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0960A -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10960A KR20160110960A KR1020167021240A KR20167021240A KR20160110960A KR 20160110960 A KR20160110960 A KR 20160110960A KR 1020167021240 A KR1020167021240 A KR 1020167021240A KR 20167021240 A KR20167021240 A KR 20167021240A KR 20160110960 A KR20160110960 A KR 201601109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support
- vehicle
- state
- distan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36316 preload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352 storage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60P1/641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 B60P1/6445—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shifted only vertical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Evaluation by breath analysis, e.g. determin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xhaled brea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3—Measuring rate of metabolism by using breath test, e.g. measuring rate of oxygen consumption
- A61B5/0836—Measuring rate of CO2 produ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7—Measuring breath flow
- A61B5/0873—Measuring breath flow using optical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97—Devices for facilitating collection of breath or for directing breath into or through measur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with essentially horizontal transit otherwise than by bridge
- B65G63/02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with essentially horizontal transit otherwise than by bridge for articles
- B65G63/025—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with essentially horizontal transit otherwise than by bridge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04—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for analysing gases, e.g. multi-gas analysi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9—Transmissivity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CO or CO2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19—No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2—Mechanical
- G01N2201/022—Casing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01N2201/061—Sou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besity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차량을 제공한다. 상기 차량은 상기 컨테이너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1차 승강 기구를 가지고 있다. 상기 승강 기구는 상기 지지부를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는 위에서 보았을 때 차량의 제1 외형과 관련되어 있으며 적어도 상기 지지부의 하강 위치와 결합할 수 있는 집어넣은 상태와, 위에서 보았을 때 차량의 제2 외형과 관련되어 있으며 적어도 상기 지지부의 상승 위치와 결합할 수 있는 펼친 상태를 취할 수 있다. 펼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지지부는 제1 외형에 대해 제2 외형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돌출 구역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테이너용 보관 구조 및 상기 보관 구조로 컨테이너를 운반하거나 상기 보관 구조로부터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이 다년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컨테이너를 상이한 기간 동안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보관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보관 구조는 항구와 항만, 또는 컨테이너의 보관이 필요한 임의의 장소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관 구조는 큰 면적을 차지할 수 있고, 이러한 큰 면적을 줄일 목적으로, 승강식 바닥(elevated floor)을 가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잡한 보관 구조에서는, 상기 보관 구조로 컨테이너를 운반하거나 상기 보관 구조로부터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것이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다양한 기술로 가능하게 될 수 있는 복잡한 작업이 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의 한 가지 유형은 상기 보관 구조로 컨테이너를 집어넣거나 상기 보관 구조로부터 컨테이너를 꺼내기 위해 차량(예를 들면, 무인 운반 차량(Automated Guided Vehicle))이 사용되는 보관 구조를 포함한다.
이하의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차량'이라는 용어는 화물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운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섀시와 추진 장치를 가진 임의의 구조를 지칭한다. 예를 들면, 상기 차량은 무인 운반 차량(AGV)이 될 수 있다.
이하의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컨테이너'라는 용어는 보관 또는 운송 목적으로 물질과 제품을 수용하도록 설계된 임의의 구조를 지칭한다. 상기 컨테이너는 복합 컨테이너(예를 들면, 컨테이너, 화물 컨테이너, ISO 컨테이너, 선적 컨테이너, 하이 큐브 컨테이너(hi-cube container), 박스, 콘엑스 박스(conex box) 및 시 캔(sea can))가 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는 세계적인 컨테이너 수송 복합 화물 운송 시스템(global containerized intermodal freight transport system) 내에서 물질과 제품의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확실한 보관 및 이동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준화된 재사용가능한 강철 박스(standardized reusable steel box)가 될 수 있다. '컨테이너'라는 용어는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서 보관될 수 있는 자가용차 또는 대중교통용차와 같은 자동차로 폭넓게 해석될 수도 있다.
이하의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기둥'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보관 시스템의 보관실(storage cell)의 임의의 구조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의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베이스부'라는 용어는 컨테이너를 파지하거나, 유지시키거나, 들어올리거나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컨테이너의 임의의 부분을 지칭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컨테이너의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bottom corner fitting) 및/또는 컨테이너의 바닥부에 위치된 다른 하중 이전 구역(load transfer area)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다양한 기준으로 정의되는데, 그 중의 하나가 "시리즈 1 화물 컨테이너 - 명세 및 검사 파트 1(Series 1 freight Containers - Specification and testing, part 1 "이라는 ISO 1496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차량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차량은 상기 컨테이너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1차 승강 기구를 가지고 있다. 상기 승강 기구는 상기 지지부를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는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차량의 제1 외형과 관련되어 있으며 적어도 상기 지지부의 하강 위치와 결합할 수 있는 집어넣은 상태와,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차량의 제2 외형과 관련되어 있으며 적어도 상기 지지부의 상승 위치와 결합할 수 있는 펼친 상태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펼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외형에 대해 상기 제2 외형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돌출 구역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차량이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에 사용된다.
상기 시스템은 아래의 구성요소:
a. 복수의 보관실을 가지고 있고, 이 복수의 보관실 각각이 상기 보관실 내에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베어링부를 가진 복수의 기둥을 포함하고 있는 보관 구조; 및
b.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보관실 내외로 운반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차량;
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차량은 상기 컨테이너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1차 승강 기구를 가지고 있다. 상기 승강 기구는 상기 지지부를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는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차량의 제1 외형과 관련되어 있으며 적어도 상기 지지부의 하강 위치와 결합할 수 있는 집어넣은 상태와,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차량의 제2 외형과 관련되어 있으며 적어도 상기 지지부의 상승 위치와 결합할 수 있는 펼친 상태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펼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외형에 대해 상기 제2 외형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돌출 구역을 가지고 있다.
상기 지지부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능력은 전체 차량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승강 기구의 하강 위치와 결합된 상기 지지부의 집어넣은 상태(retracted state)에서는, 상기 차량이 비교적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크기는 상기 차량이 컨테이너를 운반하지 않을 때 보관 구조 내에서의 상기 차량의 조종성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면, 작은 크기의 차량은 비교적 좁은 통로를 통과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지지부의 펼친 상태(extended state)에서는, 상기 차량이 돌출 구역에 배치된 컨테이너를 운반할 수 있게 하는 증가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아래의 특징, 형태 및 구성 중의 하나 이상이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 중의 하나 이상에 독자적으로 또는 이들의 결합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돌출 구역은 상기 차량의 제1 축을 따라서 상기 제2 외형의 최대 크기를 한정하는 거리 Dl으로 서로 이격된 최외측 지점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외형은 상기 제1 축을 따라서 최대 크기를 한정하는, 거리 Dl보다 작은, 거리 D2로 서로 이격된 최외측 지점들을 가질 수 있어서, 제1 외형 상태의 상기 차량은 상기 컨테이너를 적재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제1 축과 수직인 제2 축을 따라서, 거리 D2보다 크고 거리 Dl보다 작은 거리로 상기 제1 축을 따라서 서로 이격된 2개의 기둥 사이로 통과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될 특정 실시례에서는, 돌출 구역의 최외측 지점들 사이의 거리가 상기 차량의 제1 축을 따라 제2 외형의 최대 크기를 한정하는 참고부호 El으로 표시되고, 제1 외형의 최외측 지점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최대 크기를 한정하는 참고부호 E2로 표시된다. El과 E2는 각각 Dl과 D2에 대응한다.
한편으로, 크기 Dl은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동안 컨테이너를 올바르게 지지하기 위해서 컨테이너의 베이스부의 위치에 의해서 좌우된다. 다른 한편으로, 크기 D2는 보관 구조 내에서의 상기 차량의 조종성 요건(예를 들면, 보관실의 기둥과 같은, 보관 구조의 상이한 요소들 사이의 거리)에 의해 좌우된다. 상기 지지부가 집어넣어지거나 펼쳐지는 능력은 승강 기구의 하강 위치에서 차량의 조종성이 향상되도록, D2<D1인 차량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기둥이 하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이 하부 부분은 하부 부분들 사이의 거리와 관련된 제1 축 방향의 최소 길이 치수 Rl에 의해 특징지워지며, 다음 조건: D2<R1<D1이 충족되어서, 적어도 상기 지지부의 집어넣은 상태에서는, 상기 컨테이너를 적재하지 않은 상태의 상기 지지부의 하강 위치에서, 상기 차량의 상기 제2 축 방향으로의 상기 보관실로의 운송이 허용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기 펼친 상태에서는, 상기 운송이 저지된다.
상기 조건 D2<R1<D1이 충족되면, 상기 차량의 조종성이 향상되고, 아래의 내용이 허용된다:
- 상기 차량이 제1 외형에 의해 특징지워지면, 조건 D2<R1가 충족되어, 승강 기구가 하강 위치에 있고 컨테이너를 적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차량은 상기 기둥들 사이를 통과할 수 있고;
- 상기 차량이 제2 외형에 의해 특징지워지면, 조건 R1<D2가 충족되어, 승강 기구가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차량은 컨테이너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기둥이 상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상부 부분은 상부 부분들 사이의 거리와 관련된 제1 축 방향의 최소 길이 치수 R2에 의해 특징지워지며, 다음 조건: D2<R2<D1이 충족되어서, 적어도 상기 지지부의 집어넣은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부의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특정 예에 따르면, 조건 D2<R2<D1이 충족되면, 적어도 상기 지지부의 펼친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부의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로의 이동이 저지될 수 있다.
상기 기둥이 자신의 베어링부가 수평방향의 평면인 기다란 곧은 형상을 할 수 있어서, 다음 조건: R1=R2이 충족된다.
기다란 곧은 형상인 기둥의 예에 따르면, 보관실의 외곽 치수는 보관실에 보관된 컨테이너의 외곽 치수보다 크지 않을 수 있고, 이것은 컨테이너들이 서로 근접한 상태로 배치되는 보관 구조를 설계할 수 있게 해 준다. 이러한 설계형태는 보관 구조의 공간 활용에 있어서 효율적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주어진 공간에 더 많은 컨테이너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둥의 상부 부분이 하부 부분에 대해 보관실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될 수 있고, 그래서 다음 조건: R1>R2이 충족된다.
상기 돌출 구역의 각각이 상기 지지부의 집어넣은 상태에서는 후퇴되고 상기 지지부의 펼친 상태에서는 돌출되는 대응하는 후퇴/돌출식 요소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가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각각은 상기 지지부의 집어넣은 상태에서 상기 후퇴/돌출식 요소의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 구역이 컨테이너를 상기 지지부에 고정시켜서, 적어도 상기 차량에 의해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동안 컨테이너가 상기 지지부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고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승강 기구의 상승 위치에서 상기 차량에 의해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컨테이너의 운송 전에 상기 승강 기구를 하강 위치로 이동시킬 필요성을 없앨 수 있고, 이로 인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상기 돌출 구역의 적어도 일부분이, 컨테이너를 상기 지지부에 대해 올바르게 배치시키기 위해서 컨테이너를 상기 차량에 적재하는 동안 컨테이너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안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 장치는 컨테이너 적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 장치와 상기 안내 장치가 공통의 고정-안내 장치에 통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장치와 상기 안내 장치 중의 적어도 하나가 접힌 비작동 자세와 펼쳐진 작동 자세를 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가 4개의 모서리에 의해서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돌출 구역이 상기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 구역은 컨테이너를 컨테이너의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로부터 지탱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가 4개의 모서리와 이들 사이의 변에 의해서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돌출 구역이 상기 변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이, 상기 지지부를 펼친 상태와 집어넣은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 대신에 컨테이너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보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장치는 상기 지지부에 의해 컨테이너를 지지하고 베어링부에 의해 컨테이너를 지지하는데 동일한 베이스부가 사용되는 경우 필수적인 것이 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보조 장치는 컨테이너를 차량의 지지부로부터 보관실의 베어링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베이스부가 아닌 대체 베이스부로부터 컨테이너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장치가 하나 이상의 파지 요소와 2차 승강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 요소는 상기 베이스부가 아닌 대체 베이스부로부터 컨테이너를 파지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지지부를 펼친 상태와 집어넣은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2차 승강 기구에 의해 상기 지지부 또는 컨테이너의 서로에 대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파지 상태와, 위에서 보았을 때 차량의 제1 외형과 관련된 접힌 상태를 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장치가 상기 지지부의 아래에 그리고 1차 승강 기구와 2차 승강 기구의 사이에 배치된 중간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파지 요소는 상기 중간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가 상기 차량의 상이한 부분과 각각 결합된 복수의 지지부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와 1차 승강 기구가 차량의 본체에 장착가능한 추가물일 수 있다.
상기 돌출 구역이 상기 차량의 제2 축을 따라 제2 외형의 최대 크기를 한정하는 거리 Dl'(상세한 설명에 기술될 한 실시례에서는 Ε1'으로도 표시됨)으로 서로 이격된 최외측 지점들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외형이 제2 축을 따라 최대 크기를 한정하는, 거리 Dl'보다 작은, 거리 D2'(상세한 설명에 기술될 한 실시례에서는 Ε2'으로도 표시됨)로 서로 이격된 최외측 지점들을 가질 수 있어서, 제1 외형 상태의 상기 차량은 상기 컨테이너를 적재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제2 축과 수직인 제1 축을 따라서, 거리 D2'보다 크고 거리 Dl'보다 작은 거리로 상기 제2 축을 따라서 서로 이격된 보관실의 기둥 사이로 통과할 수 있고, 제2 외형을 가질 경우,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보관실의 기둥의 베어링부에 배치시킬 수 있다. 상기 기둥이 하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이 하부 부분은 하부 부분들 사이의 거리와 관련된 제2 축 방향의 최소 길이 치수 Rl'에 의해 특징지워지며, 다음 조건: D2'<Rl'<D1'이 충족되어서, 적어도 상기 지지부의 집어넣은 상태에서는, 상기 컨테이너를 적재하지 않은 상태의 상기 지지부의 하강 위치에서, 상기 차량의 상기 제2 축 방향으로의 상기 보관실로의 운송이 허용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기 펼친 상태에서는, 상기 운송이 저지된다.
한 예에 따르면, 적어도 상기 지지부의 집어넣은 상태와 상기 승강 기구의 하강 위치에서, 상기 차량이 제1 축 및 제2 축의 양 축 방향으로 상기 보관실 내외로 운송할 수 있다.
상기 기둥이 상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상부 부분은 상부 부분들 사이의 거리와 관련된 제2 축 방향의 최소 길이 치수 R2'에 의해 특징지워지며, 다음 조건: D2'<R2'<D1'이 충족되어서, 적어도 상기 지지부의 집어넣은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부의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상기 조건: D2'<R2'<D1'이 충족될 수 있고, 그래서 적어도 상기 지지부의 펼친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부의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지지부는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차량의 제1 외형과 관련되어 있
으며 적어도 상기 지지부의 하강 위치와 결합할 수 있는 집어넣은 상
태와,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차량의 제2 외형과 관련되어 있으며 적
어도 상기 지지부의 상승 위치와 결합할 수 있는 펼친 상태를 취하도
록 구성되어 있고, 펼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외형
에 대해 상기 제2 외형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
도록 구성된 돌출 구역을 가지고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지지부를 펼친 상태로 변화시키는 단계;
c. 컨테이너의 베이스부를 상기 돌출 구역에 배치시킴으로써 컨테이너를 상기 지지부에 적재하는 단계;
d. 상기 지지부가 상승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동안 컨테이너를 적재한 상기 차량을 보관실로 운송하는 단계;
e. 상기 지지부를 상기 1차 승강 기구에 의해 하강 위치로 이동시켜서, 컨테이너를 상기 베어링부에 배치시키는 단계;
f. 상기 지지부를 집어넣은 상태로 변화시키는 단계; 그리고
g. 컨테이너가 없는 상태로 상기 차량을 보관실로부터 운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h. 컨테이너가 보관실에 보관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가 하강 위치와 집어넣은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차량을 보관실로 운송하는 단계;
i. 상기 지지부를 펼친 상태로 변화시키는 단계;
j. 상기 지지부를 상기 1차 승강 기구에 의해 상승 위치로 이동시켜서, 컨테이너를 상기 돌출 구역에 배치시키는 단계;
k. 컨테이너를 적재한 상태로 상기 차량을 보관실로부터 운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지지부는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차량의 제1 외형과 관련되어 있
으며 적어도 상기 지지부의 하강 위치와 결합할 수 있는 집어넣은 상
태와,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차량의 제2 외형과 관련되어 있으며 적
어도 상기 지지부의 상승 위치와 결합할 수 있는 펼친 상태를 취하도
록 구성되어 있고, 펼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외형
에 대해 상기 제2 외형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
도록 구성된 돌출 구역을 가지고 있고, 상기 보조 장치는 하나 이상의
파지 요소와 2차 승강 기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파지 요소는 파지
상태와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차량의 제1 외형과 관련된 접힌 상태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지지부를 펼친 상태로 변화시키는 단계;
c. 컨테이너의 베이스부를 상기 돌출 구역에 배치시킴으로써 컨테이너를 상기 지지부에 적재하는 단계;
d. 상기 지지부가 상승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동안 컨테이너를 적재한 상기 차량을 보관실로 운송하는 단계;
e. 상기 파지 요소를 파지 상태로 변화시켜서, 상기 베이스부가 아닌 대체 베이스부로부터 컨테이너를 파지하는 단계;
f. 상기 지지부 또는 컨테이너를 2차 승강 기구에 의해 서로에 대해 이동시키는 단계;
g. 상기 지지부를 집어넣은 상태로 변화시키는 단계;
h. 상기 지지부를 상기 1차 승강 기구에 의해 하강 위치로 이동시켜서, 컨테이너를 상기 베어링부에 배치시키는 단계;
i. 상기 파지 요소를 접힌 상태로 변화시키는 단계; 그리고
j. 컨테이너가 없는 상태로 상기 차량을 보관실로부터 운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k. 컨테이너가 보관실에 보관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가 하강 위치와 집어넣은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차량을 보관실로 운송하는 단계;
1. 상기 파지 요소를 파지 상태로 변화시켜서, 상기 베이스부가 아닌 대체 베이스부로부터 컨테이너를 파지하는 단계;
m. 상기 지지부를 상기 1차 승강 기구에 의해 상승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n. 상기 지지부를 펼친 상태로 변화시키는 단계;
o. 상기 지지부 또는 컨테이너를 2차 승강 기구에 의해 서로에 대해 이동시켜서, 컨테이너를 상기 돌출 구역에 배치시키는 단계;
p. 상기 파지 요소를 접힌 상태로 변화시키는 단계;
q. 컨테이너를 적재한 상태로 상기 차량을 보관실로부터 운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은
a. 복수의 보관실을 가지고 있고, 이 복수의 보관실 각각이 상기 보관실 내에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베어링부를 가진 복수의 기둥을 포함하고 있는 보관 구조;
b.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보관실 내외로 운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1차 승강 기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승강 기구는 상기 지지부를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c. 상기 지지부와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컨테이너를 상기 지지부에 대해 올바르게 배치시키기 위해 컨테이너를 상기 차량에 적재하는 동안 컨테이너를 안내하고, 적어도 상기 차량에 의해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동안 컨테이너가 상기 지지부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컨테이너를 상기 지지부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안내-고정 장치;
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고정 장치가 상기 지지부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승강 기구의 상승 위치에서 상기 차량에 의해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것은 컨테이너의 운송 전에 상기 승강 기구를 하강 위치로 이동시킬 필요성을 없앨 수 있고, 이로 인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고정 장치는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동안 컨테이너가 상기 차량에 대해 이동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안내 장치는 컨테이너 적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컨테이너를 상기 차량에 올바르게 배치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가 컨테이너의 베이스부에서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구역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지지부는, 컨테이너가 수용될 때, 컨테이너의 추가적인 베이스부가 상기 지지부가 상승 위치에서 하강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베어링부에 놓이도록, 아래에서 보았을 때,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차량이 제1 축 및 제1 축과 수직인 제2 축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제1 최대 길이 치수 L1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둥이 하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이 하부 부분은 하부 부분들 사이의 거리와 관련된 제1 축 방향의 최소 길이 치수 Rl에 의해 특징지워지며, 다음 조건: R1>L1이 충족되어서, 적어도 상기 컨테이너를 적재하지 않은 상태의 상기 지지부의 하강 위치에서, 상기 차량의 상기 제2 축 방향으로의 상기 보관실로의 운송이 허용된다.
상기 기둥이 상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상부 부분은 상부 부분들 사이의 거리와 관련된 제2 축 방향의 최소 길이 치수 R2에 의해 특징지워지며, 상기 상부 부분이 상기 하부 부분에 대해 보관실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될 수 있고, 그래서, 다음 조건: R1>R2이 충족된다.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제1 최대 길이 치수 L1'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기둥이 하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이 하부 부분은 하부 부분들 사이의 거리와 관련된 제2 축 방향의 최소 길이 치수 Rl'에 의해 특징지워지며, 다음 조건: R1'>L1'이 충족될 수 있고, 그래서, 상기 컨테이너를 적재하지 않은 상태의 상기 지지부의 하강 위치에서, 상기 차량의 상기 제1 축 방향으로의 상기 보관실로의 운송이 허용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사항을 보다 잘 이해하고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사항이 실제로 어떻게 실시될 수 있는 지를 예를 들기 위해서, 이하에서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몇 가지 실시례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예에 따른 보관 시스템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보관 시스템 내에 보관될 수 있는 컨테이너의 바닥면의 한 예를 나타내는 ISO 1496 기준의 그림 Bl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한 예에 따른 차량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3b는 컨테이너가 배치된 상태의 도 3a의 차량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3c는 지지부를 집어넣은 상태의 도 3a의 차량의 평면도이고;
도 3d는 지지부를 펼친 상태의 도 3a의 차량의 평면도이고;
도 3e는 펼쳐진 작동 자세에서의 도 3b의 차량의 후퇴/돌출식 요소(retractable element)의 확대도이고;
도 4a는 차량에 배치된 보관실과 컨테이너 내에 위치된 지지부가 집어넣어진 상태에 있으며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 3a의 차량의 정면도이고;
도 4b는 차량에 배치된 보관실과 컨테이너 내에 위치된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며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 3a의 차량의 정면도이고;
도 4c는 차량에 배치된 보관실과 컨테이너 내에 위치된 지지부가 집어넣어진 상태에 있으며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 3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4d는 차량에 배치된 보관실과 컨테이너 내에 위치된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며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 3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5a는 지지부가 집어넣어진 상태에 있으며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 3a의 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며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 3a의 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5c는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며 상승 위치에 있고,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상태의 도 3a의 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5d는 컨테이너가 배치된 상태의 도 5c의 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5e는 보관실 내에서의 도 5d의 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5f는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며 하강 위치에 있고, 컨테이너가 보관실에 의해 지지된 상태의 보관실 내에서의 도 3a의 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5g는 지지부가 집어넣어진 상태에 있으며 하강 위치에 있고, 컨테이너가 보관실에 의해 지지된 상태의 보관실 내에서의 도 3a의 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5h는 컨테이너는 보관실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차량은 없는 상태의 보관실의 사시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6b는 컨테이너가 배치된 상태의 도 6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6c는 지지부가 집어넣어진 상태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평면도이고;
도 6d는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평면도이고;
도 6e는 도 6a의 차량에 의해 운송될 컨테이너의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bottom corner fitting)의 확대도이고 ;
도 7a는 지지부가 집어넣어진 상태에 있으며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의 보관실 내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정면도이고;
도 7b는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며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의 보관실의 예시적인 기둥 내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정면도이고;
도 7c는 지지부가 집어넣어진 상태에 있으며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의 보관실 내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7d는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며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의 보관실의 예시적인 기둥 내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8a는 지지부가 집어넣어진 상태에 있으며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의 보관실 내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정면도이고;
도 8b는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며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의 보관실 내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정면도이고;
도 8c는 지지부가 집어넣어진 상태에 있으며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의 보관실 내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8d는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며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의 보관실 내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9a는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며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 6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9b는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며 상승 위치에 있고, 컨테이너가 배치된 상태의 도 6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9c는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며 상승 위치에 있고, 컨테이너가 배치된 상태의 보관실의 내부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9d는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며 상승 위치에 있고, 컨테이너가 배치된 상태에서 파지 요소가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보관실의 내부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9e는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며 상승 위치에 있고, 컨테이너가 배치된 상태에서 파지 요소가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보관실의 내부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9f는 지지부가 집어넣어진 상태에 있으며 상승 위치에 있고, 컨테이너가 배치된 상태에서 파지 요소가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보관실의 내부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9g는 지지부가 집어넣어진 상태에 있으며 하강 위치에 있고, 컨테이너가 배치된 상태에서 파지 요소가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보관실의 내부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9h는 지지부가 집어넣어진 상태에 있으며 상승 위치에 있고, 컨테이너가 보관실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파지 요소가 접힌 상태에서의 보관실의 내부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10a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차량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10b는 컨테이너가 배치된 상태의 도 10a의 차량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10c는 컨테이너가 없는 상태의 보관실 내부에서의 도 10a의 차량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a의 차량의 안내-고정 돌출부(guiding-securing projection)의 확대도이고;
도 12는 지지부가 상승 위치에 있으며, 컨테이너가 배치된 상태의 보관실 내부에서의 도 10a의 차량의 측면 하부 사시도이고;
도 13a는 지지부가 상승 위치에 있으며, 컨테이너가 배치된 상태의 보관실 내부에서의 도 10a의 차량의 정면도이고;
도 13b는 지지부가 상승 위치에 있으며, 컨테이너가 배치된 상태의 보관실 내부에서의 도 10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13c는 지지부가 하강 위치에 있으며, 컨테이너가 보관실에 의해 지지된 상태의 보관실 내부에서의 도 10a의 차량의 정면도이고; 그리고
도 13d는 지지부가 하강 위치에 있으며, 컨테이너가 보관실에 의해 지지된 상태의 보관실 내부에서의 도 10a의 차량의 측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예에 따른 보관 시스템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보관 시스템 내에 보관될 수 있는 컨테이너의 바닥면의 한 예를 나타내는 ISO 1496 기준의 그림 Bl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한 예에 따른 차량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3b는 컨테이너가 배치된 상태의 도 3a의 차량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3c는 지지부를 집어넣은 상태의 도 3a의 차량의 평면도이고;
도 3d는 지지부를 펼친 상태의 도 3a의 차량의 평면도이고;
도 3e는 펼쳐진 작동 자세에서의 도 3b의 차량의 후퇴/돌출식 요소(retractable element)의 확대도이고;
도 4a는 차량에 배치된 보관실과 컨테이너 내에 위치된 지지부가 집어넣어진 상태에 있으며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 3a의 차량의 정면도이고;
도 4b는 차량에 배치된 보관실과 컨테이너 내에 위치된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며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 3a의 차량의 정면도이고;
도 4c는 차량에 배치된 보관실과 컨테이너 내에 위치된 지지부가 집어넣어진 상태에 있으며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 3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4d는 차량에 배치된 보관실과 컨테이너 내에 위치된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며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 3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5a는 지지부가 집어넣어진 상태에 있으며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 3a의 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며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 3a의 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5c는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며 상승 위치에 있고,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상태의 도 3a의 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5d는 컨테이너가 배치된 상태의 도 5c의 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5e는 보관실 내에서의 도 5d의 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5f는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며 하강 위치에 있고, 컨테이너가 보관실에 의해 지지된 상태의 보관실 내에서의 도 3a의 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5g는 지지부가 집어넣어진 상태에 있으며 하강 위치에 있고, 컨테이너가 보관실에 의해 지지된 상태의 보관실 내에서의 도 3a의 차량의 사시도이고;
도 5h는 컨테이너는 보관실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차량은 없는 상태의 보관실의 사시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6b는 컨테이너가 배치된 상태의 도 6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6c는 지지부가 집어넣어진 상태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평면도이고;
도 6d는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평면도이고;
도 6e는 도 6a의 차량에 의해 운송될 컨테이너의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bottom corner fitting)의 확대도이고 ;
도 7a는 지지부가 집어넣어진 상태에 있으며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의 보관실 내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정면도이고;
도 7b는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며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의 보관실의 예시적인 기둥 내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정면도이고;
도 7c는 지지부가 집어넣어진 상태에 있으며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의 보관실 내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7d는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며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의 보관실의 예시적인 기둥 내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8a는 지지부가 집어넣어진 상태에 있으며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의 보관실 내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정면도이고;
도 8b는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며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의 보관실 내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정면도이고;
도 8c는 지지부가 집어넣어진 상태에 있으며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의 보관실 내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8d는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며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의 보관실 내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9a는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며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 6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9b는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며 상승 위치에 있고, 컨테이너가 배치된 상태의 도 6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9c는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며 상승 위치에 있고, 컨테이너가 배치된 상태의 보관실의 내부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9d는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며 상승 위치에 있고, 컨테이너가 배치된 상태에서 파지 요소가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보관실의 내부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9e는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에 있으며 상승 위치에 있고, 컨테이너가 배치된 상태에서 파지 요소가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보관실의 내부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9f는 지지부가 집어넣어진 상태에 있으며 상승 위치에 있고, 컨테이너가 배치된 상태에서 파지 요소가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보관실의 내부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9g는 지지부가 집어넣어진 상태에 있으며 하강 위치에 있고, 컨테이너가 배치된 상태에서 파지 요소가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보관실의 내부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9h는 지지부가 집어넣어진 상태에 있으며 상승 위치에 있고, 컨테이너가 보관실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파지 요소가 접힌 상태에서의 보관실의 내부에서의 도 6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10a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차량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10b는 컨테이너가 배치된 상태의 도 10a의 차량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10c는 컨테이너가 없는 상태의 보관실 내부에서의 도 10a의 차량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a의 차량의 안내-고정 돌출부(guiding-securing projection)의 확대도이고;
도 12는 지지부가 상승 위치에 있으며, 컨테이너가 배치된 상태의 보관실 내부에서의 도 10a의 차량의 측면 하부 사시도이고;
도 13a는 지지부가 상승 위치에 있으며, 컨테이너가 배치된 상태의 보관실 내부에서의 도 10a의 차량의 정면도이고;
도 13b는 지지부가 상승 위치에 있으며, 컨테이너가 배치된 상태의 보관실 내부에서의 도 10a의 차량의 측면도이고;
도 13c는 지지부가 하강 위치에 있으며, 컨테이너가 보관실에 의해 지지된 상태의 보관실 내부에서의 도 10a의 차량의 정면도이고; 그리고
도 13d는 지지부가 하강 위치에 있으며, 컨테이너가 보관실에 의해 지지된 상태의 보관실 내부에서의 도 10a의 차량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한 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대체로 참고번호 1로 표시된 보관 시스템을 나타내는 여러 도면 중에서 도 1에 먼저 주의를 기울인다. 도시된 보관 시스템(1)은 복수의 보관실(2)로 구성된 보관 구조(5)를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보관실(2)은 컨테이너(50)가 보관되어 있는 동안 컨테이너(50)를 지지하는 4개의 모서리 기둥(4)에 의해 한정된다. 보관 시스템(1)은 2개의 바닥: 즉, 상부 바닥과 하부 바닥을 가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2개의 바닥의 각각이 2개의 보관실(2)을 포함하고 있다. 상부 바닥에 대한 접근은 엘리베이터(3)에 의해 제공된다. 보관 시스템(1)은 보관실(2)로 컨테이너를 운반하거나 보관실(2)로부터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차량(100)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차량은 제어 장치(7)에 의해 무선으로 제어될 수 있는 무인 운반 차량(AGV)이다. 상기 차량(100)의 구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 제공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컨테이너(50)의 바닥부(55)(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음)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2를 참고한다. 바닥부(55)는 외부 수단에 의해 컨테이너(50)를 파지하거나, 유지하거나, 들어올리거나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베이스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다양한 기준으로 정의되는데, 그 중의 하나가 "시리즈 1 화물 컨테이너 - 명세 및 검사 파트 1(Series 1 freight Containers - Specification and testing, part 1 "이라는 ISO 1496이다. ISO 1496 기준은 베이스부를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모든 컨테이너는 자신의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에 의해서만 지지될 수 있어야 하고 ...
... 1D와 1DX 이외의 모든 컨테이너는 또한 자신의 베이스 구조의 하중 이전 구역(load transfer area)에 의해서만 지지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컨테이너는 운반 차량의 세로 부재(longitudinal member)로의 수직 하중 이전 또는 운반 차량의 세로 부재로부터의 수직 하중 이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충분한 강도의 충분한 중간 하중 이전 구역(또는 편평한 밑면)과 단부 횡단 부재(end transverse member)를 가져야 한다. 상기 세로 부재는 그림 Bl에서 점선으로 한정된 2개의 250mm의 폭을 가진 부재 내에 놓이는 것으로 간주된다".
상기 정의에 따르면, 베이스부는 2가지 종류의 부분: 즉,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51)와 하중 이전 구역(52)과 관련될 수 있다. 특히,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51)는 모든 유형의 컨테이너를 지탱할 수 있고, 하중 이전 구역(52)은 1D 유형과 1DX 유형 이외의 모든 유형의 컨테이너를 지탱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컨테이너(50)는 1D 유형 및 1DX 유형과 관련되어 있지 않고, 따라서, 컨테이너(50)는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51)와 하중 이전 구역(52)의 양자에 의해 지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51)는 바닥부(55)의 모서리에 배치되어 있으며 컨테이너(50)를 보관하는 동안 컨테이너(50)가 보관실(2)의 기둥(4)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중 이전 구역(52)은 바닥부(55)를 따라서 배치되어 있으며 컨테이너(50)를 운반하는 동안 컨테이너(50)가 차량(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차량(100)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는 도 3a 내지 도 3e, 도 4a 내지 도 4d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h를 참고한다.
상기 차량(100)은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로 인해 한편으로는 차량을 보관 시스템(1) 내에서 기둥(4)과 기둥(4) 사이로 조종할 수 있고,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필요할 때 컨테이너를 지탱할 수 있다.
보관 시스템(1) 내에서의 상기 차량(100)의 조종성은 보관실(2)을 형성하는 기둥(4)들 사이의 거리뿐만 아니라 현 시점에서의 상기 차량(100)의 크기의 함수이다. 기둥(4)과 기둥(4)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차량(100)은 축소된 크기를 가져야 한다.
보관실(2)로 컨테이너(50)를 운반하거나 보관실(2)로부터 컨테이너(50)를 운반하기 위해서, 상기 차량(100)은 하중 이전 구역(52)에서 컨테이너를 지지할 수 있도록 증가된 크기를 가져야 하고, 또한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51)를 기둥(4)에 놓일 수 있게 하여야 한다.
상기 차량(100)은 본체(102), 추진 장치(도시되어 있지 않음), 상기 추진 장치와 기계적으로 결합된 전방향 휠(omnidirectional wheel)(104), 그리고 상기 추진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컴퓨터(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포함하는 무인 운반 차량(AGV)이다. 전방향 휠(104)은 상기 차량(100)이 제1 축, 즉 Y 축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되어 있음)뿐만 아니라, Y 축과 수직인 제2 축, 즉 X 축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4개의 피스톤의 형태로 된 1차 승강 기구(106)가 본체(102)에 장착되어 있으며 도 3a에 도시된 하강 위치와 도 3b에 도시된 상승 위치 사이에서 지지부(108)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차 승강 기구(106)는 컨테이너가 기둥(4)보다 위에 배치되어 있는 상승 위치에서 컨테이너(50)를 보관실(2)에 집어 넣거나 컨테이너(50)를 보관실(2)에서 꺼낼 수 있도록 작동한다.
상기 지지부(108)는 컨테이너(50)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차량의 제1 외형(110)(도 3c에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음)과 관련된 집어넣은 상태와,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차량의 제2 외형(112)(도 3d에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음)과 관련된 펼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8)는 지지부(108)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후퇴/돌출식 요소(retractable element)(120)를 포함하고 있어서, 이 후퇴/돌출식 요소가 지지부(108)의 집어넣은 상태로 후퇴되고, 지지부(108)의 펼친 상태로 돌출된다.
상기 지지부(108)의 펼친 상태에서는, 돌출 구역(114)이 제1 외형(110)에 대해서 제2 외형(112)으로 돌출하고 컨테이너(5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돌출 구역(114)은 후퇴하는 동안 대응하는 후퇴/돌출식 요소(120)와 연관된다.
각각의 후퇴/돌출식 요소(120)는 상기 지지부(108) 내에 형성된 각각의 오목부(124) 속으로 후퇴될 수 있다. 도 3c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지지부(108)의 집어넣은 상태에서는, 후퇴/돌출식 요소(120)가 오목부(124) 내에 완전히 수용되어 있다. 게다가, 도 3d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후퇴/돌출식 요소(120)가 차량의 제1 외형의 외측으로 주로 돌출되어, 각각의 돌출 구역(114)을 형성하면서 오목부(124) 내에 부분적으로만 수용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108)가 하강 위치와 집어넣은 상태에 있다. 이러한 위치와 상태에서, 차량(100)이 가장 작은 형태가 되고, 컨테이너(50)를 싣지 않은 채로 보관실(2)(컨테이너가 보관되어 있는 보관실을 포함한다)의 기둥(4)들 사이를 통과하면서 보관 구조(5)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 3a 및 도 3c의 차량(100)은 제1 외형(110)을 가지고 있다. 제1 외형(110)은 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최외측 지점들 사이의 거리가 Y축 방향으로 최대 크기인 D2인 것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제1 외형(110)은 또한 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최외측 지점들 사이의 거리가 X축 방향으로 최대 크기인 D2'인 것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108)가 상승 위치와 펼친 상태에 있다. 이러한 위치와 상태에서는, 컨테이너(50)를 지탱하기 위해 상기 차량(100)의 크기가 증가한다.
도 3b 및 도 3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 3b 및 도 3d의 차량(100)은 제2 외형(112)을 가지고 있다. 제2 외형(112)은 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최외측 지점들 사이의 거리가 Y축 방향으로 최대 크기인 D1인 것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제2 외형(112)은 또한 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최외측 지점들 사이의 거리가 X축 방향으로 최대 크기인 D1'인 것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상기 크기 Dl과 Dl'은 운반하는 동안 컨테이너(50)를 바르게 지지하기 위한 컨테이너(50)의 베이스부, 다시 말해서, 하중 이전 구역(52)의 위치와, 하중 이전 구역(52)들 사이의 거리에 의해서 결정된다. 도시된 예에서, 지지부(108)는 4개의 모서리(116)와 이들 사이의 변(118)에 의해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을 하고 있고, 돌출 구역(114)은 상기 변(118)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후퇴된 형태의 후퇴/돌출식 요소(120)는 하중 이전 구역(52)에 의해 컨테이너(50)를 지지하며,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51)에 의해서는 컨테이너(50)를 지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차량(100)은 1D와 1DX 이외의 유형과 관련된 컨테이너를 지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후퇴/돌출식 요소(120)는, 도 3b 및 도 3e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안내-고정 러그(126)의 형태로 된 안내-고정 장치(guiding-securing arrangement)를 포함하고 있다. 안내-고정 러그(126)는 도 3a에 도시된 접힌 비작동 자세와, 도 3b에 도시된 펼쳐진 작동 자세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펼쳐진 작동 자세의 안내-고정 러그(126)의 확대도가 도 3e에 도시되어 있다.
안내-고정 러그(126)가 펼쳐진 작동 자세로 배치되어 있을 때, 각각의 안내-고정 러그(126)는 각각의 후퇴/돌출식 요소(120)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자세에서는, 안내-고정 러그(126)가 차량(100)에 컨테이너(50)를 적재하는 동안 컨테이너(50)를 지지부(108)에 대해 올바르게 배치시키기 위해서 컨테이너(50)를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안내의 효과는 안내-고정 러그(126)의 돌출부에 의해 얻어진다. 컨테이너(50)를 지지부(108)에 적재하는 동안, 적재를 담당하는 오퍼레이터는 컨테이너(50)를, 후퇴/돌출식 요소(120)에 대해 먼 쪽에 있는, 안내-고정 러그(126)의 원위 단부(128)들 사이에 배치시킨 다음, 컨테이너(50)를 안내-고정 러그(126)를 따라서 아래쪽으로 상기 지지부(108) 상의 적절한 위치로 슬라이딩이동시킬 수 있다. 후퇴/돌출식 요소(120)상의 안내-고정 러그(126)의 근위 단부(129)의 위치는 컨테이너(50)를 상기 지지부(108)에 올바르게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추가적으로, 안내-고정 러그(126)는 지지부(108)에 대해 컨테이너(50)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 요소를 구성한다. 이 고정 효과는 컨테이너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 요소로서 작용하는 안내-고정 러그(126)의 돌출부에 의해 얻어진다. 도 3b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안내-고정 러그(126)는 컨테이너를 둘러싸서 컨테이너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장치는, 상기 지지부(108)의 상승 위치 및 하강 위치에서, 상기 차량(100)이 컨테이너(50)를 적재한 상태로 운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안내-고정 장치 러그(126)의 접힌 비작동 자세는 상기 지지부의 간소한 형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제공되고,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상기 지지부(108)의 집어넣은 상태와 결합가능하다.
차량(100)과 보관실(2) 사이의 관계, 특히 서로에 대한 차량(100)과 보관실(2)의 크기의 접합성(compatibility)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4d를 참고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차량(100)의 크기는, 상기 지지부(108)의 집어넣은 상태와 하강 위치에서, 상기 차량(100)이 X축 및 Y축을 따라서 보관실(2)의 기둥(4)들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상기 차량(100)의 제1 외형에서 제2 외형으로의 X축 방향의 크기의 증가가 상기 차량이 X축을 따라서 기둥(4)들 사이를 통과하는 능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나타내고 있다.
Y축 방향으로의 기둥(4)들 사이의 거리는 D2보다 크고 Dl보다 작으므로, 상기 차량(100)이 제1 외형(110)(지지부(108)의 집어넣은 상태 및 거리 D2와 관련되어 있음) 상태에서는 X축을 따라서 상기 기둥(4)들 사이를 통과할 수 있고, 한편으로, 상기 차량(100)이 제2 외형(112)(지지부(108)의 펼친 상태 및 거리 Dl과 관련되어 있음) 상태로 있을 때에는 상기 차량(100)이 상기 기둥(4)들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기둥(4)은 하부 부분(41)을 가지고 있는데, 이 하부 부분(41)은 제1 축, 다시 말해서 도면상에서 Y축 방향으로 하부 부분(41)들 사이의 최소 길이 치수 Rl을 가지며, 다음 조건: D2<R1<D1이 만족되는 것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최소 길이 치수 Rl은 상기 지지부(108)의 하강 위치에서의 상기 차량(100)의 크기와 관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조건은 상기 지지부(108)가 하강 위치와 집어넣은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차량(100)이 X축을 따라서 이동할 때 기둥(4)들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한다. 상기 지지부(108)가 하강 위치와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차량(100)이 X축을 따라서 이동할 때 기둥(4)들 사이를 통과할 수 없다는 것을 도 4b로부터 쉽게 알 수 있다.
상기 기둥(4)은 또한 상부 부분(42)을 가지고 있는데, 이 상부 부분(42)은 Y축 방향으로 상부 부분(42)들 사이의 최소 길이 치수 R2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최소 길이 치수 R2는 기둥(4)의 베어링부(43)(도 5e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음)들 사이의 거리와 관련되어 있다. 베어링부(43)는 기둥(4)의 상부 부분(42)에 배치된 수평방향의 편평한 표면이며, 컨테이너(50)가 보관실(2)에 보관되어 있는 동안 컨테이너(5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컨테이너(50)를 보관실(2) 내에서 올바르게 지지하기 위해서, 베어링부(43)의 위치 및 크기는 컨테이너(50)의 베이스부의 위치 및 크기에 의해서 좌우된다.
기둥(4)은 기다란 곧은 형상에 의해 특징지워지므로, 다음 조건: R1=R2가 충족된다. 추가적으로, 보관실(2)의 외곽 크기는 컨테이너(50)의 외곽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4c 및 도 4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 부분(41)은 하부 부분들 사이의 X축 방향의 최소 길이 치수 Rl'에 의해 특징지워지고, 상부 부분(42)은 상부 부분들 사이의 X축 방향의 최소 길이 치수 R2'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파라미터 Dl', D2', Rl' 및 R2' 사이의 관계는 파라미터 Dl, D2, Rl 및 R2 사이의 관계와 각각 유사하다.
도 4a 내지 도 4d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차량(100), 컨테이너(50) 및 기둥(4)의 크기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컨테이너(50)들이 서로 근접하여 배치되는 보관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게 해준다. 이로 인해 보관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주어진 보관 공간을 활용하는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컨테이너(50)를 보관실(2)에 집어넣는 방법의 여러 단계를 나타내는 5a 내지 도 5h를 참고한다.
도 5a에는, 지지부(108)가 상승 위치에 있고 집어넣어진 상태에서 차량(100)이 도시되어 있다. 컨테이너(50)를 올바르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지지부(108)가, 도 5b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펼쳐진 상태로 변화된다. 안내-고정 러그(26)가 자신의 펼쳐진 작동 자세로 변화된 것도 도 5b에서 볼 수 있다.
도 5c 및 도 5d는 컨테이너(50)의 베이스부를 후퇴/돌출식 요소(120)에, 특히, 돌출 구역(114)에 배치시킴으로써 컨테이너(50)를 지지부(108)에 적재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컨테이너(50)를 지지부(108)상의 올바른 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은 안내-고정 러그(126)의 안내에 의해 용이하게 된다. 컨테이너(50)를 지지부(108)에 적재한 후, 컨테이너(50)는 컨테이너(50)의 상기 지지부(108)에 대한 의도하지 않은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 장치 역할을 하는 안내-고정 러그(126)에 의해 지지부에 단단히 유지된다. 컨테이너(50)가 안내-고정 러그(126)에 의해 지지부(108)에 고정된 상태에서, 차량(100)이 컨테이너(50)를 보관실(2)로 운반할 수 있다.
지지부(108)의 하강 위치와 상승 위치의 양 위치에서 컨테이너(50)의 운반이 실행될 수 있지만, 보관실(2)로 진입하는 것은, 도 5e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지지부(108)가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만 가능하다. 상승 위치에서는, 돌출 구역(114)이 기둥(4)의 상부 부분(42)에 배치된 베어링부(43)보다 더 높이 올려져 있다. 보관실(2)로 진입하는 동안, 돌출 구역(114)은, 컨테이너(50)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로, 기둥(4)의 베어링부(43) 위를 지나간다.
차량의 제1 외형(11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돌출 구역(114)을 제외하고는, 상기 차량(100)의 다른 부분은 제1 외형(11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다, 다시 말해서 최외측 지점들이 거리 D2와 D2'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그 결과, 차량(100)이 Y축 방향으로 거리 Rl과 X축 방향으로 거리 Rl'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기둥(4)의 하부 부분(41)들 사이로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차량(100)은 베어링부(43)가 컨테이너(50)의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51)의 아래에 배치되고, 컨테이너가 기둥(4)에 의해서 지지될 보관실(2)내의 한 위치를 차지한다.
다음 단계는 1차 승강 기구(106)에 의해 지지부(108)를 하강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것에 의해, 도 5f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컨테이너의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51)를 기둥의 베어링부(43)에 배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제, 컨테이너(50)가 기둥(4)의 베어링부(43)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차량(100)이 컨테이너(50) 없이 보관실(2)을 떠날 수 있다. 보관실(2)을 떠나기 전에, 상기 지지부(108)가 집어넣어진 상태로 변화되고, 이것에 의해 차량의 외형이 제1 외형(110)으로 축소되고, 상기 지지부(108)가 하강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차량(100)의 기둥(4)들 사이로의 통과가 가능하게 된다(도 5g). 보관실(2)로 진입하는 것과 유사하게, 차량(100)은 모두 4개의 방향으로부터, 다시 말해서, X축 및 Y축을 따라서 보관실(2)을 떠날 수도 있다.
도 5h는 차량(100)이 보관실(2)을 떠난 후 컨테이너(50)가 보관되어 있는 상태의 보관실(2)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방법은 컨테이너(50)를 보관실(2)에서 꺼내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들은 컨테이너(50)를 보관실(2)에 집어넣는 상기 단계들에 대한 역순서 단계들이다. 이 역순서 단계는: 컨테이너(50)가 보관실에 보관되어 있고 지지부(108)가 하강 위치와 집어넣어진 상태에 있는 동안 차량(100)을 보관실(2)로 운반하는 단계(도 5g); 상기 지지부(108)를 펼쳐진 상태로 변화시키는 단계(도 5f); 1차 승강 기구(106)에 의해 상기 지지부(108)를 상승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것에 의해 컨테이너(50)를 상기 지지부(108)의 돌출 구역(114)에 배치시키는 단계(도 5e); 그리고 컨테이너(50)를 적재한 상태로 차량(100)을 보관실(2)로부터 운반하는 단계(도 5d)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차량의 다른 예는 도 6a 내지 도 6e, 도 7a 내지 도 7d, 도 8a 내지 도 8d 그리고 도 9a 내지 도 9h에 도시된 차량(200)이다.
상기 차량(200)은 본체(202), 추진 장치(도시되어 있지 않음), 상기 추진 장치와 기계적으로 결합된 전방향 휠(204), 그리고 상기 추진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컴퓨터(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포함하는 무인 운반 차량(AGV)이다. 전방향 휠(204)은 상기 차량(200)이 제1 축, 즉 Y 축 (도 6c 및 도 6d에 도시되어 있음)뿐만 아니라, Y 축과 수직인 제2 축, 즉 X 축을 따라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4개의 피스톤의 형태로 된 1차 승강 기구(206)가 본체(202)에 장착되어 있으며 도 6a에 도시된 하강 위치와 도 6b에 도시된 상승 위치 사이에서 지지부(208)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차 승강 기구(206)는 컨테이너가 기둥(4)보다 위에 배치되어 있는 상승 위치에서 컨테이너(60)를 보관실(2)에 집어 넣거나 컨테이너(60)를 보관실(2)에서 꺼낼 수 있도록 작동한다.
상기 지지부(208)는 컨테이너(60)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차량(200)의 제1 외형(210)(도 6c에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음)과 관련된 집어넣은 상태와,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차량(200)의 제2 외형(212)(도 6d에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음)과 관련된 펼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208)가 하강 위치와 집어넣은 상태에 있다. 이러한 위치와 상태에서, 차량(200)이 가장 작은 형태가 되고, 컨테이너(60)를 싣지 않은 채로 보관실(2)(컨테이너가 보관되어 있는 보관실을 포함한다)의 기둥(4)들 사이를 통과하면서 보관 구조(5)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지지부(208)를 집어넣은 상태에서는, 상기 차량(200)이 제1 외형(210)(도 6c에서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음)에 의해 특징지워지고, 제1 축, 다시 말해서 도면상의 Y축을 따라서 최대 크기인 거리 E2로 서로 이격된 최외측 지점을 가지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차량(200)은 또한 제2 축, 다시 말해서 도면상의 X축을 따라서 최대 크기인 거리 E2'로 서로 이격된 최외측 지점을 가지고 있다.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08)는 상승 위치와 펼쳐진 상태에 있다. 도 6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208)의 펼친 상태에서는, 돌출 구역(214)이 제1 외형(210)에 대해서 제2 외형(212)으로 돌출하고 컨테이너(6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돌출 구역(214)은 Y축 방향으로 제2 외형(212)의 최대 크기인 도 6d에 표시된 거리 El으로 서로 이격된 최외측 지점들을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돌출 구역(214)은 X축 방향으로 제2 외형(212)의 최대 크기인 도 6d에 표시된 거리 El'으로 서로 이격된 최외측 지점들을 가지고 있다. 컨테이너(60)를 운반하는 동안 컨테이너(60)를 바르게 지지하기 위해서 거리 El과 거리 El'의 크기는 컨테이너(60)의 베이스부의 위치에 의해서 결정된다. 상기 지지부(208)는 4개의 모서리(216)에 의해 한정된 직사각형 형상을 하고 있고, 돌출 구역(214)은 상기 모서리(216)에 배치되어 있다. 이 돌출 구역(214)은, 컨테이너(50)의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51)와 유사한, 도 6e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61)에 의해 컨테이너(60)를 지탱하는데 적합하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차량(200)의 돌출 구역(214)은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61)에 의해 컨테이너(60)를 지지하고, 하중 이전 구역에 의해서는 컨테이너(60)를 지지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차량(200)은 1D 및 1DX 유형의 컨테이너를 포함하여 모든 유형의 컨테이너를 지탱하는데 적합하다.
각각의 돌출 구역(214)은 대응하는 후퇴/돌출식 요소(220)와 관련되어 있다. 후퇴/돌출식 요소(220)는 지지부(208)의 집어넣은 상태로 후퇴되고, 지지부(208)의 펼친 상태로 돌출된다. 각각의 후퇴/돌출식 요소(220)는 지지부(208)의 각각의 오목부(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 속으로 후퇴될 수 있다.
후퇴/돌출식 요소(220)는 도 6d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고정 러그(260)의 형태로 된 고정 장치를 포함한다.
각각의 고정 러그(260)는 각각의 후퇴/돌출식 요소(220)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고정 러그(260)는 컨테이너(60)의 상기 지지부(208)에 대한 의도하지 않은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 요소를 구성한다. 이 고정 효과는 고정 러그(260)의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61)의 대응하는 오목부(63)(도 6e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음)속으로의 삽입에 의해 얻어지고, 이로 인해 컨테이너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장치는, 지지부(208)의 상승 위치 및 하강 위치에서, 차량(200)이 컨테이너(60)를 적재한 상태로 운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차량(200)은 컨테이너(60)를 보관하는 보관실(2)과 함께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200)의 크기는 상기 차량(200)이 지지부(208)를 집어넣은 상태와 하강 위치로 둔 상태에서 X축 및 Y축을 따라서 보관실(2)의 기둥(4)들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a 및 도 7b는 Y축 방향으로의 지지부(208)의 크기의 변화로 인한, X축 방향으로 기둥(4)들 사이로의 차량(200)의 조종성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도 7b에서는, 지지부(208)가 하강 위치와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돌출 구역(214)이 기둥(4)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서, 이들이 서로 충돌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차량(200)이 보관실(2)로 들어갈 수 없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기둥(4)이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Y축 방향으로의 기둥(4)들 사이의 거리는 E2보다 크고 El보다 작다. 이로 인해, 한편으로는, 제1 외형(210)을 가진 차량(200)은 Y축을 따라서 이동할 때 지지부(208)를 집어넣은 상태로 기둥(4)들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차량(200)이 지지부(208)를 펼친 상태의 제2 외형(212)으로는 기둥(4)들 사이를 통과할 수 없다.
기둥(4)은 하부 부분(41)을 가지고 있는데, 이 하부 부분(41)은 Y축 방향으로 하부 부분(41)들 사이의 최소 길이 치수 Rl을 가지며, 다음 조건: E2<R1<E1이 만족되는 것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Y축 방향으로 기둥(4)의 하부 부분(41)들 사이의 최소 길이 치수 Rl은 상기 지지부(208)의 하강 위치에서의 상기 차량(200)의 크기와 관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조건은 상기 지지부(208)가 하강 위치와 집어넣은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차량(200)이 기둥(4)들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조건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208)가 하강 위치와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차량(200)이 기둥(4)들 사이를 통과할 수 없다.
상기 기둥(4)은 상부 부분(42)을 가지고 있는데, 이 상부 부분(42)은 Y축 방향으로 상부 부분(42)들 사이의 최소 길이 치수 R2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최소 길이 치수 R2는, 도 5e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기둥(4)의 베어링부(43)들 사이의 거리와 관련되어 있다. 베어링부(43)는 기둥(4)의 상부 부분(42)에 배치된 수평방향의 편평한 표면이며, 컨테이너가 보관실(2)에 보관되어 있는 동안 컨테이너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둥(4)의 베어링부(43)의 위치는, 컨테이너가 보관실(2) 내에 보관되어 있는 동안, 컨테이너의 베이스부에 의해서 좌우된다.
상기 기둥(4)은 기다란 곧은 형상이므로, 다음 조건: R1=R2가 충족된다. 기다란 곧은 기둥의 예에 따르면, 보관실(2)의 외곽 크기는 보관실(2)에 보관된 컨테이너(60)의 외곽 크기보다 크지 않을 수 있고, 이것은, 도 1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컨테이너(60)들이 서로 근접하여 배치되는 보관 시스템(1)을 설계할 수 있게 해준다.
도 7c 및 도 7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 부분(41)은 하부 부분들 사이의 X축 방향의 최소 길이 치수 Rl'에 의해 특징지워지고, 상부 부분(42)은 상부 부분들 사이의 X축 방향의 최소 길이 치수 R2'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파라미터 El', E2', Rl' 및 R2' 사이의 관계는 파라미터 El, E2, Rl 및 R2 사이의 관계와 각각 유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관실의 다른 예는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보관실(3)이다. 상기 보관실(3)은 r-자 형상인 기둥(8)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둥(8)은 하부 부분(81)을 가지고 있는데, 이 하부 부분(81)은 제1 축, 다시 말해서 도면상의 Y축 방향으로 하부 부분(81)들 사이의 최소 길이 치수 Rl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상기 기둥(8)은 또한 상부 부분(82)을 가지고 있는데, 이 상부 부분(82)은 Y축 방향으로 상부 부분(82)들 사이의 최소 길이 치수 R2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이 최소 길이 치수 R2는 도 8b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기둥(8)의 베어링부(83)들 사이의 거리와 관련된다. 베어링부(83)는 기둥(8)의 상부 부분(82)에 배치된 수평방향의 편평한 표면이며, 컨테이너가 보관실(3)에 보관되어 있는 동안 컨테이너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둥(8)의 베어링부(83)의 위치는, 컨테이너가 보관실(3) 내에 보관되어 있는 동안, 컨테이너의 베이스부에 맞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기둥의 상부 부분(82)은 하부 부분(81)에 대해서 보관실(3)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다음 조건: 즉, R1>R2이 만족된다.
추가적으로, 다음 조건: 즉, E2<R2<E1이 만족되므로, 지지부(208)가 집어넣어진 상태에서는, 지지부(208)의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 특정 예에 따르면, 지지부(208)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지지부(208)가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보관실(3)은 차량(100) 및 차량(200)에 대해서 보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보관실(2)은 훨씬 콤팩트한 보관 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차이가 있다.
상기 차량(200)은 또한 대체로 부재번호 230으로 표시된 보조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보조 장치(230)는 컨테이너(60)를 기둥(4)에 배치시키는 동안 컨테이너(60)의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61)를 풀어주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작업은 지지부(208)가 펼친 상태와 집어넣은 상태로 변화할 수 있도록, 짧은 시간 동안, 지지부(208) 대신에 컨테이너(60)를 유지하는 것에 의해서 행해지고, 그 후에 보관실(2) 내의 컨테이너를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61)에 배치시킬 수 있다.
지지부(208)에 의해 컨테이너(60)를 지지하고 그리고 보관실(2)의 베어링부(43)에 의해 컨테이너(60)를 지지하기 위해서 동일한 베이스부(예를 들면,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61))가 사용될 때 보조 장치(230)는 필수적이다 .
이 경우에 있어서, 작동하는 동안,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61)의 하부 부분을 풀어준 다음 이를 보관실(2)의 베어링부(43)에 배치시키기 위해서, 보조 장치(230)는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61)에 배치되어 있는, 도 6e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대체 베이스부(62)로부터 컨테이너(60)를 움켜잡는다.
보조 장치(230)는 파지 요소(232)와 4개의 피스톤의 형태로 된 2차 승강 기구(234)를 포함하고 있다. 파지 요소(232)는 대체 베이스부(62)로부터 컨테이너를 움켜잡기 위해서 도 6b에 도시된 파지 상태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컨테이너(60)를 지지하는데 있어서 지지부(208)를 대체함으로써, 컨테이너(60)에 대한 지지부(208)의 이동이 2차 승강 기구(234)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지지부(208)가 컨테이너(60)와 접촉을 유지하는 것을 중단하면, 지지부는 집어넣은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파지 요소(232)는 또한 위에서 보았을 때 차량의 제1 외형(210)과 관련된 도 6a 및 도 6c에 도시된 접힌 상태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 장치(230)는 지지부(208)의 아래이고 1차 승강 기구(206)와 제2 승강 기구(234)의 사이에 배치된 중간 부분(236)을 더 포함하고 있다. 파지 요소(232)는 중간 부분(236)에 장착되어 있다.
도 9a 내지 도 9h를 참고하면, 보관 장치(80)에 부합하는 방법에 따라 컨테이너(60)를 보관실(2)에 집어넣는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9a에는, 지지부(208)가 상승 위치와 펼쳐진 상태에 있고, 파지 요소(232)가 접힌 상태로 있는 차량(20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차량(200)이 컨테이너(60)를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다.
도 9b는 베이스부, 다시 말해서, 컨테이너(60)의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61)를 상기 지지부(208)의 돌출 구역(214)에 배치시킴으로써 컨테이너(60)를 지지부(208)에 적재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컨테이너(60)를 상기 지지부(208)에 적재한 후, 컨테이너(60)는 고정 장치인 고정 러그(260)에 의해 지지부(208)에 단단히 고정되어, 상기 지지부(208)에 대한 컨테이너(60)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을 방지한다. 컨테이너(60)가 고정 러그(260)에 의해 상기 지지부(208)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200)은 컨테이너를 보관실로 운반할 수 있다.
차량(200)이 지지부(208)의 하강 위치 및 상승 위치에서 컨테이너(60)를 운반할 수 있지만, 도 9c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보관실(2)로의 진입은 지지부(208)가 상승 위치에 있을 때에만 가능하다, 이 위치에서는, 후퇴/돌출식 요소(220)가 베어링부(43)보다 더 높게 상승되어 있고, 컨테이너(60)를 적재한 채로 상기 차량(200)의 진입이 가능하게 된다.
서로 거리 El과 거리 El'으로 이격된 최외측 지점들을 가지고 있는 돌출 구역(214)을 제외하고, 상기 차량(200)의 다른 부분은 상기 차량의 제1 외형(210)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그 최외측 지점들이 거리 E2와 E2'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그 결과, 상기 차량(200)이 거리 Rl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기둥의 하부 부분들 사이로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상기 차량(200)이 X축 및 Y축 방향으로 운반하는 능력을 가지며, 또한 그 크기로 인해서, 상기 차량(200)은 모두 4개의 방향에서, 다시 말해서, X축과 Y축을 따라서 보관실(2)로 들어갈 수 있다.
도 9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200)은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61)로부터 컨테이너(60)를 지지하므로, 지지부(208)가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에는 동일한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61)를 배치시키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컨테이너를 지지부(208)의 돌출 구역(214)으로부터 기둥(4)의 베어링부(43)로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61)를 노출시켜서 이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61)를 베어링부(43)에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부(208)는 집어넣은 상태로 변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도 9d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파지 요소(232)가 파지 상태로 변화되고, 컨테이너(60)를 지지하는데 있어서 지지부(208)의 후퇴/돌출식 요소(220)를 대체한다. 이 파지 요소(232)는 대체 베이스부(62)로부터 컨테이너(60)를 지지한다.
따라서, 파지 요소(232)를 통하여 중간 부분(236)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컨테이너(60)에 대한 2차 승강 기구(234)에 의한 상기 지지부(208)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9e는 지지부(208)가 컨테이너(60)에 대하여 어떻게 하강되는지를 나타내고 있다. 이제, 상기 지지부(208)가 집어넣어진 상태로 변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208)가 집어넣어진 상태에서는, 도 9f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61)가 베어링부(43)에 대해 노출되고,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61)가 베어링부(43)에 배치될 준비가 된다.
다음 단계는, 도 9g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1차 승강 기구(206)에 의해 지지부(208)를 하강 위치로 이동시켜서, 컨테이너(60)를 기둥(4)의 베어링부(43)에 배치시키는 것이다.
일단 컨테이너(60)가 기둥(4)의 베어링부(43)에 의해 지지되면, 파지 요소(232)가 접힌 상태로 변화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차량(200)이 가장 콤팩트한 상태로 되고, 보관실(2)로부터 빠져나올 준비가 된다.
도 9h는 차량(200)이 콤팩트한 상태에 있으며, 원하는 방향으로, 다시 말해서 X 축 또는 Y 축을 따라서 보관실(2)을 빠져나올 준비가 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방법은 컨테이너(60)를 보관실(2)로부터 꺼집어내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단계들은 컨테이너(60)를 보관실(2)속으로 집어넣는 단계들과 역순서의 단계이고, 역순으로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다른 예는 도 10a 내지 도 15에 도시된 차량(300)이다.
상기 차량(300)은 본체(302)와, 본체(302)에 장착된 추진 장치(304)를 포함하고 있다. 추진 장치(304)는 상기 차량(300)이 상기 차량의 제1 축, 즉 Y 축과, 상기 차량의 제2 축, 즉 X 축을 따라서 운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방향 휠을 가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Y 축과 X 축은 서로 직교한다.
상기 차량(300)은 4개의 피스톤의 형태로 된 도 10b에 도시된 1차 승강 기구(306)를 통하여 본체(302)에 대해 승강가능한 지지부(308)를 가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1차 승강 기구(306)는 지지부(308)를 도 10b에 도시된 상승 위치와 도 10a에 도시된 하강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308)는 지지 구역(320)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지지 구역(320)은 자신의 베이스부에 컨테이너(7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지지부(308)의 지지 구역(320)은 컨테이너(70)를 하중 이전 구역(72)(이것은 컨테이너(50)의 하중 이전 구역(52)과 유사하다)으로부터 지지하고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71)(이것은 컨테이너(50)의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51)와 유사하다)로부터 지지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차량(300)은 1D 유형과 1DX 유형 이외의 컨테이너를 지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308)는 자신의 모서리에, 도 10c에 도시된, 노출된 부분(311)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컨테이너가 수용될 때, 컨테이너의 추가적인 베이스부는, 아래에서 보았을 때, 노출된다. 컨테이너의 추가적인 베이스부는 아래에서 보았을 때 노출되는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71)이고(도 12),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상기 지지부(308)가 상승 위치에서 하강 위치로 이동될 때 보관실의 각각의 베어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8)는, 도 11에 확대도로 도시된, 안내-고정 돌출부(326)의 형태로 된 안내-고정 장치를 가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안내-고정 돌출부(326)는 상기 지지부(308)와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적어도 상기 차량(300)에 의해 컨테이너(70)를 운반하는 동안 컨테이너(70)가 지지부(308)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컨테이너(70)를 지지부(308)에 대해 올바르게 배치하고, 컨테이너(70)를 지지부(308)에 고정시키도록, 컨테이너(70)를 상기 차량(300)에 적재하는 동안 컨테이너(70)를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컨테이너의 안내는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된 안내-고정 돌출부(326)의 형상에 의해 얻어진다. 각각의 안내-고정 돌출부(326)는, 컨테이너(70)를 차량(300)에 적재하는 동안 컨테이너(70)를 지지부(308)에 대해서 올바르게 배치시키기 위해서 컨테이너(70)를 안내하도록, 다시 말해서 컨테이너의 하중 이전 구역(72)을 지지부(308)의 지지 구역(320)에 배치시키기 위해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사면(336)을 가지고 있다. 컨테이너(70)를 지지부(308)에 적재하는 동안, 적재를 담당하는 오퍼레이터는 컨테이너를 경사면(336)의 원위 단부(338)들 사이에 배치시킨 다음, 컨테이너를 안내-고정 돌출부(326)의 경사면(336)을 따라서 지지부(308) 상의 제위치로 아래로 슬라이딩이동시킬 수 있다. 경사면(336)의 근위 단부(339)의 위치는 컨테이너(70)를 상기 지지부(308)에 올바르게 배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추가적으로, 안내-고정 돌출부(326)는 상기 지지부(308)에 대한 컨테이너(70)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 요소를 구성한다. 고정 효과는 컨테이너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 요소로서 작용하는 안내-고정 돌출부(326)의 돌출부에 의해서 얻어진다.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각각의 안내-고정 돌출부(326)는 컨테이너(70)가 지지부(308)에 배치되었을 때 컨테이너(7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가장자리부(340)를 가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장치는, 지지부(308)의 상승 위치 및 하강 위치에서, 컨테이너(70)를 적재한 상태로 상기 차량(300)이 운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차량(300)은, 컨테이너(70)를 보관실에 보관하기 위해서, 보관실(9)과 함께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차량(300)은 제1 축, 다시 말해서 Y 축 방향으로 제1 최대 길이 치수(L1)를 가지고 있다. 기둥(11)은 하부 부분(12)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하부 부분(12)은 하부 부분(12)들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제1 축 방향의 최소 길이 치수(Rl)에 의해 특징지워지며 다음 조건: 즉, R1>L1이 충족되므로, 적어도 상기 컨테이너가 적재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상기 지지부의 하강 위치에서, 상기 차량의 제2 축, 다시 말해서 X 축 방향으로의 보관실로의 운송과 보관실로부터의 운송이 허용된다(도 13a 및 도 13c).
기둥(11)은 상부 부분(13)을 더 포함하고 있는데, 이 상부 부분(13)은 상부 부분(13)들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제2 축 방향의 최소 길이 치수(R2)에 의해 특징지워지며, 상부 부분(13)은 하부 부분(12)에 대해서 보관실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다음 조건: 즉, R1>R2이 충족된다. 상부 부분은 컨테이너(70)를 바닥부 모서리 부속기구(71)로부터 지지하도록 구성된 베어링부(1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는 제2 축, 다시 말해서 X 축 방향으로 제1 최대 길이 치수 (L1')를 가지고 있고, 기둥(11)의 하부 부분(12)은 하부 부분(12)들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제2 축 방향의 최소 길이 치수(Rl')에 의해 특징지워지며 다음 조건: 즉 R1'>L1'이 충족되므로, 컨테이너(70)가 적재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상기 지지부(308)의 하강 위치에서, 상기 차량(300)의 Y 축 방향으로의 보관실로의 운송과 보관실로부터의 운송이 허용된다(도 13b 및 도 13d).
도 13a 및 도 13b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지지부(308)가 기둥(11)의 베어링부(14)보다 더 높게 상승되는 방식으로, 보관실의 상승 위치에서 차량은 X 축 과 Y 축의 양 축을 따라서 보관실(9)로 컨테이너(70)를 운송하거나 보관실(9)로부터 컨테이너(70)를 운송할 수 있다.
차량(300)이 보관실(9) 내부에 있고, 지지부(308)가 상승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지지부(308)의 노출된 부분(311)은 기둥(11) 보다 위에, 보다 상세하게는 베어링부(14) 보다 위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1차 승강 기구(306)에 의한 지지부(308)의 하강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일단 차량(300)이 보관실(9) 내부에 배치되면, 상기 지지부(308)는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상승 위치에서 도 13c 및 도 13d에 도시된 하강 위치로 이동되고, 이것에 의해 컨테이너(70)의 하중을 상기 지지부(308)로부터 보관실(9)의 베어링부(14)로 전달할 수 있다.
Claims (38)
-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차량으로서,
상기 차량은 상기 컨테이너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1차 승강 기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승강 기구는 상기 지지부를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는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차량의 제1 외형과 관련되어 있으며 적어도 상기 지지부의 하강 위치와 결합할 수 있는 집어넣은 상태와,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차량의 제2 외형과 관련되어 있으며 적어도 상기 지지부의 상승 위치와 결합할 수 있는 펼친 상태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펼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외형에 대해 상기 제2 외형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돌출 구역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구역은 상기 차량의 제1 축을 따라서 상기 제2 외형의 최대 크기를 한정하는 거리 Dl으로 서로 이격된 최외측 지점들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외형은 상기 제1 축을 따라서 최대 크기를 한정하는, 거리 Dl보다 작은, 거리 D2로 서로 이격된 최외측 지점들을 가지고 있어서, 제1 외형 상태의 상기 차량은 상기 컨테이너를 적재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제1 축과 수직인 제2 축을 따라서, 거리 D2보다 크고 거리 Dl보다 작은 거리로 상기 제1 축을 따라서 서로 이격된 2개의 기둥 사이로 통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차량.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펼친 상태에서는, 상기 돌출 구역이 컨테이너를 각각의 베이스부에서 지지하기 위해서 적어도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차량.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구역의 각각이 상기 지지부의 집어넣은 상태에서는 후퇴되고 상기 지지부의 펼친 상태에서는 돌출되는 대응하는 후퇴/돌출식 요소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차량.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각각은 상기 지지부의 집어넣은 상태에서 상기 후퇴/돌출식 요소의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차량.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구역이 컨테이너를 상기 지지부에 고정시켜서, 적어도 상기 차량에 의해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동안 컨테이너가 상기 지지부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고정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차량.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구역의 적어도 일부분이, 컨테이너를 상기 지지부에 대해 올바르게 배치시키기 위해서 컨테이너를 상기 차량에 적재하는 동안 컨테이너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안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차량.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와 상기 안내 장치가 공통의 고정-안내 장치에 통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차량.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와 상기 안내 장치 중의 적어도 하나가 접힌 비작동 자세와 펼쳐진 작동 자세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차량.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4개의 모서리에 의해서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돌출 구역이 상기 모서리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차량.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4개의 모서리와 이들 사이의 변에 의해서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돌출 구역이 상기 변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차량.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지지부를 펼친 상태와 집어넣은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 대신에 컨테이너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차량.
- 제12항에 있어서, 제3항에 종속하는 경우, 상기 보조 장치가 하나 이상의 파지 요소와 2차 승강 기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파지 요소는 상기 베이스부가 아닌 대체 베이스부로부터 컨테이너를 파지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지지부를 펼친 상태와 집어넣은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2차 승강 기구에 의해 상기 지지부 또는 컨테이너의 서로에 대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파지 상태와, 위에서 보았을 때 차량의 제1 외형과 관련된 접힌 상태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차량.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장치가 상기 지지부의 아래에 그리고 1차 승강 기구와 2차 승강 기구의 사이에 배치된 중간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차량.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요소가 상기 중간 부분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차량.
-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차량의 상이한 부분과 각각 결합된 복수의 지지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차량.
-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1차 승강 기구가 차량의 본체에 장착가능한 추가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차량.
-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항에 종속하는 경우, 상기 돌출 구역이 상기 차량의 제2 축을 따라 제2 외형의 최대 크기를 한정하는 거리 Dl'으로 서로 이격된 최외측 지점들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외형이 제2 축을 따라 최대 크기를 한정하는, 거리 Dl'보다 작은, 거리 D2'로 서로 이격된 최외측 지점들을 가지고 있어서, 제1 외형 상태의 상기 차량은 상기 컨테이너를 적재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제2 축과 수직인 제1 축을 따라서, 거리 D2'보다 크고 거리 Dl'보다 작은 거리로 상기 제2 축을 따라서 서로 이격된 보관실의 기둥 사이로 통과할 수 있고, 제2 외형을 가질 경우,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보관실의 기둥의 베어링부에 배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차량.
-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a. 복수의 보관실을 가지고 있고, 이 복수의 보관실 각각이 상기 보관실 내에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베어링부를 가진 복수의 기둥을 포함하고 있는 보관 구조; 그리고
b.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보관실 내외로 운반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차량;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차량은 상기 컨테이너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1차 승강 기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승강 기구는 상기 지지부를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는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차량의 제1 외형과 관련되어 있으며 적어도 상기 지지부의 하강 위치와 결합할 수 있는 집어넣은 상태와,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차량의 제2 외형과 관련되어 있으며 적어도 상기 지지부의 상승 위치와 결합할 수 있는 펼친 상태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펼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외형에 대해 상기 제2 외형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돌출 구역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구역이 상기 차량의 제1 축을 따라 제2 외형의 최대 크기를 한정하는 거리 Dl으로 서로 이격된 최외측 지점들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외형이 상기 제1 축을 따라 최대 크기를 한정하는, 거리 Dl보다 작은, 거리 D2로 서로 이격된 최외측 지점들을 가지고 있어서, 제1 외형 상태의 상기 차량은 상기 컨테이너를 적재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제1 축과 수직인 제2 축을 따라서, 거리 D2보다 크고 거리 Dl보다 작은 거리로 상기 제1 축을 따라서 서로 이격된 보관실의 기둥 사이로 통과할 수 있고, 제2 외형을 가질 경우,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보관실의 기둥의 베어링부에 배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이 하부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이 하부 부분은 하부 부분들 사이의 거리와 관련된 제1 축 방향의 최소 길이 치수 Rl에 의해 특징지워지며, 다음 조건: D2<R1<D1이 충족되어서, 적어도 상기 지지부의 집어넣은 상태에서는, 상기 컨테이너를 적재하지 않은 상태의 상기 지지부의 하강 위치에서, 상기 차량의 상기 제2 축 방향으로의 상기 보관실로의 운송이 허용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기 펼친 상태에서는, 상기 운송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이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이 상부 부분은 상부 부분들 사이의 거리와 관련된 제1 축 방향의 최소 길이 치수 R2에 의해 특징지워지며, 다음 조건: D2<R2<D1이 충족되어서, 적어도 상기 지지부의 집어넣은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부의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로의 이동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D2<R2<D1이 충족되어서, 적어도 상기 지지부의 펼친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부의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로의 이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
-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이 기다란 곧은 형상을 하고 있고, 다음 조건: R1=R2이 충족되고, 상기 기둥의 베어링부가 수평방향의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
-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분이 상기 하부 부분에 대해 보관실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어, 다음 조건: R1>R2이 충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
- 제20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구역이 상기 차량의 제2 축을 따라 제2 외형의 최대 크기를 한정하는 거리 Dl'으로 서로 이격된 최외측 지점들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외형이 제2 축을 따라 최대 크기를 한정하는, 거리 Dl'보다 작은, 거리 D2'로 서로 이격된 최외측 지점들을 가지고 있어서, 제1 외형 상태의 상기 차량은 상기 컨테이너를 적재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제2 축과 수직인 제1 축을 따라서, 거리 D2'보다 크고 거리 Dl'보다 작은 거리로 상기 제2 축을 따라서 서로 이격된 보관실의 기둥 사이로 통과할 수 있고, 제2 외형을 가질 경우,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보관실의 기둥의 베어링부에 배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이 하부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이 하부 부분은 하부 부분들 사이의 거리와 관련된 제2 축 방향의 최소 길이 치수 Rl'에 의해 특징지워지며, 다음 조건: D2'<Rl'<D1' 및 R1'>D2'이 충족되어서, 적어도 상기 지지부의 집어넣은 상태에서는, 상기 컨테이너를 적재하지 않은 상태의 상기 지지부의 하강 위치에서, 상기 차량의 상기 제2 축 방향으로의 상기 보관실로의 운송이 허용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기 펼친 상태에서는, 상기 운송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이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이 상부 부분은 상부 부분들 사이의 거리와 관련된 제2 축 방향의 최소 길이 치수 R2'에 의해 특징지워지며, 다음 조건: D2'<R2'<D1'이 충족되어서, 적어도 상기 지지부의 집어넣은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부의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로의 이동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D2'<R2'<D1'이 충족되어서, 적어도 상기 지지부의 펼친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부의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로의 이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
-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a. 복수의 보관실을 가지고 있고, 이 복수의 보관실 각각이 상기 보관실 내에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베어링부를 가진 복수의 기둥을 포함하고 있는 보관 구조;
b.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보관실 내외로 운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1차 승강 기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승강 기구는 상기 지지부를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c. 상기 지지부와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컨테이너를 상기 지지부에 대해 올바르게 배치시키기 위해 컨테이너를 상기 차량에 적재하는 동안 컨테이너를 안내하고, 적어도 상기 차량에 의해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동안 컨테이너가 상기 지지부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컨테이너를 상기 지지부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안내-고정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컨테이너의 베이스부에서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구역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지지부는, 컨테이너가 수용될 때, 컨테이너의 추가적인 베이스부가 상기 지지부가 상승 위치에서 하강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베어링부에 놓이도록, 아래에서 보았을 때,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
-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제1 축 및 제1 축과 수직인 제2 축을 가지고 있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제1 최대 길이 치수 L1을 가지고 있고, 상기 기둥이 하부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이 하부 부분은 하부 부분들 사이의 거리와 관련된 제1 축 방향의 최소 길이 치수 Rl에 의해 특징지워지며, 다음 조건: R1>L1이 충족되어서, 적어도 상기 컨테이너를 적재하지 않은 상태의 상기 지지부의 하강 위치에서, 상기 차량의 상기 제2 축 방향으로의 상기 보관실로의 운송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
-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이 상부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이 상부 부분은 상부 부분들 사이의 거리와 관련된 제2 축 방향의 최소 길이 치수 R2에 의해 특징지워지며, 상기 상부 부분이 상기 하부 부분에 대해 보관실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어서, 다음 조건: R1>R2이 충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
-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제1 최대 길이 치수 L1'을 가지고 있고, 상기 기둥이 하부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이 하부 부분은 하부 부분들 사이의 거리와 관련된 제2 축 방향의 최소 길이 치수 Rl'에 의해 특징지워지며, 다음 조건: R1'>L1'이 충족되어서, 상기 컨테이너를 적재하지 않은 상태의 상기 지지부의 하강 위치에서, 상기 차량의 상기 제1 축 방향으로의 상기 보관실로의 운송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
-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a. 복수의 보관실을 가지고 있고, 이 복수의 보관실 각각이 베어링부 를 가진 복수의 기둥을 포함하고 있는 보관 구조; 및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 성된 1차 승강 기구를 가지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을 포함하고 있 고,
상기 지지부는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차량의 제1 외형과 관련되어 있 으며 적어도 상기 지지부의 하강 위치와 결합할 수 있는 집어넣은 상 태와,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차량의 제2 외형과 관련되어 있으며 적 어도 상기 지지부의 상승 위치와 결합할 수 있는 펼친 상태를 취하도 록 구성되어 있고, 펼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외형 에 대해 상기 제2 외형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 도록 구성된 돌출 구역을 가지고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지지부를 펼친 상태로 변화시키는 단계;
c. 컨테이너의 베이스부를 상기 돌출 구역에 배치시킴으로써 컨테이너를 상기 지지부에 적재하는 단계;
d. 상기 지지부가 상승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동안 컨테이너를 적재한 상기 차량을 보관실로 운송하는 단계;
e. 상기 지지부를 상기 1차 승강 기구에 의해 하강 위치로 이동시켜서, 컨테이너를 상기 베어링부에 배치시키는 단계;
f. 상기 지지부를 집어넣은 상태로 변화시키는 단계; 그리고
g. 컨테이너가 없는 상태로 상기 차량을 보관실로부터 운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 - 제35항에 있어서,
h. 컨테이너가 보관실에 보관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가 하강 위치와 집어넣은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차량을 보관실로 운송하는 단계;
i. 상기 지지부를 펼친 상태로 변화시키는 단계;
j. 상기 지지부를 상기 1차 승강 기구에 의해 상승 위치로 이동시켜서, 컨테이너를 상기 돌출 구역에 배치시키는 단계;
k. 컨테이너를 적재한 상태로 상기 차량을 보관실로부터 운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 -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a. 복수의 보관실을 가지고 있고, 이 복수의 보관실 각각이 베어링부 를 가진 복수의 기둥을 포함하고 있는 보관 구조; 및
지지부, 보조 장치 그리고 상기 지지부를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1차 승강 기구를 가지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차 량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지지부는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차량의 제1 외형과 관련되어 있 으며 적어도 상기 지지부의 하강 위치와 결합할 수 있는 집어넣은 상 태와,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차량의 제2 외형과 관련되어 있으며 적 어도 상기 지지부의 상승 위치와 결합할 수 있는 펼친 상태를 취하도 록 구성되어 있고, 펼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외형 에 대해 상기 제2 외형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 도록 구성된 돌출 구역을 가지고 있고, 상기 보조 장치는 하나 이상의 파지 요소와 2차 승강 기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파지 요소는 파지 상태와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 차량의 제1 외형과 관련된 접힌 상태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지지부를 펼친 상태로 변화시키는 단계;
c. 컨테이너의 베이스부를 상기 돌출 구역에 배치시킴으로써 컨테이너를 상기 지지부에 적재하는 단계;
d. 상기 지지부가 상승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동안 컨테이너를 적재한 상기 차량을 보관실로 운송하는 단계;
e. 상기 파지 요소를 파지 상태로 변화시켜서, 상기 베이스부가 아닌 대체 베이스부로부터 컨테이너를 파지하는 단계;
f. 상기 지지부 또는 컨테이너를 2차 승강 기구에 의해 서로에 대해 이동시키는 단계;
g. 상기 지지부를 집어넣은 상태로 변화시키는 단계;
h. 상기 지지부를 상기 1차 승강 기구에 의해 하강 위치로 이동시켜서, 컨테이너를 상기 베어링부에 배치시키는 단계;
i. 상기 파지 요소를 접힌 상태로 변화시키는 단계; 그리고
j. 컨테이너가 없는 상태로 상기 차량을 보관실로부터 운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 - 제37항에 있어서,
k. 컨테이너가 보관실에 보관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가 하강 위치와 집어넣은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차량을 보관실로 운송하는 단계;
1. 상기 파지 요소를 파지 상태로 변화시켜서, 상기 베이스부가 아닌 대체 베이스부로부터 컨테이너를 파지하는 단계;
m. 상기 지지부를 상기 1차 승강 기구에 의해 상승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n. 상기 지지부를 펼친 상태로 변화시키는 단계;
o. 상기 지지부 또는 컨테이너를 2차 승강 기구에 의해 서로에 대해 이동시켜서, 컨테이너를 상기 돌출 구역에 배치시키는 단계;
p. 상기 파지 요소를 접힌 상태로 변화시키는 단계;
q. 컨테이너를 적재한 상태로 상기 차량을 보관실로부터 운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IL230538 | 2014-01-20 | ||
IL230538A IL230538A (en) | 2014-01-20 | 2014-01-20 | Container Storage System and Method |
PCT/IL2015/050057 WO2015107527A1 (en) | 2014-01-20 | 2015-01-18 | System and method for storage of container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0960A true KR20160110960A (ko) | 2016-09-23 |
Family
ID=51418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21240A KR20160110960A (ko) | 2014-01-20 | 2015-01-18 |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180303346A2 (ko) |
EP (1) | EP3097027A4 (ko) |
KR (1) | KR20160110960A (ko) |
CN (1) | CN106458442A (ko) |
IL (1) | IL230538A (ko) |
SG (2) | SG10201806129SA (ko) |
WO (1) | WO2015107527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89489A1 (en) * | 2023-03-10 | 2024-09-19 | Aitonomi Ag | Swap body container transporter assembl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277519B1 (de) | 2015-04-01 | 2022-04-06 | Sew-Eurodrive GmbH & Co. KG | Lagersystem mit einem omnidirektionalen 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olchen lagersystems |
JP6861270B2 (ja) * | 2016-04-25 | 2021-04-21 | アウルストーン・メディカル・リミテッドOwlstone Medical Limited | 呼気サンプルを捕捉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デバイス |
CN111153091B (zh) * | 2019-12-31 | 2021-05-18 | 苏州得尔达国际物流有限公司 | 一种人工智能化水果状态识别检测系统 |
CN113895993B (zh) * | 2021-09-25 | 2023-05-23 | 张家港华达码头有限公司 | 一种码头集疏运系统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896955A (en) * | 1974-10-03 | 1975-07-29 | California Inst Of Techn | Automated multi-level vehicle parking system |
US4231709A (en) * | 1978-12-15 | 1980-11-04 | Craig Systems Corporation | Demountable transporter for containers |
US4904144A (en) * | 1989-01-09 | 1990-02-27 | Phillips Kirk A | Truck dumping and unloading apparatus |
US5116182A (en) * | 1990-10-17 | 1992-05-26 | Lin Bao N | Automatic car parking system |
DE4214632C2 (de) * | 1992-04-24 | 1994-09-01 | Mannesmann Ag | Parkhaussystem zum Ein- und Auslagern von Fahrzeugen |
CN2126838Y (zh) * | 1992-06-17 | 1993-02-10 | 周家正 | 可自动装卸的集装箱运输车 |
CN2204784Y (zh) * | 1994-10-10 | 1995-08-09 | 刘建华 | 多功能集装箱 |
DE29505618U1 (de) * | 1995-03-31 | 1995-05-24 | Geroh GmbH Mechanische Systeme, 91344 Waischenfeld | Selbstfahrendes und selbstauf- und abladbares Verladesystem für Container oder Wechselbrücken |
JP3363058B2 (ja) * | 1996-08-19 | 2003-01-07 | 富士変速機株式会社 | 格納場における格納物方向転換装置 |
AUPQ147299A0 (en) * | 1999-07-08 | 1999-07-29 | Schmidt, Hans H. | Container handling system |
EP1199259A1 (en) * | 2000-10-20 | 2002-04-24 | Garofoli S.p.A. | Self loading device for container or similar, and container thereof |
CN101090840A (zh) * | 2004-05-03 | 2007-12-19 | 杰维斯·B·韦布国际公司 | 运输装置的自动装货系统和方法 |
FR2932434B1 (fr) * | 2008-06-16 | 2011-03-04 | Toutenkamion | Dispositif de manutention-roulage pour conteneur ou analogue et procede pour deplacer deux tels dispositifs en l'absence de conteneur |
KR20130006432A (ko) * | 2010-02-28 | 2013-01-16 | 이스라엘 에어로스페이스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방법 및 컨테이너용 보관 시스템 |
CN201678208U (zh) * | 2010-08-20 | 2010-12-22 | 江苏泰达机电设备有限责任公司 | 集装箱行走机构 |
CN201761943U (zh) * | 2010-09-06 | 2011-03-16 | 安徽省界首市云龙粮机配套工程有限公司 | 移动式集装箱输送机 |
-
2014
- 2014-01-20 IL IL230538A patent/IL230538A/en active IP Right Grant
-
2015
- 2015-01-18 WO PCT/IL2015/050057 patent/WO201510752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1-18 CN CN201580015220.4A patent/CN106458442A/zh active Pending
- 2015-01-18 SG SG10201806129SA patent/SG10201806129SA/en unknown
- 2015-01-18 US US15/112,265 patent/US20180303346A2/en not_active Abandoned
- 2015-01-18 SG SG11201605942SA patent/SG11201605942SA/en unknown
- 2015-01-18 KR KR1020167021240A patent/KR2016011096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5-01-18 EP EP15737921.5A patent/EP3097027A4/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89489A1 (en) * | 2023-03-10 | 2024-09-19 | Aitonomi Ag | Swap body container transporter assembl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IL230538A0 (en) | 2014-08-31 |
WO2015107527A1 (en) | 2015-07-23 |
US20180303346A2 (en) | 2018-10-25 |
SG11201605942SA (en) | 2016-08-30 |
CN106458442A (zh) | 2017-02-22 |
EP3097027A4 (en) | 2018-02-14 |
EP3097027A1 (en) | 2016-11-30 |
IL230538A (en) | 2016-11-30 |
SG10201806129SA (en) | 2018-08-30 |
US20170319069A1 (en) | 2017-11-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110960A (ko) | 컨테이너의 보관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
FI121419B (fi) | Adapteripaletti ja kuormankäsittelymenetelmä | |
US20160325928A1 (en) | A locking apparatus and a securing mechanism therein | |
CN101304930B (zh) | 自升/降运输容器 | |
US10632894B2 (en) | Two-level pallet for stackable loading | |
KR100744815B1 (ko) | 차량 선적용 콘테이너 | |
JP6555525B2 (ja) | 台車 | |
US10364065B2 (en) | Logistics system, an adaptor pallet and a load carrier | |
US11753165B2 (en) | Modular cargo handling system | |
CN104875659A (zh) | 用于卡车升降机安装的货物舱的闩锁/锁定系统 | |
US20070074935A1 (en) | Order picker product platform | |
US11827136B1 (en) | Packing crate device for tractor trailers | |
JP6301898B2 (ja) | 台車 | |
ES2278133T3 (es) | Sistema de bloqueo para contenedores o similares. | |
CN110406438A (zh) | 运输装置 | |
JP6371471B2 (ja) | コンテナ固定装置 | |
JP2009126442A (ja) | 集配用貨物自動車 | |
US9290120B2 (en) | Incline lift system for cargo containers | |
KR101840439B1 (ko) | 플랫 컨테이너 | |
CN110936991A (zh) | 笼车及其锁定和解锁方法 | |
JP6490864B1 (ja) | 荷役補助装置、ロールボックスパレットの持ち上げ方法 | |
US20230356841A1 (en) | System for transporting cargo in an aircraft passenger cabin | |
EP1641684B1 (en) | Variable-volume container | |
ITCO20130012A1 (it) | Sistema per il carico/scarico di casse o basi per trasporto merci e veicolo gommato | |
JP2000153762A (ja) | 段積み可能台車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