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478A - 차량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단말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단말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478A
KR20200086478A KR1020190002696A KR20190002696A KR20200086478A KR 20200086478 A KR20200086478 A KR 20200086478A KR 1020190002696 A KR1020190002696 A KR 1020190002696A KR 20190002696 A KR20190002696 A KR 20190002696A KR 20200086478 A KR20200086478 A KR 20200086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ehicle terminal
related data
terminal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4376B1 (ko
Inventor
장서균
이석원
정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90002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376B1/ko
Publication of KR20200086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메시지 전송 서버는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관련 데이터가 송출된 경우,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수신된 전송 알림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식별 정보를 검출하는 식별 정보 검출부,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차량 단말로 전송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 및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제 2 차량 단말의 통신 상황에 따라 차량 관련 데이터를 제 2 차량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단말 및 방법{SERVER,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V2X SERVICE}
본 발명은 차량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단말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통신(V2X, Vehicle-to-Everything) 방식은 운전 중 도로 인프라 및 다른 차량과 통신하면서 교통상황 등의 정보를 교환하거나 공유하는 통신 방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차량 통신 방식에는 차량들 간의 통신을 뜻하는 V2V(vehicle-to-vehicle), 차량과 개인에 의해 휴대되는 단말 간의 통신을 뜻하는 V2P(vehicle-to-pedestrian), 차량과 도로변의 유닛(roadside unit, RSU)/네트워크(network) 간의 통신을 뜻하는 V2I/N(vehicle-to-infrastructure/network)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차량과 기지국 간에는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관련 정보가 송수신되고, 차량 간(V2V), 차량과 기반시설 간(V2I), 차량과 보행자간(V2P)에는 PC5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관련 정보가 송수신되고 있다.
여기서, Uu 인터페이스를 통한 송수신 방법은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차량과 기지국 간에 차량 관련 정보가 송수신되기 때문에 정보 송수신에 대한 신뢰도를 보장받을 수 있지만, PC5 인터페이스를 통한 송수신 방법은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차량 관련 정보가 송수신되기 때문에 정보 송수신에 대한 신뢰도를 보장받기 어렵다.
또한, 종래의 PC5 인터페이스를 통한 송수신 방법은 차량 관련 정보가 브로드캐스팅된 상황에서 수신측 차량 단말에서의 해당 차량 관련 정보에 대한 수신 여부를 판단하지 않기 때문에 수신측 차량 단말에서 중요한 차량 관련 정보를 수신받지 못한 경우, 차량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8-523322호 (2018.08.16.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차량 단말이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관련 데이터를 송출한 경우,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해당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 2 차량 단말에게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2 차량 단말의 통신 상황에 따라 차량 관련 데이터를 제 2 차량 단말로 전송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메시지 전송 서버는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관련 데이터가 송출된 경우, 상기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전송 알림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식별 정보를 검출하는 식별 정보 검출부;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차량 단말로 상기 전송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 및 상기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제 2 차량 단말의 통신 상황에 따라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상기 제 2 차량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차량 단말은 메시지 전송 서버로부터 다른 차량 단말의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차량 단말의 통신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로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데이터 요청부 및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단말은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송출한 상기 다른 차량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는 단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메시지 전송 서버는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관련 데이터가 송출된 경우, 상기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된 차량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식별 정보를 검출하는 식별 정보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차량 단말로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른 메시지 전송 서버에 의해 차량 단말 간 차량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관련 데이터가 송출된 경우, 상기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전송 알림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식별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차량 단말로 상기 전송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제 2 차량 단말의 통신 상황에 따라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상기 제 2 차량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제 1 차량 단말이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관련 데이터를 송출한 경우,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해당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 2 차량 단말에게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2 차량 단말의 통신 상황에 따라 차량 관련 데이터를 제 2 차량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제 1 차량 단말의 주변에 위치한 차량 단말들이 제 1 차량 단말이 송출한 차량 관련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고, OoS(Quality of Service)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2 차량 단말에게 제 1 차량 단말의 차량 관련 데이터를 이중으로 전송하거나 제 1 차량 단말의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제 2 차량 단말이 제 1 차량 단말의 차량 관련 데이터를 보다 확실하게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 전송 서버에서 차량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업자측면에서 망 사용료 증가와 같은 새로운 사업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메시지 전송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메시지 전송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제 2 차량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차량 단말에서 차량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통신 시스템은 메시지 전송 서버(100), 제 1 차량 단말(110) 및 제 2 차량 단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차량 통신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도 1의 차량 통신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제 1 인터페이스(예컨대, PC5 인터페이스)는 차량 단말들 간에 차량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이고, 제 2 인터페이스(예컨대, Uu 인터페이스)는 차량 단말과 메시지 전송 서버 간에 데이터(차량 관련 데이터, 전송 알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제 1 차량 단말(110)은 차량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관련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전방 사고 발생 여부를 안내하는 정보, 인접한 위치에서의 충돌 위험을 경고하는 정보, 충돌 전 긴급 정지를 지시하는 정보, 정체 구간을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차량 단말(110)은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관련 데이터를 제 1 차량 단말(110)의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에게로 송출할 수 있다.
메시지 전송 서버(100)는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 알림 메시지는 제 1 차량 단말(110)이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메시지 전송 서버(100)는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메시지 전송 서버(100)는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또는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식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IP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전송 서버(100)는 검출된 제 2 차량 단말(12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차량 단말(120)에게 제 1 차량 단말(110)의 전송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차량 단말(110)의 전송 알림 메시지는 제 1 차량 단말(110)에서 메시지 전송 서버(100)로 전송한 전송 알림 메시지일 수 있고, 메시지 전송 서버(100)에서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생성한 것일 수도 있다.
제 2 차량 단말(120)은 메시지 전송 서버(100)로부터 제 1 차량 단말(110)의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제 2 차량 단말(120)의 통신 상황(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메시지 전송 서버(100)로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제 2 차량 단말(120)은 메시지 전송 서버(100)로부터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메시지 전송 서버(100)에서 제 2 차량 단말(120)로 제 1 차량 단말(110)의 전송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메시지 전송 서버(100)가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차량 관련 데이터를 제 2 차량 단말(120)에게 바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 1 차량 단말(110) 및 제 2 차량 단말(120)은 차량에 탑재되어 차량 통신(V2X, Vehicle to Everything)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차량 통신은 예를 들면, 교통 안전, 교통량, 차량 자동 제어 등을 위한 데이터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차량 단말(110) 및 제 2 차량 단말(120)은 예를 들면, C-ITS(Cooperative-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통신 모뎀을 탑재한 단말로, 이동 수단(예컨대, 차량, 오토바이, 자전거 등)에 장착되어 차량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차량 통신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메시지 전송 서버(1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시지 전송 서버(100)는 메시지 수신부(200), 식별 정보 검출부(210), 메시지 전송부(220) 및 데이터 관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메시지 전송 서버(1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메시지 수신부(200)는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관련 데이터가 송출된 경우,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차량 단말(110)이 제 1 시점에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차량 단말(110)의 주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로 차량 관련 데이터를 송출한 경우, 메시지 수신부(200)는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차량 단말(110)은 차량 관련 데이터를 송출한 제 1 시점에 메시지 전송 서버(100)로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는 차량 관련 데이터가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었다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로, 전송 알림 메시지에는 차량 관련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메시지 수신부(200)는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식별 정보 검출부(210)는 수신된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식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IP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별 정보 검출부(210)는 수신된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로부터 제 1 차량 단말(110)의 식별 정보(예컨대, 제 1 차량 단말(110)의 IP 정보 등)를 추출할 수 있다. 식별 정보 검출부(210)는 복수의 차량 단말로부터 수집된 위치 정보 중 제 1 차량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식별 정보(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IP 정보 등)를 검출할 수 있다.
메시지 전송부(220)는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를 제 2 차량 단말(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 전송부(220)는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차량 단말(120)에게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230)는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제 2 차량 단말(120)의 통신 상황에 따라 차량 관련 데이터를 제 2 차량 단말(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제 2 차량 단말(120)에서는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차량 단말(120)은 링크 버짓(Link budget) 정보 등을 포함하는 QoS(Quality of Service) 판단 지표를 활용하여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링크 버짓 정보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차량 단말(120)에서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추가 차량 관련 데이터가 제 1 차량 단말(110) 및 제 2 차량 단말(120) 간에 송수신될 수 있다.
제 2 차량 단말(120)이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데이터 관리부(230)는 제 2 차량 단말(120)로부터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230)는 제 2 차량 단말(120)로부터 수신된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에 따라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차량 단말(110)에게 차량 관련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230)는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 관련 데이터를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차량 단말(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데이터 관리부(230)는 제 1 차량 단말(110)이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관련 데이터가 송출된 경우,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차량 단말(110)이 제 1 인터페이스 및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관련 데이터를 전송한 시점은 동일하고, 제 1 인터페이스 및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차량 관련 데이터도 동일하다.
데이터 관리부(230)는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식별 정보 검출부(210)는 차량 관련 데이터를 전송한 제 1 차량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복수의 차량 단말로부터 수집된 위치 정보 중 제 1 차량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식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메시지 전송부(220)는 제 1 차량 단말(110)이 차량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였음을 알리는 전송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전송 알림 메시지를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차량 단말(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230)는 제 2 차량 단말(120)로부터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신한 경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 2 차량 단말(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메시지 수신부(200), 식별 정보 검출부(210), 메시지 전송부(220) 및 데이터 관리부(23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01에서 제 1 차량 단말(110)은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관련 데이터를 제 2 차량 단말(120)로 송출할 수 있다.
단계 S303에서 제 1 차량 단말(110)은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관련 데이터를 송출한 시점에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 전송 서버(100)로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 알림 메시지는 제 1 차량 단말(110)이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관련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했음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이다.
단계 S305에서 메시지 전송 서버(100)는 수신된 전송 알림 메시지에 기초하여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식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 S307에서 메시지 전송 서버(100)는 검출된 제 2 차량 단말(12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차량 단말(120)에게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309에서 제 2 차량 단말(120)은 메시지 전송 서버(100)로부터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11에서 제 2 차량 단말(120)은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 전송 서버(100)에게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313에서 메시지 전송 서버(100)는 제 2 차량 단말(120)로부터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받은 경우,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차량 단말(110)에게 차량 관련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315에서 메시지 전송 서버(100)는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면, 단계 S317에서 제 2 차량 단말(120)에게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는 비디오 스트리밍 메시지(Video streaming message)의 타입이 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01 내지 S317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01에서 제 1 차량 단말(110)은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관련 데이터를 제 2 차량 단말(120)로 송출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제 1 차량 단말(110)은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관련 데이터를 송출한 시점에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 전송 서버(100)에게 차량 관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05에서 메시지 전송 서버(100)는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차량 관련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407에서 메시지 전송 서버(100)는 수신된 차량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식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 S409에서 메시지 전송 서버(100)는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검출된 제 2 차량 단말(12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를 제 2 차량 단말(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11에서 제 2 차량 단말(120)은 메시지 전송 서버(100)로부터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13에서 제 2 차량 단말(120)은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 전송 서버(100)에게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415에서 메시지 전송 서버(100)는 제 2 차량 단말(120)로부터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의 전송 요청을 수신한 경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417에서 메시지 전송 서버(100)는 추출된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를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차량 단말(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는 비디오 스트리밍 메시지(Video streaming message)의 타입이 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01 내지 S417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메시지 전송 서버(100)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시지 전송 서버(100)는 데이터 수신부(500), 식별 정보 검출부(510) 및 데이터 전송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메시지 전송 서버(1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데이터 수신부(500)는 제 1 차량 단말(110)이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관련 데이터가 송출된 경우,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차량 단말(110)이 제 1 인터페이스 및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관련 데이터를 전송한 시점은 동일하고, 제 1 인터페이스 및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차량 관련 데이터도 동일하다.
데이터 수신부(500)는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식별 정보 검출부(510)는 수신된 차량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식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별 정보 검출부(510)는 수신된 차량 관련 데이터로부터 제 1 차량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식별 정보 검출부(510)는 복수의 차량 단말로부터 수집된 위치 정보 중 제 1 차량 단말(11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식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부(520)는 검출된 제 2 차량 단말(12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차량 단말(120)로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데이터 수신부(500), 식별 정보 검출부(510) 및 데이터 전송부(52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01에서 제 1 차량 단말(110)은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관련 데이터를 제 2 차량 단말(120)로 송출할 수 있다.
단계 S603에서 제 1 차량 단말(110)은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관련 데이터를 송출한 시점에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 전송 서버(100)에게 차량 관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05에서 메시지 전송 서버(100)는 수신된 차량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식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 S607에서 메시지 전송 서버(100)는 검출된 제 2 차량 단말(12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를 제 2 차량 단말(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는 텍스트 메시지(Warning message, DEMN)의 타입이 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01 내지 S607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제 2 차량 단말(120)의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2 차량 단말(120)은 메시지 수신부(700), 데이터 요청부(710), 판단부(720) 및 데이터 송수신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7에 도시된 제 2 차량 단말(120)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메시지 수신부(700)는 메시지 전송 서버(100)로부터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는 제 1 차량 단말(110)이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차량 단말(110)의 주변에 있는 차량 단말들에게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일 수 있다.
데이터 요청부(710)는 제 2 차량 단말(120)의 통신 상황(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 전송 서버(100)에게 차량 관련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판단부(720)는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730)는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차량 단말(120)과 제 1 차량 단말(110) 간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 차량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730)는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차량 단말(120)이 제 1 차량 단말(110)로부터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 전송 서버(100)에게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730)는 제 1 차량 단말(110)에서 메시지 전송 서버(100)로 전송된 차량 관련 데이터를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 전송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데이터 송수신부(730)는 제 2 차량 단말(120)의 통신 상황(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수신 여부)과 관계없이 제 1 차량 단말(110)에서 메시지 전송 서버(100)로 전송된 차량 관련 데이터를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 전송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메시지 수신부(700), 데이터 요청부(710), 판단부(720) 및 데이터 송수신부(73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차량 단말(120)에서 차량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801에서 제 2 차량 단말(120)은 메시지 전송 서버(100)로부터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는 제 1 차량 단말(110)이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차량 단말(110)의 주변에 있는 차량 단말들에게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일 수 있다.
단계 S803에서 제 2 차량 단말(120)은 제 2 차량 단말(120)의 통신 상황(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메시지 전송 서버(100)에게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805에서 제 2 차량 단말(120)은 메시지 전송 서버(100)로부터 제 1 차량 단말(110)의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801 내지 S803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메시지 전송 서버
110: 제 1 차량 단말
120: 제 2 차량 단말
200: 메시지 수신부
210: 식별 정보 검출부
220: 메시지 전송부
230: 데이터 관리부
500: 데이터 수신부
510: 식별 정보 검출부
520: 데이터 전송부
700: 메시지 수신부
710: 데이터 요청부
720: 판단부
730: 데이터 송수신부

Claims (16)

  1. 메시지 전송 서버에 있어서,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관련 데이터가 송출된 경우, 상기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전송 알림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식별 정보를 검출하는 식별 정보 검출부;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차량 단말로 상기 전송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 및
    상기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제 2 차량 단말의 통신 상황에 따라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상기 제 2 차량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인, 메시지 전송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차량 단말이 상기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추가 차량 관련 데이터가 상기 제 1 차량 단말 및 상기 제 2 차량 단말 간에 송수신되는 것인, 메시지 전송 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차량 단말이 상기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제 2 차량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것인, 메시지 전송 서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수신된 차량 관련 데이터의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제 1 차량 단말로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차량 관련 데이터를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차량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메시지 전송 서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의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제 2 차량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메시지 전송 서버.
  6. 차량 단말에 있어서,
    메시지 전송 서버로부터 다른 차량 단말의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
    상기 차량 단말의 통신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로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데이터 요청부 및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단말은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송출한 상기 다른 차량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는 단말인 것인, 차량 단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다른 차량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차량 단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다른 차량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차량 단말과 상기 다른 차량 단말 간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 차량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인, 차량 단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차량 단말이 상기 다른 차량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데이터 요청부는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로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것인, 차량 단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는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다른 차량 단말에서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로 전송된 차량 관련 데이터를 상기 메시지 전송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차량 단말.
  11. 메시지 전송 서버에 있어서,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관련 데이터가 송출된 경우, 상기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된 차량 관련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식별 정보를 검출하는 식별 정보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차량 단말로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인, 메시지 전송 서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부는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차량 단말로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인, 메시지 전송 서버.
  13. 메시지 전송 서버에 의해 차량 단말 간 차량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관련 데이터가 송출된 경우, 상기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전송 알림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범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식별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차량 단말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차량 단말로 상기 전송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제 2 차량 단말의 통신 상황에 따라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상기 제 2 차량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차량 단말이 상기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 2 차량 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차량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차량 관련 데이터의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제 1 차량 단말로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차량 관련 데이터를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차량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차량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량 단말로부터 제 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의 전송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차량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제 2 차량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차량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90002696A 2019-01-09 2019-01-09 차량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단말 및 방법 KR102624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696A KR102624376B1 (ko) 2019-01-09 2019-01-09 차량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단말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696A KR102624376B1 (ko) 2019-01-09 2019-01-09 차량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단말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478A true KR20200086478A (ko) 2020-07-17
KR102624376B1 KR102624376B1 (ko) 2024-01-12

Family

ID=71832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696A KR102624376B1 (ko) 2019-01-09 2019-01-09 차량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단말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3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7122A (ko) * 2021-07-27 2023-02-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V2x 통신 시스템에서 타 차량의 정보를 활용하여 이동 정보를 결정하는 v2x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2500197B1 (ko) * 2021-08-18 2023-02-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차량간 v2x 통신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565A (ko) * 2015-03-19 2016-09-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60112817A (ko) * 2015-03-20 2016-09-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고 정보 분석 장치, 이를 포함하는 서버 및 사고 정보 분석 방법
KR20160121378A (ko) * 2015-04-09 201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간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80038988A (ko) * 2016-10-07 2018-04-17 주식회사 케이티 M2m 시스템에서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49709A (ko) * 2016-11-03 2018-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기반 서비스 직접 통신에 기반하여 v2p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80066663A (ko) * 2016-12-09 2018-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위험상황 경고 제공 서버 및 방법
JP2018523322A (ja) 2015-06-24 2018-08-16 インテル アイピー コーポレーション Vehicle‐to‐anything(v2x)通信の拡張サポー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565A (ko) * 2015-03-19 2016-09-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60112817A (ko) * 2015-03-20 2016-09-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고 정보 분석 장치, 이를 포함하는 서버 및 사고 정보 분석 방법
KR20160121378A (ko) * 2015-04-09 201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간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2018523322A (ja) 2015-06-24 2018-08-16 インテル アイピー コーポレーション Vehicle‐to‐anything(v2x)通信の拡張サポート
KR20180038988A (ko) * 2016-10-07 2018-04-17 주식회사 케이티 M2m 시스템에서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49709A (ko) * 2016-11-03 2018-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기반 서비스 직접 통신에 기반하여 v2p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80066663A (ko) * 2016-12-09 2018-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위험상황 경고 제공 서버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7122A (ko) * 2021-07-27 2023-02-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V2x 통신 시스템에서 타 차량의 정보를 활용하여 이동 정보를 결정하는 v2x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2500197B1 (ko) * 2021-08-18 2023-02-1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차량간 v2x 통신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4376B1 (ko) 2024-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07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ust parameters in vehicle warning messages
CN110880236B (zh) 路况信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EP3116158B1 (en) In-vehicle communication system and in-vehicle communication method
WO2019052357A1 (zh) 驾驶风险分析及风险数据发送方法及装置
US9705991B2 (en) Adaptation of radio resources allocation in an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enabled cellular mobile network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network
US10171953B2 (en) Vehicle event notification via cell broadcast
KR100893005B1 (ko) 차량 사고 경보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제어 장치, 시스템,텔레메틱스 단말 및 그 방법
JP2022531225A (ja) 車両と受信デバイスとの間のv2x通信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810407B2 (en) Selecting V2X communications interface
US20200327806A1 (en) Connected vehicle platform assisted v2x communications
WO2016206458A1 (zh) 车联网中告警信息的处理方法及装置
US11689622B2 (en) Efficient real time vehicular traffic reporting and sharing
DE102013013621A1 (de) Sicherheitskonformer Kanalwechsel in intelligenten Transportsvstemen
KR102624376B1 (ko) 차량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단말 및 방법
US10849075B2 (en)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on of transmission power and terminal
US20220324467A1 (en) Driving safety systems
JP2019067088A (ja) 通信装置、及び報告制御方法
EP4307269A1 (en) Improved communication within an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US20230230479A1 (en) Communication within an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US20230104083A1 (en) Pre-crash denm message within an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US20240054887A1 (en) Cpr apr based security for its
EP4167607A1 (en) 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and method with cpm information significance level
US20240038060A1 (en) Communication within an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for signalling hidden objects
WO2022253779A1 (en) Reporting method within an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GB2607376A (en) Reporting method within an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