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734A -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 - Google Patents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734A
KR20160112734A KR1020150038974A KR20150038974A KR20160112734A KR 20160112734 A KR20160112734 A KR 20160112734A KR 1020150038974 A KR1020150038974 A KR 1020150038974A KR 20150038974 A KR20150038974 A KR 20150038974A KR 20160112734 A KR20160112734 A KR 20160112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rail
guide rail
roller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0803B1 (ko
Inventor
임민영
Original Assignee
임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민영 filed Critical 임민영
Priority to KR1020150038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803B1/ko
Publication of KR20160112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21V21/38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with a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1Outdoor lighting of tunnels or the like, e.g. unde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등을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난간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며 양측면에 레일홈이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기 레일홈에 승강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외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레일접촉부와, 상기 레일접촉부의 일측 외면에 고정되며 교량등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구비한 안착부로 이루어지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가이드레일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강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을 회전 구동시키는 손잡이와, 일단이 상기 승강부재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중량체에 고정되어 상기 스프로킷에 권취되는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구동부를 구비함으로써, 교량에 설치된 교량등을 교체 및 보수시에 용이하게 작업자 측으로 교량등을 이동시켜 편리하고 신속하게 교량등을 교체 및 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ASCENT AND DESCENT TYPE INSTALLATION OF BRIDGE LAMP}
본 발명은 교량에 설치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이러한 교량 등은 교량 측단이나 교각에 설치되어져 교량의 위치를 표시토록 함으로써 교량을 통과하게 되는 선박이나 여객선들이 교량을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교량등이 교량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교량등(2)은 교량(1)에 직접 설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교량(1)의 일측단에 상측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바(10)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바(10)의 하측단으로 교량등(2)의 하단부를 고정시켜 교량(1)의 일측단 외측으로 공중에 교량등(2)이 매달려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교량등(2)의 설치는, 회전바(10)의 하측단으로 교량등(2)의 하측단이 고정되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측으로는 교량등(2)의 본체가 향하고 하측으로 렌즈가 방향하도록 교량등(2)이 거꾸로 설치되어질 수 밖에 없는 실정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교량등(2)이 거꾸로 설치되어짐에 따라 교량등(2)이 올바른 상태로 설치될 경우보다 시인성 확보가 저하되게 됨은 물론 자중에 의한 교량등(2)의 구성 요소 간의 부하 등 다양한 문제로 교량등(2)의 수명이 단축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교량등(2)의 점검을 위하여는, 작업자가 회전바(10)에 형성되어진 체인(20)을 잡아당겨 회전바(10)를 회전토록 함으로써 회전바(10)에 고정되어진 교량등(2)이 교량(1) 상측으로 끌어 올려지도록 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때, 교량등(2)이 고정되어진 회전바(10)는 교량 측단에서 이격되어져 있기 때문에 등의 점검을 위하여 작업자가 회전바(10)를 회전시켜 교량등(2)을 교량 상측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작업상 많은 위험성이 따를 뿐 아니라 점검 작업 자체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교량등(2)이 회전바(10)에 의하여 공중에 매달려 있는 형태로 설치되어지기 때문에 자칫 외부 물체와의 접촉 시 파손의 위험성이 크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보수 및 점검을 위한 작업상의 위험성 및 곤란함으로 교량 등(2)의 경우 주기적인 점검이 법제화되어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기적인 점검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관리에 많은 문제가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교량에 설치된 교량등을 교체 및 보수시에 용이하게 작업자 측으로 교량등을 이동시켜 편리하고 신속하게 교량등을 교체 및 보수할 수 있는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는, 교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난간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며 양측면에 레일홈이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기 레일홈에 승강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외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레일접촉부와, 상기 레일접촉부의 일측 외면에 고정되며 교량등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구비한 안착부로 이루어지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가이드레일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강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을 회전 구동시키는 손잡이와, 일단이 상기 승강부재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중량체에 고정되어 상기 스프로킷에 권취되는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구동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레일접촉부의 양측 내면에는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롤러가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어 상기 레일접촉부가 상기 레일홈을 따라 승강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는 상기 레일접촉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롤러와 제2롤러로 구비되어, 상측에 배치된 상기 제1롤러의 측면은 상기 레일홈의 일측 내면과 접촉되고, 하측에 배치된 상기 제2롤러의 측면은 상기 레일홈의 타측 내면과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의 상기 안착면에는 상기 안착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안착면과 중첩되거나 상기 안착면에 대하여 전개되도록 배치되는 회동판이 구비되고, 상기 교량등은 상기 회동판의 상면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회동판이 상기 안착면에 대하여 회동하여 전개되는 방향은 상기 교량의 내측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판의 일측에는 상기 회동판이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회동판의 양측에 상기 안착면의 외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회동판의 상면 일측과 접촉되는 고리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이탈됨을 방지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프로킷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승강부재가 승강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별도의 유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손잡이의 회전축에 구비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판면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원반 형상의 회전부재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스프로킷의 주연부에 구비된 커버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되는 고정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는, 교량에 설치된 교량등을 교체 및 보수시에 용이하게 작업자 측으로 교량등을 이동시켜 편리하고 신속하게 교량등을 교체 및 보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량등이 교량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의 작동 구조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 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의 작동 구조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는, 교량(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난간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며 양측면에 레일홈(110)이 형성된 가이드레일(100)과, 가이드레일(100)의 레일홈(110)에 승강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가이드레일(100)의 외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레일접촉부(210)와, 레일접촉부(210)의 일측 외면에 고정되며 교량등(2)이 안착되는 안착면(221)을 구비한 안착부(220)로 이루어지는 승강부재(200)와, 승강부재(200)를 가이드레일(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강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1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로킷(310)과, 스프로킷(310)을 회전 구동시키는 손잡이(320)와, 일단이 승강부재(200)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가이드레일(100)의 내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중량체(301)에 고정되어 스프로킷(310)에 권취되는 체인(330)으로 이루어지는 구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레일(100)은 교량등(2)이 설치되어 발광하는 위치에서부터 교량등(2)의 교체나 보수를 위하여 작업자 측으로 이동되어야 하는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교량(1)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는 부재이다.
가이드레일(100)의 양측면에는 레일홈(11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레일홈(110)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100)의 양측 단부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내부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절곡된 'ㄱ'자형 부재와 'ㄱ'자형 부재 사이에 레일홈(11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레일(100)의 하단과 상단에는 각각 가이드레일(100)을 따라 승강 이동하는 승강부재(200)가 가이드레일(100)에서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판상의 고정부재(120)가 체결되어 있다.
승강부재(200)는 일측에 교량등(2)이 안착되어 교량등(2)을 일정한 높이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가이드레일(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강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레일(100)에 형성된 레일홈(110)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승강부재(200)는 가이드레일(100)과 실질적으로 접촉되어 승강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레일접촉부(210)와, 레일접촉부(21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교량등(2)을 일정 높이에서 지지하는 안착부(220)로 구성되어 있다.
레일접촉부(210)는 'ㄷ'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부재로서 가이드레일(100) 측면의 세 부분을 감싸는 형태를 갖도록 판상의 부재가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레일접촉부(210)의 양측 내면에는 롤러(21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롤러(211)가 레일홈(110)에 삽입되어 레일접촉부(210)가 레일홈(110)을 따라 승강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롤러(211)는 레일접촉부(2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롤러(211a)와 제2롤러(211b)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측에 배치된 제1롤러(211a)의 측면은 레일홈(110)의 일측 내면과 접촉되고, 하측에 배치된 제2롤러(211b)의 측면은 레일홈(110)의 타측 내면과 접촉됨으로써 레일접촉부(210)의 일측면에 구비된 안착부(220)로 인하여 레일접촉부(210)에 편심되게 작용하는 하중이 제1롤러(211a)와 제2롤러(211b)에 의하여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롤러(211a)와 제2롤러(211b)가 각각 레일접촉부(210)의 일측 내면과 타측 내면에 접촉됨으로써 제1롤러(211a)와 제2롤러(211b)의 구름 운동에 의하여 부드럽게 안착부(220)를 승강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안착부(220)의 상면에 형성된 평탄한 안착면(221)에는 안착면(221)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안착면(221)과 중첩되거나 안착면(221)에 대하여 전개되도록 배치되는 회동판(222)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회동판(222)이 안착면(221)에 대하여 회동하여 전개되는 방향은 교량(1)의 내측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하고, 교량등(2)은 회동판(222)의 상면에 설치됨으로써 교량등(2)의 보수나 교체를 위하여 승강부재(200)를 작업자가 위치한 교량으로 승강 이동시킨 후에 회동판(222)을 회동시켜 교량등(2)이 작업자 측으로 넘어오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교량(1)에 서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회동판(222)에 의하여 작업자는 교량등(2)을 보수하거나 교체하기 위하여 상체를 교량(1)의 외측으로 굽히지 않고 꼿꼿하게 선 상태에서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으므로 작업중에 작업자가 교량(1)에서 낙하되는 위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승강부재(200)의 일측에는 회동판(222)이 안착면(221)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23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수단(230)은 안착부(220)의 양측에 안착면(221)의 외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축(231)과, 회전축(231)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회동판(222)의 상면 일측과 접촉되는 고리부재(232)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축(231)은 일정 길이를 갖는 'ㅗ' 형상의 부재로서 하부 양측은 안착부(220)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영역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고리부재(232)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고리부재(232)의 하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회동판(222)의 상면 일측과 접촉되어 회동판(222)이 임의로 회동함을 방지하게 되는데, 회동판(222)의 두께에 따라 회전축(231)에 체결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리부재(232)는 회전축(231)에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300)는 승강부재(200)를 승강 이동시키기 위하여 작업자가 조작하는 부분으로써 가이드레일(1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로킷(310)과, 스프로킷(310)을 회전 구동시키는 손잡이(320)와, 스프로킷(310)에 권취되는 체인(3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프로킷(310)은 톱니 형상의 외면을 갖는 부재로서 그 중심축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심축은 손잡이(3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로킷(31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스프로킷(310)의 주연부에는 별도의 커버(311)가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320)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그 단부가 스프로킷(310)의 중심축과 고정되어 스프로킷(310)을 회전 구동시키는 부재이다.
체인(330)은 일단이 승강부재(200)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가이드레일(100)의 내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중량체(301)에 고정되어 스프로킷(310)에 권취되어 있다.
중량체(301)는 가이드레일(100)의 내부에 가이드레일(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교량(1)에 설치되는 교량등(2)과 승강부재(200)를 합친 무게와 비슷한 무게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체(301)의 무게가 교량등(2)과 승강부재(200)를 합친 무게와 비슷한 무게를 가질 경우에 체인(330)의 양단에 작용하는 중량의 평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은 힘으로도 스프로킷(310)을 회전 구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프로킷(310)의 회전이 완료되어 승강부재(200)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킨 후에 승강부재(200)를 고정시에 후술할 유지부(340) 측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체인(330)은 스프로킷(310)의 외면 일부에 권취되며 일단이 승강부재(2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중량체(301)에 고정되는 부재로서, 체인(330)의 길이는 적어도 승강부재(200)가 승강 이동할 수 있는 길이보다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스프로킷(31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승강부재(220)가 승강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별도의 유지부(3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유지부(340)는 손잡이(320)의 회전축에 구비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판면에 복수의 관통공(341a)이 형성된 원반 형상의 회전부재(341)와, 관통공(341a)을 통과하여 스프로킷(310)의 주연부에 구비된 커버(311)에 형성된 통공(311a)에 삽입되는 고정볼트(342)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를 이용하여 교량등을 교체 및 보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교량(1)에 설치된 교량등(2)의 교체나 보수가 필요한 경우에 교량등(2)을 작업자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손잡이(320)를 회전 구동시키면 손잡이(320)와 고정되어 있는 스프로킷(310)이 회전 구동하면서 스프로킷(310)의 외면 일부에 권취되어 있는 체인(330)을 이동시키게 된다.
체인(330)의 이동에 의하여 체인(330)의 타측에 고정된 중량체(301)는 하강 이동하게 되고 체인(330)의 일측에 고정된 승강부재(200)는 점진적으로 상승 이동하게 된다.
작업자가 교량등(2)을 교체하거나 보수할 수 있는 위치로 승강부재(200)가 상승 이동하면 작업자는 유지부(340)의 고정볼트(342)를 관통공(341a)과 통공(311a)에 삽입되도록 하여 손잡이(32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스프로킷(310)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여 승강부재(200)가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리부재(232)를 회전판(222)의 외측으로 회전시켜 고리부재(232)의 하면이 회전판(222)의 상면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후에 회전판(222)을 교량(1)에 서 있는 작업자 측으로 회동시켜 교량등(2)이 작업자와 근접한 상태에 배치되도록 하고 교량등(2)을 보수하거나 교체하게 된다.
교량등(2)의 보수나 교체가 완료되면 상술한 과정을 반대로 진행함으로써 교량등(2)이 교량(1) 일측의 초기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작업이 완료되어 편리하고 신속하게 교량등을 교체 및 보수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교량 2 : 교량등
100 : 가이드레일 110 : 레일홈
120 : 고정부재 200 : 승강부재
210 : 레일접촉부 211 : 롤러
211a : 제1롤러 211b : 제2롤러
220 : 안착부 221 : 안착면
222 : 회동판 300 : 구동부
310 : 스프로킷 320 : 손잡이
330 : 체인 340 : 유지부
341 : 회전부재 342 : 고정볼트

Claims (10)

  1. 교량(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난간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며 양측면에 레일홈(110)이 형성된 가이드레일(100)과;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상기 레일홈(110)에 승강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외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레일접촉부(210)와, 상기 레일접촉부(210)의 일측 외면에 고정되며 교량등(2)이 안착되는 안착면(221)을 구비한 안착부(220)로 이루어지는 승강부재(200)와;
    상기 승강부재(200)를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강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로킷(310)과, 상기 스프로킷(310)을 회전 구동시키는 손잡이(320)와, 일단이 상기 승강부재(200)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내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중량체(301)에 고정되어 상기 스프로킷(310)에 권취되는 체인(330)으로 이루어지는 구동부(3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접촉부(210)의 양측 내면에는 롤러(21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롤러(211)가 상기 레일홈(110)에 삽입되어 상기 레일접촉부(210)가 상기 레일홈(110)을 따라 승강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 .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211)는 상기 레일접촉부(2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롤러(211a)와 제2롤러(211b)로 구비되어, 상측에 배치된 상기 제1롤러(211a)의 측면은 상기 레일홈(110)의 일측 내면과 접촉되고, 하측에 배치된 상기 제2롤러(211b)의 측면은 상기 레일홈(110)의 타측 내면과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 .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220)의 상기 안착면(221)에는 상기 안착면(221)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안착면(221)과 중첩되거나 상기 안착면(221)에 대하여 전개되도록 배치되는 회동판(222)이 구비되고, 상기 교량등(2)은 상기 회동판(222)의 상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222)이 상기 안착면(221)에 대하여 회동하여 전개되는 방향은 상기 교량(1)의 내측 방향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220)의 일측에는 상기 회동판(222)이 상기 안착면(221)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23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30)은 상기 회동판(220)의 양측에 상기 안착면(221)의 외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축(231)과, 상기 회전축(231)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회동판(220)의 상면 일측과 접촉되는 고리부재(23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0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상기 승강부재(200)가 상기 가이드레일(100)에서 이탈됨을 방지하는 고정부재(1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각식 교량등 설치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스프로킷(31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승강부재(220)가 승강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별도의 유지부(34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 .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340)는 상기 손잡이(320)의 회전축에 구비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판면에 복수의 관통공(341a)이 형성된 원반 형상의 회전부재(341)와, 상기 관통공(341a)을 통과하여 상기 스프로킷(310)의 주연부에 구비된 커버(311)에 형성된 통공(311a)에 삽입되는 고정볼트(3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 .
KR1020150038974A 2015-03-20 2015-03-20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 KR101680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974A KR101680803B1 (ko) 2015-03-20 2015-03-20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974A KR101680803B1 (ko) 2015-03-20 2015-03-20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734A true KR20160112734A (ko) 2016-09-28
KR101680803B1 KR101680803B1 (ko) 2016-11-29

Family

ID=57101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974A KR101680803B1 (ko) 2015-03-20 2015-03-20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8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742B1 (ko) * 2022-01-27 2022-09-01 고성광 교량등 설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1710A (ja) * 1998-06-29 2000-01-1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照明灯
KR100602613B1 (ko) * 2004-07-08 2006-07-24 손병옥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KR100902191B1 (ko) * 2008-12-22 2009-06-10 광주광역시 남구 가로등
KR101291610B1 (ko) * 2011-03-16 2013-07-31 강원일 안전 승강수단이 구비된 조명타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742B1 (ko) * 2022-01-27 2022-09-01 고성광 교량등 설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0803B1 (ko) 201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3032B (zh) 高處安裝設備用之升降裝置
KR101610214B1 (ko) 캐리어 추락방지장치를 갖는 승강식 조명탑
KR101870896B1 (ko)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
KR20190063488A (ko) 높이조절가능한 가로등
KR101680803B1 (ko) 승강식 교량등 설치대
KR101616385B1 (ko) 풍력발전기의 유지보수용 작업대
KR101564890B1 (ko) 버스엔진 정비용 이동식 리프트
KR20170000677U (ko) 정압기 분해 조립용 지지장치
KR101689896B1 (ko) 승강이송로봇용 부품교체장치
KR101571794B1 (ko) 승강식 조명탑
KR101538893B1 (ko) 승하강식 활주로 진입등주
JP4707272B2 (ja) タービンの点検、保守用支持装置
KR200435725Y1 (ko) 승강식 조명타워의 회전식 승강캐리어장치
KR101451093B1 (ko) 리니어 가이드 장치를 이용한 교량 등 설치대
KR200482885Y1 (ko) 수직형 모터의 부품 분해,조립 작업용 리프팅 거치대
JP6887221B2 (ja) エレベーター用足場台
JP3762271B2 (ja) 昇降式架台付き照明柱及びその架台昇降方法並びにウインチ運搬用キャリヤー
KR102082141B1 (ko) 터빈쉘 보수용 회전식 지지장치
JPH09144302A (ja) タンク内面の点検補修装置
JP6080741B2 (ja) 重量物運搬方法、及び重量物運搬装置
KR101883453B1 (ko) 조명기구 무빙 시스템
KR101967996B1 (ko) 승강형 조명타워
JP5274195B2 (ja) 発電設備内における重量物運搬装置
KR20130074024A (ko) 승강구조를 갖는 안전등
KR200398050Y1 (ko) 승하강식 조명타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