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6172A - 피부용 유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용 유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6172A
KR20160106172A KR1020167021972A KR20167021972A KR20160106172A KR 20160106172 A KR20160106172 A KR 20160106172A KR 1020167021972 A KR1020167021972 A KR 1020167021972A KR 20167021972 A KR20167021972 A KR 20167021972A KR 20160106172 A KR20160106172 A KR 20160106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alkyl
oil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1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1726B1 (ko
Inventor
준코 가코
미요코 오기하라
모모코 스마
Original Assignee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6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주목적은 폴리아크릴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타입, 알킬-개질된 카복시 폴리머, 및 하기 일반식 (I)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포함하고 10,000 mPaㆍs 이상의 점도를 갖는 피부용 유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13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1개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또는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 기로 치환된 1개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이며, 단,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히드록실 기로 치환된 1개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임).

Description

피부용 유화 조성물{EMULSION COMPOSITION FOR SKIN}
본 발명은 피부 유화 조성물(skin emulsion composition)에 관한 것이다.
여러 폴리머-함유 제제가 알려져 있다. 폴리머는 이의 타입에 따라, 증점화, 분산 안정성, 유화 안정성, 막 형성, 및 가용화와 같은 특별한 특징을 갖는다. 이에 따라, 폴리머는 제제에 요망되는 성질을 부여하는데 역할을 하는 중요한 성분인 것으로 여겨진다(비특허문헌 1). 그러나, 제제 중의 높은 폴리머 함량은, 예를 들어 제제를 끈적이게 만들어서 사용감(feeling of use)을 떨어뜨리기 쉽다.
제제에 사용되는 폴리머의 몇몇 예는 폴리아크릴산 및 알킬-개질된 카복시비닐 폴리머를 포함한다. 폴리아크릴산 및 알킬-개질된 카복시비닐 폴리머가 제제를 증점화시키기 위해 사용되지만, 이러한 폴리머의 증점 효과는 완전히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불충분한 증점 효과로 인하여, 이러한 폴리머는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증가된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제제 중의 높은 폴리머 함량은 제제의 사용감을 떨어뜨리기 쉽다. 이에 따라, 증점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보다 많은 양의 이러한 폴리머를 단순하게 첨가하는 것은 효과적인 방법은 아니다.
Keshohin Jiten, The Society of Cosmetic Chemists of Japan, published by Maruzen, September 25, 2004, second issue, pp.177 to 181
본 발명자들은 독특하게 폴리아크릴산 또는 알킬-개질된 카복시 폴리머에 의한 증점 효과가 추가로 증가되는 경우에, 과도한 양의 이러한 폴리머를 첨가하지 않으면서 제제에 점도가 효율적으로 부여될 수 있어서, 요망되는 점도를 유지하면서,제제 예를 들어, 점착성(stickiness)에 의해 떨어질 가능성이 있는 사용감이 더욱 개선된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사상에 집중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아크릴산 및 알킬-개질된 카복시 폴리머에 의한 증점 효과가 더욱 개선된 피부 유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폴리아크릴산 또는 알킬-개질된 카복시 폴리머에 의한 증점 효과를 추가로 개선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폴리아크릴산 염 및 알킬-개질된 카복시 폴리머에 하기에 기술되는 화학식 (I)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적용하는 것이 피부 유화 조성물에서 폴리아크릴산 염 및 알킬-개질된 카복시 폴리머에 의한 증점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발견을 기초로 하여 추가 연구를 수행하였고,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I) 피부용 유화 조성물
항목 1. 하기 성분 (1) 내지 성분 (3)을 포함하고 10,000 mPaㆍs 이상의 점도를 갖는 피부 유화 조성물:
(1) 폴리아크릴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member),
(2) 알킬-개질된 카복시 폴리머, 및
(3) 하기 화학식 (I)로 표현된 화합물
[화학식 I]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C1-3 알킬 또는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 기로 치환된 C1-3 알킬을 나타내며, 단,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 기로 치환된 C1-3 알킬임).
항목 2. 항목 1에 있어서, 20 중량% 이하의 양의 에탄올을 포함하는, 피부 유화 조성물.
항목 3. 항목 1 또는 항목 2에 있어서, 성분 (1) 및 성분 (2) 각각이 조성물의 2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는, 피부 유화 조성물.
항목 4. 항목 1 내지 항목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10 중량% 이상의 양의 오일을 추가로 포함하는, 피부 유화 조성물.
항목 5. 항목 1 내지 항목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7 이하의 pH를 갖는, 피부 유화 조성물.
항목 6. 항목 1 내지 항목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성분 (1)이 폴리아크릴산 소듐 염, 폴리아크릴산 칼륨 염, 폴리아크릴산 암모늄 염, 폴리아크릴산 트리에틸아민 염, 폴리아크릴산 트리에탄올아민 염, 폴리아크릴산 아르기닌 염, 폴리아크릴산 아미노메틸 프로판올 염, 및 폴리아크릴산 아미노메틸 프로판디올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인, 피부 유화 조성물.
항목 7. 항목 1 내지 항목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성분 (2)가 아크릴산/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인, 피부 유화 조성물.
항목 8. 항목 1 내지 항목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성분 (3)이 아미노메틸 프로판올, 아미노메틸 프로판디올, 및 아미노 히드록시메틸 프로판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인, 피부 유화 조성물.
항목 9. 항목 1 내지 항목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아크릴산-기반 계면활성제와는 다른 계면활성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피부 유화 조성물.
항목 10. 항목 1 내지 항목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두발 및/또는 두피에 적용하기 위한 조성물을 배제하는, 피부 유화 조성물.
항목 11. 항목 1 내지 항목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오일이 왁스, 고체 탄화수소 오일, 고체 에스테르 오일, 액체 탄화수소 오일, 액체 에스테르 오일, 식물 오일, 동물 오일, 및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인, 피부 유화 조성물.
항목 12. 항목 1 내지 항목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해질을 추가로 포함하며, 조성물이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주름 방지에 사용하기 위한 것인, 피부 유화 조성물.
(II) 점도 증가 방법
항목 1. 하기 성분 (3)을 피부 유화 조성물에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하기 성분 (1) 및 성분 (2)를 포함하는 피부 유화 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1) 폴리아크릴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
(2) 알킬-개질된 카복시 폴리머, 및
(3) 하기 화학식 (I)로 표현된 화합물
[화학식 I]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C1-3 알킬 또는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 기로 치환된 C1-3 알킬을 나타내며, 단,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 기로 치환된 C1-3 알킬임).
항목 2. 항목 1에 있어서, 증점된 피부 유화 조성물(thickened skin emulsion composition)이 10,000 mPaㆍs 이상의 점도를 갖는 방법.
항목 3. 항목 1 또는 항목 2에 있어서, 증점된 피부 유화 조성물이 20 중량% 이하의 양의 에탄올을 포함하는 방법.
항목 4. 항목 1 내지 항목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성분 (1) 및 성분 (2) 각각이 증점된 피부 유화 조성물의 2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항목 5. 항목 1 내지 항목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피부 유화 조성물이 오일을 추가로 포함하며, 오일이 증점된 피부 유화 조성물의 10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항목 6. 항목 1 내지 항목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증점된 피부 유화 조성물이 7 이하의 pH를 갖는 방법.
항목 7. 항목 1 내지 항목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성분 (1)이 폴리아크릴산 소듐 염, 폴리아크릴산 칼륨 염, 폴리아크릴산 암모늄 염, 폴리아크릴산 트리에틸아민 염, 폴리아크릴산 트리에탄올아민 염, 폴리아크릴산 아르기닌 염, 폴리아크릴산 아미노메틸 프로판올 염, 및 폴리아크릴산 아미노메틸 프로판디올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인 방법.
항목 8. 항목 1 내지 항목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성분 (2)가 아크릴산/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인 방법.
항목 9. 항목 1 내지 항목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성분 (3)이 아미노메틸 프로판올, 아미노메틸 프로판디올, 및 아미노 히드록시메틸 프로판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인 방법.
항목 10. 항목 1 내지 항목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오일이 왁스, 고체 탄화수소 오일, 고체 에스테르 오일, 액체 탄화수소 오일, 액체 에스테르 오일, 식물 오일, 동물 오일, 및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인 방법.
(III) 이액현상 억제 방법(syneresis suppressing method)
항목 1. 피부 유화 조성물에 하기 성분 (3)을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하기 성분 (1) 및 성분 (2)를 포함하는 피부 유화 조성물의 이액현상(syneresis)을 억제하는 방법:
(1) 폴리아크릴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
(2) 알킬-개질된 카복시 폴리머, 및
(3) 하기 화학식 (I)로 표현된 화합물
[화학식 I]
Figure pct00003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C1-3 알킬 또는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 기로 치환된 C1-3 알킬을 나타내며, 단,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 기로 치환된 C1-3 알킬임).
항목 2. 항목 1에 있어서, 증점된 피부 유화 조성물이 10,000 mPaㆍs 이상의 점도를 갖는 방법.
항목 3. 항목 1 또는 항목 2에 있어서, 증점된 피부 유화 조성물이 20 중량% 이하의 양의 에탄올을 포함하는 방법.
항목 4. 항목 1 내지 항목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성분 (1) 및 성분 (2) 각각이 피부 유화 조성물의 2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항목 5. 항목 1 내지 항목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피부 유화 조성물이 오일을 추가로 포함하며, 오일이 증점된 피부 유화 조성물의 10 중량% 이상의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항목 6. 항목 1 내지 항목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증점된 피부 유화 조성물이 7 이하의 pH를 갖는 방법.
항목 7. 항목 1 내지 항목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성분 (1)이 폴리아크릴산 소듐 염, 폴리아크릴산 칼륨 염, 폴리아크릴산 암모늄 염, 폴리아크릴산 트리에틸아민 염, 폴리아크릴산 트리에탄올아민 염, 폴리아크릴산 아르기닌 염, 폴리아크릴산 아미노메틸 프로판올 염, 및 폴리아크릴산 아미노메틸 프로판디올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인 방법.
항목 8. 항목 1 내지 항목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성분 (2)가 아크릴산/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인 방법.
항목 9. 항목 1 내지 항목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성분 (3)이 아미노메틸 프로판올, 아미노메틸 프로판디올, 및 아미노 히드록시메틸 프로판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인 방법.
항목 10. 항목 1 내지 항목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오일이 왁스, 고체 탄화수소 오일, 고체 에스테르 오일, 액체 탄화수소 오일, 액체 에스테르 오일, 식물 오일, 동물 오일, 및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인 방법.
항목 11.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이액현상을 평가하는 방법:
(i) 내장형 원심분리 필터(built-in centrifugal filter)가 장착된 용기에 사전결정된 양의 조성물을 배치시키는 단계;
(ii)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단계 (i)에서의 용기에 배치된 조성물을 원심분리하는 단계; 및
(iii) 용기에 내장된 필터 유닛에 잔류하는 조성물의 중량 및/또는 여과에 의해 얻어진 여액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항목 12.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이액현상 비율(syneresis rate)을 계산하는 방법:
(i) 내장형 원심분리 필터가 장착된 용기에 사전결정된 양의 조성물을 배치시키는 단계;
(ii)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단계 (i)에서의 용기에 배치된 조성물을 원심분리하는 단계;
(iii) 용기에 내장된 필터 유닛에 잔류하는 조성물의 중량 및/또는 여과에 의해 얻어진 여액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iv) 단계 (iii)에서 측정된 조성물의 중량 및/또는 단계 (iii)에서 측정된 여액의 중량을 기초로 하여 이액현상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본 발명은, 폴리아크릴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 및 알킬-개질된 카복시 폴리머에 화학식 (I)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적용함으로써, 피부 유화 조성물에서 폴리아크릴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 및 알킬-개질된 카복시 폴리머에 의한 증점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심지어, 피부 유화 조성물이 점도를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는 전해질을 함유할 때에도,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적용함으로써, 피부 유화 조성물에서 폴리아크릴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 및 알킬-개질된 카복시 폴리머에 의한 증점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오일로 유화된 조성물에서 아미노메틸 프로판디올의 사용이 점도를 명확하게 증가시킨다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이 보다 상세히 기술된다.
(I) 피부용 유화 조성물
본 발명은 (1) 폴리아크릴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 (2) 알킬-개질된 카복시 폴리머, 및 (3) 하기 화학식 (I)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도가 10,000 mPaㆍs 이상인 피부 유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4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C1-3 알킬, 또는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 기로 치환된 C1-3 알킬을 나타내며, 단,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 기로 치환된 C1-3 알킬임).
폴리아크릴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1)은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예는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 소듐 염, 폴리아크릴산 칼륨 염, 폴리아크릴산 암모늄 염, 폴리아크릴산 트리에틸아민 염, 폴리아크릴산 트리에탄올아민 염, 폴리아크릴산 아르기닌 염, 폴리아크릴산 아미노메틸 프로판올 염, 및 폴리아크릴산 아미노메틸 프로판디올 염을 포함하며, 이러한 폴리아크릴산 염은 카복실산이 상기에 나열된 염의 형태를 갖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성분 (1)은 바람직하게 폴리아크릴산 염,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교된 폴리아크릴산 염이다.
성분 (1)에 대하여,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제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제품의 예는 Lubrajel Series(ISP (Japan) Ltd), Viscomate Series(Showa Denko K.K.), 및 Rheogic Series 및 Junlon Series(Toagosei Co., Ltd.)를 포함한다.
이러한 것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성분 (1)의 양은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성분 (1)은 피부 유화 조성물의 0.001 내지 2 중량%, 바람직하게 0.1 내지 1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0.1 내지 0.5 중량%, 및 더더욱 바람직하게 0.2 내지 0.4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알킬-개질된 카복시 폴리머(2)는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성분 (2)는 바람직하게, 알킬-개질된 카복시비닐 폴리머, 더욱 바람직하게, 아크릴산/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더더욱 바람직하게 100,000 내지 5,000,000의 분자량을 갖는 아크릴산/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이다. 이러한 아크릴산/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의 바람직한 예는 알킬의 탄소수가 8 내지 35인 아크릴산/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한 예는 알킬의 탄소수가 10 내지 30인 아크릴산/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폴리머).
성분 (2)에 대하여,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함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제품의 예는 Pemulen TR-1, Pemulen TR-2, Carbopol Ultrez21, Carbopol Ultrez20, Carbopol 1382, 및 Carbopol ETD2020(예를 들어, The Lubrizol Corporation)을 포함한다.
이러한 것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성분 (2)의 양은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성분 (2)는 피부 유화 조성물의 0.01 내지 2 중량%, 바람직하게 0.1 내지 1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0.4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성분 (2)의 양에 대한 성분 (1)의 양은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성분 (1)은 성분 (2)의 중량부 당, 바람직하게 0.1 내지 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 0.2 내지 2 중량부, 더더욱 바람직하게 0.3 내지 1 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한다.
화학식 (I)로 표현된 화합물 (3)은 하기 구조식을 가진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5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C1-3 알킬, 또는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 기로 치환된 C1-3 알킬을 나타내며, 단,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 기로 치환된 C1-3 알킬이다. 화합물 (3)은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화학식 (I)로 표현된 화합물 (3)의 바람직한 예는 R1, R2, 및 R3이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C1-3 알킬, 또는 1 내지 3개의 히드록실 기로 치환된 C1-3 알킬을 나타내고, 단,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가 1 내지 3개의 히드록실 기로 치환된 C1-3 알킬인 화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I)로 표현된 화합물 (3)의 더욱 바람직한 예는 아미노메틸 프로판올, 아미노메틸 프로판디올, 및 아미노 히드록시메틸 프로판디올을 포함한다. 이러한 것은 각각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2-아미노-2-메틸-1,3-프로판디올(AMPD), 및 2-아미노-2-히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로서 기술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성분 (3)의 양은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바람직하게 얻어진 피부 유화 조성물의 pH가 약산성(mild acidic) 내지 중성의 범위 내에 속하는 한, 더욱 바람직하게, 얻어진 피부 유화 조성물의 pH가 7 이하인 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성분 (3)은 피부 유화 조성물의 바람직하게 0.1 내지 10 중량%, 및 더욱 바람직하게 0.2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성분 (2)의 양에 대한 성분 (3)의 양은 또한,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성분 (3)은 성분 (2)의 중량부 당, 바람직하게 0.5 내지 1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 0.5 내지 5 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한다. 예를 들어, 성분 (2)가 성분 (1)의 중량부 당 0.3 내지 2 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할 때, 성분 (3)은 성분 (2)의 중량부 당, 0.5 내지 3 중량부, 바람직하게 1 내지 2 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피부 유화 조성물의 점도는, 조성물이 제조된 직후에, 25℃에서, 예를 들어, 10,000 mPaㆍs 이상, 바람직하게 10,000 내지 50,000 mPaㆍs, 더욱 바람직하게 15,000 내지 45,000 mPaㆍs, 더더욱 바람직하게 20,000 내지 40,000 mPaㆍs이다.
본 발명에서, 피부 유화 조성물의 점도는 B-타입 점도계에 의해 측정된다. 10,000 내지 45,000 mPaㆍs의 점도는 25℃에서, BM 로터(rotor) 번호 4(Tokyo Keiki Inc.,)를 이용하여 12 rpm에서 60초 동안 측정되며, 45,000 mPaㆍs 이상의 점도는 25℃에서, Brookfield RV 로터 번호 6을 이용하여 10 rpm에서 60초 동안 측정된다.
본 발명의 피부 유화 조성물의 pH가 통상적으로 약산성 내지 중성의 범위 내에 있으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피부(손톱을 포함, 하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함)에 적용될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4 내지 7의 pH, 더욱 바람직하게 5.5 내지 7의 pH를 갖는다.
본 발명의 피부 유화 조성물은 상술된 성분 이외에, 임의의 다른 약제학적으로 또는 화장용으로 허용 가능한 성분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성분의 예는 오일, 용매, 전해질, 보존제, 항산화제, 항염증제, 청량제, 방향제, 유용성 UV 흡수제, 킬레이트제, 중화제, 안료, 착색 물질, 윤활제, 에멀젼 안정화제, 소포제, 보호제, 막형성제, pH 조절제, 증점제, 당, 아미노산, 비타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하기에 다른 성분들의 일부 예가 보다 상세히 기술된다. 하기에 기술된 성분의 사용은 이의 성질이 손상되지 않는 한, 이러한 것이 특별히 다른 성분의 염, 유도체, 부가물, 복합물, 또는 폴리머인지의 여부와는 무관하게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오일은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예를 들어, 고체 또는 액체와 같은 형태에 있어서 제한되지 않는다. 오일의 예는, 왁스, 예를 들어, 칸데릴라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수소화된 호호바 오일, 쌀겨 왁스, 셸락, 라놀린, 밀랍, 고래 왁스, 및 몬탄 왁스; 고체 탄화수소 오일, 예를 들어, 지랍(ozokerite), 세레신, 파라핀, 폴리에틸렌 왁스, 미정질 왁스, 및 바셀린; 고체 에스테르 오일, 예를 들어,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 세틸 팔미테이트, 세틸 락테이트, 콜레스테릴 올레에이트, 피토스테릴 올레에이트, 콜레스테릴 스테아레이트, 및 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액체 탄화수소 오일, 예를 들어, 스쿠알렌, 액체 파라핀, 액체 이소파라핀, 수소화된 폴리이소부텐, 및 α-올레핀 올리고머; 액체 에스테르 오일, 예를 들어,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올레일 올레이트, 데실 올레에이트, 헥실데실 이소스테아레이트, 헥실데실 디메틸 옥타노에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및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 식물 오일, 예를 들어, 아보카도 오일, 아몬드 오일, 올리브 오일, 세서미 오일, 카멜리아 사산쿠아 오일(camellia sasanqua oil), 홍화유, 대두유, 피마자유, 동백유, 옥수수유, 평지씨유, 쌀겨유, 페르식 오일(persic oil), 야자핵 오일(palm kernel oil), 팜유, 해바라기유, 포도씨유, 목화씨유, 마카다미아 오일, 및 테오브로마 그란디플로룸 씨유(theobroma grandiflorum seed oil); 동물 오일, 예를 들어, 거북이유, 밍크 오일, 및 난황 지방 오일; 및 실리콘 오일, 예를 들어, 시클로펜타실록산, 디메티콘, 아미노프로필 디메티콘, (디메티콘/비닐메티콘) 가교폴리머, 메틸페닐 폴리실록산, 메틸 수소 폴리실록산, 및 옥타메틸 시클로테트라실록산을 포함한다. 이러한 것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오일의 양은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오일은 피부 유화 조성물의 바람직하게 1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10 내지 40 중량%, 더더욱 바람직하게 10 내지 30 중량%, 및 특히 더욱 바람직하게 15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용매는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예는, 물, 예를 들어, 정제수, 증류수, 이온-교환수, 및 천연수; 및 에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및 디글리세롤을 포함한다. 이러한 것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용매의 양 또한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양을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제한되지 않지만, 에탄올의 양은 바람직하게 피부에서 사용감의 관점, 특히 피부 자극도로부터 사전결정된 양 이하이다. 에탄올의 양은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제한되지 않지만, 에탄올은 예를 들어, 피부 유화 조성물의 바람직하게 20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0 내지 15 중량%, 더더욱 바람직하게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전해질은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예는 무기 염, 푸린-기반 화합물, 수용성 비타민,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의 염을 포함한다. 무기 염의 예는 소듐, 칼륨, 마그네슘 및 칼슘과 같은 금속의 클로라이드 및 설파이드를 포함한다. "푸린-기반 화합물"은 총괄적으로, 골격으로서 푸린 핵을 갖는 다양한 유도체, 및 이들의 염을 지칭한다. 푸린-기반 화합물은 약제학적으로 또는 화장용으로 허용 가능하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는 아데닌, 구아닌, 이들의 탈아민화된 화합물, 아데노신, 구아노신, 이노신, 아데노신의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예를 들어,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예를 들어, 아데노신, 2'-모노포스페이트, 아데노신 3'-모노포스페이트, 및 아데노신 5'-모노포스페이트), 아데노신 디포스페이트(예를 들어, 아데노신 5'-디포스페이트),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예를 들어, 아데노신 5'-트리포스페이트), 아데노신-3',5'-시클릭 포스페이트), 구아노신의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예를 들어, 구아노신 모노포스페이트, 구아노신 디포스페이트, 및 구아노신 트리포스페이트), 및 이노신의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예를 들어, 이노신 모노포스페이트, 이노신 디포스페이트, 및 이노신 트리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이들의 염은 약제학적으로 또는 화장용으로 허용 가능하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는 알칼리 금속 염, 예를 들어, 소듐 염 및 칼륨 염, 알칼리 토금속 염, 염기성 아미노산 염, 암모늄 염, 및 알칸올아민 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 및 이들의 유도체의 예는 아스코르브산, B 비타민, 리포산, 및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아스코르브산의 유도체의 특정 예는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소듐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디소듐 아스코르빌 설페이트, 글루코사이드 아스코르베이트, 글루코사민 아스코르베이트, 및 데히드로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한다. 염은 약제학적으로 또는 화장용으로 허용 가능하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는 알칼리 금속 염, 예를 들어, 소듐 염 및 칼륨 염, 알칼리 토금속 염, 염기성 아미노산 염, 암모늄 염, 및 알칸올아민 염을 포함한다. 이러한 전해질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해질의 양 또한,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해질은 피부 유화 조성물의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 0.5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보존제 또는 항산화제의 예는 토코페롤, 디부틸히드록시 톨루엔, 대두 추출물, 펜틸렌 글리콜, 카테킨, 벤조산, 이소프로필 메틸 페놀, 살리실산, 파라-히드록시벤조산 에스테르, 및 페녹시에탄올을 포함한다.
항염증제의 예는 글리시리진산, 이의 염, 글리시레틴산, 이의 지방산 에스테르, 트라넥사민산, 브로멜라인, 및 카모밀라 레쿠티타 추출물을 포함한다. 킬레이트제의 예는 에틸렌 디아민,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에틸렌디아민-N,N'-디숙신산, 및 에티드론산을 포함한다.
청량제 및 방향제의 예는 멘타(멘톨) 및 정유(essential oil)를 포함한다.
유용성 UV 흡수제의 예는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옥토크릴렌,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폴리실리콘-15, 호모살레이트, t-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에틸헥실 트리아존,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메틸렌 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페놀, 옥시벤존-3, 및 드로메트리졸 트리실록산을 포함한다.
점도를 추가로 증가시키기 위해, 식물-유래 증점제, 예를 들어, 아가, 구아검, 잔탄검, 글루코만난, 및 알긴산이 선택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의 첨가는 본 발명의 피부 유화 조성물의 점도를 추가로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제제가 펌프 용기와 함께 사용될 때, 증점제는 사용감의 관점, 예를 들어, 예사성(stringiness)으로부터 조성물의 바람직하게 1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0.01 내지 0.5 중량%, 더더욱 바람직하게 0.05 내지 0.2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고함량의 식물-유래 증점제는 방부성(antiseptic)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따라, 증점제의 양은 바람직하게 상술된 범위 내에 속한다. 증점제를 함유한 제제가 펌프 용기에 패킹될 때, 점도는 예를 들어, 25℃에서 20,000 mPaㆍs 이상, 바람직하게 20,000 내지 45,000 mPaㆍs, 더더욱 바람직하게 25,000 내지 40,000 mPaㆍs이다.
계면활성제의 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피부 자극성을 완화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서, 조성물이 임의 다른 선택적 성분으로서 폴리아크릴산 또는 이의 염 이외의 계면활성제(들)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거나, 조성물이 폴리아크릴산 또는 이의 염 이외의 계면활성제(들)를 0.2 중량% 이하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성분은 또한,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유화 조성물은, 조성물이 피부에 외적으로 적용되는 유화 조성물로서 제조되는 한, 이의 형태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피부 유화 조성물은 성분 (1) 내지 성분 (3)을 선택적으로 다른 성분과 함께 첨가함으로써, 요망되는 형태, 예를 들어, 페이스트(paste), 무스(mousse), 유제(emulsion), 현탁액, 크림(cream), 연고, 시트(sheet), 에어로졸(aerosol), 스프레이(spray), 및 도포제(liniment)의 외용제제로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절차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유화 조성물은 주로, 화장료 조성물, 예를 들어, 로션, 크림, 스킨, 및 팩, 외용 약제(externally applied pharmaceutical), 또는 외용 준-약물(externally applied quasi-drug)을 포함하는 기본 피부 케어 조성물(basic skin care composition)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유화 조성물은 인간 피부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피부 유화 조성물은 적용의 양 및 횟수에 있어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함유된 성분의 타입 또는 농도, 사용자 연령, 성별, 증상 정도, 적용 형태, 및 기대 수준에 따라, 하루에 1회 또는 수 차례 전신(whole body) 또는 신체의 의도된 부분의 피부에 적합한 양의 조성물을 적용하면 된다. 본 발명의 피부 유화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두발 및/또는 두피 이외의 부분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화학식 (I)로 표현된 화합물을 폴리아크릴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 및 알킬-개질된 카복시 폴리머에 적용함으로써 피부 유화 조성물에서 폴리아크릴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 및 알킬-개질된 카복시 폴리머에 의한 증점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심지어 피부 유화 조성물이 점도를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는 전해질을 함유할 때에도,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로 표현된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피부 유화 조성물에서 폴리아크릴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 및 알킬-개질된 카복시 폴리머에 의한 증점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이 과도하게 증가된 양의 폴리아크릴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 또는 알킬-개질된 카복시 폴리머를 첨가하지 않으면서, 보다 높은 점도를 갖는 피부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명시한다. 과도하게 증가된 양의 폴리아크릴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 또는 알킬-개질된 카복시 폴리머를 첨가하는 것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점착성에 의해 훼손될 가능성이 있는 사용감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보다 높은 점도를 갖는 피부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 유화 조성물의 이액현상(syneresis)를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액현상에 의한 품질 하락을 억제하면서도 증가된 점도를 나타내는 현저하게 우수한 피부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II) 점도 증가 방법
본 발명은 피부 유화 조성물에 하기 성분 (3)을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하기 성분 (1) 및 성분 (2)를 포함하는 피부 유화 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1) 폴리아크릴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
(2) 알킬-개질된 카복시 폴리머, 및
(3) 하기 화학식 (I)로 표현된 화합물
[화학식 I]
Figure pct00006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C1-3 알킬 또는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 기로 치환된 C1-3 알킬을 나타내며, 단,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 기로 치환된 C1-3 알킬임).
본 발명에서, 성분 (1) 내지 성분 (3), 피부 유화 조성물, 성분 (1) 내지 성분 (3)의 양, 피부 유화 조성물의 생산 방법, 적용 대상, 용도, 적용 방법, 등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다. 피부 유화 조성물에서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임의 다른 성분은 또한,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폴리아크릴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 및 알킬-개질된 카복시 폴리머에 화학식 (I)로 표현된 화합물을 적용함으로써 피부 유화 조성물에서 폴리아크릴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 및 알킬-개질된 카복시 폴리머에 의한 증점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심지어 피부 유화 조성물이 점도를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는 전해질을 함유할 때에도,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로 표현된 화합물을 적용함으로써, 폴리아크릴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 및 알킬-개질된 카복시 폴리머에 의한 증점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이 과도하게 증가된 양의 폴리아크릴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 또는 알킬-개질된 카복시 폴리머를 첨가하지 않고 피부 유화 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명시한다. 과도하게 증가된 양의 폴리아크릴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 또는 알킬-개질된 카복시 폴리머를 첨가하는 것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점착성에 의해 훼손될 가능성이 있는 사용감을 감소시키기 않으면서 피부 유화 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III) 이액현상 억제 방법
본 발명은 피부 유화 조성물에 하기 성분 (3)을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하기 성분 (1) 및 성분 (2)를 포함하는 피부 유화 조성물의 이액현상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1) 폴리아크릴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
(2) 알킬-개질된 카복시 폴리머, 및
(3) 하기 화학식 (I)로 표현된 화합물
[화학식 I]
Figure pct00007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C1-3 알킬 또는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 기로 치환된 C1-3 알킬을 나타내며, 단,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 기로 치환된 C1-3 알킬임).
본 발명에서, 성분 (1) 내지 성분 (3), 피부 유화 조성물, 성분 (1) 내지 성분 (3)의 양, 피부 유화 조성물의 생산 방법, 적용 대상, 용도, 적용 방법, 등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다. 피부 유화 조성물에서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임의 다른 성분은 또한,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이액현상의 억제는 예를 들어, 이액현상 비율을 계산함으로써 평가될 수 있다. 이액현상 비율의 계산 및 이액현상 억제의 평가는 하기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또는 실시예에 기술된 절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아크릴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 및 알킬-개질된 카복시 폴리머를 포함하는 피부 유화 조성물에 화학식 (I)로 표현된 화합물을 적용함으로써 이액현상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액현상에 의한 품질 저하를 억제하면서도 증가된 점도를 나타내는 매우 우수한 피부 유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조성물의 이액현상을 평가하는 방법, 및 조성물의 이액현상 비율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이액현상을 평가하는 방법은 하기 단계 (i) 내지 단계 (iii)을 포함한다:
(i) 사전결정된 양의 조성물을 내장형 원심분리 필터가 장착된 용기에 배치시키는 단계;
(ii)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단계 (i)에서의 용기에 배치된 조성물을 원심분리하는 단계; 및
(iii) 용기에 내장된 필터 유닛에 잔류하는 조성물의 중량 및/또는 여과에 의해 얻어진 여액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이액현상 비율을 계산하는 방법은 하기 단계 (i) 내지 단계 (iv)를 포함한다:
(i) 사전결정된 양의 조성물을 내장형 원심분리 필터가 장착된 용기에 배치시키는 단계;
(ii)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단계 (i)에서의 용기에 배치된 조성물을 원심분리시키는 단계;
(iii) 용기에 내장된 필터 유닛에 잔류하는 조성물의 중량 및/또는 여과에 의해 얻어진 여액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iv) 단계 (iii)에서 측정된 조성물의 중량 및/또는 단계 (iii)에서 측정된 여액의 중량을 기초로 하여 이액현상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이러한 방법에서, 필터 유닛에 잔류하는 조성물의 중량 또는 여과에 의해 얻어진 여액의 중량 중 어느 하나를 단계 (iii)에서 측정할 수 있고, 또는 이러한 것들 각각의 중량을 단계 (iii)에서 측정할 수도 있다. 이액현상의 정도는 측정에 의해 얻어진 값들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이액현상 비율은 상세하게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액현상 비율은 단계 (iii)에서 측정된 조성물의 중량 및 여액의 중량을 기초로 하여 계산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이액현상 비율은 단계 (i)에서 첨가된 조성물의 중량, 및 단계 (iii)에서 측정된 조성물의 중량 및/또는 여액의 중량을 기초로 하여 계산될 수 있다.
단계 (iii)에서 측정된 조성물에 대한 여액의 중량비가 작을수록 이액현상이 더욱 억제됨을 나타낸다. 원심분리 전에 대한 원심분리 후의 조성물 중량 감소율이 더 작고, 및 동시에, 여액 중량의 증가율이 더 작을수록 이액현상이 더욱 억제됨을 나타낸다. 본 방법은 이액현상을 용이하게 평가하고 조성물의 이액현상 비율을 계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는 종래에는 어려운 것이었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기술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시험예 1
하기 표 1에 기술된 제형(formulation)에 따라 성분들을 혼합하여, 실시예 1의 피부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세하게, 표 1에 기술된 성분 1, 성분 2, 및 성분 5 내지 성분 8을 혼합하였고, pH를 6.8 내지 7.0으로 조정하기 위해 성분 3을 여기에 첨가하였고, 혼합물을 균질기(T.K. Homomixer, T.K. Robomix, Tokushu Kika Kogyo)로 균질하게 혼합하여 겔을 수득하였다. 성분 9 및 성분 10을 얻어진 겔에 첨가하고, pH가 6.8 내지 7.0인 것을 확인하였고, 이후에, 균질기로 유화시켰다. 얻어진 유화 조성물(실시예 1)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마찬가지로, 표 1에 나타낸 성분 1, 성분 2 및 성분 5 내지 성분 8을 혼합하면서, pH를 6.8 내지 7.0으로 조정하기 위해 성분 4를 여기에 첨가하였고, 혼합물을 균질기로 균질하게 혼합하여, 겔을 수득하였다. 성분 9 및 성분 10을 얻어진 겔에 첨가하였고, pH가 6.8 내지 7.0인 것을 확인하였고, 이후에 균질기로 유화시켰다. 얻어진 유화 조성물(비교예 1)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pH를 실온에서 pH 미터 F-52(Horiba, Ltd.)로 측정하였다.
점도를 B-타입 점도계로 측정하였다. 상세하게, 점도를 25℃의 실온에서, BM-타입 점도계(Tokyo Keiki Inc.)로 로터 번호(rotor No.) 4를 이용하여 12 rpm에서 60초 동안 측정하였다. 단위는 mPaㆍs이었다.
[표 1]
(제형에 대한 단위: 중량%)
Figure pct00008
표 1로부터 명확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양의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폴리머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유화 조성물에 함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미노메틸 프로판디올을 사용하여 제조된 유화 조성물(표 1에서 실시예 1)은 21,000 mPaㆍs의 점도를 가졌으며, 이는 칼륨 히드록사이드를 사용하여 제조된 유화 조성물(표 1에서 비교예 1)의 18,750 mPaㆍs의 점도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개선된 것이다. 이는, 아미노메틸 프로판디올의 사용이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를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폴리머와 조합함으로써 얻어진 증점 성질을 개선시킨다는 것을 명시하는 것이다.
시험예 2
하기 표 2에 나타낸 제형에 따라 성분들을 혼합하여, 실시예 2의 피부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세하게, 성분 5를 표 2에 나타낸 성분 7의 일부에 첨가하고, 이후에 pH가 6.8 내지 7.0에 도달할 때까지 성분 3의 일부를 여기에 첨가하였다(혼합물 1). 성분 1, 성분 2, 성분 6, 성분 8, 및 성분 9, 성분 3의 나머지, 및 성분 7의 나머지를 혼합하였다. pH가 6.8 내지 7.0인 것을 확인한 후에, 혼합물을 균질기로 균질하게 혼합하였다(혼합물 2). 얻어진 혼합물 1 및 혼합물 2를 혼합하고, 60℃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60℃로 가열된 성분 10 및 성분 11을 여기에 첨가하고, 균질기로 유화시켰다. 얻어진 유화 조성물(실시예 2)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성분 3 대신에 성분 4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의 절차를 반복하여,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비교예 2). 얻어진 유화 조성물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pH 및 점도를 시험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표 2]
(제형에 대한 단위: 중량%)
Figure pct00009
표 2로부터 명확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지어 점도를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는 전해질이 함유되었을 때에도, 아미노메틸 프로판디올을 사용하여 제조된 유화 조성물(표 2에서 실시예 2)은 20,000 mPaㆍs의 점도를 갖는데, 이는 칼륨 히드록사이드를 사용하여 제조된 유화 조성물(표 2에서 비교예 2)의 15,750 mPaㆍs의 점도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개선된 것이다. 이는 또한, 아미노메틸 프로판디올의 사용이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를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폴리머와 조합함으로써 얻어진 증점 성질을 개선시킨다는 것을 명시하는 것이다.
시험예 3
시험예 1 및 시험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하기 표 3에 나타낸 제형의 피부 유화 조성물(실시예 3 내지 실시예 8, 및 비교예 3 내지 비교예 8)을 제조하였다. 중화제로서, 아미노메틸 프로판디올(AMPD)을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8에서 사용하였고, 칼륨 히드록사이드(KOH)를 비교예 3 내지 비교예 8에서 사용하였다. 얻어진 조성물의 점도를 이전 시험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표 3]
(제형에 대한 단위: 중량%)
Figure pct00010
도 1로부터 명확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중화제로서 아미노메틸 프로판디올의 사용은 칼륨 히드록사이드의 사용과 비교하여 유화 조성물의 점도의 명확한 개선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4
아미노메틸 프로판디올로 중화된 유화 조성물의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해, 중화제로서 아미노메틸 프로판디올을 사용하여 제조된 피부 유화 조성물, 및 중화제로서 칼륨 히드록사이드를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된 피부 유화 조성물을 하기와 같이 분석하였다. 0.5 g의 샘플(피부 유화 조성물)을 내장형 원심분리 필터가 장착된 1.5-mL 튜브 원심분리 디바이스(Nanosep MF 0.2 ㎛, Pall Corporation)에 배치시키고, 원심분리기(Centrifuge 5415R, Eppendorf AG.)를 이용하여 20℃, 16,100×g rcf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후속하여, 필터 유닛에 잔류하는 샘플, 및 여액 수용기에서의 여액의 중량을 측정하였고, 이액현상의 출현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샘플 중량의 감소율이 낮고 여액 중량의 증가율이 낮을수록 이액현상이 더욱 억제되는 것을 나타낸다. 그 결과는, 이러한 측정 방법으로 조성물의 이액현상을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는 종래에 수행하기 어려운 것이다.
결과는 또한, 아미노메틸 프로판디올을 사용함으로써 제조된 유화 조성물이 칼륨 히드록사이드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된 유화 조성물에 비해 물의 더욱 억제된 이액현상을 나타내었다는 것을 보인다. 아미노메틸 프로판디올의 사용은 점도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이액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더욱 상세하게, 아미노메틸 프로판디올의 사용은 요망되는 점도 및 사용감을 갖는 안정한 유화 조성물을 제공하였으며, 현저하게 억제된 품질 저하를 나타낸다. 이액현상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오일의 양을 증가시키거나 잔탄검과 같은 식물-유래 증점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또한 결과로부터 시사된다.
시험예 5
조성물의 효능을 조사하기 위해, 하기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에서 사용되는 피부 유화 조성물은 0.2 중량%의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0.6 중량%의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폴리머, 약 15 중량%의 오일, 약 1 중량%의 아미노메틸 프로판디올, 5 중량%의 에탄올, 0.5 중량%의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 0.5 중량%의 글리세릴 글루코사이드(COSARTE-2G, Toyo Sugar Refining Co., Ltd.), 0.1 중량%의 잔탄검, 용매, 킬레이트제, 항산화제, 및 방향제를 함유하였다.
시험을 35세 내지 50세의 인간 남성 피검체에서 수행하였다. 8주의 기간에 걸쳐 아침 및 저녁으로 하루에 두 번씩 피검체의 안면의 절반 상에 약 0.4 g의 피부 유화 조성물을 적용하였고, 안구의 모서리 주변의 각질층 수분 함량 및 안구의 모서리 주변의 주름 깊이를 평가하였다. 일본화장품학회(Japanese Cosmetic Science Society)에 의해 발표된, 신규한 효능을 얻기 위해 주름방지 제품을 평가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에 따른 레플리카 방법(replica method)에 의해 평가를 수행하였다. 결과는, 조성물을 적용하고 8주 후에, 조성물이 적용된 부분이 조성물이 적용되지 않은 부분과 비교하여, 각질층 중의 수분 함량의 현저한 증가 및 주름 형성 억제를 나타내었음을 보인다.
제형예 (formulation example)
하기는 제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형예에서, 성분들의 양은 중량%의 단위에 의해 나타내었다.
제형예 1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0.4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폴리머: 0.4
글리세롤: 5
디프로필렌 글리콜: 3
페녹시에탄올: 0.2
에티드론산: 적합한 양
아미노메틸 프로판디올: 적합한 양
액체 파라핀: 5
시클로펜타실록산: 10
토코페롤: 0.1
물: 잔부
전체: 100
pH: 6.5 내지 7
제형예 2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0.4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폴리머: 0.4
글리세롤: 4
디글리세롤: 2
페녹시에탄올: 0.2
EDTA-2Na: 적합한 양
아미노메틸 프로판올: 적합한 양
시클로펜타실록산: 7
디메티코놀: 0.2
디메티콘: 2
수소화된 폴리이소부텐: 5
토코페롤: 0.1
물: 잔부
전체: 100
pH: 6.5 내지 7
제형예 3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0.2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폴리머: 0.6
글리세롤: 5
펜틸렌 글리콜: 3
페녹시에탄올: 0.2
아데노신 포스페이트: 0.3
에티드론산: 적합한 양
아미노메틸 프로판디올: 적합한 양
시클로펜타실록산: 7
수소화된 폴리이소부텐: 5
마카다미아 오일: 2
토코페롤: 0.1
물: 잔부
전체: 100
pH: 6.5 내지 7
제형예 4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0.2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폴리머: 0.6
글리세롤: 5
펜틸렌 글리콜: 3
페녹시에탄올: 0.2
아데노신 포스페이트: 0.5
에티드론산: 적합한 양
아미노메틸 프로판디올: 적합한 양
PEG-20 소르비탄 코코에이트: 0.5
수소화된 폴리이소부텐: 5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 2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5
옥토크릴렌: 3
토코페롤: 0.1
물: 잔부
전체: 100
pH: 6.5 내지 7
제형예 5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0.2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폴리머: 0.6
글리세롤: 5
펜틸렌 글리콜: 3
페녹시에탄올: 0.2
아데노신 포스페이트: 0.5
에티드론산: 적합한 양
아미노메틸 프로판디올: 적합한 양
시클로펜타실록산: 5
아미노프로필 디메티콘: 0.2
수소화된 폴리이소부텐: 5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 2
마카다미아 오일: 1
토코페롤: 0.1
물: 잔부
전체: 100
pH: 6.5 내지 7

Claims (11)

  1. 하기 성분 (1) 내지 성분 (3)을 포함하고 10,000 mPaㆍs 이상의 점도를 갖는 피부 유화 조성물(skin emulsion composition):
    (1) 폴리아크릴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
    (2) 알킬-개질된 카복시 폴리머, 및
    (3) 하기 화학식 (I)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I]
    Figure pct00011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C1-3 알킬 또는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 기로 치환된 C1-3 알킬을 나타내며, 단,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 기로 치환된 C1-3 알킬임)다.
  2. 제1항에 있어서, 오일을 조성물의 10 중량% 이상의 양으로 포함하는, 피부 유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오일이 왁스, 고체 탄화수소 오일, 고체 에스테르 오일, 액체 탄화수소 오일, 액체 에스테르 오일, 식물 오일, 동물 오일, 및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인, 피부 유화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탄올을 조성물의 20 중량% 이하의 양으로 포함하는, 피부 유화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1) 및 성분 (2)가 각각 조성물의 2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는, 피부 유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7 이하의 pH를 갖는, 피부 유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2)가 아크릴산/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인, 피부 유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3)이 아미노메틸 프로판올, 아미노메틸 프로판디올, 및 아미노 히드록시메틸 프로판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인, 피부 유화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발 및/또는 두피에 적용하기 위한 조성물을 배제하는, 피부 유화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해질을 추가로 포함하며, 조성물이 피부를 보습화하거나, 피부 주름을 방지하거나, 피부 미백화에 사용하기 위한 것인, 피부 유화 조성물.
  11. 피부 유화 조성물에 하기 성분 (3)을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하기 성분 (1) 및 성분 (2)를 포함하는 피부 유화 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1) 폴리아크릴산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원,
    (2) 알킬-개질된 카복시 폴리머, 및
    (3) 하기 화학식 (I)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I]
    Figure pct00012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C1-3 알킬 또는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 기로 치환된 C1-3 알킬을 나타내며, 단,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 기로 치환된 C1-3 알킬이다.
KR1020167021972A 2014-01-17 2014-08-04 피부용 유화 조성물 KR102291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07190 2014-01-17
JP2014007190 2014-01-17
PCT/JP2014/070524 WO2015107709A1 (ja) 2014-01-17 2014-08-04 皮膚用乳化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172A true KR20160106172A (ko) 2016-09-09
KR102291726B1 KR102291726B1 (ko) 2021-08-23

Family

ID=53542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972A KR102291726B1 (ko) 2014-01-17 2014-08-04 피부용 유화 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60324737A1 (ko)
EP (1) EP3095439B1 (ko)
JP (1) JP6419726B2 (ko)
KR (1) KR102291726B1 (ko)
CN (1) CN105899188B (ko)
AU (1) AU2014378413C1 (ko)
ES (1) ES2744847T3 (ko)
HK (1) HK1222578A1 (ko)
PH (1) PH12016501343B1 (ko)
SG (3) SG11201605484VA (ko)
TW (1) TWI644685B (ko)
WO (1) WO20151077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1339B2 (en) * 2015-12-04 2021-09-07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Polyacrylate salt, methods of preparation and applications for employing the same
TWI815855B (zh) * 2018-01-31 2023-09-21 日商大塚製藥股份有限公司 含有磷酸腺苷及傳明酸的外用組成物之變色抑制方法
CN108998006B (zh) * 2018-07-20 2021-06-08 合肥工业大学 一种环境友好的应变响应型荧光超分子材料及其制备方法
WO2020217499A1 (ja) * 2019-04-26 2020-10-29 大塚製薬株式会社 アデノシンリン酸を含有するo/w型低粘度乳化組成物
WO2020217503A1 (ja) * 2019-04-26 2020-10-29 大塚製薬株式会社 アデノシンリン酸を含有するo/w型高粘度乳化組成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2348A (ja) * 1996-12-26 1998-07-07 Kose Corp 化粧料
JP2005068023A (ja) * 2003-08-26 2005-03-17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2009286757A (ja) * 2008-05-30 2009-12-10 Shiseido Co Ltd 水中油型皮膚外用剤
JP2011126844A (ja) * 2009-12-21 2011-06-30 Shiseido Co Ltd シート状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18566A (en) * 1935-08-29 1938-05-24 Miles Gilbert De Wayne Buffered cosmetic
JP2001058914A (ja) * 1999-08-19 2001-03-06 Shiseido Co Ltd 顆粒配合化粧料
US6583181B1 (en) * 2000-11-22 2003-06-24 Lonza Inc. Antimicrobial quaternary ammonium compositions with reduced ocular irritation
US20050276762A1 (en) * 2004-06-15 2005-12-15 Tapas Das Topical compositions containing 5'-adenosine-diphosphate ribose
JP2007009019A (ja) * 2005-06-29 2007-01-18 Tombow Pencil Co Ltd 油性顔料ボールペンインキ組成物
JP4684884B2 (ja) * 2005-12-26 2011-05-18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組成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2348A (ja) * 1996-12-26 1998-07-07 Kose Corp 化粧料
JP2005068023A (ja) * 2003-08-26 2005-03-17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2009286757A (ja) * 2008-05-30 2009-12-10 Shiseido Co Ltd 水中油型皮膚外用剤
KR20110020787A (ko) * 2008-05-30 2011-03-03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수중 유형 피부 외용제
JP2011126844A (ja) * 2009-12-21 2011-06-30 Shiseido Co Ltd シート状化粧料
KR20110118844A (ko) * 2009-12-21 2011-11-01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시트 형상 화장료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eshohin Jiten, The Society of Cosmetic Chemists of Japan, published by Maruzen, September 25, 2004, second issue, pp.177 to 18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29090A (zh) 2015-08-01
HK1222578A1 (zh) 2017-07-07
WO2015107709A1 (ja) 2015-07-23
EP3095439A4 (en) 2017-07-05
AU2014378413A1 (en) 2016-07-21
CN105899188B (zh) 2019-11-26
SG10201912638VA (en) 2020-02-27
AU2014378413C1 (en) 2020-05-28
JP6419726B2 (ja) 2018-11-07
PH12016501343A1 (en) 2016-08-15
PH12016501343B1 (en) 2016-08-15
EP3095439A1 (en) 2016-11-23
SG10201805880UA (en) 2018-08-30
KR102291726B1 (ko) 2021-08-23
JPWO2015107709A1 (ja) 2017-03-23
AU2014378413B2 (en) 2020-03-05
CN105899188A (zh) 2016-08-24
SG11201605484VA (en) 2016-08-30
EP3095439B1 (en) 2019-07-17
ES2744847T3 (es) 2020-02-26
TWI644685B (zh) 2018-12-21
US20160324737A1 (en) 201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0042B2 (ja) 日焼け止め用組成物
KR101490713B1 (ko) 제형 안정성 및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저점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291726B1 (ko) 피부용 유화 조성물
KR20180024463A (ko)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10342755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pecific combination of surfactants
US20150105476A1 (en) O/w type cosmetic composition with improved dosage form stability
JP4425127B2 (ja) 肝斑改善用組成物及びくすみ改善用組成物
WO2020218547A1 (ja) アデノシンリン酸を含有するo/w型高粘度乳化組成物
WO2020218546A1 (ja) アデノシンリン酸を含有するo/w型低粘度乳化組成物
FR2980121A1 (fr) Emulsion huile dans eau comprenant un taux eleve d'huile vegetale
WO2021052398A1 (en) Gel composition with high oil content, the preparation method and the use of the same
US20210393490A1 (en) Cosmetic composition in multiple emulsion formulation
JP2019077675A (ja) ジェル状皮膚外用剤又は皮膚化粧料
US8557263B1 (en) Cosmetic composition in the form of an oil-in-water emulsion
JP3641200B2 (ja) フィット感ある皮膚外用剤
JP2022086863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2024510330A (ja) 多層エマルジョン化粧料組成物
JP2002128652A5 (ko)
JP2021011460A (ja) 乳化化粧料組成物
CN114073643A (zh) 没有白浊现象的水包油型化妆料组合物
JP2021038185A (ja) 液状水中油型乳化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