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737A - 방한용 보조창 - Google Patents

방한용 보조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737A
KR20160109737A KR1020150034725A KR20150034725A KR20160109737A KR 20160109737 A KR20160109737 A KR 20160109737A KR 1020150034725 A KR1020150034725 A KR 1020150034725A KR 20150034725 A KR20150034725 A KR 20150034725A KR 20160109737 A KR20160109737 A KR 20160109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unlocking
cap
coupl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7209B1 (ko
Inventor
장충식
Original Assignee
장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충식 filed Critical 장충식
Priority to KR1020150034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209B1/ko
Publication of KR20160109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03Storm doors; Combination-screen-and-storm-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한용 보조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창틀의 내측에 구비된 방한용 보조창에 있어서,
상기 보조창은 단열지케이싱의 내부로 탄성권취부에 의하여 권취축에 감겨진 단열지가 인,입출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단열지케이싱의 양측단부에 단열지가이드의 상단이 결합되어지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단열지가이드의 하단에 가이드지지바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단열지 케이싱의 외부로 인출된 단열지의 양측단부가 단열지가이드에 끼워지고, 상기 단열지의 하단부에 언록킹부를 갖는 손잡이부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한용 보조창{SECONDARY WINDOWS FOR COLD WEATHER}
이 발명은 방한용 보조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열지케이싱의 내부로 단열지가 권취축에 구비된 탄성권취부에 의하여 인,입출되게 구비되어 창틀의 내측으로 제공되는 공간에 설치되어 내,외부가 차단되어지는 가운데 환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창문에는 겨울철 창문 틈새로 들어오는 외풍이나 창문을 통한 열손실을 막기 위한 방안으로 창문 전체를 비닐로 막거나, 두꺼운 커튼을 장착하게 된다.
비닐로 창문 전체를 막는 방법은 봄이 되면 창문에 부착되었던 비닐을 다시 제거해야 하고, 다시 겨울이 오면 비닐을 매번 붙여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부착된 비닐로 인해 창문 주변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커튼을 이용하여 창문을 막는 방법은 직물로 이루어진 커튼이 겨울철 창문을 통한 열손실을 막아주는 기능은 어느 정도 우수한 반면, 실내의 보온 효과를 위해 별도의 두꺼운 커튼을 장착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커튼만으로는 창문 틈새로 외풍이 들어오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차광 기능을 갖는 블라인더나 롤스크린을 통해 열손실을 차단하는 방법도 있었으나, 블라인더나 롤스크린은 입사되는 강한 햇빛을 차단하는 역할이 주된 기능이기 때문에 겨울철 창문 틈새로 들어오는 외풍을 적절히 차단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록특허공보 제10-1308759호(2013.09.09)의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이 제안되었으나, 창문틈새를 막기 위해 결속프레임의 안내홈으로 차단부재가 삽입되도록 한 후 안내홈에 밀폐부재의 밀착바가 삽입되도록 하는 별도의 밀폐공정이 필요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단부재를 오픈시킬 경우에는 안내홈에 삽입된 밀착바의 분리가 선행되어져야 하는 동일한 문제점이 있었고, 밀착바의 삽입과 분리가 반복되는 가운데 밀착바 또는 차단부재가 파손 및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로 인하여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로 인하여 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08759호(2013.09.09)
이 발명은 단열지가 열리고 닫히는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창문 틈새로 들어오는 외풍을 완전하게 차단하여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단열지가 열리고 닫히는 과정에서 단열지의 파손이나 변형이 방지되도록 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발명은 창틀의 내측에 구비된 방한용 보조창(A)에 있어서, 상기 보조창(A)은 단열지케이싱(10)의 내부로 탄성권취부(20)에 의하여 권취축(30)에 감겨진 단열지(40)가 인,입출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단열지케이싱(10)의 양측단부에 단열지가이드(50)의 상단이 결합되어지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단열지가이드(50)의 하단에 가이드지지바(60)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단열지 케이싱(10)의 외부로 인출된 단열지(40)의 양측단부가 단열지가이드(50)에 끼워지고, 상기 단열지(40)의 하단부에 언록킹부(70)를 갖는 손잡이부(80)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열지케이싱(10)은 내부에 단열지 보관을 위한 보관부(1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게 성형되어지고, 상기 단열지케이싱(10) 바닥의 후방측에 인,입출홀(12)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인,입출홀(12)의 내측으로 수평더브테일(13)이 형성되어 수평모헤어(14)가 삽입되어지고, 상기 단열지케이싱(10)의 양측단부에 마구리캡(15)이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구리캡(15)은 단순캡(15a)과 탄성조절캡(15b)으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단순캡(15a)은 제1캡몸체(151a)의 내측면에 회전지지축(152a)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탄성조절캡(15b)은 제2캡몸체(151b)의 내측면에 너트홀(152b-1)을 갖는 고정편(152b)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고정편(152b) 사이에 워엄기어(153b)가 삽입되어지며, 상기 워엄기워(153b)에 워엄휠(145b)이 맞물려지게 구비되어지되, 상기 워엄휠(154b)은 축방향으로 절취홈(155b-1)을 갖는 힌지축(155b)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힌지축(155b)이 힌지홀(156b-1)을 갖는 고정판(156b)을 관통하여 노출되어지고, 상기 고정판(156b)이 고정편(152b)에 맞대어져 나사(S)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권취부(20)는 코일스프링(21)으로 구비되어지되, 상기 코일스프링(21)의 일측단부는 일측 스프링 지지캡(22)이 구비되어지며, 가압로드(24)의 타측이 일측 스프링 지지캡(22)을 관통하여 힌지축(155b)의 절취홈(155b-1)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코일스프링(21)의 타측단부는 타측 스프링 지지구(23)이 구비되어 권취축(30)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키홈(32)에 걸려지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권취축(30)은 관통홀(31)의 내주연부에 걸림키홈(32)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며, 외주연부에 T형고정편(3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T형고정편(33) 사이에 단열지(40)가 단열지고정편(34)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권취축(30)의 양측단부에 각각 일측 스프링 지지캡(22)과 권취캡(35)이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열지가이드(50)는 내측에 수직방향을 갖는 단열지가이드홈(51)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단열지가이드홈(51)의 상부에 하부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단열지유도부(5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단열지가이드홈(51)의 하부에 언록킹삽입홈(5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단열지가이드홈(51)의 내측으로 위치된 단열지가이드(50)의 내측에 각각 수직더브테일(54)이 형성되어 수직모헤어(55)가 삽입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열지(40)의 단부에 결합된 언록킹부(70)를 갖는 손잡이부(80)는 손잡이몸체(91)의 상부에 단열지고정홈(911)이 형성되어 단열지(40)의 하단부에 감겨진 고정핀(92)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손잡이몸체(91)의 하부에 실링슬라이드홈(912)이 형성되어 하부에 모헤어(931)가 구비된 슬라이더(93)가 삽입되어지되, 상기 슬라이더(93)에 만곡형태를 갖는 탄성부재(932)가 삽입되어 슬라이더(93)가 항상 하부로 인출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언록킹부(70)는 상기 손잡이몸체(91)의 양측에 구비된 요부형 언록킹체(70a)와 상기 요부형 언록킹체(70a)와 대응되게 단열지가이드(50)의 언록킹삽입홈(53)에 삽입된 철부형 언록킹체(70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부형 언록킹체(70a)는 제1언록킹몸체(71a)의 내측에 탄성후크편(72a)이 형성되어 손잡이몸체(91)에 형성된 후크홈(913)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제1언록킹몸체(71a)의 외측으로 형성된 요입홈(73a)에 스프링탄성고리(74a)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1언록킹몸체(71a)의 상단 외측 모서리에 단열지 고정편(75a)이 형성되어 단열지(40)의 모서리가 리벳(R)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철부형 언록킹체(70b)는 상기 단열지가이드(50)의 하부 내측으로 형성된 언록킹 삽입홈(53)에 제2언록킹몸체(71b)가 삽입되어지고, 상기 제2언록킹몸체(71b)는 전면에 경사이드(72b)가 돌출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경사가이드(72b)의 하부에 탄성고리 가이드(73b)가 돌출되게 형성되어지되, 상기 경사가이드(72b)는 하부에 상부로 오목한 홈부(72b-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탄성고리 가이드(73b)는 상기 홈부(72b-1)를 향하여 돌출된 가운데 양측에 각각 만곡부(73b-1)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단열지케이싱의 내부로 단열지가 권취축에 구비된 탄성권취부에 의하여 인,입출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창틀의 내측으로 제공되는 공간을 용이하게 차단시켜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단열지가 열리고 닫히는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차단부재의 파손이나 변형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수명이 더 연장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단열지케이싱의 일측 하부로 노출된 워엄기어를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경우, 워엄기어에 맞물린 워웜휠이 회전하여 탄성권취부의 코일스프링의 감겨짐을 가감함으로써, 단열지가 열리고 닫히는 속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단열지가 펼쳐진 상태에서 팽팽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1은 이 발명에 따른 방한용 보조창이 창틀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이 발명에 따른 방한용 보조창을 도시한 사시도.
도3은 이 발명에 따른 방한용 보조창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4는 이 발명에 따른 방한용 보조창의 종단면 사시도.
도5는 이 발명에 따른 방한용 보조창의 횡단면 사시도.
도6은 이 발명에 따른 방한용 보조창에 있어 단열지 가이드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이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발명에 따른 방한용 보조창이 창틀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이 발명에 따른 방한용 보조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이 발명에 따른 방한용 보조창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이 발명에 따른 방한용 보조창의 종단면 사시도이고, 도5는 이 발명에 따른 방한용 보조창의 횡단면 사시도이고, 도6은 이 발명에 따른 방한용 보조창에 있어 단열지 가이드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한용 보조창은 창틀(B)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기존의 2중 창틀의 내부에 별도의 구비되도록 할 경우, 2중 창을 통해 연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방한용 보조창은 창틀상부프레임(F1)의 양측에 창틀사이드프레임(F2)의 상단이 맞대어지고, 상기 창틀사이드프레임(F2)의 하단 양측이 창틀하부프레임(F3)에 맞대어지게 구비되어 대략 사각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2중으로 창문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창틀은 중간부분에 별도의 공간부가 구비되어 각각의 내측으로 보조창(A)이 구비되도록 할 경우, 보조창(A)으로 인하여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경우에 따라 보조창(A)을 쉽게 오픈시켜 환기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보조창(A)은 창틀상부프레임(F1)의 내부에 단열지케이싱(10)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단열지케이싱(10)의 내부로 구비된 탄성권취부(20)에 의하여 권취축(30)에 감겨진 단열지(40)가 외부로 용이하게 인,입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열지케이싱(10)의 양측단부에는 단열지가이드(50)의 상단이 결합될 수 있게 창틀사이드프레임(F2)의 내부에 구비되어지고, 상기 단열지가이드(50)의 하단이 창틀하부프레임(F3)에 구비된 가이드지지바(60)에 결합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단열지 케이싱(10)의 외부로 인출된 단열지(40)의 양측단부는 각각 창틀사이드프레임(F2)의 내부에 구비된 단열지가이드(50)에 끼워져 공기 흐름이 거의 완벽에 가깝게 차단될 수 있게 구비되고, 상기 단열지(40)의 하단부에 언록킹부(70)를 갖는 손잡이부(80)가 결합되어 단열지(40)가 인출되어 닫혀진 상태가 유지되는 가운데 단열지(40)를 인입시켜 오픈시키고자 할 경우, 다시 하부로 내림과 동시에 언록킹부(70)에 의하여 언록킹되어 코일스프링(21)의 탄성력에 의하여 권취축(30)이 회전되어 풀려던 단열지(40)가 역방향으로 감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단열지 케이싱(10)은 내부에 단열지 보관을 위한 보관부(11)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단열지케이싱(10) 바닥의 후방측에 인,입출홀(12)이 형성되어 권취축(30)에 감겨진 단열지(40)가 상호간섭 없이 인,입출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인,입출홀(12)의 내측으로 수평더브테일(13)이 형성되어 수평모헤어(14)가 삽입되어 공간이 폐쇄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공기의 유출입을 더 막아 연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열지케이싱(10)의 양측단부에는 마구리캡(15)이 결합되어 내부로 구비된 탄성권취부(20) 및 권취축(30)에 감겨진 단열지(4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원활한 회전으로 인하여 단열지(40)가 감기거나 풀려질 수 있도록 하고, 감기거나 풀려지는 과정에서 탄성권취부(30)에 구비된 코일 스프링(21)에 탄성력이 저장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열지게이싱(1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형태를 갖도록 압출된 것을 소정 길이로 절단 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구리캡(15)은 단열지케이싱(10)의 양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그 기능에 따라 단순캡(15a)과 탄성조절캡(15b)으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단순캡(15a)은 제1캡몸체(151a)의 내측면에 회전지지축(152a)이 형성되어 권취축(30)에 결합된 권취캡(35)이 회전만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조절캡(15b)은 단열지케이싱(10)을 분리하지 않고도 내부에 있는 탄성권치부(20)의 코일스프링(21)의 탄성력을 가감하기 위한 것으로 제2캡몸체(151b)의 내측면에 너트홀(152b-1)을 갖는 고정편(152b)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고정편(152b) 사이에 워엄기어(153b)가 삽입되어지며, 상기 워엄기워(153b)에 워엄휠(145b)이 맞물려지게 구비되어있다.
상기 워엄휠(154b)은 축방향으로 절취홈(155b-1)을 갖는 힌지축(155b)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힌지축(155b)이 힌지홀(156b-1)을 갖는 고정판(156b)을 관통하여 노출되어지고, 상기 고정판(156b)이 고정편(152b)에 맞대어져 나사(S)로 결합된 상태에서 별도의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워엄기어(153b)를 회전시킬 경우, 맞물려 있는 워엄휠(154b)이 회전되면서 힌지축(155b)의 절취홈(155b-1)에 의하여 코일스프링(21)의 내부에 구비된 권취로드(24)가 회전됨으로써, 코일스프링(21)이 감겨져 더 높은 탄성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권취부(20)는 코일스프링(21)으로 구비된 것으로 코일스프링(21)의 일측단부는 일측 스프링 지지캡(22)이 구비되어지고, 일측 스프링 지지캡(22)을 관통한 권취로드(24)의 단부가 힌지축(155b)의 절취홈(155b-1)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코일스프링(21)의 타측단부는 타측 스프링 지지구(23)이 구비되어 권취축(30)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키홈(32)에 걸려지도록 하여 권취축(30)이 회전됨과 동시에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코일스프링(21)에 탄성력이 저장되거나 풀려질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일측 스프링 지지캡(22)과 코일 스프링(21) 및 타측 스프링 지지구(23)가 가압로드(24)에 의하여 관통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권취축(30)은 관통홀(31)의 내주연부에 걸림키홈(32)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며, 외주연부에 T형고정편(3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T형고정편(33) 사이에 단열지(40)가 단열지고정편(34)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권취축(30)의 양측단부에 각각 일측 스프링 지지캡(22)과 권취캡(35)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권취축(30)은 내부에 탄성권취부(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은 일측스프링지지캡(22)이 결합되어지고, 타측은 권취캡(35)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권취캡(35)의 단부에 별도의 조인축(351)이 구비되어 단순캡(15a)의 회전지지축(152a)에 결합되어 용이하게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단열지가이드(50)는 내측에 수직방향을 갖는 단열지가이드홈(51)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단열지가이드홈(51)의 상부에 하부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단열지유도부(5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단열지가이드홈(51)의 하부에 언록킹삽입홈(5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단열지가이드홈(51)의 내측으로 위치된 단열지가이드(50)의 내측에 각각 수직더브테일(54)이 형성되어 수직모헤어(55)가 삽입되어 내,외부의 공기 흐름이 완벽하게 차단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고정바(60)는 사각형태의 공간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것으로 상부면에 슬라이더(93)의 하부로 노출된 모헤어(931)가 맞닿음으로써, 공기의 유출입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열지(40)의 단부에 결합된 언록킹부(70)를 갖는 손잡이부(80)는 손잡이몸체(91)의 상부에 단열지고정홈(911)이 형성되어 단열지(40)의 하단부에 감겨진 고정핀(92)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손잡이몸체(91)의 하부에 실링슬라이드홈(912)이 형성되어 하부에 모헤어(931)가 구비된 슬라이더(93)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93)에 만곡형태를 갖는 탄성부재(932)가 삽입되어 슬라이더(93)가 항상 하부로 인출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언록킹부(70)는 인출된 단열지(40)가 항상 인출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이를 역방향으로 인입시킬 경우, 단순히 눌렀다 놓으면 원터치식으로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손잡이몸체(91)의 양측에 구비된 요부형 언록킹체(70a)와 상기 요부형 언록킹체(70a)와 대응되게 단열지가이드(50)의 언록킹삽입홈(53)에 삽입된 철부형 언록킹체(70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요부형 언록킹체(70a)는 제1언록킹몸체(71a)의 내측에 탄성후크편(72a)이 형성되어 손잡이몸체(91)에 형성된 후크홈(913)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제1언록킹몸체(71a)의 외측으로 형성된 요입홈(73a)에 스프링탄성고리(74a)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언록킹몸체(71a)의 상단 외측 모서리에 단열지 고정편(75a)이 형성되어 단열지(40)의 모서리가 리벳(R)으로 고정되어 장기간 사용하는 과정에서 모서리 부분이 찢어지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철부형 언록킹체(70b)는 상기 단열지가이드(50)의 하부 내측으로 형성된 언록킹 삽입홈(53)에 제2언록킹몸체(71b)가 삽입되어지고, 상기 제2언록킹몸체(71b)는 전면에 경사이드(72b)가 돌출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경사가이드(72b)의 하부에 탄성고리 가이드(73b)가 돌출되게 형성되어있다.
상기 경사가이드(72b)는 하부에 상부로 오목한 홈부(72b-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탄성고리 가이드(73b)는 상기 홈부(72b-1)를 향하여 돌출된 가운데 양측에 각각 만곡부(73b-1)가 일체로 형성되어 스프링탄성고리(74a)가 홈부(72b-1)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항상 걸려진 상태가 유지됨과 동시에 손잡이부(80)를 하부로 누룰 경우, 스프링탄성고리(74a)가 홈부(72b-1)에서 빠저나와 만곡부(73b-1)을 따라 이동하면서 어록킹상태가 유지됨으로써, 단열지(40)가 코일스프링(21)의 탄성력에 의하여 단열지케이싱(10)의 내부로 용이하게 인입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창틀상부프레임(F1)의 내부에 단열지케이싱(10)이 구비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일반적인 창틀 프레임의 전면에 맞대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피스 또는 접착 수단을 이용하여 창틀의 전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10:단열지케이싱
20:탄성권취부
30:권취축
40:단열지
50:단열지가이드
60:가이드지지바
70:언록킹부
80:손잡이부

Claims (9)

  1. 창틀의 내측에 구비된 방한용 보조창(A)에 있어서,
    상기 보조창(A)은 단열지케이싱(10)의 내부로 탄성권취부(20)에 의하여 권취축(30)에 감겨진 단열지(40)가 인,입출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단열지케이싱(10)의 양측단부에 단열지가이드(50)의 상단이 결합되어지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단열지가이드(50)의 하단에 가이드지지바(60)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단열지 케이싱(10)의 외부로 인출된 단열지(40)의 양측단부가 단열지가이드(50)에 끼워지고, 상기 단열지(40)의 하단부에 언록킹부(70)를 갖는 손잡이부(80)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보조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지케이싱(10)은 내부에 단열지 보관을 위한 보관부(1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게 성형되어지고, 상기 단열지케이싱(10) 바닥의 후방측에 인,입출홀(12)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인,입출홀(12)의 내측으로 수평더브테일(13)이 형성되어 수평모헤어(14)가 삽입되어지고, 상기 단열지케이싱(10)의 양측단부에 마구리캡(15)이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보조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구리캡(15)은 단순캡(15a)과 탄성조절캡(15b)으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단순캡(15a)은 제1캡몸체(151a)의 내측면에 회전지지축(152a)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탄성조절캡(15b)은 제2캡몸체(151b)의 내측면에 너트홀(152b-1)을 갖는 고정편(152b)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고정편(152b) 사이에 워엄기어(153b)가 삽입되어지며, 상기 워엄기워(153b)에 워엄휠(145b)이 맞물려지게 구비되어지되, 상기 워엄휠(154b)은 축방향으로 절취홈(155b-1)을 갖는 힌지축(155b)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힌지축(155b)이 힌지홀(156b-1)을 갖는 고정판(156b)을 관통하여 노출되어지고, 상기 고정판(156b)이 고정편(152b)에 맞대어져 나사(S)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보조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권취부(20)는 코일스프링(21)으로 구비되어지되, 상기 코일스프링(21)의 일측단부는 일측 스프링 지지캡(22)이 구비되어지며, 가압로드(24)의 타측이 일측 스프링 지지캡(22)을 관통하여 힌지축(155b)의 절취홈(155b-1)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코일스프링(21)의 타측단부는 타측 스프링 지지구(23)이 구비되어 권취축(30)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키홈(32)에 걸려지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보조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축(30)은 관통홀(31)의 내주연부에 걸림키홈(32)이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며, 외주연부에 T형고정편(3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T형고정편(33) 사이에 단열지(40)가 단열지고정편(34)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권취축(30)의 양측단부에 각각 일측 스프링 지지캡(22)과 권취캡(35)이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보조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지가이드(50)는 내측에 수직방향을 갖는 단열지가이드홈(51)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단열지가이드홈(51)의 상부에 하부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단열지유도부(5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단열지가이드홈(51)의 하부에 언록킹삽입홈(5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단열지가이드홈(51)의 내측으로 위치된 단열지가이드(50)의 내측에 각각 수직더브테일(54)이 형성되어 수직모헤어(55)가 삽입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보조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지(40)의 단부에 결합된 언록킹부(70)를 갖는 손잡이부(80)는 손잡이몸체(91)의 상부에 단열지고정홈(911)이 형성되어 단열지(40)의 하단부에 감겨진 고정핀(92)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손잡이몸체(91)의 하부에 실링슬라이드홈(912)이 형성되어 하부에 모헤어(931)가 구비된 슬라이더(93)가 삽입되어지되, 상기 슬라이더(93)에 만곡형태를 갖는 탄성부재(932)가 삽입되어 슬라이더(93)가 항상 하부로 인출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언록킹부(70)는 상기 손잡이몸체(91)의 양측에 구비된 요부형 언록킹체(70a)와 상기 요부형 언록킹체(70a)와 대응되게 단열지가이드(50)의 언록킹삽입홈(53)에 삽입된 철부형 언록킹체(70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보조창.
  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형 언록킹체(70a)는 제1언록킹몸체(71a)의 내측에 탄성후크편(72a)이 형성되어 손잡이몸체(91)에 형성된 후크홈(913)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제1언록킹몸체(71a)의 외측으로 형성된 요입홈(73a)에 스프링탄성고리(74a)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1언록킹몸체(71a)의 상단 외측 모서리에 단열지 고정편(75a)이 형성되어 단열지(40)의 모서리가 리벳(R)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보조창.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철부형 언록킹체(70b)는 상기 단열지가이드(50)의 하부 내측으로 형성된 언록킹 삽입홈(53)에 제2언록킹몸체(71b)가 삽입되어지고, 상기 제2언록킹몸체(71b)는 전면에 경사이드(72b)가 돌출되게 형성되어지며, 상기 경사가이드(72b)의 하부에 탄성고리 가이드(73b)가 돌출되게 형성되어지되, 상기 경사가이드(72b)는 하부에 상부로 오목한 홈부(72b-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탄성고리 가이드(73b)는 상기 홈부(72b-1)를 향하여 돌출된 가운데 양측에 각각 만곡부(73b-1)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보조창.
KR1020150034725A 2015-03-13 2015-03-13 방한용 보조창 KR101667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725A KR101667209B1 (ko) 2015-03-13 2015-03-13 방한용 보조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725A KR101667209B1 (ko) 2015-03-13 2015-03-13 방한용 보조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737A true KR20160109737A (ko) 2016-09-21
KR101667209B1 KR101667209B1 (ko) 2016-10-28

Family

ID=57080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725A KR101667209B1 (ko) 2015-03-13 2015-03-13 방한용 보조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2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8385Y1 (ko) * 1997-03-22 1999-06-15 박홍관 착탈식 방충망
KR20110007289A (ko) * 2009-07-16 2011-01-24 이춘배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 장치용 하우징
KR101206002B1 (ko) * 2012-08-27 2012-11-29 (주)인익스 장력 조절이 가능한 롤 방충망
KR20130091860A (ko) * 2012-02-09 2013-08-20 박수철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8385Y1 (ko) * 1997-03-22 1999-06-15 박홍관 착탈식 방충망
KR20110007289A (ko) * 2009-07-16 2011-01-24 이춘배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 장치용 하우징
KR20130091860A (ko) * 2012-02-09 2013-08-20 박수철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
KR101308759B1 (ko) 2012-02-09 2013-09-17 박수철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
KR101206002B1 (ko) * 2012-08-27 2012-11-29 (주)인익스 장력 조절이 가능한 롤 방충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7209B1 (ko) 2016-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0276B2 (en) Integrated multi-function window
EP3175073B1 (en) A retrofitable retractable screen system
US4757852A (en) Automatic mosquito curtain for windows and doors
TWI798227B (zh) 用於具有可調整滾筒位置的遮蓋物的底部軌條總成,以及相關方法
US20120012260A1 (en) Retractable shade assembly with adjustable side guides
KR101236750B1 (ko) 롤 스크린 장치가 내장되게 한 시스템 창호
KR101245822B1 (ko) 미서기창호의 회전식 방풍가이드
JP2005113577A (ja) 外付けロールスクリーン
KR101667209B1 (ko) 방한용 보조창
US2235295A (en) Window frame with built-in screen
KR20100062633A (ko) 롤스크린 장치
JPH10212878A (ja) ロ−ルスクリ−ン装置
US20190100923A1 (en) System for securing shade material to a roller shade
KR20160109738A (ko) 단열창을 갖는 단열 2중 창틀
KR200482821Y1 (ko) 텐션장치가 구비된 전동식 차양막
KR101870745B1 (ko) 단열겸용 방범셔터
KR101271947B1 (ko) 자동차의 선루프용 롤러블라인드
KR20170062008A (ko) 햇빛 차단 시스템이 부착된 단열복합창
KR101211704B1 (ko) 차량용 롤러 블라인드의 와이어 설치구조
KR200491073Y1 (ko) 블라인드 장치
KR20160060500A (ko) 창문용 블라인드 타입 보온 단열장치
KR200368596Y1 (ko) 차량용 차양장치
KR20180003393U (ko) 차량 도어용 차양 장치
JPH10280831A (ja) ロールスクリーン付きシャッター雨戸
KR20220074213A (ko) 패브릭 텐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