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6930A - 텐션 웨이트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텐션 웨이트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6930A
KR20160106930A KR1020150029671A KR20150029671A KR20160106930A KR 20160106930 A KR20160106930 A KR 20160106930A KR 1020150029671 A KR1020150029671 A KR 1020150029671A KR 20150029671 A KR20150029671 A KR 20150029671A KR 20160106930 A KR20160106930 A KR 20160106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ixing
weight
unit
uni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갑진
박월성
임일용
최익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029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6930A/ko
Publication of KR20160106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9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여 텐션웨이트를 지지하는 웨이트 지지부; 상기 웨이트 지지부에 결합하는 승강부;및 상기 웨이트 지지부 및 상기 승강부에 결합하여 상기 웨이트 지지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텐션 웨이트 지지장치를 제공하여, 크레인과 같은 외부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고 중량의 텐션 웨이트를 필요한 적정 높이로 들어올리고, 고정 작업을 수행하여, 작업자가 텐션 웨이트에 관한 설비 관리 작업을 보다 안전하고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텐션 웨이트 지지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TENSION WEIGHT}
본 발명은 텐션 웨이트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텐션 웨이트를 들어올리거나 고정하기 위한 텐션 웨이트 지지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고로에 투입되는 원료 또는 연료는 원료수송공정의 벨트를 통해 수송되어 고로 본체에 장입된다. 구체적으로 원료 또는 연료는 요구량만큼 입도별로 선별되고 평량되어 중계조호퍼로서 이송된다. 중계조호퍼로 이송된 원료 또는 연료는 벨트를 통해 고로 본체에 장입된다.
이때, 중계조호퍼와 고로 본체 간의 사이가 길고 벨트 위에는 수하물의 하중이 부가되기 때문에 벨트에 적절한 장력을 부가하여야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24637호(2004.03.22. 공개, 이하, 본 문헌)에서는 벨트에 장력을 부가하는 텐션 웨이트를 기재하고 있다. 본 문헌의 텐션 웨이트는 대차풀리에 벨트에 감겨 있고, 대차풀리는 텐션대차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텐션대차에는 와이프 로프가 연결된다. 와이프 로프는 웨이트 타워에 설치된 고정롤러를 거쳐 텐션 웨이트에 연결된다. 텐션 웨이트의 하중에 의해 벨트에 텐션이 가해진다. 텐션 웨이트는 웨이트 타워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벨트를 교체 및 수리하거나, 고정롤러의 점검 및 교체, 대차풀리의 교체, 와이어 로프의 교체 등을 위해서는 해당 작업 상황에 따라 텐션 웨이트를 들어 올리고 지지하여 벨트를 이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텐션 웨이트를 최대한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권상공간이 협소하고 텐션 웨이트의 하중을 극복하여 들어올려야 하기 때문에 크레인 사용이 필요하다. 크레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사다리를 타고 웨이트 타워를 직접 올라가서 줄걸이를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줄걸이 작업 후에는 작업자가 사다리를 타고 내려와 대피 후, 고정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안전에 많은 위험이 있었다. 특히, 텐션 웨이트가 고하중이기 때문에 줄걸이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24637호(2004.03.22.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웨이트 타워에서 고 하중의 텐션 웨이트를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지지하면서 텐션 웨이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벨트용 텐션 웨이트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여 텐션웨이트를 지지하는 웨이트 지지부와, 상기 웨이트 지지부에 결합하는 승강부 및 상기 웨이트 지지부 및 상기 승강부에 결합하여 상기 웨이트 지지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텐션 웨이트 지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부는 제1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며 제2 고정홀을 포함하는 지지기둥부와, 상기 지지기둥부 위에 배치되어 텐션 웨이트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웨이트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홀 및 상기 제2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기둥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홀 및 상기 제2 고정홀에 삽입되는 핀몸체와 상기 핀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고정홀 및 상기 제2 고정홀의 외부에 위치하는 체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상기 제1 고정홀은 높이 방향으로 정렬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상기 제1 고정홀 중 어느 하나인 제1 단위홀과, 상기 제1 단위홀의 상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단위홀과, 상기 제1 단위홀의 하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3 단위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홀과 제2 단위홀의 거리보다, 상기 제1 단위홀과 상기 제3의 단위홀의 거리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상기 제2 고정홀 중 어느 하나인 제1 단위홀과, 상기 제1 단위홀의 상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단위홀과, 상기 제1 단위홀의 하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3 단위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홀과 제2 단위홀의 거리보다, 상기 제1 단위홀과 상기 제3의 단위홀의 거리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고정홀은 높이 방향 길이가 폭 방향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부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결합하며 상기 지지판에 결합하는 실리더로드와,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어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부는 중심축은 상기 웨이트의 중심과 정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텐션 웨이트를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부와, 웨이트 타워 안에서 베이스부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웨이트 지지부를 구비하고, 베이스부를 관통하여 지지부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크레인과 같은 외부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고 중량의 텐션 웨이트를 필요한 적정 높이로 들어올리고, 고정 작업을 수행하여, 작업자가 텐션 웨이트에 관한 설비 관리 작업을 보다 안전하고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가 삽입되는 제1 고정홀과 제2 고정홀을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어 작업을 위한 적절한 높이를 조절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 웨이트 지지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베이스부와 웨이트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상하 이동하는 승강부와 웨이트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1 고정홀 및 제2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 웨이트 지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 웨이트 지지장치는, 베이스부(100)와, 웨이트 지지부(200)와, 승강부(300)와, 고정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텐션 웨이트(10)는 웨이트 타워(20) 내부에 배치된다. 와이어 로프(W)가 텐션 웨이트(10)에 연결된다. 연결된 와이어 로프(W)는 웨이트 타워(20)에 설치된 고정롤러를 거쳐 텐션롤러가 포함된 텐션대차(30)에 연결된다. 텐션 웨이트(10)의 하중으로 인하여 벨트에 텐션을 부가하게 된다. 웨이트 타워(20)는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텐션 웨이트(1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지지한다.
베이스부(100)는 웨이트 지지부(200)는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부(100)는 텐션 웨이트(10) 아래에 배치되도록 웨이트 타워(20) 내부에 배치되며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베이스부와 웨이트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00)는 마주보는 한 쌍의 원통형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웨이트 지지부(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제1 고정홀(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홀(110)은 고정부(400)가 삽입되어 목표 위치에서 텐션 웨이트(10)가 위치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 고정홀(110)은 복수 개의 단위홀(111,112,113)들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높이 방향(상하 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단위홀(111,112,113)들은 상호 간격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쪽으로 갈수록 단위홀(111,112,113)들의 간격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고정홀(110)의 단위홀 중 어느 단위홀인 제1 단위홀(111)과 제1 단위홀(111)의 상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단위홀(112)의 거리(D1)는, 제1 단위홀(111)과 제3 단위홀(113)의 거리(D2)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고정홀(110)은 높이 방향 길이가 폭 방향 길이보다 큰 장공형의 슬롯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이는 고정부(400)의 삽입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웨이트 지지부(200)는 텐션 웨이트(10)를 지지한 상태로 상하 이동하여 텐션 웨이트(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웨이트 지지부(200)는 지지기둥부(220)와, 지지판(23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기둥부(220)는 각각 베이스부(10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각각의 지지기둥부(2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고정홀(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홀(210)은 제1 고정홀(110)을 통과한 고정부(400)가 삽입되어 목표 위치에서 텐션 웨이트(10)가 위치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 고정홀(210)은 복수 개의 단위홀(211,212,213)들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높이 방향(상하 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단위홀(211,212,213)들은 상호 간격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쪽으로 갈수록 단위홀(211,212,213)들의 간격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고정홀(210)의 단위홀 중 어느 단위홀인 제1 단위홀(211)과 제1 단위홀(211)의 상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단위홀(212)의 거리(D3)는, 제1 단위홀(211)과 제3 단위홀(213)의 거리(D4)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230)은 지지기둥부(220)의 상단 위에 결합되어 텐션 웨이트(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판(230)은 텐션 웨이트(10)의 하면에 접촉하여 물리적으로 텐션 웨이트(10)를 직접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승강부(300)는 지지판(230)을 상하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승강부(300)는 실린더(310)와, 실린더로드(320)와, 유압공급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310)는 지면에 배치된다. 실린더로드(320)는 실린더(310)에 결합되며 상단은 지지판(23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실린더로드(3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에 연동하여 지지판(230)도 상하 이동한다. 유압공급부(330)는 실린더(310)에 유압을 공급하여 실린더로드(320)가 상하 이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유압공급부(330)에는 실린더로드(32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유압을 조절하는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승강부(300)의 중심은 텐션 웨이트(10)의 중심에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상하 이동하는 승강부와 웨이트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작업자가 유압공급부(330)를 조작하면 실린더로드(320)가 상하 이동하면서, 지지판(230)이 승강한다. 지지판(230)이 승강하면서 지지판(230)위에 배치된 텐션 웨이트(10)의 높이 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제1 고정홀 및 제2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부(400)는 제1 고정홀(110)과 제2 고정홀(120)에 삽입되어 베이스부(100)에 웨이트 지지부(20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정부(400)는 핀몸체(410)와, 체인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핀몸체(410)는 제1 고정홀(110)을 관통하여 제2 고정홀(120)에 삽입됨으로써, 웨이트 지지부(200)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베이스부(100)에 고정시킨다. 핀몸체(41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단면 크기는 제1 고정홀(110)과 제2 고정홀(120)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된다. 핀몸체(410)의 후단에는 외부보강재(41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핀몸체(410)의 후단에는 제1 고리부(4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핀몸체(410)의 선단에는 제2 고리부(4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리부(412)에는 체인부(420)가 결합될 수 있다.
체인부(420)는 핀몸체(410)의 선단에 결합되어 작업자의 파지영역을 제공함으로써, 핀몸체(410)를 제1 고정홀(110)과 제2 고정홀(120)에서 인출할 때 보다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핀몸체(410)가 제1 고정홀(110) 및 제2 고정홀(120)을 관통한 상태에서 체인부(420)의 끝단은 제2 고리부(413)에 체결되어 핀몸체(410)가 제1 고정홀(110) 및 제2 고정홀(120)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부(400)는 유압공급부(330)에서 유압이 빠지는 경우, 텐션 웨이트(10)의 하중에 의하여 텐션 웨이트(10)가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용 텐션 웨이트 지지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텐션 웨이트
20: 웨이트 타워
100: 베이스부
110: 제1 고정홀
200: 웨이트 지지부
210: 제2 고정홀
300: 승강부
310: 실린더
320: 실린더로드
330: 지지판
400: 고정부
410: 핀몸체
411: 외부보강재
412: 제1 고리부
413: 제2 고리부
420: 체인부

Claims (10)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여 텐션웨이트를 지지하는 웨이트 지지부;
    상기 웨이트 지지부에 결합하는 승강부;및
    상기 웨이트 지지부 및 상기 승강부에 결합하여 상기 웨이트 지지부를 고정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텐션 웨이트 지지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제1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며 제2 고정홀을 포함하는 지지기둥부와, 상기 지지기둥부 위에 배치되어 텐션 웨이트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웨이트 지지부를 포함하는 텐션 웨이트 지지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홀 및 상기 제2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기둥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텐션 웨이트 지지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홀 및 상기 제2 고정홀에 삽입되는 핀몸체와 상기 핀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고정홀 및 상기 제2 고정홀의 외부에 위치하는 체인부를 포함하는 텐션 웨이트 지지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제1 고정홀은 높이 방향으로 정렬 배치되는 텐션 웨이트 지지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제1 고정홀 중 어느 하나인 제1 단위홀과, 상기 제1 단위홀의 상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단위홀과, 상기 제1 단위홀의 하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3 단위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홀과 제2 단위홀의 거리보다, 상기 제1 단위홀과 상기 제3의 단위홀의 거리가 크게 형성되는 텐션 웨이트 지지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제2 고정홀 중 어느 하나인 제1 단위홀과, 상기 제1 단위홀의 상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단위홀과, 상기 제1 단위홀의 하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3 단위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홀과 제2 단위홀의 거리보다, 상기 제1 단위홀과 상기 제3의 단위홀의 거리 보다 작게 형성되는 텐션 웨이트 지지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홀은 높이 방향 길이가 폭 방향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텐션 웨이트 지지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결합하며 상기 지지판에 결합하는 실리더로드와,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어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부를 포함하는 텐션 웨이트 지지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중심축은 상기 웨이트의 중심과 정렬 배치되는 텐션 웨이트 지지장치.
KR1020150029671A 2015-03-03 2015-03-03 텐션 웨이트 지지장치 KR201601069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671A KR20160106930A (ko) 2015-03-03 2015-03-03 텐션 웨이트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671A KR20160106930A (ko) 2015-03-03 2015-03-03 텐션 웨이트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930A true KR20160106930A (ko) 2016-09-13

Family

ID=56946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671A KR20160106930A (ko) 2015-03-03 2015-03-03 텐션 웨이트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69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1407A (ko) * 2018-06-14 2019-12-24 세메스 주식회사 버퍼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637A (ko) 2002-09-12 2004-03-22 주식회사 포스코 텐션 웨이트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637A (ko) 2002-09-12 2004-03-22 주식회사 포스코 텐션 웨이트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1407A (ko) * 2018-06-14 2019-12-24 세메스 주식회사 버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754341U (zh) 一种升降托架
CN103738834B (zh) 一种可调式三点吊装方法
US7389888B2 (en) Mobile crane with ballasting
CN105384035A (zh) 导轨安装装置和用于安装导轨的方法
KR101576851B1 (ko) 갠트리 크레인장치
KR101848687B1 (ko) 사다리차의 운반카 사이드롤러 슬라이드장치
CN105042187A (zh) 随行线缆夹具组件、电梯装置和方法
CN107879257A (zh) 用于提升重负载的设备
CN103863938B (zh) 用于搬运风洞实验车的安全吊装装置
KR101224416B1 (ko) 특장차용 고소작업대
JP6750754B2 (ja) 揚程延長式工事用エレベーター
KR20160106930A (ko) 텐션 웨이트 지지장치
CN203820331U (zh) 内置式钢丝绳物料升降机
JP6720110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および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のメンテナンス方法
KR200402250Y1 (ko) 크레인용 인양물의 무게중심 조정장치
CN203639013U (zh) 起重机的底节臂及起重机
CN104150397A (zh) 一种升降架
US9347603B2 (en) Counterweight hoisting apparatus
KR20210010245A (ko) 크레인의 페스툰 행거레일 교체용 대차 및 이를 이용한 페스툰 행거레일 교체방법
KR101470517B1 (ko) 타워 작업용 곤도라
JP6379122B2 (ja) 昇降支柱および昇降装置
KR200492797Y1 (ko) 케이블 드럼 지그
KR20150059265A (ko) 크레인
KR102125627B1 (ko) 대형물 틸팅 장치
JP2017125321A (ja) ベルトコンベア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