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289A -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 장치용 하우징 - Google Patents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 장치용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289A
KR20110007289A KR1020090064737A KR20090064737A KR20110007289A KR 20110007289 A KR20110007289 A KR 20110007289A KR 1020090064737 A KR1020090064737 A KR 1020090064737A KR 20090064737 A KR20090064737 A KR 20090064737A KR 20110007289 A KR20110007289 A KR 20110007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housing
fastening hole
fuselage
hol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배
Original Assignee
이춘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배 filed Critical 이춘배
Priority to KR1020090064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7289A/ko
Publication of KR20110007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2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방충망 장치용 하우징은 하우징 내부공간의 개구된 양측면은 나사를 통해 커버로 마감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모서리 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을 형성시키되, 상기 체결공이 외부로 부분 개구되도록 형성시켜 상기 하우징 내부공간이 방충망과 간섭되지 않는다.
창문, 방충망, 권취, 하우징

Description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 장치용 하우징{HOUSING STRUCTURE FOR FLY SCREEN OR ROLL SCREEN APPARATUS}
본 발명은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 장치용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이 대형화하는 경우에도 하우징 내에 위치된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이 원활하게 작동하는 구조를 갖는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 장치용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창틀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방충망은 알루미늄 샤시로 창틀과 같은 망틀을 형성한 후 이 망틀에 방충망을 고정, 부착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망틀형 방충망은 방충망이 망틀에 고정되어 있어서 불편하였는바, 방충망을 필요에 따라 펼치거나 권치할 수 있도록 된 방충망 장치가 개발되었다.
도 1, 도 2 , 도 3a, 및 도 3b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방충망을 펼치거나 권취할 수 있도록 된 방충망 장치의 분해사시도, 작동상태 설명도, 방충망 장치용 하우징의 부분확대 분해사시도와 단면도를 나타낸다.
방충망 장치는 방충망(130), 방충망(130)이 권취되는 권취부(150), 권취부가 삽입되어 위치되는 하우징(100), 방충망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170), 및 방 충망의 일측에 부착되는 손잡이(140)로 구성된다.
권취부(150)는 외주연을 따라 스프링(151)이 감겨진 안내바(152) 및 안내바가 내부로 삽입되도록 된 로울러(153)로 이루어진다. 로울러(153)에는 접착제 등의 적절한 고정수단에 의해 방충망(130)의 일측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방충망의 타측 단부에는 손잡이(140)가 부착된다. 스프링(151)은 그 일측 단부가 안내바(152)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어서 스프링부를 손으로 잡은 채로 안내바(152)만을 축회전시키면 스프링은 탄성력을 갖게 된다. 이 탄성력에 의해 권취부에 권취력이 발생되어서 방충망을 강제로 인출한 후 인출력을 제거하면 방충망은 자동으로 로울러에 되감기게 된다.
하우징(100)은 세장형 동체(110), 동체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인출부(112), 동체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고정되는 한쌍의 커버(120)로 구성된다. 동체(110)는 단면상으로 볼 때 ㄷ자형의 직교면들과 이 직교면들의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져서 일측이 개방된 내부공간(11)을 갖는다. 인출부(112)는 동체의 개방된 부분으로부터 동체와 일체가 되도록 연장되며 방충망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개구부(113)와 브러쉬 결합부(117)를 갖는다. 브러쉬 결합부(117)는 방충망(130)의 표면에 부착된 먼지 등을 제거하는 브러쉬(16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브러쉬 홈(116)을 갖는다. 브러쉬 결합부(117)와 브러쉬(160)는 필요에 따라 형성되는 구성부이다. 커버(120)는 하우징(100)의 단면 형상에 맞도록 형성되며 관통공(122)을 관통하는 나사(121)에 의해 동체(11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동체(110)의 양측 단부에는 나사체결공을 갖는 체결공 형성부(114)가 형성된다. 체결공 형성부(114)는, 도3a와 3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동체의 ㄷ자형의 단면상의 모서리와 경사면에 동체 내부공간(111)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되 체결공이 내부공간으로 부분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체결공을 형성하는 단턱(115)들은 동체 내부공간(111)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커버(120)에는 권취부의 안내바(152)의 양측 단부가 삽입되는 홈(126)을 갖도록 돌기부(125)가 형성된다.
이하에는 방충망 장치의 설치 및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권취부(150)에 권취력을 발생시킨 채로 권취부의 안내바(152)를 하우징 커버(120)의 홈(126)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커버(120)를 하우징 동체(110)의 양측 단부에 나사(121)로 고정시킨다. 안내레일(170)은 방충망의 양측 변부가 내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100) 양측 단부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방충망 장치가 창문 등에 설치되면, 손잡이(140)를 잡아당기는 경우 방충망이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어 안내레일을 따라 하강하며, 원하는 위치에서 손잡이의 고정부(141)를 누르면 고정부(141)에 결착된 스프링(미도시)이 고정편(143)을 안내레일(170) 내로 내입시켜서 방충망이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며, 다시 고정부(141)를 누르면 이번에는 고정편(143)이 안내레일로부터 분리되고 손잡이(140)로부터 손을 떼면 권취부의 권취력에 의해 방충망은 자동으로 하우징 내로 권취된다. 방충망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스프링 방식 외에도 자석식, 버튼식 등 다양한 방법이 실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충망 장치는 필요에 따라 방충망을 인출하여 고정하고 고정을 해제시키면 방충망이 자동으로 권취되어 매우 편리하나, 방충망 장치가 대형화하는 경 우에는 방충망이 원활하게 인출되지 않거나 심한 경우에는 방충망 자체가 찢어지는 불상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방충망의 폭이 1000 미리, 특히 1500 미리 이상의 대형 방충망 장치는 현관 도어에 주로 사용되며 또한 요즘 주택이나 상가의 창문이 대형화하면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대형 방충망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방충망이 하우징 인출부의 개구부를 통해 인출되는 중에 개구부에 끼이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방충망을 급히 인출하는 때에 더욱 빈번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끼임 현상은 핀셋 같은 가늘고 긴 물체로 방충망을 인입 방향으로 천천히 되감기 하면 제거되며, 이후 다시 천천히 방충망을 인출하면 종래의 작동을 회복하게 된다. 그러나 끼임 현상이 발생하면, 일반 사용자는 방충망 장치가 고장이 난 것으로 오인하여 제품에 대한 인식이 나빠지며, 때로는 반품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전술한 방충망 장치에서 방충망 대신에 롤 스크린을 사용하는 경우 롤 스크린 장치가 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단순히 방충망 장치라 하여도 이는 롤 스크린 장치를 동시에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방충망 장치가 대형화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방충망의 끼임 현상을 제거하여 대형 장치에서도 방충망이 원활하게 인입, 인출될 수 있는 방충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의 방충망 장치용 하우징은 단면상으로 볼 때 ㄷ자형의 직교면들과 이 직교면들의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져서 일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세장형 동체,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개구부를 갖도록 상기 동체의 개방된 부분에 형성되는 인출부, 및 상기 동체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고정되는 한쌍의 커버로 구성된다. 이 커버에는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이 권취된 권취부가 상기 내부공간에 현수되어 위치되도록 부착된다. 하우징 동체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커버가 나사로 고정되도록 체결공 형성부가 형성된다. 동체(110)의 양측 단부에는 나사체결공을 갖는 체결공 형성부(114)가 형성된다. 체결공 형성부 동체 내부공간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되 체결공이 내부공간으로 부분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술한 종래의 방충망 장치용 하우징의 구조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량하였다.
첫째로,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 장치용 하우징의 경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경사면에 형성되되 동체의 내부공간에 현수되어 위치될 권취부와 인출부 사이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 가이드 돌기는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이 권취된 권취부를 지지하며 권취된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의 회전시 회전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가이드 돌기는 권취부를 향해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로,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 장치용 하우징의 경우, 동체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공 형성부를 체결공 형성부의 체결공이 동체 내부공간의 반대방향으로 부분 개구되도록 형성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공 형성부는 하우징 내부공간 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종래의 체결공과 달리 동체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하지 않음으로써 방충망이 인입 또는 인출할 때 그 회전운동에 간섭하지 않음으로써 권취부의 회전운동을 원활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충망 장치가 대형화하는 경우에도 종래와 달리 방충망의 끼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충망 장치의 하우징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하우징이 소형화되는 경우 장치의 제조비가 저렴해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하우징의 소형화에 대해서는 후에 보다 자세하게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출원인은 방충망 장치가 소형인 경우에는 별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으나 방충망의 폭이 1000 미리 이상으로 대형화하는 경우에 방충망이 하우징 인출부의 개구부를 통해 인출되는 중에 개구부에 끼이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우선 그 원인을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위해 대형 방충망 장치에서 발생하는 끼임 현상을 자세히 관찰하였다. 도 3b를 사용하여 관찰결과를 설명하면, 끼임 현상은 방충망이 체결공 형성부(114), 특히 동체(110)의 경사면에 형성된 체결공 형성부(114)에서 주로 발생하며, 이는 방충방(130)이 체결공 형성부(114)의 단턱(115)에 걸리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렇게 동체의 경사면에 형성된 체결공 형성부에 방충망이 걸리게 되는 원인 은, 방충망의 폭이 커짐에 따라 권취부(150)가 길어지고 동체의 내부공간에 현수된 권취부의 중간부분이 중력에 의해 하부로 쳐짐 현상이 발생하여 방충망을 인출시 커버(120)에 고정된 양측 단부를 중심으로 권취부가 롤링하는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방충망이 전술한 단턱에 걸리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단순하게 동체의 경사면에 형성된 체결공 형성부를 단턱이 방충망의 권취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구조를 바꾸면 끼임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판단하여 동체의 경사면에 형성된 체결공 형성부를 아주 제거한 상태로 다시 방충망을 인출하는 실험을 하였다. 이러한 구조의 동체를 갖는 하우징의 경우, 방충망이 끼이는 현상은 많이 감소하였으나, 방충망을 급하게 당기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정상적인 속도로 당기더라도 방충망이 동체의 ㄷ자형 단면상의 모서리에 형성된 체결공 형성부의 단턱에 걸리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시 대형 방충망 장치를 사용하여 방충망을 인출 또는 인입하면서 방충망을 정밀하게 관찰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관찰에 따르면, 방충망은 권취초기에는 권취부에 팽팽하게 권취되나 권취말기에는 스프링의 권취력이 감소하여 비교적 느슨하게 권취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방충망이 권취부에 조밀하게 권취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에서 들뜨는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방충망의 폭 방향으로 볼 때 방충망의 어느 부분은 팽팽하나 어느 부분은 덜 팽팽하여 방충망의 인출시 인출력이 방충망의 폭에 걸쳐서 균일하게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관찰결과를 토대로 판단할 때, 방충망이 비교적 느슨하게 권취되어 들뜬 부분에서 국부적으로 쳐진 현상이 발생하고 방충망의 인출시 인출력이 방충망 의 폭에 걸쳐 균일하게 작용하지 않는 상태와 전술한 권취부의 롤링 현상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동체의 내부공간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체결공에 의해 간섭되어 끼임현상이 발생되는 것으로 추론되었다.
위와 같은 추론에 의해, 본 발명은 하우징의 구조를 개선하였으며, 이하에 이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방충망 장치의 하우징 구조 외에는 전술한 공지의 방충망 장치와 그 구조나 작동방법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되 본 발명의 설명에 필요한 경우 외에는 별도의 설명을 하지 않는다.
도 4a와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 장치용 하우징의 부분확대 분해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 장치용 하우징은 도시된 바와 같이 동체(11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공 형성부(114')를 체결공 형성부의 체결공이 동체 내부공간의 반대방향으로 부분 개구되도록 형성시킨다. 즉, 체결공 형성부(114')가 동체(110')의 ㄷ자형의 단면상의 모서리와 경사면에 형성되되, 모서리의 체결공 형성부(114')는 완전히 동체(110')의 외부를 향하도록 형성하여 체결공이 동체 외부를 향해 부분 개구되고 경사면의 체결공 형성부(114')는 단턱(115')이 인출부(112)를 향하도록 하여 경사면의 체결공 형성부(114')의 체결공이 인출부(112)를 향해 부분 개구되도록 형성한다.
체결공 형성부(114')를 이와 같이 형성시키면 체결공 형성부가 동체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하지 않음으로써 체결공 형성부가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과 간섭하 지 않게 된다. 즉, 체결공 형성부(114')가 동체의 내부공간(111)과 구획되게 형성됨으로써 내부공간(111)에서 회전하는 방충망(130)과의 간섭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방충망(130)의 원활한 회전에 도움이 된다.
도 7a와 7b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방충망 장치용 하우징의 부분확대 분해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하우징 동체(110')의 내부에 가이드 돌기(118)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종래의 하우징 동체(110)와 크게 다르다. 가이드 돌기(118)는 동체(110')의 경사면에 형성되되 동체(110')의 내부공간(111)에 현수되어 위치될 권취부(151,152,153)와 인출부(112) 사이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 돌기(118)의 형성에 의해 동체 경사부의 체결공 형성부(114')는 도 4a와 4b에서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되나 동체 모서리의 체결공 형성부(114)는 종래의 것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가이드 돌기(118)는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이 권취된 권취부를 지지하며 권취부의 회전시 방충망의 회전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방충망의 폭이 커짐에 따라 권취부가 길어짐으로써 동체의 내부공간에 현수된 권취부 중간부분이 중력에 의해 하부로 쳐짐 현상이 발생하여 방충망을 인출시 권취부가 롤링하는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가이드 돌기(118)가 권취부를 받쳐줌으로써 권취부의 회전운동을 원활하게 한다. 이때 가이드 돌기(118)가 권취부를 향해 권취부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권취부의 회전운동을 원활하게 하는데 더욱 도움이 될 것이다.
도 5a와 5b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방충망 장치용 하우징의 부분확대 분해사시도와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전술한 두 실시예를 하나로 병합한 것으로, 하우징의 동체(110')에는 동체(11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공 형성부(114')를 체결공 형성부의 체결공이 동체 내부공간의 반대방향으로 부분 개구되도록 형성시키고 또한 가이드 돌기(118)를 동체(110')의 경사면에 형성시키되 동체(110')의 내부공간(111)에 현수되어 위치될 권취부(151,152,153)와 인출부(112) 사이로 연장되도록 형성시킨다.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체결공 형성부(114')가 동체의 내부공간(111)과 구획되게 형성됨으로써 내부공간(111)에서 회전하는 방충망(130)이 간섭을 받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권취부가 롤링하는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가이드 돌기(118)가 권취부를 받쳐줌으로써 내부공간(111)에서 회전하는 방충망(130)의 회전이 아주 원활하게 된다.
도 6a와 6b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방충망 장치용 하우징의 부분확대 분해사시도와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전술한 도 5a와 5b에 도시된 실시예에 더하여 인출부(112)의 브러쉬 결합부(117)를 라운드면(119)으로 형성시킨 구조를 갖는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브러쉬 결합부(117)를 라운드면(119)으로 형성시키면, 방충망(130)이 접혀서 브러쉬 결합부(117)와 접촉하더라도 방충망의 걸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될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언급한 바와 같이 방충망 장치가 대형화하는 경우에도 방충망의 끼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나아가서, 방충망 장치의 하우징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다.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방충망 장치의 경우, 방충망의 폭이 600 미리에서는 하우징의 폭이 약 29 미리이고 방충망 폭이 1200 미리에서는 하우징 폭이 약 45 미리이다. 이는 공지 장치의 경우 경험적으로 방충망의 끼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권취부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는 크기로 이와 같이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며, 이와 같은 크기에서도 1000 미리 이상으로 방충망 폭이 대형화하는 경우 여전히 끼임 현상이 발생하곤 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구조를 갖는 경우, 방충망 폭이 대형화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끼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하우징 내부공간의 부피를 방충망의 권취된 길이를 확보하는데 소요되는 최소한의 공간만 확보하면 되므로 결과적으로 방충망 장치의 하우징 크기가 소형화된다. 본 출원인의 실험에 의하면, 방충망 폭이 1200 미리인 경우에도 하우징의 폭은 약 25 미리이면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하우징의 크기가 감소하면, 크기 감소에 따른 재료비 감소로 제조원가가 감소하게 될 것이다. 종래에는 권취부의 재질로 강재를 사용하거나 무게를 작게 하면서도 강도 유지를 위해 알루미늄 또는 드랄루민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본원 발명의 경우 가이드 돌기가 있으므로 권취부 재질을 플라스틱 재질로 할 수 있어 재질 변경에 따른 제조원가 감소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재질 변경은 그에 따른 재료비 감소뿐만 아니라 제품의 무게 감소에 따른 운반, 설치상의 편리함이 발생한다. 또한, 하우징의 크기가 감소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원가가 감 소할 뿐만 아니라, 하우징 크기가 감소함으로써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발생한다. 통상적으로 창문틀의 폭이 약 30 미리 정도이므로 종래의 방충망 장치는 창문틀을 넘어 돌출함으로써 미관상 바람직하지 않았으나, 본원 발명에서와 같이 방충망 장치의 설치공간이 최소화되는 경우, 방충망 장치가 창문틀을 넘어 돌출하지 않도록 창문틀 하부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미관상으로도 매우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원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예를 생각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가이드 돌기의 경우 방충망 장치의 하우징 길이 전체에 걸쳐서 연장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하우징 길이를 따라 그 일부에만 존재할 수 있다.
첨부도면은 모두 방충망 장치용 하우징에 관한 것이나, 방충망 대신에 롤 스크린을 사용하는 경우 롤 스크린 장치용 하우징 장치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방충망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충망 장치의 작동상태 설명도이다.
도 3a와 3b는 도 1에 도시된 방충망 장치에 사용되는 하우징의 부분확대 분해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4a와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 장치용 하우징의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 분해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5a와 5b는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 장치용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 분해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6a와 6b는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 장치용 하우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 분해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7a와 7b는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 장치용 하우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 분해사시도와 단면도이다.

Claims (6)

  1. 단면상으로 볼 때 ㄷ자형의 직교면들과 이 직교면들의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져서 일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세장형 동체,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개구부를 갖도록 상기 동체의 개방된 부분에 형성되는 인출부, 및
    상기 동체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고정되며,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이 권취된 권취부가 상기 내부공간에 현수되어 위치되도록 부착되는 한쌍의 커버로 구성되되, 한쌍의 커버가 동체의 양측 단부에 나사로 고정되도록 하우징 동체의 양측 단부에 체결공 형성부가 형성되는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용 하우징에 있어서,
    가이드 돌기가 상기 경사면에 형성되되 동체의 내부공간에 현수되어 위치될 권취부와 인출부 사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서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이 권취된 권취부를 지지하며 권취부의 회전시 회전운동을 원활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용 하우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가 권취부를 향해 만곡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용 하우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동체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공 형성부를 체결공 형성부의 체결공이 동체 내부공간의 반대방향으로 부분 개구되도록 형성시켜서 체결공 형성부가 동체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하지 않음으로써 체결공 형성부가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과 간섭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용 하우징.
  4. 제 3항에 있어서,
    체결공 형성부가 ㄷ자형의 단면상의 모서리와 경사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용 하우징.
  5. 단면상으로 볼 때 ㄷ자형의 직교면들과 이 직교면들의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져서 일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는 세장형 동체,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개구부를 갖도록 상기 동체의 개방된 부분에 형성되는 인출부, 및
    상기 동체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고정되며,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이 권취된 권취부가 상기 내부공간에 현수되어 위치되도록 부착되는 한쌍의 커버로 구성되되, 한쌍의 커버가 동체의 양측 단부에 나사로 고정되도록 하우징 동체의 양측 단부에 체결공 형성부가 형성되는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용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 형성부를 체결공 형성부의 체결공이 동체 내부공간의 반대방향으로 부분 개구되도록 형성시켜서 체결공 형성부가 동체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하지 않음으로써 체결공 형성부가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과 간섭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용 하우징.
  6. 제 5항에 있어서,
    체결공 형성부가 ㄷ자형의 단면상의 모서리와 경사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용 하우징.
KR1020090064737A 2009-07-16 2009-07-16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 장치용 하우징 KR201100072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737A KR20110007289A (ko) 2009-07-16 2009-07-16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 장치용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737A KR20110007289A (ko) 2009-07-16 2009-07-16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 장치용 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289A true KR20110007289A (ko) 2011-01-24

Family

ID=43613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737A KR20110007289A (ko) 2009-07-16 2009-07-16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 장치용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72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737A (ko) * 2015-03-13 2016-09-21 장충식 방한용 보조창
CN109083583A (zh) * 2018-07-10 2018-12-25 深圳市雷凌广通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实用性高的纱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737A (ko) * 2015-03-13 2016-09-21 장충식 방한용 보조창
CN109083583A (zh) * 2018-07-10 2018-12-25 深圳市雷凌广通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实用性高的纱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346578A (ja) 巻取り式スクリーン装置
JPH09279967A (ja) ロールスクリーン
KR20190086986A (ko) 미닫이문 연동형 방충장치
KR20110007289A (ko) 방충망 또는 롤 스크린 장치용 하우징
KR20100079432A (ko) 방충망이 내장된 창호
KR20110072309A (ko) 베어링이 구비된 롤 방충망
KR20140137137A (ko) 자동개폐식 방충망이 구비된 창문구조
JP4996367B2 (ja) スクリーン装置
KR100770278B1 (ko) 롤타입 방충망의 상하 구동장치
KR100671712B1 (ko) 롤러식 방충망의 권취속도 제어장치
JP6741604B2 (ja) スクリーン装置
JP3056147B2 (ja) 網戸装置
JP2574321Y2 (ja) ロール式網戸を構成する網の端部支持装置
CN220519848U (zh) 一种收线装置及隔断浴帘
KR101863245B1 (ko) 일체형 이중 롤 블라인드용 하단바장치
CN216592204U (zh) 一种卷帘机构及具有其的空调
KR200218128Y1 (ko) 창문용 방충망
KR102282220B1 (ko) 차량용 도어커튼장치
JP2521790Y2 (ja) スクリーン開閉装置
KR200355858Y1 (ko) 권취식 방충망의 방충망체 권취구조
KR20220001788U (ko) 록킹장치가 구비된 롤방충망
JP2004100280A (ja) 開口部装置
JP2006002452A (ja) 開口部装置
JP3143021B2 (ja) 網 戸
KR200205926Y1 (ko) 알루미늄샤시재의 교실출입문 자동 닫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