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3925A - 다용도 팔레트 - Google Patents
다용도 팔레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13925A KR20160113925A KR1020150040305A KR20150040305A KR20160113925A KR 20160113925 A KR20160113925 A KR 20160113925A KR 1020150040305 A KR1020150040305 A KR 1020150040305A KR 20150040305 A KR20150040305 A KR 20150040305A KR 20160113925 A KR20160113925 A KR 201601139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pallet
- loading
- rotary
- cargo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1—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 B65D2519/00815—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the pal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팔레트는, 판형의 적재 플레이트와, 적재 플레이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구비되는 레그를 포함하는 화물 적재용 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적재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중심을 따라 대칭으로 제공되고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동 가능한 한쌍의 회동판; 상기 한 쌍의 회동판 각각의 하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지지판; 및 상기 적재 플레이트의 상면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의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회동판을 소정 각도로 회동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고정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는,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는, 판재 뿐만 아니라 원형 금속 코일 및 사각 콘테이너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화물 적재가 가능하여 작업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고, 각각의 적재 화물에 따라 별도의 팔레트를 제공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물을 운반하고 저장하기 위한 팔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종류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창고나 공장 등에서 여러 개의 화물을 동시에 운반하고 저장하기 위하여 팔레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제철소에서 생산되는 코일, 판재 등의 금속 제품의 운반에 이용되는 팔레트는 판형의 적재 플레이트와, 적재 플레이트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 내지 구비되는 트러스 또는 측판 등의 레그로 구성된다. 레그에 의해 적재 플레이트는 상방으로 지지되고, 적재 플레이트와 레그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운반용 이티카와 같은 운송 차량이 출입 가능하다.
이러한 팔레트는 적재되는 화물의 종류에 따라 구조가 단순 규격화되어 있고 그 용도 또한 제한적이다. 따라서 특정의 팔레트를 이용하여 이종의 화물을 적재하기에는 부적절하고 적재되는 화물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각각의 용도에 따라 별도의 팔레트가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성이나 비용적인 측면에서 불리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형의 금속 코일, 판재 및 사각 콘테이너와 같이 다양한 형상 을 갖는 화물 적재에 유리한 팔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해결과제에 대한 인식 및 이에 기초한 해결수단에 관한 본 발명의 요지는 아래와 같다.
(1) 판형의 적재 플레이트와, 적재 플레이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구비되는 레그를 포함하는 화물 적재용 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적재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중심을 따라 대칭으로 제공되고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동 가능한 한쌍의 회동판; 상기 한 쌍의 회동판 각각의 하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지지판; 및 상기 적재 플레이트의 상면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의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회동판을 소정 각도로 회동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고정구를 포함하는 팔레트.
(2) 상기 회동판을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상기 (1)에 따른 팔레트.
(3) 상기 고정구는 상기 적재 플레이트의 상면 안팎으로 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따른 팔레트.
(4) 상기 회동판의 끝단에는 절곡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따른 팔레트.
(5) 상기 적재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측에는 적재된 판형 화물의 가장자리를 정렬하기 위한 복수의 정렬봉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따른 팔레트.
(6) 상기 회동판에는 콘테이너 화물의 하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따른 팔레트.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는, 판재 뿐만 아니라 원형 금속 코일 및 사각 콘테이너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화물 적재가 가능하여 작업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고, 각각의 적재 화물에 따라 별도의 팔레트를 제공할 필요가 없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의 평면 구조 변경 전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팔레트의 평면 구조 변경 후 사시도.
도 3은 도 1과 도 2의 팔레트의 변경 전후 동작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에 판재를 적재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에 콘테이너를 적재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팔레트의 평면 구조 변경 후 사시도.
도 3은 도 1과 도 2의 팔레트의 변경 전후 동작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에 판재를 적재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에 콘테이너를 적재한 상태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 또는 균등물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선택적으로' 제공, 구비 또는 포함된다고 할 때, 이는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위한 필수적으로 채택되는 구성요소는 아니나 그러한 해결과제와 견련성을 가지고 임의적으로 채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10)의 평면 구조 변경 전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팔레트(10)의 평면 구조 변경 후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기 팔레트(10)는 판형의 적재 플레이트(110)와, 적재 플레이트(110)의 양 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쌍으로 제공되는 레그(120)를 포함한다. 레그(120)에 의해 적재 플레이트(110)는 상방으로 지지되고, 적재 플레이트(110)와 레그(1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운반용 이티카와 같은 운송 차량(도면 미도시)이 출입 가능하다.
상기 적재 플레이트(110)에는 길이 방향 중심부를 따라 좌우 대칭으로 한 쌍의 회동판(130)이 구비된다. 도 2을 참조할 때, 각각의 회동판(130)은 적재 플레이트(110)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고, 의도된 소정 각도로 회동된 상태에서 지지판(140) 및 고정구(150)에 의해 지지되어 유지된다.
상기 회동판(130)은 단순한 판형의 적재 플레이트(110)에 적재하기 곤란하거나 또는 밧줄 등을 이용하여 별도의 고정 작업이 필요한 화물, 예컨대 원형의 금속 코일을 적재하기에 적합하도록 팔레트(10)의 상면 구조를 변화시킨다.
즉, 원형의 금속 코일을 적재하기 위해 규격화된 별도의 팔레트를 구비할 필요없이 상기 한 쌍의 회동판(130)을 소정 각도로 회동시켜 ‘V’자 형상으로 팔레트(110)의 상면 구조를 변화시킴으로써, 금속 코일과 같이 단순한 판형의 적재 플레이트(110) 상에는 적재하기에 부적절한 화물도 별도의 부가되는 작업 없이도 안정적으로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면에서, 상기 각각의 회동판(130)은 적재 플레이트(110)의 장방향 길이와 대체로 동일하게 예시되어 있다. 회동판(130)에 대한 회동 작업은 현장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적재 플레이트(110)와 회동판(130) 사이에 설치되는 유압 실린더와 같은 별도의 기계적 구동 수단(16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압 실린더의 일단은 적재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힌지 고정되고, 그 타단은 회동판(130)의 내측 가장자리에 힌지 고정됨으로써, 유압 실린더의 신축 동작에 의해 회동판(130)은 그 일단이 적재 플레이트(110) 상면 중심 영역에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회동판(130) 각각의 하면에는 회동된 상태의 회동판(13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140)이 제공된다. 지지판(140)은 회동판(130)의 하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그 하단은 적재 플레이트(110)에 별도로 제공되는 고정구(150)에 지지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구(150)는 상기 적재 플레이트(110)의 상면 안팎으로 출입되도록 설계된다. 적재 플레이트(110)의 상면 안팎으로 고정구(150)를 출입시키기 위한 수단은, 예컨대 상기 적재 플레이트(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고정구(150)를 승하강 동작시킬 수 있는 있는 모터 또는 유압 수단(도면 미도시)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팔레트(10) 평면 구조 변경 전후 과정에 대해,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먼저, 구동수단(160)의 확장에 의해 회동판(130)의 끝단이 리프팅됨에 따라, 회동판(130)은 그 일단이 적재 플레이트(110)의 상면 중심 영역에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한다.
이와 같은 회동판(130)의 회동 동작에 수반하여, 회동판(130)의 중심 저면에 힌지 결합된 지지판(140)의 단부도 리프팅되고 이에 따라 지지판(140)의 끝단은 적재 플레이트(110)의 중심 영역으로 이끌린다. 이 경우, 지지판(140)의 끝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150)는 적재 플레이트(110)의 상면으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지지판(140)의 끝단이 적재 플레이트(110)의 상면에서 이끌리는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다.
회동판(130)이 의도된 각도에 도달하고 지지판(140)의 끝단도 미리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구동 수단(160)의 신장 동작은 정지된다. 고정구(150)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수단에 의해 적재 플레이트(110)의 상면 밖으로 노출되면 지지판(140)의 끝단이 고정구(150)에 의해 지지되고 회동판(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된 상태로 유지된다.
회동판(130)의 회동에 의해 팔레트(10)의 상면 구조를 ‘V’자 형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금속 코일(20)과 같이 단면 원형 형상의 화물도 고정을 위한 별도의 작업이나 수단 없이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재 화물의 적하 후, 회동판(130)의 회동 상태를 해제하여 팔레트(10)의 상면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래의 평면 구조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원상 복귀 과정은, 먼저 상기 고정구(150)를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수단을 이용하여 하강시켜 지지판(140)의 끝단에 대한 지지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구동 수단(160)의 수축 동작에 의해 회동판(130)의 끝단이 적재 플래이트(110)의 길이 방향 중심 방향을 회동축으로 하여 하방으로 회동하여 내려 앉음에 따라, 회동판(130)의 하부 중심에 연결된 지지판(140)도 회동하여 회동판(130)과 적재 플레이트(110) 사이에서 접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회동판(130)의 끝단에는 접혀진 지지판(140)이 적재 플레이트(110)와 회동판(130)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팔레트(10)의 상면 구조를 안정적인 평면 구조로 유지시켜 회동판(130)의 상면으로 도 4의 판재(30) 또는 도 5의 콘테이너(40)와 같은 저면이 평면 구조인 화물을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절곡부(13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10)에 판재(30)를 적재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동판(130)이 수평하게 뉘어진 상태에서 판재(30)가 적재될 수 있고, 이 경우 적재되는 하나 이상의 판재(30)가 좌우로 유동되지 않고 그 끝단 가장자리가 가지런히 정렬된 상태로 놓여질 수 있도록 상기 적재 플레이트(110)에는 복수의 정렬봉(170)이 제공된다.
상기 정렬봉(170)은 적재 플레이트(110)의 상면 주연을 따라 복수로 제공되며, 일단이 적재 플레이트(110)에서 힌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적재 화물의 종류에 따라 정렬봉(170)이 필요하지 않거나 사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정렬봉(170)은 힌지 회동하여 적재 플레이트(110)에 마련된 홈부(112)에 수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정렬봉(170)은 적재 플레이트(110)의 양측에 제공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적재 플레이트(110)의 일측에만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정렬봉(170)에 대한 작업은 현장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10)에 콘테이너(40)를 적재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에서의 판재(30)와 마찬가지로 콘테이너(40)를 적재하는 경우에도 팔레트(110)의 상면 구조는 도 2에서와 같이 평면 구조로 복귀된 상태에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상기 팔레트(10)의 회동판(130)에는 콘테이너(40) 화물의 하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180)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다. 실시예에서와 같이, 고정핀(180)은 회동판(130)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나 이상 제공될 수 있고 사용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회동판(130)의 내부에 수용되어 감춰지고 필요시에만 회동판(130)의 상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핀(180)에 대한 작업은 현장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는 적재 화물의 종류에 따라 상면 구조가 다른 팔레트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고, 팔레트의 상면 구조를 간단한 방식으로 변화시킬 수 있어 하나의 팔레트로도 판재 뿐만 아니라 원형 금속 코일 및 사각 콘테이너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화물 적재가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화물 적하 작업의 효율성은 증대되고, 종래 다양한 화물 적재를 위해 각종의 팔레트를 제공하여야 하는 비용 부담은 효과적으로 절감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한 것이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으로 개시된 사항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아니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상기 레그는 판형 부재를 예시하였으나 트러스 구조로 대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수정과 변경은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범위 또는 이들의 균등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10: 팔레트
110: 적재 플레이트 112: 홈부(정렬봉 수용홈)
120: 레그 130: 회동판
132: 절곡부 140: 지지판
150: 고정구 160: 구동 수단
170: 정렬봉 180: 고정핀
20: 금속 코일
30: 판재
40: 콘테이너
110: 적재 플레이트 112: 홈부(정렬봉 수용홈)
120: 레그 130: 회동판
132: 절곡부 140: 지지판
150: 고정구 160: 구동 수단
170: 정렬봉 180: 고정핀
20: 금속 코일
30: 판재
40: 콘테이너
Claims (6)
- 판형의 적재 플레이트(110)와, 적재 플레이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구비되는 레그(120)를 포함하는 화물 적재용 팔레트(10)에 있어서,
상기 적재 플레이트(110)의 길이 방향 중심을 따라 대칭으로 제공되고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동 가능한 한쌍의 회동판(130);
상기 한 쌍의 회동판(130) 각각의 하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지지판(140); 및
상기 적재 플레이트(110)의 상면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140)의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회동판(130)을 소정 각도로 회동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고정구(150)를 포함하는 팔레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130)을 소정 각도 범위에서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160)을 더 포함하는 팔레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150)는 상기 적재 플레이트(110)의 상면 안팎으로 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132)의 끝단에는 절곡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플레이트(110)의 적어도 일측에는 적재된 판형 화물의 가장자리를 정렬하기 위한 복수의 정렬봉(170)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130)에는 콘테이너 화물의 하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180)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0305A KR101685036B1 (ko) | 2015-03-23 | 2015-03-23 | 다용도 팔레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0305A KR101685036B1 (ko) | 2015-03-23 | 2015-03-23 | 다용도 팔레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3925A true KR20160113925A (ko) | 2016-10-04 |
KR101685036B1 KR101685036B1 (ko) | 2016-12-09 |
Family
ID=57165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40305A KR101685036B1 (ko) | 2015-03-23 | 2015-03-23 | 다용도 팔레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85036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22004A (en) * | 1973-02-14 | 1975-11-25 | Winn Boughton Limited | Vehicle load securing device |
EP1967466A1 (en) * | 2007-03-08 | 2008-09-10 | Cronos Equipment (Bermuda) Limited | Freight container suitable for carrying coils |
KR20130100576A (ko) * | 2012-03-02 | 2013-09-11 | (주)유성티엔에스 | 화물열차의 컨테이너 고정용 어댑터 |
-
2015
- 2015-03-23 KR KR1020150040305A patent/KR10168503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922004A (en) * | 1973-02-14 | 1975-11-25 | Winn Boughton Limited | Vehicle load securing device |
EP1967466A1 (en) * | 2007-03-08 | 2008-09-10 | Cronos Equipment (Bermuda) Limited | Freight container suitable for carrying coils |
KR20130100576A (ko) * | 2012-03-02 | 2013-09-11 | (주)유성티엔에스 | 화물열차의 컨테이너 고정용 어댑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85036B1 (ko) | 2016-1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38486B2 (ja) | 車両輸送用コンテナ | |
CN104334471B (zh) | 用于运输尤其呈线圈的形状的产品的集装箱 | |
EP2151413A1 (en) | Gripping device | |
JP2007320727A (ja) | コンテナ用ガントリークレーン、コンテナ輸送用パレット、コンテナ搬送車、および、コンテナ輸送方法 | |
KR101685036B1 (ko) | 다용도 팔레트 | |
US20230182955A1 (en) | Pallet having stackable structure | |
FI126621B (fi) | Nostoteline tavarankuljetusyksikön nostamiseksi | |
CN210140139U (zh) | 运输架 | |
KR102684799B1 (ko) | 드럼 용기 내용물의 교반 장치 및 시스템 | |
KR102074218B1 (ko) | 크레인용 유리판재 적재물 클램핑 리프트 | |
JP2016088683A (ja) | 荷積荷降装置、荷積方法、及び荷降方法 | |
KR20180100931A (ko) | 유리포장블록 반전장치 | |
JP6597515B2 (ja) | 物品保管設備 | |
WO2012080567A1 (en) | Spreader | |
KR101444307B1 (ko) | 선박용 컨테이너 래싱장치 | |
FI116668B (fi) | Kannatin konttilaivan lastitilassa olevan lastin kannattamiseksi | |
KR101541427B1 (ko) | 중량물 취급 장치 | |
KR20110010970U (ko) | 이동형 파렛트 | |
CN205328167U (zh) | 物流定位设备 | |
KR101815314B1 (ko) | 고압가스 운반선의 실린더 모듈 운반 및 탑재 방법 | |
JP5920302B2 (ja) | 自動倉庫 | |
EP3294645B1 (en) | Vehicle body carrier and method of loading a vehicle body onto such a carrier | |
JP6481586B2 (ja) | 逆止ストッパ及びコンベヤ装置 | |
KR200448998Y1 (ko) | 컨테이너 내용물 하역장치 | |
US11802010B2 (en) | Article transport facilit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