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8254A - 미강 함유 분말 보리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강 함유 분말 보리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254A
KR20160108254A KR1020160027165A KR20160027165A KR20160108254A KR 20160108254 A KR20160108254 A KR 20160108254A KR 1020160027165 A KR1020160027165 A KR 1020160027165A KR 20160027165 A KR20160027165 A KR 20160027165A KR 20160108254 A KR20160108254 A KR 20160108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ley
rice bran
tea
extract
barley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9339B1 (ko
Inventor
석보영
고석진
Original Assignee
석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보영 filed Critical 석보영
Publication of KR20160108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0Removing unwant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30Further treatment of dried tea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23L1/1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38Gamma-amino butyr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3Lys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02Gums
    • A23V2250/5034Beta-Gluc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미강 함유 분말 보리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 로스팅된 보리 및 미강으로부터 추출액을 얻고, 이들 추출액을 혼합하여 농축하고 건조하여 분말상으로 제조함으로써 보리와 미강이 혼합되어 구수한 맛과 부드러운 맛이 어우러져 누구나 용이하게 섭취가 가능하며, 특히 유아들이 섭취하기에 용이하며, 물과 혼합 시 부유물이나 잔여물이 남지 않아 찝찝함이나 거부감이 없고, 미리 끓여 놓지 않고 음용 시 바로 타 먹일 수 있고, 날씨나 주변 온도에 따라 상할 염려가 없어 위생상 안전하며, 외출 시에도 분말 보리차와 물을 별도로 준비하여 간편하게 음용이 가능한 미강 함유 분말 보리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강 함유 분말 보리차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of barley tea powder containing rice bran}
본 발명은 미강 함유 분말 보리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리와 미강이 혼합되어 라이신, 가바(GABA), β-글루칸(β-glucan) 등과 같은 미강과 보리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며 구수한 맛과 부드러운 맛이 어우러져 누구나 용이하게 섭취가 가능하고, 특히 유아들이 섭취하기에 용이하며, 물과 혼합 시 부유물이나 잔여물이 남지 않아 찝찝함이나 거부감이 없고, 미리 끓여 놓지 않고 음용 시 바로 타 먹일 수 있고, 날씨나 주변 온도에 따라 상할 염려가 없어 위생상 안전하며, 외출 시에도 분말 보리차와 물을 별도로 준비하여 간편하게 음용이 가능한 미강 함유 분말 보리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리차는 보리를 높은 온도에서 잘 볶은 후 물로 추출하여 향미가 단조로우면서도 맛이 강하고 고형분의 수율이 낮은 것이 특징으로, 구수한 맛, 은은한 향기 및 색상을 가지는 무가당 음료수로서, 남녀노소는 물론 영아에까지 음용될 수 있는 풍미 높은 생활 음료수이며, 또한 이용자들의 식생활 습관이나 성격 취향과 더불어 생활의 저변에 정착되어 있는 음료수이다. 이러한 보리차는 겉보리를 원료로 하여 어디에서나 입수할 수 있고 저가로 공급되어,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타 음료수에 비하여 매우 유용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기존에는 보리차를 제조함에 있어서 탈곡된 일정량의 생보리를 그대로 가열로에 투입한 후, 높은 고온으로 적당한 시간 동안 가열 회전시켜 주었는데, 이때 보리 자체가 높은 열로 인해 연소되어, 껍질은 타고 내부는 완전히 익지 않거나, 너무 익게 되므로, 끓는 물에 보리차를 넣어 끓이더라도 보리 특유의 맛과 향기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기존 보리차의 경우 티백이나 과립 또는 분말의 형태로 제조되었으며, 티백 보리차의 경우 물에 우려낼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위에 이물질이 떠다니고, 우려진 보리차에 가루 등이 남게 되어 섭취자로 하여금 거부감인 찝찝한 기분을 느끼게 하였다. 또한 과립의 경우에도 물에 완전히 용해되지 않고 보리에 부유물이나 잔여물이 남아 섭취 시 거부감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보리차를 분말로 제조하여 손쉽게 물에 타먹을 수 있는 분말 보리차가 제조되었으나, 보리의 쓴맛 등으로 인해 유아들의 경우 거부감을 보이는 일이 있었다.
국내공개특허 제10-1984-0000877호 국내공개특허 제10-2014-0134419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보리와 미강이 혼합되어 구수한 맛과 부드러운 맛이 어우러져 누구나 용이하게 섭취가 가능하며, 특히 유아들이 섭취하기에 용이하며, 성장기에 필요한 미강과 보리의 유효성분을 함유한 미강 함유 분말 보리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에 완전히 용해되어 물과 혼합 시 부유물이나 잔여물이 남지 않아 찝찝함이나 거부감이 없으며, 미리 끓여 놓지 않고 음용 시 바로 타 먹일 수 있고, 날씨나 주변 온도에 따라 상할 염려가 없어 위생상 안전하며, 외출 시에도 분말 보리차와 물을 별도로 준비하여 간편하게 음용이 가능한 미강 함유 분말 보리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보리차를 제공한다.
상기 미강은 분말 보리차 총 중량에 대하여 5~2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강 함유 분말 보리차는 보리 원물 및 미강 원물을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한 보리 및 미강을 물에 침지시켜 불리는 단계; 상기 불린 보리 및 미강을 각각 로스팅하는 단계; 상기 로스팅된 보리 및 미강을 각각 열수로 추출하여 보리 추출액 및 미강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보리 추출액 및 미강 추출액을 혼합하여 농축하는 단계; 및 상기 보리 및 미강 혼합 농축액을 건조하는 단계;로 제조된다.
상기 불리는 단계는 상온에서 20~36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로스팅하는 단계는, 보리는 140~150℃에서 20~30분간 1차 로스팅한 다음, 180~190℃에서 10~20분간 2차 로스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미강은 100~135℃에서 10~15분간 로스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추출액 제조단계는, 로스팅된 보리와 정제수를 1:6~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60~80℃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보리 추출액을 제조하며, 로스팅 미강과 정제수를 1:5~8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50~75℃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미강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보리 추출액 및 미강 추출액은 4:1~19: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농축 단계는, 50~80℃의 온도, 60~80mbar의 압력 조건에서 5~7시간 동안 진행하여 보리 및 미강 혼합 농축액의 농축농도가 30~50brix가 되도록 수행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건조 단계는, 보리 및 미강 혼합 농축액을 60~95℃의 온도로 20~40분간 열풍건조한 다음 다시 냉풍건조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건조 이후에는 분쇄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리와 미강이 혼합되어 라이신, 가바(GABA), β-글루칸(β-glucan) 등과 같은 미강과 보리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며 구수한 맛과 부드러운 맛이 어우러져 누구나 용이하게 섭취가 가능하고, 특히 유아들이 섭취하기에 용이한 보리차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미강 함유 분말 보리차는 물에 완전히 용해되어 물과 혼합 시 부유물이나 잔여물이 남지 않아 찝찝함이나 거부감이 없으며, 미리 끓여 놓지 않고 음용 시 바로 타 먹일 수 있고, 날씨나 주변 온도에 따라 상할 염려가 없어 위생상 안전하며, 외출 시에도 분말 보리차와 물을 별도로 준비하여 간편하게 음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미강 함유 분말 보리차(시료 C)와 팔도 제품(시료 A), 웅진식품 제품(시료 B)을 대상으로 찻물색, 향기, 맛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 내지 14는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미강 함유 분말 보리차(시료 C)와 팔도 제품(시료 A), 웅진식품 제품(시료 B)을 대상으로 찻물색(맑은정도, 진한정도), 향기(구수한 향, 단향, 불냄새, 잡냄새), 맛(구수한 맛, 깔끔한 맛, 단맛, 쓴맛, 떫은 맛, 순한 맛, 진한 맛)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를 각각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미강을 포함하는 분말 보리차를 제공한다.
상기 미강은 분말 보리차에 혼합되어 보리의 씁쓸한 맛이나 향을 부드럽게 완화시켜 구수한 맛과 부드러운 맛이 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보리차의 씁쓸한 맛을 거부하는 사람들이나 특히 유아들이 섭취하기에 용이한 보리차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강의 첨가로 인해 미강이 가지는 기능성 성분이 가미되어 영양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우수한 보리차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미강은 분말 보리차 총 중량에 대하여 5~20중량%의 함량이 되도록 포함될 수 있다. 그 함량이 5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미강 첨가로 인한 보리가 가지는 씁쓸한 맛과 향의 완화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2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함량 증가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며, 보리의 함량이 너무 적어 보리차로서의 향미와 섭취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미강 함유 분말 보리차는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보리 원물은 통상의 보리, 특히 겉보리이고, 미강 원물은 통상의 미강으로, 먼저 준비된 보리 원물 및 미강 원물을 세척한다.
상기 세척은 보리차의 제조에 사용되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세척할 수 있으며, 보리 원물이나 미강 원물에 함유된 불순물이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증류수를 이용하여 3~4회 세척한다.
이후 상기 세척된 보리 및 미강은 물에 침지시켜 불리는 단계를 실시한다.
상기 불림 단계는 보리나 미강이 충분히 담길 수 있을 정도로 물에 침지시켜 상온에서 20~36시간, 바람직하게는 24시간 동안 수행한다.
이어서, 상기 불린 보리 및 미강을 각각 로스팅한다.
상기 로스팅은 보리차 제조에 사용되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로스팅 단계를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보리 로스팅 시 물에 불린 보리를 2단계로 로스팅하여 보리 껍질은 타고 내부가 완전히 익지 않거나 너무 익어 보리 특유의 맛과 향기를 얻지 못하는 문제를 해소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로스팅은 상기 불린 보리를 140~150℃에서 20~30분간 1차 로스팅한 다음, 이어서 180~190℃에서 10~20분간 2차 로스팅하는 2단계로 로스팅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린 미강은 100~135℃, 바람직하게는 120℃의 온도에서 10~15분간의 1단계로 로스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보리와 미강을 각각 전술한 바와 같이 보리와 미강이 가지는 특유의 맛과 향기를 얻을 수 있는 최적의 로스팅 조건을 확립함으로써 보리와 미강의 혼합 보리차가 보리와 미강이 맛과 향을 가지면서도 각 성분을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경우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여 더욱 구수하고 부드러운 맛과 향을 가지는 보리차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상기와 같이 로스팅한 보리 및 미강은 각각 열수로 추출하여 보리 추출액과 미강 추출액을 제조한다. 이때, 보리 및 미강 추출액의 제조 시 열수 추출 이외에 통상 알려진 추출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으나, 보리차로서의 최적의 맛과 향, 영양성분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열수 추출에 의해 추출물을 얻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보리 추출액은 로스팅 된 보리와 정제수를 1: 6~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60~80℃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보리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로스팅된 보리와 정제수를 1: 8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70℃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보리 추출액을 제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강 추출물은 로스팅된 미강과 정제수를 1:5~8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50~75℃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미강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로스팅된 미강과 정제수를 1:6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60℃의 온도에서 5~6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미강 추출액을 제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제조된 보리 추출액 및 미강 추출액은 혼합하여 보리 및 미강 혼합액을 준비한다. 이때, 상기 보리 추출액 및 미강 추출액은 4 : 1~10 : 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다. 상기 보리 추출액 및 미강 추출액이 전술한 중량비로 혼합될 경우 보리 및 미강이 가지는 특유의 맛과 향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각 성분이 부족한 맛과 향 부분을 보완하여 더욱 부드럽고 구수한 맛과 향을 지녀 기호성이 우수한 보리차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영양측면에 있어서도 보리와 미강이 가지는 기능성 성분이 최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 전술한 범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리 및 미강 혼합액은 이후 농축하여 혼합 농축액을 제조한다.
상기 농축은 당 업계에서 사용하는 통상의 방법 및 조건에 따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구체적으로 50~80℃의 온도, 60~80mbar의 압력 조건에서 5~7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65℃의 온도, 70mbar의 압력 조건에서 6시간 동안 진행하여 혼합 농축액의 농도가 30~50brix가 되도록 농축한다. 상기 농축액의 농도가 전술한 범위일 경우 최종 제조된 분말 보리차의 음용 시 적절량의 물과 혼합하여 보리 및 미강이 가지는 맛과 향기를 최대 발현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농축한 혼합 농축액은 이후 건조하여 분말화하여 최종 분말 보리차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열풍건조, 냉풍건조, 분무건조, 동결건조 등의 통상의 건조방법이라면 그 방법이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 농축액을 60~95℃의 온도로 20~40분간 열풍건조한 다음 다시 냉풍건조하는 방법에 의해 건조하는 것이 보리 및 미강이 가지는 특유의 맛과 향기를 유지하는데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건조된 혼합물은 이후 분쇄하여 분말화한다.
상기 분쇄는 통상의 분쇄기를 이용하여 핀밀(pin mill), 제트밀(jet mill), 임팩트밀(impact mill), 롤밀(roll mill), 콜로이드밀(colloid mill) 등의 통상의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분쇄기의 마찰열에 의해 분쇄물이 굳거나 혹은 고열에 의해 영양성분의 손실 우려가 있으므로 마찰열이 발생하지 않는 제트밀을 이용하여 분쇄하는 것이 더욱 좋다.
상기 전술한 단계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미강 함유 분말 보리차는 이후 제품으로 제조하기 위해 통상의 방법에 따라 포장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포장은 일정 용량에 따라 포장할 수도 있으며, 섭취의 용이성을 위해 1회용 파우치에 포장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분말 보리차는 섭취의 용이성을 위해 1회용 파우치에 포장되어 미리 끓여 놓거나 타놓지 않고 음용 시 바로바로 타서 음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외출 시에 일정부피를 차지하는 보리차를 가지고 나가지 않아도 1회용 분말 보리차만으로 외부에서도 손쉽게 보리차를 섭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분말 보리차는 보리와 미강의 최적의 혼합비율로 혼합되어 보리 및 미강이 각각 가지는 특유의 맛과 향기를 그대로 가지면서도 서로의 부족한 부분을 상호 보완함으로써 최적의 맛과 향기를 가지는 보리차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분말 보리차는 보리차가 가지는 씁쓸한 맛을 보완하여 구수하고 부드러운 맛과 향을 가져 보리차를 거부하는 유아들이 섭취하기에도 적합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분말 보리차는 물에 완전히 용해됨으로써 물과 혼합 시 물 표면이나 보리차 중 부유물이나 잔여물이 남지 않아 찝찝함이나 거부감이 없으며, 미리 끓여 놓지 않고 음용 시 바로 타 먹일 수 있고, 날씨나 주변 온도에 따라 상할 염려가 없어 위생상 안전하며, 외출 시에도 분말 보리차와 물을 별도로 준비하여 간편하게 음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보리와 미강을 각각 증류수로 3회 세척하고, 충분히 담길 수 있을 정도로 물에 담구어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침지시켜 불림단계를 실시하였다. 상기 불린 보리를 145℃에서 20분간 1차 로스팅한 다음, 이어서 185℃에서 10분간 2차 로스팅하였다. 상기 로스팅된 보리는 정제수와 1:8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70℃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보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불린 미강은 120℃에서 10분간 로스팅한 다음, 로스팅된 미강과 정제수를 1:6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60℃의 온도에서 5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미강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보리 추출액 및 미강 추출액을 9:1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65℃의 온도, 70mbar의 압력 조건에서 6시간 동안 농축하여 농축액의 농도가 50brix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이어서, 상기 농축액을 60~95℃의 온도로 20~40분간 열풍건조한 다음 다시 냉풍건조하고, 제트밀을 이용해 분쇄하여 미강 함유 분말 보리차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불린 보리를 150℃에서 20분간 1차 로스팅한 다음, 190℃에서 10분간 2차 로스팅하고, 불린 미강을 130℃에서 10분간 로스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관능평가
관능품질평가는 차를 비롯한 기호품이나 식품 등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인간의 오감에 의한 방법으로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평가의 가장 기본이 되는 방법이다(日本技連官能檢査, 1973). 관능품질평가는 전문적이고 숙련된 평가원의 시각, 후각, 미각, 촉각으로 차의 형태, 색상, 향기 그리고 맛에 대하여 검증하는 것으로 차품질과 특성의 등급을 구별하는 방법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미강 함유 분말 보리차에 대한 관능평가를 50명의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찻물의 색 보기 → 향기 맡기 → 맛 보기」의 평가순서에 따라 평가토록 한 후 색(맑은정도, 진한정도), 향(구수한 향, 단향, 불냄새, 잡냄새), 맛(구수한맛, 깔끔한맛, 단맛, 쓴맛, 떫은맛, 순한맛, 진한맛)에 해당하는 13가지 항목에 대하여 "매우 약함"으로부터 "매우 강함"까지 리커트 7점척도에 따라 평가하였다. 이때, 관능의 비교를 위한 대조구로는 기존 어린이 보리차(팔도, 뽀로로보리차) 및 보리차(웅진식품, 하늘보리)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 내지 4 및 도 1 내지 1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상기 표 1 내지 4 및 도 1 내지 14에 나타낸 바를 토대로 각각의 시료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및 전체적인 분석결과를 하기에 나타내었다.
3-1. 시료 A(팔도, 뽀로로보리차)
시료 A에 대한 찻물의 색은 맑은정도(53.5%), 진한정도(51.3%, 조금 강함 17.9%)로 2가지 항목 모두 대체로 보통정도로 평가되었다. 향기는 구수한향(보통 36.6%, 조금 강함 22.0%), 단향(대체로약함 23.7%, 조금 약함 18.4%, 보통 23.7%, 조금 강함 18.4%), 불냄새(매우 약함 16.2%, 대체로약함 21.6%, 조금 약함 18.9%, 보통 16.2%, 조금 강함 18.9%), 잡냄새(매우 약함 16.7%, 대체로 약함 36.1%, 조금 약함 13.9%, 보통 19.4%)로 평가되었다. 또한 차의 맛은 구수한 맛(보통 22.0%, 조금 강함 26.8%, 대체로 강함 24.4%), 깔끔한 맛(대체로 약함 12.5%, 조금 약함 12.5%, 보통 22.5%, 조금 강함 32.5%), 단맛(대체로 약함 21.1%, 보통 34.2%, 조금 강함 18.4%), 쓴맛(매우 약함 16.7%, 대체로 약함 27.8%, 조금 강함 22.2%), 떫은맛(매우 약함 16.2%, 대체로 약함 40.5%), 순한맛(대체로 약함 26.3%, 조금 약함 15.8%, 보통 26.3%), 진한맛(대체로 약함 16.2%, 보통 35.1%, 조금 강함 24.3%)으로 평가되었다.
3-2. 시료 B(웅진식품, 하늘보리)
시료 B에 대한 찻물의 색은 맑은정도(대체로 약함 25.6%, 조금 약함 25.6%%), 진한정도(대체로 약함 23.1%, 조금 약함 30.8%, 보통 23.1%) 모두로 평가되었다. 향기는 구수한향(대체로 약함 30.0%, 조금 약함 20.0%, 보통 25.0), 단향(대체로약함 26.3%, 조금 약함 23.7%, 보통 18.4%), 불냄새(매우 약함 27.0%, 대체로약함 24.3%, 조금 약함 18.9%, 보통 18.9), 잡냄새(매우 약함 24.3%, 대체로 약함 27.0%, 조금 약함 18.9%, 보통 21.6%)로 평가되었다. 또한 차의 맛은 구수한 맛(조금 약함 17.5%, 보통 30.0%, 대체로 강함 17.5%), 깔끔한 맛(조금 약함 17.5%, 보통 27.5%, 조금 강함 20.0%), 단맛(매우 약함 10.5%, 대체로 약함 18.4%, 조금 약함 28.9%, 보통 21.1%, 조금 강함 10.5%), 쓴맛(매우 약함 28.6%, 대체로 약함 31.4%, 조금 약함 22.9%), 떫은맛(매우 약함 24.3%, 대체로 약함 27.0%), 순한맛(대체로 약함 23.7%, 조금 약함 10.5%, 보통 15.8%, 대체로 강함 10.5%, 조금 강함 15.8%, 매우 강함 15.8%), 진한맛(매우 약함 13.2%, 대체로 약함 31.6%, 조금 약함 15.8%, 보통 18.4%, 조금 강함 13.2%%)으로 평가되었다.
3-3. 시료 C(실시예 1)
시료 C에 대한 찻물의 색은 맑은정도(보통 19.5%, 조금 강함 26.8%, 대체로 강함 31.7%), 진한정도(보통 22.5%, 조금 강함 32.5%, 대체로 강함 30.0%)로 평가되었다. 향기는 구수한향(보통 20.0%, 조금 강함 35.0%, 대체로 강함 30.0%), 단향(대체로약함 20.5%, 조금 약함 23.1%, 보통 33.3%), 불냄새(매우 약함 18.9%, 대체로약함 18.9%, 조금 약함 16.2%, 보통 18.9%, 조금 강함 18.9%), 잡냄새(매우 약함 16.2%, 대체로 약함 29.7%, 조금 약함 21.6%, 보통 24.3%)로 평가되었다. 또한 차의 맛은 구수한 맛(보통 31.7%, 조금 강함 29.3%, 대체로 강함 19.5%), 깔끔한 맛(조금 약함 17.5%, 보통 40.0%, 조금 강함 20.0%), 단맛(대체로 약함 21.1%, 조금 약함 18.4%, 보통 34.2%), 쓴맛(대체로 약함 28.2%, 보통 17.9%, 조금 강함 23.1%, 대체로 강함 15.4%), 떫은맛(매우 약함 13.9%, 대체로 약함 27.8%, 보통 13.9%, 조금 강함 19.4%), 순한맛(매우 약함 13.5%, 대체로 약함 18.9%, 조금 약함 18.9%, 보통 27.0%, 조금 강함 13.5%), 진한맛(보통 15.8%, 조금 강함 28.9%, 대체로 강함 26.3%, 매우 강함 18.4%)으로 평가되었다.
3-4. 결과 분석
상기 관능검사 결과를 항목별 평가척도의 평균치와 빈도수를 기준으로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가. 평균치 비교
첫째, 찻물색의 맑은정도는 시료 C(4.90)>시료 A(4.19)>시료 B(3.60)으로 본 발명의 시료 C가 가장 맑게 나타났고, 진한 정도는 시료 C(5.38)>시료 A(4.44)>시료 B(2.90)의 순으로 본 발명의 시료 C가 가장 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향기에서 구수한 향은 시료 C(5.15)>시료 A(4.44)>시료 B(3.63)로 본 발명의 시료 C가 가장 구수하고, 단향은 시료 C(3.44)>시료 A(3.34)>시료 B(2.92)로 본 발명의 시료 C와 시료 A가 유사하게 우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셋째, 차의 맛에 있어서 시료 C(4.95)>시료 A(4.44)>시료 B(3.83)의 순으로 시료 C가 구수한 맛이 강하였으며, 깔끔한 맛은 시료 B(4.45)>시료 A(4.30)>시료 C(4.03)의 순으로 시료 B가 우세하였으며, 단맛은 시료 A(3.61)>시료 B(3.39)>시료 C(3.34)로 시료 A가 우세하였고, 진한 맛은 시료 C(5.18)>시료 A(4.22)>시료 B(3.13)의 순으로 시료 C가 우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따라, 본원발명의 시료 C는 기존의 차와 비교하여 맑은정도 및 진한정도가 우수하며, 구수하고 단향을 가지며, 구수한 맛과 진한 맛이 향상된 차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 빈도수 비교
첫째, 찻물 색에서는 시료 A는 맑은정도, 진한정도 모두 53.5%, 45.9%, 51.3%의 빈도로 '보통'으로 평가되었다. 시료 B는 맑은정도가 대체로 또는 조금 약함(51.2%), 진한 정도는 조금 약함(30.8%)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시료 C는 맑은정도가 조금 강함 26.8%와 대체로 강함 31.7%의 빈도를 보였으며, 진한 정도는 조금 강함(32.5%) 및 대체로 강함(30.0%)의 빈도로 대체로 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향기에서는 시료 A는 구수한 향이 보통(36.6%), 단향이 보통(23.7%), 대체로 약함(23.7%)으로 보통 이하, 불냄새와 잡냄새는 대체로 약한(21.6%, 36.1%) 것으로 평가되었다. 시료 B는 구수한 향과 단향이 각각 30.3%와 26.3% 빈도로 대체로 약함으로 평가되었고, 불냄새와 잡냄새는 각각 매우 약함(27.0%)과 대체로 약함(27.0%)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시료 C는 구수한 향이 조금 강함(35.0%), 단향은 보통(33.3%)이고, 불냄새는 보통(18.9%), 잡냄새는 대체로 약함(29.7%) 또는 조금 약함(21.6%)으로 평가되었다.
셋째, 차의 맛에서는 시료 A는 구수한 맛(26.8%)과 깔끔한 맛(32.5%)이 조금 강하고, 단맛(34.2%)과 진한 맛(35.1%)은 보통, 순한 맛(보통 26.3%, 대체로 약함 26.3%)은 보통 이하로 평가되었으며, 쓴 맛과 떫은맛은 대체로 약하게(27.8%, 40.5%) 평가되었다. 시료 B는 구수한 맛(30.0%)과 깔끔한 맛(27.5%)은 보통, 단맛은 조금 약함(28.9%), 쓴맛, 떫은 맛, 순한 맛, 진한 맛은 대체로 약함(31.4%, 27.0%, 23.7%, 31.6%)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시료 C는 구수한 맛(보통 31.7%, 조금 강함 29.3%)과 진한 맛(조금 강함 28.9%, 대체로 강함 26.3%)이 보통이상으로 평가되었다. 깔끔한 맛(40.0%), 단 맛(34.2%), 순한 맛(27.0%)은 보통, 쓴 맛과 떫은맛은 대체로 약함(28.2%, 27.8%)으로 평가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분말 보리차는 보리와 미강을 각각 최적의 조건으로 로스팅하고, 최대의 맛과 향기를 발현할 수 있는 적절 함량범위로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보리와 미강이 가지는 각각의 특유의 맛과 향기를 가지면서도 서로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여 더욱 구수하고 부드러운 맛과 향기를 나타낸 결과로 유추되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분말 보리차는 구수하고 부드러운 맛과 향, 그리고 맑고 진한 색을 가져 누구나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을 것이며, 미리 끓여 놓지 않고 음용 시 바로바로 타 먹을 수 있어 섭취가 용이하며, 날씨나 주변 온도와 무관하게 위생상 언전하게 섭취가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10)

  1. 미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보리차.
  2. 제1항 있어서,
    상기 미강은 분말 보리차 총 중량에 대하여 5~2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 보리차.
  3. 보리 원물 및 미강 원물을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한 보리 및 미강을 물에 침지시켜 불리는 단계; 상기 불린 보리 및 미강을 각각 로스팅하는 단계; 상기 로스팅된 보리 및 미강을 각각 열수로 추출하여 보리 추출액 및 미강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보리 추출액 및 미강 추출액을 혼합하여 농축하는 단계; 및 상기 보리 및 미강 혼합 농축액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강 함유 분말 보리차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불리는 단계는 상온에서 20~36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함유 분말 보리차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팅하는 단계는, 보리는 140~150℃에서 20~30분간 1차 로스팅한 다음, 180~190℃에서 10~20분간 2차 로스팅하고, 상기 미강은 100~135℃에서 10~15분간 로스팅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함유 분말 보리차의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액 제조단계는, 로스팅된 보리와 정제수를 1:6~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60~80℃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보리 추출액을 제조하며, 로스팅된 미강과 정제수를 1:5~8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50~75℃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미강 추출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함유 분말 보리차의 제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리 추출액 및 미강 추출액은 4:1~19: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함유 분말 보리차의 제조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 단계는, 50~80℃의 온도, 60~80mbar의 압력 조건에서 5~7시간 동안 진행하여 보리 및 미강 혼합 농축액의 농축농도가 30~50brix가 되도록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함유 분말 보리차의 제조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단계는, 보리 및 미강 혼합 농축액을 60~95℃의 온도로 20~40분간 열풍건조한 다음 다시 냉풍건조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함유 분말 보리차의 제조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단계 이후에 건조된 보리 및 미강 혼합물을 분쇄하는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함유 분말 보리차의 제조방법.
KR1020160027165A 2015-03-06 2016-03-07 미강 함유 분말 보리차의 제조방법 KR101959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31551 2015-03-06
KR1020150031551 2015-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254A true KR20160108254A (ko) 2016-09-19
KR101959339B1 KR101959339B1 (ko) 2019-07-04

Family

ID=57103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165A KR101959339B1 (ko) 2015-03-06 2016-03-07 미강 함유 분말 보리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3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386A (ko) 2017-07-20 2019-01-30 주식회사 더마코아 미강차 원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미강차 원료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0877A (ko) 1982-08-02 1984-03-26 이종민 분말 보리차의 제조방법
KR20010074034A (ko) * 2001-01-02 2001-08-04 강창환 두뇌 활성화 및 성장 촉진 기능을 강화한 생식 타입의차(茶) 조성물
KR20040076990A (ko) * 2003-02-27 2004-09-04 윤명희 미강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56439A (ko) * 2010-11-25 2012-06-04 (주)건강마을 발아현미를 이용한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99635A (ko) * 2013-02-04 2014-08-13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보리를 이용한 커피대용 분말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34419A (ko) 2013-05-14 2014-11-24 김정구 발아보리를 이용한 보리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리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0877A (ko) 1982-08-02 1984-03-26 이종민 분말 보리차의 제조방법
KR20010074034A (ko) * 2001-01-02 2001-08-04 강창환 두뇌 활성화 및 성장 촉진 기능을 강화한 생식 타입의차(茶) 조성물
KR20040076990A (ko) * 2003-02-27 2004-09-04 윤명희 미강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56439A (ko) * 2010-11-25 2012-06-04 (주)건강마을 발아현미를 이용한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99635A (ko) * 2013-02-04 2014-08-13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보리를 이용한 커피대용 분말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34419A (ko) 2013-05-14 2014-11-24 김정구 발아보리를 이용한 보리차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리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386A (ko) 2017-07-20 2019-01-30 주식회사 더마코아 미강차 원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미강차 원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339B1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227B1 (ko)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
WO2007023800A1 (ja) 食品
KR101959339B1 (ko) 미강 함유 분말 보리차의 제조방법
JP2013042669A (ja) あたたまり感を保持した高香味麦茶飲料
US20220167648A1 (en) Natural cocoa alternative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JP2008022845A (ja) 食品
KR20180024606A (ko) 쌀눈 함유 분말 보리차의 제조방법
JP4514210B2 (ja) 甜茶飲料
JPH02195849A (ja) タンポポコーヒー
KR101808249B1 (ko) 도토리를 원료로 하는 즉석가공식품 제조용 식품 조성물
JP2020068767A (ja) 凍結茶葉及び凍結茶葉組成物の製造方法
WO2015059809A1 (ja) 茶加工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35214B1 (ko) 다시마, 고대미 및 현미를 이용한 차 및 그 제조방법
US6500478B2 (en) Corn coffee
KR100249281B1 (ko) 구기자차의 제조방법
JPH07111A (ja) 茶入り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01859A (ja) ヤーコン豆乳飲料
JP2010172330A (ja) ブルーベリー果実茶の製造方法
Rianse et al. Organoleptic properties of functional powdered drink products based on palm sugar
KR101531971B1 (ko) 미역귀 현미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664399B1 (ko) 친환경 다시마 차의 제조방법
JPH08168354A (ja) にがうりの粉末加工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247239A (ja) タンポポ成分入りコーヒー状飲料用粉末
JP2021153439A (ja) ランナー抽出物を含む食品又は香料
KR20240066861A (ko) 감귤 진피 농축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