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0268A - 가스 터빈의 라이너를 위한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 및 그 관련 방법 - Google Patents

가스 터빈의 라이너를 위한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 및 그 관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0268A
KR20160110268A KR1020160030356A KR20160030356A KR20160110268A KR 20160110268 A KR20160110268 A KR 20160110268A KR 1020160030356 A KR1020160030356 A KR 1020160030356A KR 20160030356 A KR20160030356 A KR 20160030356A KR 20160110268 A KR20160110268 A KR 20160110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r
rails
turbine
mounting
free e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판 와일더 요르겐센
조슈아 알. 맥널리
헤인츠 거버
데이빗 아라토리
더글라스 안토니 펜넬
다니엘 셍
Original Assignee
안살도 에네르기아 스위질랜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살도 에네르기아 스위질랜드 아게 filed Critical 안살도 에네르기아 스위질랜드 아게
Publication of KR20160110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2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0Mounting or supporting of plant; Accommodating heat expansion or cree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8Support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g. for turbine casing
    • F01D25/285Temporary support structures, e.g. for testing, assembling, installing, repairing; Assembly methods using such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3/0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 F02C3/14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bustion chamber in the p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5/0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fluid being generated by intermittent combustion
    • F02C5/02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fluid being generated by intermittent combus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combustion chamber in the chamber in the p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42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form of the flame tubes or combustion chambers
    • F23R3/60Support structures; Attaching or moun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gas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30/00Manufacture
    • F05D2230/60Assembly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30/00Manufacture
    • F05D2230/70Disassembly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Abstract

가스 터빈의 라이너(1)를 위한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는 터빈 하우징(13, 14)에 부착되고 각각 제1 직선형 부분(34)를 갖는 2개의 내부 레일(4), 터빈 하우징(13, 14)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2개의 직선형 외부 레일(8)을 포함하고, 내부 레일(4) 및 외부 레일(8)의 인접한 자유 단부들은 서로에 대해 완전히 정렬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레일들(4, 8)은 그 축방향에서 이동 가능하게 라이너(1)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내부 레일(4)들은 굴곡부(44)를 통해 제1 직선형 부분(34)에 연결된 제2 직선형 부분(34')을 포함하고, 제2 직선형 부분(34')의 축선은 연소가스 통로의 축선에 평행하다.

Description

가스 터빈의 라이너를 위한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 및 그 관련 방법{MOUNTING AND DISMOUNTING DEVICE FOR A LINER OF A GAS TURBINE AND A RELATED METHOD}
본 발명은 가스 터빈의 라이너(liner)를 위한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라이너를 가스 터빈에 장착 및 분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US 2012/159955 A1은 소위 연소기 테일 파이프(tail pipe)를 위한 장착 및 분해 지그를 개시하고 있다. 이 공보는 테일 실린더(tail cylinder)를 케이싱에 부착 및 분해하는 테일 실린더 부착 및 분해용 고정구를 도시하며, 상기 테일 실린더는 케이싱 내에 삽입된 연소기에 포함되며, 전방 단부가 연소가스 통로의 입구부에 연결되고, 상기 테일 실린더 부착 및 분해용 고정구는, 가이드부로서, 상기 가이드 부의 전방 단부가 케이싱 내부에 배열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전방 단부 및 베이스 단부는 제각기 케이싱에 의해 지지되고, 및 연소기의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테일 실린더를 지지하는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테일 실린더를 축방향으로 전진 및 후퇴시키는 전진 및 후퇴 기구를 포함한다.
US 2013/139368 A1은 특정한 레일 및 부착 스크류를 가지며 US 2012/159955 A1에 기초하여 유사한 부재 조립 장치를 도시한다.
필요한 정확한 장착 위치와 조합하는 캔 연소기(can combustor) 및 라이너(과열가스 구성부품들)의 원주상 패턴은 어떠한 유지보수 공정을 위한 도전이다. 덧붙여, 각 라이너(과열 가스 구성부품)의 상당한 중량 및 크기는 라이너들(과열가스 구성부품들)의 장착 또는 분해를 위한 정확하고 안전한 장치의 디자인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유지보수 공정은 잘 규정된 시간 주기인 가스 터빈의 정지시간의 일부이며, 따라서 작동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가능한 단축되어야 한다.
유지보수 작업 중에 체인, 래칫 레버 호이스트(ratchet lever hoist) 또는 크레인 훅으로서 표준 승강 장비의 채용은 특히 하부 절반 캔 연소기 위치설정을 위해 EHS 규칙(환경, 건강 및 안전성 규칙)에 따른 고위험 활동이다.
종래 기술에 기초하여 이 특허의 목적은 개선된 안정한 방법으로 과열가스 구성부품으로서 중간 부재 또는 라이너의 완전한 교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과열 가스 구성부품으로서 라이너를 안정하게 지지 및 안내하며 라이너를 터빈 하우징 내로 및 외부로 정확하게 활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터빈 하우징은, 버너와 함께 연소기를 봉쇄하는 하우징의 부분, 및 라이너로 이루어지는 연소실, 즉 또한 연소기 하우징이라고 부르는 하우징 섹션을 포함하는 가스 터빈의 하우징이다. 여기서 또한 터빈 베인 캐리어(turbine vane carrier)는 터빈 하우징의 일부로서 간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의 주요 특징은 먼저 라이너를 가스 터빈 축선을 향해 이동시키며 다음에 라이너의 운동 방향을 연소 통로의 축방향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내부 단부에 있는 굴곡 레일이다.
가스 터빈의 라이너를 위한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가 제공되며, 여기서 라이너의 전방 단부는 연소가스 통로의 입구부에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입구부는 터빈을 향한 입구이다. 이것은 서로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2개의 내부 레일을 포함하며, 각각의 레일은 터빈 하우징에 부착되며 각각의 하나는 제1 직선형 부분을 구비한다. 2개의 외부 레일이 서로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터빈 하우징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다. 내부 레일 및 외부 레일의 인접한 자유 단부들은 다른 단부에 대해 완전히 정렬상태로 배치될 수 있고, 여기서 내부 레일 및 외부 레일은 그 축방향에서 이동 가능하게 라이너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내부 레일들은 굴곡부를 통해 상기 제1 직선형 부분에 연결된 제2 직선형 부분을 포함한다. 설치되었을 때 제2 직선형 부분의 축선은 연소가스 통로의 입구부의 축선에 평행하다. 따라서 축선은 라이너 출구 플랜지의 밀봉면에 수직이며, 라이너는 밀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밀봉면상으로 이동된다.
그러한 디바이스 내에서, 내부 레일들의 전방 자유 단부들은 터빈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고, 특히 상기 하우징 내의 수용 구멍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자유 단부들은 케이싱 내부로 가장 깊이 있으며, 버너가 설치될 수 있는 하우징 개구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단부들이다. 더구나, 내부 레일들의 베이스 자유 단부들은 연결 플레이트들을 통해 터빈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다. 외부 레일들은 연결 플레이트들을 통해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자유 단부들은 버너가 설치될 수 있는 하우징 개구에 있는 단부들이다.
그러한 디바이스는 내부 레일 및 외부 레일을 따라 라이너를 전진 및 후퇴시키기 위한 전진 및 후퇴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EHS 요건을 강화하며 이동될 각 라이너에 대해 보통 100 kg보다 큰 중량에 비추어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한다. 그러한 기구는 외부 레일들과 연결되는 작동 유닛, 연소가스 통로의 입구부 근방에서 터빈 하우징에 부착되기 위한 풀리, 상기 풀리와 작동 유닛 사이에 제공되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 및 상기 케이블 또는 와이어를 상기 라이너와 연결하기 위한 부착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전진 및 후퇴 기구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가스 터빈의 라이너를 위한 다른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는 상술한 디바이스의 일부 동일한 특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라이너의 전방 단부는 연소가스 통로의 입구부에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서로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2개의 내부 레일을 포함하며, 각각의 레일은 터빈 하우징에 부착되며 각각의 레일은 제1 직선형 부분을 구비한다. 2개의 외부 레일이 서로에 대해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터빈 하우징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된다. 내부 레일 및 외부 레일의 인접한 자유 단부들은 다른 단부에 대해 완전히 정렬상태로 배치될 수 있고, 여기서 내부 레일 및 외부 레일은 그 축방향에서 이동 가능하게 라이너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차이는 여기서 시작될 수 있으며, 그러한 디바이스는 터빈 하우징에 부착되기 위한 회전 가능한 고정구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외부 레일은 상기 회전 가능한 고정구들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며, 상기 회전 가능한 고정구들은 상기 내부 레일들의 자유 단부들에 인접한 외부 레일들의 자유 단부들이 서로에 대해 상기 자유 단부들의 완전한 정렬을 갖는 제1 회전 위치와, 외부 레일들이 라이너를 로드(load) 및/또는 언로드(unload)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위치를 갖는 제2 회전위치 사이로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한 해법은, 내부 레일들의 구조에 관계없이, 2개의 평행한 외부 레일 사이에서 표면으로서 걸쳐있는 평면의 경사에 의해 제공된, 정확한 각 위치(angular position)에 라이너를 제공하도록 허용한다.
그러한 디바이스는 양호하게 제2 회전 위치를, 외부 레일들이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어 있는 위치, 즉 빌딩 그라운드(building ground) 관점에서, 특히 의도된 라이너 개구 부근에서 수평 위치로 라이너를 제공하는 승강기 관점에서 걸쳐있는 평면이 수평인 위치로서 제공한다.
그러한 디바이스는 비-탈착가능한 방법으로 안내 바상에 활주가능하게 배치되도록 회전 가능한 고정구들을 가질 수 있으며, 그때 상기 안내 바는 터빈 하우징에서 탈착가능한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회전 가능한 고정구들은 탈착가능한 방법으로 안내 바상에 활주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그때 상기 안내 바는 터빈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다음에 회전 가능한 고정구들의 작동 요소는 안내 바에 연결되는 터닝(turning) 요소들과 결합하고, 여기서 마찰 코팅 또는 마찰 디스크들이 작동 요소와 회전 가능한 고정구들의 표면들 사이뿐만 아니라, 회전 가능한 고정구들과 안내 바 사이에 제공되고, 반면에 힘 작용 스프링을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제동력 형성 스크류가 작동 요소와, 회전 가능한 고정구들과 안내 바의 각각의 플랜지 표면들 사이에 제공된다.
라이너 개구들이 보통 원 또는 타원이기 때문에, 안내 바는 터빈 하우징에서 관련 라이너 개구의 원주에 제공되는 안내 링이 될 수 있다.
안내 바는 하나 이상의 상보형 기어 휠 또는 마찰 휠 각각과 결합되는 기어 로드 또는 마찰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및 외부 안내 레일들의 자유 단부들을 양호하게 연결하기 위해서, 내부 레일들 및 외부 레일들의 반대편 자유 단부들은 중공이 될 수 있고, 여기서 레일들 중 하나의 중공 단부들 중 하나는 연결용 후퇴식 핀을 위한 위치설정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설정 디바이스는 레일들 사이의 연속 연결을 위해 관련된 다른 레일의 상보형 중공 단부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관련된 자유 단부 외측으로 특정 길이로 상기 핀을 미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하나의 레일의 하나의 중공 단부는 중공 단부의 원통형 표면에서 슬릿을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핀의 작동 슬롯에 결합될 수 있는 툴을 통해 상기 후퇴식 핀의 후퇴를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라이너를 연소가스 통로의 입구부에 연결하기 위해 가스 터빈에 라이너를 장착하는 방법은,
- 상기 라이너를 의도된 라이너 개구 근방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 외부 안내 레일들을 라이너에 부착하는 단계,
- 안내 레일들과 연결된 부착 고정구들을 터빈 케이싱에 체결되기 위한 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
- 상기 부착 고정구들을 터빈 케이싱에 체결하는 단계,
- 상기 부착 고정구들에 의해 지지되는 부착된 라이너에 의하여 외부 안내 레일들을 회전시켜 상기 외부 안내 레일들의 내부 자유 단부들을 상기 내부 안내 레일들의 인접한 자유 단부들과 정렬하는 단계,
- 내부 레일들 및 외부 레일들의 상기 자유 단부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 라이너와 터빈 케이싱 사이에 전진 및 후퇴 기구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 상기 내부 및 외부 레일들을 따라 라이너를 전진시켜 상기 라이너를 연소가스 통로의 입구부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반대 과정으로서, 연소가스 통로의 입구부에 연결된 가스 터빈에서 라이너를 분해하는 방법은,
- 부착 고정구들을 터빈 케이싱에 체결하는 단계,
- 외부 안내 레일들을 회전시켜 상기 외부 안내 레일들의 내부 자유 단부들을 상기 내부 안내 레일들의 인접한 자유 단부들과 정렬하는 단계,
- 내부 레일들 및 외부 레일들의 상기 자유 단부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 라이너와 터빈 케이싱 사이에 전진 및 후퇴 기구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 상기 연소가스 통로의 입구부와의 연결로부터 상기 내부 및 외부 레일들을 따라 상기 라이너를, 상기 라이너가 단지 외부 레일들상에만 배치되는 위치로 후퇴시키는 단계,
- 상술한 선택적 연결 단계를 사용하였다면, 다음에 내부 레일들의 상기 자유 단부들을 외부 레일들의 자유 단부들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 상술한 선택적 분리 단계를 사용하였다면, 다음에 터빈 케이싱으로부터 전진 및 후퇴 기구를 분리하는 단계,
- 상기 부착 고정구들에 의해 지지되는 부착된 라이너에 의하여 안내 레일들과 연결된 상기 부착 고정구들을, 미리 정해진 각 위치에서 상기 라이너를 분해하기 위한 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
- 상기 부착 고정구들을 상기 터빈 케이싱으로부터 해제하는 단계, 및
- 의도된 라이너 개구 근방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상기 라이너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끝으로 가스 터빈은, 터빈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내부 안내 레일들을 포함하는 라이너를 위한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전진 및 후퇴 기구의 추가 고정 수단뿐만 아니라 상기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의 부착 고정구를 위한 부착 수단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라이너는 제1 위치(예로서, 크레인에 의해 디바이스로 하강된)라고 부르는 "수평 방향"으로 디바이스에 고정될 수 있고, 다음에 외부 구조물은 라이너 위치에 의존하여 터닝될 수 있고, 라이너가 제2 위치에 대해 정확한 각도 방향을 가지고 케이싱 내로 밀려 들어갈 수 있다.
"장착 플랜지(mounting flange)" 및 "액자 플랜지(picture frame flange)"상의 슬롯들은 라이너가 장착 링 연결부를 지나 이동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2개의 슬롯을 가진다.
라이너는 허니콤 실(honeycomb seal) 내로 출구 플랜지의 큰 표면부와 연결되기 위해 축방향으로 라이너 입구 단부 부근에 있는 "액자 플랜지"를 향하여 이동되어야 한다.
장치는 EHS에 맞추어서 신속하고 독립적인 라이너 교체 및 설치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장치는 외부 장비 없이 다른 조립 또는 분해 단계 중에 라이너의 전체 중량을 지탱한다. 장치는, 라이너가 엔진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사용된다는 사실로부터 독립적으로 안전한 방법으로 라이너를 집어올리고 취급하도록 허용하는 전용 형태 끼워맞춤 경계면들(form fit interfaces)을 포함한다. 장치는 엔진 내부에 있는 이웃한 라이너들과 엔진 외부에 있는 캔 연소기들 사이에 한정된 공간을 고려하고, 뿐만 아니라 이웃한 케이싱들의 지지 형태부을 최소화하며 덧붙여 부근의 보조 시스템과 충돌하지 않을 것을 요구한다. 장치는 모든 버너 위치와 맞추어지며 또한 동시적 유지보수 작동을 허용하는 모듈러(modular) 디자인을 가진다.
그러한 장치는 계획된 C 및 D 검사 중에 또는 한번 또는 여러 번의 캔 연소기를 서비스하는 것처럼 계획되지 않은 검사 중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곡된 레일들의 사용의 장점은, 안내 레일의 축방향 길이방향을 따라 요소를 전진시킨 후에 안내 레일의 마지막 센티미터들(last centimeters)은 레일들의 길이방향 축선과 다른 방향으로 전방부를 안내하며 가스 통로의 입구부에 대해 라이너의 출구 플랜지의 직접적인 축방향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특히 실, 예로서 허니콤 실이 있는 경우에, 전방 단부와 가스 통로의 입구부와의 개선된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안내 레일들의 추가 장점은, 안내 레일이 케이싱 바로 앞에서 끝나기 때문에 안내 레일이 디바이스 내에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이다. 케이싱 내부에 장착하기 위해 라이너는 초기에, 라이너를 장착 또는 분해하기 위해 케이싱에 부착되는 별개의 안내 레일 부재 또는 외부 안내 레일들에 부착된다. 라이너를 외부 안내 레일들에 부착한 후 2개의 안내 레일 부분은 케이싱에 고정된 안내 레일 부분과 정렬된다. 외부 안내 레일 부분은 다른 연소기 케이싱들 각각을 서비스한 후 배치되고 멀리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장점은, 외부 안내 레일들이 중공일 때 적어도 그곳의 전방 단부 부분이 적어도 외부 안내 레일들에 인접하여 또한 중공인 설치된 안내 레일들에 이웃하여 있어서, 연결 핀이 어느 단부로부터 관련된 안내 레일 단부의 중공부 내로 도입될 수 있으므로, 안내 레일들에 부착된 라이너가 2-부품 안내 레일들의 그때 연결된 부분들을 따라 밀려갈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다른 장점은, 외부 안내 레일들에 부착된 터닝 요소이다. 상기 외부 안내 레일들의 고정구는 서비스 요원이 수평으로 제공된 안내 레일들 상에서 부착된 라이너 또는 연소기 케이싱에서 시작할 수 있다. 다음에 장착 다음 단계에서, 이러한 안내 레일들은 라이너의 메인 축선에 평행한 축선, 즉 라이너의 상류섹션에 있는 축선을 중심으로 터닝 유닛을 작동시킴으로써 턴될 수 있다. 하나 또는 양쪽 안내 레일들의 터닝을 통해 안내 레일들상에 장착된 라이너의 이러한 회전은 안내 레일들의 외부 바들의 자유 단부들을 내부 바들의 관련된 자유 단부들 앞으로 향하게 하고, 가능하면 연속적으로 형태 끼워맞춤 접속점을 제공한다. 다음에 외부 바들의 자유 단부들 사이에서 가상 연결 라인의 배향 또는 각도가 연소기 케이싱이 터빈 내로 전진되도록 허용하면서 달성된다. 이것은 용이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며, 왜냐하면 라이너가 비스듬한 배향에서 바라보지 않고 외형(contour) 둘레의 모든 라이너 위치에 제공되는 표준 레일로서의 안내 레일들로부터 인계받기(take over from) 위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는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 설명되며, 도면은 본 발명의 현재의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하지만 이러한 양호한 실시예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동일한 라이너의 2개의 다른 위치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의 부품들의 2개의 확대 도면을 포함하여, 터빈의 부품들의 부분 횡단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의 부품들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점선으로 도시된 라이너의 요소들과 함께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부품들의 다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블록 부착부를 갖는 도 3a의 라이너의 부품을 도시한다.
도 4는 점선으로 도시된 케이싱 및 라이너 부품들을 갖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및 외부 구조물의 부품들을 도시한다.
도 5는 트롤리(trolley)(9)를 갖는 안내 링(7)을 도시한다.
도 6은 다른 라이너를 위한 인접한 하우징 개구를 갖는 터빈 하우징에 장착된 도 4 및 도 5의 요소들을 도시한다.
도 7a는 본질적으로 도 4 내지 도 6의 요소들의 메인 라이너 축선의 방향에서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7b는 도 7a의 선 Ⅶ b를 따라 트롤리 및 레일 부분을 지나는 단면을 도시한다.
도 7c는 도 7a의 선 Ⅶ c를 따라 트롤리 및 레일 부분을 지나는 단면을 도시한다.
도 8은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의 부품들의 2개의 확대 도면을 포함하여, 터빈의 부품들, 라이너 및 도 1에 따른 디바이스의 부분 횡단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다른 장착/분해 단계들에서 설명하기 위해 2개의 다른 위치에서 도시된 라이너(1)를 갖는 터빈의 부품들의 부분 횡단 측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1은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의 부품들의 2개의 확대 도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시작점은 회전 외형 둘레에 제공된 연소기들이 제거되어 있고 라이너(1)가 여전히 제 위치에 있는 폐쇄 상태에 있는 엔진이다. 본 발명의 주요 목표는 하나의 라이너(1)(교대로)를 그 작업 장소(라이너(1)와 함께 도시된)에서 분해하며 서비스 후에 보관소로 다시 복귀시키기 위한 용이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라이너(1)를 제거하기 전에 외부 위치에 있는 라이너(1)가 도면부호(1')를 받았다.
도 2는 점선으로 도시된 터빈 하우징(13)를 갖는 도 1에 따른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의 부품들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따른 디바이스는 2개의 주요 부품: 내부 구조물(2) 및 외부 구조물(3)로 구성된다. 내부 구조물(2)은 터빈 베인 캐리어(14)를 터빈 하우징(13)에 연결하는 2개의 내부 레일(4)을 포함한다. 내부 레일(4)들은 양호하게 금속 로드 또는 바이며, 이는 중실체 또는 중공체가 될 수 있다. 레일들의 다른 특징들은 이하에 설명된다. 현재의 맥락에서 내부 레일(4)들은 라이너(1) 외형과 터빈 하우징(13)과 제 위치의 이웃한 라이너들 사이의 충돌을 피하기 위한 형상으로 되는 ㄱ것이 중요하다. 각각의 내부 레일(4)은 굴곡부(44)와 연결되어 있는 2개의 본질적으로 직선형 부분(34, 34')을 포함한다. 긴 상부 직선형 부분(34)은 라이너(1)의 메인 몸체에 관련되고, -라이너(1)의 작동 위치에서- 라이너 메인 축선(main axis)(101)에 평행하다. 짧은 하부 직선형 부분(34')은 라이너 출구 플랜지(112)에 관련되고, -라이너(1)의 작동 위치에서- 라이너 출구 축선(111)에 평행하다. 주의할 것은, 라이너 출구 축선(111)은 라이너 출구 플랜지(112)의 메인 전방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되고, 라이너 출구 축선(11)은 터빈 축선(211)에 평행하다는 것이다. 2개의 직선형 부분 사이의 각도는 라이너 형태에 의존하며, 예로서 10도와 30도 사이에 있다. 짧은 하부 직선형 부분(34')의 자유 단부들은 양호하게 터빈 베인 캐리어(14)의 플랜지에 있는 구멍들에 박혀있다. 내부 레일(4)들이 하우징(13)에 볼트(6)를 통해 고정될 때, 터빈 베인 캐리어(14)에 있는 상기 구멍들에 고정을 위해 특정한 추가의 필요성이 없다.
라이너(1)는 전체 제거 및 조립 공정 중에 라이너를 지지 및 안정하게 하는 하부 구조물(2)의 이러한 레일(4)들과 결합하는 2개의 전용 형태 끼워맞춤 구멍(15)들을 양측면에서 포함한다. 주의해야 할 것은, 외측 위치에서 라이너(1)의 메인 길이방향 축의 축 배향(101')이 라이너(1)의 작동 위치에 있을 때의 축선(101)과 다르다는 것이다. 이것은, 라이너의 전방 부착 형태 끼워맞춤 구멍(15)이 -작동 위치를 향해 항상- 굴곡부(44)를 통과하였고, 상기 다른 방향으로 짧은 직선형 부분(34')에 전진하여 전방의 마지막 센티미터에서 라이너를 피봇하였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외부 구조물(3)은 안내 링(7)상에서 이동 가능한 단일 트롤리(9)에 볼트로 접합된 2개의 외부 레일(8)을 포함한다. 안내 링(7)은 원형이다. 안내 링은 2개의 절반으로 이루어지고, 내부 레일 플랜지(21)들 및 클램핑 플레이트(5)들에 부착, 예로서 볼트로 접합된다. 양호하게, 표준 볼트가 사용되어 안내 링(7)을 2개의 내부 레일 플랜지(21) 및 하나 이상의 클램핑 플레이트(5)에 체결한다. 여기서 2개의 클램핑 플레이트(5) 및 짧은 대형(heavy-duty) 볼트(6)가 사용되어 내부 레일 플랜지(21)들 및 클램핑 플레이트(5)들을 터빈 하우징(13)에 체결한다. 대형 볼트는 내부 레일 플랜지(21)들의 신속하고 확실한 체결을 허용하도록 짧다. 볼트 헤드는 통상적으로 육각형이며 또한 안내 링(7)에서의 이동 중에 트롤리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짧아진다. 각각의 내부 레일 플랜지(21)는 하나의 에지에서 긴 직선형 부분(34)에 부착되며 반대편에서 내부 레일 플랜지(21)에 부착되는 사다리꼴 금속 플레이트(41)를 포함한다. 라이너(1)에 부착되는 플랜지(50)들은 개구(51)들을 포함하여, 라이너(1)의 플랜지(50)들이 금속 플레이트(41)의 부착 위치를 지나가도록 허용한다. 이때 클램핑 플레이트(5)들은 안내 링(7)을 지지 및 안내하기 위해 사용된다.
안내 링(7)은 엔진 유지보수 중에 시간을 줄이기 위해 2개의 트롤리(9)와 함께 원피스로서 조립되어야 한다. 관련된 내부 레일 플랜지(21)들을 갖는 내부 레일(4)들은 터빈 하우징(13)에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으므로, 내부 레일(4)들이 터빈의 작동 중에 장착된 채로 유지된다. 안내 링(7)은 터빈 하우징(13), 하우징 플랜지의 외측 표면상에 제공된 구멍들 및 마찬가지로 라이너(1)에 대해 같은 중심을 가지고 있다.
외부 레일(8)들의 상부 단부에서 브래킷(22)은 태클/호이스트(tackle/hoist)(10)를 보유한다. 금속 와이어(12)는 상기 태클/호이스트(10)를 채용하는 라이너(1)를 밀고 당기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대안으로서, 또한 체인 블록이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 태클/호이스트(10)는 자동-파괴 디바이스이며, 손 또는 모터(전기/공압/수압) 구동식이 될 수 있다. 금속 와이어(12)가 라이너(1)에 훅되며, 라이너를 밀어서 엔진에 넣고 끌어당겨서 엔진에서 꺼낼 수 있게 허용한다. 금속 와이어(12)를 갖는 라이너(1)는 카라비너(carabiner)(29) 또는 전용 구멍(24)들에 볼트로 접합된 아이볼트에 의하여 또는 라이너 몸체 주위에 단단히 결합된 래칫 벨트를 통해 훅 결합된 블록(28)을 통해 유지될 수 있다.
풀리(11)는 금속 와이어(12)를 감아 올려 당김 방향을 변화시키는데 사용된다. 이것은 라이너(1)를 중력에 대항하여 유지하기 위해 엔진의 하부 절반에서 라이너(1)의 교체 중에 필요하다. 터빈 베인 캐리어(14)에서 풀리(11)를 위해 이용가능한 구멍은 또한 유지보수 중에 필요한 아이볼트 또는 다른 승강 형태부에도 채용될 수 있다. 밀고/당기는 디바이스의 상기 설명으로부터 종래 기술과 다른 많은 밀고 당기는 디바이스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구조를 따라 라이너(1)를 이동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도 3a는 점선으로 도시된 라이너(1)의 요소들과 함께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부품들의 다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라이너 상에 블록 부착부(30)를 가지며 점선으로 도시된 라이너(1)의 부품을 도시한다. 또한 도 3a로부터 라이너(1)가 그 구조물의 양단부에서 2개의 수용부(reception)(15)를 각각 갖는 플랜지(50)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모든 수용부(15)는 내부 레일(4)을 포획하며 이것을 내부 레일(4)들 아래에 유지한다. 내부 레일(4)들뿐만 아니라 외부 레일(8)들은 당연히 일정한 미리 정해진 거리에서 서로 평행하다. 하부 라이너 플랜지(50)에 있는 슬롯(52)들은 부착부의 스프링 작용을 허용하기 위해 수용부(15) 근방에 제공된다.
라이너(1) 측면들에 있는 전용 구멍들 또는 용접된 블록(24 또는 25)들은 라이너를 훅으로 걸어(hook) 밀고 당기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블록(23)들은 호이스트(10) 반대편에 있는 베인 케이싱(14)에서 와이어(12) 및 풀리(11)와의 연결로서 추가의 승강/포착 형태부로서 구멍(24)에 볼트로 접합될 수 있다. 추가의 경계면 형태부(25)는 다른 측면에서 라이너(1)를 포착하도록 허용한다. 라이너(점선으로 도시된)에 부착된 블록(23)의 실례가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점선으로 도시된 케이싱 및 라이너 부품들을 갖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및 외부 구조물(2, 3)의 부품들을 도시한다. 외부 레일(8)들은 상기 외부 레일(8)에 연결된, 예로서 용접된 하나의 긴 에지를 갖는 금속 연결 플레이트(81), 긴 측면을 따라 연결 플레이트(81)에 연결된 횡단 플레이트(82), 및 레일 단부 플레이트(91)를 포함하며, 여기서 연결 플레이트(81)의 짧은 내부 에지 및 횡단 플레이트(82)의 단부가 트롤리(9)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있다. 레일 단부 플레이트(91)들은 예를 들어 트롤리(9)들에 볼트로 접합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81)는 플레이트(9)에 이러한 부착부의 십자형 횡단면을 제공하는 추가의 금속 플레이트(81)들에 의해 보강된다. 금속 플레이트들(81, 82)은 외부 레일(8)의 외측 단부를 향하여 테이퍼링(tapering)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용부(15)들은 플랜지(50)의 횡단 방향에서 및 플랜지(50)에서 개구(51)와 형태-끼워맞춤 된다. 또한 내부 레일(4)들의 로드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 개방된 수용부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제 연결 플레이트들(41, 81)의 통과를 허용하는 슬릿에 대해 그때 큰 개구(51)를 위한 보조 폐쇄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서, 내부 레일(4)들 및 외부 레일(8)들이 인접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리되어 있고 외부 레일(8)이 내부 레일(4)들의 분리된 연장부인 것을 알 수 있다. 내부 레일(4)들과 외부 레일(8)들 사이의 레일 연속성은 도 7b와 연결지어 설명되는 플러그-인 핀(plug-in pin)(20)들에 의해 보장된다. 이러한 핀(20)들에는 각각의 외부 레일(8)에 제공된 슬릿(31)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도 5는 트롤리(9)들을 갖는 안내 링(7)을 도시한다. 트롤리(9)들은 각각 피니언(16)을 보유하며, 상기 피니언(16)은 다른 도면과 연결되어 설명하게 되는 바와 같이 안내 링(7)의 내부 측면의 기어들과 결합한다. 안내 링(7)이 케이싱(13)에 부착되기 때문에, 트롤리(9)들은 이중 화살표(90)를 따라 회전할 수 있으며, 즉 따라서 안내 링(7) 주위로의 레일(8)들의 회전은 형태-끼워맞춤 구멍(15)들에 의해 2개의 외부 레일(8)에 부착된 라이너(1)의 기울기를 제공한다.
도 6은 다른 라이너를 위한 인접한 하우징 개구(33)들을 갖는 터빈 하우징(13)에 장착된 도 4 및 도 5의 요소들을 도시한다. 트롤리(9)들은 이미 외부 레일(8)들 및 내부 레일(4)들의 인접한 자유 단부들이 서로 정렬되어 있는 위치로 회전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 레일(8)들에서 형태-끼워맞춤 구멍(15)들을 통해 제 위치에 유지된 라이너(1)는 내부 레일(4)들로 밀려갈 수 있고 그 반대로 할 수 있다.
도 7a는 본질적으로 도 4 내지 도 6의 요소들의 메인 라이너 축선의 방향에서의 도면을 도시한다. 주목해야 할 것은, 십자형으로 보이는 축선(101)이 라이너(1)의 작동 위치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다. 도 7b는 도 7a의 선 Ⅶ b를 따라 트롤리 및 레일 부분을 지나는 단면을 도시하고, 도 7c는 도 7a의 선 Ⅶ c를 따라 트롤리 및 레일 부분을 지나는 다른 단면을 도시한다.
트롤리(9)들은 한 쌍의 롤러(27) 내에서 케이싱(13)에 고정된 안내 링(7)상에서 전체에 걸쳐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롤러들은 안내 링(7)에 따른 형태-끼워맞춤 형상을 가지며 양측면에서부터 안내 링(7)과 결합한다. 트롤리(9)들 각각은 안내 링(7)의 내부 측면에서 기어 휠(19)들과 결합하는 피니언(16)을 보유한다. 피니언(16)의 작동을 통해 트롤리(9)들은 외부 레일(8)들 및 상기 외부 레일(8)들에 부착된 라이너(1)와 함께 이제 표준 스패너/래칫 조합을 채용하며 터닝될 수 있다. 고마찰 코팅(18), 예를 들어 소결된 라이닝 마찰 와셔가 케이싱(13)의 관점에서 미리 정해진 각 위치에 트롤리(9)를 블록킹하며 그러한 미리 정해진 각 위치에 외부 구조 요소(3)들 모두를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피니언(16)에 배치되어 압축 스프링(32)을 미는 특별한 너트(17)가 제동력의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다시 말하면, 안내 바(17)는 하나 이상의 상보형 기어 휠(9)에 의해 결합되는 기어 로드를 포함한다. 마찰 휠(27)들은 안내 바(7)상에 배치된 트롤리(9)를 유지한다. 또한 피니언(16)이 상기 링(7)을 회전시키기 위한 안내 링(7)의 직접 결합을 위한 마찰 휠(27)들과 유사한 마찰 휠들과 직접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퇴식 핀(20)은 정확한 방법으로 외부 레일(8)들을 내부 레일(4)들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둥근 헤드를 갖는 핀(20)들은 -이중 화살표(90)를 따라 트롤리(9)를 터닝하여 레일(8)들의 정렬 시에- 정렬 시에 핀(20')의 위치를 찾기 위해 레일(8)들의 중공 자유 단부에서 작동 스프링(35)의 힘에 대항하여 후퇴할 것이다. 그러한 핀들은 그러한 형태에서 외부 레일(8)들 내로 후퇴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또한 마찬가지로 내부 레일(4)들 내로 후퇴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핀(20)의 작동 슬릿(36)에는 외부 레일(8)의 중공 자유 단부에 있는 슬릿(31)을 통해 접근할 수 있어서 핀의 위치(20')로부터 뒤로 핀(20)을 밀어서 외부 레일(8)들을 정렬 위치로부터 수용/해제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즉 터빈 하우징(13)의 구멍으로부터 밖으로 나오면, 라이너(1)가 터닝되어 어떤 필요한 위치에 로크(lock)될 수 있다. 그러한 수용/해제 위치는 보통 수평 위치이며, 즉 2개의 외부 레일(8)이 동일한 높이에 있으므로 레일(8)들상에서 라이너(1)를 해제시켜 터빈으로부터 멀리 운반될 수 있다.
끝으로, 도 8은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의 부품들의 2개의 확대 도면을 포함하여, 터빈의 부품들, 라이너(1) 및 도 1에 따른 디바이스의 부분 횡단 사시도를 도시한다.
내부 구조물(2) 및 외부 구조물(3)은 라이너(1)가 엔진에서 제거되어 레일들 상에 바로 적재될 때까지 제거 도중에 정렬되어 있어야 한다. 일단 밖에서는, 라이너(1)는 여전히 캔 연소기의 원주상 패턴으로서 배향되며, 금속 와이어(12)를 통해 또는 다른 길이방향 제거 장치를 통해 태클/호이스트(10)에 의해 보유되게 된다. R-클립, 헤어핀/코터핀(hairpin/cotter pin) 또는 히치핀(hitch pin)이 라이너(1)를 외부 레일(8)들에 고정하여 필요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한 횡단 구멍들이 라이너(1)의 2개의 플랜지(50)의 거리가 요구한 것보다 조금 더 큰 특정 거리에서 외부 레일(8)들 내에 제공된다.
장치는 원형(도 6) 및 타원형(도 7) 버너 구멍들 모두와 끼워맞추어지도록 만들어져 있다. 단일 부품들 모두가 중량에 관하여 EHS에 순응하며, 단일 작업자에 의해 취급될 수 있다. 제거/조립 중에 외부 바(8)들은 라이너(1)와 함께 유지되며 트롤리(9)들 및 안내 링(7)들에 대해 신속한 플러그 인을 가능하게 한다.
라이너(1)를 연소가스 통로의 입구부와 연결하기 위해 가스 터빈에 라이너(1)를 장착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작동 방법은:
- 라이너(1)를 의도된 라이너 개구 근방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 외부 안내 레일(8)들을 상기 라이너(1)에 부착하는 단계,
- 안내 레일(8)들과 연결된 부착 고정구들(7, 9)을 터빈 케이싱(13)에 체결되기 위한 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
- 상기 부착 고정구들(7, 9)을 상기 터빈 케이싱(13)에 체결하는 단계,
- 상기 부착 고정구들(7, 9)에 의해 지지되는 부착된 라이너(1)에 의하여 외부 안내 레일(8)들을 회전시켜 상기 외부 안내 레일(8)들의 내부 자유 단부들을 상기 내부 안내 레일(4)들의 인접한 자유 단부들과 정렬하는 단계,
- 내부 레일(4)들 및 외부 레일(8)들의 상기 자유 단부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 라이너(1)와 터빈 케이싱(13, 14) 사이에 전진 및 후퇴 기구(10, 11, 12)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 상기 내부 및 외부 레일들(4, 8)을 따라 상기 라이너(1)를 전진시켜 상기 라이너를 연소가스 통로의 입구부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당연히, 상술한 방법에 따라 장착된 라이너 -또는 어떤 다른 라인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부 레일들을 설치할 수 있는 경우- 는 연소가스 통로의입구부와 연결된 가스 터빈에서 라이너를 분해하는 방법을 필요로 하며, 분해 방법은:
- 부착 고정구들(7, 9)을 터빈 케이싱에 체결하는 단계,
- 외부 안내 레일(8)들을 회전시켜 상기 외부 안내 레일(8)들의 내부 자유 단부들을 내부 안내 레일(4)들의 인접한 자유 단부들과 정렬하는 단계,
- 내부 레일(4)들 및 외부 레일(8)들의 상기 자유 단부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 라이너(1)와 터빈 케이싱(13, 14) 사이에 전진 및 후퇴 기구(10, 11, 12)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 상기 연소가스 통로의 입구부와의 연결로부터 상기 내부 및 외부 레일들(4, 8)을 따라 상기 라이너(1)를, 상기 라이너가 단지 외부 레일(8)들상에만 배치되는 위치로 후퇴시키는 단계,
- 내부 레일(4)들의 상기 자유 단부들을 상기 외부 레일(8)들의 자유 단부들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단계,
- 상기 터빈 케이싱(13, 14)으로부터 전진 및 후퇴 기구(10, 11, 12)를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단계,
- 상기 부착 고정구들(7, 9)에 의해 지지되는 부착된 라이너(1)에 의하여 안내 레일(8)들과 연결된 상기 부착 고정구들(7, 9)을, 미리 정해진 각 위치에서 상기 라이너(1)를 분해하기 위한 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
- 상기 부착 고정구들(7, 9)을 상기 터빈 케이싱(13)으로부터 해제하는 단계, 및
- 의도된 라이너 개구(33) 근방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상기 라이너(1)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1,1' 라이너 25 블록/경계면
2 내부 구조물 26 헤어핀/코터핀
3 외부 구조물 27 롤러
4 내부 레일 28 블록
5 클램핑 플레이트 29 카라비너
6 볼트 31 슬릿
7 안내 링 32 압축 스프링
8 외부 레일 33 인접한 하우징 개구
9 트롤리 34,34' 직선형 부분
10 태클/호이스트 35 작동 슬롯
11 풀리 36 작동 스프링
12 금속 와이어 41 연결 플레이트
13 터빈 하우징 44 굴곡부
14 터빈 베인 캐리어 50 플랜지
15 형태-끼워맞춤 구멍 51 개구
16 피니언 52 슬롯
17 너트 81 연결 플레이트
18 마찰 코팅 82 횡단 플레이트
19 기어 90 이중 화살표
20,20' 플러그-인/후퇴식 핀 101,101' 메인 라이너 축선
21 내부 레일 플랜지 111 내부 출구 축선
22 브래킷 112 내부 출구 플랜지
23 블록 211 터빈 축선
24 구멍

Claims (15)

  1. 가스 터빈의 라이너(1)를 위한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로서, 상기 라이너(1)의 전방 단부(112)는 연소가스 통로의 입구부에 연결 또는 분리되고, 서로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내부 레일(4)로서, 각각의 내부 레일이 터빈 하우징(13, 14)에 부착될 수 있고, 각각의 내부 레일이 제1 직선형 부분(34)를 갖는, 상기 2개의 내부 레일(4), 서로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상기 터빈 하우징(13, 14)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는 2개의 직선형 외부 레일(8)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레일(4) 및 외부 레일(8)의 인접한 자유 단부들은 서로에 대해 완전히 정렬상태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내부 레일(4) 및 외부 레일(8)은 그 축방향에서 이동 가능하게 라이너(1)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내부 레일(4)들은 굴곡부(44)를 통해 상기 제1 직선형 부분(34)에 연결되는 제2 직선형 부분(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레일(4)들의 전방 자유 단부들은 상기 터빈 하우징(13), 양호하게는 상기 하우징 내의 수용 구멍들에 부착될 수 있고, 및/또는 상기 내부 레일(4)들의 베이스 자유 단부들은 연결 플레이트(41)들을 통해 상기 터빈 하우징(13, 14)에 부착될 수 있는,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레일(8)들은 연결 플레이트(41)들을 통해 상기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는,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레일(4) 및 외부 레일(8)을 따라 상기 라이너(1)를 전진 및 후퇴시키기 위한 전진 및 후퇴 기구(10, 11, 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진 및 후퇴 기구는 상기 외부 레일(8)들과 연결되는 작동 유닛(10), 상기 연소가스의 통로의 입구부 근방에서 상기 터빈 하우징(13, 14)에 부착되기 위한 풀리(11), 상기 풀리(11)와 상기 작동 유닛(10) 사이에 제공되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12), 및 상기 케이블 또는 와이어(12)를 상기 라이너(1)와 연결하기 위한 부착 요소들을 포함하는,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
  5. 제1항의 전제부 또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터빈 하우징(13, 14)에 부착되기 위한 회전 가능한 고정구(9)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외부 레일(8)은 상기 회전 가능한 고정구(9)들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며, 상기 회전 가능한 고정구들은 상기 내부 레일(4)들의 자유 단부들에 인접한 상기 외부 레일(8)들의 자유 단부들이 서로에 대해 상기 자유 단부들의 완전한 정렬을 갖는 제1 회전 위치와, 상기 외부 레일(8)들이 상기 라이너(1)를 로드 및/또는 언로드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위치를 갖는 제2 회전위치 사이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능한 고정구(9)들은 비-탈착가능한 방법으로 안내 바(7)상에 활주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안내 바(7)는 상기 터빈 하우징(13)에서 탈착가능한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는,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능한 고정구(9)들은 탈착가능한 방법으로 안내 바(7)상에 활주식으로 배치되며, 상기 안내 바(7)는 상기 터빈 하우징(13)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
  8.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능한 고정구(9)들의 작동 요소(16)는 상기 안내 바(7)에 연결되는 터닝 요소들(19, 27)과 결합하고, 마찰 코팅 또는 마찰 디스크(18)들이 상기 작동 요소(16)와 상기 회전 가능한 고정구(9)들의 표면들 사이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 가능한 고정구(9)들과 상기 안내 바(7) 사이에 제공되고, 힘 작용 스프링(32)을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제동력 형성 스크류(17)가 상기 작동 요소(16)와, 상기 회전 가능한 고정구(9)들과 상기 안내 바(7)의 각각의 플랜지 표면들 사이에 제공되는,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바는 상기 터빈 하우징(13)에서 관련 라이너 개구(33)의 원주에 제공되는 안내 링(7)인,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바(7)는 하나 이상의 상보형 기어 휠(19) 또는 마찰 휠(27)과 제각기 결합되는 기어 로드 또는 마찰 표면을 포함하는,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레일(4)들 및 외부 레일(8)들의 반대편 자유 단부들은 중공이고, 상기 레일들(4, 8) 중 하나의 중공 단부들 중 하나는 연결용 후퇴식 핀(20)을 위한 위치설정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설정 디바이스는 상기 레일들(4 및 8) 사이의 연속 연결을 위해 관련된 다른 레일(8 또는 4)의 상보형 중공 단부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관련된 자유 단부 외측으로 특정 길이로 상기 핀을 미는 스프링(35)을 포함하는,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하나의 레일에서의 하나의 중공 단부는 상기 중공 단부의 원통형 표면에서 슬릿(31)을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핀(20)의 작동 슬롯(35)에 결합될 수 있는 툴을 통해 상기 후퇴식 핀(20)의 후퇴를 가능하게 하는,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
  13. 라이너를 연소가스 통로의 입구부에 연결하기 위해 가스 터빈에 라이너를 장착하는 방법으로서,
    - 상기 라이너(1)를 의도된 라이너 개구(33) 근방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
    - 외부 안내 레일(8)들을 상기 라이너(1)에 부착하는 단계,
    - 안내 레일(8)들과 연결된 부착 고정구들(7, 9)을 터빈 케이싱(13)에 체결되기 위한 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
    - 상기 부착 고정구들(7, 9)을 상기 터빈 케이싱(13)에 체결하는 단계,
    - 상기 부착 고정구들(7, 9)에 의해 지지되는 부착된 라이너(1)에 의하여 외부 안내 레일(8)들을 회전시켜 상기 외부 안내 레일(8)들의 내부 자유 단부들을 상기 내부 안내 레일(4)들의 인접한 자유 단부들과 정렬하는 단계,
    - 내부 레일(4)들 및 외부 레일(8)들의 상기 자유 단부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 라이너(1)와 터빈 케이싱(13, 14) 사이에 전진 및 후퇴 기구(10, 11, 12)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 상기 내부 및 외부 레일들(4, 8)을 따라 상기 라이너(1)를 전진시켜 상기 라이너를 연소가스 통로의 입구부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착 방법.
  14. 연소가스 통로의 입구부에 연결된 가스 터빈에서 라이너를 분해하는 방법으로서,
    - 부착 고정구들(7, 9)을 터빈 케이싱에 체결하는 단계,
    - 외부 안내 레일(8)들을 회전시켜 상기 외부 안내 레일(8)들의 내부 자유 단부들을 상기 내부 안내 레일(4)들의 인접한 자유 단부들과 정렬하는 단계,
    - 내부 레일(4)들 및 외부 레일(8)들의 상기 자유 단부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 라이너(1)와 터빈 케이싱(13, 14) 사이에 전진 및 후퇴 기구(10, 11, 12)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 상기 연소가스 통로의 입구부와의 연결로부터 상기 내부 및 외부 레일들(4, 8)을 따라 상기 라이너(1)를, 상기 라이너가 단지 외부 레일(8)들상에만 배치되는 위치로 후퇴시키는 단계,
    - 내부 레일(4)들의 상기 자유 단부들을 상기 외부 레일(8)들의 자유 단부들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단계,
    - 상기 터빈 케이싱(13, 14)으로부터 전진 및 후퇴 기구(10, 11, 12)를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단계,
    - 상기 부착 고정구들(7, 9)에 의해 지지되는 부착된 라이너(1)에 의하여 안내 레일(8)들과 연결된 상기 부착 고정구들(7, 9)을, 미리 정해진 각 위치에서 상기 라이너(1)를 분해하기 위한 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
    - 상기 부착 고정구들(7, 9)을 상기 터빈 케이싱(13)으로부터 해제하는 단계, 및
    - 의도된 라이너 개구(33) 근방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상기 라이너(1)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해 방법.
  15. 가스 터빈으로서,
    터빈 하우징(13)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내부 안내 레일(4)들을 포함하는 라이너(1)를 위한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전진 및 후퇴 기구(10, 11, 12)의 추가 고정 수단뿐만 아니라 상기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의 부착 고정구(9)를 위한 부착 수단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가스 터빈.
KR1020160030356A 2015-03-12 2016-03-14 가스 터빈의 라이너를 위한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 및 그 관련 방법 KR201601102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58897.7 2015-03-12
EP15158897.7A EP3067627B1 (en) 2015-03-12 2015-03-12 Mounting and dismounting device for a liner of a gas turbine and a relate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268A true KR20160110268A (ko) 2016-09-21

Family

ID=52633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356A KR20160110268A (ko) 2015-03-12 2016-03-14 가스 터빈의 라이너를 위한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 및 그 관련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32243B2 (ko)
EP (1) EP3067627B1 (ko)
JP (1) JP2016173105A (ko)
KR (1) KR20160110268A (ko)
CN (1) CN1060145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47700B2 (en) * 2013-02-19 2016-09-20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Thermally free hanger with length adjustment feature
US10088167B2 (en) * 2015-06-15 2018-10-02 General Electric Company Combustion flow sleeve lifting tool
PL3414491T3 (pl) * 2015-12-31 2023-05-22 General Electric Company Układy podnoszenia zespołu komory spalania i sposoby ich stosowania do montażu i usuwania zespołów komory spalania
CN108015521B (zh) * 2016-11-04 2023-07-21 科华控股股份有限公司 一种使用摆动垫片代替垫圈的增压器涡壳衬套装配压入机构
KR102073965B1 (ko) * 2018-08-30 2020-02-0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연소기 조립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연소기 조립방법
DE102019114029A1 (de) * 2019-05-24 2020-11-26 Lufthansa Technik Aktiengesellschaft Werkzeug zur Halterung der Hochdruckwelle eines Flugzeugtriebwerks
JP7426859B2 (ja) * 2020-03-12 2024-02-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接合用支持治具
US11873727B2 (en) 2021-04-15 2024-01-16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hoisting gas engine assemblies
US11725817B2 (en) * 2021-06-30 2023-08-15 General Electric Company Combustor assembly with moveable interface dilution opening
US11773772B2 (en) 2021-07-19 2023-10-03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r removal of one or more combustion cans
US11732614B2 (en) 2021-12-27 2023-08-22 Pratt & Whitney Canada Corp. Gas turbine engine case fixture assembly with platform adaptor
DE102022210466A1 (de) 2022-10-04 2024-04-04 Siemens Energy Global GmbH & Co. KG Aufhängungssystem für ein Mannloch, Gasturbine und Verfahre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7296B2 (ja) * 1995-09-11 1999-03-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取付、取外し装置
GB2306155B (en) * 1995-10-11 1997-11-19 Toshiba Kk Apparatus and method for disassembling and assembling gas turbine combuster
JP5010521B2 (ja) * 2008-03-28 2012-08-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燃焼器尾筒案内治具及びガスタービンの燃焼器の取り外し方法、並びに製造方法
US8657273B2 (en) * 2008-08-12 2014-02-25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Jig
EP2236939A1 (de) * 2009-03-27 2010-10-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Montage und Demontage eines Bauteils einer Gasturbine
JP5495687B2 (ja) 2009-09-16 2014-05-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燃焼器尾筒の着脱用治具及び燃焼器尾筒の組立方法
EP2565399A1 (de) * 2011-09-02 2013-03-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Montage bzw. Demontage eines Bauteils an bzw. in einer stationären Gasturbine und Verfahren zur Montage und Demontage von einem Bauteil einer stationären Gasturbine
JP5743094B2 (ja) 2011-10-27 2015-07-01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回転機械の部材組み立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32243B2 (en) 2018-11-20
EP3067627B1 (en) 2019-09-18
CN106014505B (zh) 2020-03-17
JP2016173105A (ja) 2016-09-29
US20160265440A1 (en) 2016-09-15
EP3067627A1 (en) 2016-09-14
CN106014505A (zh) 201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10268A (ko) 가스 터빈의 라이너를 위한 장착 및 분해 디바이스 및 그 관련 방법
US87579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 shroud block in a casing
EP3061925B1 (en) Gas turbine engine module adapter to a carrier
US20150354597A1 (en) Method for attaching/removing vane ring and auxiliary support device for vane segment used in said method
US7716817B2 (en) Index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stator bars
US10006763B2 (en) Accumulator assembly fixture
WO2010075393A2 (en) Gas turbine engine and system for servicing a gas turbine engine
US10190646B2 (en) Servicing 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a brake device of a brake system having a horizontally arranged brake disc
EP3134642B1 (en) Alignment tool, system and method for the connection of wind turbine tower segments
CN106247406A (zh) 燃烧流动套筒升降工具
US20150337685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unting and removing a turbine component
EP274345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and removing a turbine transition piece
CN105402773B (zh) 安装或拆除、更换和维护筒形燃烧器的装置和方法
US112870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rame assembly for RTR scanner assembly
CN105312886A (zh) 用于安装和除去涡轮构件的方法及装置
EP2811123A1 (en) Apparatus for pivoting an upper portion of a turbine shell
WO2015060734A1 (en) Nozzle segment removal tool and method
US9260281B2 (en) Lift efficiency improvement mechanism for turbine casing service wedge
JP3219374U (ja) 軸回り用吊り天秤
JP7236401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取出し移送用吊治具および取出し移送方法。
CN116793171A (zh) 一种基于拱架安装机的快速装药设备及其使用方法
JPH0349357B2 (ko)
CN105397463A (zh) 安装或拆除、替换和维护发动机的构件的组装工具的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