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1860A -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 - Google Patents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1860A
KR20130091860A KR1020120013139A KR20120013139A KR20130091860A KR 20130091860 A KR20130091860 A KR 20130091860A KR 1020120013139 A KR1020120013139 A KR 1020120013139A KR 20120013139 A KR20120013139 A KR 20120013139A KR 20130091860 A KR20130091860 A KR 20130091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roll screen
blocking member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8759B1 (ko
Inventor
박수철
Original Assignee
박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철 filed Critical 박수철
Priority to KR1020120013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759B1/ko
Publication of KR20130091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5/00Control of light, e.g. intensity, colour or phas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창문에 설치되는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스크린 구조물의 차단부재를 방한(防寒), 차광(遮光), 환기(換氣) 등 다양한 기능성 구조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롤스크린의 권취부에 형성된 지지부에 차단부재를 탈부착이 용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계절별 사용목적에 따라 차단부재를 교체해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 효과를 한층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는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Roll screen structure for protection againsr the cold}
본 발명은 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창문에 설치되는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스크린 구조물의 차단부재를 방한(防寒), 차광(遮光), 환기(換氣) 등 다양한 기능성 구조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롤스크린의 권취부에 형성된 지지부에 차단부재를 탈부착이 용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계절별 사용목적에 따라 차단부재를 교체해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 효과를 한층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는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외부기온이 낮은 추운 겨울철 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창문유리나 창문 틈새에서 들어오는 외풍이나 창문유리를 통한 실내의 열손실을 막기 위하여 창문 전체를 비닐로 막거나, 창문 전방에 두꺼운 커튼을 장착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위와 같이 비닐로 창문 전체를 막는 방법은 봄이 되면 창문에 부착되었던 비닐을 다시 떼어 내야만 하고 다시 겨울이 오면 비닐을 매번 붙여야만 했던 번거로움이 있었고, 부착된 비닐로 인해 창문 주변이 미관상 좋지 못했던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커튼을 이용하는 방법은 직물로 이루어진 커튼이 겨울철 창문을 통한 열손실을 막아주는 기능은 어느정도 우수한 반면, 실내의 보온효과를 위해 별도의 두꺼운 커튼을 장착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커튼만으로는 창문 틈새로 외풍이 들어오는 것을 완전하게 차단하기가 어려웠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차광기능을 갖는 블라인더나 롤스크린을 통해 창문을 통한 열손실을 차단하는 방법도 있었으나, 이와 같은 블라인더나 롤스크린은 입사되는 강한 햇빛을 차단하는 역할이 주된 기능이기 때문에 겨울철 창문 틈새로 들어오는 외풍을 적절히 차단하기가 어려웠고, 따라서 실질적인 열손실 차단효과는 매우 미비했었던 문제가 있었다. 이 밖에 근래에는 창문 유리에 별도의 열차단 필름을 부착하여 창문 유리를 통한 열손실을 방지하는 방식 또한 많이 알려졌지만, 이러한 열 차단필름은 창문 유리에 부착하는 것이기 때문에 창문 유리를 통한 열손실은 어느 정도 차단할 수는 있겠지만, 창문 틈새로 들어오는 외풍은 막지 못하여 실내의 온도를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창문에 설치되는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에 있어서, 차단부재를 방한, 차광, 환기 등 다양한 기능성 작용으로 교체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고, 사용자가 계절별 사용목적에 따라 차단부재를 권취부의 지지부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적절히 조절해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효과를 한층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창문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되어 내부에 권취부가 형성되고, 상기 권취부와 연계되어 감겨진 차단부재로 구성되는 롤스크린과,
상기 창문의 양측에 형성된 측부프레임 각각에 설치되어 차단부재의 양측단이 내속되어 인도되도록 일측면에 안내홈이 형성된 결속프레임과,
상기 창문의 하부프레임에 설치되어 차단부재의 하부 끝단이 결속되도록 하는 차단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롤스크린의 권취부는 하부에 유도홈 그리고 양측부가 개방된 케이스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파이프형의 지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소정의 길이로 설치되어 일측단과 타측단에 각각 고정편이 설치된 권취스프링이 설치하되, 상기 타측단에 설치된 고정편은 지지부 내부로 삽입되어 구속되며, 상기 일측단에 설치된 고정편은 지지부 일측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일측 고정편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권취스프링 내부로 내속되어 타측 고정편에 타측단이 고정되는 권취봉이 설치하되, 상기 일측 고정편의 통공에 삽입되는 권취봉은 회동가능하도록 구속되지 않게 설치되고,
상기 권취봉의 타측단은 케이스 양측을 커버하는 커버판의 일측 커버판에 고정되는 구조로 제공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단턱이 형성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차단부재의 상부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걸림편이 형성된 끼움부재가 연장되어 구비되도록 제공된다.
한편, 상기 차단부재의 하부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금속판이 형성하며, 상기 창문의 하부프레임 길이방향으로 자석부재가 설치되도록 제공된다.
한편, 상기 창문의 양측에 형성된 결속프레임의 일면에 형성된 절개홈에 결속되도록 일측에 고정바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바에 연장/절곡되어 상기 결속프레임의 절개홈에 결속되도록 밀착바로 이루어지는 밀폐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밀폐부재의 밀착바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부착되어 밀착바 끝단으로 연장되도록 고무바가 형성되도록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에 따르면, 롤스크린의 권취부의 지지부에 감겨진 하나의 차단부재가 방한재질로 이루어져 겨울철에 창문 틈새로 들어오는 외풍을 적절히 차단할 수 있으며, 내부의 공기를 차단하여 열기가 내부에 오래 머물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차단부재가 권취부의 지지부에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를 가져 계절별로 사용자의 취사선택에 따라 실내의 방한, 차광, 환기 등의 목적으로 용이하게 교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과 같이 실내의 방한, 차광, 환기 등의 목적을 위하여 방한, 차광, 환기를 위한 별도의 수단을 갖추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종래보다 한층 효율적이며 경제성있는 발명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추운 겨울철 차단부재를 통해 실외로 유출되는 열손실을 막아 난방효과를 높일 수 있고, 더운 여름철에는 차단부재를 통해 외부로 입사되는 빛을 차단함으로써 에어컨 사용에 따른 실내의 냉방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이 창문에 설치된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이 창문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이 창문에 설치되는 조립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에서 롤스크린-차단부재 조립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에서 롤스크린의 케이스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에서 권취스프링-권취봉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에서 권취스프링에 권취봉 조립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에서 지지부에 차단부재의 끼움부재가 설치되는 조립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에서 지지부-끼움부재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에서 지지부 외주면에 감겨진 차단부재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에서 결속프레임에 차단부재 설치구조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에서 결속프레임에 밀폐부재를 설치하는 조립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에서 결속프레임에 밀폐부재 조립구조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에서 결속프레임에 밀폐부재가 설치되는 조립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에서 밀폐부재-고무바 조립단면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 도 1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문(10)의 상부프레임(20a)에 설치되어 내부에 권취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권취부(110)와 연계되어 감겨진 차단부재(120)로 구성되는 롤스크린(100)과, 상기 창문(10)의 양측에 형성된 측부프레임(20c) 각각에 설치되어 차단부재(120)의 양측단이 내속되어 인도되도록 일측면에 안내홈(210)이 형성된 결속프레임(200)과, 상기 창문(10)의 하부프레임(20b)에 설치되어 차단부재(120)의 하부 끝단이 결속되도록 하는 차단프레임(120)으로 구성되는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창문(10)은 도어부(11)를 지지하도록 상/하부프레임(20a, 20b)과 양측의 측부프레임(20c)으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거나 새로운 창문을 설치시 창문의 내측 즉, 건물 내부의 창문에 설치되어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은 창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한이 필요한 장소의 모두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도 3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문(10)의 상부프레임(20a)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롤스크린(100)이 설치되며, 상기 롤스크린(100) 구조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다.
상기 롤스크린(100)은 크게 권취부(110)와 차단부재(120)로 구성되며, 상기 롤스크린(100)의 권취부(110)는 하부에 유도홈(119) 그리고 양측부가 개방된 케이스(111)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파이프형의 지지부(113)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1130)의 내부에 소정의 길이로 설치되어 일측단과 타측단에 각각 고정편(116)이 설치된 권취스프링(115)이 설치하되, 상기 타측단에 설치된 고정편(116)은 지지부(113) 내부로 삽입되어 구속되며, 상기 일측단에 설치된 고정편(116)은 지지부(113) 일측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일측 고정편(116)에 형성된 통공(117)을 통해 권취스프링(115) 내부로 내속되어 타측 고정편(116)에 타측단이 고정되는 권취봉(118)이 설치하되, 상기 일측 고정편(116)의 통공(117)에 삽입되는 권취봉(118)은 회동가능하도록 구속되지 않게 설치되고, 상기 권취봉(118)의 타측단은 케이스(111) 양측을 커버하는 커버판(112)의 일측 커버판(112)에 고정되는 구조로 제공된다.
상기 권취부(110)의 작동을 살펴보면, 상기 지지부(113)의 외주면에 차단부재(120)가 감겨진 상태로 상기 지지부(113)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지지부(113) 외주면에 감겨진 차단부재(120)가 풀려 내려지거나 지지부(113) 외주면에 감겨 올려지는 형태로 작동된다.
먼저, 상기 지지부(113)의 외주면에 감겨진 차단부재(120)를 하향으로 당기면 지지부(113)가 회전하면서 차단부재(120)가 풀려 내려지게 되고, 이때 고정된 채 회전하지 않는 권취봉(118)의 외주에 내속된 권취스프링(115)이 지지부(113)의 회전에 같이 회전하게 되되, 상기 권취봉(118)의 일단이 권취스프링(115)의 타측단에 고정된 고정편(116)에 고정되어 권취스프링(115)이 풀리게 되며, 이때 권취스프링(115)의 일측/타측단에 고정된 고정편(116)은 지지부(113)의 회전에 같이 회전을 하게 된다.
이렇게 차단부재(120)의 하향으로 이동되면서 지지부(113)가 회전하면서 권취스프링(115)이 권취봉(118)을 기준으로 풀리게 되며, 반대로 차단부재(120)가 상향으로 이동은 상기 권취스프링(115)의 풀림에 의해 복원되려는 탄성으로 인해 차단부재(120)를 상향으로 인도하게 된다.
한편, 도 8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13)의 외주면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단턱이 형성된 삽입홈(114)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14)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차단부재(120)의 상부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걸림편(131)이 형성된 끼움부재(130)가 연장되어 구비되도록 제공된다.
상기 차단부재(120)의 상부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걸림편(131)이 형성되어 지지부(113)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홈(114)에 슬라이드식 결합으로 결속되어 차단부재(120)를 지지부(113)에 고정하게 된다.
이렇게 차단부재(120)가 권취부(110)에 의해 지지부(113)의 외주면에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원리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재(120)는 추위를 막을 수 있는 방한(防寒) 재질로 이루어진 방한용 차단부재(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단부재(120)는 방한(防寒) 재질 대신에 햇빛을 가릴 수 있는 차광(遮光)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충 재질로 이루어진 방충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한용 차단부재(120)는 추운 겨울철 창문 틈새를 통해 들어오는 바람을 막는 바람막이 역할을 하는 동시에 창문을 통해 출입되는 열 손실을 차단하여 실내의 난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준다.
이에, 상기 방한용 차단부재는 막재, 열차단 직물, 비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120)는 햇빛이 강한 여름철 창문을 통해 실내로 입사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차단부재는 햇빛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지만, 필요에 따라, 실내에 일정수준의 채광과 조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햇빛이 부분적으로 입사될 수 있는 적절한 재질로 채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차단부재(120)는 더운 여름철 외부로부터 실내로 입사되는 빛을 적절히 차단함으로써 실내의 에어컨 사용시 냉방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13)의 삽입홈(114)에 차단부재(120)가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방한용 차단부재(120) 또는 차광용 차단부재(120)를 사용목적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차단부재(120)가 상술한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방충망 구조로 대체된 형태로 교체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방충망 형태로 차단부재(120)를 구성하게 되면 여름철 창문 개방시 차단부재(120)의 방충망을 전개하여 실내로 해충이 침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창문(10)의 영역에 방충망을 설치하는 등 차단부재(120)의 사용목적에 맞도록 차단부재(120)의 내부를 다양한 기능적 영역으로 구획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차단부재(120)의 하부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금속판(140)이 형성하며, 상기 창문(10)의 하부프레임(20b) 길이방향으로 자석부재(400)가 설치되도록 제공된다.
상기 차단부재(120)를 하향으로 완전히 내려 창문(10)을 커버하도록 하고, 이때 차단부재(120)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차단부재(120)의 하부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금속판(140)이 형성하며, 이때 상기 금속판(140)의 양측단이 양측의 결속프레임(200) 안내홈(210)에 내속되어 안내홈(210)을 따라 인도되도록 하였다.
이렇게 차단부재(120)의 하단부에 형성된 금속판(140)이 창문(10)의 하부프레임(20b)에 밀착/고정되도록 창문(10)의 하부프레임(20b)에 길이방향으로 자석부재(400)가 부착되어 상기 차단부재(120)의 금속판(140)이 자석부재(400)에 부착되어 밀착되도록 한다.
한편, 도 11에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속프레임(200)의 안내홈(210)에 차단부재(120)의 양측단이 인도되어 안내홈(210)의 공간에 차단부재(120)가 들뜬상태로 형성되어 안내홈(210)에 차단부재(120)가 밀착되는 동시에 안내홈(210)을 차단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결속프레임의 안내홈과 대면되는 일면을 결속하여 절곡 연장되는 고정바(31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바(310)와 절곡 연장되어 상기 결속프레임(200)의 안내홈(210)에 결속되도록 일면에 돌출바(321)가 형성된 밀착바(320)로 이루어지는 일체의 밀폐부재(300)가 설치되어 제공되며, 상기 고정바(310)는 결속프레임(200)의 안내홈(210)과 대면되는 결속프레임(210)의 일면에 면접되어 절곡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바(310) 끝단과 절곡 연장되어 결속프레임(200)의 안내홈(210)이 형성된 일면에 면접되도록 밀착바(320)가 일체로 형성되는 밀폐부재(300)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바(320)의 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바(321)가 형성되어 결속프레임(200)의 안내홈(210)에 결속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결속프레임(200)의 안내홈(210)을 통해 인도되는 차단부재(120)의 일면을 상기 밀폐부재(300)의 밀착바(320)가 밀착하여 안내홈(210)의 공간을 밀폐하여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밀폐부재(300) 대신에 도 14와 같이 상기 창문(10)의 양측에 형성된 결속프레임(200)의 일면에 형성된 절개홈(220)에 결속되도록 일측에 고정바(31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바(310)에 연장/절곡되어 상기 결속프레임(200)의 안내홈(210)에 결속되도록 일면에 돌출바(321)이 형성된 밀착바(320)로 이루어지는 일체의 밀폐부재(300)가 설치되어 상기 밀폐부재(300)의 밀착바(320)를 결속프레임(200)의 안내홈(210)으로 이동시켜 상기 안내홈(210)에 형성된 차단부재(120)의 일면을 압박하여 상기 안내홈(210)을 밀착바(320)가 밀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재(120)를 상향으로 이동시 상기 결속프레임(200)의 안내홈(210)에 밀착된 밀폐부재(300)의 밀착바(320)를 전방으로 당겨 안내홈(210)에 밀착바(320)를 해제시키게 된다.
이렇게 밀폐부재(300)의 밀착바(320)가 안내홈(210)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안내홈(210)에 차단부재(120)가 구속되지 않는 형태를 가져 차단부재(120)가 상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된다.
한편,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밀폐부재(300)의 밀착바(320)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부착되어 밀착바(320) 끝단으로 연장되도록 고무바(330)가 형성되어 안내홈(210)에 형성된 차단부재(120)를 고무바(330)가 압박하여 밀착시켜 안내홈(210)을 밀폐하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롤스크린 : 100, 권취부 : 110, 케이스 : 111, 커버판 : 112, 지지부 : 113, 삽입홈 : 114, 권취스프링 : 115, 고정편 : 116, 통공 : 117, 권취봉 : 118, 유도홈 : 119, 차단부재 : 120, 끼움부재 : 130, 걸림편 : 131, 금속판 : 140, 결속프레임 : 200, 안내홈 : 210, 절개홈 : 220, 밀폐부재 : 300, 고정바 : 310, 밀착바 : 320, 돌출바 : 321, 고무바 : 330, 자석부재 : 400

Claims (9)

  1. 창문(10)의 상부프레임(20a)에 설치되어 내부에 권취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권취부(110)와 연계되어 감겨진 차단부재(120)로 구성되는 롤스크린(100)과,
    상기 창문(10)의 양측에 형성된 측부프레임(20c) 각각에 설치되어 차단부재(120)의 양측단이 내속되어 인도되도록 일측면에 안내홈(210)이 형성된 결속프레임(200)과,
    상기 창문(10)의 하부프레임(20b)에 설치되어 차단부재(120)의 하부 끝단이 결속되도록 하는 차단프레임(1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스크린(100)의 권취부(110)는 하부에 유도홈(119) 그리고 양측부가 개방된 케이스(111)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파이프형의 지지부(113)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1130)의 내부에 소정의 길이로 설치되어 일측단과 타측단에 각각 고정편(116)이 설치된 권취스프링(115)이 설치하되, 상기 타측단에 설치된 고정편(116)은 지지부(113) 내부로 삽입되어 구속되며, 상기 일측단에 설치된 고정편(116)은 지지부(113) 일측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일측 고정편(116)에 형성된 통공(117)을 통해 권취스프링(115) 내부로 내속되어 타측 고정편(116)에 타측단이 고정되는 권취봉(118)이 설치하되, 상기 일측 고정편(116)의 통공(117)에 삽입되는 권취봉(118)은 회동가능하도록 구속되지 않게 설치되고,
    상기 권취봉(118)의 타측단은 케이스(111) 양측을 커버하는 커버판(112)의 일측 커버판(11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13)의 외주면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단턱이 형성된 삽입홈(114)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14)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차단부재(120)의 상부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걸림편(131)이 형성된 끼움부재(130)가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120)는 추위를 막을 수 있는 방한(防寒) 재질로 이루어진 방한용 차단부재(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120)는 방한(防寒) 재질 대신에 햇빛을 가릴 수 있는 차광(遮光)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충 재질로 이루어진 방충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120)의 하부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금속판(140)이 형성하며, 상기 창문(10)의 하부프레임(20b) 길이방향으로 자석부재(4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프레임의 안내홈과 대면되는 일면을 결속하여 절곡 연장되는 고정바(31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바(310)와 절곡 연장되어 상기 결속프레임(200)의 안내홈(210)에 결속되도록 일면에 돌출바(321)가 형성된 밀착바(320)로 이루어지는 일체의 밀폐부재(3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10)의 양측에 형성된 결속프레임(200)의 일면에 형성된 절개홈(220)에 결속되도록 일측에 고정바(31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바(310)에 연장/절곡되어 상기 결속프레임(200)의 안내홈(210)에 결속되도록 일면에 돌출바(321)가 형성된 밀착바(320)로 이루어지는 일체의 밀폐부재(3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
  9. 제7항 또는 제8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300)의 밀착바(320)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부착되어 밀착바(320) 끝단으로 연장되도록 고무바(3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
KR1020120013139A 2012-02-09 2012-02-09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 KR101308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139A KR101308759B1 (ko) 2012-02-09 2012-02-09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139A KR101308759B1 (ko) 2012-02-09 2012-02-09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860A true KR20130091860A (ko) 2013-08-20
KR101308759B1 KR101308759B1 (ko) 2013-09-17

Family

ID=49216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139A KR101308759B1 (ko) 2012-02-09 2012-02-09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7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737A (ko) * 2015-03-13 2016-09-21 장충식 방한용 보조창
CN108019139A (zh) * 2018-01-14 2018-05-11 张航 一种隔热通气防火避光隐私伸缩可调型防盗门窗
CN112267804A (zh) * 2020-11-05 2021-01-26 济南二建集团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节能外窗
KR102312383B1 (ko) * 2020-05-13 2021-10-13 주식회사 두진테크 차양방충망 내재형 고효율 커튼 월
KR102636999B1 (ko) * 2022-12-15 2024-02-15 전대병 방풍 및 암막용 커튼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738A (ko) 2015-03-13 2016-09-21 장충식 단열창을 갖는 단열 2중 창틀
KR101851044B1 (ko) 2015-09-30 2018-04-23 장순탁 롤스크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4119B2 (ja) * 1996-12-11 2006-06-07 林口工業株式会社 ロールスクリーンにおけるスクリーンの着脱装置
JP4116520B2 (ja) * 2003-10-22 2008-07-09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開閉装置
KR100909039B1 (ko) * 2009-03-23 2009-07-22 이명숙 롤 회전방식 방충망의 감속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737A (ko) * 2015-03-13 2016-09-21 장충식 방한용 보조창
CN108019139A (zh) * 2018-01-14 2018-05-11 张航 一种隔热通气防火避光隐私伸缩可调型防盗门窗
KR102312383B1 (ko) * 2020-05-13 2021-10-13 주식회사 두진테크 차양방충망 내재형 고효율 커튼 월
CN112267804A (zh) * 2020-11-05 2021-01-26 济南二建集团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节能外窗
KR102636999B1 (ko) * 2022-12-15 2024-02-15 전대병 방풍 및 암막용 커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8759B1 (ko) 2013-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759B1 (ko)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
US4357978A (en) Roller shade seal system
US9657510B2 (en) Integrated multi-function window
KR101219091B1 (ko) 친환경 기능성 창호
KR20150069494A (ko) 블라인드 창 및 방충망 창을 포함하는 미닫이 창호
KR20180077655A (ko) 막구조물의 버티컬 셔터
KR20080029057A (ko) 햇빛가리개가 구비된 절첩식 방충망
KR20160117929A (ko) 기능성 창호 스크린 장치
KR20150117803A (ko) 결로방지 롤 블라인드 창호 시스템
WO2017151064A1 (en) External blind in a glazed housing
KR20100062633A (ko) 롤스크린 장치
KR200466679Y1 (ko) 롤 방충망
US11639632B2 (en) Window treatment with outdoor temperature indication arrangement
KR101162922B1 (ko) 다기능 창호 조립체
KR200424709Y1 (ko) 해충유입방지 문발
KR20160004239U (ko) 글라스창호 및 한지창호를 구비한 복합 창호
KR20100076765A (ko) 차광방충망 및 이를 이용한 방충창
KR102216412B1 (ko)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KR102216414B1 (ko) 에너지 절약형 커튼 월
KR200470411Y1 (ko) 방충창용 가림막설치프레임
US20200217131A1 (en) Method of screening a cavity window and external awning for use therewith
JP2009011298A (ja) パイプハウスの空中外部遮光方法
KR102450706B1 (ko) 차양방충망 내재형 고효율 슬라이딩 창호
KR20200025606A (ko) 3중 창호시스템
JP6785479B2 (ja) 窓開口部の省エネルギー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