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707A - 감도 조절이 가능한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감도 조절이 가능한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707A
KR20160109707A KR1020150034617A KR20150034617A KR20160109707A KR 20160109707 A KR20160109707 A KR 20160109707A KR 1020150034617 A KR1020150034617 A KR 1020150034617A KR 20150034617 A KR20150034617 A KR 20150034617A KR 20160109707 A KR20160109707 A KR 20160109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ire detection
camera
senso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9919B1 (ko
Inventor
김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명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명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명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50034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919B1/ko
Publication of KR20160109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9/00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4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a single signalling line, e.g. in a closed loo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감도 조절이 가능한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의 카메라는 다수의 화재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설치 현장에 따른 화재 감지 신호를 발생하고, 설치 현장의 영상을 촬영하여 제공하되 화재 감지 신호에 해당되는 알람 영상을 합성하여 합성 영상으로 생성하는 동시에 상기 화재 감지 신호에 해당되는 알람 및 경고음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영상 녹화기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생성되는 합성 영상을 모니터를 통해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오디오 신호를 대응되는 알람음으로 출력하고, 상기 화재 감지 신호와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센서 정보를 외부로 제공한다. 화재 감지 제어기는 상기 영상 녹화기로부터 제공되는 화재 감지 신호와 센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카메라의 제어를 위한 카메라 제어 신호와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감도 제어를 위한 센서 감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 녹화기를 통해 상기 카메라로 제공하는 화재 감지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영상 녹화기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와 상기 센서 감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PTZ(Pan Tilt Zoom) 제어와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감도 제어를 수행한다.

Description

감도 조절이 가능한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FIRE DETECTING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SENSITIVITY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감도 조절이 가능한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고층 건물, 문화재, 지하철 역사 등에서 대형 복합화재 발생에 따른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이, 매년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는 천문학적인 수준이다.
화재의 피해를 줄이는 최선의 방법은 예방이지만, 화재가 발생한 이후의 대처 또한 중요하다.
근래에는 불꽃 센서, 온도 센서, 연기 센서 등의 화재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근거리 및 원격지에서도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이 대두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화재 감지 시스템은 외부에서 화재 감지 센서에 대한 별도의 감도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고 실제 화재 발생시 온도나 연기 등의 초기 설정에 대한 값으로 감지 결과를 판단하여 관제실에 그 정보를 전달하거나 설치 현장에 경고음 등을 발생하여 화재 경보를 알리고 있어 시시각각 환경이 변화는 야외나 실험실 등과 같은 설치 장소에서 사용하는데 많은 오류 발생 및 감도 설정에 대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영상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고 화재 경보기만 구성되어 있는 경우, 오류로 인한 불필요한 인력 출동 및 화재의 발생 원인 파악이나 화재 진압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 상황에 대해 현장 출동 외에 적절하게 처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가령 일반적인 화재에는 기본적 화재 진압에 사용되는 분말 소화기나 물 등을 이용하여 진압할 수 있지만, 특수한 화학물에 의한 화재가 발생된 경우에는 그에 따른 적절한 소화기 및 화재 진압 방법이 상이하다. 이를 위해서라도 화재 이전 상황을 알 수 있으면 발화점 및 화재 진압 방법에 대한 계획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설치 또한 카메라 영상 전송과 화재 센서 신호 전송을 위한 케이블 및 전원 공사를 진행함에 있어 다수의 케이블 사용과 전기 공사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현장에 설치된 카메라의 화재 감지 센서를 통해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분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화된 센서 감도를 원격지에서도 감도 조절이 가능한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은,
다수의 화재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설치 현장에 따른 화재 감지 신호를 발생하고, 설치 현장의 영상을 촬영하여 제공하되 화재 감지 신호에 해당되는 알람 영상을 합성하여 합성 영상으로 생성하는 동시에 상기 화재 감지 신호에 해당되는 알람 및 경고음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생성되는 합성 영상을 모니터를 통해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오디오 신호를 대응되는 알람음으로 출력하고, 상기 화재 감지 신호와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센서 정보를 외부로 제공하는 영상 녹화기; 및 상기 영상 녹화기로부터 제공되는 화재 감지 신호와 센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카메라의 제어를 위한 카메라 제어 신호와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감도 제어를 위한 센서 감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 녹화기를 통해 상기 카메라로 제공하는 화재 감지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영상 녹화기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와 상기 센서 감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PTZ(Pan Tilt Zoom) 제어와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감도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와 상기 영상 녹화기는 동축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며, 상기 동축 케이블은 단일 케이블을 통해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녹화기로 전달하고, 상기 영상 녹화기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카메라로 제공하는 PoC(Power over Coax) 기능과 상기 영상 녹화기로부터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와 상기 센서 감도 제어 신호를 상기 카메라로 전달하는 CoC(Control over Coax) 기능을 구비하는 동축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는 상기 합성 영상, 상기 오디오 신호, 상기 화재 감지 신호 및 상기 센서 정보를 하나의 결합 신호로 결합하여 상기 동축 케이블을 통해 상기 영상 녹화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녹화기는 상기 동축 케이블을 통해 상기 결합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합성 영상, 상기 오디오 신호, 상기 화재 감지 신호 및 상기 센서 정보로 분리하고, 분리되는 상기 합성 영상은 상기 모니터를 통해 표시하고, 분리되는 상기 오디오 신호는 상기 알람음으로 출력하며, 분리되는 상기 화재 감지 신호 및 상기 센서 정보는 상기 화재 감지 제어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에 따라 카메라의 팬(Pan) 동작과 틸트(Tilt)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 대상을 변경하기 위한 상기 카메라의 위치 제어를 수행하는 카메라 위치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설치 현장의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센서 정보를 받아서 화재 발생에 대한 화재 감지 신호 및 화재 감지 레벨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 녹화기로부터 전달되는 센서 감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화재 감지 신호의 감도 제어를 수행하는 화재 감지 및 센서 제어부; 상기 화재 감지 및 센서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화재 감지 신호와 화재 감지 레벨에 해당되는 알람 영상과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감지 신호 처리부; 상기 감지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되는 알람 영상과 상기 촬영부에서 생성되는 촬영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합성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합성 영상과 상기 오디오 신호, 상기 화재 감지 신호 및 상기 센서 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결합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동축 케이블을 통해 상기 영상 녹화기로 전송하는 결합 처리부; 및 상기 영상 녹화기로부터 전달되는 카메라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PTZ 제어를 수행하는 종합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종합 제어부는 상기 결합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지 못하는 외부 기기로 상기 화재 감지 신호와 상기 센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카메라 제어 신호와 센서 감도 제어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센서 감도 제어 신호는 상기 화재 감지 및 센서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는 상기 카메라의 PTZ 제어를 위해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녹화기는, 상기 동축 케이블을 통해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결합 신호를 분석하여 합성 영상, 오디오 신호, 화재 감지 신호 및 센서 정보를 분리하는 신호 분리부; 상기 신호 분리부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합성 영상을 보정 처리하여 상기 모니터를 통해 표시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신호 분리부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보정 처리하여 상기 알람음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 및 상기 신호 분리부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화재 감지 신호 및 센서 정보를 상기 화재 감지 제어기로 전송하고, 상기 화재 감지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카메라 제어 신호 및 센서 감도 제어 신호를 상기 동축 케이블을 통해 상기 영상 녹화기로 전송하는 종합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는 다수의 카메라로부터 전달되는 합성 영상을 처리하여 화면 분할 기능을 통해 상기 모니터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재 감지 제어기는, 상기 영상 녹화기로부터 수신되는 화재 감지 신호 및 센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카메라의 제어 및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센서 감도 제어를 위한 분석을 수행하는 신호 분석부; 상기 신호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카메라의 제어 및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감도 제어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 판단부; 및 상기 제어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카메라 제어를 위한 카메라 제어 신호와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감도 제어를 위한 센서 감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 녹화기로 전달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 녹화기로부터 수신되는 화재 감지 신호 및 센서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분석부는 상기 저장부에 누적 저장되는 상기 화재 감지 신호와 상기 센서 정보와 상기 영상 녹화기로부터 수신되는 화재 감지 신호와 센서 정보를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화재 감지 제어 방법은,
카메라가 화재 감지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센서 신호를 통해서 화재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되는 화재 감지 신호에 대응되는 알람 영상과 현장의 촬영 영상을 합성한 합성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화재 감지 신호에 대응되는 경고음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영상 녹화기가 상기 카메라로부터 생성되는 합성 영상을 모니터를 통해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오디오 신호를 대응되는 알람음으로 출력하고, 상기 화재 감지 신호와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센서 정보를 화재 감지 제어기로 제공하는 단계; 화재 감지 제어기가 상기 영상 녹화기로부터 제공되는 화재 감지 신호와 센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카메라의 제어를 위한 카메라 제어 신호와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감도 제어를 위한 센서 감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 녹화기를 통해 상기 카메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영상 녹화기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와 상기 센서 감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PTZ(Pan Tilt Zoom) 제어와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감도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오디오를 생성하는 단계는, 설치 현장의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센서 정보를 받아서 화재 발생에 대한 화재 감지 신호 및 화재 감지 레벨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화재 감지 신호와 상기 화재 감지 레벨에 해당되는 알람 영상과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알람 영상과 상기 촬영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합성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합성 영상과 상기 오디오 신호, 상기 화재 감지 신호 및 상기 센서 정보를 결합하여 결합 신호를 생성하여 동축 케이블을 통해 상기 영상 녹화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재 감지 제어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동축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결합 신호를 분석하여 합성 영상, 오디오 신호, 화재 감지 신호 및 센서 정보를 분리하는 단계; 분리되는 상기 합성 영상을 보정 처리하여 상기 모니터를 통해 표시하고, 분리되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보정 처리하여 상기 알람음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분리되는 상기 화재 감지 신호 및 센서 정보를 상기 화재 감지 제어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녹화기로부터 수신되는 화재 감지 신호 및 센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카메라의 제어 및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센서 감도 제어를 위한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분석의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카메라의 제어 및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감도 제어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카메라 제어를 위한 카메라 제어 신호와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감도 제어를 위한 센서 감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 녹화기를 통해 상기 카메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에 설치된 카메라의 화재 감지 센서를 통해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분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화된 센서 감도를 원격지에서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고, 나아가 누적된 데이터로 카메라의 PTZ 제어를 수행하거나 화재 감지 센서의 감도를 조절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화재 감지 기능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현장의 촬영 영상과 화재 감지 센서 데이터의 동시 녹화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영상 녹화시 화재 감지 센서의 상태, 즉 화재 감지 레벨을 이용하여 화재 발생 이전부터 발생되는 시점까지의 기록 및 분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의 입력된 감지 레벨을 영상에 표시함으로써 별도 감지 레벨 분석 장비 없이 센서의 감도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알람 기록 및 실시간 영상을 통해 발화점 및 화재 진압 방법에 대한 계획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화재 진압을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화재 감지시 표시되는 영상에 경고 문구/이미지 표시 등의 알람 영상을 합성하고 알람 오디오를 동시에 전송함으로써 별도 화재 감지 알람 장비 없이도 화재 경보가 가능하다.
또한, 영상 신호 전송용 동축 케이블에 전원 및 제어 신호를 중첩하여 전송함으로써 별도 추가 공사가 필요없어 설치 시간 및 공사비 절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영상 녹화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화재 감지 제어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1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시스템(10)은 카메라(100), 카메라 위치 제어기(200), 영상 녹화기(300) 및 화재 감지 제어기(400)를 포함한다.
카메라(100)는 화재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설치 현장에 따른 화재 감지 신호를 발생하고, 설정에 따라 설치 현장의 영상을 촬영하여 제공하거나 화재 감지 신호에 해당되는 알람 영상을 합성하여 합성 영상을 제공한다. 여기서, 화재 감지 센서로는 온도 센서, 자외선 센서, 적외선 감지 센서, 열화상 센서, CO 감지 센서, CO2 감지 센서 등이 있다. 여기서, 알람 영상에는 화재 감지 신호의 화재 감지 레벨과 화재 감지 레벨에 해당되는 경고가 포함된다.
또한, 카메라(100)는 화재 감지 신호에 해당되는 오디오/경고음 신호를 생성하여 오디오 신호로써 제공한다.
또한, 카메라(100)는 화재 감지 신호, 합성 영상, 오디오 신호와 함께 화재 감지 신호와 화재 감지 센서의 센서 정보를 결합하여 결합 신호로써 영상 녹화기(300)로 제공한다.
한편, 카메라(100)는 영상 녹화기(300)와 동축 케이블(500)을 통해 연결되며, 이러한 동축 케이블(500)은 단일 케이블을 통해 카메라(100)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영상 녹화기(300)로 전달하는 기능은 물론 영상 녹화기(300)로부터의 전원을 카메라(100)로 제공하는 PoC(Power over Coax) 기능과 영상 녹화기(300)로부터의 카메라(100)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카메라(100)로 전달하는 CoC(Control over Coax) 기능을 수행하는 동축 케이블을 의미한다.
따라서, 카메라(100)는 동축 케이블(500)을 통해 영상 녹화기(300)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서 동작할 수 있으며, 카메라(100)에서 생성되는 결합 신호를 동축 케이블(500)을 통해 영상 녹화기(300)로 전달하고, 또한 영상 녹화기(300)로부터 전달되는 카메라 제어 신호 및 센서 감도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카메라(100)는 물론 카메라 내에 구비되어 있는 화재 감지 센서에 대한 감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제어는 카메라(100)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팬(Pan), 틸트(Tilt) 등의 동작에 관한 제어와 카메라(100)의 줌(Zoom) 동작에 관한 제어가 포함된다.
카메라(100)는 동축 케이블(500)을 통해 영상 녹화기(300)로부터 전달되는 카메라 제어 신호 중에서 줌에 관한 제어 신호를 통해 카메라(100)의 줌 동작을 제어하지만, 카메라 제어 신호 중에서 팬과 틸트 동작에 관한 제어 신호는 카메라 위치 제어기(200)로 전달한다.
카메라 위치 제어기(200)는 카메라(10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카메라(100)의 팬이나 틸트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촬영 대상을 변경하기 위한 카메라(100)의 위치 제어를 수행한다.
다음, 영상 녹화기(300)는 동축 케이블(500)을 통해 카메라(100)로부터 전달되는 결합 신호를 분리하여 화재 감지 신호, 센서 정보, 촬영 영상 또는 촬영 영상과 알람 영상이 합성된 합성 영상 및 오디오 신호로 분리한다. 또한, 영상을 저장하는 동시에 연결된 모니터(380)에 영상을 출력하고, 또한 분리되는 오디오 신호를 사용하여 해당 오디오 또는 경고음을 발생한다.
또한, 영상 녹화기(300)는 분리되는 화재 감지 신호와 센서 정보를 저장하고 화재 감지 제어기(400)로 전달한다.
또한, 영상 녹화기(300)는 화재 감지 제어기(400)로부터 전달되는 카메라 제어 신호와 센서 감도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동축 케이블(500)을 통해 카메라(100)로 전달한다.
또한, 영상 녹화기(300)는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아서 동축 케이블(500)을 통해 카메라(100)로 제공한다.
다음, 화재 감지 제어기(400)는 영상 녹화기(300)로부터 전달되는 화재 감지 신호와 센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한 후 원격지의 카메라(100)의 최적화된 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카메라 제어 신호 및 센서 감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영상 녹화기(300)로 전달한다.
이하, 상기한 카메라(1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00)는 촬영부(110), 화재 감지 센서(120), 화재 감지 및 센서 제어부(130), 감지 신호 처리부(140), 결합 처리부(150), 신호 전송부(160), 전원부(170), 종합 제어부(180) 및 외부 전송부(190)를 포함한다.
촬영부(110)는 화재를 감시하고자 현장의 영상을 촬영하여 대응되는 영상을 촬영 영상으로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촬영부(110)는 줌 구동이 가능한 렌즈(111)와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촬영하여 출력하는 영상 처리부(113)를 포함한다.
화재 감지 센서(120)는 화재를 감시하고자 현장의 환경 정보를 센싱하여 대응되는 센서 신호로써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화재 감지 센서(120)로 온도 센서, 자외선 센서, 적외선 센서, 열화상 센서, CO 감지 센서, CO2 감지 센서 등이 있으므로, 센서 신호로는 온도 감지 신호, 자외선 감지 신호, 적외선 감지 신호, 열화상 감지 신호, CO 감지 신호, CO2 감지 신호 등이 출력된다.
또한, 화재 감지 센서(120)는 화재 감지 및 센서 제어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센서 감도 제어 신호에 따라 화재 감지 센서(120)의 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화재 감지 및 센서 제어부(130)는 화재 감지 센서(120)로부터 각종의 센서 신호를 받아서 화재 발생에 대한 화재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이 때, 화재 감지 및 센서 제어부(130)는 화재 감지 신호에 대응되는 화재 감지 레벨도 함께 생성한다.
또한, 화재 감지 및 센서 제어부(130)는 센서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서 화재 감지 신호와 화재 감지 레벨을 외부로 제공시 해당 신호를 감지한 센서 정보도 함께 제공한다.
또한, 화재 감지 및 센서 제어부(130)는 신호 전송부(160)를 통해 영상 녹화기(300)로부터 전달되는 센서 감도 제어 신호를 받아서 화재 감지 센서(120)의 감도 제어를 수행한다.
감지 신호 처리부(140)는 화재 감지 및 센서 제어부(130)에서 생성되는 화재 감지 신호와 화재 감지 레벨에 해당되는 알람 영상을 생성하고, 화재 감지 신호와 화재 감지 레벨에 해당되는 오디오/경고음을 오디오 신호로써 생성한다.
이를 위해, 감지 신호 처리부(140)는 화재 감지 신호와 화재 감지 레벨에 해당되는 알람 영상을 생성하는 알람 영상 생성부(141)와 화재 감지 신호와 화재 감지 레벨에 해당되는 오디오/경고음을 생성하는 오디오 생성부(143)를 포함한다.
결합 처리부(150)는 감지 신호 처리부(140)에서 생성되는 알람 영상과 촬영부(110)에서 출력되는 촬영 영상을 합성하여 합성 영상으로 생성하고, 합성 영상과 함께 감지 신호 처리부(140)에서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 화재 감지 및 센서 제어부(130)에서 제공되는 화재 감지 신호 및 센서 정보를 결합하여 결합 신호로써 신호 전송부(16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결합 처리부(150)는 감지 신호 처리부(140)에서 생성되는 알람 영상과 촬영부(110)에서 출력되는 촬영 영상을 합성하여 합성 영상으로 생성하는 영상 합성부(151)와, 영상 합성부(151)에서 생성되는 합성 영상과 함께 감지 신호 처리부(140)에서 생성되는 오디오 신호, 화재 감지 및 센서 제어부(130)에서 제공되는 화재 감지 신호 및 센서 정보를 하나의 신호로 결합하여 결합 신호로써 신호 전송부(160)로 전달하는 신호 결합부(153)를 포함한다.
신호 전송부(160)는 결합 처리부(150)로부터 전달되는 결합 신호를 동축 케이블(500)을 통해 영상 녹화기(300)로 전송하고, 동축 케이블(500)을 통해 영상 녹화기(300)로부터 전송되는 카메라 제어 신호 및 센서 감도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카메라 제어 신호는 종합 제어부(180)로 전달하고, 센서 감도 제어 신호는 화재 감지 및 센서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또한, 신호 전송부(160)는 동축 케이블(500)을 통해 영상 녹화기(30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전원부(170)로 제공한다.
전원부(170)는 카메라(100)의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전원을 제공하며, 신호 전송부(160)에 접속되는 동축 케이블(500)을 통해 영상 녹화기(300)로부터 전원을 제공받거나 또는 외부 전원을 제공받는다.
종합 제어부(180)는 신호 전송부(160)와 외부 전송부(190)에서 전달되는 카메라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카메라(100)의 팬 구동 또는 틸트 구동을 위해 카메라 위치 제어 신호를 카메라 위치 제어기(200)로 전달하고, 카메라(100)의 줌 구동을 위한 줌 제어 신호 또는 초점 제어 신호를 촬영부(110)로 전달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녹화기(300)와 다른 일반적인 영상 녹화기나 일반적인 모니터 등의 외부 기기(도시하지 않음)의 경우 결합 처리부(150)에서 생성되는 결합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외부 기기를 위해, 종합 제어부(180)는 결합 처리부(150)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와 센서 정보를 전달받아서 외부 전송부(190)를 통해 외부 기기로 전송한다.
외부 전송부(19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녹화기(300)와 다른 일반적인 영상 녹화기나 일반적인 모니터 등의 외부 기기(도시하지 않음)와의 신호 전송을 수행한다. 즉, 외부 전송부(190)는 종합 제어부(180)로부터 전달되는 화재 감지 신호와 센서 정보를 수신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하고, 화재 감지 신호와 센서 정보를 통해 분석된 결과에 따른 카메라 제어 신호 및 센서 감도 제어 신호를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종합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또한, 종합 제어부(180)는 외부 전송부(190)로부터 전달받은 센서 감도 제어 신호를 화재 감지 및 센서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다음, 상기한 영상 녹화기(3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영상 녹화기(3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녹화기(300)는 신호 전송부(310, 360), 신호 분리부(320), 영상 처리부(330), 오디오 처리부(340), 종합 제어부(350) 및 전원부(370)를 포함한다.
신호 전송부(310)는 동축 케이블(500)을 통해 카메라(100)로부터 전송되는 결합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 분리부(320)로 전달하고, 종합 제어부(350)로부터 전달되는 카메라 제어 신호 및 센서 감도 제어 신호를 동축 케이블(500)을 통해 카메라(100)로 전송한다.
또한, 신호 전송부(310)는 전원부(370)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동축 케이블(500)을 통해 카메라(100)로 제공한다.
신호 분리부(320)는 신호 전송부(310)로부터 수신되는 결합 신호를 분석하여 합성 영상 신호, 오디오 신호, 화재 감지 신호 및 센서 정보로 분리한 후, 분리된 합성 영상 신호는 영상 처리부(330)로 전달하고, 분리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처리부(340)로 전달하며, 분리된 화재 감지 신호와 센서 정보는 종합 제어부(350)로 전달한다.
영상 처리부(330)는 신호 분리부(320)에서 분리되어 전달되는 합성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모니터(380)를 통해 표시한다. 이 때, 다수의 카메라(100)를 통해서 촬영되는 합성 영상이 다수 개인 경우 영상 처리부(300)는 다수의 합성 영상을 처리하여 화면 분할 기능 등을 통해서 모니터(380)를 통해 다수의 화재 감지 현장의 영상을 해당 현장에서 감지되는 화재 감지 신호에 대응되는 합성 영상과 화재 감지 레벨과 함께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30)는 신호 분리부(320)로부터 전달되는 합성 영상 신호를 보정하여 출력하는 영상 보정부(331), 영상 보정부(331)에 의해 보정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335) 및 다수의 합성 영상 신호가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모니터(380)를 통해 표시하기 위한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출력부(333)를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340)는 신호 분리부(320)에서 분리되어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 또는 경보기(390)를 통해 알람 경고음을 출력한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340)는 신호 분리부(320)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보정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보정부(341) 및 오디오 보정부(341)에 의해 보정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 또는 경보기(390)를 통해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343)를 포함한다.
종합 제어부(350)는 신호 분리부(320)에서 분리되어 전달되는 화재 감지 신호 및 센서 정보를 신호 전송부(360)를 통해 화재 감지 제어기(400)로 전송하고, 신호 전송부(360)를 통해 화재 감지 제어기(400)로부터 전송되는 카메라 제어 신호와 센서 감도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 전송부(310)와 동축 케이블(500)을 통해 카메라(100)로 전송한다.
신호 전송부(360)는 종합 제어부(350)로부터 전달되는 화재 감지 신호 및 센서 정보를 화재 감지 제어기(400)로 전송하고, 화재 감지 제어기(400)로부터 전송되는 카메라 제어 신호 및 센서 감도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종합 제어기(350)로 전달한다.
전원부(370)는 외부 전원을 제공받아서 영상 녹화기(300)의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전원을 제공하며, 또한 신호 전송부(310)에 접속되는 동축 케이블(500)을 통해 카메라(100)에게도 전원을 제공한다.
다음, 상기한 화재 감지 제어기(4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화재 감지 제어기(4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감지 제어기(400)는 신호 전송부(410), 저장부(420), 신호 분석부(430), 제어 판단부(440) 및 제어 신호 생성부(450)를 포함한다.
신호 전송부(410)는 영상 녹화기(300)로부터 전송되는 화재 감지 신호 및 센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420)와 신호 분석부(420)로 전달하고, 제어 신호 생성부(450)에 의해 생성되는 카메라 제어 신호 및 센서 감도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서 영상 녹화기(300)로 전송한다.
저장부(420)는 신호 전송부(410)로부터 전달되는 화재 감지 신호 및 센서 정보를 저장한다.
신호 분석부(430)는 신호 전송부(410)로부터 전달되는 화재 감지 신호 및 센서 정보와 저장부(420)에 누적하여 저장되어 있는 화재 감지 신호 및 센서 정보를 사용하여 카메라 제어 및 센서 감도 제어를 위한 분석을 수행한다.
제어 판단부(440)는 신호 분석부(430)에 의해 분석되는 결과를 사용하여 카메라 제어 및 센서 감도 제어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신호 분석부(430)의 분석 결과, 일부 화재 감지 센서(120)에 의해 현장의 환경이 변화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변화된 환경에 따른 다른 화재 감지 센서(120)의 감도 조절이나 카메라(100)의 위치 또는 줌 기능이 필요하므로 이 경우 카메라 제어 또는 센서 감도 제어 수행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수 있다.
제어 신호 생성부(450)는 제어 판단부(440)에 의해 카메라 제어 또는 센서 감도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가 필요한 정도의 카메라 제어 신호 또는 센서 감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신호 전송부(410)를 통해 영상 녹화기(30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 신호 생성부(450)는 제어 판단부(440) 외에 외부 입력을 통해 카메라 제어 또는 센서 감도 제어가 요구되는 경우에도 요구되는 정도에 해당되는 카메라 제어 신호 또는 센서 감도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카메라(100)는 화재 감시 대상의 현장의 영상을 촬영하는 동시에 화재 감지 센서(120)를 사용하여 현장의 환경 정보를 센싱한다(S100).
그 후, 카메라(100)는 화재 감지 센서(120)에 의해 센싱되는 센서 신호를 통해서 화재 감지 신호를 생성한 후(S110), 생성된 화재 감지 신호에 대응되는 알람 영상 및 경고음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S120).
계속해서, 카메라(100)는 상기 단계(S100)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과 상기 단계(S120)에서 생성된 알람 영상을 합성하여 합성 영상을 생성하고(S130), 생성되는 합성 영상과 오디오 신호, 그리고 화재 감지 신호와 센서 정보를 결합하여 하나의 결합 신호를 생성하여(S140), 동축 케이블(500)을 통해 영상 녹화기(300)로 전송한다(S150).
다음, 영상 녹화기(300)는 동축 케이블(500)을 통해 카메라(100)로부터 전송되는 결합 신호를 분석하여 합성 영상 신호, 오디오 신호, 화재 감지 신호 및 센서 정보로 분리한다(S160).
그 후, 영상 녹화기(300)는 분리된 합성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모니터(380)를 통해서는 합성 영상을 표시하면서 스피커 또는 경보기(390)를 통해서는 알람 경고음을 출력한다(S170).
그리고, 영상 녹화기(300)는 분리된 화재 감지 신호 및 센서 정보에 대해서는 화재 감지 제어기(400)로 전달한다(S180).
다음, 화재 감지 제어기(400)는 영상 녹화기(300)로부터 전달되는 화재 감지 신호와 센서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을 수행한 후(S190), 카메라(100)에 대한 제어 및 화재 감지 센서(120)의 감도 제어가 필요한 지를 판단한다(S200).
만약 카메라(100)에 대한 제어 또는 화재 감지 센서(120)의 감도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화재 감지 제어기(400)는 카메라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카메라 제어 신호 또는 화재 감지 센서(120)의 감도 제어를 위한 센서 감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S210) 영상 녹화기(300)를 통해 카메라(100)로 전송한다(S220).
따라서, 카메라(100)는 영상 녹화기(300)를 통해 화재 감지 제어기(400)로부터 전송되는 카메라 제어 신호 또는 센서 감도 제어 신호에 따라 카메라(100)의 PTZ(Pan Tilt Zoom) 제어를 수행하거나 또는 화재 감지 센서(120)의 감도 제어를 수행한다(S23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화재 감지 제어기(400)가 현장에 설치된 카메라(100)의 화재 감지 센서(120)를 통해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분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화된 센서 감도를 원격지에서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고, 나아가 누적된 데이터로 카메라(100)의 PTZ 제어를 수행하거나 화재 감지 센서(120)의 감도를 조절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화재 감지 기능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현장의 촬영 영상과 화재 감지 센서 데이터의 동시 녹화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영상 녹화시 화재 감지 센서(120)의 상태, 즉 화재 감지 레벨을 이용하여 화재 발생 이전부터 발생되는 시점까지의 기록 및 분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화재 감지시 표시되는 영상에 경고 문구/이미지 표시 등의 알람 영상을 합성하여 표시함으로써 별도 화재 감지 알람 장비 없이도 화재 경보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5)

  1. 다수의 화재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설치 현장에 따른 화재 감지 신호를 발생하고, 설치 현장의 영상을 촬영하여 제공하되 화재 감지 신호에 해당되는 알람 영상을 합성하여 합성 영상으로 생성하는 동시에 상기 화재 감지 신호에 해당되는 알람 및 경고음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생성되는 합성 영상을 모니터를 통해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오디오 신호를 대응되는 알람음으로 출력하고, 상기 화재 감지 신호와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센서 정보를 외부로 제공하는 영상 녹화기; 및
    상기 영상 녹화기로부터 제공되는 화재 감지 신호와 센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카메라의 제어를 위한 카메라 제어 신호와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감도 제어를 위한 센서 감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 녹화기를 통해 상기 카메라로 제공하는 화재 감지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영상 녹화기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와 상기 센서 감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PTZ(Pan Tilt Zoom) 제어와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감도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와 상기 영상 녹화기는 동축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며,
    상기 동축 케이블은 단일 케이블을 통해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녹화기로 전달하고, 상기 영상 녹화기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카메라로 제공하는 PoC(Power over Coax) 기능과 상기 영상 녹화기로부터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와 상기 센서 감도 제어 신호를 상기 카메라로 전달하는 CoC(Control over Coax) 기능을 구비하는 동축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합성 영상, 상기 오디오 신호, 상기 화재 감지 신호 및 상기 센서 정보를 하나의 결합 신호로 결합하여 상기 동축 케이블을 통해 상기 영상 녹화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녹화기는 상기 동축 케이블을 통해 상기 결합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합성 영상, 상기 오디오 신호, 상기 화재 감지 신호 및 상기 센서 정보로 분리하고, 분리되는 상기 합성 영상은 상기 모니터를 통해 표시하고, 분리되는 상기 오디오 신호는 상기 알람음으로 출력하며, 분리되는 상기 화재 감지 신호 및 상기 센서 정보는 상기 화재 감지 제어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에 따라 카메라의 팬(Pan) 동작과 틸트(Tilt) 동작을 제어하여 촬영 대상을 변경하기 위한 상기 카메라의 위치 제어를 수행하는 카메라 위치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설치 현장의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센서 정보를 받아서 화재 발생에 대한 화재 감지 신호 및 화재 감지 레벨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 녹화기로부터 전달되는 센서 감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화재 감지 신호의 감도 제어를 수행하는 화재 감지 및 센서 제어부;
    상기 화재 감지 및 센서 제어부에서 생성되는 화재 감지 신호와 화재 감지 레벨에 해당되는 알람 영상과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감지 신호 처리부;
    상기 감지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되는 알람 영상과 상기 촬영부에서 생성되는 촬영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합성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합성 영상과 상기 오디오 신호, 상기 화재 감지 신호 및 상기 센서 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결합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동축 케이블을 통해 상기 영상 녹화기로 전송하는 결합 처리부; 및
    상기 영상 녹화기로부터 전달되는 카메라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PTZ 제어를 수행하는 종합 제어부
    를 포함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 제어부는 상기 결합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지 못하는 외부 기기로 상기 화재 감지 신호와 상기 센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카메라 제어 신호와 센서 감도 제어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센서 감도 제어 신호는 상기 화재 감지 및 센서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는 상기 카메라의 PTZ 제어를 위해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녹화기는,
    상기 동축 케이블을 통해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결합 신호를 분석하여 합성 영상, 오디오 신호, 화재 감지 신호 및 센서 정보를 분리하는 신호 분리부;
    상기 신호 분리부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합성 영상을 보정 처리하여 상기 모니터를 통해 표시하고 저장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신호 분리부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보정 처리하여 상기 알람음으로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 및
    상기 신호 분리부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화재 감지 신호 및 센서 정보를 상기 화재 감지 제어기로 전송하고, 상기 화재 감지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카메라 제어 신호 및 센서 감도 제어 신호를 상기 동축 케이블을 통해 상기 영상 녹화기로 전송하는 종합 제어부
    를 포함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다수의 카메라로부터 전달되는 합성 영상을 처리하여 화면 분할 기능을 통해 상기 모니터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 제어기는,
    상기 영상 녹화기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 및 센서 정보를 수신하는 신호 전송부;
    상기 신호 전송부를 통해 수신되는 화재 감지 신호 및 센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카메라의 제어 및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센서 감도 제어를 위한 분석을 수행하는 신호 분석부;
    상기 신호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카메라의 제어 및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감도 제어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 판단부; 및
    상기 제어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상기 카메라 제어를 위한 카메라 제어 신호와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감도 제어를 위한 센서 감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신호 전송부를 통해 상기 영상 녹화기로 전달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녹화기로부터 수신되는 화재 감지 신호 및 센서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분석부는 상기 저장부에 누적 저장되는 상기 화재 감지 신호와 상기 센서 정보와 상기 영상 녹화기로부터 수신되는 화재 감지 신호와 센서 정보를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12. 카메라가 화재 감지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센서 신호를 통해서 화재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되는 화재 감지 신호에 대응되는 알람 영상과 현장의 촬영 영상을 합성한 합성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화재 감지 신호에 대응되는 경고음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영상 녹화기가 상기 카메라로부터 생성되는 합성 영상을 모니터를 통해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오디오 신호를 대응되는 알람음으로 출력하고, 상기 화재 감지 신호와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센서 정보를 화재 감지 제어기로 제공하는 단계;
    화재 감지 제어기가 상기 영상 녹화기로부터 제공되는 화재 감지 신호와 센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카메라의 제어를 위한 카메라 제어 신호와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감도 제어를 위한 센서 감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 녹화기를 통해 상기 카메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영상 녹화기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카메라 제어 신호와 상기 센서 감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PTZ(Pan Tilt Zoom) 제어와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감도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를 생성하는 단계는,
    설치 현장의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센서 정보를 받아서 화재 발생에 대한 화재 감지 신호 및 화재 감지 레벨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화재 감지 신호와 상기 화재 감지 레벨에 해당되는 알람 영상과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알람 영상과 상기 촬영 영상을 합성하여 상기 합성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합성 영상과 상기 오디오 신호, 상기 화재 감지 신호 및 상기 센서 정보를 결합하여 결합 신호를 생성하여 동축 케이블을 통해 상기 영상 녹화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재 감지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 제어기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동축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결합 신호를 분석하여 합성 영상, 오디오 신호, 화재 감지 신호 및 센서 정보를 분리하는 단계;
    분리되는 상기 합성 영상을 보정 처리하여 상기 모니터를 통해 표시하고, 분리되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보정 처리하여 상기 알람음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분리되는 상기 화재 감지 신호 및 센서 정보를 상기 화재 감지 제어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재 감지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녹화기로부터 수신되는 화재 감지 신호 및 센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카메라의 제어 및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센서 감도 제어를 위한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분석의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카메라의 제어 및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감도 제어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에 따라 상기 카메라 제어를 위한 카메라 제어 신호와 상기 화재 감지 센서의 감도 제어를 위한 센서 감도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 녹화기를 통해 상기 카메라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재 감지 제어 방법.
KR1020150034617A 2015-03-12 2015-03-12 감도 조절이 가능한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709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617A KR101709919B1 (ko) 2015-03-12 2015-03-12 감도 조절이 가능한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617A KR101709919B1 (ko) 2015-03-12 2015-03-12 감도 조절이 가능한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707A true KR20160109707A (ko) 2016-09-21
KR101709919B1 KR101709919B1 (ko) 2017-02-24

Family

ID=57080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617A KR101709919B1 (ko) 2015-03-12 2015-03-12 감도 조절이 가능한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9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802B1 (ko) * 2019-08-13 2020-10-13 이세홍 수동형 디텍터 및 능동형 디텍터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286B1 (ko) * 2019-08-20 2020-04-09 배덕진 센서를 이용한 알람신호 전송 기능을 갖는 cctv 카메라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1785A (ja) * 2005-08-02 2007-02-15 Optex Co Ltd 侵入検知装置
KR101221437B1 (ko) * 2011-11-23 2013-01-31 이더테크놀로지(주)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한 cctv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20140057225A (ko) * 2014-03-26 2014-05-12 박근원 열상과 다중센서를 이용한 cctv영상개선과 감시시스템활용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1785A (ja) * 2005-08-02 2007-02-15 Optex Co Ltd 侵入検知装置
KR101221437B1 (ko) * 2011-11-23 2013-01-31 이더테크놀로지(주)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한 cctv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20140057225A (ko) * 2014-03-26 2014-05-12 박근원 열상과 다중센서를 이용한 cctv영상개선과 감시시스템활용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802B1 (ko) * 2019-08-13 2020-10-13 이세홍 수동형 디텍터 및 능동형 디텍터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919B1 (ko) 2017-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9536B2 (ja) 監視装置
KR100716306B1 (ko) 산불감시시스템
JPWO2004066632A1 (ja) 遠隔映像表示方法、映像取得装置及びその方法とそのプログラム
WO2017054700A1 (zh) 火灾监测方法和装置
KR101187908B1 (ko) 복수의 이벤트 영상을 표시하는 통합 감시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복수의 이벤트 영상 표시 방법
JP7197981B2 (ja) カメラ、端末装置、カメラの制御方法、端末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158860A (ja) 撮影システム、撮影装置、画像切替装置、およびデータ保持装置
US20150325092A1 (en) Dual-detector capacity intrusion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ation thereof
KR101321447B1 (ko) 네트워크를 통한 현장 모니터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1709919B1 (ko) 감도 조절이 가능한 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183903B1 (ko)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 제어 방법
KR20080109940A (ko) 화상 처리 장치, 카메라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US8525870B2 (en) Remot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estimating a distance between an imaging device and a user image-captured
US918371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lor of mask of monitoring camera
JP2019201266A (ja) 自動追尾録画システムおよび録画制御装置
KR20210039312A (ko) Cctv 연계형 음향 시각화 시스템
KR101503347B1 (ko) 음원 검지를 통한 방범용 cctv 시스템 및 그 감시방법
JP4442571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100198A (ja) 監視システム
KR100982342B1 (ko) 지능형 방범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434878B1 (ko) 감시카메라 시스템
KR102164802B1 (ko) 수동형 디텍터 및 능동형 디텍터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
KR100872403B1 (ko) 고정형 카메라를 이용하여 ptz 카메라를 제어하는 감시시스템
KR101471187B1 (ko) 카메라 이동 제어 시스템 및 이동 제어 방법
KR101061868B1 (ko) 듀얼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