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999B1 - 방풍 및 암막용 커튼장치 - Google Patents

방풍 및 암막용 커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999B1
KR102636999B1 KR1020220176279A KR20220176279A KR102636999B1 KR 102636999 B1 KR102636999 B1 KR 102636999B1 KR 1020220176279 A KR1020220176279 A KR 1020220176279A KR 20220176279 A KR20220176279 A KR 20220176279A KR 102636999 B1 KR102636999 B1 KR 102636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windbreak
frame
fixe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6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대병
Original Assignee
전대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대병 filed Critical 전대병
Priority to KR1020220176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9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9/581Means to prevent or induce disengagement of shutter from side r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2009/583Cord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2009/587Mounting of guiding devices to support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2009/588Sealings fo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 프레임(100)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210); 상기 고정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창틀과 창문의 틈새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실내, 또는 방안에 대한 단열 효과를 향상시키는 방풍시트(230); 상기 방풍시트(230)의 개폐 작동을 안내하는 레일 프레임(250); 및 상기 레일 프레임(250)과 상기 방풍시트(230)를 연결하고, 상기 방풍시트(230)의 개방 작동시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처짐 방지 수단(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풍 및 암막용 커튼장치{Windbreak and blackout curtain device}
본 발명은 방풍 및 암막용 커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창틀과 창문의 틈새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실내, 또는 방안에 대한 단열 효과를 향상시키고, 외부의 빛을 차단하여 암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방풍 및 암막용 커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개의 오래된 건물은 창틀과 창문이 서로 밀착되지 못하여 틈새를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창틀과 창문의 틈새로는 방안의 내부 공기와 창문 밖의 외부 공기가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겨울철 보일러를 가동시켜 방안의 온도를 높인다 할지라도 창틀과 창문이 밀착되지 못하는 구조로, 방안의 내부 공기와 창문 밖의 외부 공기는 공기 이동이 이루어져 단열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이는, 전력 손실을 높이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각 가정에서는 단열 효과를 높이기 위해 문틈으로 새어 들어오는 바람을 막기 위해 문짝 주변을 돌아가며 단열소재인 문풍지를 발라 단열 효과를 높일 수도 있으나, 방안이 지저분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는, 창문과 창틀을 2중창 또는 3중창의 구조로 공사를 통해 단열 효과를 높일 수도 있으나, 초기 설치 비용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5694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창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창틀과 창문의 틈새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실내, 또는 방안에 대한 단열 효과를 향상시키고, 외부의 빛을 차단하여 암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방풍 및 암막용 커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튼장치를 창틀로부터 분리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쉽고 간단하게 창문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고, 창문 개폐시 방풍시트가 처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방풍 및 암막용 커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풍시트의 표면에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 문양, 문구 등을 구성함으로써, 커튼장치의 심미감을 높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풍 및 암막용 커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창틀 프레임(100)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210); 상기 고정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창틀과 창문의 틈새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실내, 또는 방안에 대한 단열 효과를 향상시키는 방풍시트(230); 상기 방풍시트(230)의 개폐 작동을 안내하는 레일 프레임(250); 및 상기 레일 프레임(250)과 상기 방풍시트(230)를 연결하고, 상기 방풍시트(230)의 개방 작동시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처짐 방지 수단(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프레임(210)은, 상기 방풍시트(230)가 삽입 및 고정되는 시트 고정홈(212)과, 상기 시트 고정홈(212)의 후방으로 상기 레일 프레임(250)이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홈(214)과, 상기 프레임 결합홈(214)의 바닥면 일측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연결홈(216)과, 양단부가 직교를 이루도록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일단부측 절곡부가 상기 프레임 연결홈(216)에 결합되고, 타단부측 절곡부가 상기 창틀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고정수단(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풍시트(230)는, 상기 시트 고정홈(212)에 고정되며, 중앙부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고정 방풍시트(232)와, 상기 고정 방풍시트(232)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 방풍시트(232)로부터 개폐 작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 방풍시트(234)와, 상기 고정 방풍시트(232) 및 개폐 방풍시트(234)에 구성되며, 상기 개폐 방풍시트(234)의 개폐 작동을 안내하는 개폐수단(2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풍시트(230)는 표면으로 노출되는 면으로 이미지, 문양, 문구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짐 방지 수단(300)은, 상기 레일 프레임(250)에 안착되어 상기 개폐 방풍시트(234)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이동 안내 수단(310); 일단부가 상기 이동 안내 수단(31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개폐 방풍시트(234)와 결합되는 처짐 방지 와이어(320); 및 상기 개폐 방풍시트(234)에 구성되며, 상기 처짐 방지 와이어(320)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와이어 고정부재(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프레임(210)에는 상기 방풍시트(230)가 결합된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방풍시트(230)와 고정 프레임(210)의 결합 부분이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덮개시트(24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창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창틀과 창문의 틈새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실내, 또는 방안에 대한 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커튼장치를 창틀로부터 분리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쉽고 간단하게 창문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고, 창문 개폐시 방풍시트가 처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방풍시트의 표면에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 문양, 문구 등을 구성함으로써, 커튼장치의 심미감을 높여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풍 및 암막용 커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풍 및 암막용 커튼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풍 및 암막용 커튼장치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풍 및 암막용 커튼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식별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부호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이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일 뿐, 그 식별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풍 및 암막용 커튼장치는 창틀 프레임(100)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210)과, 고정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창틀과 창문의 틈새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실내, 또는 방안에 대한 단열 효과를 향상시키는 방풍시트(230)와, 방풍시트(230)의 개폐 작동을 안내하는 레일 프레임(250)과, 방풍시트(230)의 개방 작동시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처짐 방지 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 프레임(210)은 창틀 프레임(100)의 상부 및 하부 프레임에 각각 고정 결합된다.
이때, 고정 프레임(210)은 창틀 프레임(100)의 상부 및 하부 프레임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고정 프레임(210)은 일측으로 방풍시트(230)가 삽입 및 고정되는 시트 고정홈(212)이 형성되고, 이 시트 고정홈(212)의 후방으로 레일 프레임(250)이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홈(214)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 프레임(210)에는 프레임 결합홈(214)의 바닥면 일측부에 형성되어, 창틀 프레임(100)과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수단(220)이 결합되는 프레임 연결홈(216)이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수단(220)은 통상의 클립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양단부가 직교를 이루도록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일단부측 절곡부가 고정 프레임(210)의 프레임 연결홈(216)에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타단부측 절곡부가 창틀 프레임(100)에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면서 고정 프레임(210)과 창틀 프레임(10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한다.
방풍시트(230)는 천 재질로 이루어지며, 고정 프레임(210)의 시트 고정홈(212)에 고정되며, 일부면이 레일 프레임(2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개폐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풍시트(230)는 상기 고정 프레임(210)의 시트 고정홈(212)에 고정되며, 그 중앙부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고정 방풍시트(232)와, 고정 방풍시트(232)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고정 방풍시트(232)로부터 개폐 작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 방풍시트(234)와, 고정 방풍시트(232) 및 개폐 방풍시트(234)에 구성되며, 이 개폐 방풍시트(234)의 개폐 작동을 안내하는 개폐수단(2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 방풍시트(232)는 그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접착수단이 도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개폐 방풍시트(234)는 고정 방풍시트(232)의 중앙부에 개폐수단(236)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 방풍시트(232)의 관통된 중앙부의 상부, 하부 및 일측부와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일측부와 대향되는 타측부는 상기 관통된 중앙부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개폐 방풍시트(234)는 고정 방풍시트(232)와 완전한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부, 하부 및 일측면만 고정 방풍시트(232)와 분리, 또는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개폐수단(236)은 통상의 지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개폐 방풍시트(234)와 고정 방풍시트(232)의 분리, 또는 결합을 지지하고, 개폐 방풍시트(234)의 개폐 작동을 지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풍시트(230)는 그 표면, 다시말해 실내 공간측으로 노출되는 면으로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 문양, 문구 등을 구성함으로써, 커튼장치의 심미감을 높여 실내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이미지, 문양, 문구 등은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인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고정 프레임(210)에는 방풍시트(230)가 결합된 부분, 즉 실내 공간측에 위치하는 고정 프레임(210)의 일면으로 방풍시트(230)와 고정 프레임(210)의 결합 부분이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덮개시트(24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레일 프레임(250)은 방풍시트(230)의 개폐 작동을 위해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고정 프레임(210)의 프레임 결합홈(214)에 고정 결합되고, 상부, 또는 하부면 중앙으로 처짐 방지 수단(300)이 안착되어 이 처짐 방지 수단(3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252)이 형성된다.
여기서, 안내홈(252)은 처짐 방지 수단(300)이 안착되는 안착턱부(254)를 더 구성하고, 이 안착턱부(254)를 따라 처짐 방지 수단(300)의 이동 안내 수단(310)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안내홈(252)에는 안착턱부(254)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처짐 방지 수단(300)의 처짐 방지 와이어(320)가 인출되어 개페 방풍시트(234)와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연통홀(256)이 더 형성된다.
처짐 방지 수단(300)은 상기 안내홈(252)에 안착되며, 방풍시트(230)의 개폐 방풍시트(234)가 개폐수단(236)의 작동에 의해 개방 작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 개폐 방풍시트(234)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개폐 방풍시트(234)가 커튼장치의 하부, 또는 창틀 프레임(100)의 바닥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동 안내 수단(310), 처짐 방지 와이어(320), 와이어 고정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 안내 수단(310)은 통상의 롤러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레일 프레임(250)에 형성된 안내홈(252)의 안착턱부(254)에 안착되어 개폐 방풍시트(234)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이동 안내 수단(310)은 하단부에 처짐 방지 와이어(320)가 결합된다.
처짐 방지 와이어(320)는 이동 안내 수단(310)과 개폐 방풍시트(234)를 연결하여 이동 안내 수단(310)이 개폐 방풍시트(234)의 개방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개폐 방풍시트(234)가 개방이 이루어진 이후에도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와이어 고정부재(330)는 개폐 방풍시트(330)에 구성되며, 처짐 방지 와이어(320)의 일단부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커튼장치를 창틀 프레임(100)으로부터 모두 분리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쉽고 간단하게 창문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고, 창문 개폐시 방풍시트(23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0: 창틀 프레임
210: 고정 프레임
212: 시트 고정홈
214: 프레임 결합홈
216: 프레임 연결홈
220: 고정수단
230: 방풍시트
232: 고정 방풍시트
234: 개폐 방풍시트
236: 개폐수단
240: 덮개시트
250: 레일 프레임
252: 안내홈
254: 안착턱부
256: 연통홀
252: 안내홈
300: 처짐 방지 수단
310: 이동 안내 수단
320: 처짐 방지 와이어
330: 와이어 고정부재

Claims (6)

  1. 창틀 프레임(100)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210);
    상기 고정 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창틀과 창문의 틈새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실내, 또는 방안에 대한 단열 효과를 향상시키는 방풍시트(230);
    상기 방풍시트(230)의 개폐 작동을 안내하는 레일 프레임(250); 및
    상기 레일 프레임(250)과 상기 방풍시트(230)를 연결하고, 상기 방풍시트(230)의 개방 작동시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처짐 방지 수단(30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210)은,
    상기 방풍시트(230)가 삽입 및 고정되는 시트 고정홈(212)과, 상기 시트 고정홈(212)의 후방으로 상기 레일 프레임(250)이 결합되는 프레임 결합홈(214)과, 상기 프레임 결합홈(214)의 바닥면 일측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연결홈(216)과, 양단부가 직교를 이루도록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일단부측 절곡부가 상기 프레임 연결홈(216)에 결합되고, 타단부측 절곡부가 상기 창틀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고정수단(220)을 포함하고,
    상기 방풍시트(230)는,
    상기 시트 고정홈(212)에 고정되며, 중앙부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고정 방풍시트(232)와, 상기 고정 방풍시트(232)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 방풍시트(232)로부터 개폐 작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 방풍시트(234)와, 상기 고정 방풍시트(232) 및 개폐 방풍시트(234)에 구성되며, 상기 개폐 방풍시트(234)의 개폐 작동을 안내하는 개폐수단(23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및 암막용 커튼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시트(230)는 표면으로 노출되는 면으로 이미지, 문양, 문구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및 암막용 커튼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 방지 수단(300)은,
    상기 레일 프레임(250)에 안착되어 상기 개폐 방풍시트(234)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이동 안내 수단(310);
    일단부가 상기 이동 안내 수단(31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개폐 방풍시트(234)와 결합되는 처짐 방지 와이어(320); 및
    상기 개폐 방풍시트(234)에 구성되며, 상기 처짐 방지 와이어(320)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와이어 고정부재(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및 암막용 커튼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210)에는
    상기 방풍시트(230)가 결합된 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방풍시트(230)와 고정 프레임(210)의 결합 부분이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덮개시트(24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 및 암막용 커튼장치.
KR1020220176279A 2022-12-15 2022-12-15 방풍 및 암막용 커튼장치 KR102636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6279A KR102636999B1 (ko) 2022-12-15 2022-12-15 방풍 및 암막용 커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6279A KR102636999B1 (ko) 2022-12-15 2022-12-15 방풍 및 암막용 커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999B1 true KR102636999B1 (ko) 2024-02-15

Family

ID=89899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6279A KR102636999B1 (ko) 2022-12-15 2022-12-15 방풍 및 암막용 커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9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1860A (ko) * 2012-02-09 2013-08-20 박수철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
KR101495694B1 (ko) 2012-05-12 2015-02-25 박윤경 블라인드
KR20150123011A (ko) * 2014-04-24 2015-11-03 이창환 캔버스 도어의 처짐 방지장치
KR20180088031A (ko) * 2017-01-26 2018-08-03 주식회사 존환경디자인 커튼 내장형 창호
KR102295250B1 (ko) * 2020-08-07 2021-08-30 주식회사 알루텍 롤스크린 방진망 탈부착형 미서기 창호용 방충망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1860A (ko) * 2012-02-09 2013-08-20 박수철 방한용 롤스크린 구조물
KR101495694B1 (ko) 2012-05-12 2015-02-25 박윤경 블라인드
KR20150123011A (ko) * 2014-04-24 2015-11-03 이창환 캔버스 도어의 처짐 방지장치
KR20180088031A (ko) * 2017-01-26 2018-08-03 주식회사 존환경디자인 커튼 내장형 창호
KR102295250B1 (ko) * 2020-08-07 2021-08-30 주식회사 알루텍 롤스크린 방진망 탈부착형 미서기 창호용 방충망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294B1 (ko) 수평 풍지 구조를 갖는 미서기창호
US20180044977A1 (en) Rolling door construction for controlling air leakage
KR101558869B1 (ko) 창호용 방풍부재
KR20150092074A (ko)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킨 자동문의 조립구조
KR20210001860U (ko) 미닫이 창문용 방풍 장치
KR102636999B1 (ko) 방풍 및 암막용 커튼장치
WO2021120780A1 (zh) 一种用于门窗防水的内框、包含其的门窗及其制造方法
KR101460598B1 (ko) 방풍성이 강화된 강화유리 안전 쌍도어
KR102383663B1 (ko) 기밀과 수밀기능을 가진 창호의 하변 실외측 구조
KR101888093B1 (ko) 기밀성능과 수밀성능이 향상된 미서기창
KR101132145B1 (ko) 롤 방충망의 개폐수단을 갖는 창호
KR101499623B1 (ko) 단열 창호 시스템
KR102385788B1 (ko) 덧댐 창호 시스템
KR200487614Y1 (ko) 방풍모의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문틀용 방풍구
KR101460600B1 (ko) 방풍효율이 향상된 강화유리 안전도어
KR100831423B1 (ko) 방풍용 창호
KR20160109714A (ko) 단열 및 방풍성이 향상된 창호
KR20160004239U (ko) 글라스창호 및 한지창호를 구비한 복합 창호
KR102528020B1 (ko) 창문 틈새 차단형 방풍구
KR20190136175A (ko) 외풍 차단을 겸하는 미닫이식 창호의 방충망 이탈방지장치
CN210768520U (zh) 一种折叠式安全门窗
KR20070047571A (ko) 미서기 창호
KR102399349B1 (ko) 실내 미서기문의 가이드 홈 마감장치
KR20190068783A (ko) 기밀커버
KR101460601B1 (ko) 강화유리 안전도어의 탈부착식 방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