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835A - 전립선 및 방광염을 위한 마늘 추출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립선 및 방광염을 위한 마늘 추출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835A
KR20160109835A KR1020150034972A KR20150034972A KR20160109835A KR 20160109835 A KR20160109835 A KR 20160109835A KR 1020150034972 A KR1020150034972 A KR 1020150034972A KR 20150034972 A KR20150034972 A KR 20150034972A KR 20160109835 A KR20160109835 A KR 20160109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temperature
mixture
aging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7313B1 (ko
Inventor
최명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엔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엔에이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엔에이치
Priority to KR1020150034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313B1/ko
Publication of KR20160109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23L1/30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pro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bladd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Garl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립선을 위한 마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추출물 제조 방법은, 원료 마늘을 분쇄하여 마늘 분쇄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마늘 분쇄물에 상기 원료 마늘의 1/N 중량%의 꿀을 첨가하여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N은 3 내지 7인 자연수인, 상기 혼합물 생성 단계, 상기 혼합물을 고온에서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혼합물을 저온에서 발효하는 단계, 및 상기 발효된 발효물을 상기 혼합물 생성 단계, 상기 고온 숙성 단계, 및 상기 저온 발효 단계를 N 회 거치도록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립선 및 방광염을 위한 마늘 추출물의 제조 방법 {METHOD FOR EXTRACTING GARLIC FOR PROSTATE AND CYSTITIS}
본 발명은 전립선 및 방광염을 위한 마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늘은 건강에 매우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마늘에는 스크로토스 등의 탄수화물과 아미노산의 일종인 알리인이 들어 있다. 마늘의 냄새는 황화아릴이며 비타민 B를 많이 함유하고 있다. 마늘의 알리신 성분은 세포가 죽거나 파괴되면 공존하는 효소 알리나아제에 의해 분해되어 항균성 물질인 알리신으로 된다. 알리신은 신경안정 작용을 하여 피로해 있을 때는 자극과 영양을 준다. 또한 외부로부터의 자극을 완화시키거나 활력을 높인다.
이러한 마늘의 효능에도 불구하고 매운 맛과 특유의 냄새로 쉽게 식용하기 곤란하다. 이에 마늘 추출물 등으로 제조되고 있다. 다만 마늘의 효능을 유지하면서 매운 맛이 제거된 마늘 추출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공개특허 제10-2001-009585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늘의 효능을 유지하면서 매운 맛이 제거된 마늘 추출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추출물 제조 방법은, 원료 마늘을 분쇄하여 마늘 분쇄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마늘 분쇄물에 상기 원료 마늘의 1/N 중량%의 꿀을 첨가하여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N은 3 내지 7인 자연수인, 상기 혼합물 생성 단계, 상기 혼합물을 고온에서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혼합물을 저온에서 발효하는 단계, 및 상기 발효된 발효물을 상기 혼합물 생성 단계, 상기 고온 숙성 단계, 및 상기 저온 발효 단계를 N 회 거치도록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온 숙성 단계에서 고온 숙성 기간은 2일 내지 4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온 발효 단계에서 저온 발효 기간은 상기 고온 숙성 기간의 1/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온 숙성 단계에서 고온 숙성 온도는 60 내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온 발효 단계에서 저온 발효 온도는 30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늘의 효능을 유지하면서 매운 맛이 제거된 마늘 추출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늘 추출물 제조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추출물 제조 방법은, 원료 마늘을 분쇄하여 마늘 분쇄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마늘 분쇄물에 상기 원료 마늘의 1/N 중량%의 꿀을 첨가하여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N은 3 내지 7인 자연수인, 상기 혼합물 생성 단계, 상기 혼합물을 고온에서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혼합물을 저온에서 발효하는 단계, 및 상기 발효된 발효물을 상기 혼합물 생성 단계, 상기 고온 숙성 단계, 및 상기 저온 발효 단계를 N 회 거치도록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온 숙성 단계에서 고온 숙성 기간은 2일 내지 4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온 발효 단계에서 저온 발효 기간은 상기 고온 숙성 기간의 1/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온 숙성 단계에서 고온 숙성 온도는 60 내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온 발효 단계에서 저온 발효 온도는 30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마늘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늘 추출물 제조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마늘 추출물 제조 방법은 분쇄 과정, 혼합 과정, 고온 숙성 과정, 저온 발효 과정, 반복 과정, 및 액상 추출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1) 분쇄 과정
파쇄기를 이용하여 원료 마늘을 분쇄한다(S110). 파쇄기에 들어가는 원료 마늘은 껍질이 제거된 마늘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료 마늘은 생마늘을 물에 침지하여 껍지링 충분히 팽윤되게 한 후, 강한 공기압을 가하여 껍질을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2) 혼합 과정
마늘 분쇄물에 분쇄된 마늘량의 1/N 중량%의 꿀을 첨가하여 혼합한다(S120). 여기서 N은 자연수로서, 3 내지 7인 것이 바람직하며, 5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3) 고온 숙성 과정
혼합물을 고온에서 숙성시킨다. 숙성 온도는 60 내지 70℃인 것이 바람직하며, 75℃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고온 숙성 기간은 2일 내지 4일인 것이 바람직하고, 3일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숙성시 혼합물을 교반하여 혼합물이 동일한 비율로 숙성되도록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숙성과정을 통해 마늘의 유기산 중에서 초산과 구연산의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마늘은 항균 작용이 있어서 발효가 쉽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고온에서 숙성하므로써 발효균의 활성을 저해하는 성분의 생성을 억제하고 초기 발효속도를 빠르게 진행시킬 수 있다.
4) 저온 발효 과정
고온 숙성 후, 숙성된 혼합물을 발효시킨다. 발효 온도는 30 내지 40℃의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36℃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저온 발효 기간은 고온 숙성 기간 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고, 고온 숙성 기간의 1/3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온 숙성 기간이 3일인 경우, 저온 발효 과정은 1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온 발효 과정은 생성된 유기산을 중심으로 발효미생물의 생성과 활동을 거쳐서 새로운 유기산을 다량으로 생성시킬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초산은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노화의 주범인 활성산소를 파괴하는 작용을 하고 칼슘의 흡수를 촉진하여 전립선 및 방광에 도움을 주는 작용을 한다. 구연산의 경우는 우리 몸의 산소 이용률을 높이는데 필료한 성분중의 하나인데 이 성분은 체내 에너지 방출을 도와 몸속에 낡은 물질이 남아 있지 못하게 하여 신장 및 전립선과 방광에 직접적으로 도움을 준다. 또한 구연산의 강력한 살균 작용은 방광과 전립선의 염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어 염증을 제거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염분의 배출은 신장 및 방광과 전립선에 또다른 도움을 준다
5) 숙성 및 발효 반복 과정
위 고온 숙성 및 저온 발효 과정을 반복한다. 이 때 이전 숙성 및 발효된 혼합물에 다시 1/N의 꿀을 더 혼합한 후, 위 고온 숙성 및 저온 발효 과정을 한다. 이러한 반복 과정은 N회 반복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꿀(봉밀)을 혼합하는 이유는 마늘의 수분을 뺏기지 않도록 하면서 온전한 숙성과 발효를 거치도록 하기위함이다 숙성과 발효과정에서 마늘의 수분의 상실은 마늘세포의 삼투압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고유의 알리신 등의 추출과 각종 유기산의 생성이 원활하지 못함을 상기의 발명을 통해 알았기 때문이다. 꿀은 숙성과정에서 유기산의 생성과 발효과정에서 미생물의 생성과 활력을 위해 선택한 최적의 혼합물이며 꿀 본연의 다량의 유기물은 전립선과 방광에 좋은 영양과 흡수를 도울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숙성 및 발효 과정, 그리고 반복 과정을 통해 매운 맛이 제거된 마늘의 효능을 유지하는 마늘 추출물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1회성의 발효과정으로 마늘 액을 추출하는 방법 보다, 10배 내지 20 배 가량 추출물을 더 얻을 수 있었다.
6) 추출 과정
최종 숙성 및 발효된 마늘/꿀 혼합물의 액상을 추출한다. 액상 추출은 원심분리 또는 미세한 채나 여과지를 이용하여 액상을 분리할 수 있다. 진공 또는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액상 추출물을 농축할 수 있다.
최종 추출된 마늘 추출물은 알리신 성분 등을 포함하는 짙은 검은색의 겔상태의 고상으로, 강한 냄새와 특이한 마늘의 방향이 나지 않는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추출물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생마늘 5Kg을 원료로 하는 경우, 이를 분쇄하여 마늘 분쇄물을 얻는다. 5Kg의 마늘 분쇄물에 1Kg의 꿀을 혼합한다. 이 제1 혼합물을 65℃에서 3일간 고온 숙성시켜 제1 숙성물을 얻는다. 숙성시 1일에 3회정도 교반시킨다. 이 후, 제1 숙성물을 1일간 36도에서 저온 발효시켜 제1 발효물을 얻는다. 이 후, 제1 발효물에 1Kg의 꿀을 혼합한다. 제2 혼합물은 위 고온 숙성 과정을 거쳐 제2 숙성물로 되고, 제2 숙성물은 위 저온 발효 과정을 거쳐 제2 발효물로 된다. 이러한 혼합, 숙성, 및 발효 과정은 총 5회 반복된다. 최종 발효물에서 액상을 추출하여 마늘 추출물을 얻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5)

  1. 원료 마늘을 분쇄하여 마늘 분쇄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마늘 분쇄물에 상기 원료 마늘의 1/N 중량%의 꿀을 첨가하여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N은 3 내지 7인 자연수인, 상기 혼합물 생성 단계;
    상기 혼합물을 고온에서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혼합물을 저온에서 발효하는 단계;
    상기 발효된 발효물을 상기 혼합물 생성 단계, 상기 고온 숙성 단계, 및 상기 저온 발효 단계를 N 회 거치도록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늘 추출물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숙성 단계에서 고온 숙성 기간은 2일 내지 4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추출물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발효 단계에서 저온 발효 기간은 상기 고온 숙성 기간의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추출물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숙성 단계에서 고온 숙성 온도는 60 내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추출물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발효 단계에서 저온 발효 온도는 30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추출물 제조 방법.
KR1020150034972A 2015-03-13 2015-03-13 전립선 및 방광염을 위한 마늘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747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972A KR101747313B1 (ko) 2015-03-13 2015-03-13 전립선 및 방광염을 위한 마늘 추출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972A KR101747313B1 (ko) 2015-03-13 2015-03-13 전립선 및 방광염을 위한 마늘 추출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835A true KR20160109835A (ko) 2016-09-21
KR101747313B1 KR101747313B1 (ko) 2017-06-14

Family

ID=57080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972A KR101747313B1 (ko) 2015-03-13 2015-03-13 전립선 및 방광염을 위한 마늘 추출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3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543A (ko) * 2018-12-27 2020-07-07 오종찬 생강을 주원료로 한 발효액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027A (ko) 2017-10-23 2019-05-02 (주)예스킨 만성 방광염 개선 식품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853A (ko) 2000-04-12 2001-11-07 채문식 마늘추출물의 전립선암 및 방광암 예방 및 치료제로서의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853A (ko) 2000-04-12 2001-11-07 채문식 마늘추출물의 전립선암 및 방광암 예방 및 치료제로서의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543A (ko) * 2018-12-27 2020-07-07 오종찬 생강을 주원료로 한 발효액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7313B1 (ko) 201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31176B (zh) 一种海藻生物复合有机液肥的生产方法
CN106701851B (zh) 一种大蒜素的提取方法
CN103666744A (zh) 一种浓香芝麻油制备工艺
KR101747313B1 (ko) 전립선 및 방광염을 위한 마늘 추출물의 제조 방법
CN103393156A (zh) 复合处理脱除鱼肉腥味的方法
CN103981016A (zh) 山桐子油的快速提取方法
JP2011050338A (ja) 未利用有機物を用いた有用カビ類菌発酵物による高機能性素材の生産方法及び未利用有機物のリサイクル方法
CN104522445B (zh) 一种柿子全果原浆沙司及其制备方法
JP2015147702A (ja) 活性化フルボ酸の製造方法および活性化フルボ酸含有水溶液
KR20210048214A (ko) 이취가 제거된 마늘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3360611A (zh) 一种从杜仲叶、皮或果中提取杜仲胶的方法
KR101387190B1 (ko) 천년초 선인장을 이용한 발효산물을 제조하는 방법
CN108530140A (zh) 一种用于甘蔗高产的有机肥及其制备方法
Cecchi et al. Biocascading: General Strategy for the Recovery of Valuable Substances from Food Waste
KR101786272B1 (ko) 솔잎 및 소나무의 다른 부위에서 추출한 효소발효액을 이용한 솔잎 재발효물 제조방법
KR101562294B1 (ko) 생약재와 어류 부산물을 이용한 발효소스의 제조방법
CN104593155A (zh) 一种提取玛咖精油的方法
KR970074923A (ko) 홍삼식초의 제조방법
JP2007174908A (ja) 食酢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22501A (ja) 蟻とミミズを用いた健康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Abd-Aziz et al. Chemical Substitutes from Agricultural and Industrial By-Products: Bioconversion, Bioprocessing, and Biorefining
JP4787486B2 (ja) 液体肥料の製造方法
JP3192807U (ja) 容器入り無臭ニンニク液体含有皮膚改善剤
CN106418126A (zh) 一种海藻除味剂及使用方法
KR20100104159A (ko) 미네랄, 한방제 강화 기능성 첨가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