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5549A -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5549A
KR20160105549A KR1020150020010A KR20150020010A KR20160105549A KR 20160105549 A KR20160105549 A KR 20160105549A KR 1020150020010 A KR1020150020010 A KR 1020150020010A KR 20150020010 A KR20150020010 A KR 20150020010A KR 20160105549 A KR20160105549 A KR 20160105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tem
fluid
inlet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수
Original Assignee
동주에이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주에이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주에이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0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5549A/ko
Priority to PCT/KR2016/001328 priority patent/WO2016129903A1/ko
Publication of KR20160105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5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5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4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cylind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는, 제1입구를 통해 들어온 유체가 출구로 흐르는 통로 및 제2입구를 통해 들어온 유체가 출구로 흐르는 통로를 제공하는 밸브 바디; 밸브 바디에 삽입되어 회전 각도에 따라 밸브 바디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스템(stem); 및 스템에 부착되어 제1입구와 제2입구 사이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밸브 장치 {Valve device}
본 발명은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밸브 장치는 액체, 분말, 가스 등의 유체가 흐르는 유체의 이동 통로 등에 위치하고 관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 또는 유통시키기 위하여 관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유체의 이동 통로에 위치하는 밸브 장치는 내부의 작동원(예를 들어, 관을 밀폐 또는 유통시키는 것을 구현하는 나이프, 디스크 또는 볼 등이 내장되는 형태)에 따라, 게이트 밸브, 버터 플라이 밸브, 볼 밸브, 디스크 밸브 등으로 나눠질 수 있다.
여기서, 버터 플라이 밸브나 볼 밸브 등은 회전을 통해서 유체의 이동 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밸브의 회전각에 따라 흐르는 유체의 유량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밸브의 회전이 정밀하게 제어됨으로써, 유체의 흐름이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개의 입구를 통해 유체가 밸브 장치로 유입될 경우, 하나의 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의 흐름이 다른 하나의 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로 밸브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유량은 목표 유량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밸브의 회전각과 실제로 밸브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유량의 관계가 예상되는 관계와 달라지므로, 유체의 흐름이 정밀하게 조절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밸브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는, 제1입구를 통해 들어온 유체가 출구로 흐르는 통로 및 제2입구를 통해 들어온 유체가 출구로 흐르는 통로를 제공하는 밸브 바디; 밸브 바디에 삽입되어 회전 각도에 따라 밸브 바디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스템(stem); 및 스템에 부착되어 제1입구와 제2입구 사이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입구를 통해 유체가 들어오는 방향과 상기 제2입구를 통해 유체가 들어오는 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이고, 상기 출구로 유체가 흐르는 방향은 상기 제1입구를 통해 유체가 들어오는 방향 및 상기 제2입구를 통해 유체가 들어오는 방향과 수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템은, 상기 스템의 일단에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반원통 또는 반구 형태의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벽에 의해 형성된 상기 스템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벽의 반원통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격벽은 상기 외벽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외벽과 함께 원통을 이루는 반원통 영역(122)의 중심까지 이어진 평면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벽의 반원통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격벽은 상기 외벽과 함께 원통을 이루는 반원통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외벽을 향하여 이어지고 상기 외벽과 분리된 평면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격벽의 길이는 원통 반지름의 0.3이상 1.5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의 두께는 유체의 출구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는, 제1입구를 통해 들어온 유체가 출구로 흐르는 통로 및 제2입구를 통해 들어온 유체가 출구로 흐르는 통로를 제공하는 밸브 바디; 밸브 바디에 삽입되어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밸브 바디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스템(stem); 및 스템에 삽입되어 제1입구와 제2입구 사이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템은 상기 스템의 일단에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벽에 의해 형성된 상기 스템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격벽(septum); 및 상기 격벽에 형성된 체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외벽과 상기 격벽은 상기 체결구를 통해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템은 상기 스템의 일단에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외벽; 및 상기 외벽에 형성된 홈(groove);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벽에 의해 형성된 상기 스템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격벽(septum)을 포함하고, 상기 외벽과 상기 격벽은 상기 홈을 통해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템과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템은 상기 스템의 일단에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벽에 의해 형성된 상기 스템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구멍이 뚫린 격벽(septum)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격벽에 뚫린 구멍을 통해 박힐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격벽의 일단은 상기 외벽에 고정되고, 상기 격벽의 타단은 상기 외벽을 기준으로 유동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는, 복수개의 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들간에 서로 미치는 영향이 줄어들어, 유체의 흐름이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는, 정밀하게 유량을 제어하면서 많은 유량의 유체를 흐르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템에서 밸브 바디에 삽입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제어부가 포함되지 않은 밸브 장치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스템 및 도 1에 도시된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에서 조립이 가능한 스템 및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스템 및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스템 및 제어부를 예시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밸브 장치(100)는 밸브 바디(110), 스템(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바디(110)는, 제1입구(1)를 통해 들어온 유체가 출구(3)로 흐르는 통로 및 제2입구(2)를 통해 들어온 유체가 출구(3)로 흐르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입구(1)를 통해 유체가 들어오는 방향과 제2입구(2)를 통해 유체가 들어오는 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출구(3)로 유체가 흐르는 방향은 제1입구(1)를 통해 유체가 들어오는 방향 및 제2입구(2)를 통해 유체가 들어오는 방향과 수직일 수 있다.
여기서, 제1입구(1)를 통해 들어온 유체는 스템(120) 및 제어부(130)를 경유하여 출구(3)로 흐를 수 있다. 여기서, 제2입구(2)를 통해 들어온 유체는 스템(120) 및 제어부(130)를 경유하여 출구(3)로 흐를 수 있다. 즉, 유체의 유입방향에 관계없이, 밸브 바디(110)를 통해 들어오는 유체는 스템(120) 및 제어부(130)를 경유하여 출구(3)로 흐를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입구를 통해 각각 들어오는 유체의 흐름은 스템(120)의 회전에 따라 일괄적으로 조절될 수 있고, 제어부(130)에 의해 일괄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한편, 밸브 바디(110)의 입구는 2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입구(1)와 제2입구(2)를 연결하는 선 및 출구(3)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2개의 입구가 밸브 바디(110)에 추가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3개가 설치되어 각각의 입구를 통해 들어오는 유체는 독립적으로 흐를 수 있다.
스템(120)은, 밸브 바디(110)에 삽입되어 회전 각도에 따라 밸브 바디(110)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템(120)의 회전각이 도 1에 도시된 스템(120)의 회전각과 동일한 경우, 제1입구(1)를 통해 들어오는 유체 및 제2입구(2)를 통해 들어오는 유체는 모두 출구(3)로 흐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템(120)이 상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한 경우, 제1입구(1)를 통해 들어오는 유체는 출구(3)로 흐를 수 있고, 제2입구(2)를 통해 들어오는 유체는 차단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스템(120)에 부착되어 제1입구(1)와 제2입구(2) 사이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30)는 제1입구(1)에서 제2입구(2) 사이의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격벽(septum)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제어부(130)가 밸브 장치(100)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제1입구(1)를 통해 들어오는 유체는 제2입구(2)를 통해 들어오는 유체에 힘을 가하여 흐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가 밸브 장치(100)에 포함됨으로써, 상기 제어부(130)는 제1입구(1)를 통해 들어오는 유체의 힘을 제2입구(2)를 통해 들어오는 유체 대신에 받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130)는 제2입구(2)를 통해 들어오는 유체의 힘을 제1입구(1)를 통해 들어오는 유체 대신에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입구(1)를 통해 들어오는 유체의 흐름 및 제2입구(2)를 통해 들어오는 유체의 흐름에서 왜곡이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템(120)의 회전각에 따른 유체의 흐름의 제어는 더욱 정밀해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템(120)은 막대 형태일 수 있다. 스템(120)의 길이 방향이 원통 좌표계의 z방향이라고 가정할 경우, 상기 스템(120)은 phi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템(120)의 일단은 원통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템(120)의 일단의 일부는 개방 구조일 수 있다. 개방된 공간을 통해 유체가 흐를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템에서 밸브 바디에 삽입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는 스템에서 밸브 바디에 삽입된 부분의 가로단면(transverse section)을 나타내고, (b)는 스템에서 밸브 바디에 삽입된 부분의 조감도를 나타내고, (c)는 (a)에서 c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고, (d)는 (a)에서 d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스템(120)은 상기 스템(120)의 일단에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반원통 형태의 외벽(1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벽(121)과 함께 원통을 이루는 반원통 영역(122)이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x축 또는 y축에 위치한 입구를 통해 들어오는 유체는 외벽(121)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입구를 통해 들어오는 유체는 스템에서 밸브 바디에 삽입된 부분의 내부를 경유하여 z축의 반대 방향에 위치한 출구로 흐를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외벽(121)에 의해 형성된 스템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도 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도4는 제어부가 포함되지 않은 밸브 장치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체의 흐름이 다수의 화살표들로 표시된다. 여기서, 왼쪽 입구를 통해 흐르는 유체는 오른쪽 입구를 통해 흐르는 유체에 의해 흐름이 막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왼쪽 입구를 통해 흐르는 유체는 상대적으로 좁은 통로를 통해 아래의 출구로 흐르고, 오른쪽 입구를 통해 흐르는 유체는 상대적으로 넓은 통로를 통해 아래의 출구로 흐를 수 있다.
밸브 장치에 제어부가 포함됨으로써, 전술한 현상들의 발생이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들간에 서로 미치는 영향이 줄어들어, 유체의 흐름이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스템 및 도 1에 도시된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a)는 스템에서 밸브 바디에 삽입된 부분의 가로단면(transverse section)을 나타내고, (b)는 스템에서 밸브 바디에 삽입된 부분의 조감도를 나타내고, (c)는 (a)에서 x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고, (d)는 (a)에서 y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외벽(121)의 중심으로부터 외벽(121)과 함께 원통을 이루는 반원통 영역(122)의 중심까지 이어진 평면 형태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30)의 두께는 유체의 출구 방향의 반대 방향(z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30)의 z방향의 모서리와 스템(120)이 접하는 부분은 둥근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입구를 통해 들어온 유체는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으며, 유체의 흐름이 원활해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외벽(121)과 함께 원통을 이루는 반원통 영역(122)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외벽(121)을 향하여 이어지고 상기 외벽과 분리된 평면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30)의 면의 넓이는 도 5에 도시된 제어부의 면의 넓이의 0.15배이상 0.75배이하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30)는 복수의 입구를 통해 각각 들어온 유체를 완전히 격리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30)는 유체의 흐름에 의한 힘을 받음으로써 유체의 흐름의 왜곡을 줄이면서 유체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이 많고 제2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이 적을 경우, 제1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는 제2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거의 제한하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출구로 흐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밸브 장치(100)는 정밀하게 유량을 제어하면서 많은 유량의 유체를 흐르게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의 제어부(130)과 유사한 크기인 제어부(130)의 두께는 유체의 출구 방향의 반대 방향(z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30)의 z방향의 모서리와 스템(120)이 접하는 부분은 둥근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입구를 통해 들어온 유체는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으며, 유체의 흐름이 더욱 원활해질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에서 조립이 가능한 스템 및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a)는 스템을 나타내고, (b)는 제어부를 나타내고, (c)는 핀을 나타낸다.
도 10, 도 12 및 도 14를 참조하면, (a)는 스템에서 밸브 바디에 삽입된 부분의 가로단면(transverse section)을 나타내고, (b)는 스템에서 밸브 바디에 삽입된 부분의 조감도를 나타내고, (c)는 (a)에서 x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고, (d)는 (a)에서 y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는 체결구(126)를 포함함으로써, 스템(120)과 제어부(130)가 서로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z방향을 기준으로 윗 부분이 넓은 평면 형태일 수 있고, x방향으로 볼 경우 ‘ㅜ’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30)는 스템(120)의 밑 부분에서부터 삽입되어, 체결구(126) 및 볼트(127)을 통해 조립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는 홈(groove)(128)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x방향으로 볼 경우 일자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30)는 스템(120)의 밑 부분에서부터 홈(128)에 끼워지도록 삽입됨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는 핀(129)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x방향으로 볼 경우 일자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30)는 스템(120)의 밑 부분에서부터 삽입되어, 핀(129)을 매개체로 하여 조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30)의 일단은 외벽(121)에 고정되고, 상기 제어부(130)의 타단은 상기 외벽을 기준으로 유동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30)는 복수의 입구를 통해 각각 들어온 유체의 흐름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입구를 통해 들어온 유체의 유량이 제2입구를 통해 들어온 유체의 유량보다 적을 경우, 상기 제어부(130)의 타단은 제1입구를 향하여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입구를 통해 들어온 유체는 원활하게 출구로 흐를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30)의 타단이 상기 외벽을 기준으로 유동적인 경우, 밸브 장치(100)는 정밀하게 유량을 제어하면서 많은 유량의 유체를 흐르게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스템 및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스템(220)의 일단은 구 형태일 수 있다. 즉, 스템의 일단은 도 2와 같이 원통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조립과 유사하게 구 형태의 스템은 격벽과 조립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스템 및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a)는 스템에서 밸브 바디에 삽입된 부분의 가로단면(transverse section)을 나타내고, (b)는 스템에서 밸브 바디에 삽입된 부분의 조감도를 나타내고, (c)는 (a)에서 x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고, (d)는 (a)에서 y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다.
여기서, 스템(220)은 스템(220)의 일단에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반구 형태의 외벽(2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0)은 외벽(221)에 의해 형성된 스템(22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a)는 스템에서 밸브 바디에 삽입된 부분의 가로단면(transverse section)을 나타내고, (b)는 스템에서 밸브 바디에 삽입된 부분의 조감도를 나타내고, (c)는 (a)에서 x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고, (d)는 (a)에서 y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다.
여기서, 제어부(230)는 외벽(221)과 함께 원통을 이루는 반구 영역(222)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외벽(221)을 향하여 이어지고 상기 외벽(221)과 분리된 평면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30)의 면의 넓이는 도 16에 도시된 제어부의 면의 넓이의 0.15배이상 0.75배이하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 제1입구 2: 제2입구
3: 출구 100: 밸브 장치
110: 밸브 바디 120: 스템
121: 외벽 122: 반원통 영역
126: 체결구 127: 볼트
128: 홈 129: 핀
130: 제어부

Claims (15)

  1. 제1입구(1)를 통해 들어온 유체가 출구(3)로 흐르는 통로 및 제2입구(2)를 통해 들어온 유체가 출구(3)로 흐르는 통로를 제공하는 밸브 바디(110);
    상기 밸브 바디에 삽입되어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밸브 바디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스템(stem)(120); 및
    상기 스템에 부착되어 상기 제1입구와 상기 제2입구 사이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130); 를 포함하는 밸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구를 통해 유체가 들어오는 방향과 상기 제2입구를 통해 유체가 들어오는 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이고,
    상기 출구로 유체가 흐르는 방향은 상기 제1입구를 통해 유체가 들어오는 방향 및 상기 제2입구를 통해 유체가 들어오는 방향과 수직인 밸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상기 스템의 일단에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반원통 형태의 외벽(121)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벽에 의해 형성된 상기 스템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격벽(septum)을 포함하는 밸브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상기 스템의 일단에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반구 형태의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벽에 의해 형성된 상기 스템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격벽(septum)을 포함하는 밸브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의 반원통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격벽은 상기 외벽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외벽과 함께 원통을 이루는 반원통 영역(122)의 중심까지 이어진 평면 형태인 밸브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두께는 출구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밸브 장치.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의 반원통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격벽은 상기 외벽과 함께 원통을 이루는 반원통 영역(122)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외벽을 향하여 이어지고 상기 외벽과 분리된 평면 형태인 밸브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의 반원통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격벽의 길이는 원통 반지름의 0.3이상 1.5이하인 밸브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두께는 출구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밸브 장치.
  10. 제1입구를 통해 들어온 유체가 출구로 흐르는 통로 및 제2입구를 통해 들어온 유체가 출구로 흐르는 통로를 제공하는 밸브 바디;
    상기 밸브 바디에 삽입되어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밸브 바디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스템(stem); 및
    상기 스템에 삽입되어 상기 제1입구와 상기 제2입구 사이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밸브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상기 스템의 일단에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벽에 의해 형성된 상기 스템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격벽(septum); 및
    상기 격벽에 형성된 체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외벽과 상기 격벽은 상기 체결구를 통해 조립되는 밸브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상기 스템의 일단에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외벽; 및
    상기 외벽에 형성된 홈(groove);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벽에 의해 형성된 상기 스템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격벽(septum)을 포함하고,
    상기 외벽과 상기 격벽은 상기 홈을 통해 조립되는 밸브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과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템은 상기 스템의 일단에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벽에 의해 형성된 상기 스템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구멍이 뚫린 격벽(septum)을 포함하고,
    상기 핀은 상기 격벽에 뚫린 구멍을 통해 박히는 밸브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일단은 상기 외벽에 고정되고,
    상기 격벽의 타단은 상기 외벽을 기준으로 유동적인 밸브 장치.
  15.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의 반원통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격벽은 상기 외벽과 함께 원통을 이루는 반원통 영역(122)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외벽을 향하여 이어지고 상기 외벽과 분리된 평면 형태이고,
    상기 외벽의 반원통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격벽의 길이는 원통 반지름의 0.5이상 1.5이하이고,
    상기 격벽의 두께는 출구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밸브 장치.
KR1020150020010A 2015-02-10 2015-02-10 밸브 장치 KR2016010554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010A KR20160105549A (ko) 2015-02-10 2015-02-10 밸브 장치
PCT/KR2016/001328 WO2016129903A1 (ko) 2015-02-10 2016-02-05 밸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010A KR20160105549A (ko) 2015-02-10 2015-02-10 밸브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584A Division KR101732705B1 (ko) 2016-09-01 2016-09-01 밸브 장치
KR1020160135872A Division KR101738405B1 (ko) 2016-10-19 2016-10-19 밸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549A true KR20160105549A (ko) 2016-09-07

Family

ID=56614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010A KR20160105549A (ko) 2015-02-10 2015-02-10 밸브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105549A (ko)
WO (1) WO20161299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31450B4 (de) * 2017-12-29 2023-08-17 Lorenz Geier Rauchgerät oder Wasserpfeif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9439U (ko) * 1975-05-24 1976-11-30
JP2000018039A (ja) * 1998-06-30 2000-01-18 Denso Corp 冷却装置用のロータリ式流量制御弁
FR2790300B1 (fr) * 1999-02-26 2001-04-27 Mark Iv Systemes Moteurs Sa Ensemble a clapet et dispositif de circulation et de distribution de fluide comprenant un tel ensemble
JP2002098245A (ja) * 2000-09-21 2002-04-05 Denso Corp 流量制御弁およびそれを用いた内燃機関の冷却装置
JP4728101B2 (ja) * 2005-11-11 2011-07-20 興國機工株式会社 気液輸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29903A1 (ko)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5818B2 (ja) 弁内の流体の流れを増大させる装置
CN107218437B (zh) 具有流体通道以影响阀的流动特性的笼式装置
EP3688354B1 (en) Control valve trim assembly
US11592115B2 (en) Fluid valve
KR101732705B1 (ko) 밸브 장치
DE102012111467B4 (de) Kugelventil mit externer Dichtungsanordnung, insbesondere für den Einsatz in Kraftfahrzeugkältemittelkreisläufen
US20150233493A1 (en) Device to Reduce the Pressure of a Liquid Flow and a Regulating Valve
BR112015021581B1 (pt) Dispositivo de controle de fluxo de fluido e método para formar o mesmo
EP2565505A1 (en) Fluid control valve assembly
US10935161B2 (en) Control valve with guide vane
JP6744441B1 (ja) 偏心回転弁
KR20160105549A (ko) 밸브 장치
KR101738405B1 (ko) 밸브 장치
US9683678B2 (en) Heat exchanging valve arrangement
CN103982663A (zh) 高容量控制阀
US9371936B2 (en) Balanced globe valve assembly
EP1489342A1 (en) Three-way valve
EP2836749B1 (en) Valve
US20060037655A1 (en) Three-way valve with independent quarter-turn outlets
KR20030015169A (ko) 다방향 볼 밸브의 볼 구조 및 밸브 조립체
JP2010133275A (ja) 吸気流動制御装置および吸気モジュール
KR20240065661A (ko) 초저온 이중 밸브
CN115727147A (zh) 用于膨胀阀的膨胀阀装置
CN114576429A (zh) 用于降低阀门噪声的装置
JP2007232138A (ja) バル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