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565A -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565A
KR20160112565A KR1020150038498A KR20150038498A KR20160112565A KR 20160112565 A KR20160112565 A KR 20160112565A KR 1020150038498 A KR1020150038498 A KR 1020150038498A KR 20150038498 A KR20150038498 A KR 20150038498A KR 20160112565 A KR20160112565 A KR 20160112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mergency information
emergency
commun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4456B1 (ko
Inventor
김성운
강기동
강경현
노희진
윤석영
백빛나
김가희
허종혁
김치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8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456B1/ko
Publication of KR20160112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5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responding to signals from another vehicle, e.g. emergency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5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 G08G1/0968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where the complete route is shown to the driv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5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 G08G1/096872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where instructions are given per vo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7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 G08G1/09688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where input information is obtained using a mobile device, e.g. a mobile phone, a PDA
    • H04W4/046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은 응급 상황 발생 시 응급 정보를 주변 차량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응급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빔 포밍하여 주변 차량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응급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과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앰뷸런스 차량과 같이 응급 상황으로 인해 신속한 주행이 필요한 차량은 응급 상황 발생 시 도로에서 경적을 울리거나 비상등을 켬으로써 부상자, 산모 등을 응급상황에서 이동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수단 만으로는 주변 차량이 응급 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웠다.
또한, 도로에 여러 차량이 정체된 경우, 신속한 주행이 필요한 차량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주변 차량은 응급 상황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개시된 실시예는 응급 상황 발생 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주변 차량에 응급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는 응급 상황 발생 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수신한 응급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응급 상황 발생 시 응급 정보를 주변 차량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응급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빔 포밍하여 주변 차량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차량은 사용자로부터 응급 상황 발생 여부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통신부의 응급 정보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는 주변 차량과 디바이스간 통신(Device-to-Device Communications)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는 복수의 주변 차량에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는 멀티홉 방식으로 주변 차량에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는 서버로부터 권한 부여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는 권한 부여 신호를 수신한 경우, 통신부가 무선 신호를 주변 차량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는 응급 상황 발생 신호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는 휴대용 단말과의 커넥티비티를 이용하여 전화망을 통해 기관에 응급 상황 발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이 되는 주변 차량을 판단하고, 통신부는 수신 대상이 되는 주변 차량에 응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는 차량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주변 차량을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으로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차량 및 주변 차량의 차선 또는 주행 방향에 기초하여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이 되는 주변 차량을 판단할 수 있다.
차량은 차량의 주변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제어부는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이 되는 주변 차량을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다른 차량으로부터 응급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차량이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인지 판단하는 제어부, 및 차량이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인 경우 응급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시청각 출력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차량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다른 차량이 응급 정보를 전송한 경우,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차량과 다른 차량의 차선 또는 주행 방향에 기초하여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차량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제어부는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통신부는 다른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응급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응급 상황 발생 시 응급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빔 포밍하여 주변 차량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차량의 제어방법은 응급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로부터 응급 상황발생 여부를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응급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응급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응급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서버로부터 권한 부여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고, 전송하는 단계는 권한 부여 신호를 수신한 경우 무선 신호를 주변 차량에 전송할 수 있다.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이 되는 주변 차량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전송하는 단계는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이 되는 주변 차량에 무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개시된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주변 차량의 운전자는 빔 포밍을 통해 응급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응급 상황의 발생을 즉각적으로 인지하고, 응급 정보를 전송한 차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주변 차량의 운전자는 주변 차량이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을 직접 판단함으로써 선별적으로 응급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포함된 통신부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5G 통신방식에 따른 기지국의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일 실시예에 따른 5G 통신방식에 따른 네트워크 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포함된 무선 신호 변환 모듈을 도시하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포함된 빔 포밍 모듈을 도시한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30)의 구현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차량 내부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응급 정보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응급 정보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응급 정보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각각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응급 정보가 전송되는 범위를 나타내기 위한 운전자 차량과 주변 차량의 예시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 여부를 판단하는 주변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8은 빔 포밍을 이용하여 주변 차량에 응급 정보를 전송하는 운전자 차량의 예시도이다.
도 19는 멀티홉을 이용하여 주변 차량에 응급 정보를 전송하는 운전자 차량의 예시도이다.
도 20은 기지국을 통해 주변 차량에 응급 정보를 전송하는 운전자 차량의 예시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응급 정보를 수신한 주변 차량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변 차량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차량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통신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다른 통신 주체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거나, 차량(100) 내 각종 전자 장치와 내부 통신망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1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다른 차량 또는 서버 등 다른 통신 주체에 응급 정보를 전송한다.
통신 주체는 차량, 응급 차량, 교통정보 장치, 서버 등 차량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주체를 의미한다. 차량(100) 또한 하나의 통신 주체가 될 수 있다.
응급 정보는 예를 들어, 현재 차량(100)의 위치 정보, 및 응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재 차량(100)의 위치 정보는 통신부(110)가 GPS수신 모듈(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경우, GPS수신 모듈이 수신한 GPS정보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주변 차량(200)에 응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은 차량(100)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의 범위 또는 통신부(110)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범위 이내를 의미한다. 미리 설정된 거리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30)로부터 입력 받은 거리일 수 있고, 제조 단계에서 설정된 거리일 수 있다.
통신부(110)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어부(120)는 차량(100)에 포함된 각종 전자 장치 또는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제어부(120)는 프로세서(Processor, 121), 차량(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23) 및 차량(1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차량(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별개인 회로 기판에 프로세서(121), 램(122) 또는 롬(123)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보드(graphic processing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 램(122) 및 롬(123)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프로세서(121), 램(122) 및 롬(123)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프로세서(121), 램(122), 롬(123), 및 프로세싱 보드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통신부(110)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포함된 통신부를 도시하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5G 통신방식에 따른 기지국의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일 실시예에 따른 5G 통신방식에 따른 네트워크 망을 도시한 도면이다.
통신부(110)는 차량(100) 내부의 내부 통신망를 통하여 차량(100) 내부의 각종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내부 통신부(112), 다른 차량, 이동 단말, 서버 또는 기지국과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140), 내부 통신부(112)와 무선 통신부(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통신부(112)는 내부 통신망과 연결되는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115), 신호를 변조/복조하는 내부 신호 변환 모듈(114), 내부 통신망을 통한 통신을 제어하는 내부 통신 제어 모듈(113)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115)는 내부 통신망을 통하여 차량(100) 내부의 각종 전자 장치로부터 송신된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내부 통신망를 통하여 차량(100) 내부의 각종 전자 장치로 통신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통신 신호는 내부 통신망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115)는 내부 통신망과 내부 통신부(112)를 연결하는 통신 포트(communication port) 및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기(trans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신호 변환 모듈(114)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내부 통신 제어 모듈(113)의 제어에 따라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223)를 통하여 수신된 통신 신호를 제어 신호로 복조하고, 통신 제어부(111)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제어 신호를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223)를 통하여 송신하기 위한 아날로그 통신 신호로 변조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 신호는 내부 통신망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신호를 의미하고, 제어 신호는 통신부(110) 내부에서 송수신 신호를 의미한다. 내부 통신망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통신 신호와 내부 통신부(112)와 통신 제어부(111)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제어 신호는 서로 상이한 포맷을 갖는다.
예를 들어, 캔 통신의 경우 통신 신호는 한 쌍의 통신 라인을 통하여 전송되며, 한 쌍의 통신 라인 사이의 전위 차이에 따라 통신 데이터 "1" 또는 "0"이 전송된다. 이에 비하여 내부 통신부(112)와 통신 제어부(111)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제어 신호는 단일 라인을 통하여 전송되며, 단일 라인의 전위에 따라 제어 데이터 "1" 또는 "0"이 전송된다.
이처럼, 내부 신호 변환 모듈(114)는 통신 제어부(111)가 출력한 제어 신호를 내부 통신망의 통신 규약에 따른 통신 신호로 변조하고, 내부 통신망의 통신 규약에 따른 통신 신호를 통신 제어부(111)가 인식할 수 있는 제어 신호로 복조한다.
이와 같은 내부 신호 변환 모듈(114)는 통신 신호의 변조/복조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통신 신호의 변조/복조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통신 제어 모듈(113)은 내부 신호 변환 모듈(114)과 통신 인터페이스(115)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내부 통신 제어 모듈(113)은 통신 인터페이스(115)를 통하여 내부 통신망이 다른 전자 장치에 의하여 점유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내부 통신망이 비어있으면 통신 신호를 송신하도록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115)와 내부 신호 변환 모듈(114)을 제어한다. 또한,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내부 통신 제어 모듈(113)은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115)를 통하여 수신된 통신 신호를 복조하도록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115)와 내부 신호 변화 모듈(114)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내부 통신 제어 모듈(113)은 내부 신호 변환 모듈(114)과 통신 인터페이스(115)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내부 신호 변환 모듈(114)과 내부 통신 제어 모듈(113)은 별개의 메모리와 프로세서로 구현되거나, 단일의 메모리와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 내부 통신 제어 모듈(113)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통신 제어 모듈(113)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통신 제어부(111) 또는 전술한 제어부(120)에 통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통신 제어부(111) 또는 제어부(120)가 직접 내부 통신부(112)의 신호 송신/신호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40)는 무선 신호를 통하여 차량, 이동 단말 또는 기지국과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무선 통신부(140)는 다양한 통신 규약을 통하여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무선 통신부(140)가 이용하는 통신 규약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 랜 규격(IEEE802. 11x)을 지원한다. 또한, 통신 규약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을 지원한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IEEE 802.16m은 IEEE 802.16e의 진화로, IEEE 802.16e에 기반한 시스템과의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를 제공한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무선 통신부(140)가 이용하는 통신 규약은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직비(Zigbee) 등 다양한 근거리 통신방식을 포함한다.
또한, 통신 규약은 5G(5Generation) 통신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4G 통신방식은 2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만, 5G 통신방식은 약 28GHz 대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5G 통신방식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5G 통신방식에는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이 채용될 수 있다.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은 안테나를 수십 개 이상 사용하여 초고대역 주파수까지 커버 가능하고, 다중 접속을 통해 많은 양의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 가능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은 안테나 소자의 배열을 조정하여 특정 방향으로 더 멀리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대용량 전송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5G 통신망 망의 사용 가능한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Access Point, AP)은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을 통해 많은 디바이스들과 무선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 가능하다. 또한, 대규모 안테나 시스템은 전파를 전송하는 방향 외의 방향으로 유출되는 전파를 최소화하여 노이즈를 감소시킴으로써, 송신 품질 향상과 전력량의 감소를 함께 도모할 수 있다.
또한, 5G 통신방식은 직교주파수 분할(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방식을 통해 송신 신호를 변조하는 기존과 달리, 비직교 다중접속(Non-Orthogonal Multiplexing Access, NOMA) 방식을 통해 변조한 무선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더 많은 디바이스의 다중 접속이 가능하며, 대용량 송수신이 동시에 가능하다.
예를 들어, 5G 통신방식은 최고 1Gbps의 전송속도의 제공이 가능하다. 5G 통신방식은 대용량 전송을 통해 UHD(Ultra-HD), 3D, 홀로그램 등과 같이 대용량 전송이 요구되는 몰입형 통신의 지원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5G 통신방식을 통해 보다 정교하고 몰입이 가능한 초 고용량 데이터를 보다 빠르게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5G 통신방식은 최대 응답 속도 1ms 이하의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5G 통신방식에서는 사용자가 인지하기 전에 반응하는 실시간 서비스의 지원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주행 중에도 각종 디바이스로부터 센서정보를 전달 받아, 실시간 처리를 통해 자율주행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원격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은 5G 통신방식을 통해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다른 차량들과의 센서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충돌발생 가능성을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경로 상에 발생될 교통상황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5G 통신이 제공하는 초 실시간 처리 및 대용량 전송을 통해, 차량(100)은 차량(100) 내 탑승객들에게 빅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각종 웹 정보, SNS 정보 등을 분석하여, 차량(100) 내 탑승객들의 상황에 적합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차량(100)은 빅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주행 경로 주변에 존재하는 각종 맛집, 볼거리 정보들을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이를 제공함으로써, 탑승객들이 주행 중인 지역 주변에 존재하는 각종 정보들을 바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한편, 5G 통신의 네트워크 망은 셀을 보다 세분화하여, 네트워크의 고밀도화를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셀은 이동 통신에서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넓은 지역을 작은 구역으로 세분한 구역을 의미한다. 각 셀 내에 소출력 기지국(AP)이 설치됨으로써 디바이스 간의 통신이 지원된다. 예를 들어, 5G 통신의 네트워크 망은 셀의 크기를 줄여 더욱 세분화함으로써, 매크로셀 기지국(AP)-분산 소형 기지국(AP)-통신 디바이스의 2단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5G 통신의 네트워크 망은 멀티홉(multihop) 방식을 통한 무선 신호의 릴레이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D1)는 기지국(AP)의 네트워크 망 외부에 위치한 제3 디바이스(D3)의 데이터 송수신을 함에 있어, 릴레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D1)은 기지국(AP)의 네트워크 망 내부에 위치한 제2 디바이스(D2)가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있어, 릴레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5G 통신의 네트워크 망을 사용 가능한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릴레이의 역할을 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5G 통신망 망이 지원되는 영역을 확대함과 동시에, 셀 내의 사용자가 많을 경우 생기는 버퍼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5G 통신방식은 차량,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에 적용되는 디바이스간(Device-to-Device, D2D) 통신이 가능하다. 디바이스간 통신은 디바이스 간에 이루어지는 통신으로써, 디바이스가 센서를 통해 감지한 데이터뿐만 아니라, 디바이스 내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가 포함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을 의미한다.
디바이스간 통신 방식에 의할 경우, 기지국을 거쳐 무선 신호를 주고 받을 필요가 없고, 디바이스 간에 무선 신호 전송이 이루어지므로, 불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차량,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이 5G 통신방식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디바이스 내에 안테나가 내장되어야 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은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다른 주변 차량들(210, 220, 230) 등과 디바이스간 통신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차량(100)은 뿐만 아니라, 교차로 등에 설치되어 있는 교통정보 장치(미도시)와 디바이스간 통신이 가능하다.
한편, 5G 통신망은 디바이스간 통신이 지원되는 영역을 확대함으로써, 보다 먼 곳에 위치한 디바이스와 디바이스간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응답 속도 1ms 이하의 실시간 처리와 1Gbps 이상의 고용량 통신을 지원하므로, 주행 중인 차량(100) 간에도 원하는 데이터가 포함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5G 통신방식을 통해 주행 중에도 차량(100) 주변에 존재하는 다른 차량, 각종 서버, 시스템 등과 실시간으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고, 이를 처리하여 증강 현실을 통해 경로안내 제공서비스 등과 같은 각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4c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디바이스간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다른 차량들(210, 220, 230)과 통신하는 경우, 멀티홉 방식을 이용하여 다른 차량들(210, 220, 230)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어느 한 차량(220)은 차량(100)이 다른 한 차량(210)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릴레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선 통신부(140)는 5G 통신 방식을 채용한 것으로 가정하나, 이외에도, 차량(100)은 전술한 주파수 대역 외의 대역을 이용하여, 기지국을 거쳐 또는 디바이스간 통신을 통해 데이터가 포함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전술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통신방식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부(140)는 신호를 변조/복조하는 무선 신호 변환 모듈(142), 무선 통신을 위한 빔 패턴(beam pattern)을 생성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빔 포밍 모듈(143) 및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제어 모듈(141)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신호 변환 모듈(142)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무선 통신 제어 모듈(141)의 제어에 따라 빔 포밍 모듈(143)을 통하여 수신된 무선 통신 신호를 제어 신호로 복조하고, 통신 제어부(111)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를 빔 포밍 모듈(143)를 통하여 송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신호로 변조한다.
무선 통신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무선 통신 신호는 무선 통신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어 신호와 상이한 포맷을 갖는다. 특히, 무선 통신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인데 비하여 제어 신호는 디지털 신호인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신호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고주파수(예를 들어, 5G 통신 방식의 경우 약 28GHz)의 반송파에 신호를 실어 보낸다. 이를 위하여 무선 신호 변환 모듈(142)는 통신 제어부(111)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반송파를 변조함으로써 통신 신호를 생성하고, 어레이 안테나(340)를 통하여 수신된 통신 신호를 복조함으로써 제어 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포함된 무선 신호 변환 모듈을 도시하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에 포함된 빔 포밍 모듈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신호 변환 모듈(142)는 부호화기(Encoder, ENC) (142-1), 변조기(Modulator, MOD) (142-2), 다중 입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부호화기(142-3), 프리코더(Pre-coder) (142-4), 역 고속 푸리에 변환기(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er, IFFT) (142-5), 병렬-직렬 변환기(Parallel to Serial converter, P/S) (142-6), 순환 프리픽스(Cyclic Prefix, CP) 삽입기(142-7),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igital to Analog Converter, DAC) (142-8), 주파수 변환기(142-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개의 제어 신호들은 부호화기(142-1)와 변조기(142-2)를 거쳐 다중 입출력 부호화기(142-3)로 입력된다. 다중 입출력 부호화기(142-3)로부터 출력된 M개의 스트림들은 프리코더(142-4)에 의하여 프리코딩되어, N개의 프리코딩된 신호들로 변환된다. 프리코딩된 신호들은 역 고속 푸리에 변환기(142-5), 병렬-직렬 변환기(142-6), 순환 프리픽스 삽입기(142-7),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42-8)를 거쳐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42-8)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는 주파수 변환기(142-9)를 통하여 라디오 주파수(Radio Frequency, RF) 대역으로 변환된다.
이와 같은 무선 신호 변환 모듈(142)는 통신 신호의 변조/복조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통신 신호의 변조/복조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무선 신호 변환 모듈(142)은 도 5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실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라디오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는 빔 포밍 모듈(143)로 입력된다.
빔 포밍 모듈(143)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무선 통신 제어 모듈(141)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을 위한 빔 패턴을 생성하여 무선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5G 통신 방식은 방사형의 형태로 송신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나, 빔 포밍을 통해 특정 영역 또는 특정 디바이스에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때, 5G 통신방식은 밀리미터파 대역을 사용하여, 빔 포밍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밀리미터파 대역은 약 30Ghz 이상 약 300Ghz 이하의 대역을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빔 포밍 모듈(143)는 위상 배열 안테나를 이용하여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위상 배열 안테나는 단위 안테나 소자를 규칙적으로 배열하고, 각각의 단위 안테나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위상 차이를 제어함으로써 전체 배열 안테나의 빔 패턴을 제어할 수 있는 안테나이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포밍 모듈(143)은 무선 신호 변환 모듈(142)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의 전력을 분배하는 전력 분배기(143-1), 아날로그 신호의 위상을 변환하는 위상 변환기(143-2), 아날로그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는 가변 이득 증폭기(143-3) 및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하는 배열 안테나(143-4)를 포함할 수 있다.
빔 포밍 모듈(143)은 전력 분배기(143-1)를 통하여 아날로그 신호의 전력을 각각의 단위 안테나(143-4a~143-4h)로 분배하고, 위상 변환기(143-2)와 가변 이득 증폭기(143-3)를 통하여 각각의 단위 안테나(143-4a~143-4h)에 전달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빔 패턴(BP)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배열 안테나(143-4)로부터 출력하고자 하는 빔 패턴(BP)의 주 방향이 θ인 경우, 위상 변환기(143-2)를 통한 위상 차이(△φ)는 [수학식 1]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φ는 위상 차이, d는 단위 안테나 사이의 간격, λ는 반송파의 파장, θ는 빔 패턴의 주 방향을 나타낸다.)
[수학식 1]에 의하면, 빔 패턴(BP)의 주 방향(θ)은 단위 안테나(143-4a~143-4h) 사이의 위상 차이(△φ) 및 단위 안테나(143-4a~143-4h) 사이의 간격(d)에 의하여 결정된다.
또한, 배열 안테나(143-4)로부터 출력하고자 하나는 빔 패턴(BP)의 빔 폭(BW)은 [수학식 2]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BW는 빔 패턴의 빔 폭, d는 단위 안테나 사이의 간격, λ는 반송파의 파장, N은 배열 안테나의 개수를 나타낸다.)
[수학식 2]에 의하면, 빔 패턴(BP)의 빔 폭(BW)은 단위 안테나(143-4a~143-4h) 사이의 간격(d) 및 단위 안테나(143-4a~143-4h)의 개수(N)에 의하여 결정된다.
무선 통신 제어 모듈(141)은 무선 신호 변환 모듈(142)과 빔 포밍 모듈(143)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다른 차량,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기지국과의 통신을 확립하는(establish) 경우, 무선 통신 제어 모듈(141)은 최적의 무선 통신 채널을 평가하기 위하여 무선 신호 변환 모듈(142)과 빔 포밍 모듈(143)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제어 모듈(141)은 빔 패턴(BP)에 따라 무선 통신 채널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기초로 최적의 무선 통신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무선 통신 제어 모듈(141)은 통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빔 패턴(BP)을 생성하기 위하여 빔 포밍 모듈(143)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제어 모듈(141)은 빔 포밍 모듈(143)에 의하여 형성되는 빔 패턴(BP)의 주 방향(θ)을 제어하기 위하여 단위 안테나(143-4a~143-4h) 사이의 위상 차이(△φ)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무선 통신 제어 모듈(141)은 통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빔 패턴(BP)을 생성하기 위하여 빔 포밍 모듈(143)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 통신 제어 모듈(141)은 무선 신호 변환 모듈(142)과 빔 포밍 모듈(143)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무선 신호 변환 모듈(142)과 무선 통신 제어 모듈(141)은 별개의 메모리와 프로세서로 구현되거나, 단일의 메모리와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 무선 통신 제어 모듈(141)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제어 모듈(141)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통신 제어부(111) 또는 전술한 제어부(120)에 통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통신 제어부(111) 또는 제어부(120)가 직접 무선 통신부(140)의 신호 송신/신호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111)는 내부 통신부(112) 및 무선 통신부(14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내부 통신부(112)를 통하여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를 해석하고 해석 결과에 따라 내부 통신부(112) 및 무선 통신부(1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차량(100)에 포함된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내부 통신부(112)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통신 제어부(111)는 해당 데이터를 다른 차량,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차량,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통신 제어부(111)는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의 목표 장치를 판단하고, 수신된 데이터가 목적 장치로 송신하도록 내부 통신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신 제어부(111)는 내부 통신부(112)와 무선 통신부(14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 통신 제어부(111)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11)는 전술한 제어부(120)에 통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어부(120)가 직접 무선 통신부(140)의 신호 송신/신호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입력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응급 정보의 전송 여부, 응급 상황 발생 여부 등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입력부(130)로부터 수신한 응급 정보의 전송 명령에 따라 통신부(110)가 응급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30)의 구현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차량 내부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입력부(130)는 하드키 형태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차량(100) 앞쪽의 대시보드(10)에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입력부(130)의 형태는 도 8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드키 뿐만 아니라, 조그 셔틀(jog shuttle) 또는 터치 스크린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 장치는 감압식 터치스크린 패널이나 정전식 터치 스크린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장치는 초음파나 적외선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입력부(130)는 제스처(gesture) 인식 장치, 눈 깜빡임 인식 장치 등 생체 인식 장치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조작계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30)는 도 8과 같이 대시보드(10) 중앙에 마련되는 것 뿐만 아니라, 스티어링 휠(12), 보조석 쪽 대시보드(10)의 영역 등 다양한 영역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차량(100)의 응급 정보 전송 과정을 설명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응급 정보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고,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응급 정보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응급 정보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응급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을 운전자 차량(100)이라 하고, 운전자 차량(100) 주변에 위치한 복수의 주변 차량(200)을 제 1 내지 제 3 주변 차량(210 내지 230)이라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통신부(110)가 응급 정보를 다른 통신 주체에 전송하는 것으로서 설명하나, 이는 전술한 무선 통신부(140)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응급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운전자 차량(100)의 통신부(110)는 응급 상황 발생 시 제 1 내지 제 3 주변 차량(210 내지 230)에 응급 정보를 전송한다.
통신부(110)는 제 1 주변 차량(210) 내지 제 3 주변 차량(230)에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응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통신부(140)는 빔 포밍 모듈(143)을 통해 응급 정보를 전송하고자 하는 영역에 빔 패턴을 형성하여 무선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응급 정보를 각 주변 차량(210 내지 230)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전송 방식으로 제 1 주변 차량(210) 내지 제 3 주변 차량(230)에 동시에 응급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응급 상황 발생 시 119안전신고센터 등 기관에 전화를 걸고, 기관으로부터 권한을 부여 받은 운전자 차량(100)은 제 1 주변 차량(210) 내지 제 3 주변 차량(230)에 응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기관으로부터 권한 부여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통신부(110)는 권한 부여 신호를 수신한 경우 응급 정보를 주변 차량(210 내지 23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라, 운전자 차량(100)의 통신부(110)는 응급 상황 발생 시, 제 1 내지 제 3 주변 차량(210 내지 230)에 응급 정보를 전송하기 이전에,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기관의 서버(300)에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우선 알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응급 상황 발생 신호를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응급 상황 발생 신호는 응급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예를 들어, 환자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정보는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것일 수 있다.
이어서, 응급 상황 발생 신호를 수신한 서버(300)는 운전자 차량(100)에 권한 부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통신부(110)는 서버(300)로부터 권한 부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가 권한 부여 신호를 수신한 경우, 통신부(110)는 제 1 내지 제 3 주변 차량(210 내지 230)에 응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운전자 차량(100)의 통신부(110)는 응급 상황 발생 시, 제 1 내지 제 3 주변 차량(210 내지 230)에 응급 정보를 전송하기 이전에, 휴대용 단말(400)과의 커넥티비티 및 전화망을 이용하여 119안전신고센터와 같은 기관의 전화 응답 센터(400)에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우선 알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티비티는 차량(100)과 휴대용 단말(400)이 연동하여 각종 정보를 주고 받는 기술로서,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서비스, 전화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400)의 기능을 그대로 차량(100)에서 재현할 수 있게 한다.
운전자 차량(100)과 휴대용 단말(400)의 커넥티비티를 위해, 운전자 차량(100)의 통신부(110)는 휴대용 단말(40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응급 상황 발생 시, 운전자 차량(100)은 휴대용 단말(400)과 전화 응답 센터(500) 간의 전화망을 통해 전화 응답 센터(500)와 전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은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및 근거리 통신망을 포함하고,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및 근거리 통신망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망은 차량(100)의 USB단자와, AUX단자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통해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유선 이더넷을 포함하고,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및 캔 통신망(Controller Area Network; CAN)을 포함한다.
즉, 사용자는 운전자 차량(100)과 연결된 휴대용 단말(400)의 전화망을 통해 응급 정보를 전화 응답 센터(500)에 알릴 수 있다.
휴대용 단말(200)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장치를 포함하고,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를 포함한다.
이어서, 기관의 서버(30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운전자 차량(100)에 권한 부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통신부(110)는 서버(300)로부터 권한 부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가 권한 부여 신호를 수신한 경우, 통신부(110)는 제 1 내지 제 3 주변 차량(210 내지 230)에 응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 차량(100)은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이 되는 주변 차량(200)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6은 각각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응급 정보가 전송되는 범위를 나타내기 위한 운전자 차량과 주변 차량의 예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 차량(100)의 통신부(110)는 GPS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GPS수신 모듈은 GPS위성으로부터 수신한 GPS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 차량(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주변 차량(210 내지 230) 또한 GPS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 내지 제 3 주변 차량(210 내지 230) 또한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제 1 내지 제 3 주변 차량(210 내지 230)의 위치 정보는 운전자 차량(100)에 전달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차량(100)의 제어부(120)는 운전자 차량(100)의 GPS수신 모듈이 생성한 운전자 차량(100)의 현재 위치 정보 및 통신부(110)가 제 1 내지 제 3 주변 차량(210 내지 230)으로부터 수신한 제 1 내지 제 3 주변 차량(210 내지 230)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 차량(100)과 주변 차량(200)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자 차량(100)의 제어부(120)는 미리 설정된 거리(x) 이내에 존재하는 주변 차량(200)이 제 1 주변 차량(210) 및 제 2 주변 차량(220)임을 판단하고, 운전자 차량(100)의 통신부(110)는 제 1 주변 차량(210) 및 제 2 주변 차량(220)에 응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거리(x)는 통신부(110)가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 범위일 수도 있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운전자 차량(100)의 제어부(120)는 GPS수신 모듈이 생성한 운전자 차량(1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 차량(100)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운전자 차량(100)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와 통신부(110)가 제 1 내지 제 4 주변 차량(210 내지 240)으로부터 수신한 제 1 내지 제 4 주변 차량(210 내지 240)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 차량(100)과 같은 차선에 있는 주변 차량(210, 220)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자 차량(100)의 통신부(110)는 같은 차선에 있는 제 1 주변 차량(210) 및 제 2 주변 차량(220)에 응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운전자 차량(100)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 및 제 1 내지 제 4 주변 차량(210 내지 240)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같은 차선에 있는 주변 차량(210, 220) 뿐만 아니라, 다른 차선에 있는 주변 차량(200)이지만 운전 차량(100)과 같은 평행 라인을 형성하는 제 3 주변 차량(230) 및 제 4 주변 차량(240)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운전자 차량(100)의 통신부(110)는 평행 라인을 형성하는 제 3 주변 차량(230) 및 제 4 주변 차량(240)에 응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응급 정보가 전송되는 차량의 수를 제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운전자 차량(100)을 기준으로 같은 차선에서 앞/뒤 세 대까지만 응급 정보가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운전자 차량(100)이 감지 센서 또는 감지 카메라 등 운전자 차량(100) 주변의 물체를 감지하는 별도의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감지부의 주변 차량(200) 감지 결과와 통신부(110)가 수신한 주변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차량(200)의 운전자 차량(100)에 대한 상대 속도를 계산할 수 있고, 계산한 상대 속도에 기초하여 운전자 차량(100)과 같은 차선 또는 같은 평행 라인을 형성하는 주변 차량(200)을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운전자 차량(100)의 제어부(120)는 운전자 차량(100)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 및 주변 차량(200)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 차량(100)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주변 차량(210)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자 차량(100)의 제어부(120)는 운전자 차량(100)과 다른 방향으로 주행하는 제 1 주변 차량(210)에 대한 응급 정보 전송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전송 여부 판단에 따라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어부(120)는 운전자 차량(100)이 감지 센서 또는 감지 카메라 등 운전자 차량(100) 주변의 물체를 감지하는 별도의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감지부의 주변 차량(200) 감지 결과와 통신부(110)가 수신한 주변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차량(200)의 운전자 차량(100)에 대한 상대 속도를 계산할 수 있고, 계산한 상대 속도에 기초하여 운전자 차량(100)과 다른 방향으로 주행하는 주변 차량(200)을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5를 참조하면, 운전자 차량(100)의 통신부(110)는 운전자 차량(100)이 속한 차선에 진입하는 제 1 주변 차량(210)에도 응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어부(120)는 운전자 차량(100)이 감지 센서 또는 감지 카메라 등 운전자 차량(100) 주변의 물체를 감지하는 별도의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감지부의 제 1 주변 차량(210) 감지 결과와 통신부(110)가 수신한 제 1주변 차량(21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주변 차량(210)의 운전자 차량(100)에 대한 상대 속도를 계산할 수 있고, 계산한 상대 속도에 기초하여 운전자 차량(100)이 속한 차선에 진입하는 제 1 주변 차량(210)을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 차량(100)의 전방 카메라는 전방에서 운전자 차량(100)이 속한 차선으로 진입하는 제 1 주변 차량(210)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이외에도 운전자 차량(100)과 주변 차량(200)이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것인지 여부 등 다양한 운전자 차량(100)과 주변 차량(200) 간의 위치 관계를 판단할 수 있는 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또한, 도 16을 참조하면, 운전자 차량(100)은 도로 상황에 따라 응급 정보의 전송 범위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 차량(100)의 통신부(110)는 교통관제센터로부터 도로의 현재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도로가 정체된 상황인 경우, 통신부(110)는 응급 정보의 전송 범위를 반경 x에서 반경 y로 넓힐 수 있다.
반대로, 도로의 교통이 원활한 상황인 경우, 통신부(110)는 응급 정보의 전송 범위를 반경 y에서 반경 x로 좁힐 수 있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6에 따른 실시예는 운전자 차량(100)이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이 되는 주변 차량(200)을 판단하고,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이 되는 주변 차량(200)에 응급 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서 기술되었으나, 운전자 차량(100)이 아닌 주변 차량(200)이 직접 자신이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이 되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 여부를 판단하는 주변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이 되는지 판단하기 위해, 주변 차량(200) 또한 통신부(201), 제어부(202), 및 시청각 출력부(203)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01)는 다른 통신 주체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거나, 주변 차량(200) 내 각종 전자 장치와 내부 통신망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
통신부(201)의 세부적인 구성 및 기능은 운전자 차량(100)의 통신부(110)와 동일한 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01) 무선 통신망을 통해 운전자 차량(100)으로부터 응급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202)는 주변 차량(200)에 포함된 각종 전자 장치 또는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제어부(202)의 세부적인 구성 및 기능은 운전자 차량(100)의 제어부(120)와 동일한 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2)는 주변 차량(200)이 통신부(201)가 수신한 운전자 차량(100)의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이 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주변 차량(200)의 통신부(201)는 GPS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GPS수신 모듈은 GPS위성으로부터 수신한 GPS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차량(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운전자 차량(100) 또한 GPS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운전자 차량(100) 또한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운전자 차량(100)의 위치 정보는 주변 차량(200)에 전달될 수 있다.
주변 차량(200)의 제어부(202)는 주변 차량(200)의 GPS수신 모듈이 생성한 주변 차량(200)의 현재 위치 정보 및 통신부(201)가 운전자 차량(100)으로부터 수신한 운전자 차량(100)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 차량(100)과 주변 차량(200)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경우, 주변 차량(200)의 제어부(202)는 운전자 차량(100)이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지 판단하고, 주변 차량(200)의 통신부(201)는 주변 차량(200)과 운전자 차량(100)이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주변 차량(200)이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인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주변 차량(200)의 제어부(202)는 GPS수신 모듈이 생성한 주변 차량(2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차량(200)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주변 차량(200)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와 통신부(201)가 운전자 차량(100)으로부터 수신한 운전자 차량(100)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차량(200)과 운전자 차량(100)이 같은 차선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주변 차량(200)의 제어부(202)는 운전자 차량(100)이 같은 차선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이 주변 차량(200)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2)는 주변 차량(200)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 및 운전자 차량(100)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같은 차선에 있는 운전자 차량(100) 뿐만 아니라, 다른 차선에 있는 운전자 차량(100)이지만 주변 차량(200)과 운전자 차량(100)이 같은 평행 라인을 형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주변 차량(200)의 제어부(202)는 평행 라인을 형성하는 운전자 차량(200)의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이 주변 차량(200)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2)는 주변 차량(200)이 감지 센서 또는 감지 카메라 등 주변 차량(200) 주변의 운전자 차량(100)를 감지하는 별도의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감지부의 감지 결과와 통신부(201)가 수신한 운전자 차량(1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 차량(100)의 주변 차량(200)에 대한 상대 속도를 계산할 수 있고, 계산한 상대 속도에 기초하여 주변 차량(200)과 운전자 차량(100)이 같은 차선 또는 같은 평행 라인을 형성하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주변 차량(200)의 제어부(202)는 주변 차량(200)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 및 운전자 차량(100)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차량(200)과 운전자 차량(100)이 다른 방향으로 주행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주변 차량(200)의 제어부(202)는 주변 차량(200)과 운전자 차량(100)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 주변 차량(200)이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어부(202)는 주변 차량(200)이 감지 센서 또는 감지 카메라 등 주변 차량(200) 주변의 운전자 차량(100)을 감지하는 별도의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감지부의 감지 결과와 통신부(201)가 수신한 운전자 차량(1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 차량(100)의 주변 차량(200)에 대한 상대 속도를 계산할 수 있고, 계산한 상대 속도에 기초하여 주변 차량(200)과 운전자 차량(100)이 다른 방향으로 주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202)는 이외에도 운전자 차량(100)과 주변 차량(200)이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것인지 여부 등 다양한 운전자 차량(100)과 주변 차량(200) 간의 위치 관계를 판단할 수 있는 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시청각 출력부(203)는 주변 차량(200)의 주변 차량(200) 내 탑승객에게 다양한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음향을 통해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다양한 출력 수단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청각 출력부(203)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 음향을 출력하는 다양한 스피커, 앰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각 출력부(203)는 주변 차량(200)이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으로 판단된 경우, 응급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자세한 시청각 출력부(203)의 실시예는 도 21 및 도 22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이하,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운전자 차량(100)의 통신부(110)가 제 1 내지 제 4 주변 차량(210 내지 240)에 응급 정보를 전송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빔 포밍을 이용하여 주변 차량에 응급 정보를 전송하는 운전자 차량의 예시도이고, 도 19는 멀티홉을 이용하여 주변 차량에 응급 정보를 전송하는 운전자 차량의 예시도이며, 도 20은 기지국을 통해 주변 차량에 응급 정보를 전송하는 운전자 차량의 예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운전자 차량(100)의 통신부(110)는 빔 포밍 모듈(143)을 통해 응급 정보를 제 1 내지 제 4 주변 차량(210 내지 240)이 존재하는 영역에 빔 포밍함으로써 응급 정보를 제 1 내지 제 4 주변 차량(210 내지 240) 각각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빔 포밍 모듈(143)과 관련된 설명은 전술한 바, 이하 생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부(130)의 조작을 통해 제 1 내지 제 4 주변 차량(210 내지 240) 중 제 1 주변 차량(210)을 선택한 경우, 운전자 차량(100)은 제 1 주변 차량(210)이 존재하는 영역에 선택적으로 응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30)의 조작을 통해 제 2 내지 제 4 주변 차량(220 내지 24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고, 응급 정보가 전달되는 빔 포밍 영역에 제 3 및 제 4 주변 차량(230, 240)이 위치되도록 빔 포밍 형태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빔 포밍 영역 내에 위치한 제 3 및 제 4 주변 차량(230, 240)은 기지국을 거치지 아니하고도 운전자 차량(100)으로부터 직접 디바이스간 통신 방식으로 응급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9를 참조하면, 운전자 차량(100)의 통신부(110)는 멀티홉 통신(Multihop Communication)을 이용하여 멀리 떨어진 제 2 주변 차량(220)에도 응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운전자 차량(100)의 빔 포밍 영역 내 제 2 주변 차량(220)이 위치하지 않아도, 빔 포밍 영역 내 존재하는 제 1 주변 차량(210)이 릴레이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운전자 차량(100)과 제 2 주변 차량(220) 간의 무선 링크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차량(100)의 통신부(110)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간 통신 방식으로 응급 정보를 주변 차량(210 내지 240)에 전송하는 것 뿐만 아니라,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AP)을 통해 주변 차량(200)에 응급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는 바, 운전자 차량(100)과 주변 차량(200) 간의 통신 방식이 디바이스간 통신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운전자 차량(100)으로부터 응급 정보를 수신한 주변 차량(200)은 응급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응급 정보를 수신한 주변 차량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차량(200)은 에이브이엔 장치(23)를 포함할 수 있다.
에이브이엔 장치(Audio Video Navigation, AVN, 23)는 주변 차량(200) 내 오디오와 멀티미디어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 등이 통합되어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된 장치이다. 에이브이엔 장치(23)가 포함하는 AVN디스플레이(24)는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차량(200)의 AVN디스플레이(24)는 운전자 차량(100)으로부터 응급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응급 정보가 포함하는 운전자 차량(100)의 위치 정보와 주변 차량(200)의 GPS정보를 이용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변 차량(200)의 AVN디스플레이(24)는 주변 차량(200)이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으로서 판단된 경우, 운전자 차량(100)으로부터 수신한 응급 정보가 포함하는 운전자 차량(100)의 위치 정보와 주변 차량(200)의 GPS정보를 이용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 차량(100)이 주변 차량(100)의 좌측 후방으로 300m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AVN디스플레이(24)는 이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22을 참조하면, 에이브이엔 장치(23)는 스피커(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에에 따른 주변 차량(200)의 스피커(25)는 운전자 차량(200)으로부터 응급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응급 정보가 포함하는 운전자 차량(100)의 위치 정보와 주변 차량(200)의 GPS정보를 이용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변 차량(200)의 스피커(25)는 주변 차량(200)이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으로서 판단된 경우, 운전자 차량(100)으로부터 수신한 응급 정보가 포함하는 운전자 차량(100)의 위치 정보와 주변 차량(200)의 GPS정보를 이용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 차량(100)이 주변 차량(100)의 좌측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스피커(25)는 이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을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주변 차량(200)이 수신한 응급 정보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출력되는 것 뿐만 아니라, 스티어링 휠(22)이 마련된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서 주변 차량(200)에 관한 정보를 디지털 화면으로 표시하는 클러스터 디스플레이, 보조석 쪽 대시보드(21)에 마련된 보조석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영역에서 출력될 수 있는 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AVN디스플레이(24), 클러스터 디스플레이, 보조석 디스플레이와 스피커(25)는 도 17과 관련하여 전술한 주변 차량(200)의 시청각 출력부(203)의 다양한 실시예일 수 있다.
이하,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차량(100)의 제어방법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2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2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차량은 우선 응급 상황이 발생했는지 판단한다(S1100).
응급 상황이 발생했는지 여부는 예를 들어, 차량에 마련된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응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명령을 입력 받음으로써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응급 상황이 발생했는지 여부는 예를 들어, 차량이 자동으로 응급 상황을 감지함으로써 판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이 다른 차량과의 충돌을 감지하거나, 차량의 오작동을 감지한 경우 응급 상황이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이어서, 차량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주변 차량에 응급 정보를 전송한다(S1200).
이 경우, 차량은 디바이스간 통신 방식으로 직접 주변 차량에 응급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고, 기지국을 통해 응급 정보를 주변 차량에 전송할 수도 있다.
주변 차량에 응급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차량은 빔 포밍 모듈을 이용하여 빔 포밍을 수행할 수 있고, 빔 포밍 영역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주변 차량에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응급 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차량은 멀티홉을 이용하여 주변 차량에 응급 정보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변 차량에 전송된 응급 정보는 주변 차량이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스피커 등을 통해 주변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에게 표시 또는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도 2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S2100의 "예"), 119안전신고센터와 같은 기관에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단계(S2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S2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차량에 마련된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응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명령을 입력 받거나, 차량이 자동으로 응급 상황을 감지함으로써 판단될 수도 있다.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단계(S2200)는 차량이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기관의 서버에 응급 상황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단계(S2200)는 차량이 휴대용 단말과 연결된 경우, 차량과 휴대용 단말 간의 커넥티비티, 및 휴대용 단말과 기관 간의 전화망을 이용하여 기관의 전화 응답 센터에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단계일 수 있다.
이어서, 차량은 기관의 서버로부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응급 정보의 전송 권한을 수신한다(S2300).
응급 정보의 전송 권한을 수신한 차량은 주변 차량에 응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2400).
한편, 도 25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S3100의 "예"), 차량이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의 범위를 판단하는 단계(S3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 범위를 판단하는 단계(S3200)는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와, 주변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 범위를 판단하는 단계(S3200)는 차량의 시간에 따른 위치 변화와, 주변 차량의 시간에 따른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판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 범위를 판단하는 단계(S3200)는 차량에 장착된 주변 감지 센서 또는 카메라와 같은 감지부의 출력 결과에 기초하여 판단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은 GPS수신 모듈이 생성한 GPS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통신망을 통해 주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은 자신의 위치 정보 및 주변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차량과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고, 복수의 주변 차량 중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주변 차량을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으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자신의 시간에 따른 위치 변화와 주변 차량의 시간에 따른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주변 차량의 차선, 방향 등 차량과 주변 차량 간의 위치 관계를 판단할 수 있고, 차선 또는 방향을 지정하여 지정된 차선 또는 방향에 속하는 주변 차량에 응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응급 정보가 전송되는 차량의 수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교통관제센터로부터 수신한 도로의 현재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이 되는 주변 차량의 범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이 되는 차량 범위의 변경 또는 제한은 사용자가 차량에 마련된 입력부를 조작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이어서, 차량은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이라고 판단된 주변 차량에 응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3300).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응급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이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의 범위를 직접 판단하고(S3200) 수신 대상이 되는 주변 차량에 응급 정보를 전송하는 것(S3300)뿐만 아니라, 차량이 응급 정보를 주변에 전송하면, 이를 수신한 주변 차량(200)이 자신이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인지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6은 이러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차량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주변 차량은 응급 정보를 다른 차량으로부터 수신한다(S4100).
응급 정보는 브로드캐스트 방식, 디바이스간 통신 방식, 빔 포밍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다른 차량으로부터 전송된 것일 수 있다.
이어서, 주변 차량은 수신한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을 판단한다(S4200).
예를 들어, 주변 차량은 주변 차량의 위치 정보와 응급 정보를 전송한 다른 차량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차량과 다른 차량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고, 계산된 거리를 이용하여 주변 차량이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주변 차량은 주변 차량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와 응급 정보를 전송한 다른 차량의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차량과 다른 차량이 동일한 차선, 주행 방향, 또는 평행 라인을 형성하는지 등 주변 차량과 다른 차량 간의 위치 관계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된 차선, 판단 결과를 이용하여 주변 차량이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응급 정보를 전송한 다른 차량의 위치 정보는 다른 차량으로부터 직접 수신하거나, 주변 차량이 포함하는 감지부를 통해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이어서, 주변 차량이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으로서 판단된 경우(S4250의 "예"), 주변 차량은 시청각적 수단을 통해 수신한 응급 정보를 출력한다(S4300).
시청각적 수단은 예를 들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 음향을 출력하는 다양한 스피커, 앰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차량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일종의 '모듈(module)'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은 디바이스 내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차량의 제어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100: 차량
110: 통신부
120: 제어부
121: 프로세서
122: 램
123: 롬
200: 주변 차량

Claims (21)

  1. 응급 상황 발생 시 응급 정보를 주변 차량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응급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빔 포밍하여 상기 주변 차량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응급 상황 발생 여부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통신부의 응급 정보 전송을 제어하는 차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주변 차량과 디바이스간 통신(Device-to-Device Communications)을 수행하는 차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복수의 주변 차량에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으로 상기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차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멀티홉 방식으로 상기 주변 차량에 상기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차량.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서버로부터 권한 부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권한 부여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통신부가 상기 무선 신호를 상기 주변 차량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차량.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응급 상황 발생 신호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차량.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휴대용 단말과의 커넥티비티를 이용하여 전화망을 통해 기관에 응급 상황 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차량.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이 되는 주변 차량을 판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수신 대상이 되는 주변 차량에 상기 응급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주변 차량을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으로서 판단하는 차량.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및 상기 주변 차량의 차선 또는 주행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이 되는 주변 차량을 판단하는 차량.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변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이 되는 주변 차량을 판단하는 차량.
  13. 차량에 있어서,
    다른 차량으로부터 응급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차량이 상기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인지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차량이 상기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인 경우 상기 응급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시청각 출력부를 포함하는 차량.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다른 차량이 응급 정보를 전송한 경우,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으로 판단하는 차량.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과 상기 다른 차량의 차선 또는 주행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인지 판단하는 차량.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인지 판단하는 차량.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다른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인지 판단하는 차량.
  18. 응급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응급 상황 발생 시 응급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빔 포밍하여 주변 차량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로부터 응급 상황 발생 여부를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응급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응급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서버로부터 권한 부여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권한 부여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무선 신호를 주변 차량에 전송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이 되는 주변 차량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응급 정보의 수신 대상이 되는 주변 차량에 상기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50038498A 2015-03-19 2015-03-19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714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498A KR101714456B1 (ko) 2015-03-19 2015-03-19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498A KR101714456B1 (ko) 2015-03-19 2015-03-19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565A true KR20160112565A (ko) 2016-09-28
KR101714456B1 KR101714456B1 (ko) 2017-03-22

Family

ID=57101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498A KR101714456B1 (ko) 2015-03-19 2015-03-19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44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63266A (zh) * 2017-12-14 2019-07-02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集线器装置和通信系统
KR20200086478A (ko) * 2019-01-09 2020-07-17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단말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4372A (ko) * 2004-12-08 2006-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간 통신장치 및 그 방법
JP2007265163A (ja) * 2006-03-29 2007-10-11 Nec Corp 緊急車両情報出力システム及び緊急車両情報出力方法
KR20100068831A (ko) * 2008-12-15 2010-06-24 김현진 긴급차량의 이동경로 알림이 가능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06303A (ko) * 2013-02-26 2014-09-03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사고 유형 감지 및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와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4372A (ko) * 2004-12-08 2006-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간 통신장치 및 그 방법
JP2007265163A (ja) * 2006-03-29 2007-10-11 Nec Corp 緊急車両情報出力システム及び緊急車両情報出力方法
KR20100068831A (ko) * 2008-12-15 2010-06-24 김현진 긴급차량의 이동경로 알림이 가능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06303A (ko) * 2013-02-26 2014-09-03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사고 유형 감지 및 사고 처리를 수행하는 차량용 영상기록 장치와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63266A (zh) * 2017-12-14 2019-07-02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集线器装置和通信系统
CN109963266B (zh) * 2017-12-14 2024-05-28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集线器装置和通信系统
KR20200086478A (ko) * 2019-01-09 2020-07-17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단말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4456B1 (ko) 201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26241B2 (en) Optimum beam display and guidance method and apparatus
CN110352608A (zh) 用于车辆通信的动态波束导向
KR20160112537A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N104770025A (zh) 估计移动设备的位置的装置、系统及方法
KR101714456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0535914B2 (en) Antenna device
CA27699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abl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2422190B1 (ko) 통신 모듈의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583828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one or more antennas of a mobile device
KR20190102441A (ko) 복수의 통신 방식들 중 신호의 강도에 기반하여 선택된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102518403B1 (ko)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1464942A (zh) 一种车辆行驶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KR101678090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20220094775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240072877A1 (en) Restricted receive beamsweeping for high-speed user equipment
KR20220147243A (ko)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232224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210118615A (ko) 복수의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Heath Jr Vehicle-to-X communication for 5G–a killer application of millimeter wave
WO2016143422A1 (ja) 情報出力装置、情報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409510B2 (ja) 通信システム、接続先制御方法、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30319592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tenn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07720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licenced band and unlicenced band
US20230085507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communicating through virtual private network
US20240137700A1 (en) Adaptive audio system for occupant aware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