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6027A -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및 항비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및 항비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6027A
KR20160106027A KR1020160110010A KR20160110010A KR20160106027A KR 20160106027 A KR20160106027 A KR 20160106027A KR 1020160110010 A KR1020160110010 A KR 1020160110010A KR 20160110010 A KR20160110010 A KR 20160110010A KR 20160106027 A KR20160106027 A KR 20160106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sential oil
alpha
present
beta
mugw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7276B1 (ko
Inventor
이환명
김도윤
윤미소
황대일
윤석원
김보경
원경종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0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276B1/ko
Publication of KR20160106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Y10S514/909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재생, 항산화 및 항비만 효과를 갖는 개똥쑥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똥쑥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은 표피 각질 형성세포의 증식을 유도하는 활성, 표피 각질 형성세포의 typeⅠ및 type Ⅳ 콜라겐 합성과 분비를 유도하는 활성을 나타내고,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AKT) 및 세포외 신호조절 키나아제(ERK1/2)의 인산화를 유도하여 세포의 증식을 조절할 수 있어 피부재생에 우수한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ABTS 라디칼 또는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어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고, 나아가 지방세포 분화 억제 활성을 나타내어 우수한 항비만 효과를 갖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및 항비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Artemisia annua essential oil having skin regeneration and anti-obesity}
본 발명은 피부재생, 항산화 및 항비만 효과를 갖는 개똥쑥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쑥은 국화과(Compositae) 쑥속(Artemisia)에 속하는 생명력과 번식력이 강한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이나 한국 등 아시아 지역과 유럽 및 아메리카 지역의 임야에 널리 자생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약 400여종이 분포되어 국내에서는 약 300여 종이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녹엽 단백질과 필수지방산의 함량이 높아 영양적으로 우수한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쑥은 항산화, 항암, 면역증진 및 가축 사료로써의 이용 가능성 등의 기능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어져 있으며, 여러 가지 식품에 응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민간요법으로 전초를 말려 진정, 경련, 마비 및 전신강직 등의 치료와 복통, 토혈, 만성간염, 식욕부진 및 만성 위장염 등에 이용되어 왔으며, 생즙 또는 달인 물은 뜸, 입욕 및 찜질 등의 외용 또는 음용 및 구황식물로 이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항암, 항산화, 항균 및 가축사료로써 쑥의 이용가능성 등에 관하여 연구되어 있는데, 국내에서는 산쑥, 약쑥, 인진쑥, 참쑥에 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한편, 개똥쑥(Artemisia annua L.)은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초본으로 열대아시아를 원산지로 하여 전 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전국 각지의 길가나 들판에 무리지어 야생하고 있다. 한방에서는 개똥쑥의 지상부를 청호(菁蒿)라는 이름으로 해열제, 지혈제, 피부병 치료제 및 살충제 등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 외 항균, 항바이러스 및 항산화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중국에서는 예부터 말라리아 치료를 위한 약초로 사용되어 왔는데 테르페노이드계 세스퀴테르펜 락톤의 일종인 알테미시닌(artemisinin)은 강력한 항말라리아 효능을 지니므로 현재 의약품으로도 이용되고 있으며, 이 물질은 성숙한 식물체의 화기와 잎의 선모 등에서도 발견되고 초식성 곤충과 포유동물에게 강한 기피 작용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말라리아와 같은 병원성 원충에게는 치명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유방암 세포를 선택적으로 괴사시키는 항암활성이 입증됨으로써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생약제로 평가되고 있다.
개똥쑥의 주요 성분으로는 아르테뉴인(arteannuin), 스코폴리틴(scopoletin), 쿠마린(coumarin) 및 유파틴(eupatin) 등이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이 항암 및 항균 작용과 관계가 깊어 이들의 화학적 구조를 밝혀내는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주요 성분을 대량 생산하기 위한 조직배양 및 유전자 형질전환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 있다.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개똥쑥은 총 항산화력이 높은 약용식물 중의 하나로서 개똥쑥의 높은 항산화 활성은 시료 중에 함유된 페놀 화합물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국내에서 개똥쑥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개똥쑥은 쉽게 구하기가 어렵고 재배가 쉽지 않아 일반인들의 건강식품으로서 섭취할 수 있도록 상용화되지 않아 이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32,214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개똥쑥으로부터 추출한 에센셜 오일이 피부재생에 효과적이고,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며,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똥쑥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1,8-시네올(1,8-cineol), 제르마크렌 D(Germacrene D), 캐리오필렌(caryophyllene), 파르네센(β-Farnesene), 캠퍼(Camphor), 셀리넨(β-Selinene), 사비넨(Sabinene), (1R)-2,6,6-Trimethylbicyclo[3.1.1]hept-2-ene, 후물렌(α-humulene), 뮤롤렌(γ-Muurolene), 산토리나 트리엔(Santolina triene), 미르센(myrcene), 테르피네올(4-Terpineol), 캄펜(Camphene), 코파엔(α-Copaene), 비사이클로제르마크렌(Bicyclogermacrene), 튜존(β-thujone), 2,6,6,9-tetramethyl-Piperitone-Tricyclo[5.4.0.0(2,8)]undec-9-ene, 피페리톤(Piperitone), 테르펜(α-Terpinene), 큐버빈(β-Cubebene), 4-methylene-1-methyl-2-(2-methyl-1-propen-1-yl)-1-vinyl-Cycloheptane, 카디넨(δ-Cadinene), 3,7-dimethyl-,(Z)-1,3,6-Octatriene, 유게놀(Eugenol), 세드롤(α-Cedrol), 불가론 B(Vulgarone B), l-보르닐 아세테이트, 보르네올 L(borneol L), 1-펠란드렌(l-Phellandrene), 1,2,3,4,4a,5,6,8a-octahydro-7-methyl-4-methylene-1-(1-methylethyl)-,(1 alpha,4a alpha,8a alpha)-Naphthalene, 테르피놀렌(α-terpinolene), 테르피네올(cis-β-Terpineol), 1,3-bis(1,1-dimethylethyl)-Benzene, 아주놀(Azunol), 및 아르테미시아 트리엔(Artemesia tri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표피 각질 형성세포의 증식을 유도하는 활성, 표피 각질 형성세포의 typeⅠ및 type Ⅳ 콜라겐 합성과 분비를 유도하는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AKT) 및 세포외 신호조절 키나아제(ERK1/2)의 인산화를 유도하여 세포의 증식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0.0001 ~ 1㎍/mL의 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수증기 증류 방법에 의해 개똥쑥으로부터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똥쑥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1,8-시네올(1,8-cineol), 제르마크렌 D(Germacrene D), 캐리오필렌(caryophyllene), 파르네센(β-Farnesene), 캠퍼(Camphor), 셀리넨(β-Selinene), 사비넨(Sabinene), (1R)-2,6,6-Trimethylbicyclo[3.1.1]hept-2-ene, 후물렌(α-humulene), 뮤롤렌(γ-Muurolene), 산토리나 트리엔(Santolina triene), 미르센(myrcene), 테르피네올(4-Terpineol), 캄펜(Camphene), 코파엔(α-Copaene), 비사이클로제르마크렌(Bicyclogermacrene), 튜존(β-thujone), 2,6,6,9-tetramethyl-Piperitone-Tricyclo[5.4.0.0(2,8)]undec-9-ene, 테르펜(α-Terpinene), 큐버빈(β-Cubebene), 카디넨(δ-Cadinene), 4-methylene-1-methyl-2-(2-methyl-1-propen-1-yl)-1-vinyl-Cycloheptane, 3,7-dimethyl-,(Z)-1,3,6-Octatriene, 유게놀(Eugenol), 세드롤(α-Cedrol), 불가론 B(Vulgarone B), l-보르닐 아세테이트, 보르네올 L(borneol L), 1-펠란드렌(l-Phellandrene), 테르피놀렌(α-terpinolene), 1,2,3,4,4a,5,6,8a-octahydro-7-methyl-4-methylene-1-(1-methylethyl)-,(1 alpha,4a alpha,8a alpha)-Naphthalene, 테르피네올(cis-β-Terpineol), 1,3-bis(1,1-dimethylethyl)-Benzene, 아주놀(Azunol), 및 아르테미시아 트리엔(Artemesia tri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ABTS 라디칼 또는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0.1 ~ 50㎍/mL의 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수증기 증류 방법에 의해 개똥쑥으로부터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똥쑥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1,8-시네올(1,8-cineol), 제르마크렌 D(Germacrene D), 캐리오필렌(caryophyllene), 파르네센(β-Farnesene), 캠퍼(Camphor), 셀리넨(β-Selinene), 사비넨(Sabinene), (1R)-2,6,6-Trimethylbicyclo[3.1.1]hept-2-ene, 후물렌(α-humulene), 뮤롤렌(γ-Muurolene), 산토리나 트리엔(Santolina triene), 미르센(myrcene), 테르피네올(4-Terpineol), 캄펜(Camphene), 코파엔(α-Copaene), 비사이클로제르마크렌(Bicyclogermacrene), 튜존(β-thujone), 2,6,6,9-tetramethyl-Piperitone-Tricyclo[5.4.0.0(2,8)]undec-9-ene, 테르펜(α-Terpinene), 큐버빈(β-Cubebene), 카디넨(δ-Cadinene), 4-methylene-1-methyl-2-(2-methyl-1-propen-1-yl)-1-vinyl-Cycloheptane, 3,7-dimethyl-,(Z)-1,3,6-Octatriene, 유게놀(Eugenol), 세드롤(α-Cedrol), 불가론 B(Vulgarone B), l-보르닐 아세테이트, 보르네올 L(borneol L), 1-펠란드렌(l-Phellandrene), 테르피놀렌(α-terpinolene), 1,2,3,4,4a,5,6,8a-octahydro-7-methyl-4-methylene-1-(1-methylethyl)-,(1 alpha,4a alpha,8a alpha)-Naphthalene, 테르피네올(cis-β-Terpineol), 1,3-bis(1,1-dimethylethyl)-Benzene, 아주놀(Azunol), 및 아르테미시아 트리엔(Artemesia tri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지방세포 분화 억제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0.05 ~ 5 ㎍/mL의 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수증기 증류 방법에 의해 개똥쑥으로부터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똥쑥으로부터 추출한 에센셜 오일은 표피 각질 형성세포의 증식을 유도하는 활성, 표피 각질 형성세포의 typeⅠ및 type Ⅳ 콜라겐 합성과 분비를 유도하는 활성을 나타내고,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AKT) 및 세포외 신호조절 키나아제(ERK1/2)의 인산화를 유도하여 세포의 증식을 조절할 수 있어 피부재생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개똥쑥으로부터 추출한 에센셜 오일은 ABTS 라디칼 또는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어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고, 지방세포 분화 억제 활성을 나타내어 우수한 항비만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똥쑥으로부터 에센셜 오일을 추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똥쑥 에센셜 오일이 표피 각질형성세포 이동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똥쑥 에센셜 오일이 표피 각질형성세포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똥쑥 에센셜 오일이 표피 각질형성세포 내 신호전달 과정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태는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똥쑥 에센셜오일이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type I 또는 IV 콜라젠 합성과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똥쑥 에센셜 오일의 ABTs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똥쑥 에센셜 오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똥쑥 에센셜 오일이 지방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개똥쑥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개똥쑥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 항산화 또는 항비만 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똥쑥 에센셜 오일은 통상적인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개똥쑥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증기 증류(steam distillation) 방법 또는 수증기 증류-추출을 동시에 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똥쑥을 세척한 후 수증기 증류법으로 증류하고, 저온에서 냉각시킨 후 분리 및 정제 과정을 거쳐 수용액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제조하였다(도 1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개똥쑥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은 개똥쑥을 세척한 후 건조 및 분쇄하고, 분쇄물을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아세톤,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용매로 냉침 또는 온침하여 1회 이상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및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및 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극성 용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한 1차 추출을 한 후, 순차적으로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헥산을 포함하는 저극성 용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한 2차 추출을 통하여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추가로 상기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증류 장치에서 적정 온도로 감압 농축시키는 과정을 더 거쳐 제조할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냉침의 경우 약 12 ~ 96시간동안 행하거나,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디에틸에테르 등을 용매로 하여 4 ~ 25℃ 상온에서 1 ~ 20일 방치 숙성시켜서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온침의 경우는 추출용매의 종류와 온도에 따라 상이하나, 용매의 환류 온도에 가까운 온도로 약 5 ~ 24시간동안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개똥쑥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1,8-시네올(1,8-cineol), 제르마크렌 D(Germacrene D), 캐리오필렌(caryophyllene), 파르네센(β-Farnesene), 캠퍼(Camphor), 셀리넨(β-Selinene), 사비넨(Sabinene), (1R)-2,6,6-Trimethylbicyclo[3.1.1]hept-2-ene, 후물렌(α-humulene), 뮤롤렌(γ-Muurolene), 산토리나 트리엔(Santolina triene), 미르센(myrcene), 테르피네올(4-Terpineol), 캄펜(Camphene), 코파엔(α-Copaene), 비사이클로제르마크렌(Bicyclogermacrene), 튜존(β-thujone), 2,6,6,9-tetramethyl-Piperitone-Tricyclo[5.4.0.0(2,8)]undec-9-ene, 피페리톤(Piperitone), 테르펜(α-Terpinene), 큐버빈(β-Cubebene), 4-methylene-1-methyl-2-(2-methyl-1-propen-1-yl)-1-vinyl-Cycloheptane, 카디넨(δ-Cadinene), 3,7-dimethyl-,(Z)-1,3,6-Octatriene, 유게놀(Eugenol), 세드롤(α-Cedrol), 불가론 B(Vulgarone B), l-보르닐 아세테이트, 보르네올 L(borneol L), 1-펠란드렌(l-Phellandrene), 1,2,3,4,4a,5,6,8a-octahydro-7-methyl-4-methylene-1-(1-methylethyl)-,(1 alpha,4a alpha,8a alpha)-Naphthalene, 테르피놀렌(α-terpinolene), 테르피네올(cis-β-Terpineol), 1,3-bis(1,1-dimethylethyl)-Benzene, 아주놀(Azunol), 및 아르테미시아 트리엔(Artemesia tri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성분의 함량은 구체적으로 1,8-시네올(1,8-cineol) 6~7 중량%, 제르마크렌 D(Germacrene D) 5~7 중량%, 캐리오필렌(caryophyllene) 3~4 중량%, 파르네센(β-Farnesene) 1~3 중량%, 캠퍼(Camphor) 1~3 중량%, 셀리넨(β-Selinene) 0.5~2 중량%, 사비넨(Sabinene) 0.5~2 중량%, (1R)-2,6,6-Trimethylbicyclo[3.1.1]hept-2-ene 0.5~2 중량%, 후물렌(α-humulene) 0.1~1 중량%, 뮤롤렌(γ-Muurolene) 0.1~1 중량%, 산토리나 트리엔(Santolina triene) 0.1~1 중량%, 미르센(myrcene) 0.1~1 중량%, 테르피네올(4-Terpineol) 0.1~1 중량%, 캄펜(Camphene) 0.1~1 중량%, 코파엔(α-Copaene) 0.1~1 중량%, 비사이클로제르마크렌(Bicyclogermacrene) 0.1~0.5 중량%, 튜존(β-thujone) 0.1~0.5 중량%, 2,6,6,9-tetramethyl-Piperitone-Tricyclo[5.4.0.0(2,8)]undec-9-ene 0.1~0.5 중량%, 피페리톤(Piperitone) 0.1~0.5 중량%, 테르펜(α-Terpinene) 0.1~0.5 중량%, 큐버빈(β-Cubebene) 0.1~0.5 중량%, 4-methylene-1-methyl-2-(2-methyl-1-propen-1-yl)-1-vinyl-Cycloheptane 0.1~0.5 중량%, 카디넨(δ-Cadinene) 0.05~0.5 중량%, 3,7-dimethyl-,(Z)-1,3,6-Octatriene 0.05~0.5 중량%, 유게놀(Eugenol) 0.05~0.5 중량%, 세드롤(α-Cedrol) 0.05~0.5 중량%, 불가론 B(Vulgarone B) 0.05~0.5 중량%, l-보르닐 아세테이트 0.05~0.3 중량%, 보르네올 L(borneol L) 0.05~0.3 중량%, 1-펠란드렌(l-Phellandrene) 0.05~0.3중량%, 1,2,3,4,4a,5,6,8a-octahydro-7-methyl-4-methylene-1-(1-methylethyl)-,(1 alpha,4a alpha,8a alpha)-Naphthalene 0.05~0.3 중량%, 테르피놀렌(α-terpinolene) 0.05~0.3 중량%, 테르피네올(cis-β-Terpineol) 0.05~0.3 중량%, 1,3-bis(1,1-dimethylethyl)-Benzene 0.05~0.3 중량%, 아주놀(Azunol) 0.01~0.1 중량%, 및 아르테미시아 트리엔(Artemesia triene) 0.01~0.1 중량% 범위 안에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개똥쑥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이 상기에서 기술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성분들을 포함하고 있고, 이러한 성분들에 의해 피부각질 형성세포의 증식을 유도하여 피부 재생 효과를 나타내고(도 2 내지 도 5 참조), 라디칼 소거 활성이 높아 항산화 효과를 가지며(도 6 및 도 7 참조),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효과(도 8 참조)를 나타낸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개똥쑥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에센셜 오일은 표피 각질 형성세포의 증식을 유도하는 활성을 나타내며, 표피 각질 형성세포의 typeⅠ및 type Ⅳ 콜라겐 합성과 분비를 유도하는 활성을 나타낸다. 또한,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AKT) 및 세포외 신호조절 키나아제(ERK1/2)의 인산화를 유도하여 세포의 증식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피부재생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에센셜 오일은 0.0001 ~ 1㎍/mL의 농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 0.1㎍/mL의 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0.0001㎍/mL 이하의 농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피부재생 효과가 미미하며, 에센셜 오일을 1㎍/mL 이상의 농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피부각질 형성세포의 증식을 저해하여 피부재생에 효과가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재생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약학적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피부재생 약학적 조성물에는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 형태로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부재생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은 개똥쑥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에센셜 오일은 ABTS 라디칼 또는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어 항산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상기 에센셜 오일을 항산화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에센셜 오일은 0.1 ~ 50㎍/mL의 농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0㎍/mL의 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0.1㎍/mL 이하의 농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항산화 효과가 미미하며, 에센셜 오일을 10㎍/mL 이상의 농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개똥쑥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에센셜 오일은 우수한 지방세포 분화 억제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기 에센셜 오일을 항비만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에센셜 오일은 0.05 ~ 5㎍/mL의 농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1㎍/mL의 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0.05㎍/mL 이하의 농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가 미미하며, 에센셜 오일을 1㎍/mL 이상의 농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항비만 효과가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개똥쑥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또는 항비만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개똥쑥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상기 생리활성성분이 동물 또는 사람에게 투여되어 목적하는 생리학적 또는 약리학적 활성을 나타내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증상의 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기간 등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제형은 분말, 과립, 정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멸균 주사용액, 멸균 분말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으며, 활성 성분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공지의 화합물과도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또는 항비만 조성물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식품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식품의 주원료, 부원료,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또는 음료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식품용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빵류,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캔디류, 쵸코렛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 음료,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 스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건강 기능성 식품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보조식품의 종류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 형태 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일 실시예를 제공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아래의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개똥쑥 에센셜 오일의 제조
본 발명에서는 개똥쑥을 수증기 증류법으로 증류하여 수용액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제조하였다.
먼저, 채취한 개똥쑥을 세척한 후, 생초 20 ㎏씩 수증기 증류법을 통해 10ℓ의 개똥쑥 증류액을 얻고, 저온에서 냉각하고, 분리 및 정제 과정을 거쳐 상기 얻은 증류액으로부터 수용액을 제거하여 에센셜 오일 100 ㎖를 획득하였다.
<실시예 2>
개똥쑥 에센셜오일의 성분분석
개똥쑥 에센셜 오일의 성분 분석은 KBSI(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seoul center)에 의뢰하였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계(6890N GC/5975i MS, Agilent, USA)를 사용하였고, GC/MS의 컬럼(column)은 DB5-MS(30m×50μm, 0.25μm)를 사용하였으며, 캐리어 가스(carrier gas)는 He를 사용하여 1 mL/분으로 흐르게 하여 분석하였다. 오븐의 온도는 40℃-2℃/분-230℃-5℃/분-300℃(5분)으로 유지하였으며, injection의 온도는 280℃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Interface의 온도는 300℃, ion source의 온도는 230℃, analyzer의 온도는 150℃에서 분석하였으며, Mass range는 40~800 m/z에서 분석하였다.
개똥쑥 에센셜 오일 성분의 확인은 휘발성분의 지체시간(retention indices, RI)과 표준물질의 지체시간과 일치하거나 휘발물질의 질량 스펙트럼과 Wiley 7Nist 05 library의 질량 스페그럼을 비교하여 물질을 확인하였다. RI는 C6 ~ C24 (n-alkane)를 이용하여 시료와 동일 조건에서 결정하였다. 그 결과, 총 37개의 성분을 동정하였으며, 1,8-Cineol, Germacrene D, Caryophyllene 등 높은 함량 순으로 나열하여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3>
개똥쑥 에센셜 오일이 표피 각질형성세포 이동에 미치는 효과
개똥쑥 에센셜 오일이 피부 표피 각질형성세포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사람 피부 유래 표피 각질형성세포(HaCat)를 10%의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고 본 실험에 활용하였다. 48 well chemotactic boyden chamber를 사용하여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이동률을 조사하였으며, 먼저 lower chamber에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각각 0.0001 ~ 1μg/mL의 농도로 처리하고, type I 콜라겐 코팅이 된 8μm 포어의 poly-carbonate membrane을 올려 주었다. 이후, upper chamber에 표피 각질형성세포를 well당 5×104 cell/30 μL씩 처리하였다. Chamber를 37℃ 배양기에서 90분간 배양시킨 후, membrane을 Diff-Quick solution으로 염색 및 고정하였다. Membrane을 통과하여 이동한 세포의 수를 세어, 백분율로 환산하여 개똥쑥 에센셜 오일의 피부 표피 각질형성세포 이동에 대한 결과를 확보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이용하지 않은 것이고, 양성 대조군은 종래의 상처치유 및/또는 피부 재생에 활용되는 있는 표피성장인자(epithermal growth factor, EGF 5 ng/mL)를 이용한 것이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성 대조군의 경우 표피성장인자(EGF)에 의해서 각질형성세포의 이동이 유도된 반면, 본 발명의 개똥쑥 에센셜 오일은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이동(migration)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개똥쑥 에센셜 오일이 표피 각질형성세포 증식에 미치는 효과
개똥쑥 에센셜 오일이 피부 표피 각질형성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사람 피부 유래 표피 각질형성세포(HaCat)를 10%의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고 본 실험에 활용하였다. 표피 각질형성세포를 96 well microtiter plate에 각 well 당 세포수 5 X 103/100μL/well이 되도록 주입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부착시켰다. 개똥쑥 에센셜 오일 0.0001~1 μg/mL 농도로 각 well에 100 μL씩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Ez-cytox와 DMEM를 1:1로 혼합하여 각 well 당 20μL 씩 처리한 후 배양기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ELISA plate reader(Synerge2, BioTek, USA)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 측정 후, 백분율로 환산하여 개똥쑥 에센셜 오일의 피부 표피 각질형성세포 증식에 대한 결과를 확보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이용하지 않은 것이고, 양성 대조군은 종래에 상처치유 및/또는 피부 재생에 활용되고 있는 표피성장인자(epithermal growth factor, EGF 50 ng/mL)를 이용한 것이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똥쑥 에센셜 오일은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증식(proliferation)을 농도 의존적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표피성장인자로 잘 알려진 EGF(50 ng/mL)에 의한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은 122.96±1.87% 유도가 되었으며,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개똥쑥 에센셜 오일은 0.01μg/mL 농도에서 127.20±2.28%의 증식 유도율을 나타내었고, 0.1μg/mL 농도에서 147.82±2.48%의 증식 유도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EGF에 비해 약 25% 이상의 증식 유도효과를 나타내어 각질형성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5>
개똥쑥 에센셜 오일이 표피 각질형성세포내 신호전달 과정에 미치는 영향
개똥쑥 에센셜 오일이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증식과 이동을 조절하는 주요 신호전달체계로 알려진 세린/트레오닌 키나제(Akt)와 세포외 신호조절 키나제(ERK1/2)의 인산화 과정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각각의 특이항체 (P-Akt, Akt, P-ERK1/2, ERK1/2)를 이용하여 면역블롯 (Immuno Blot)법을 활용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이용하지 않은 것이고, 양성 대조군은 종래의 상처치유 및/또는 피부 재생에 활용되는 있는 표피성장인자(epithermal growth factor, EGF 50 ng/mL)를 이용한 것이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똥쑥 에센셜 오일은 피부각질형성세포의 증식과 이동을 조절하는 신호전달체계로 알려진 표피 각질형성세포내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AKT)와 세포외 신호조절 키나아제(ERK1/2)의 인산화를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똥쑥 에센셜 오일 0.1μg/ml 농도에서 기존에 알려진 표피성장인자에 비해 AKT와 ERK 1/2의 인산화를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세포의 증식을 조절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개똥쑥 에센셜오일이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type I 또는 IV 콜라겐 합성과 분 비에 미치는 영향
개똥쑥 에센셜 오일이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type I 또는 IV 콜라겐 합성과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96 well microtiter plate에 monoclonal anti-collagen I 또는 IV Ab, (2μg/well/PBS)를 주입 후 12시간 동안 RT에서 코팅하였다. Blocking buffer로 1시간 동안 blocking 후, 샘플를 well당 100μL 씩 처리하여 RT에서 90분 동안 반응시켰다. 샘플은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처리하지 않은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배양액(CM)과 세포 용해물(Lysate), 개똥쑥 에센셜 오일 0.1μg/mL 농도로 처리된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배양액(CM)과 세포 용해물(Lysate)을 처리하였다. 그 후, polyclonal anti-collagen I 또는 IV Ab를 각 well에 처리하여 RT에서 90분 동안 반응시킨 다음, streptavidin-POD를 각 well에 처리하여 RT에서 60분 동안 반응시켰다. Supersinal ELISA pico chemiluminescent substrate를 각 well 당 100μL 씩 주입하여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ELISA plate reader를 이용하여 luminescence 정도를 측정하였고, 개똥쑥 에센셜 오일의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type I 또는 IV 콜라겐 합성과 분비에 대한 결과를 확보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똥쑥 에센셜 오일은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type I 콜라겐(도 5의 A)과 type IV 콜라겐(도 5의 B)의 합성과 분비를 유의하게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배양액(CM)에서 type I 콜라겐의 합성은 164.61±0.34% 유도되었으며, type IV 콜라겐의 합성은 154.80±1.19% 유도되어, 개똥쑥 에센셜 오일은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type I과 IV 콜라겐 합성과 분비를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7>
개똥쑥 에센셜 오일의 항산화 효과
개똥쑥 에센셜 오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ABTs 라디칼 및 DPPH 라디칼의 소거 활성을 확인하였다.
<7-1> 개똥쑥 에센셜 오일의 ABTs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효과
개똥쑥 에센셜 오일의 항산화 활성 중 하나인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사용된 반응시약은 7mM ABTs와 2.45mM 포타슘 포설페이트(potassium persulfate)를 혼합한 후 상온 암소에서 12시간 이상 반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0.1 ~ 40μg/mL의 농도로 희석된 샘플 50μL에 ABTs 100μL를 상온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734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대신 에센셜 오일을 녹인 물질을 사용하였으며, 그 값은 다음과 같은 식 1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식 1>
ABTs activity(%) = [1-(시료첨가군의 흡광도)/(무첨가군의 흡광도)] x 100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표적인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과 비교를 하였는데 10μg/mL의 농도에서 아스코르빈산의 경우에 활성이 1.04±0.68%인 반면에, 개똥쑥 에센셜 오일의 활성은 93.87±0.34%로 에센셜 오일의 항산화력이 아스코르빈산에 비해 월등히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7-2> 개똥쑥 에센셜 오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효과
개똥쑥 에센셜오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개똥쑥 에센셜 오일의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s)에 대한 수소 공여 효과를 측정하였다. 0.2mM DPPH 시약을 99% 에탄올에 희석하여 만들어 사용하였다. 각각의 농도로 희석한 샘플 100μL를 취한 후 0.2mM DPPH 시약 50μL를 잘 혼합하여 15분간 방치한 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대신 에센셜 오일을 녹인 물질을 사용하였으며, 그 값은 다음과 같은 식 2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식 2>
DPPH activity(%) = [1-(시료첨가군의 흡광도)/(무첨가군의 흡광도)] x 100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표적인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빈산 (5μg/mL)의 활성은 4.80±2.46%인 반면에, 개똥쑥 에센셜 오일의 활성은 16.81±4.81%로 개똥쑥 에센셜 오일의 항산화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9>
개똥쑥 에센셜 오일이 전지방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효과
마우스 embryo 3T3-L1 전구지방세포주는 KCLB(Korean Cell Line Bank)에서 구입하여 10%의 송아지혈청(Newborn Calf Serum)이 첨가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 2×105 cells/mL 농도로 부유시켜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융합 상태가 되게 37℃, CO2 배양기에서 배양 하였다. 분화배지(10% FBS, 5μg/mL 인슐린, 1μM 덱사메타손, 0.5mM 3-이소부틸-1-메틸잔틴)로 교체하여 2일간 배양하였고 배양시에 개똥쑥 에센셜오일을 0.5 및 1μg/mL 농도로 같이 처리하였다. 2일간 배양 후,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기 위해, 5μg/mL 인슐린이 포함된 DMEM 배지와 개똥쑥 에센셜오일을 0.5 및 1μg/mL 농도로 같이 처리하였다. 2일간 배양 후 개똥쑥 에센셜 오일만 0.5 및 1μg/mL 농도로 처리하였고, 2일 후 똑같이 개똥쑥 에센셜 오일만 처리하였다.
배양 중에 세포의 모양은 광학현미경(Olympus, Japan)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3T3-L1 세포의 분화 정도는 Oil-red O를 이용하여 염색하였다. 분화된 세포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배양 후 세포 표면을 차가운 PBS로 2회 씻어준 다음 4% 포르말린(in PBS)으로 60분간 고정하고 물로 씻어준 60% 이소프로필알콜을 이용해 1번 세척한 후 충분히 건조하였다. 건조한 세포에 Oil-red O염색약을 300μL를 넣고 실온에서 1시간 염색한 다음, 세포를 물로 충분히 씻어준 다음 현미경으로 관찰 후 사진 촬영을 하였다. 사진 촬영 후 100% 이소프로필알콜을 이용하여 세포에 염색된 Oil-red O를 탈색한 후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 한 후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3T3-L1 지방세포에서 개똥쑥 에센셜 오일의 세포독성을 조사한 결과(A), 1μg/mL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똥쑥 에센셜 오일의 첨가가 3T3-L1 지방세포의 지방구 생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Oil red-o로 염색을 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B), 양성대조군은 지방 분화촉진인자인 MDI를 배양액에 첨가하지 않고 DMEM만을 처리한 대조군으로 세포 내에 지방구가 전혀 형성되지 않았고, MDI군의 경우 지방분화 촉진인자인 MDI를 첨가한 DMEM을 처리하여 3T3-L1 세포의 분화를 유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처리한 실험군의 경우 0.5μg/mL의 농도에서는 39.29±7.05%의 지방세포분화억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1μg/mL의 농도에서는 78.46±0.55%의 지방세포분화억제 활성이 나타내어 농도 의존적으로 분화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8-시네올(1,8-cineol), 제르마크렌 D(Germacrene D), 캐리오필렌(caryophyllene), 베타-파르네센(β-Farnesene), 캠퍼(Camphor), 베타-셀리넨(β-Selinene), 사비넨(Sabinene), (1R)-2,6,6-Trimethylbicyclo[3.1.1]hept-2-ene, 알파-후물렌(α-humulene), 감마-뮤롤렌(γ-Muurolene), 산토리나 트리엔(Santolina triene), 베타-미르센(β-myrcene), 4-테르피네올(4-Terpineol), 캄펜(Camphene), 알파-코파엔(α-Copaene), 비사이클로제르마크렌(Bicyclogermacrene), 베타-튜존(β-thujone), 2,6,6,9-tetramethyl-Tricyclo[5.4.0.0(2,8)]undec-9-ene, 피페리톤(Piperitone), 알파-테르피넨(α-Terpinene), 1(S)-6,6-dimethyl-2-methylene-Bicyclo[3.1.1.] heptane, 베타-큐버빈(β-Cubebene), 4-methylene-1-methyl-2-(2-methyl-1-propen-1-yl)-1-vinyl-Cycloheptane, 델타-카디넨(δ-Cadinene), 3,7-dimethyl-,(Z)-1,3,6-Octatriene, 유게놀(Eugenol), 알파-세드롤(α-Cedrol), 불가론 B(Vulgarone B), 1-보르닐 아세테이트(1-Bornyl acetate), 보르네올 L(borneol L), 1-펠란드렌(1-Phellandrene), 1,2,3,4,4a,5,6,8a-octahydro-7-methyl-4-methylene-1-(1-methylethyl)-(1 alpha,4a alpha,8a alpha)-Naphthalene, 알파-테르피놀렌(α-terpinolene), 시스-베타-테르피네올(cis-β-Terpineol), 1,3-bis(1,1-dimethylethyl)-Benzene, 아주놀(Azunol), 및 아르테미시아 트리엔(Artemesia triene)을 포함하는 개똥쑥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피부외용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수증기 증류 방법에 의해 개똥쑥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피부외용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지방세포 분화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피부외용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0.05 ~ 5 ㎍/mL의 농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피부외용제.
1,8-시네올(1,8-cineol), 제르마크렌 D(Germacrene D), 캐리오필렌(caryophyllene), 베타-파르네센(β-Farnesene), 캠퍼(Camphor), 베타-셀리넨(β-Selinene), 사비넨(Sabinene), (1R)-2,6,6-Trimethylbicyclo[3.1.1]hept-2-ene, 알파-후물렌(α-humulene), 감마-뮤롤렌(γ-Muurolene), 산토리나 트리엔(Santolina triene), 베타-미르센(β-myrcene), 4-테르피네올(4-Terpineol), 캄펜(Camphene), 알파-코파엔(α-Copaene), 비사이클로제르마크렌(Bicyclogermacrene), 베타-튜존(β-thujone), 2,6,6,9-tetramethyl-Tricyclo[5.4.0.0(2,8)]undec-9-ene, 피페리톤(Piperitone), 알파-테르피넨(α-Terpinene), 1(S)-6,6-dimethyl-2-methylene-Bicyclo[3.1.1.] heptane, 베타-큐버빈(β-Cubebene), 4-methylene-1-methyl-2-(2-methyl-1-propen-1-yl)-1-vinyl-Cycloheptane, 델타-카디넨(δ-Cadinene), 3,7-dimethyl-,(Z)-1,3,6-Octatriene, 유게놀(Eugenol), 알파-세드롤(α-Cedrol), 불가론 B(Vulgarone B), 1-보르닐 아세테이트(1-Bornyl acetate), 보르네올 L(borneol L), 1-펠란드렌(1-Phellandrene), 1,2,3,4,4a,5,6,8a-octahydro-7-methyl-4-methylene-1-(1-methylethyl)-(1 alpha,4a alpha,8a alpha)-Naphthalene, 알파-테르피놀렌(α-terpinolene), 시스-베타-테르피네올(cis-β-Terpineol), 1,3-bis(1,1-dimethylethyl)-Benzene, 아주놀(Azunol), 및 아르테미시아 트리엔(Artemesia triene)을 포함하는 개똥쑥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화장료 조성물.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지방세포 분화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화장료 조성물.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0.05 ~ 5 ㎍/mL의 농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화장료 조성물.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은 수증기 증류 방법에 의해 개똥쑥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10010A 2016-08-29 2016-08-29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101737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010A KR101737276B1 (ko) 2016-08-29 2016-08-29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및 항비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010A KR101737276B1 (ko) 2016-08-29 2016-08-29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및 항비만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533A Division KR20160004701A (ko) 2014-07-04 2014-07-04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항산화 및 항비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027A true KR20160106027A (ko) 2016-09-09
KR101737276B1 KR101737276B1 (ko) 2017-05-18

Family

ID=56939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010A KR101737276B1 (ko) 2016-08-29 2016-08-29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및 항비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2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806A (ko) * 2018-01-17 2019-07-25 (주)바이오제닉스 고압 수증기를 이용한 천연 개똥쑥 에센셜오일의 효율적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중 캡슐의 제조방법
WO2020122397A1 (ko) * 2018-12-13 2020-06-18 박서영 약효성분이 우수한 개똥쑥 추출방법과 개똥쑥 추출물을 이용한 맛과 약효를 극대화한 건강보조식품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317A (ko) 2017-12-26 2019-07-04 (주)유셀 특정 성분의 방출 제어와 팽윤 및 수축 특성을 함께 갖는 드라이겔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214B1 (ko) 2013-07-23 2013-11-22 주식회사 더마랩 연꽃, 쌀, 개똥쑥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214B1 (ko) 2013-07-23 2013-11-22 주식회사 더마랩 연꽃, 쌀, 개똥쑥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806A (ko) * 2018-01-17 2019-07-25 (주)바이오제닉스 고압 수증기를 이용한 천연 개똥쑥 에센셜오일의 효율적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중 캡슐의 제조방법
WO2020122397A1 (ko) * 2018-12-13 2020-06-18 박서영 약효성분이 우수한 개똥쑥 추출방법과 개똥쑥 추출물을 이용한 맛과 약효를 극대화한 건강보조식품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7276B1 (ko) 201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258B1 (ko) 개망초꽃으로부터 추출된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1550578B1 (ko) 산국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004701A (ko)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항산화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101737276B1 (ko) 개똥쑥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101885000B1 (ko) 지칭개꽃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2127570B1 (ko) 계요등 꽃 앱솔루트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상처 치료용 조성물
KR101785495B1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비만 관련 질환 또는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04652A (ko) 딱지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용 조성물
KR101685773B1 (ko) 산국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비만 조성물
KR101188581B1 (ko) 향부자 메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패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7522372A (ja) キレノール又はシーゲスベッキアハーブ抽出物を含む筋機能改善用又は運動実行能力増強用組成物
JP2014159408A (ja) 過活動膀胱の予防又は改善剤
JP6063543B2 (ja) 過活動膀胱の予防又は改善剤
KR102016210B1 (ko) 산국 에센셜 오일 또는 1-아이오도헥사데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KR101465972B1 (ko) 캐모마일 감압 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2118929B1 (ko) 왕초피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436213B1 (ko) 긴잎모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29522B1 (ko) 골담초 꽃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JP2021075568A (ja) Tie2活性化用組成物
KR101869351B1 (ko) 까마귀쪽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이용한 진통용 조성물
JP5897354B2 (ja) 過活動膀胱の予防又は改善剤
KR102109274B1 (ko) 바랭이 꽃 앱솔루트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상처 치료용 조성물
JP7436975B2 (ja) 精油組成物
KR102435803B1 (ko) 돌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개선용 조성물
KR102255000B1 (ko) 박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