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971B1 - 미역귀 현미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역귀 현미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971B1
KR101531971B1 KR1020150009406A KR20150009406A KR101531971B1 KR 101531971 B1 KR101531971 B1 KR 101531971B1 KR 1020150009406 A KR1020150009406 A KR 1020150009406A KR 20150009406 A KR20150009406 A KR 20150009406A KR 101531971 B1 KR101531971 B1 KR 101531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wn rice
powder
tea
dried
undaria pinnatifid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장호
Original Assignee
한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장호 filed Critical 한장호
Priority to KR1020150009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9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30Further treatment of dried tea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te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역귀 현미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역귀를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된 미역귀를 85~100℃에서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미역귀를 분쇄하는 단계와, 현미를 볶는 단계와, 상기 볶은 현미를 분쇄하는 단계와, 건 표고버섯을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미역귀 분말, 볶은 현미 분말, 건 표고버섯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분말을 티백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역귀, 현미 및 건 표고버섯의 유용성분을 간단한 방법으로 음용할 수 있어 음용자의 건강유지에 도움을 주며, 미역귀, 현미 및 건 표고버섯의 풍미가 어우러져 전체적인 차의 맛과 향을 좋게 하여 그 소비를 촉진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미역귀 현미차 및 그 제조방법{Tea containing brown rice and sea mustard sporophyll and method manufacturing mehtod thereof}
본 발명은 미역귀 현미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역귀, 현미 그리고 표고버섯을 이용하여 풍미 및 영양이 우수한 차를 제조하는 것이다.
최근 차와 기호 음료의 다양화 등 음료의 발달을 이루고 있기는 하지만, 음용수에 대한 무분별한 선택으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다량으로 섭취하는 사례가 잦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건강기능식품인증을 획득한 음료의 경우 식약청의 인증을 받은 제품으로 그 성분이나, 섭취량, 효능 등을 확실하게 명시하고 있는 반면, 단순 기호 음료 등은 주요성분의 효능이나 섭취량 등이 명시되어 있지 않아 장기간 다량 복용하였을 경우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특히, 커피의 경우 2010년 기준으로 국내 시장 규모는 2조 8000억 원, 매년 20%이상 성장하고 있는데 반해 커피에 다량 함유된 카페인에 대한 경각심은 이에 반비례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매년 커피의 카페인 함유량과 관련된 전문자료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그 결과가 실험자에 따라 다른 권유 섭취량, 효능 및 독성을 말하고 일반인이 관련 자료를 접하기에는 전반적인 내용이 어려운 점이 있어 대부분의 사람들이 카페인 다량 섭취에 별다른 거부감을 나타내지 않고 있다. 하지만, 카페인의 경우 개인차에 따라 증상의 경중은 다르지만 장기간 복용했을 시 금단 현상을 유발한다. 카페인 중독의 일반적인 현상은 신경질, 화, 분노, 떨림, 불면증, 두통 등이 있으며, 심해지면 무력감, 판단착오, 망각, 환각, 정신 이상까지 생길 수 있고 방광 통증 및 칼슘 배출로 인한 골다공증 악화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최근에는 커피를 대체할 음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카페인을 대신할 수 있는 각성제 역할을 하는 물질을 대체물질로 첨가하거나, 녹차나 홍차에 들어있는 카페인으로 대체하는 등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나 커피의 뛰어난 기호성을 대체할 만한 제품은 아직 출시되지 않고 있다.
또한, 중장년층이 즐길 만한 기호 음료가 없는 상황에서 고급스러운 느낌의 기호 음료로 접근하기 위하여 국내산 원료와 부재료 사용, 화학첨가물과 방부제의 미사용 등 제품의 고급화에 주력하여 커피를 대신할 수 있는 대체 음료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미역은 알카리성 식물인 해산물로서 각종 아미노산, 비타민 특히 무기염류를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식품으로서 가치가 높을 뿐 아니라, 칼슘을 함유하고 있어 분만 전후의 산모에게 특히 적절한 영양 공급원으로 애용되고 있다.
이러한 미역은 미역의 몸통부분인 미역줄기 및 미역잎과, 미역의 머릿부분인 미역귀로 구분되는데, 이 가운데서 특히 미역귀는 미역의 알집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영양분이 가장 풍부하며, 특히 인체에 유익한 알긴산이 다량 포함되어 있다.
상기 알긴산의 효능은 잘 알려져 있다시피 체내의 중금속을 흡착하여 체외로 배출하는 작용 및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작용을 하여 국민보건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영양성분으로 각광받고 있다.
종래 이러한 미역의 가공방법은 생미역을 95∼98℃로 데친(Blanching) 후에 냉각, 염장, 탈염 등의 방법으로 가공하였으나, 이러한 가공방법은 미역의 유효성분인 알긴산, 비타민 등 기타 영양성분을 유실시키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또한, 대부분 미역의 줄기 또는 미역잎만을 섭취하고, 미역귀는 그대로 폐기하여 왔다.
그러나 미역이 함유하고 있는 알긴산을 각 부위별로 측정하면 미역잎이나 미역귀에 비해 2~6배가량 높으며, 미역에 함유되어 있는 알긴산의 경우 대부분이 수용성 알긴산이기 때문에, 종래 미역의 가공방법에 따라 미역을 섭취할 경우 알긴산을 파괴한 상태로 섭취하는 것이었다.
아울러, 미역에는 후코이단 성분이 풍부한데, 이러한 후코이단 성분은 항암효과가 탁월하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풍부한 영양성분이 포함되어 있음에도 사용되지 못하고 버려지고 있으며, 그 가공방법의 잘못으로 영양성분을 파괴된 상태로 섭취하고 있는 미역귀를 활용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KR 10-0338155 B1 KR 10-1472121 B1
이젠 후코이단 암치료에 쓴다(저자:타치가와 다이스케 일의학박사)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알긴산 및 후코이단 성분이 풍부한 미역귀와, 현미, 표고버섯을 이용하여 차를 제조함으로써, 미역귀, 현미 및 건 표고버섯 고유의 맛과 향이 어우러져 전체적인 차의 풍미를 좋게 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미역귀, 현미 및 건 표고버섯의 유용성분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미역귀 현미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미역귀 현미차는 미역귀 분말, 볶은 현미 분말, 건 표고버섯 분말을 포함하며, 티백으로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역귀 분말 100중량부, 볶은 현미 분말 500~1000중량부, 건 표고버섯 100~300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미는 기능성 현미로서, 발아현미, 갈색 가바현미, 라이신 강화현미 중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미역귀 현미차의 제조방법은, 미역귀를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된 미역귀를 85~100℃에서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미역귀를 분쇄하는 단계와, 현미를 볶는 단계와, 상기 볶은 현미를 분쇄하는 단계와, 건 표고버섯을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미역귀 분말, 볶은 현미 분말, 건 표고버섯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분말을 티백으로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쇄된 미역귀 분말, 볶은 현미 분말, 건 표고버섯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는, 상기 분쇄된 미역귀 분말 100중량부에 볶은 현미 분말 500~1000중량부, 건 표고버섯 100~30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현미는 기능성 현미로서, 발아현미, 갈색 가바현미, 라이신 강화현미 중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역귀, 현미 및 건 표고버섯의 유용성분을 간단한 방법으로 음용할 수 있어 음용자의 건강유지에 도움을 주며, 미역귀, 현미 및 건 표고버섯의 풍미가 어우러져 전체적인 차의 맛과 향을 좋게 하여 그 소비를 촉진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역귀 현미차의 제조공정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카페인의 함유량이 많은 커피를 대체하면서도, 중장년층은 물론,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즐겨 마실 수 있는 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미역귀 현미차는 미역귀 분말, 볶은 현미 분말, 건 표고버섯 분말을 포함하며, 티백으로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미역귀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용성 알긴산 및 후코이단 다량 포함하고 있음에도, 그 가공방법 및 섭취방법이 제한적임에 따라 대부분이 버려지고 있었는바, 이를 차로서 가공함으로써 이러한 유용성분을 손쉽게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미역귀는 특유의 감칠맛과 향으로 인해 차로서 이용하기에 좋은 재료이나, 미역귀만을 물에 넣고 우려낼 경우 해조류 고유의 비린 맛으로 인해 차의 풍미를 저해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미역귀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현미와 건 표고버섯을 함께 이용함으로써, 미역귀의 비린 맛을 제거하고, 우수한 풍미를 갖는 차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재료 중 다른 하나인 현미는 배아와 겨층에 대부분의 영양소가 존재하고, 백미보다 식이섬유, 아미노산, 피틴산, 비타민 B와 E 등의 영양 성분을 더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배아 속에는 배아시스테롤 이라는 성분이 포함되어 암을 예방해주고 혈액을 알카리성으로 만들어줘서 각종질환이 되는 원인세포를 융해하여 건강하게 만들어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미에 포함되어 있는 옥타코사놀이라는 성분은 체내에 콜레스테롤이 흡수되는 것을 막아주고, 혈관 내에 쌓여있는 콜레스테롤을 제거해 준다. 그리고 상기 현미는 수용성과 불용성의 식이섬유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배변에 좋은 쌀겨층과 리놀레산이 다량 함유되어, 변비예방, 동맥경화예방, 노화방지 등에 효과적이므로, 차의 재료로서 적합하다.
또한, 이러한 현미는 특유의 고소한 풍미로 인해 해조류인 미역귀의 비린 맛을 감소시켜주며, 차의 풍미를 증진시켜준다.
아울러, 본 발명의 차를 구성하는 또 다른 재료인 건 표고버섯은 대장암에 효과가 좋고, 비타민D가 풍부해 골다공증 예방과 항염증, 혈당강하, 혈전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므로, 미역귀와 함께 사용할 경우 암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은 물론, 미역귀의 비린 맛을 잡아주고, 미역귀, 현미와 함께 그 맛과 향이 어우러질 경우 우수한 풍미를 갖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차는 미역귀, 현미 및 건 표고버섯을 포함하는 것인데, 상기 현미는 볶고 분쇄하여서 된 것이고, 미역귀와 건 표고버섯 역시 건조, 분쇄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의 제조방법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미역귀를 세척하는 단계.
먼저, 미역귀 원초를 채취하여 깨끗이 세척한다. 상기 미역귀 원초는 청정해역인 완도바다에서 자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미역귀를 세척하는 방법은 물 또는 식염수를 이용하여 1회 이상 세척하는 것이다. 미역귀는 상기 세척을 통해 염분이 제거되는 것인바, 식염수의 염도가 4% 이상 되지 않도록 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미역귀에는 다량의 수용성 알긴산과 후코이단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바, 이를 차로서 가공할 경우 미역귀에 포함된 수용산 알긴산과 후코이단 성분을 뜨거운 물을 통해 우려내어 손쉽게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세척된 미역귀를 건조시키는 단계.
세척이 완료되면, 상기 세척된 미역귀를 건조시킨다. 이때, 상기 건조방법은 자연건조, 열풍건조, 냉풍건조, 동결건조 등 다양한 방법으로 건조하는 것이 가능하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생산효율을 고려할 때 건조기를 이용하여 85~100℃에서 건조하는 것이다. 여기서, 그 건조시간은 제한하지 않는데, 건조되는 미역귀의 양에 따라 달리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미역귀의 수분함량이 2~10%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분함량을 2~10%로 하는 이유는 수분함량이 10%보다 많을 경우 분쇄가 어렵고, 2%보다 적을 경우 건조시간이 길어지므로 경제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나, 이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건조된 미역귀를 분쇄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미역귀를 분쇄한다. 이때, 분쇄방법으로는 통상의 분쇄기를 이용하는 것인바, 분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미역귀를 절단한 후, 분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분말화한 미역귀의 입도는 2~150mesh 정도일 수 있는데, 입자가 너무 작을 경우 차를 우려낼 시 미역귀 분말이 티백으로부터 새어나와 차가 탁해지고, 차의 장기보관 시 향의 발산이 많아지므로 저장기간이 짧아지며, 입자가 너무 클 경우 유효성분의 용출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건조된 미역귀의 경우 분쇄가 용이치 않을 수 있으므로, 1차 분쇄하여서 된 분말을 다시 2차 분쇄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현미를 볶는 단계.
상기 건조된 미역귀를 분말화하는 공정과는 별도로, 현미를 준비하여 150~300℃로 가열된 팬에서 3~10분간 볶아준다. 상기 현미를 볶는 온도가 너무 낮거나 볶는 시간이 너무 짧으면 현미의 고소한 풍미가 부족하게 되고, 온도가 너무 높거나 시간이 길어지면 현미가 탄화되어 오히려 풍미가 저하되므로 150~300℃로 가열한 팬에 3~10분간 볶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현미로는 가공하지 않은 상태의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발아현미, 갈색 가바현미, 라이신 강화현미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우려내어 그대로 음용할 것이므로 유기농 현미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아현미란, 현미를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19~21℃의 온도로 유지되는 침지액에 120시~180시간 동안 침지시켜 발아시킨 후, 이를 수세하고, 수분함량이 12~14%가 될 때까지 풍건하여서 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갈색 가바현미란 잡초 벼와 재배 벼를 교합시켜서 수확하는 것으로, 갈색 빛을 갖는 현미로서, 감마아미노낙산(Gamma Aminobutyric Acid, GABA, 가바) 성분이라는 것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뇌 대사를 촉진시켜서 집중력과 기억력을 좋게 해주고 성장과 발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아울러, 당뇨와 고혈압제 좋은 효과를 보인다. 상기 갈색 가바현미는 영남대학교 서학수 박사가 15년간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세계 28개국을 돌며 수집한 잡초벼 약 1,500여 종과 대한민국 우수 품종의 유용한 형질을 선택 육종시켜 개발한 신품종으로, 종 및 학명은 Oryza Sativa L. 이다.
그리고 상기 라이신 강화현미는 성장호르몬 생성에 필요한 필수 아미노산인 라이신 성분을 첨가한 현미로서, 상기 라이신은 성장기 어린이들의 성장판을 열리게 하는 물질로서, 성장기 어린이에게 좋은 성분이다. 상기 라이신 성분을 강화하는 방법으로는 종래 개시된 다양한 방법을 사용가능한바, 그 일례로서 수세한 현미를 30∼50℃로 건조하여 수분함량을 17∼30%로 조절하는 단계; 라이신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팅액을 현미의 중량대비 0.2∼0.8%가 되도록 현미의 표면에 분무하고, 이를 30∼50℃에서 수분함량이 14∼16%가 되도록 건조함으로써, 제조가능하다.
상기 볶은 현미를 분쇄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볶은 현미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함으로써, 분말화한다. 이때, 상기 볶은 현미 분말의 입도는 제한하지 않는데, 10~150mesh일 수 있으며, 미역귀 분말과 같이 필요에 따라 두 차례에 걸쳐 분쇄할 수도 있다. 이때, 현미 분말 역시 입도가 너무 작을 경우 티백으로부터 새어나올 수 있고, 장기보관시 향의 발산이 많아지므로, 150mesh 보다 작게 분쇄하지는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 표고버섯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다음으로, 건 표고버섯을 준비하고, 이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화한다.
상기 표고버섯은 장흥산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반드시 제한하지는 않으며, 건 표고버섯의 경우 분쇄가 용이하므로 미역귀 및 현미와는 달리 1차 분쇄만 진행한다. 아울러, 상기 건 표고버섯의 분쇄 입도 역시 10~150mesh 정도가 바람직하나, 이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분쇄된 미역귀 분말, 볶은 현미 분말, 건 표고버섯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재료의 분쇄가 모두 완료되면, 분쇄된 미역귀 분말, 볶은 현미 분말 및 건 표고버섯 분말을 혼합한다.
이때, 그 혼합비는 상기 분쇄된 미역귀 분말 100중량부에 볶은 현미 분말 500~1000중량부, 건 표고버섯 100~30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인데, 상기 볶은 현미 분말이 500중량부 미만일 경우 차에 고소한 풍미가 부족하게 되고, 1000중량부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현미의 풍미가 강해질 뿐 아니라, 미역귀 분말 및 건 표고버섯이 소량이 되어 약리효과가 떨어지게 되며, 건 표고버섯이 100중량부 미만일 경우 그 풍미가 부족하게 되고, 300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어 표고버섯의 풍미가 강해져 전체적인 차의 맛이 좋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혼합된 분말을 티백으로 포장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혼합이 완료되면, 상기 혼합된 분말을 티백으로 포장한다. 이때, 티백은 부직포 등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질의 백을 이용하는 것인바, 그 종류 및 형태를 제한하지 않으며, 그 포장용량 역시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포장된 티백을 90~98℃의 물에 1~20분간 우려내는 단계.
그리고 추가적으로, 상기 포장된 티백을 90~98℃의 물에 1~20분간 우려내서 음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의 우수한 풍미를 느끼는 것은 물론, 미역귀, 현미 및 건 표고버섯에 포함된 약리성분을 간단한 방법으로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미역귀 분말의 준비를 먼저 설명하고, 현미 분말, 건 표고버섯 분말 순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과정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선행되어질 수도 있는 것으로, 그 순서를 제한하지 않는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미역귀 원초를 준비하여 깨끗한 물로 3회 세척한 후, 상기 세척된 미역귀를 90℃의 열풍 건조기에서 수분함량이 3~7%가 되도록 건조시켰다. 그리고 건조된 미역귀를 분쇄기로 1차 및 2차 분쇄하여 최종적으로 20~50mesh의 미역귀 분말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유기농 현미를 준비한 후, 이를 200℃로 달군 팬에 5분간 볶아 준 후, 이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20~50mesh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또한, 장흥산 건 표고버섯을 준비한 후, 이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20~50mesh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분쇄된 미역귀 분말 100g, 현미 분말 700g, 건 표고버섯 분말 200g을 혼합하고 이를 2.5g씩 티백으로 포장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미역귀 분말을 혼합하지 않았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건 표고버섯 분말을 혼합하지 않았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미역귀 분말과 건 표고버섯 분말을 혼합하지 않았다.
그리고 차를 좋아한다고 응답한 20인을 선정하고,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을 음용하고, 응답자가 느끼는 맛, 향, 전체적인 기호도를 5점 비교법으로 채점한 후, 이를 평균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3은 95℃의 물 200g에 2.5g의 티백을 5분간 우려낸 후 음용토록 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평가결과
구분 전체적 기호도
실시예 1 3.9 4.1 4.0
비교예 1 3.0 3.1 3.0
비교예 2 2.8 2.8 2.9
비교예 3 3.0 3.1 3.0
1: 매우 좋지 않음 2: 좋지 않음 3: 보통
4: 좋음 5: 매우 좋음.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비교예 1, 2, 3에 비해 맛, 향,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높은 점수를 받았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현미와 표고버섯을 이용한 비교예 1과, 현미와 미역귀만을 이용한 비교예 2가 현미만을 이용한 비교예 3과 비슷한 점수를 받은 것으로 미루어보아, 2종 만으로는 그 풍미가 개선, 즉 맛과 향이 크게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미역귀와 건 표고버섯을 현미와 함께 사용할 경우, 3종의 맛과 향이 어우러져 새로운 우수한 풍미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미역귀를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된 미역귀를 85~100℃에서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미역귀를 분쇄하는 단계와,
    현미를 볶는 단계와,
    상기 볶은 현미를 분쇄하는 단계와,
    건 표고버섯을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미역귀 분말 100중량부, 볶은 현미 분말 500~1000중량부 및 건 표고버섯 분말 100~300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분말을 티백으로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현미는 기능성 현미로서, 발아현미, 갈색 가바현미, 라이신 강화현미 중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역귀 현미차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역귀 현미차.
  5. 삭제
KR1020150009406A 2015-01-20 2015-01-20 미역귀 현미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531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406A KR101531971B1 (ko) 2015-01-20 2015-01-20 미역귀 현미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406A KR101531971B1 (ko) 2015-01-20 2015-01-20 미역귀 현미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1971B1 true KR101531971B1 (ko) 2015-06-26

Family

ID=53519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406A KR101531971B1 (ko) 2015-01-20 2015-01-20 미역귀 현미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9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084B1 (ko) * 2001-05-04 2003-07-12 주식회사 해심원 현미를 함유하는 다시마차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422189B1 (ko) * 2001-11-29 2004-03-11 순 택 정 두릅차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084B1 (ko) * 2001-05-04 2003-07-12 주식회사 해심원 현미를 함유하는 다시마차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422189B1 (ko) * 2001-11-29 2004-03-11 순 택 정 두릅차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조길석 외 2명.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기능성 해조차의 소재로 활용을 위한 김, 미역 및 다시마의 처리조건. 27(2): 275-280. 1998.04.30. *
조길석 외 2명.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기능성 해조차의 소재로 활용을 위한 김, 미역 및 다시마의 처리조건. 27(2): 275-280.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54529A (zh) 一种速溶葛根奶茶
KR101775112B1 (ko) 클로로겐산 고함유 액상커피의 제조방법
KR100886811B1 (ko) 감귤과즙을 이용한 감귤커피의 제조방법
KR20120081348A (ko)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이 함유된 다이어트 커피 제조방법
KR101780892B1 (ko) 감을 이용한 홍시 라떼 분말의 제조방법
KR101521017B1 (ko) 곤드레 나물이 함유된 떡의 제조방법
KR20170114100A (ko) 비타민나무를 함유하는 커피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57348B1 (ko) 저온 추출법을 이용한 저카페인 커피원두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캡슐 커피의 제조 방법
KR102150502B1 (ko) 숙취해소에 좋은 헛개나무 및 황칠을 포함하는 해장국 제조 방법
KR101531971B1 (ko) 미역귀 현미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535214B1 (ko) 다시마, 고대미 및 현미를 이용한 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773250B1 (ko) 비파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380679B1 (ko) 누룽지 가래떡 및 그 제조방법
KR20080104221A (ko) 순간발포(瞬間發泡)에 의한 달콤한 옥수수수염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2121291B1 (ko) 새싹인삼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차
KR101788801B1 (ko) 복분자 고춧가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복분자 고춧가루
JP2003289834A (ja) ノニ葉茶およびその抽出茶液
KR101664399B1 (ko) 친환경 다시마 차의 제조방법
KR101815231B1 (ko) 맨드라미를 이용한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1452B1 (ko) 연 성분이 함유된 천년초 음료 제조방법
KR101547576B1 (ko) 기능성 곡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63807B1 (ko) 노루궁뎅이버섯, 표고버섯 및 미역을 포함하는 침출식 대용차
JP2002101859A (ja) ヤーコン豆乳飲料
CN107836528A (zh) 一种新型复合蛋白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20024283A (ko) 민들레 음료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