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1884A -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1884A
KR20160111884A KR1020160082463A KR20160082463A KR20160111884A KR 20160111884 A KR20160111884 A KR 20160111884A KR 1020160082463 A KR1020160082463 A KR 1020160082463A KR 20160082463 A KR20160082463 A KR 20160082463A KR 20160111884 A KR20160111884 A KR 20160111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fixing
adjusting
stopp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7689B1 (ko
Inventor
유광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영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영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영린시스템
Priority to JP2018505035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8522740A/ja
Priority to US15/749,074 priority patent/US10688605B2/en
Priority to PCT/KR2016/007580 priority patent/WO2017026673A1/ko
Publication of KR20160111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6Auxiliar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botic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1)에 있어서,
일정 스트로크를 가지는 피스톤이 포함된 구동실린더(100);와 상기 구동실린더(100)의 피스톤에 결합되는 지그 위치고정부(200);와 상기 구동실린더(100)의 피스톤의 스트로크로 인해 동작되는 지그 위치고정부(200)를 고정시키고 보조하는 가이드 블록(300); 및 상기 지그 위치고정부(200)에 의해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가 고정되도록 해당 지그에 결합되는 위치고정 브라켓(400);으로 구성된다.
이때, 지그 위치고정부(200)는 상기 위치고정 브라켓(400)의 일부면에 접촉되는 제 1스토퍼(210);와 제 2스토퍼(220);, 상기 제 1스토퍼(210)와 결합되는 제 1스프링(230);과 상기 제 2스토퍼(220)와 결합되는 제 2스프링(240); 및 상기 제 1, 2스토퍼(210, 220)가 각각 삽입되고 상기 구동실린더(100)의 피스톤과 결합되어 구동실린더(100)의 동력을 제 1, 2스토퍼(210, 22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300)은 상기 제 1스토퍼(210)가 삽입되는 제 1스토퍼 구(310);와 상기 제 2스토퍼(220)가 삽입되는 제 2스토퍼 구(320); 및 가이드 블록(300)을 고정하는 고정부(3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 브라켓(400)은 상기 제 1, 2스토퍼(210, 220)가 바깥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꼴 형상 또는 안쪽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요철형상을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와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부(4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지그(A)가 사용되는 다양한 작업공정에 적용하여 보다 양질의 제품을 생산하고 작업을 하기 위해 기존의 일정 위치에 지그(A)를 고정해야 했던 시간을 절감하여 인력손실을 방지함으로서 제품의 생산성을 확보하여 높여주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Fixed apparatus of adjusting JIG}
본 발명은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실린더와 지그 위치고정부와 가이드 블록 및 위치고정 브라켓을 다양한 공정에서 사용되는 기존의 고정 지그를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로 대체하여 적용시킬 수 있도록 위치 조절용 지그와 결합하여 해당 지그를 고정함으로서 작업공정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높이는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그(A)는 각종 부품을 가공하거나 피대상물을 고정하여 작업을 할 때 사용하는 일종의 보조구로서 일반적으로 양산품의 제작, 호환성을 갖는 부품의 제작 시 사용되며 부품을 정확하게 설치하여 고정하고 칼날 또는 공구를 강제적으로 안내하게 하는 설치구의 일종이다.
즉, 공작물을 부착 또는 공작물에 부착되어 가공부분의 위치를 정하고 동시에 가공을 안내하는 특수공구를 말한다.
지그(A)의 주(主)목적은 빠르고 정교하게 피대상물의 위치를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 있도록 규제하고 공작물의 자중과 해당 공구의 공구합력 및 평행분력 등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규제하며 어떠한 외력이 가해져도 공작물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함으로서 생산되는 제품이 일정한계 내에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가공방법의 진보와 생산방법의 합리화에 의해 다양한 지그(A)를 많이 사용하게 되었지만 제품을 고정하기 위한 지그(A)도 작업공정의 특성에 따라서는 지그(A)의 위치가 변경되어야 양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오차범위의 평균치의 위치에 지그(A)를 고정할 수 밖에 없어 다량의 양질의 제품을 생산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공정에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를 적용하더라도 움직이는 해당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를 고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를 적용하지 못하거나 설령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를 적용하더라도 해당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를 고정하지 않으면 양질의 제품을 생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제품을 연속적 또는 다량으로 생산하는 경우에 각 작업공정에 지그(A)를 사용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능률적인 생산을 확보할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바탕으로 하는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에 관한 선행 기술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5822호의 "스폿용접기의 지그장치"는 스폿용접을 위해 공급된 소재를 정확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간과 이동간에 형성된 가이드 받침구를 규격화하여 마모시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인데, 이를 위하여 이동간과 고정간의 지지부와 축핀 사이에 취부편을 일체로 형성하여 취부편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과 볼트공을 형성하고, 안내편에 유도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이동받침구를 취부편에 결합하여 볼트로 체결하고, 취부편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과 볼트공 그리고, 돌출부를 안내할 수 있도록 양쪽에 안내편이 형성된 고정받침구를 취부편에 결합하여 볼트로 체결하여 구성된 것이며, 스폿용접기의 지그장치의 가이드 받침구를 구성하는 이동받침구와 고정받침구가 마모되면 볼트를 풀고 간단하게 교체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교체할 수 있어 교체작업 시에 신속하고 간편하여 그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켜 생산성 향상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규격화되어 있기 때문에 교체 후에는 별도의 조정을 하지 않아도 정확하고 안정되게 제품소재를 잡아주고 용접할 수 있기 때문에 지그장치에 대한 신뢰를 높여주는 등의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인 "스폿용접기의 지그장치"는 원천적인 고정된 지그(A)이며, 비교적 제품이 간단한 형상을 지닌 피대상물의 스폿용접 시에 사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은 자동차 생산공정에서와 같은 까다로운 제품의 스폿용접 시에는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스폿용접을 위해 고정된 지그(A)이므로 지그(A)의 불가피한 위치 이동으로 인한 어려운 작업공정은 수행할 수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5822호 (2007.08.3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는 기존의 고정된 지그(A)를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로 대체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산업분야에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를 적용하지 못했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서 보다 정확한 위치에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를 고정하여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으로 인해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를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함으로서 까다로운 작업공정에 있어서 지그(A)를 고정했던 시간과 인력손실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오차에 대응하여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를 작업공정에 적용할 수 있어 불량을 줄이고 양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에 있어서,
일정 스트로크를 가지는 피스톤이 포함된 구동실린더;
상기 구동실린더의 피스톤에 결합되는 지그 위치고정부;
상기 구동실린더의 피스톤의 스트로크로 인해 동작되는 지그 위치고정부를 고정시키고 보조하는 가이드 블록; 및
상기 지그 위치고정부에 의해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가 고정되도록 해당 지그에 결합되는 위치고정 브라켓;으로 구성된다.
이때, 지그 위치고정부는,
상기 위치고정 브라켓의 일부면에 접촉되는 제 1스토퍼;와 제 2스토퍼;
상기 제 1스토퍼와 결합되는 제 1스프링;
상기 제 2스토퍼와 결합되는 제 2스프링; 및
상기 제 1, 2스토퍼가 각각 삽입되고 상기 구동실린더의 피스톤과 결합되어 구동실린더의 동력을 제 1, 2스토퍼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가이드 블록은,
상기 제 1스토퍼가 삽입되는 제 1스토퍼 구;
상기 제 2스토퍼가 삽입되는 제 2스토퍼 구; 및
가이드 블록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위치고정 브라켓은 상기 제 1, 2스토퍼가 바깥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꼴 형상 또는 안쪽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요철형상을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위치 조절이 가능한 해당 지그와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는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불가피하게 고정 지그(A)를 사용해야 했던 작업공정에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일일이 지그(A)를 고정하던 시간과 인력손실을 방지함으로서 작업공정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오차에 대응하지 못했던 고정 지그(A)와는 달리 본 발명으로 인하여 제품의 오차에 대응할 수 있는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를 작업공정에 적용할 수 있게 됨으로서 제품의 불량을 줄이고 양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더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고정 지그(A)를 제품에 대응하여 고정하기 위해 손실되었던 작업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실제 작업 시 더욱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복잡하고 까다로운 작업을 단순화할 수 있게 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숙련된 기능공에 의해서만 할 수 있었던 작업을 미숙련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생산성 향상과 품질의 보증, 호환성 유지 및 작업공정비를 절감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인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의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가 장착된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의 동작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의 구성요소 중 위치고정 브라켓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의 구성요소 중 제 1, 2스토퍼 및 이에 대응되는 위치고정 브라켓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의 선행 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의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1)에 있어서,
일정 스트로크를 가지는 피스톤이 포함된 구동실린더(100);
상기 구동실린더(100)의 피스톤에 결합되는 지그 위치고정부(200);
상기 구동실린더(100)의 피스톤의 스트로크로 인해 동작되는 지그 위치고정부(200)를 고정시키고 보조하는 가이드 블록(300); 및
상기 지그 위치고정부(200)에 의해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가 고정되도록 해당 지그에 결합되는 위치고정 브라켓(400);으로 구성된다.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로 구성된 작업대 내의 일정 위치에 고정되고 후술되는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와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구동실린더(100)는 작업공정 또는 작업현장의 환경에 맞게 유압, 공압(압축공기) 또는 전기공급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지그 위치고정부(200)는,
위치고정 브라켓(400)의 일부면에 접촉되는 제 1스토퍼(210);와 제 2스토퍼(220);
상기 제 1스토퍼(210)와 결합되는 제 1스프링(230);
상기 제 2스토퍼(220)와 결합되는 제 2스프링(240); 및
상기 제 1, 2스토퍼(210, 220)가 각각 삽입되고 상기 구동실린더(100)의 피스톤과 결합되어 구동실린더(100)의 동력을 제 1, 2스토퍼(210, 22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250);로 구성되는데,
제 1, 2스토퍼(210, 220)를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동력전달부재(250)의 돌출부(251);에 제 1, 2스토퍼(210, 220)를 삽입하고 삽입된 제 1, 2스토퍼(210, 220)의 일부 외주연면과 돌출부(251)의 외주연면으로 각각 제 1, 2스프링(230, 240)이 결합된다.
제 1, 2스토퍼(210, 220)와 제 1, 2스프링(230, 240)과 결합된 동력전달부재(2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실린더(100)의 피스톤과 결합되어 피스톤의 스트로크, 즉, 직선운동 방향에 따라 제 1, 2스토퍼(210, 220)가 동일한 방향으로 동작된다.
이와 같이, 동력전달부재(250)의 움직임에 따라 동력전달부재(250)에 삽입/결합된 제 1, 2스토퍼(210, 220) 또한 일정한 운동을 하는데, 이때, 제 1, 2스토퍼(210, 220)는 상기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 위치고정 브라켓(400)의 바깥면과 접촉하게 된다.
즉, 위치고정 브라켓(400)은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의 일부면에 고정됨으로서 위치고정 브라켓(400)의 바깥면과 제 1, 2스토퍼(210, 220)가 접촉되는 면의 마찰력으로 기존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를 고정하게 된다.
이때, 제 1, 2스토퍼(210, 220)와 위치고정 브라켓(400)이 접촉되어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의 움직임에 대한 고정력을 더욱 상승시키고 보조하기 위하여 가이드 블록(300)이 구성되는데,
가이드 블록(300)은 상기 제 1스토퍼(210)가 삽입되는 제 1스토퍼 구(310);와 상기 제 2스토퍼(220)가 삽입되는 제 2스토퍼 구(320); 및 가이드 블록(300)을 고정하는 고정부(3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블록(300)은 제 1, 2스토퍼(210, 220)의 일정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제 1, 2스토퍼 구(310, 320)에 각각 제 1, 2스토퍼(210, 220)가 삽입되고 위치고정 브라켓(400)과 가깝게 위치시켜 고정부(330)를 통해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로 구성된 작업대 내에 고정한다.
상기 제 1, 2스토퍼(210, 220)와 가이드 블록(300)은 강(steel), 스테인리스 강 또는 알루미늄 합금 및 티타늄 합금 등 강도가 강한 재질로 형성되어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의 움직임을 고정하고, 고정된 후의 작업공정의 다양한 작업으로 인해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에 전달되는 하중 및 힘을 견딜 수 있도록 한다.
반면, 도 4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고정 브라켓(400)은 상기 제 1, 2스토퍼(210, 220)가 바깥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꼴 형상 또는 안쪽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요철형상을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위치 조절이 가능한 해당 지그(B)와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부(4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2스토퍼(210, 220)와 위치고정 브라켓(400)은 서로 일부면이 접촉되는 면 접촉 또는 선 접촉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스토퍼(210, 220)의 끝단부가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되고 위치고정 브라켓(400)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작업공정은 무한하나,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 제조 및 항공기 제조와 같은 복잡하고 다양한 구성요소들과의 결합으로 생산되는 제품들이 각 작업공정에서 발생되는 오차로 인해 양질의 제품을 생산하지 못하는 문제를 보완하여 더욱 정교한 제품을 생산하도록 도와준다.
예를 들어, 도 2는 자동차 프레임과 자동차 도어 힌지를 스폿용접하기 위한 지그(A)를 나타낸 것인데, 도시된 (a)와 같이,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를 적용하고 싶어도 위치 조절 후 작업 시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를 고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적용하지 못했던 고정 지그(A)를 (b)와 같이 본 발명으로 인하여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로 변경하여 적용된 실시 예를 보여준다.
상기와 같은 스폿용접은 강한 열과 강한 힘이 발생하므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를 자체의 모터로만 고정하기에는 매우 위험하여 현재까지 지그(A)는 도 2의 (a)와 같이 작업대에 고정되는 고정 지그(A)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고정 지그(A)는 고도의 숙련자가 직접 스패너나 렌치 등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 너트를 조절해 사람의 감으로 위치를 조절해야 하는 환경으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다양한 이유로 오랜 시간 숙련자의 감으로 위치를 확정하여 고정하여도 지그(A)의 부정확한 위치, 이러한 지그(BIG)의 부정확한 위치로 인하여 지그(A)에 고정되는 제품 또한 부정확하게 되어 품질과 생산성이 많이 떨어졌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스폿용접 시 지그(A)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당히 높아서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를 적용하여도 자체의 모터로만 해당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를 고정할 수 없어 높은 압력으로 인하여, 결국 자동차 프레임과 자동차 도어 힌지의 위치가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제품소재가 어긋난 상태로 고정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소정의 위치에 용접을 하게 되어 불량제품을 생산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므로 생산된 제품의 신뢰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과 같이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를 고정해주는 고정장치를 적용함으로서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의 모터에 대한 위치 값을 데이터화하여 해당 작업공정의 제어부에서 이를 제어함으로서 일일이 고도의 숙련자가 해당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의 위치를 고정하지 않고 제어부에 의해 더욱 정확한 수치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를 위치하게 하고 본 발명인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로 해당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를 고정하여 위치의 정확성 및 작업공정의 소요시간을 단축하여 결과적으로 높은 품질의 제품을 높은 생산성으로 제조하는 결과로 이어지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인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의 동작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인데 (a)와 같이 제 1, 2스토퍼(210, 220)가 후진하여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b) 또는 (c)와 같이 위치 조절이 진행된 지그(B)를 제 1, 2스토퍼(210, 220)가 전진하여 해당 지그(B)를 고정하는 그림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3의 (b), (c)와 같이 제 1, 2스프링(230, 240)은 제 1, 2스토퍼(210, 220)와 위치고정 브라켓(400)이 해당 지그(B)에 고정되는 제품의 오차범위 안에서 자유롭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 1, 2스프링(230, 240)이 없이 동력전달부재(250)와 각각 완전 고정된 제 1, 2스토퍼(210, 220)는 제품의 오차에 따라 움직이는 해당 지그(B)에 결합된 위치고정 브라켓(400)을 완전히 고정하지 못하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서의 오차라 함은 일반적인 기계가공 및 결합에 적용되는 오차와 동일한 [um] ~ [mm]의 범위 내에 있지만 더욱 복잡하고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결합이 많은 제품에서는 각 작업공정에서 발생되는 오차의 누적으로 제품의 불량 또는 제품의 안전성에 문제가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작업공정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를 한 축으로만 고정하여 제어하는 작업의 경우에는 본 발명인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를 제어하고자 하는 축 방향과 동일하게 설치하여 한 축을 고정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수 개의 축을 고정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작업의 경우에는 본 발명을 각 축 방향과 동일하게 설치하여 다수 개의 축을 고정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즉,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축을 고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으로 생산되는 제품의 정밀도를 균일하게 하여 호환성을 부여하고, 양질의 제품을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미숙련 작업자라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정신적 부담을 줄이고 예측하지 못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불량 등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지그는 다양한 작업공정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지그는 빠르고 정교하게 피대상물의 위치를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 있도록 규제하고 공작물의 자중과 해당 공구의 공구합력 및 평행분력 등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규제하고 어떠한 외력이 가해져도 공작물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함으로서 생산되는 제품이 일정한계 내에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인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는 기존의 고정 지그와는 또 다른,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지그를 산업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의 고정장치를 제공함으로서 기존의 작업공정을 더욱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정확성과 생산성을 제고시키므로 지그를 제작하는 제조업 및 지그를 사용하는 생산업 등 다양한 산업분야 증진에 기여하는데에 적용할 수 있다.
1 :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
100 : 구동실린더 200 : 지그 위치고정부
210 : 제 1스토퍼 220 : 제 2스토퍼
230 : 제 1스프링 240 : 제 2스프링
250 : 동력전달부재 251 : 돌출부
300 : 가이드 블록 310 : 제 1스토퍼 구
320 : 제 2스토퍼 구 330 : 고정부
400 : 위치고정 브라켓 410 : 결합부
A :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를 적용하기 전의 고정 지그
B :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를 적용한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
F : 자동차 프레임 H : 자동차 도어 힌지

Claims (3)

  1. 일정 스트로크를 가지는 피스톤이 포함된 구동실린더(100);
    상기 구동실린더(100)의 피스톤에 결합되는 지그 위치고정부(200);
    상기 구동실린더(100)의 피스톤의 스트로크로 인해 동작되는 지그 위치고정부(200)를 고정시키고 보조하는 가이드 블록(300); 및
    상기 지그 위치고정부(200)에 의해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가 고정되도록 해당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에 결합되는 위치고정 브라켓(400);으로 구성되는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1)에 있어서,
    지그 위치고정부(200)는,
    상기 위치고정 브라켓(400)의 일부면에 접촉되는 제 1스토퍼(210);와 제 2스토퍼(220);
    상기 제 1스토퍼(210)와 결합되는 제 1스프링(230);
    상기 제 2스토퍼(220)와 결합되는 제 2스프링(240); 및
    상기 제 1, 2스토퍼(210, 220)가 각각 삽입되고 상기 구동실린더(100)의 피스톤과 결합되어 구동실린더(100)의 동력을 제 1, 2스토퍼(210, 22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구동실린더(100)의 피스톤의 스트로크로 인해 제 1, 2스토퍼(210, 220)가 동작하여 위치고정 브라켓(400)의 외주면에 접촉되게 함으로서 위치고정 브라켓(400)이 결합된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가이드 블록(300)은,
    상기 제 1스토퍼(210)가 삽입되는 제 1스토퍼 구(310);
    상기 제 2스토퍼(220)가 삽입되는 제 2스토퍼 구(320); 및
    가이드 블록(300)을 고정하는 고정부(3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위치고정 브라켓(400)은 상기 제 1, 2스토퍼(210, 220)가 바깥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꼴 형상 또는 안쪽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요철형상을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위치 조절이 가능한 지그(B)와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부(4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
KR1020160082463A 2015-08-07 2016-06-30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 KR101727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505035A JP2018522740A (ja) 2015-08-07 2016-07-13 位置調節用治具に対する固定装置
US15/749,074 US10688605B2 (en) 2015-08-07 2016-07-13 Fixing device for position-adjusting jig
PCT/KR2016/007580 WO2017026673A1 (ko) 2015-08-07 2016-07-13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11743 2015-08-07
KR1020150111743 2015-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884A true KR20160111884A (ko) 2016-09-27
KR101727689B1 KR101727689B1 (ko) 2017-04-17

Family

ID=57101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463A KR101727689B1 (ko) 2015-08-07 2016-06-30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88605B2 (ko)
JP (1) JP2018522740A (ko)
KR (1) KR101727689B1 (ko)
WO (1) WO201702667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36122A (zh) * 2017-01-21 2017-05-31 中银(宁波)电池有限公司 一种电池点焊机构
KR102412864B1 (ko) * 2022-03-30 2022-06-24 강봉중 부품 고정용 치공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33727B1 (pl) * 2017-12-04 2019-11-29 Lubelska Polt Uchwyt ustalajaco-mocujacy, zwlaszcza polaczenie zakladkowe cienkich blach
CN116867603A (zh) * 2021-03-31 2023-10-10 Abb瑞士股份有限公司 用于夹持开口部件的定位设备
CN115555771B (zh) * 2022-10-27 2024-01-26 塔里木大学 一种人工辅助的鸭嘴部件焊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822B1 (ko) 2006-06-07 2007-09-05 (주)세원물산 스폿용접기의 지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88978A (en) * 1963-10-17 1966-11-29 Ford Motor Co Method and device for positioning and welding
DE3319716C2 (de) * 1982-06-04 1989-06-29 Honda Giken Kogyo K.K., Tokio/Tokyo, Jp Vorrichtung zum zuordnen und verschweissen von seitenteilen zu bzw. mit dach- und bodenteilen eines kraftfahrzeugs
JPS6053493U (ja) * 1983-09-20 1985-04-15 トキコ株式会社 工業用ロボット
US5014405A (en) * 1988-08-22 1991-05-14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Jig pallet for an automatic assembly device
BR9714531A (pt) * 1997-01-25 2000-05-02 Unova Uk Ltd Aparelho de sustentação de trabalho
KR20010114073A (ko) * 2000-06-21 2001-12-29 이형도 파렛트 위치결정장치
CA2324820C (en) * 2000-10-30 2004-05-04 Clayton Dean Babchuk Workpiece support apparatus
KR20060105126A (ko) * 2005-04-01 2006-10-11 한국산업기술대학교 프리 플로어 콘베이어를 이용한 자동용접장치
KR100907057B1 (ko) 2007-12-13 2009-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폿 용접용 지그 장치
KR100921119B1 (ko) * 2008-07-18 2009-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차종 사이드 어셈블리 공용 로봇 그리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822B1 (ko) 2006-06-07 2007-09-05 (주)세원물산 스폿용접기의 지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36122A (zh) * 2017-01-21 2017-05-31 中银(宁波)电池有限公司 一种电池点焊机构
KR102412864B1 (ko) * 2022-03-30 2022-06-24 강봉중 부품 고정용 치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22740A (ja) 2018-08-16
US20180281123A1 (en) 2018-10-04
KR101727689B1 (ko) 2017-04-17
US10688605B2 (en) 2020-06-23
WO2017026673A1 (ko)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689B1 (ko) 위치 조절용 지그에 대한 고정장치
EP3094443B1 (en) Spot-joining apparatus and method
US3259021A (en) Multiple purpose fabrication apparatus and method
CN104175014B (zh) 一种用于大型薄壁构件精确焊接成型装置及精密加工方法
EP2851153B1 (en) Electric spindle with axial force control, intended for friction welding and other uses
KR101767345B1 (ko) 다양한 반지름을 갖는 곡선 금속판 제작용 용접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용접 방법
EP3247532B1 (en) Device for detachable and repeatable positioning of two objects in relation to each other
WO2015132677A2 (en) Process of positioning automotive components
KR101779009B1 (ko) 위치 조절용 지그고정장치
US9604306B2 (en) Friction-stir welding tool, friction stir weld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elding material
WO2010022810A1 (de) Widerstandsschweissanordnung
KR101605864B1 (ko) 스토리지 박스 부품 제조용 리벳팅 머신
US20220143768A1 (en) Method for joining or machining and apparatus therefor
CN205290238U (zh) 一种电动汽车车身裙板焊接夹具
KR20150116110A (ko) 벨로우즈 용접 자동화 시스템
CN107097008A (zh) 一种焊接夹紧装置
CN208629310U (zh) 一种多角度旋转工装夹具
US10562128B2 (en) Linear friction welding apparatus
CN207119898U (zh) 一种焊接夹紧装置
KR102105293B1 (ko) 공구 고정 장치
EP1252964B1 (de) Bolzenschweisssystem
CN215200344U (zh) 一种基于汽车制造用冲压焊接设备
KR20150020600A (ko) 밸브 가공 장치 및 밸브 가공 방법
CN219189403U (zh) 一种双工位加工中心加工板簧支架专用工装
CN202607353U (zh) 用于弹性涨紧车床的工艺装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