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638A - 고 에너지 점화 코일 - Google Patents

고 에너지 점화 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4638A
KR20160104638A KR1020167019161A KR20167019161A KR20160104638A KR 20160104638 A KR20160104638 A KR 20160104638A KR 1020167019161 A KR1020167019161 A KR 1020167019161A KR 20167019161 A KR20167019161 A KR 20167019161A KR 20160104638 A KR20160104638 A KR 20160104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voltage
ignition
battery
secondary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9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천 마오
시아오칭 순
위치앙 리
지에 청
Original Assignee
유나이티드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 시스템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나이티드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 시스템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유나이티드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 시스템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04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6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02P3/06Other installations having capacitive energy storage
    • F02P3/08Layout of circuits
    • F02P3/0807Closing the discharge circuit of the storage capacitor with electronic switch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02P3/02Other installations having inductive energy storage, e.g. arrangements of induction coils
    • F02P3/04Layout of circuits
    • F02P3/0407Opening or closing the primary coil circuit with electronic switch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02P3/02Other installations having inductive energy storage, e.g. arrangements of induction coils
    • F02P3/04Layout of circuits
    • F02P3/05Layout of circuits for control of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in the ignition c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02P3/06Other installations having capacitive energy storage
    • F02P3/08Layout of circuits
    • F02P3/0876Layout of circuits the storage capacitor being charged by means of an energy converter (DC-DC converter) or of an intermediate storage induc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9/00Electric spark ignition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P9/002Control of spark intensity, intensifying, lengthening, suppre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9/00Electric spark ignition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P9/002Control of spark intensity, intensifying, lengthening, suppression
    • F02P9/007Control of spark intensity, intensifying, lengthening, suppression by supplementary electrical discharge in the pre-ionised electrode interspace of the sparking plug, e.g. plasma jet ign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3/00Sparking plu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5/00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spark gaps, e.g. ignition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5/00Electric spark ignition having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P1/00 - F02P13/00 and combined with layout of ignition circuits
    • F02P15/10Electric spark ignition having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P1/00 - F02P13/00 and combined with layout of ignition circuits having continuous electric sp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일차 코일 및 이차 코일이 모두 철심을 감고, 그 삼자(三者)가 하나의 변압기를 형성하는 고 에너지 점화 코일에 관한 것이다. 일차 코일 회로 상에는 ECU의 제어를 받는 스위치가 구비된다. 점화 코일의 하나의 전극은 이차 코일의 일단에 연결되고, 점화 코일의 다른 하나의 전극은 접지된다. 온-보드 전원이 직류 승압기를 통해 일차 코일로 전기를 공급하고, 상기 직류 승압기는 온-보드 전원이 출력하는 직류 전압을 상승시켜 출력한다. 이차 코일의 다른 일단은 직류 승압기에 연결되거나 또는 역방향으로 연결된 다이오드를 통해 접지된다. 전류 유지 장치는, 이차 코일 및 점화 플러그가 직렬 연결되는 직렬 연결 지로에 병렬 연결되고, 점화 플러그가 통전된 후 점화 플러그가 통전을 지속하여 유지하도록 동작한다. 점화 코일은 점화 플러그의 통전 시간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점화 에너지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비교적 고전압으로 일차 코일을 가동시키도록 하여, 에너지 전환 효율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고 에너지 점화 코일{HIGH-ENERGY IGNITION COIL}
본 출원은 내연 기관 차량에 사용되는 점화 코일에 관한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종래의 점화 코일이 개시되어 있다. 온-보드 전원(on-board power supply)(1)은 일반적으로 정격 전압이 8 ~ 16V 사이인 저압의 직류전원으로, 일차 코일(primary coil)(21)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온-보드 전원(1) 및 일차 코일(2)은 일차 코일 회로를 구성하고, 상기 일차 코일 회로 상에는 ECU(Electronic Contol Unit; 전자 제어 유닛)의 제어를 받는 스위치(3)가 구비된다. 이차 코일(secondary coil)(22)의 일단은 접지되고, 다른 일단은 점화 플러그(4)의 하나의 전극에 연결되며, 점화 플러그(4)의 다른 하나의 전극은 접지된다. 이차 코일(22) 및 점화 플러그(4)는 이차 코일 회로를 구성한다. 일차 코일(21) 및 이차 코일(22)은 모두 철심(23)을 휘감도록 형성되어, 이들 3자(三者)가 하나의 변압기(2)를 구성한다.
도 1a에 도시된 점화 코일은 도 1b의 형식으로 변형될 수도 있으며, 이때, 이차 코일(22)의 일단은 온-보드 전원(1)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점화 플러그(4)의 하나의 전극에 연결되며, 점화 플러그(4)의 다른 하나의 전극은 접지된다. 온-보드 전원(1), 이차 코일(22) 및 점화 플러그(4)가 이차 코일 회로를 구성한다.
상기 점화 코일은 ECU의 제어를 통해 동작한다. 동작시, ECU는 스위치(3)가 닫히도록 하여, 온-보드 전원(1)이 일차 코일(21)과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일차코일을 통과하는 전류(즉, 일차 전류)는 0에서 안정 값까지 증가할 것이고, 상기 안정 값은 온-보드 전원(1)의 전압 값과 일차 코일(21)의 전기 저항값에 의해 결정된다. 일차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서, 일차 코일(21)이 생산하는 전자기 에너지는 철심(23)에 축적된다. 일차 전류가 일정 값(상기 일정 값 ≤ 안정 값)에 도달했을 때, ECU는 스위치(3)가 순간적으로 열리도록 하고, 일차 코일 회로의 전기장의 돌변이 일차 코일(21)의 자기장의 신속한 감쇄를 야기함으로써, 이차 코일(22)의 양단에서 높은 전압을 유도하게 된다. 상기 높은 전압은 점화 플러그(4)의 두 개의 전극 사이의 틈을 절연 파괴(break down)("점화 플러그(4)의 통전"라고 칭한다)시키고, 아크 방전을 생성해 점화를 일으킨다.
종래의 점화 코일은 동작시 이차 코일(22)의 양단에서 높은 전압이 유도되기 때문에 이차 코일 회로에서의 방전 에너지("점화 에너지"라고 칭한다)가 보편적으로 30 ~ 40 mJ이다. 하지만, 직분사, 원심과급 기술이 내연 기관 차량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됨에 따라서, 점화 코일의 에너지 요구량은 이미 90 mJ에 달하며, 일부 첨단 상품의 요구량은 110 mJ에 달한다. 종래의 점화 코일로는 그러한 큰 점화 에너지를 제공할 수 없다. 점화 에너지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종래의 점화 코일은 통상적으로 일차 코일의 충전 시간을 연장하고, 전자 회로 설계를 개선하며, 자기 코어 구조를 변경하는 세 가지 방면을 통해 개선을 진행하고 있다.
본 출원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는 통상적인 에너지 증가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점화 플러그의 통전 시간(즉, 점화 플러그의 두 개의 전극 사이의 틈의 절연 파괴의 지속 시간)을 직접 조절하여, 점화 코일의 점화 에너지를 증대시키는 고 에너지의 점화 코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에 따른 고 에너지 점화 코일은: 일차 코일 및 이차 코일이 모두 철심을 감아 그 삼자(三者)가 하나의 변압기를 형성하고; 일차 코일 회로 상에는 ECU의 제어를 받는 스위치가 구비되고; 점화 코일의 하나의 전극은 이차 코일의 일단에 연결되고, 점화 코일의 다른 하나의 전극은 접지되며;
온-보드 전원이 직류 승압기(booster)를 통해 일차 코일로 전기를 공급하고, 상기 직류 승압기는 온-보드 전원이 출력하는 직류 전압을 상승시켜 출력하며; 이차 코일의 다른 일단은 직류 승압기에 연결되거나 또는 역방향으로 연결된 다이오드를 통해 접지되고; 전류 유지 장치의 일단은 점화 플러그에 연결되지 않은 이차 코일의 일단에 연결되고, 전류 유지 장치의 다른 일단은 접지되어, 점화 플러그가 통전된 후 점화 플러그가 통전을 지속하여 유지하도록 동작한다.
본 출원에 따른 점화 코일은 점화 플러그의 통전 시간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점화 에너지를 400mJ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비교적 높은 전압을 이용해 일차 코일을 가동하므로, 에너지 전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점화 코일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변형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출원의 점화 코일의 네 개의 실시예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점화 코일 중 전류 유지 장치의 구조 설명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점화 코일의 점화 에너지 값은
Figure pct00001
이다. 여기서, T는 이차 코일 회로에서의 이차 코일(22)의 방전 시간이고, uISK -OUT은 점화 플러그(4)에 연결된 이차 코일(22)의 일단의 접지에 대한 전압 강하 값이며, iOUT은 이차 코일을 통과하는 전류(즉, 이차 전류) 값이다.
본 출원에 따른 고 에너지 점화 코일에서, 이차 코일 회로 상의 이차 코일(22)의 방전은 두 개의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제1 단계는 일차 코일(21)의 에너지가 이차 코일(22)에 커플링(coupling)되어 점화 플러그(4)가 통전되도록 하는 것이고, 제1 단계는 시간 0부터 시간 T1까지로, 그 기간은 T1이다. 제2 단계는 전류 유지 장치(7)가 제공하는 에너지가 점화 플러그(4)를 통전시키는 것이고, 제2 단계는 시간 T1에서 시간 T까지로, 그 기간은 T2이다. 여기서, T= T1 + T2이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른 고 에너지 점화 코일의 점화 에너지 값은
Figure pct00002
이다. 여기서, Q1은 제1 단계에서 이차 코일(22)의 방전 에너지 값을 나타내고, Q2는 제2 단계에서 이차 코일(22)의 방전 에너지 값을 나타내며, UISK는 점화 플러그(4)가 통전되었을 때 점화 플러그(4)에 연결된 이차 코일(22)의 일단의 접지에 대한 전압 강하 값이고, IISK는 점화 플러그(4)의 통전되었을 때의 이차 전류 값이다.
종래의 점화 플러그에서는, T = T1이고, T2=0이다. 여기서, 점화 에너지(Q)는 Q1, 다시 말해, 스위치(3)의 개폐 순간의 일치 전류(IP)의 크기에 의해 정해진다.
본 출원에 따른 점화 코일이 점화 에너지를 증가시키는 원리는, 시간 T1에서 시간 T 사이에 IISK가 변하지 않고 혹은 더 높게 유지되어, 점화 플러그(4)가 통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T2를 연장하는 것을 통해, Q2를 증대시킬 수 있고, 최종적으로 Q를 증대시킬 수 있다.
에너지 전환의 각도에서 보면, 점화 코일의 에너지는 주로 다음 3가지 측면에서 손실된다: 일차 코일의 전기 저항에 의한 에너지 손실, 전자기 커플링에 의한 자기 회로 손실 및 이차 코일의 전기 저항 에너지 손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점화 코일의 작동시 철심(23) 중에 축적되는 전자기 에너지는
Figure pct00003
이다. 여기서, L은 일차 코일(21)의 인덕턱스(inductiance) 값과 일차 코일 회로 상에 커플링된 이차 코일(22)의 인덕턴스 값의 두 부분이 함께 조합된 일차 코일 회로의 인덕턴스 값을 나타낸다. IP는 스위치(3)의 개폐 순간의 일차 전류 값이다.
일차 코일을 통과하는 과도 전류 값은
Figure pct00004
이다. 여기서, E는 온-보드 전원(1)의 전압 값이고, R은 이차 코일(21)의 전기 저항 값을 나타낸다.
일차 코일(21)의 전기 저항 손실 에너지 값은
Figure pct00005
이다. 여기서, K는 일차 코일(21)의 충전 시간, 즉, 과도 일차 전류(i)가 0에서 IP까지 증가하는 시간을 나타낸다.
상기 수식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위치(3)의 개폐 순간의 일차 전류(IP)가 일정하다고 할 때, 일차 코일(21)의 충전 시간(T)을 감축시킬 수 있다면, 일차 코일의 전기 저항에 의해 손실되는 에너지(전기 저항 손실 에너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온-보드 전원(1)의 전압(E)을 증가시키면, 일차 코일(21)의 충전 전압이 증가하게 되어, 일차 코일(21)의 충전 시간을 유효하게 단축시킬 수 있고, 최종적으로 일차 코일(21)의 전기 저항 손실 에너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본 출원의 점화 코일에서 에너지 전환 효율을 증가시키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온-보드 전원(1)의 전압 값에 비해 더 큰 전압을 일차 코일(21)에 연결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일차 코일(21)의 충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고, 최종적으로 일차 코일(21)의 전기 저항 손실 에너지를 낮춤으로써, 점화 코일의 에너지 저환 효율을 증가시킨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른 점화 코일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온-보드 전원(1)은 정격 전압이 8 ~ 16V 사이인 일반적인 저압의 직류전원으로, 직류 승압기(5)를 통해 일차 코일(21)에 전기를 공급한다. 직류 승압기(5)는, 온-보드 전원(1)이 출력하는 직류 전압을 상승시킨 후 다시 출력, 예를 들어, 16V 전압을 48V로 상승시킨 후 출력한다. 온-보드 전원(1), 직류 승압기(5) 및 일차 코일(2)은 일차 코일 회로를 구성하고, 상기 일차 코일 회로 상에는 ECU의 제어를 받는 스위치(3)가 더 구비된다. 이차 코일(22)의 일단은 역방향으로 연결된 다이오드(diode)(8)를 통해 접지되고, 다른 일단은 점화 플러그(4)의 하나의 전극에 연결되며, 점화 플러그(4)의 다른 하나의 전극은 접지된다. 이차 코일(22), 다이오드(8) 및 점화 플러그(4)는 이차 코일 회로를 구성한다. 전류 유지 장치(7)의 일단은 점화 플러그(4)에 연결되지 않은 이차 코일(22)의 일단에 연결되고, 전류 유지 장치(7)의 다른 일단은 접지된다. 다시 말해서, 전류 유지 장치(7)는, 이차 회로(22) 및 점화 플러그(4)가 직렬 연결된 지로(branch)와 서로 병렬 연결된다. 일차 코일(21) 및 이차 코일(22)은 모두 철심(23)을 휘감도록 형성되어, 이들 3자가 하나의 변압기(2)를 구성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른 점화 코일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실시예와 구별되는 점은 단지 다음과 같다: 먼저, 이차 코일(22)의 일단은 직류 승압기(5)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점화 플러그(4)의 하나의 전극에 연결되며, 점화 플러그(4)의 다른 하나의 전극은 접지된다. 다음으로, 다이오드(8)가 생략되어 있다. 여기서, 온-보드 전원(1), 직류 승압기(5), 이차 코일(22) 및 점화 플러그(4)가 이차 코일 회로를 구성한다.
본 출원에 따른 점화 코일의 제1, 제2 실시예의 동작 원리와 종래의 점화 코일은 다음 두 가지로 구별된다.
첫 번째로, 직류 승압기(5)로 온-보드 전원(1)의 출력 전압이 상승된 후에 일차 코일(21)을 가동하기 때문에 일차 코일(21)의 충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최종적으로 일차 코일(21)의 전기 저항 손실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어, 점화 코일의 에너지 전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두 번째로, 점화 플러그(4)가 통전될 때, ECU가 전류 유지 장치(7)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전류 유지 장치(7)의 출력 전압이 이차 전류가 변하지 않거나 더 높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차 전류가 변하지 않거나 더 높게 유지되므로, 나아가 점화 플러그(4)의 통전이 지속된다.
도 2c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점화 플러그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실시예와 구별되는 점은, 단지 직류 승압기(5)와 일차 코일(21)의 사이에 축전지(蓄電池)(6)가 추가된다는데 있다. 축전지(6)의 정격 전압은 온-보드 전원(1)의 정격 전압보다 크다. 예를 들어, 축전지(6)의 정격 전압은 48V이고, 용량은 3Ah 이상이다. 다르게는, 축전지(6)는 하나 또는 병렬 연결되는 복수의 축전기(電容)로 대체될 수 있다. 여기서, 온-보드 전원(1), 직류 승압기(5), 축전지(6) 및 일차 코일(2)이 일차 코일 회로를 구성한다.
도 2d를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른 점화 코일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3 실시예와 구별되는 점은 단지 다음과 같다: 먼저, 이차 코일(22)의 일단은 축전지(6)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점화 플러그(4)의 하나의 전극에 연결되며, 점화 플러그(4)의 다른 하나의 전극은 접지된다. 다음으로, 다이오드(8)가 생략되어 있다. 여기서, 온-보드 전원(1), 직류 승압기(5), 축전지(6), 이차 코일(22) 및 점화 플러그(4)가 이차 코일 회로를 구성한다.
본 출원에 따른 점화 코일의 제3, 제4 실시예의 동작 원리는 제1, 제2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단지, 직류 승압기(5)로 온-보드 전원(1)의 출력 전압이 상승된 후에 축전지(6)를 충전하고, 축전지(6)가 다시 일차 코일(21)을 가동한다. 직류 승압기(5)는 실시간으로 축전지(6)의 전압을 검측한다. 축전지(6)의 전압이 임의의 전압 임계 값(통상적으로 정격 전압의 0.83 배 이상으로 설정)보다 낮을 경우, 직류 승압기(5)는 온-보드 전원(1)의 출력 전압을 승압한 후 축전지(6)에 대해 충전을 진행한다. 축전지(6)의 전압이 그 정격 전압보다 같거나 큰 경우, 직류 승압기(5)는 동작을 정지한다. 예를 들어, 축전지(6)의 정격 전압은 48V이다. 축전지(6)의 전압이 44V로 떨어지면, 직류 승압기(5)가 동작하여 축전지(6)에 대해 충전을 진행한다. 축전지의 전압이 54V보다 높으면, 직류 승압기(5)는 동작을 정지한다.
종래의 점화 코일 중에서, 이차 전류는 단지 점화 플러그(4)가 통전되는 한순간에만 0이 아니게 된다. 본 출원에 따른 점화 코일에서는, 전류 유지 장치(7)를 통해 이차 전류가 0이 않도록 하는 것을 임의의 긴 시간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류 유지 장치(7)는 전류 피드백 유닛(71), 제어 유닛(71), 직류 승압 유닛(73), 스위치 유닛(74)을 포함한다:
- 전류 피드백 유닛(71)은 이차 전류 값을 수집, 바람직하게는 점화 플러그(4)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이차 코일(22)의 일단(A 지점)의 전류 값을 수집하고, 다시 수집된 이차 전류 값을 제어 유닛(72)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차 전류 값이 0이면, 그때 점화 플러그(4)는 통전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차 전류 값이 0이 아니면, 그때 점화 플러그(4)는 통전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 제어 유닛(72)은 ECU의 제어를 받는다. ECU는 제어 유닛(72)에 점화 플러그(4)의 통전 시간 값을 전달한다. 일단 제어 유닛(72)이 이차 전류 값이 임계 값 보다 작은 것으로 검측하면 스위치 유닛(74)이 닫히도록 하고, ECU가 지정한 점화 플러그(4)의 통전 시간 값에 도달하면, 제어 유닛(72)은 다시 스위치 유닛(74)이 열리도록 한다.
만약 전류 유지 장치(7)가 없다면, 이러한 이차 전류 값의 변화의 규율은, 점화 플러그(4)가 통전되지 않은 경우 이차 전류 값은 0이라는 점일 것이다. 점화 플러그(4)가 통전된 후, 이차 전류 값은 최대값에서 점진적으로 0으로 감소하게 되고, 일단 이차 전류가 0으로 감소하게 되면, 이는 점화 플러그(4)가 다시 미통전 상태로 돌아갔다는 것을 말한다. 상기 임계 값은 0보다 크고 이차 전류의 최대 값보다 작거나 같도록 설정된다.
- 직류 승압 유닛(73)은 온-보드 전원(1)이 출력하는 저전압을 고전압으로 상승시킨다. 직류 승압 유닛(73)은 예를 들어 4.5V ~ 18V를 1000V로 바꾸는 직류 승압기이다.
- 스위치 유닛(74)은 제어 유닛(72)의 제어를 받는다. 스위치 유닛(74)은 예를 들어, 트라이오드(triode), MOS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칭 부재이다. 스위치 유닛(74)은 직류 승압 유닛(73)과 직렬 연결된 후, 그 직렬 연결 지로의 일단은 점화 플러그(4)와 연결되지 않은 이차 코일(22)의 일단(A 지점)에 연결되고, 직렬 연결 지로의 다른 일단은 접지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직렬 연결 지로는 이차 코일(22) 및 점화 플러그(4)의 직렬 연결 지로와 다시 병렬 연결된다. 스위치 유닛(74)이 닫히면, 직류 승압 유닛(73)이 출력하는 전압이 이차 코일(22) 및 점화 플러그(4)의 직렬 연결 지로의 양단에 제공되어 이차 전류가 변하지 않거나 더 높아지게 유지된다. 스위치 유닛(74)이 열리면, 직류 승압 유닛(73)이 출력하는 전압은 외부로 전달되지 않는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종래의 점화 코일과 비교할 때, 본 출원에 따른 점화 코일은 임의로 점화 플러그(4)의 통전 시간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점화 에너지를 상승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점화 에너지는 400mJ 이상으로 상승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출원에 따른 점화 코일은 온-보드 전원(1)의 전압 값보다 더 큰 전류 승압기(5) 또는 축전지(6)의 전압을 통해 일차 코일(21)이 가동되기 때문에, 일차 코일(21)의 전기 저항에 의한 손실 에너지를 감소시키고, 나아가 에너지 전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은 단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한 것이고, 본 출원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영역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을 개선하거나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의 사상 및 원리 내에서라면, 행해지는 임의의 수정, 균등 치환, 개선 사항 등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될 것이다.
1: 온-보드 전원; 2: 변압기; 21: 일차 코일; 22: 이차 코일; 23: 철심; 3: 스위치; 4: 점화 플러그; 5: 직류 승압기; 6: 축전지; 7: 전류 유지 장치; 71: 전류 피드백 유닛; 72: 제어 유닛; 73: 직류 승압 유닛; 74: 스위치 유닛; 8: 다이오드

Claims (8)

  1. 일차 코일 및 이차 코일이 모두 철심을 감아 하나의 변압기를 형성하고, 일차 코일 회로 상에는 ECU의 제어를 받는 스위치가 구비되고, 점화 코일의 하나의 전극은 이차 코일의 일단에 연결되고, 점화 코일의 다른 하나의 전극은 접지되는 고 에너지 점화 코일로서,
    온-보드 전원이 직류 승압기를 통해 일차 코일로 전기를 공급하고, 상기 직류 승압기는 온-보드 전원이 출력하는 직류 전압을 상승시켜 출력하며;
    이차 코일의 다른 일단은 직류 승압기에 연결되거나 또는 역방향으로 연결된 다이오드를 통해 접지되고;
    전류 유지 장치의 일단은 점화 플러그에 연결되지 않은 이차 코일의 일단에 연결되고, 전류 유지 장치의 다른 일단은 접지되며,
    전류 유지 장치는 점화 플러그가 통전된 후 점화 플러그가 통전을 지속하여 유지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에너지 점화 코일.
  2. 제1항에 있어서,
    전류 유지 장치는, 이차 코일 및 점화 플러그가 직렬 연결되는 직렬 연결 지로에 병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에너지 점화 코일.
  3. 제1항에 있어서,
    직류 승압기 및 일차 코일 사이에 정격 전압이 온-보드 전원의 정격 전압보다 큰 축전지가 설치되고;
    온-보드 전원은 직류 승압기를 통해 축전지를 충전하고, 축전지는 다시 일차 코일에 전기를 공급하며;
    이차 코일의 다른 일단은 접지되거나 축전지에 연결되고;
    다르게는, 축전지는 하나 또는 복수의 직렬 연결된 축전기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에너지 점화 코일.
  4. 제3항에 있어서,
    직류 승압기는 축전지의 전압이 전압 임계 값보다 낮을 때 이용되어, 온-보드 전원의 출력 전압을 승압한 후 축전지에 대해 충전을 수행하고;
    축전지의 전압이 정격 전압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직류 승압기는 동작을 멈추며;
    상기 전압 임계 값은 정격 전압의 0.83 배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점화 코일.
  5. 제3항에 있어서,
    온-보드 전원의 정격 전압은 8 ~ 16V 사이이고, 축전지의 정격 전압은 48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에너지 점화 코일.
  6. 제3항에 있어서,
    축전지의 용량은 3Ah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에너지 점화 코일.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유지 장치는,
    이차 코일의 이차 전류 값을 수집하여 제어 유닛에 전달하는 전류 피드백 유닛;
    ECU가 전달하는 점화 플러그 통전 시간 값을 접수하고, 검측된 이차 전류 값이 임계 값보다 작은 것으로 검측되면, ECU가 지정한 점화 플러그의 통전 시간 값에 도달할 때까지 스위치 유닛이 닫히도록 한 뒤 스위치 유닛이 열리도록 하는 제어 유닛;
    온-보드 전원이 출력하는 직류 전압을 상승시켜 출력하는 직류 승압 유닛;
    제어 유닛의 제어를 받는 스위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유닛은 직류 승압 유닛과 직렬 연결된 후, 그 직렬 연결 지로는 이차 코일 및 점화 플러그의 직렬 연결 지로와 다시 병렬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 유닛이 닫히면, 직류 승압 유닛이 출력하는 전압이 이차 코일 및 점화 플러그의 직렬 연결 지로의 양단에 전달되며,
    상기 임계 값은 0 보다 크고 이차 전류 최대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에너지 점화 코일.
  8. 제7항에 있어서,
    전류 피드백 유닛은 점화 플러그와 연결되지 않은 이차 코일의 일단의 이차 전류 값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에너지 점화 코일.
KR1020167019161A 2013-12-31 2014-03-27 고 에너지 점화 코일 KR201601046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752870.X 2013-12-31
CN201310752870.XA CN103745816B (zh) 2013-12-31 2013-12-31 一种大能量点火线圈
PCT/CN2014/074208 WO2015100863A1 (zh) 2013-12-31 2014-03-27 一种大能量点火线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638A true KR20160104638A (ko) 2016-09-05

Family

ID=50502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9161A KR20160104638A (ko) 2013-12-31 2014-03-27 고 에너지 점화 코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327008A1 (ko)
EP (1) EP3091544A4 (ko)
JP (1) JP2017503110A (ko)
KR (1) KR20160104638A (ko)
CN (1) CN103745816B (ko)
BR (1) BR112016015374A2 (ko)
WO (1) WO20151008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61276B (zh) * 2014-06-16 2017-03-22 联合汽车电子有限公司 点火线圈系统
CN105790585A (zh) * 2014-12-24 2016-07-20 厦门兰智科技有限公司 一种热电直流稳压器
CN104698031B (zh) * 2015-03-24 2018-03-27 江苏华爵检测技术股份有限公司 用于锥形量热仪的点火装置
KR101725156B1 (ko) * 2015-11-03 2017-04-11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점화코일 공급전압 승압장치
CN106704076A (zh) * 2015-11-18 2017-05-24 联合汽车电子有限公司 带高压稳压蓄能装置的点火系统
CN106286071B (zh) * 2016-10-10 2019-04-02 联合汽车电子有限公司 点火系统及其应用方法
JP6373932B2 (ja) * 2016-11-02 2018-08-15 三菱電機株式会社 放電停止装置
CN110259619A (zh) * 2019-06-03 2019-09-20 昆山凯迪汽车电器有限公司 点火驱动模块、点火驱动电路以及点火控制系统
CN114810455A (zh) * 2022-03-30 2022-07-29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一种点火装置以及汽车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39360C3 (de) * 1971-08-06 1982-02-11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Zündanlage für Brennkraftmaschinen mit kapazitivem und induktivem Energiespeicher
DE2742641A1 (de) * 1977-09-22 1979-04-05 Bosch Gmbh Robert Zuendanlage fuer brennkraftmaschinen
JPS5756668A (en) * 1980-09-18 1982-04-05 Nissan Motor Co Ltd Plasma igniter
JPS61164072A (ja) * 1985-01-11 1986-07-24 Hitachi Ltd 重ね放電形点火装置
CN1053282A (zh) * 1990-01-13 1991-07-24 申富德 汽油发动机高能全范围点火提前量自动调整馈能装置
EP0557395B1 (en) * 1990-11-15 1999-02-03 Orbital Engine Company (Australia) Pty. Ltd. Capacitative discharge igni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N2101771U (zh) * 1991-08-17 1992-04-15 陈家瑜 汽车点火线圈供电的改进装置
US5197448A (en) * 1991-08-23 1993-03-3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Dual energy ignition system
CN2222249Y (zh) * 1994-12-31 1996-03-13 刘以帆 汽车节油降污增力器
JPH0953555A (ja) * 1995-08-09 1997-02-25 Denso Corp 内燃機関の失火検出方法
DE19605803A1 (de) * 1996-02-16 1997-08-21 Daug Deutsche Automobilgesells Schaltungsanordnung zur Ionenstrommessung
JPH09317618A (ja) * 1996-05-28 1997-12-09 Ngk Spark Plug Co Ltd 内燃機関の運転状態検出装置
GB9712110D0 (en) * 1997-06-12 1997-08-13 Smiths Industries Plc Ignition systems and methods
JP2002106450A (ja) * 2000-09-29 2002-04-10 Diamond Electric Mfg Co Ltd 内燃機関用点火装置
FR2822584B1 (fr) * 2001-03-21 2003-06-20 Sagem Bobine d'allumage a rayonnement electromagnetique reduit
CN2639550Y (zh) * 2003-03-20 2004-09-08 孙烨 内燃机点火装置
US7156075B2 (en) * 2004-08-20 2007-01-02 Prufrex-Elektro-Apparatebau, Inh. Helga Muller Geb Dutschke Ignition method with stop switch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CN2813910Y (zh) * 2005-03-23 2006-09-06 庄景阳 改进式摩托车直流点火器
US7768767B2 (en) * 2006-05-05 2010-08-03 Pratt & Whitney Canada Corp. Triggered pulsed ignition system and method
JP4187013B2 (ja) * 2006-06-06 2008-11-26 国産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4807379B2 (ja) * 2008-05-30 2011-11-02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点火制御装置及び点火制御システム
JP5158055B2 (ja) * 2009-02-19 2013-03-06 株式会社デンソー プラズマ式点火装置
DE102010061799B4 (de) * 2010-11-23 2014-11-2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Zündvorrichtung für eine Verbrennungskraftmaschine und Zündvorrichtung für eine Verbrennungskraftmaschin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5255682B2 (ja) * 2011-10-17 2013-08-07 三菱電機株式会社 点火装置
JP6041085B2 (ja) * 2012-01-24 2016-12-0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阪神株式会社 重ね放電型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2013160216A (ja) * 2012-02-09 2013-08-19 Mitsubishi Electric Corp 点火装置
CN203760301U (zh) * 2013-12-31 2014-08-06 联合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大能量点火线圈
JP6273988B2 (ja) * 2014-04-10 2018-02-07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用点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91544A4 (en) 2018-03-07
BR112016015374A2 (pt) 2017-08-08
US20160327008A1 (en) 2016-11-10
WO2015100863A1 (zh) 2015-07-09
CN103745816B (zh) 2018-01-12
CN103745816A (zh) 2014-04-23
JP2017503110A (ja) 2017-01-26
EP3091544A1 (en)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4638A (ko) 고 에너지 점화 코일
US9765751B2 (en) Ignition apparatus
US10844825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an ignition system
EP3374626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an ignition system
CN208638253U (zh) 系统
CN108350851B (zh) 用于控制点火系统的方法和装置
JP5915564B2 (ja) 点火装置及び点火プラグ
JP2010522839A (ja) 圧電素子の駆動制御回路および駆動制御方法
CN105191102A (zh) 开关模式驱动电路
US9429321B2 (en) Electrical circuit for ignition system for jet engine
CN102195265B (zh) 机动车辆中的用电设备的电压尖峰保护装置和方法
US7506640B2 (en) Ignition system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
CN105386880B (zh) 智能节能控制器
CN102570822B (zh) 电源装置
CN203760301U (zh) 一种大能量点火线圈
CN108678920A (zh) 点火电路及固体烧蚀脉冲式电推力器
WO2015192638A1 (zh) 点火线圈系统
GB2599420A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an ignition system
CN115765475A (zh) 反激电源电路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