사이에 있어서의 중심 간 거리는, 0.085㎜ 이상, 0.508㎜ 이하, 환언하면, 약 300dpi 이상, 약 50dpi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화상 셀(20)에 있어서, 화상 셀(20) 사이에 있어서의 중심 간 거리는, 0.085㎜ 이상, 0.169㎜ 이하, 환언하면, 약 300dpi 이상, 약 150dpi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서로 인접하는 화상 셀(20) 사이에 있어서의 중심 간 거리가 상기 범위 내이면, 복수의 화상 셀(20)에 의해, 정교한 얼굴 화상이 얻어진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화상 셀(20)사이에 있어서의 중심 간 거리가 상기 범위 내이면, 복수의 화상 셀(20)에 의해 표시되는 얼굴 화상의 재현성이 향상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1 화상 표시부(12)의 상세한 구성을 그 제조 방법과 함께 설명한다. 먼저, 제1 화상 표시부(12)의 제조에 사용되는 홀로그램 리본(30)을 설명한다.
도 6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로그램 리본(30)은, 지지체(31)를 구비하고, 지지체(31)에는, 박리 보호층(32), 미세 요철 형성층(33), 투명 반사층(34) 및, 접착층(35)으로 구성된 다층 구조체인 전사체(36)가 접촉되어 있다. 지지체(31)와 접착층(35)은, 박리 보호층(32), 미세 요철 형성층(33) 및, 투명 반사층(34)을 사이에 끼우고, 박리 보호층(32)과 투명 반사층(34)은, 미세 요철 형성층(33)을 사이에 끼우고 있다.
지지체(31)는, 예를 들어 수지 필름 및, 수지 필름보다도 두껍고, 또한, 그 두께보다도 충분히 넓은 표면을 가진 평면적인 수지제의 박판을 포함하는 수지 시트이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내열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31)에 있어서 박리 보호층(32)과 접촉하는 면인 지지체(31)의 박리면(31a)에는, 박리면(31a)과 박리 보호층(32)의 사이에, 예를 들어 불소 수지나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이형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박리 보호층(32)은, 광투과성을 갖는 층이며,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박리 보호층(32)은, 전사체(36)의 지지체(31)로부터의 박리의 안정성을 높이는 기능과, 화상 셀(20)과 수상층(16)의 접착을 촉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전사체(36)의 지지체(31)로부터의 박리성이나 화상 셀(20)과 수상층(16)의 접착성을 특히 필요로 하지 않는 제법이라면, 이러한 박리 보호층(32)은 생략되어도 된다.
미세 요철 형성층(33)은, 박리 보호층(32)보다도 높은 광투과성을 갖는 투명층이며, 예를 들어 광경화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등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홀로그램 리본(30)에 있어서의 폭 방향은, 화상 셀(20)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이며, 홀로그램 리본(30)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은, 화상 셀(20)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이다. 미세 요철 형성층(33)은, 릴리프 구조를 회절 격자로서 표면에 가진 홀로그램 소자이다. 릴리프 구조에 있어서, 홀로그램 리본(3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홈인 격자 패턴이 홀로그램 리본(30)의 폭 방향으로 반복되어 있다.
미세 요철 형성층(33)이 갖는 릴리프 구조에 있어서, 단위 길이당 격자 패턴의 개수인 공간 주파수는, 격자 패턴 간의 피치이며, 정점에 있어서 서로 강화하는 파장을 정한다. 미세 요철 형성층(33)은, 얼굴 화상을 구성하는 광의 파장을 이러한 공간 주파수에 의해 기억한다. 서로 상이한 공간 주파수를 가진 릴리프 구조의 사이에는, 정점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색의 광이 서로 강화된다.
미세 요철 형성층(33)이 갖는 릴리프 구조에 있어서, 격자 패턴이 연장되는 방향은, 서로 강화하는 간섭이 시인되는 방향을 정한다. 미세 요철 형성층(33)은, 얼굴 화상을 구성하는 광의 위상을 이러한 격자 패턴이 연장되는 방향에 의해 기억한다. 격자 패턴이 연장되는 방향이 서로 상이한 릴리프 구조의 사이에서는, 서로 강화하는 간섭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시인된다.
미세 요철 형성층(33)이 갖는 릴리프 구조에 있어서, 격자 패턴의 깊이는, 격자 패턴에 도입되는 광량을 정한다. 미세 요철 형성층(33)은, 얼굴 화상을 구성하는 광의 진폭을 이러한 격자 패턴의 깊이에 의해 기억한다. 격자 패턴의 깊이가 서로 상이한 릴리프 구조에서는, 서로 강화하는 간섭의 정도가 서로 상이하다.
투명 반사층(34)은, 예를 들어 미세 요철 형성층(33)과는 굴절률이 상이한 투명층이며, 예를 들어 진공 증착이나 스퍼터링 등의 진공 성막법에 의해 형성된다. 투명 반사층(34)은, 얼굴 화상의 시인성을 높이는 기능을 갖지만, 얼굴 화상의 시인성을 특별히 필요로 하지 않는 용도라면, 이러한 투명 반사층(34)은 생략되어도 된다. 투명 반사층(34)은 단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다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투명 반사층(34)이 다층 구조를 갖는 경우, 투명 반사층(34)은, 투명 반사층(34)의 내부에 있어서 반사 간섭을 반복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투명 반사층(34)을 형성하는 투명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ZnS나 TiO2 등의 투명 유전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반사층(34)으로서는, 두께가 20㎚ 미만인 금속층을 사용해도 된다. 금속층의 형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크롬, 니켈, 알루미늄, 철, 티타늄, 은, 금, 구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층(35)은, 투명 반사층(34)을 피전사체(45)의 표면에 접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투명 반사층(34)의 표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접착층(35)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수지에 무기 미립자를 첨가시킨 것이다. 첨가시키는 무기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카 등이 사용되고, 이러한 무기 미립자는, 용제에 대하여 고형분비가 10 이상 50 이하로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층(35)의 층 두께는, 0.2㎛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홀로그램 리본(30)은, 미소 면적의 도트, 또는, 미소 폭의 선 형상으로 전사되기 때문에, 박 절단성이 요구된다. 무기 미립자가 첨가된 접착층(35)이라면, 홀로그램 리본(30)이 전사될 때의 박 절단성이 양호하다.
도 7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로그램 리본(30)에 있어서, 미세 요철 형성층(33)은, 복수의 미세 요철 형성부 H로 구성되고, 복수의 미세 요철 형성부 H는, 제1 미세 요철 형성부 H1, 제2 미세 요철 형성부 H2, 제3 미세 요철 형성부 H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미세 요철 형성부 H1, 제2 미세 요철 형성부 H2, 제3 미세 요철 형성부 H3은, 홀로그램 리본(3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순서대로 반복되어 있다.
복수의 미세 요철 형성부 H의 각각은, 홀로그램 리본(3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복수의 격자 패턴을 갖고, 복수의 격자 패턴은 홀로그램 리본(30)의 폭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다. 제1 미세 요철 형성부 H1은, 제1 화상 셀(20a)을 형성하기 위한 미세 요철 형성부 H이고, 제2 미세 요철 형성부 H2는, 제2 화상 셀(20b)을 형성하기 위한 미세 요철 형성부 H이며, 제3 미세 요철 형성부 H3은, 제3 화상 셀(20c)을 형성하기 위한 미세 요철 형성부 H이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홀로그램 리본(3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단부가 제1 화상 표시부(12)에 있어서의 상단부에 대응하고, 홀로그램 리본(3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하단부가 제1 화상 표시부(12)에 있어서의 하단부에 대응하고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미세 요철 형성부 H의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제2 미세 요철 형성부 H2 및, 제3 미세 요철 형성부 H3은, 제2 미세 요철 형성부 H2 또는 제3 미세 요철 형성부 H3에 의해 강화되는 광의 색이 제1 미세 요철 형성부 H1과는 상이한 한편, 그 이외의 구성은, 제1 미세 요철 형성부 H1과 마찬가지이다. 즉, 제1 미세 요철 형성부 H1은, 정점으로부터 제1 미세 요철 형성부 H1이 육안으로 보였을 때, 세로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색, 예를 들어 적색이 시인되게 구성되어 있다. 제2 미세 요철 형성부 H2는, 정점으로부터 제2 미세 요철 형성부 H2가 육안으로 보였을 때, 세로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색, 예를 들어 녹색이 시인되게 구성되어 있다. 제3 미세 요철 형성부 H3은, 정점으로부터 제3 미세 요철 형성부 H3이 육안으로 보였을 때, 세로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색, 예를 들어 청색이 시인되게 구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이하에서는, 제1 미세 요철 형성부 H1의 구성을 설명하고, 제2 미세 요철 형성부 H2 및, 제3 미세 요철 형성부 H3에 대해서는, 제1 미세 요철 형성부 H1과 상이한 부분을 주로 설명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여, 정점에 집광하는 광의 파장과 공간 주파수와의 관계를 설명하고, 이어서, 도 9의 (a) 및 도 9의 (b)를 참조하여, 제1 미세 요철 형성부 H1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8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미세 요철 형성부 H1의 표면이, 가상 평면으로서 도시되고, 제1 미세 요철 형성부 H1의 표면에는, 가상적인 점인 기준점(41)이 정해져 있다. 기준점(41)을 통하여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은, 기준선(42)이다.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며, 제1 미세 요철 형성부 H1의 표면에 대한 법선이 연장되는 방향은, 법선 방향이다.
또한, 관찰 거리 ω는, 기준점(41)과 정점(40) 사이의 거리이다. 입사각 α는, 관찰 각도에 대한 조명광의 입사각이다. 회절각 β는, 관찰 각도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을 정으로 하는 회절광의 회절각이다. 회절각 β는, 기준선(42) 상에 있어서의 기준점(41)보다도 상측의 각 위치에서는 양의 값을 취하고, 기준선(42) 상에 있어서의 기준점(41)보다도 하측의 각 위치에서는 음의 값을 취한다. 또한, 회절각 β는, 기준선(42) 상의 각 위치에 있어서는, 기준점(41)으로부터 이격될수록 절댓값이 커진다. 세로 방향 거리 γ는, 기준점(41)으로부터 기준선(42) 상에 있어서의 각 위치까지의 거리이다.
여기서, 제1 미세 요철 형성부 H1에 있어서의 회절각 β와, 세로 방향 거리 γ와, 관찰 거리 ω는, 하기 식 (2)를 만족하고, 기준선(42) 상의 각 위치에 있어서의 공간 주파수 f와, 정점(40)에 집광되는 광의 파장 λ는, 하기 식 (3)을 만족한다.
tanβ=γ/ω …(2)
f=(sinα-sinβ)/λ (α>β) …(3)
식 (3)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사각 α 및, 파장 λ가 고정값일 때, 기준선(42) 상의 각 위치에 있어서의 공간 주파수 f는, 회절각 β에 의존한다. 이 회절각 β는, 기준선(42) 상에 있어서, 상단부부터 하단부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감소되고, 기준점(41)보다도 상측의 각 위치에서는 양의 값이며, 정점(40)보다도 하측의 각 위치에서는 음의 값이다. 그로 인해, 입사각 α 및, 파장 λ가 고정값일 때, 기준선(42) 상의 각 위치에 있어서의 공간 주파수 f는, 상단부부터 하단부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감소된다.
도 9의 (a) 및 도 9의 (b)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미세 요철 형성부 H1은, 가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격자 패턴을 세로 방향으로 반복하는 패턴을 갖고, 격자 패턴 간의 거리는,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감소되고 있다. 즉, 제1 미세 요철 형성부 H1이 갖는 공간 주파수 f는, 상단부로부터의 거리가 클수록 작고,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감소되고 있다. 그리고, 제1 미세 요철 형성부 H1은, 식 (3)에 있어서의 파장 λ가 적색광의 파장이도록,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감소되는 공간 주파수 f를 갖고 있다.
공간 주파수 f는, 상단부에서의 공간 주파수 f1로부터 하단부에서의 공간 주파수 f2로의 연속적인 변화에 더하여, 각각의 공간 주파수 f1, f2를 중심 파장으로 하여, 각각 공간 주파수 폭 Δf1, Δf2를 갖고 있어도 된다. 공간 주파수 폭 Δf1, Δf2는, 제1 미세 요철 형성부 H1이 주기적인 회절 격자이며, 산란성이 낮은 회절 격자일 경우에는 좁아지고, 제1 미세 요철 형성부 H1이, 주기성이 낮은 산란성의 회절 격자일 경우에는 넓어진다. 공간 주파수 폭 Δf1, Δf2가 좁은 경우에는, 회절광의 색은 선명하지만, 입사각 α가 변화했을 때의 회절광의 색의 변화가 커진다. 한편, 제1 미세 요철 형성부 H1이 산란성의 회절 격자이며, 공간 주파수 폭 Δf1, Δf2가 넓은 경우에는, 입사각 α가 변화했을 때의 회절광의 색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색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입사각 α가 고정값일 때, 정점(40)에 집광하는 광이 적색이다. 적색광의 파장이란, 예를 들어 단일 파장을 갖는 광의 파장이어도 되고, 일정한 범위를 가진 파장을 갖는 광에 있어서 최고 강도를 갖는 파장이어도 되고, 일정한 범위를 가진 파장을 갖는 광의 강도 스펙트럼에 있어서의 중심 파장이어도 되며, 예를 들어 650㎚이다.
마찬가지로, 제2 미세 요철 형성부 H2는, 식 (3)에 있어서의 파장 λ가 녹색광의 파장이도록,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감소되는 공간 주파수 f를 갖고 있다.
공간 주파수 f는, 상단부에서의 공간 주파수 f1로부터 하단부에서의 공간 주파수 f2로의 연속적인 변화에 더하여, 각각의 공간 주파수 f1, f2를 중심 파장으로 하여, 각각 공간 주파수 폭 Δf1, Δf2를 갖고 있어도 된다. 공간 주파수 폭 Δf1, Δf2는, 제2 미세 요철 형성부 H2가 주기적인 회절 격자이며, 산란성이 낮은 회절 격자일 경우에는 좁아지고, 제2 미세 요철 형성부 H2가, 주기성이 낮은 산란성의 회절 격자일 경우에는 넓어진다. 공간 주파수 폭 Δf1, Δf2가 좁을 경우에는, 회절광의 색은 선명하지만, 입사각 α가 변화했을 때의 회절광의 색 변화가 커진다. 한편, 제2 미세 요철 형성부 H2가 산란성의 회절 격자이며, 공간 주파수 폭 Δf1, Δf2가 넓을 경우에는, 입사각 α가 변화했을 때의 회절광의 색 변화를 억제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색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녹색광의 파장이란, 예를 들어 단일 파장을 갖는 광의 파장이어도 되고, 일정한 범위를 가진 파장을 갖는 광에 있어서 최고 강도를 갖는 파장이어도 되고, 일정한 범위를 가진 파장을 갖는 광의 강도 스펙트럼에 있어서의 중심 파장이어도 되며, 예를 들어 550㎚이다.
제3 미세 요철 형성부 H3은, 식 (3)에 있어서의 파장 λ가 청색광의 파장이도록,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하여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공간 주파수 f를 갖고 있다.
공간 주파수 f는, 상단부에서의 공간 주파수 f1로부터 하단부에서의 공간 주파수 f2로의 연속적인 변화에 더하여, 각각의 공간 주파수 f1, f2를 중심 파장으로 하여, 각각 공간 주파수 폭 Δf1, Δf2를 갖고 있어도 된다. 공간 주파수 폭 Δf1, Δf2는, 제3 미세 요철 형성부 H3이 주기적인 회절 격자이며, 산란성이 낮은 회절 격자일 경우에는 좁아지고, 제3 미세 요철 형성부 H3이, 주기성이 낮은 산란성의 회절 격자일 경우에는 넓어진다. 공간 주파수 폭 Δf1, Δf2가 좁을 경우에는, 회절광의 색은 선명하지만, 입사각 α가 변화했을 때의 회절광의 색 변화가 커진다. 한편, 제3 미세 요철 형성부 H3이 산란성의 회절 격자이며, 공간 주파수 폭 Δf1, Δf2가 넓을 경우에는, 입사각 α가 변화했을 때의 회절광의 색 변화를 억제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색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청색광의 파장이란, 예를 들어 단일 파장을 갖는 광의 파장이어도 되고, 일정한 범위를 가진 파장을 갖는 광에 있어서 최고 강도를 갖는 파장이어도 되고, 일정한 범위를 가진 파장을 갖는 광의 강도 스펙트럼에 있어서의 중심 파장이어도 되며, 예를 들어 450㎚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홀로그램 리본(30)을 사용한 패턴 형성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홀로그램 리본(30)을 사용한 패턴의 형성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먼저, 소유자의 얼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가 취득된다. 이어서, 피전사체(45)의 일부에 홀로그램 리본(30)의 일부가 전사된다.
도 10의 (a)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전사체(45)는, 기재(46)와, 기재(46)를 피복하는 수상층(47)을 포함하고 있다. 기재(46)는, 예를 들어 종이재, 플라스틱 기판, 금속 기판, 세라믹스 기판, 유리 기판 등이다.
홀로그램 리본(30)의 전사 시에는, 피전사체(45)의 표면에 접착층(35)이 접촉되도록 홀로그램 리본(30)이 피전사체(45)의 위에 배치된다. 이 상태로부터, 지지체(31)의 상면에 있어서 한 쌍의 점선(48) 사이의 범위에, 예를 들어 서멀 헤드로 열압(49)이 가해진다. 이에 의해, 열압(49)이 가해진 부분에서는, 접착층(35)이 피전사체(45)에 접착된다. 그리고, 홀로그램 리본(30)이 피전사체(45)로부터 벗겨지면, 열압(49)이 가해진 부분에 있어서 피전사체(45)에 접착층(35)이 접착된 상태 그대로, 박리 보호층(32)으로부터 지지체(31)가 박리된다.
도 10의 (b)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로그램 리본(30) 중에서 열압(49)이 가해진 전사체(36)의 일부만이, 피전사체(45)의 표면 상에 전사된다. 이렇게 피전사체(45)의 표면 상의 소정 위치에 전사체(36)의 일부가 전사됨으로써 각 화상 셀(20)이 형성된다.
도 11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사체(36)의 전사가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미세 요철 형성부 H1, H2, H3에 대하여 반복됨으로써, 각 화상 셀(20a, 20b, 20c)에 의해 구성되는 패턴이 피전사체(45)에 형성된다. 그리고, 세로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각 화상 셀(20a), 즉, 제1 화상 셀군은, 공통되는 하나의 제1 미세 요철 형성부 H1에 있어서 세로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부분으로 형성된다. 세로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각 화상 셀(20b), 즉, 제2 화상 셀군은, 공통되는 하나의 제2 미세 요철 형성부 H2에 있어서 세로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부분으로 형성된다. 세로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각 화상 셀(20c), 즉, 제3 화상 셀군은, 공통되는 하나의 제3 미세 요철 형성부 H3에 있어서 세로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부분으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제1 미세 요철 형성부 H1의 공간 주파수 f가 세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식 (3)을 만족하기 때문에, 제1 화상 셀군의 공간 주파수 f도 또한 세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식 (3)을 만족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제1 화상 셀군에서는, 식 (3)에 있어서의 파장 λ가 적색광의 파장이도록, 상단부로부터의 거리가 큰 부위일수록 공간 주파수 f가 작다. 또한, 제1 화상 셀군 중에서 제1 화상 셀(20a)이 세로 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부분에서는, 식 (3)에 있어서의 파장 λ가 적색광의 파장이도록, 제1 화상 셀(20a)이 세로 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부분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하여 공간 주파수 f가 연속적으로 감소되고 있다.
또한, 제2 미세 요철 형성부 H2의 공간 주파수 f가 세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식 (3)을 만족하기 위해, 제2 화상 셀군의 공간 주파수 f도 또한 세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식 (3)을 만족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제2 화상 셀군에서는, 식 (3)에 있어서의 파장 λ가 녹색광의 파장이도록, 상단부로부터의 거리가 큰 부위일수록 공간 주파수 f가 작다. 또한, 제2 화상 셀군 중에서 제2 화상 셀(20b)이 세로 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부분에서는, 식 (3)에 있어서의 파장 λ가 녹색광의 파장이도록, 제2 화상 셀(20b)이 세로 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부분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하여 공간 주파수 f가 연속적으로 감소되고 있다.
또한, 제3 미세 요철 형성부 H3의 공간 주파수 f가 세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식 (3)을 만족하기 때문에, 제3 화상 셀군의 공간 주파수 f도 또한 세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식 (3)을 만족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제3 화상 셀군에서는, 식 (3)에 있어서의 파장 λ가 청색광의 파장이도록, 상단부로부터의 거리가 큰 부위일수록 공간 주파수 f가 작다. 또한, 제3 화상 셀군 중에서 제3 화상 셀(20c)이 세로 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부분에서는, 식 (3)에 있어서의 파장 λ가 적색광의 파장이도록, 제3 화상 셀(20c)이 세로 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부분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하여 공간 주파수 f가 연속적으로 감소되고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서멀 헤드에 의해 전사되는 홀로그램 리본(30)의 전사 범위를 설명한다.
도 12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로그램 리본(30)을 피전사체(45)에 전사하는 전사 장치(50)는, 서로 대향하는 전사 롤(51)과 서멀 헤드(52)를 구비하고 있다. 전사 장치(50)는, 전사 롤(51)과 서멀 헤드(52) 사이의 공간에서 홀로그램 리본(30)을 이송하는 리본 이송 기구(53)와, 전사 롤(51)과 서멀 헤드(52) 사이의 공간이며, 홀로그램 리본(30)보다도 전사 롤(51)측의 공간에서 피전사체(45)를 이송하는 피전사체 이송 기구(54)를 구비하고 있다. 전사 장치(50)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사 롤(51), 서멀 헤드(52), 리본 이송 기구(53) 및, 피전사체 이송 기구(54)를 구동함으로써, 피전사체(45)에 각 미세 요철 형성부 H1, H2, H3의 일부를 순서대로 전사하고, 각 화상 셀(20a, 20b, 20c)에 의해 구성되는 패턴을 피전사체(45)에 형성한다.
도 1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미세 요철 형성부 H1, H2, H3은, 홀로그램 리본(3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있어서, 제1 화상 표시부(12)의 외형보다도 큰 외형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제1 화상 표시부(12)라면, 각 미세 요철 형성부 H1, H2, H3은, 제1 화상 표시부(12)의 외형보다도 10㎜ 이상 100㎜ 이하만큼 큰 외형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리본 이송 기구(53)에 대한 홀로그램 리본(30)의 설치 시나 피전사체 이송 기구(54)에 대한 피전사체(45)의 설치 시에 있어서, 이들 홀로그램 리본(30)과 피전사체(45) 사이의 상대 위치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상대 위치의 위치 어긋남에 의해 전사가 불가능해지는 것이 억제된다.
예를 들어, 피전사체(45)와 홀로그램 리본(30)과의 상대 위치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의 전사 범위인 기준 전사 범위 A1s, A2s, A3s로부터, 전사 범위 A1, A2, A3에 각 미세 요철 형성부 H1, H2, H3의 전사 범위가 어긋난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에도, 각 미세 요철 형성부 H1, H2, H3에 있어서는, 상기 식 (2) 및 식 (3)이 만족되도록, 즉, 정점(40)에 있어서 특정한 파장의 광이 집광되도록 공간 주파수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 미세 요철 형성부 H1, H2, H3의 일부가 전사 범위인 이상, 각 전사 범위에 대한 정점(40)의 위치가 대폭으로 어긋나는 일은 없다.
또한, 리본 이송 기구(53)에 설치된 홀로그램 리본(30)에 있어서 이송량에 어긋남이 발생하고, 이송량의 어긋남에 수반하여, 홀로그램 리본(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피전사체(45)와 홀로그램 리본(30)의 상대 위치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에도, 각 미세 요철 형성부 H1, H2, H3의 공간 주파수가, 세로 방향, 즉, 홀로그램 리본(3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길이 방향의 위치 어긋남은, 정점(40)의 어긋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정점(40)에 있어서 엄밀한 컬러 표현을 얻는 데 있어서는, 세로 방향뿐만 아니라 가로 방향에서의 컬러 보정이 필요하다. 가로 방향에 있어서 컬러 보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회절 격자에 있어서 격자 패턴이 연장되는 방향이 연속적으로 바뀌도록 회절 격자를 변경하고, 리본 이송 기구(53)에 있어서 이송량의 어긋남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한편, 홀로그램 리본(3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홀로그램 리본(30)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가로 방향의 컬러 보정은, 각 미세 요철 형성부 H1, H2, H3의 설계 변경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화상 처리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형성된 화상의 가로 방향의 위치 차이에 따라 각 미세 요철 형성부 H1, H2, H3의 회절 파장이 시프트함에 따른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삼색의 각각의 컬러 시프트는, 화상 처리에 의해 보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세로 방향의 컬러 보정을 미세 요철 형성부 H의 공간 주파수에 의해 행하고, 또한, 화상 처리에 의해 가로 방향의 컬러 보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홀로그램 리본(30)의 이송량의 어긋남이 전사 시에 발생해도, 제1 화상 표시부(12)에 있어서 색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정점(40)에 있어서 상하 좌우에서의 색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는 상을 표시하는 제1 화상 표시부(12)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4의 (a)는, 제1 화상 표시부(12)가 생성하는 얼굴 화상의 일례인 관찰 화상(56)을 도시하고, 도 14의 (b)는, 제1 화상 표시부(12)와는 상이하게, 세로 방향에 있어서 공간 주파수 f가 균일한 화상 표시부가 생성하는 얼굴 화상의 일례인 관찰 화상(57)을 도시하고 있다.
도 14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찰 화상(56)은, 각 화상 셀(20a, 20b, 20c)이 정점(40)에 특정한 파장의 광을 집광하기 때문에, 어떤 일 방향으로부터 제1 화상 표시부(12)를 관찰한 경우, 예를 들어 얼굴 화상의 이마부터 턱에 걸쳐서 피부의 색감이 대폭으로 상이한 경우는 없다. 한편, 관찰 화상(57)은, 각 화상 셀이 정점(40)에 특정한 파장의 광을 집광하지 않기 때문에, 어떤 일 방향으로부터 화상 표시부를 관찰했다고 하더라도, 얼굴 화상의 이마부터 턱에 걸쳐서 피부의 색감이 대폭 상이해져 버린다. 또한, 관찰 화상(56)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배색이 지정된 마크(58, 59)가 포함되는 경우, 관찰 화상(56)의 마크(58, 59)는 정점(40)에 있어서 동일한 색으로 시인되지만, 관찰 화상(57)의 마크(58, 59)에서는 정점(40)에 있어서 동일한 색으로 시인되지 않는다. 이들 얼굴 화상의 색이나 마크의 색이 육안으로 보임으로써, 제1 화상 표시부(12)의 진위, 나아가서는, 여권(10)에 대한 부정 행위의 유무에 대하여 판별이 용이해진다.
[실시예]
이하와 같이 홀로그램 리본(30)을 형성하였다. 먼저, 지지체(31)로서, 두께 12㎛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하였다. 지지체(31) 상에, 그라비아 코터를 사용하여, 박리 보호층(32)과 열가소성 수지층을 이 순서대로 형성하고, 이것들을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박리 보호층(32)의 재료로서는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고, 열가소성 수지층의 재료로서는 아크릴폴리올을 사용하였다. 건조 후의 박리 보호층(32)의 막 두께는 0.6㎛이며, 건조 후의 열가소성 수지층의 막 두께는 0.7㎛였다.
이어서, 롤 엠보싱 장치를 사용한 열 프레스에 의해,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의 표면에, 홀로그램으로서의 각 미세 요철 형성부 H1, H2, H3을 형성하였다. 각 미세 요철 형성부 H1, H2, H3의 사이즈는 50㎜×50㎜이며, 깊이는 약 100㎚이다. 또한, 제1 미세 요철 형성부 H1의 공간 주파수 f는 1020개/㎜ 이상, 1275개/㎜ 이하, 제2 미세 요철 형성부 H2의 공간 주파수 f는 1205개/㎜ 이상, 1505개/㎜ 이하, 제3 미세 요철 형성부 H3의 공간 주파수 f는 1470개/㎜ 이상, 1840개/㎜ 이하이다. 이들 공간 주파수 f는, 하측에 가까운 부위일수록 값이 높아지도록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제1 미세 요철 형성부 H1의 공간 주파수 f는, 적색광의 파장 λ=650㎚에 기초하는 것이고, 제2 미세 요철 형성부 H2의 공간 주파수 f는, 녹색광의 파장 λ=550㎚에 기초하는 것이며, 제3 미세 요철 형성부 H3의 공간 주파수 f는, 청색광의 파장 λ=450㎚에 기초하는 것이다.
이어서, 미세 요철 형성층(33) 상에, 황화아연을 포함하는 투명 반사층(34)을 증착법에 의해 형성하였다. 투명 반사층(34)의 막 두께는 50㎚였다. 또한, 투명 반사층(34) 위에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인쇄함으로써, 접착층(35)을 형성하였다. 접착층(35)의 막 두께는 0.6㎛였다.
상술한 홀로그램 리본(30)을 사용하여, 이하의 방법으로 제1 화상 표시부(12)를 형성하였다.
먼저, 피전사체(45)의 기재(46)로서 플라스틱 카드를 사용하였다. 기재(46) 상에 그라비아 코터를 사용하여 수상층(47)을 형성하고,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수상층(47)의 재료에는 아크릴폴리올을 사용하였다. 수상층(47)의 건조 후의 막 두께는 2.0㎛였다.
이어서, 얼굴 화상을 R, G, B, 즉, 적색, 녹색, 청색의 삼색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화상 처리를 행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300dpi의 서멀 헤드를 사용한 열전사를 행함으로써, 지지체(31)로부터 수상층(47) 위에 각 화상 셀(20a, 20b, 20c)을 전사하였다.
각 화상 셀(20a, 20b, 20c)의 전사는, 홀로그램 리본(30) 중, 먼저, 제1 미세 요철 형성부 H1을 전사 롤(51)과 서멀 헤드(52)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하고, 화상 데이터 중에서 적색에 대응지어진 위치에, 화상 셀(20a)를 도트 형상, 또는, 선 형상으로 인자하였다. 이어서, 제2 미세 요철 형성부 H2를 전사 롤(51)과 서멀 헤드(52) 사이의 공간까지 이송하고, 화상 데이터 중에서 녹색에 대응지어진 위치에, 화상 셀(20b)을 도트 형상, 또는, 선 형상으로 인자하였다. 그리고, 제3 미세 요철 형성부 H3을 전사 롤(51)과 서멀 헤드(52) 사이의 공간까지 이송하고, 화상 데이터 중에서 청색에 대응지어진 위치에, 화상 셀(20c)을 도트 형상, 또는, 선 형상으로 인자하였다. 또한, 각 화상 셀(20)의 면적인 인자 면적은, 가로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화상 셀(20)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가 되는 크기와, 최대가 되는 크기의 1/2의 크기의 2종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실시예의 제1 화상 표시부(12)를 얻었다.
[비교예]
비교예에서는, 실시예의 홀로그램 리본(30)과 동일한 구조를 기본 구조로서 갖기는 하지만, 미세 요철 형성부의 공간 주파수 f가 실시예와는 상이한 홀로그램 리본(30)을 사용하여 제1 화상 표시부(12)를 형성하였다. 비교예에 있어서, 제1 미세 요철 형성부 H1의 공간 주파수 f는, 1150개/㎜이며, 제2 미세 요철 형성부 H2의 공간 주파수 f는, 1350개/㎜, 제3 미세 요철 형성부 H3의 공간 주파수 f는, 1650개/㎜이다. 즉, 각 미세 요철 형성부 H1, H2, H3 내에서, 공간 주파수 f는 균일하다.
또한, 제1 미세 요철 형성부 H1은 적색광용의 미세 요철 형성부이고, 제2 미세 요철 형성부 H2는 녹색광용의 미세 요철 형성부이며, 제3 미세 요철 형성부 H3은 청색광용의 미세 요철 형성부이다. 그리고, 비교예의 홀로그램 리본을 사용하여, 피전사체(45)에 대하여 실시예와 동일한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화상 표시부(12)를 형성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비교예의 제1 화상 표시부(12)를 얻었다.
실시예의 제1 화상 표시부(12)와, 비교예의 제1 화상 표시부(12)에 대하여, 입사 각도가 40°인 조명광을 조명하고, 제1 화상 표시부(12)로부터 30㎝만큼 이격된 곳으로부터, 제1 화상 표시부(12)가 표시하는 화상을 관찰하였다. 결과로서, 실시예의 제1 화상 표시부(12)에 있어서는,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서 얼굴 화상의 피부 색감이 상이한 부분은 없고, 얼굴 화상의 전체에 있어서 피부의 색감이 같은 색으로 시인되었다. 한편, 비교예의 제1 화상 표시부(12)에 있어서는, 얼굴 화상의 한가운데는 피부색으로서 시인되기는 하지만, 상단부와 하단부의 각각에서는, 피부색으로부터 벗어난 색으로서 시인되었다.
이상,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에 열거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1) 정점(40)으로부터 제1 화상 표시부(12)가 육안으로 보일 때, 제1 화상 셀군은 적색을 나타내고, 제2 화상 셀군은 녹색을 나타내며, 제3 화상 셀군은 청색을 나타낸다. 이 관찰 결과가 얻어지는지 여부에 따라, 제1 화상 표시부(12)에 표시되는 얼굴 화상의 진위를 판별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화상 표시부(12)의 진위를 대조자의 육안에 의해 판별하기 쉬워진다.
(2) 화상 셀(20a, 20b, 20c)은, 서로 설계 파장이 상이하기 때문에, 정점(40)에 있어서 관찰되는 화상을 컬러 또는 풀컬러로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화상 표시부(12)에서 표시 가능한 화상의 자유도가 확장되고, 제1 화상 표시부(12)가 표시하는 화상의 진위를 더욱 판별하기 쉬워진다.
또한, 제1 화상 표시부(12)에 있어서, 제1 화상 셀군에 있어서 적색이 시인되는지 여부 및, 제2 화상 셀군에 있어서 녹색이 시인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화상의 진위가 판별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색의 시인에만 의해 화상의 진위가 판별되는 구성에 비하여, 화상의 진위 판별에 있어서의 결과의 정밀도가 높아진다.
나아가서는, 제1 화상 셀군, 제2 화상 셀군 및, 제3 화상 셀군의 각각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색이 시인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화상의 진위가 판별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색의 시인만에 의해 화상의 진위가 판별되는 구성과 비하여, 화상의 진위 판별에 있어서의 결과의 정밀도가 높아진다.
(3) 화상 셀(20a, 20b, 20c)이 선택적으로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화상 표시부(12)가 표시하는 화상이 정교해진다. 즉, 제1 화상 표시부(12)에 있어서, 복수의 화상 셀(20a, 20b, 20c)이 다른 화상 셀(20a, 20b, 20c)과 서로 겹치는 부분을 포함하는 구성에 의하면, 제1 화상 표시부(12)가 표시하는 화상의 섬세함이 향상된다.
(4) 여권(10)이 제1 화상 표시부(12)와 제2 화상 표시부(13)를 구비하기 때문에, 제1 화상 표시부(12)가 표시하는 얼굴 화상과, 제2 화상 표시부(13)가 표시하는 얼굴 화상의 비교에 의해서도, 제1 화상 표시부(12)가 표시하는 얼굴 화상의 진위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화상 표시부(12)와 제2 화상 표시부(13)가 하나의 지면에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화상 표시부(12)가 표시하는 화상과, 제2 화상 표시부(13)가 표시하는 화상의 비교가 용이하고, 제1 화상 표시부(12)와 제2 화상 표시부(13)의 비교 결과의 정밀도도 높아진다.
(5) 제1 화상 표시부(12)의 면적이 제2 화상 표시부(13)의 면적에 비하여 0.25배 이상 2배 이하이다. 그로 인해, 제1 화상 표시부(12)가 표시하는 화상과, 제2 화상 표시부(13)가 표시하는 화상의 비교가 곤란해지는 일도 없고, 즉, 비교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또한, 개인 식별의 정밀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6) 각 미세 요철 형성부 H1, H2, H3의 격자 패턴은, 홀로그램 리본(30)의 이송 방향인 홀로그램 리본(3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화상 셀(20a, 20b, 20c)의 전사 시에 홀로그램 리본(30)의 이송 방향으로 위치 어긋남이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각 화상 셀(20a, 20b, 20c)에 대한 정점(40)의 위치가 대폭으로 어긋나는 경우는 적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여권(10)은, 제1 화상 표시부(12)를 구비하고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제1 화상 표시부(12)와 제2 화상 표시부(13)가 다른 지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며, 제2 화상 표시부(13)가 생략된 구성이어도 된다.
·제1 화상 표시부(12)가 표시하는 화상을 복수의 색으로 구성되는 컬러 화상으로 하는 데 있어서는, 각 화상 셀(20a, 20b, 20c)은, 적층되는 일 없이, 하나의 평면 상을 따라서 단순히 배열되어도 된다.
·제1 화상 표시부(12)가 표시하는 화상은, 복수의 색으로 구성되는 컬러 화상이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어 제1 화상 표시부(12)는 단일의 색에 대응된 화상 셀(20)만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하나의 화상 셀군은, 격자 패턴이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화상 셀군의 일단부로부터의 거리가 클수록 공간 주파수 f가 작은 부분을 포함하는 구성이면 되고, 화상 셀군의 일단부로부터의 거리가 클수록 공간 주파수 f가 큰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며, 또한, 공간 주파수 f가 일정한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화상 셀군의 일단부로부터의 거리가 클수록 공간 주파수 f가 작은 부분에 있어서, 예를 들어 하나의 화상 셀군은, 격자 패턴이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화상 셀군의 일단부로부터의 거리가 큰 화상 셀(20)일수록 공간 주파수 f가 작은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하나의 화상 셀군에 있어서, 격자 패턴이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소정수의 화상 셀(20)이, 하나의 화상 셀 블록이며, 격자 패턴이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화상 셀군의 일단부로부터의 거리가 큰 화상 셀 블록일수록 공간 주파수 f가 작은 구성이어도 된다. 나아가서는, 하나의 화상 셀군에 있어서의 공간 주파수 f는, 이들 형태로부터 임의로 선택되는 2 이상의 형태의 조합이어도 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시트에 대한 화상 표시 디바이스의 형성 방법에 관한 변형예를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방법에서는, 제1 전사체에 대하여 복수의 화상 셀이 형성된 후, 그 복수의 화상 셀이 제2 전사체인 시트에 전사됨으로써 화상 표시 디바이스가 시트에 형성된다.
도 15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피전사체(61)는, 기재(62), 박리 보호층(63), 수상층(64)이 순차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갖고 있다. 제2 피전사체(65)는, 기재(66), 수상층(67)이 순차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갖고 있다.
제1 피전사체(61)에 있어서, 기재(62)는, 예를 들어 수지 필름 및, 수지 필름보다도 두껍고, 또한, 그 두께보다도 충분히 넓은 표면을 가진 평면적인 수지제의 박판을 포함하는 수지 시트이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내열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박리 보호층(63)은, 기재(62)에 적층되어 있다. 박리 보호층(63)은, 기재(62)로부터의 박리를 안정화함과 함께, 제2 피전사체(65)의 수상층(67)에 대한 화상 셀(20a, 20b, 20c)의 접착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박리 보호층(63)은, 광투과성을 갖고 있으며, 전형적으로는 투명하다. 수상층(64)은, 기재(62)와 복수의 화상 셀(20a, 20b, 20c) 사이의 접착력을 높이고 있다.
제2 피전사체(65)에 있어서, 기재(66)는, 예를 들어 수지 필름 및, 수지 필름보다도 두껍고, 또한, 그 두께보다도 충분히 넓은 표면을 가진 평면적인 수지제의 박판을 포함하는 수지 시트이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내열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수상층(67)은, 기재(66)와 복수의 화상 셀(20a, 20b, 20c) 사이의 접착력을 높이는 기능을 발휘한다. 그리고, 제1 피전사체(61)에 대하여 화상 셀(20a, 20b, 20c)이 형성된 후, 그 화상 셀(20a, 20b, 20c)을 제2 피전사체(65)의 수상층(67)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열압(68)이 가해진다.
도 16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피전사체(61)의 기재(62)가 벗겨지면, 제1 피전사체(61)의 기재(62) 이외의 적층체가 전사체로서 제2 피전사체(65)에 전사된다. 또한, 이 열전사는, 핫 스탬프를 사용한 열전사 외에, 열 롤 또는 서멀 헤드를 이용한 열전사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적층체를 제2 피전사체(65)에 열전사한 후, 필요한 공정을 적절히 실시한다. 이러한 방법이어도 제1 화상 표시부(12)는 얻어진다. 이러한 방법이라면, 각 화상 셀(20a, 20b, 20c)이 제1 피전사체(61)에 형성되기 때문에, 시트(11)의 표면 조도 등이 제1 화상 표시부(12)가 표시하는 화상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적다.
·시트(11)는, 종이재 이외여도 되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 기판, 금속 기판, 세라믹스 기판, 또는, 유리 기판이어도 된다.
·화상 표시 디바이스가 표시하는 화상은, 얼굴 화상 외에 다른 생체 정보를 포함해도 되고, 얼굴 화상 대신 다른 생체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화상 표시 디바이스가 표시하는 화상은, 생체 정보 외에 비생체 개인 정보 및, 비개인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해도 되고, 생체 정보 대신 비생체 개인 정보 및, 비개인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해도 된다.
·화상 표시 디바이스가 표시하는 화상은, 소유자의 얼굴 화상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문자, 숫자, 기호, 도형, 모양 및, 이들의 조합이어도 된다.
·화상 셀(20)의 형성 방법은, 미세 요철 형성층(33)이 전사되는 방법에 한하지 않고, 화상 셀(20)이 시트(11)에 직접 형성되는 방법이어도 된다.
·화상 표시 매체는, 여권(10)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신용 카드, 운전 면허증, 사원증, 회원증 등의 신분 증명서, 입학 시험용 수험표, 여권 등, 지폐, 상품권, 포인트 카드, 주권, 증권, 추첨권, 마권, 예금 통장, 승차권, 통행권, 항공권, 다양한 행사의 입장권, 유희권, 교통 기관이나 공중 전화용 선불카드 등이어도 된다.

Claims (9)

  1. 각각 홀로그램층을 가지며 2차원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상 셀을 구비하고, 상기 홀로그램층이,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1차원의 격자 패턴이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서 반복된 회절 격자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디바이스이며,
    복수의 상기 화상 셀 중,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며, 또한, 하나의 색에 대응지어진 복수의 상기 화상 셀이, 하나의 화상 셀군이고,
    상기 화상 셀군은, 상기 화상 표시 디바이스에 대한 소정의 방향에 시점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화상 셀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상기 화상 셀이 서로 동일한 색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화상 셀군의 한쪽 단부로부터의 거리가 클수록 상기 회절 격자의 공간 주파수가 작은 부분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셀군은,
    상기 화상 표시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소정의 방향에 시점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화상 셀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상기 화상 셀의 각각이 제1 색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1 색에 대응지어진 복수의 상기 화상 셀로 구성되는 제1 화상 셀군이고,
    복수의 상기 화상 셀 중,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며, 또한, 제2 색에 대응지어진 복수의 상기 화상 셀이, 제2 화상 셀군이고,
    상기 제2 화상 셀군은, 상기 화상 표시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소정의 방향에 시점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2 화상 셀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상 셀의 각각이 상기 제2 색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화상 셀군의 한쪽 단부로부터의 거리가 클수록 상기 회절 격자의 공간 주파수가 작은 부분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화상 셀 중,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며, 또한, 제3 색에 대응지어진 복수의 상기 화상 셀이, 제3 화상 셀군이고,
    상기 제3 화상 셀군은, 상기 화상 표시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소정의 방향에 시점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3 화상 셀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상 셀의 각각이 상기 제3 색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3 화상 셀군의 한쪽 단부로부터의 거리가 클수록 상기 회절 격자의 공간 주파수가 작은 부분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화상 셀 중,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모든 상기 화상 셀의 각각이, 상기 제1 화상 셀군, 상기 제2 화상 셀군 및, 상기 제3 화상 셀군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 화상 표시 디바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화상 셀의 각각이, 다른 화상 셀과 서로 겹치는 부분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디바이스.
  6. 홀로그램층을 가지며 2차원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상 셀을 구비하고, 상기 홀로그램층이, 제1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1차원의 격자 패턴이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서 반복된 회절 격자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디바이스이며,
    복수의 상기 화상 셀 중, 상기 제2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며, 또한, 하나의 색에 대응지어진 복수의 상기 화상 셀이, 하나의 화상 셀군이고,
    상기 화상 표시 디바이스에 대한 소정의 방향에 시점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하나의 상기 화상 셀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상기 화상 셀이 서로 동일한 색을 표시하도록, 상기 화상 셀군은, 상기 화상 셀군에 있어서의 상기 회절 격자의 공간 주파수 f와, 상기 하나의 색의 광 파장 λ가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부분을 갖고,
    f=(sinα-sinβ)/λ (α>β) …(1)
    입사각 α는, 상기 화상 표시 디바이스에 대한 조명광의 입사각이며,
    회절각 β는, 상기 격자 패턴에 있어서의 회절광 중에서 상기 시점을 통과하는 회절광의 회절각인, 화상 표시 디바이스.
  7. 소유자의 얼굴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표시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매체이며,
    상기 화상 표시 디바이스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표시 디바이스인, 화상 표시 매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 디바이스는, 제1 화상 표시부이며,
    상기 소유자의 얼굴 화상을 광의 파장과 광의 진폭에 의해 표현한 인쇄부인 제2 화상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화상 표시 매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표시부의 면적은, 상기 제2 화상 표시부의 면적에 비하여 0.25배 이상, 2배 이하인, 화상 표시 매체.
KR1020167023146A 2014-01-29 2015-01-29 화상 표시 디바이스 및, 화상 표시 매체 KR102244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14737 2014-01-29
JP2014014737A JP6369032B2 (ja) 2014-01-29 2014-01-29 画像表示デバイスの製造方法
PCT/JP2015/052571 WO2015115564A1 (ja) 2014-01-29 2015-01-29 画像表示デバイス、および、画像表示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641A true KR20160114641A (ko) 2016-10-05
KR102244285B1 KR102244285B1 (ko) 2021-04-26

Family

ID=53757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3146A KR102244285B1 (ko) 2014-01-29 2015-01-29 화상 표시 디바이스 및, 화상 표시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20647B2 (ko)
EP (2) EP3103651A4 (ko)
JP (1) JP6369032B2 (ko)
KR (1) KR102244285B1 (ko)
CN (1) CN105939868B (ko)
CA (1) CA2937871C (ko)
WO (1) WO20151155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856A (ko) * 2017-05-25 2020-02-05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기록 매체, 라벨, 카드, 및 진위 판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5285A1 (de) * 2015-04-08 2016-10-13 Kurz Typofol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okuments sowie ein Dokument
JP2018165733A (ja) * 2017-03-28 2018-10-25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ホログラム及び偽造防止媒体
CN114025969B (zh) * 2019-06-19 2024-03-01 凸版印刷株式会社 头单元以及印刷单元
JP7207538B2 (ja) * 2019-06-19 2023-01-18 凸版印刷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制御装置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31142A (ko) 1973-04-20 1974-12-16
JPH1049647A (ja) 1996-08-05 1998-02-20 Toppan Printing Co Ltd 偽造防止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26740A (ja) 2001-01-31 2002-08-14 Toppan Printing Co Ltd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偽造防止画像形成体、および偽造防止画像形成体の製造方法、並びに画像形成体の偽造の判別方法
US20040021945A1 (en) * 2000-11-03 2004-02-05 Tompkin Wayne Robert Light-diffracting binary grating structure
JP2006123174A (ja) 2004-10-26 2006-05-18 Toppan Printing Co Ltd カラー画像形成体およびその画像形成方法
US20100172000A1 (en) * 2007-06-13 2010-07-08 De La Rue International Limited Holographic security device
US20100254007A1 (en) * 2008-04-18 2010-10-07 Toppan Printing Co., Ltd. Display and labeled article
JP2013092683A (ja) * 2011-10-26 2013-05-16 Toppan Printing Co Ltd 画像表示体、画像表示体の作製方法および情報媒体
US20130258477A1 (en) * 2010-08-11 2013-10-03 Phei Lok Optically variab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9649A (ja) * 1996-08-05 1998-02-20 Mitsubishi Chem Corp プリペイドカード及びその読取り機
JP3899593B2 (ja) * 1997-06-17 2007-03-28 凸版印刷株式会社 画像表示媒体およびその製造に用いる転写シート
US6975765B2 (en) * 2003-05-06 2005-12-13 New Light Industries, Ltd. Optically variable form birefringent structure and method and system and method for reading same
DE102004049118A1 (de) * 2004-10-07 2006-04-13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4655771B2 (ja) * 2005-06-17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光学装置及び虚像表示装置
DE102007039591A1 (de) * 2007-08-22 2009-02-26 Giesecke & Devrient Gmbh Gitterbild
DE102008009296A1 (de) * 2008-02-15 2009-08-20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2008013167A1 (de) * 2008-03-07 2009-09-10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A2656506A1 (en) * 2009-02-27 2010-08-27 Bank Of Canada Security device
JP2010276692A (ja) * 2009-05-26 2010-12-09 Toppan Printing Co Ltd 表示体及び情報印刷物
CN101727778B (zh) * 2009-12-10 2012-03-21 上海冠众光学科技有限公司 用于证件的光学防伪膜及其应用
JP5637371B2 (ja) * 2010-09-24 2014-12-10 凸版印刷株式会社 画像表示体、転写箔及びラベル付き物品
JP2013101235A (ja) * 2011-11-09 2013-05-23 Toppan Printing Co Ltd 画像表示体及び画像表示体の作製方法
JP2014013326A (ja) * 2012-07-04 2014-01-23 Dainippon Printing Co Ltd 個人情報表示体
DE102012108169A1 (de) * 2012-09-03 2014-05-28 Ovd Kinegram Ag Sicherheitselement sowie Sicherheitsdokument
NL2010045C2 (en) * 2012-12-21 2014-06-24 Morpho B V Identity document comprising a ghost image based on a two- dimensional imag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31142A (ko) 1973-04-20 1974-12-16
JPH1049647A (ja) 1996-08-05 1998-02-20 Toppan Printing Co Ltd 偽造防止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40021945A1 (en) * 2000-11-03 2004-02-05 Tompkin Wayne Robert Light-diffracting binary grating structure
JP2002226740A (ja) 2001-01-31 2002-08-14 Toppan Printing Co Ltd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組成物、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偽造防止画像形成体、および偽造防止画像形成体の製造方法、並びに画像形成体の偽造の判別方法
JP2006123174A (ja) 2004-10-26 2006-05-18 Toppan Printing Co Ltd カラー画像形成体およびその画像形成方法
US20100172000A1 (en) * 2007-06-13 2010-07-08 De La Rue International Limited Holographic security device
US20100254007A1 (en) * 2008-04-18 2010-10-07 Toppan Printing Co., Ltd. Display and labeled article
US20130258477A1 (en) * 2010-08-11 2013-10-03 Phei Lok Optically variable device
JP2013092683A (ja) * 2011-10-26 2013-05-16 Toppan Printing Co Ltd 画像表示体、画像表示体の作製方法および情報媒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856A (ko) * 2017-05-25 2020-02-05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기록 매체, 라벨, 카드, 및 진위 판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20647B2 (en) 2019-03-05
EP3842872A1 (en) 2021-06-30
CA2937871A1 (en) 2015-08-06
EP3103651A1 (en) 2016-12-14
KR102244285B1 (ko) 2021-04-26
JP6369032B2 (ja) 2018-08-08
EP3103651A4 (en) 2017-11-15
CN105939868B (zh) 2018-01-12
JP2015139962A (ja) 2015-08-03
CA2937871C (en) 2022-03-29
WO2015115564A1 (ja) 2015-08-06
CN105939868A (zh) 2016-09-14
US20160332476A1 (en) 201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4709B2 (en) Optically variable security element having reflective surface region
RU2596088C2 (ru) Защит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защищенных от подделки документов, ценных документов или т.п.
RU2549069C2 (ru) Многослойное тело защитного элемента для защиты ценных документов
RU2596447C2 (ru) Защитный элемент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защитного элемента
RU2357869C2 (ru) Защитный элемент в виде многослойного пленочного тела
RU2452627C2 (ru) Видимый насквозь защитный элемент с микроструктурами
RU2009133326A (ru) Защищенный документ
US10598833B2 (en) Display
JP2008083599A (ja) 光学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体
CA3010969A1 (en) A security document comprising a polymer substrate
WO2011116425A1 (en) Security document with integrated securit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01699323B (zh) 光学防伪元件及包含该光学防伪元件的光学防伪产品
KR20160114641A (ko) 화상 표시 디바이스 및, 화상 표시 매체
US11511558B2 (en) Optical element, transfer foil, authentication medium, and method of verifying authentication medium
EP3774374B1 (en) Optical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JP4783943B2 (ja) ホログラムシート及び印刷媒体
US20230234389A1 (en) Display
EP3676103B1 (en) A security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JP6379547B2 (ja) 画像表示体および情報媒体
JP2008134586A (ja) 表示素子および表示体
JP6531858B2 (ja) 画像表示デバイス、画像表示媒体、および、ホログラムリボン
JP4303992B2 (ja) 光回折構造及び隠しパターン判別具
JP2013101235A (ja) 画像表示体及び画像表示体の作製方法
JP6774646B2 (ja) 光学素子、印刷物および偽造防止媒体
JP7011796B2 (ja) 光学素子、印刷物および偽造防止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