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0469A - 신축식 헤드를 갖는 디스펜싱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신축식 헤드를 갖는 디스펜싱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0469A
KR20160110469A KR1020167022293A KR20167022293A KR20160110469A KR 20160110469 A KR20160110469 A KR 20160110469A KR 1020167022293 A KR1020167022293 A KR 1020167022293A KR 20167022293 A KR20167022293 A KR 20167022293A KR 20160110469 A KR20160110469 A KR 20160110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pump
dispenser
dispenser head
dispens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2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9190B1 (ko
Inventor
사빈느 르페브르
프랑수와 고티에
Original Assignee
파르횡 크리스티앙 디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르횡 크리스티앙 디올 filed Critical 파르횡 크리스티앙 디올
Publication of KR20160110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5B11/304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 B05B11/106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in a retracted position, e.g. in an end-of-dispensing-strok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27Means for neutralising the actuation of the sprayer ; 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the sprayer actuation means
    • B05B11/0032Manually actuated means located downstream the discharge nozzle for closing or covering it, e.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28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 B05B11/1035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the pumping chamber being a be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05B11/306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디스펜싱될 제품을 포함하는 용기(80)에 대한 디스펜싱 디바이스(10)로서, 디바이스는 용기에 연결되도록 의도되며 몸체의 하부 단부에서 개방 챔버(21)를 갖는 몸체(20),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되며 상부 디스펜싱 헤드(30)에 연결되는 펌프를 포함한다. 디스펜싱 디바이스는 또한, 디스펜싱 헤드(30)로 하여금 디스펜싱 헤드가 몸체(20) 내로 실질적으로 수축되는 보관 위치와 디스펜싱 헤드가 몸체의 상부 단부(23) 너머로 돌출하는 디스펜싱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게끔 하기 위하여 이동될 수 있는 드라이버(40)를 포함한다. 디스펜싱 디바이스는, 챔버의 상부 단부의 경계를 획정하며, 펌프(50)에 연결되는 이동가능 단부(71) 및 용기(80)에 연결될 수 있는 고정 단부(72)를 갖는 밀봉 멤브레인(membrane)(70)을 갖는다.

Description

신축식 헤드를 갖는 디스펜싱 디바이스{DISPENSING DEVICE HAVING A RETRACTABLE HEAD}
본 설명은 디스펜싱될 제품을 포함하는 용기에 대한 디스펜서(dispenser)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 용기에 연결하기 위한 몸체를 포함하고, 그 내부에 펌프가 배열되며 몸체의 하단 단부에서 개방되고 상단 디스펜서 헤드에 연결된 챔버(chamber)를 제공하는 디스펜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며, 디스펜서 디바이스는 또한, 디스펜서 헤드로 하여금, 디스펜서 헤드가 실질적으로 몸체 내부로 수축되는 보관 위치와 디스펜서 헤드가 몸체의 상단 단부를 넘어 돌출하는 디스펜싱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게끔 하기 위해 이동되기에 적절한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 있어서, 용어 "챔버"는 용기 내에 포함된 유체에 액세스할 수 있는 몸체 내의 공간을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챔버는 펌프 챔버가 아니며, 이와는 반대로, 이상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펌프가 챔버 내에 배열된다.
디스펜싱될 제품은 임의의 액체 또는 페이스트(paste)일 수 있으며, 특히 스프레이가능 제품 또는 압축된 제품(product under pressure)일 수 있다. 제품은 미세한 방울들의 형태로 또는 콤팩트한 스트림으로서 디스펜싱될 수 있다.
본 설명에 있어서, 용어들 "상단", "하단", "높은", 및 "낮은"은 오로지 상대적인 의미로서 이해되어야만 한다. 이들은, 3 차원 공간 내에서 디바이스의 배향을 속단하지 않고, 2개의 본질적으로-반대되는 위치들을 구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특히, "높은" 지점을 "낮은" 지점에 연결하는 직선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에 있어서 반드시 수직인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언급된 유형의 디스펜서 디바이스들이 미국 특허 출원 제2011/0031282호로부터 알려진다. 드라이버의 이동이, 디스펜서 헤드를 사용을 위한 높은 위치로 전개하거나 또는, 이와는 반대로, 디스펜서 헤드를 보호하고 디스펜서 헤드가 우연히 구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낮은 위치로 디스펜서 헤드를 수축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외부 링을 피봇(pivot)하는 것이 드라이버 및 디스펜서 헤드를, 캠 이동을 통해, 디스펜서 헤드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로 회전적으로 및 병진적으로(in translation) 이동시킨다.
미국 출원 제2011/0031282호에서, 디스펜서 헤더는 그것과 함께 회전적으로 및 병진적으로 움직이기 위하여 드라이버에 고정된다. 드라이버 및 디스펜서 헤드는, 디바이스의 펌프 챔버들 중 하나를 형성하는 튜브형 덕트(duct)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피봇가능하게 장착된다. 디스펜싱 위치(높은 위치)에서, 튜브형 덕트의 상단 오리피스(orifice) 및 디스펜서 헤드의 덕트의 하단 오리피스가 정렬되며, 그 결과 유체가 펌프 챔버로부터 디스펜서 헤드로 이동할 수 있고, 디스펜서 헤드의 노즐을 통해 나갈 수 있다. 반대로, 디스펜서 헤드가 그것의 보관 위치(낮은 위치)에 있을 때, 2개의 오리피스들이 정렬되지 않고 그 각각이 막혀 있는 한 유체가 흐를 수 없다.
종래 기술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유체 덕트들은 이동가능 부분들, 예컨대 디스펜서 헤드 또는 펌프 챔버를 획정(define)하는 부분들에 의해 직접적으로 형성된다. 사용 시, 부분들이 마모되며, 간극들이 그들 사이에 나타날 수 있다. 예로서, 유체가 펌프 챔버의 오리피스 및 디스펜서 헤드의 덕트의 오리피스 부근에서 누설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유체가 누설될 수 있는 다수의 연결들이 부분들 사이에 존재한다.
본 발명은, 증가된 수명을 제공하고, 디스펜싱될 제품의 누설 가능성이 거의 없는, 단순하며 신뢰할 수 있고, 신축식 디스펜서 헤드를 갖는 디스펜서 디바이스를 제안하는 것을 추구한다.
이러한 목적은, 챔버의 상단 단부를 구획하고, 펌프에 연결되는 이동가능 단부 및 용기에 연결되기에 적절한 고정 단부를 제공하는 밀봉 다이어프램(diaphragm)을 더 포함하는 디스펜서 디바이스의 결과로서 달성된다.
전체 펌프가 다이어프램의 이동가능 단부와 함께 움직인다는 것, 특히 디스펜서 헤드가 디스펜싱 위치와 보관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때 그러하다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유체와 접촉하는 부분들 사이의 연결들의 수가 제한되며: 용기가 다이어프램에 연결되고, 다이어프램이 펌프에 연결되며, 펌프가 디스펜서 헤드에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기 내에 포함된 제품의 누설의 가능성이 크게 감소되며, 다이어프램이 디스펜서 헤드의 어떠한 위치에서도 디스펜서 디바이스를 밀봉한다. 그 자체의 성질에 의해, 밀봉 다이어프램이 특히 그것의 단부들에서 챔버를 밀봉한다. 이는 특히 마모에 대한 양호한 내성을 제공하고, 그에 따라 집중적으로 사용될 때에도 디스펜서 디바이스의 긴 수명을 보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디스펜서 디바이스는, 디스펜서 헤드가 미리 펌프에 맞춰질 필요 없이 디스펜서 헤드를 이동가능하게 만들며, 이는 펌프가 펌프의 완전히 별개의 엘러먼트에 의해 이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상적인 펌프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신뢰성 및 비용 측면에 있어서 더 양호하다.
또한, 디스펜서 디바이스는 특히 포괄적이며, 이것이, 밀봉 다이어프램이 의도된 용기의 개구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밀봉 다이어프램의 고정 단부를 설계하기에 충분하다면 임의의 용기와 호환가능하다.
펌프와 디스펜서 헤드 사이의 연결이 강성(rigid)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펌프가 강성 덕트를 사용하여 디스펜서 헤드를 운반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드라이버가 펌프에 연결된 디스펜서 헤드를 드라이브하기 위하여 펌프를 통해 동작할 수 있도록, 펌프와 드라이버 사이에 연결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드라이버는 밀봉 다이어프램의 이동가능 단부를 축 방향으로 드라이브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드라이버는 펌프에 연결된 밀봉 다이어프램의 이동가능 단부를 축 방향으로 드라이브하며, 그에 따라서 펌프를 축 방향으로 드라이브하고, 이러한 펌프가 최종적으로 디스펜서 헤드를 드라이브한다. 따라서 밀봉 다이어프램의 이동가능 단부는 드라이버와 펌프 사이의 연결 피스(piece)를 형성한다. 따라서, 이동가능 단부, 드라이버, 및 펌프는 동일한 축 방향 드라이브 움직임을 가지며, 드라이브 축은 디스펜서 헤드의 낮은 위치(보관 위치)로부터 디스펜서 헤드의 높은 위치(디스펜싱 위치)까지 연장하는 축이다. 이러한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이동가능 단부가 재밍(jam)된 채로 남아 있고 펌프 및 드라이버의 조인트(joint) 움직임을 따르지 않는 임의의 위험성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디스펜서 디바이스를 밀봉하는 것이 특히 신뢰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밀봉 다이어프램의 이동가능 단부는, 이를 드라이버 및 펌프에 연결하고 이들을 드라이브하기 위한 드라이브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드라이브 연결 부재는 이동가능 단부, 드라이버, 및 펌프를 함께 연결한다. 결과적으로, 이는 드라이버와 펌프 사이에서 축 상 드라이브를 전달한다. 따라서 디스펜서 디바이스가 특히 단순하다.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드라이브 연결 부재는, 드라이버의 축 상 숄더(shoulder)-형성 수단과 함께 동작하는 연결 피스를 포함한다.
드라이버의 숄더들은, 상기 연결 피스가 회전하는 것을 초래하지 않으며 그리고 그에 따라 이동가능 단부가 회전하는 것을 초래하지 않고 드라이버가 피봇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연결 피스를 축 방향으로 홀딩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드라이브 연결 부재는 그 위에 펌프가 고정되는 스커트(skirt)를 포함한다.
따라서, 스커트는 펌프의 체결구 시스템에 적응되어야 할 다이어프램의 유일한 부분이며, 그 결과 다이어프램이 설계하고 제조하기에 간단하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펌프는, 특히, 챔버 외부의 드라이브 연결 부재 상에 고정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드라이브 연결 부재는, 펌프를 수용하기 위한 접시 형태로 구성된 단부 벽을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펌프는 챔버 내부의 드라이브 연결 부재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가 밖으로 누설될 가능성이 추가로 감소된다. 드라이브 연결 부재의 단부 벽은, 펌프의 출구 덕트를 통과시키기 위해 관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펌프가 다양한 기술들을 사용하여 드라이브 연결 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예로서, 이는 크립핑(crimping)에 의해 또는 클리핑(clipping)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연결의 밀봉을 강화하기 위하여, 펌프 및 드라이브 연결 부재가 서로에 대하여 압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디스펜서 디바이스는 몸체 내부에 위치된 고정 부싱(bushing)을 포함하며, 몸체는 주 축에 대하여 피봇하기에 적절한 링-형성 부분을 포함하고, 부싱 및 링은, 링을 회전시키는 것이 드라이버가 주 축을 따라 병진적으로 시프트(shift)하는 것을 초래하는 방식으로 함께 동작한다.
따라서, 부싱, 드라이버, 및 링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회전 운동을 병진적인 시프트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단순한 메커니즘을 형성한다. 주 축이 회전 축 및 병진적인 이동의 축 둘 모두이며, 이는 또한 이상에서 언급된 드라이브 축과 일치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부싱 및 드라이버는 캠 메커니즘을 통해 함께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부싱 및 드라이버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엘러먼트가 경사진 홈들을 포함하며, 부싱 및 드라이버 중에서 선택된 다른 엘러먼트가 상기 경사진 홈들과 함께 동작하는 돌기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드라이버가 링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회전적으로 드라이브될 때, 드라이버 및 부싱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엘러먼트의 돌기들이 드라이버 및 부싱 중에서 선택된 다른 엘러먼트의 경사진 홈들을 따른다(follow). 부싱이 몸체에 대하여 고정적이기 때문에, 이는 드라이버가 단순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축 상에서 병진적으로 시프트되게끔 한다.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드라이버 및 링은 스플라인(spline)들 및 홈들을 통해 함께 동작한다.
링 및 드라이버의 스플라인들과 홈들 사이의 공동-동작이 링 및 드라이버가 동시에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홈들이 링의 회전 축과 평행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드라이버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링에 대한 축 상의 병진적인 이동에 대해 자유롭게 남아 있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밀봉 다이어프램이 그것의 이동가능 단부와 그것의 고정 단부 사이에 가요성 부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가요성 부분의 변형이 실질적으로 탄성적이며, 가요성 부분 상에 마찰 구역이 존재하지 않고, 이는 다이어프램의 긴 수명을 보장한다. 따라서, 다이어프램은 디스펜서 헤드의 어떠한 위치에서도 완전한 누설밀봉 방식으로 챔버의 상단 단부를 획정한다.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가요성 부분은 벨로우즈(bellows)-형상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요성 부분의 수축된 위치 및 전개된 위치가 벨로우즈의 형상에 의해 미리 결정된다. 벨로우즈-형상은 반복되는 수축들 및 신장들에 기인하는 마모에 특히 잘 견딘다. 또한, 다이어프램의 다양한 형상들 및 이에 의해 점유되는 연속적인 부분들이 확실성을 가지고 알려질 수 있으며, 이는 전체로서 디스펜서 디바이스를 설계하는 것을 용이하게 만든다.
특정 실시예들에 있어서, 디스펜서 디바이스는, 이것이 용기에 대하여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 및/또는 요형(re-entrant) 캐치(catch)들(돌출부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용기 상에 디스펜서 디바이스를 고정하는 것이 간단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이는, 링에 대한 것을 제외하고, 디스펜서 디바이스와 용기 사이의 병진적인 및/또는 회전적인 임의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엘러먼트의 각각의 면(side) 상에 배열된 캐치들의 한 쌍이, 엘러먼트가 캐치들 사이의 방향에서 병진적으로 시프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며; 또한, 캐치들의 추가적인 쌍이, 상기 엘러먼트가 캐치들을 포함하는 평면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이점들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숙독할 때 더 양호하게 이해될 수 있다.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한다.
도 1은, 디스펜서 헤드가 그것의 높은 위치(디스펜싱 위치)에 있는 상태의, 용기 상에 장착된 디바이스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길이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디스펜서 헤드가 그것의 낮은 위치(보관 위치)에 있는 상태의, 디바이스의 제 1 실시예의 길이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디바이스의 제 1 실시예의 드라이버, 부싱, 및 밀봉 다이어프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캠 메커니즘 및 다이어프램의 위로부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디스펜서 헤드가 그것의 높은 위치에 있는 상태의, 디바이스의 제 2 실시예의 길이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펜서 디바이스(10)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디스펜서 디바이스(10)는 용기(80) 내에 포함된 액체 또는 페이스트를 디스펜싱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디스펜서 디바이스는 몸체(20) 및 착탈가능하며 펌프(50)에 연결되는 디스펜서 헤드(30)를 포함한다. 디스펜서 헤드는, 몸체(20)의 링-형성 부분(24), 드라이버(40), 및 부싱(60)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들을 사용하여 높은 위치와 낮은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링(24)은 그 자체가 부싱(60) 상에 맞물리는 드라이버(40)를 둘러싼다. 이에 더하여, 다이어프램(70)이 용기(80)와 펌프(50) 사이에 밀봉을 제공하며, 이는 이동가능하다.
디스펜서 헤드의 높은 위치와 낮은 위치는 각기 디스펜싱 위치와 보관 위치에 대응하며, 따라서 이들은 도면들 내에 도시된 배향을 참조하여 지칭되고, 이는 이러한 디스펜서 디바이스에 대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향이다. 특히, 사용자가 집게 손가락으로 디스펜서 헤드 상에 압력을 가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방식으로 제품 병(용기)을 손 안에 쥘 때, 디스펜서 디바이스와 맞춰진 병의 개구부가 위쪽을 향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디스펜서 헤드의 낮은 위치는 헤드가 병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대응하며, 그것의 보관 위치에 있어서, 높은 위치에 대한 역이 성립한다. 그러나, 디스펜서 헤드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용어들 "높은", "낮은", "상단", "하단", 및 연관된 용어들은 오로지 상대적인 의미로만, 그리고 반드시 수직 방향은 아닌 임의의 방향에 대하여 고려되어야만 한다.
도 3은 드라이버(40), 부싱(60), 및 다이어프램(70)의 분해 사시도이며, 반면 도 4는 링(24), 드라이버(40), 부싱(60), 및 다이어프램(70)의 공동-동작을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은 그것의 개구부(81)에 인접한 용기(80)의 일 부분만을 도시한다.
몸체(20)는 축 X의 원통이며, 챔버(21)를 포함한다. 챔버(21)의 하단 단부는 용기의 개구부(81)에 대해 개방되며, 반면 챔버(21)의 상단 단부는 다이어프램(70)에 의해 획정된다. 다이어프램(70)은 이동가능 단부(71), 고정 단부(72), 및 가요성 부분(73)을 포함한다. 고정 단부(72)는 누설밀봉 방식으로 용기의 개구부(81)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스킷(gasket)(90)이 개구부(81)의 목(neck)(82)의 에지(edge)와 다이어프램(70)의 고정 단부(72)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개스킷은 디바이스의 밀봉을 개선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예로서, 다이어프램(70)은 가요성 재료, 예컨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는 개구부(81) 둘레에서 약간 압축될 고정 단부(72)를 준비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며, 그 결과 용기(8)와 챔버(21) 사이의 밀봉이 우수하다.
다이어프램(70)의 고정 단부(72)가 용기의 개구부(8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고정 단부(72)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홀딩 캐치들(74)이 제공된다. 홀딩 캐치들(74)은, 용기(80)의 개구부(81)에 인접하여, 전형적으로 목(82)의 에지에 제공되는 홈(84)과 함께 동작한다. 밀봉 다이어프램(70)이 아래로부터 사시적으로 보여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 캐치들(74)이 비스듬한(beveled) 형상을 가지며, 그럼으로써 이들이 그들 자체에 의해 그곳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이들이 홈(84) 내에 용이하게 맞물리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또한, 개구부(81)의 주변부에서, 용기(80)는 고정 단부(72)의 대응하는 요형 캐치들(하우징들)(76)과 함께 동작하는 돌출 캐치들(86)을 포함한다. 하단 단부(72)의 하우징(76)의 형상이 또한 도 3 및 도 4에서 보여질 수 있다. 캐치들(86)은 하우징(76)에 의해 접하게(tangentially) 차단(block)되며, 이는 고정 단부(72)가 용기(8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캐치들(74 및 86) 및 그들 각각의 하우징들(84, 76)의 조합이, 고정 단부(72)가 개구부(81)에 대하여 임의의 방향에서 병진적으로 또는 회전적으로 이동될 수 없다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단부(72)는, (아코디언 형상으로도 또한 알려진) 벨로우즈-형상을 나타내는 가요성 부분(73)을 통해 다이어프램(70)의 이동가능 단부(71)에 연결된다. 가요성 부분이 도 1에서 펼쳐진 상태로 도시된다. 이동가능 단부(71) 및 가요성 부분(73)이, 용기(80) 내에 포함된 제품에 액세스할 수 있는 내부 체적을 갖는 챔버(21)를 획정한다.
이동가능 단부(71)는 그 위에 펌프(50)가 고정되는 스커트(71b)를 포함한다. 제 1 실시예의 예에 있어서, 펌프는 스커트(71b) 상에서 크림핑된다. 따라서, 펌프(50)가 챔버(21) 내부에 위치되며, 크림핑 구역(51b)이 챔버(21)의 외부에 위치된다. 크림핑 동안, 크림핑 구역(51b)은 이러한 연결의 밀봉을 강화하기 위하여 스커트(71b)에 대하여 압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는, 칼라(collar)로도 또한 지칭되는 크림핑 구역이 구비되는 기존의 펌프들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제공하며, 이는 체결 방법이, 크림핑 구역을 직접적으로 용기의 개구부 상으로 누름으로써 그 위에 펌프가 고정되는 통상적인 용기의 체결 방법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도 1, 도 2 및 도 5에 있어서, 펌프(50)가 개략적으로 표현된다.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그것의 외부 구조만이 도시된다.
이에 더하여, 펌프(50)는, 강성 또는 가요성이며, 용기(80)로부터 유체를 취하기 위한 덕트(53)(부분적으로 도시됨)를 포함한다. 펌프의 내부 구조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이는 본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챔버(21)는 펌프 챔버가 아니며, 펌프(50)는 다이어프램(70)으로부터 그리고 그것의 가요성 부분(73)으로부터 독립적인 완전히 별개의 펌프이다.
펌프(50)는, 출구 덕트(52), 구체적으로, 축 X를 따라 펌프(50)의 움직임들을 따르기 위해 디스펜서 헤드(30)에 대해 충분히 강성인 덕트를 통해 디스펜서 헤드(30)에 연결된다. 디스펜서 헤드(30)는 통상적인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디스펜서 헤드는 외부 커버(31), 푸셔(pusher)(32), 및 디스펜서 부재(33)를 포함한다. 이동가능 단부(71), 펌프(50), 및 디스펜서 헤드(30)는, 사용자가 제품을 전달하기 위하여 디스펜서 헤드(30)를 누를 때를 제외하고, 축 X를 따라 적어도 병진적으로 함께 움직인다.
드라이버(40)는, 디스펜서 헤드(30)가 실질적으로 몸체(20) 내로 수축되는 낮은 위치와 디스펜서 헤드(30)가 몸체(20)의 상단 단부(23)를 넘어 돌출하는 높은 위치 사이에서 펌프(50) 및 디스펜서 헤드(30)를 드라이브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드라이버(40)는 캠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며, 축 X를 따라 이동가능 단부(71), 펌프(50), 및 디스펜서 헤드(30)를 병진적으로 드라이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드라이버(40)는 이동가능 단부의 연결 피스(71a)와 함께 동작하는 숄더들(41, 42)을 포함한다. 연결 피스(71a)는 상단 숄더(41)와 하단 숄더(42)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클램핑된다. 상단 숄더(41)는 연결 피스(71a)를 몸체(20)의 하단을 향해 누르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며, 반면 하단 숄더(42)는 연결 피스(71a)를 몸체(20)의 상단을 향해 누르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특히, 숄더들(41, 42)은 축 X에 대하여 이동가능 단부(71)에 대한 드라이버(4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다. 드라이버(40)의 숄더들(41, 42)이 또한 도 3에서 보여질 수 있다. 따라서, 연결 피스(71a) 및 스커트(71b)가 축 X를 따라 드라이버(40) 및 펌프(50)와 함께 이동가능 단부(71)의 연결 피스를 시프팅하기 위한 드라이브 연결 부재를 형성한다.
축 X를 따라 드라이버를 시프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캠 메커니즘이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상에서 표현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 디바이스(10)는 몸체(20) 내부에 위치된 고정 부싱(60)을 포함하며, 몸체(20)는 링-형성 부분(24)을 포함한다. 드라이버(40) 및 부싱(60)이 도 3의 분해 사시도에 도시된다. 링-형성 부분(24), 드라이버(40), 및 부싱(60)은, 서로 독립적일 수 있으며, 강성 금속, 특히 폴리아세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링(24)은 축 X를 따라 측정되는 몸체(20)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지만; 링(24)이 몸체 X의 높이와 상이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링(24)은 원통형 커버(22)에 의해 가려지며, 이러한 원통형 커버가 또한 선택적이다. 링(24)은 축 X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축 X에 평행하며 드라이버(40)의 대응하는 스플라인들(46)과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된 내부 홈들(246)을 포함한다. 따라서, 링(24) 및 드라이버(40)는 축 X에 대하여 함께 회전하도록 강요된다. 따라서, 축 X에 대한 링(24)의 임의의 회전이 동일한 회전 운동을 가지고 드라이버(40)를 이동시킨다.
부싱(60)이 다이어프램(70)의 고정 단부(72)에 고정되며 이에 대하여 고정적이다.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이는 환형 홈(75) 및 축 방향 홈들(77)을 포함하는 고정 단부(72)에 의해 달성된다. 홈들은 부싱 내부에 제공된 대응하는 캐치들, 즉 시프트-방지 캐치들(65) 및 회전-방지 캐치들(67)을 수용하고 차단한다. 시프트-방지 캐치들(65)이 환형 립(rib)들일 수 있다.
유사하게, 링(24)이 병진적으로 시프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링이 축 X에 대하여 회전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동안, 부싱(60)이 그 내부에 회전 캐치들(26)이 맞물리게 되는 외부 환형 홈(66)을 포함하며, 이러한 회전 캐치들은 링(24)의 내부 표면 상에 제공된다.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외부 환형 홈(66)에 인접한 립 및 회전 캐치들(26)의 각각은, 이들이 더 용이하게 맞물리게끔 하기 위하여 그리고 이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축 방향으로 비스듬한 개별적인 부분들을 갖는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싱(60)은 그것의 외측 주변부 상에 2개의 경사진 홈들(61)을 포함한다. 특히, 경사진 홈들(61)은 나선형 컷아웃(cutout)들의 형상이며, 이들 각각은 그것의 단부들에서 평평한 상단부(62) 및 평평한 하단부(64)를 포함한다. 그것의 내부 표면 상에서, 드라이버(40)는 경사진 홈들(61)과 함께 동작하는 돌기들(43)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드라이버(40)는 부싱이 포함하는 경사진 홈들(61)의 수만큼의 돌기들(43), 즉,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돌기들(43)을 포함한다. 각각의 돌기(43)는 홈(61)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평면부(flat)들(62, 64)은 경사진 홈(61)에 대한 돌기(43)의 안정적인 위치들에 대응한다. 이들은, 각각의 평면부의 하단 표면에 대하여 약간 돌출한 개별적인 차단 범프(bump)들(621, 641)을 포함한다. 돌기(43)가 평면부, 예를 들어, 하단 평면부(64)에 도달할 때, 이는 이것이 차단 범프(641)를 넘어갈 때까지 그것의 스트로크(stroke)를 따를 수 있다. 범프를 넘어간 후, 하단 평면부(64) 내의 그것의 위치는 차단 범프(641)에 의해 확실하게 홀딩되며, 돌기(43)가 하단 평면부(64)를 떠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힘이 가해져야만 한다. 결과적으로, 디바이스는 하단 평면부(64)에 대응하는 안정적인 위치들에서 안정적이게 된다. 상단 평면부(62) 및 그것의 차단 범프(621)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범프들(621, 641)이, 드라이버가 그것의 극단 위치들에서 안정적이라는 것을 보장하는 하드 포인트(hard point)들을 형성한다.
각각의 상단 평면부(62)의 상단에서, 부싱(60)은 개별적인 노치(notch)(63)를 더 포함하며, 이는 디스펜서 디바이스(10)가 어셈블리되는 동안 경사진 홈들(61) 내로 드라이버(40)의 돌기들을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만든다.
부싱(60)이 용기(80)에 대하여 고정적이기 때문에, 경사진 홈들(61) 내에서 돌기들(43)을 움직이는 것이, 드라이버(40)의 회전적인 움직임을 축 X를 따른 병진적인 움직임과 연관시키는 것, 및 이의 역을 가능하게 만든다. 특히, 경사진 홈들(61)의 경사진 배열이, 이것이 축 X를 따라 축 방향으로 움직일 때 돌기(43)가 축 X에 대하여 회전하게끔 강제하며, 그 역으로 이것이 축 X에 대하여 회전될 때 돌기(43)가 축 방향으로 움직이게끔 강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디스펜서 헤드(30)가 그것의 높은 위치로부터 그것의 낮은 위치로 이동할 때 정확하게 동작한다. 이러한 동작이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디스펜싱 위치에서의) 초기 상태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이며: 여기에서 디스펜서 헤드(30)가 몸체(20)의 상단 단부(23)를 넘어 약간 돌출되고, 돌기들(43)은 상단 평면부들(62) 내에 위치되며, 다이어프램(70)의 가요성 부분(73)이 연장된다. 디스펜서 헤드를 낮은 위치(보관 위치)를 향해 움직이기 위하여, 사용자는 링(24)이 (이상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끔 한다. 스플라인들(46)과 함께 동작하는 홈들(246)의 결과로서 링(24)이 드라이버(40)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드라이버(4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드라이버(40)의 돌기들(43)은 경사진 홈들(61) 내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즉, 이들은 상단 평면부들(62)을 떠나며 아래쪽으로 경사진 홈들(61)을 따른다. 따라서, 이는 드라이버(40)가 축 X를 따라서 아래쪽으로 병진적으로 이동하게끔 한다. 돌기들(43)이 낮은 평면부들(64)에 도달하고 차단 범프들(641)을 넘을 때까지 움직임이 계속된다. 이에 더하여, 축 X를 따른 드라이버의 움직임 동안, 숄더들(41)이 연결 피스(71a)를 아래쪽으로 가이드한다. 이상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버(40)가 축 X에 대하여 피봇하더라도, 숄더들(42)은 연결 피스(71a)가 피봇하지 않도록 제공된다. 연결 피스는 이동가능 단부(71) 전체를 아래쪽으로 움직이며, 이는 또한 펌프(50) 및 디스펜서 헤드(30)를 이들이 피봇하는 것을 초래하지 않고 아래쪽으로 움직인다. 다이어프램(70)의 가요성 부분(73)이 접힌다. (보관 위치에서의) 최종 상태가 도 2에 도시된다.
도 2에서, 돌기들(43)이 차단 범프들(621) 뒤의 낮은 평면부들(62) 내에 하우징되며, 가요성 부분(73)의 벨로우즈가 접히고, 디스펜서 헤드(30)가 몸체 내로 수축되며 상단 단부(23) 너머로 돌출하지 않는다는 것이 보여질 수 있다.
디스펜서 헤드(30)는 동일한 방식으로 도 2에 도시된 보관 위치로부터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싱 위치로 이동하지만, 모든 방향들이 역전된다.
도 5는 디스펜서 디바이스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도면에서, 제 1 실시예의 엘러먼트들에 대응하거나 또는 이와 동일한 엘러먼트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주어지며, 이들이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 2 실시예는 먼저, 펌프(50)를 다이어프램(70)의 이동가능 단부(71)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 구조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상이하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가능 단부(71)는 여전히 드라이버의 숄더들(41, 42)와 함께 동작하기 위한 연결 피스(71a)를 포함한다. 스커트(71b) 대신에, 이동가능 단부(71)는 펌프(50)를 수용하기 위한 접시-형상의 단부 벽(71c)을 포함한다. 특히, 펌프(50)에는 단부 벽(71c)에 상보적이며 단부 벽(71c) 상에 클리핑되기에 적절한 돌출 부분(51c)이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단부 벽(71c) 및 돌출 부분(51c)이 축 X에 대하여 원형으로 대칭적이다. 또한, 단부 벽(71c)은 펌프(50)의 출구 덕트(52)를 디스펜서 헤드를 향해 전달하기 위하여 홀(71d)에 의해 관통된다. 제 1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이러한 제 2 실시예는 사용될 비-표준 펌프(50)를 필요로 하며, 이는 크립핑 구역을 포함하는 밀봉 다이어프램을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설계된 펌프 몸체 상에 어셈블리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고, 이는 용기 상의 디바이스의 임의의 고정 이전에 이루어진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수정들 및 변화들이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예들에 당연히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도시되고 언급된 다양한 실시예들의 개별적인 특징들이 추가적인 실시예들에서 결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설명 및 도면들이 제한적이 아니라 예시적인 의미로 간주되어야만 한다.

Claims (12)

  1. 디스펜싱될 제품을 포함하는 용기(80)에 대한 디스펜서 디바이스(10)로서,
    디스펜서 헤드(30)에 연결되는 펌프(50)가 그 내부에 배열되고 몸체의 하단 단부에서 개방되는 챔버(21)를 제공하며, 상기 용기에 연결하기 위한 상기 몸체(20)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 디바이스(10)는 또한, 상기 디스펜서 헤드(30)로 하여금 상기 디스펜서 헤드가 실질적으로 상기 몸체(20) 내부로 수축되는 보관 위치와 상기 디스펜서 헤드가 상기 몸체(20)의 상단 단부(23) 너머로 돌출하는 디스펜싱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게끔 하기 위하여 이동되기에 적절한 드라이버(40)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펜서 디바이스는, 상기 챔버의 상단 단부를 획정(define)하고 상기 펌프(50)에 연결된 이동가능 단부(71)를 제공하는 밀봉 다이어프램(diaphragm)(70)을 포함하여, 상기 펌프(50)가 상기 용기(80)에 연결되기에 적절한 고정 단부(72) 및 이동가능 단부(71)와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디바이스(1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40)는 상기 밀봉 다이어프램(70)의 상기 이동가능 단부(71)를 축 방향으로 드라이브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펜서 디바이스(10).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밀봉 다이어프램(70)의 상기 이동가능 단부(71)는, 이를 상기 드라이버(40) 및 상기 펌프(50)에 연결하고, 이들을 드라이브하기 위한 드라이브 연결 부재(71a, 71b)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디바이스(10).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연결 부재는, 상기 드라이버의 축 방향 숄더(shoulder)-형성 수단(41, 42)과 함께 동작하는 연결 피스(71a)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디바이스(10).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연결 부재는 그 위에 펌프(50)가 고정되는 스커트(skirt)(71b)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디바이스(10).
  6.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연결 부재는, 상기 펌프(50)를 수용하기 위하여 접시 형상으로 구성된 단부 벽(71c)을 제공하는, 디스펜서 디바이스(10).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디바이스는 상기 몸체(20) 내부에 위치되는 고정 부싱(busing)(60)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주 축(X)에 대하여 피봇(pivot)하기에 적절한 링-형성 부분(24)을 포함하고, 상기 부싱(60) 및 상기 링(24)은, 상기 링(24)을 회전시키는 것이 상기 드라이버(40)가 상기 주 축(X)을 따라 병진적으로 시프트하게끔 하는 방식으로 상기 드라이버(40)와 함께 동작하는, 디스펜서 디바이스(10).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부싱(60) 및 상기 드라이버(40)는 캠 메커니즘(43, 61)을 통해 함께 동작하는, 디스펜서 디바이스(10).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40) 및 상기 링(24)은 스플라인(spline)들(46) 및 홈들(246)을 통해 함께 동작하는, 디스펜서 디바이스(10).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다이어프램(70)은 그것의 이동가능 단부(71)와 그것의 고정 단부(72) 사이에 가요성 부분(73)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디바이스(10).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부분(73)은 벨로우즈(bellows)-형상인, 디스펜서 디바이스(10).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디바이스는, 상기 디스펜서 디바이스가 상기 용기(80)에 대하여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 및/또는 요형(re-entrant) 캐치(catch)들(74, 76)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디바이스(10).
KR1020167022293A 2014-01-16 2015-01-14 신축식 헤드를 갖는 디스펜싱 디바이스 KR102309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0352 2014-01-16
FR1450352A FR3016273B1 (fr) 2014-01-16 2014-01-16 Dispositif distributeur a tete escamotable
PCT/FR2015/050080 WO2015107294A1 (fr) 2014-01-16 2015-01-14 Dispositif distributeur à tête escamot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469A true KR20160110469A (ko) 2016-09-21
KR102309190B1 KR102309190B1 (ko) 2021-10-06

Family

ID=50624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293A KR102309190B1 (ko) 2014-01-16 2015-01-14 신축식 헤드를 갖는 디스펜싱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61995B2 (ko)
EP (1) EP3094417B1 (ko)
JP (1) JP6418657B2 (ko)
KR (1) KR102309190B1 (ko)
CN (1) CN106068163B (ko)
FR (1) FR3016273B1 (ko)
WO (1) WO20151072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429Y1 (ko) * 2014-09-05 2016-02-12 강성일 가압이 편리한 펌프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WO2021013966A1 (en) * 2019-07-23 2021-01-28 Rieke Packaging Systems Limited Polymer pump dispens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5929Y2 (ja) * 1990-11-21 1996-08-07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ベロ―ズポンプのロッドパッキンシ―ル構造
JP2006027654A (ja) * 2004-07-15 2006-02-02 Katsutoshi Masuda 流動体吐出ポンプ
US20110031282A1 (en) * 2008-04-15 2011-02-10 Rpc Bramlage Gmbh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5268U (ja) * 1983-10-25 1985-05-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泡・液切替えポンプ
US5499747A (en) * 1994-05-16 1996-03-19 Quennessen; Bernard R. Retractable carrier for, and in combination with, a vial-type fluid dispenser
JP2002128124A (ja) * 2000-10-31 2002-05-09 Yoshino Kogyosho Co Ltd 注出容器
JP4756496B2 (ja) * 2004-12-22 2011-08-2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ポンプ付き注出容器
KR200428274Y1 (ko) * 2006-07-19 2006-10-12 (주)연우 디스펜서 용기
KR200442230Y1 (ko) * 2006-12-11 2008-10-20 (주)아모레퍼시픽 펌프용기의 누름버튼 잠금장치
KR100916719B1 (ko) * 2007-11-12 2009-09-14 주식회사 태성산업 화장품용기
FR2953497B1 (fr) * 2009-12-09 2012-06-08 Valois Sas Tete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FR2959215B1 (fr) * 2010-04-22 2013-09-06 Qualipac Sa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a tete escamotable
DE102010036352A1 (de) * 2010-07-12 2012-01-12 Rpc Bramlage Gmbh Spender zur Ausgabe flüssiger bis pastöser Massen
FR2977573B1 (fr) * 2011-07-06 2013-08-16 Rexam Dispensing Sys Bouton poussoir pour un systeme de distribution d'un produit sous press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5929Y2 (ja) * 1990-11-21 1996-08-07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ベロ―ズポンプのロッドパッキンシ―ル構造
JP2006027654A (ja) * 2004-07-15 2006-02-02 Katsutoshi Masuda 流動体吐出ポンプ
US20110031282A1 (en) * 2008-04-15 2011-02-10 Rpc Bramlage Gmbh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94417A1 (fr) 2016-11-23
CN106068163B (zh) 2019-08-02
US9861995B2 (en) 2018-01-09
JP6418657B2 (ja) 2018-11-07
WO2015107294A1 (fr) 2015-07-23
FR3016273B1 (fr) 2017-09-08
KR102309190B1 (ko) 2021-10-06
US20160339465A1 (en) 2016-11-24
CN106068163A (zh) 2016-11-02
EP3094417B1 (fr) 2017-12-13
JP2017507855A (ja) 2017-03-23
FR3016273A1 (fr) 2015-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9720B2 (ja) 流体ディスペンサ
US7854355B2 (en) Prodigio pump
KR100485940B1 (ko) 액체펌프분배기
JP5236640B2 (ja) 流体投与ヘッド
JP5667208B2 (ja) 流体ディスペンサヘッド
KR101922512B1 (ko) 유체 디스펜서 헤드
UA80408C2 (en) Aerosol powder valve
JP7275160B2 (ja) 固定型弁軸ハウジングを備えた弁用のディスペンサ
WO2014185541A1 (ja) プッシュタイプディスペンサー
US20130008981A1 (en) Push button for a pressurised-product dispensing system
KR0136370B1 (ko) 케그-끼움부 탭 헤드
KR20050083004A (ko) 막힘방지 배출관
KR20160110469A (ko) 신축식 헤드를 갖는 디스펜싱 디바이스
KR102450041B1 (ko) 유체 분배 펌프를 위한 연결 조립체
CN111491741A (zh) 泵分配器
CN210417573U (zh) 泵送式分配容器
EP3638425A1 (en) Pump locking retention featur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2007515285A (ja) 流体ディスペンサ部材
CN211168085U (zh) 一种具有上位锁头功能的按压泵
JP6782663B2 (ja) 吐出容器
JP2008260539A (ja) ピストンおよびそのピストンを使用した流動体容器
US20220234794A1 (en) Lid assembly for a fluid vessel
US12030069B2 (en) Dispenser pumps and dispensers
JP5993795B2 (ja) 吐出容器
US20230036689A1 (en) Dispenser pumps and dispen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