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3898A -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 및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 및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3898A
KR20160103898A KR1020150068830A KR20150068830A KR20160103898A KR 20160103898 A KR20160103898 A KR 20160103898A KR 1020150068830 A KR1020150068830 A KR 1020150068830A KR 20150068830 A KR20150068830 A KR 20150068830A KR 20160103898 A KR20160103898 A KR 20160103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
layer
thin film
electrode
based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2762B1 (ko
Inventor
야스히사 오아나
히데오 호소노
요시타케 토다
토시나리 와타나베
나오미치 미야카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국립대학법인 동경공업대학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국립대학법인 동경공업대학,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103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0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 H01L29/78618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drain or the source properties, e.g. the doping structure, the composition, the sectional shape or the contact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5Plasma etching; Reactive-ion e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누설 전류 저감 및 저소비전력화를 실현하는 전극 구조를 구비한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 및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얻는다.
결정 실리콘의 밴드 갭의 3배 이상인 밴드 갭을 갖고, 전자 또는 정공의 이동에 따른 전기 전도성을 갖는 물질을,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각각과 실리콘계 박막 사이에 형성한다. 이 물질의 구체예로서 비정질 전자화물 C12A7:e-를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 및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Silicon Series Thin-film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누설 전류 저감 및 저소비전력화를 실현하는 박막 반도체 장치 및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n-ch 동작을 하는 실리콘계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소스 드레인 전극에는 이른바 n+ Si층이 사용되고 있다. n+ Si층은 실리콘(Si)에 n형 불순물인 인(P)이나 비소(As)를 다량으로 첨가하여 제작된다.
예를 들면 비정질 Si은 플라즈마 CVD 성막 공정 중에 n형 불순물을 다량으로 첨가(도핑)하여 제작한 저저항 실리콘층(n+ a-Si:H)을 가리킨다. 또한 다결정 Si은 이온 도핑 장치를 사용하여 다량의 인을 첨가하여 제작한 저저항 실리콘층(n+ poly Si)을 가리킨다.
이들 n+ Si층에서는 n-ch 동작 시의 캐리어인 전자에 대해서, 장벽은 극히 작고 양호한 오믹(ohmic) 접합 특성을 나타낸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특허 4245608 호 공보
비특허문헌 1: SID Information Display, 2014 March/April, Vol.30, No.2 pp26-29 by John Wager
그러나 종래 기술에는 이하와 같은 과제가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n+ Si층은 n-ch 동작 시의 캐리어인 전자에 대해서는 양호한 오믹 접합 특성을 나타낸다. 한편 음(-)의 게이트 바이어스 하에서 TFT의 채널층 내에 야기되는 정공에 대하여 n+ Si층은 비정질 실리콘, 미결정 실리콘 혹은 다결정 실리콘이기 때문에 정공에 대한 장벽이 낮아 '정공 전류'가 흐른다.
'정공 전류'에 기인하는 '누설 전류'는 TFT 액정 디스플레이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큰 장해가 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기술로는 정공 전류를 저감할 수 있는 수법은 없다.
도 17은 종래의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전형인 비정질 실리콘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a-Si:H TFT)의 모식적 종단면도이다. 여기서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의 비정질 Si층(n+ a-Si:H)과 a-Si:H층은 반드시 접해있어야 된다.
미결정 Si TFT에서도 채널층 Si과 n+ Si층이 접해있는 동일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다결정 Si의 전형인 저온 다결정 Si(이른바 LTPS(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TFT에서는 이온 도핑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n+ LTPS층은 채널층에 삽입되어 있지만 전자의 유입 유출에 대한 원리는 완전히 동일하다.
도 18은 각각의 반도체 TFT의 n-ch 동작 시, 음의 게이트 바이어스 하의 누설 전류(leakage current) 비교를 도시한 도면이다. 공지된 현상이지만 도 18에 도시한 것과 같이 누설 전류는 LTPS-TFT가 가장 크고, 순서대로 a-Si:H TFT, 다음으로 IGZO(In-Ga-Zn-O)-TFT이다.
IGZO로 대표되는 산화물 반도체 TFT의 특징은 이 작은 누설 전류에 있고, 샤프주식회사는 IGZO-TFT를 채용함으로써 액정 디스플레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보조 용량을 줄였다, 결과적으로 개구율이 커졌다 혹은 리프레쉬율이 늦어졌다 등의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종래 기술의 문제점은 누설 전류가 크다는 것으로, LTPS-TFT나 a-Si:H TFT의 누설 전류를 한 두 자리라도 줄이는 것은 TFT 액정 디스플레이의 성능 향상에 공헌한다.
여기서 누설 전류가 크다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의 발생 원인은 공지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비정질 실리콘 반도체 TFT로 대표되는 누설 전류는, 음의 게이트 바이어스 하에서 반도체 내 채널층에 야기되는 정공 전류에 기인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의 n+ Si층에서는 정공 전류를 완전히 차단(block)할 수 없다는 점에 의한 것이다.
정공이 발생하는 이유는 반도체 밴드 갭의 대소(大小)와 물성에 관계하고 있다. 그리고 IGZO로 대표되는 반도체는 이 갭이 약 3.3eV로 커서 정공이 야기되지 않는다.
한편 실리콘계 반도체의 a-Si:H는 갭이 1.7eV, LTPS는 갭이 약 1.1eV로, 비교적 작은 밴드 갭이다. 따라서 양, 음의 게이트 전압 하에서는 전자나 정공이 반도체막 내에 용이하게 야기되어, 정공 전류를 완전히 차단할 수 없는 현상이 된다. 도 19는 누설 전류의 2개의 발생 경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 현상 중 채널 누설 전류는 반도체 물성 자체로, 회피할 수단은 없다. 한편 절연층을 흐르는 누설 전류는 전극의 중첩 영역 최소화 기술이나 막질 개선에 의해 문제가 없는 값에 들어가고 있다.
이상을 요약하면, a-Si:H TFT와 LTPS-TFT에서는 음의 게이트 바이어스 하에서 정공이 야기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로는 정공 기인 전류, 즉 누설 전류를 n+ a-Si:H층이나 n+ LTPS층에서는 완전히 차단할 수 없다.
도 20은 다른 요인으로 정공 전류가 흘러버리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비정질 실리콘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의 모식적 종단면도이다. 도 2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적층된 금속층으로 구성되는 전극은 그 전극 재료와 제작 시에 사용하는 에칭(etching) 재료에 따라서, 예를 들면 배리어층인 Mo의 에칭 속도가 빠르면 최상부의 Al이 직접 n+ Si층에 접촉되는 일이 일어난다.
Al이 직접 n+ Si층에 접촉되면 열처리 공정을 거침으로써 Al과 Si가 반응하여 n+ Si층이 p+ Si층으로 바뀐다. 그 이유는 Si에게 있어서 Al은 억셉터 불순물이기 때문이다. 전극의 일부가 p+ Si층이 되면 음의 게이트 바이어스 하에서 발생하는 '정공 전류'가 흘러 들어서 누설 전류가 더욱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제조 시에는 전극 재료의 선택과 에칭 기술의 조합에 고도의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뤄진 것으로, 누설 전류의 저감 및 저소비전력화를 실현하는 전극 구조를 구비한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 및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는, 결정 실리콘의 밴드 갭의 3배 이상인 밴드 갭을 갖고 전자 또는 정공의 이동에 따른 전기 전도성을 갖는 물질을,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각각과 실리콘계 박막 사이에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결정 실리콘의 밴드 갭의 3배 이상인 밴드 갭을 갖고 전자 또는 정공의 이동에 따른 전기 전도성을 갖는 물질을,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각각과 실리콘계 박막 사이에 형성한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 실리콘계 박막 상에 비정질 전자화물(electride) C12A7:e-를 적층하는 공정과, 비정질 전자화물 C12A7:e- 상에 저저항 전극 배선 재료를 적층하는 한편 저저항 전극 배선 재료가 실리콘계 박막에 접하지 않도록 해서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정질 전자화물 C12A7:e-로 대표되는, 전자 전도와 작은 일함수와 큰 밴드 갭을 갖는 물질을, 실리콘계 TFT의 소스 드레인 전극의 전극 재료의 일부로서 사용함으로써 정공 기인 누설 전류를 저감하고 있다. 이러한 전극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a-Si:H TFT에서는 PE-CVD 장치를 사용한 n+ a-Si:H층의 제조 공정이 불필요해지고, 다결정 Si TFT에서는 이온 도핑 장치를 사용한 n+ Si층의 제조 공정이 불필요해진다. 더욱이 누설 전류를 감소시킴으로써 TFT-LCD에서는 개구율 향상, 다시 말하면 소비 전력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 결과, 누설 전류의 저감 및 저소비전력화를 실현하는 전극 구조를 구비한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 및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 사용되는 비정질 C12A7:e-의 밴드 구조를, 기타 재료와의 비교로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 다이오드 특성 검증을 수행했을 때의 접합 제작 방법과 전기 특성 측정 방법을 도시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 P형 실리콘의 제1 샘플 및 제2 샘플을 사용하여 측정한 전기 특성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 N형 실리콘의 제1 샘플 및 제2 샘플을 사용하여 측정한 전기 특성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제2 검증에서 사용한 SOI 사양을 정리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제2 검증을 수행했을 때의 TFT 구조와 전기 특성 측정 방법을 도시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C12A7:e-층을 갖는 제3 샘플을 사용하여 측정한 전기 특성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C12A7:e-층을 갖지 않는 제4 샘플을 사용하여 측정한 전기 특성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전형적인 a-Si:H TFT의 종단면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이른바 전달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실시예 1의 전극 구조를 갖는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모식적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실시예 2의 전극 구조를 갖는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모식적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실시예 3의 전극 구조를 갖는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모식적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제법 1에 의한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제법 2에 의한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제법 3에 의한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전형인 비정질 실리콘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a-Si:H TFT)의 모식적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각각의 반도체 TFT의 n-ch 동작 시, 음의 게이트 바이어스 하의 누설 전류 비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누설 전류의 2개의 발생 경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0은 정공 전류가 흘러버리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비정질 실리콘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의 모식적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 및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가지고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우선 본 발명의 요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동경공업대학 호소노 히데오 교수가 발명한 '전자화물(electride) C12A7:e-'(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는 화학적으로 안정(비활성)한 세라믹이다. 그리고 스퍼터 성막된 '비정질 C12A7'도 전자화물의 물성인, 전자 전도와 작은 일함수와 큰 밴드 갭을 갖는다. 따라서 이 '비정질 C12A7:e-'는 유기 EL 발광 소자(OLED)의 전자 주입층으로서 사용함으로써 구동 전압이 낮은 OLED를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신재료다.
본원 발명자들은 C12A7:e-의 물리 구조나 전기적 특성으로부터 비정질 C12A7:e-를 실리콘계(비정질 실리콘, 미결정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박막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TFT)의 소스 드레인 전극 재료의 일부로서 사용함으로써 정공 기인 누설 전류를 저감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했다.
누설 전류의 주된 기원은 상술한 것과 같이 TFT의 n-ch 동작 시의 음(-)의 게이트 바이어스 하에서 채널 내에 야기되는 정공에 의한 전류이다. 현재, 소스 드레인 전극에 사용되고 있는 n+ Si층만으로는 정공 전류를 완전히 차단(block)할 수 없다.
본원 발명자들은 문제가 되는 정공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반도체 접합 구조를 조사 검토했다. 후보인 반도체 재료의 필요 조건은, 밴드 갭이 Si에 비교하여 3배 이상이고 캐리어는 전자이며 Si와 반도체 접합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질화갈륨(GaN)의 밴드 갭은 약 3.4eV로 커서 N형 GaN을 형성할 수 있지만 Si와 반도체 접합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없다.
그리고 본원 발명자들은 비정질 C12A7:e-가 3.1eV라는 작은 일함수와 5eV를 초과하는 큰 밴드 갭을 갖는 점으로부터, 전자에 대해서는 오믹(ohmic) 특성을 갖고 정공에 대해서는 차단 효과를 갖는 것을 실험으로부터 발견했다. 더욱이 본원 발명자들은 SOI(Silicon on Insulator)를 사용한 n-ch 동작 TFT를 실제로 제작하여 비정질 C12A7:e- 재료에 의해 정공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본 발명은 이들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창출된 것이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요지에 입각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 및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정공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와이드 밴드 갭 반도체 재료는, 예를 들면 GaN 혹은 β-Ga2O3가 있다. 그러나 이들 재료는 스퍼터 성막 등의 제법으로는 반도체 특성이 손실된, 단순한 질화막이 돼버려서 산화막에 불과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 사용되는 비정질 C12A7:e-의 밴드 구조를, 기타 재료와의 비교로서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화물 C12A7:e-는 스퍼터로 성막되어도 비정질 C12A7:e-(a-C12A7:e-)는 전자를 포접한 케이지 구조를 유지하고,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은 밴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짐작된다.
구체적으로는 비정질 상태인 전자화물은 조성 12CaO·7Al2O3의 전자를 포접한 케이지 구조가 유지되고 그 결과, 전자화물로서의 물성을 갖는 전자에 의한 전기 전도 물질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비정질 C12A7:e-는 일함수(WF)로 보면 약 3.1eV로, Al과 Mo에 비해서 작다. 더욱이 반도체 물리로부터 짐작하면 비정질 C12A7:e-를 Si에 적용하면, 전자 전도를 갖는 N형 Si에 대해서는 저항(ohmic)이 될 것이다.
한편 비정질 C12A7:e-는 일함수 값이 작은 점과 5eV를 초과하는 와이드 밴드 갭 반도체인 점으로부터, 정공에 대해서는 높은 장벽(배리어)을 가져서 정공 흐름(정공 전류)을 차단할 수 있다는 점이 짐작된다.
여기서 a-C12A7:e-와 Si을 접합시키면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지가 본 발명의 포인트가 된다. 반도체 물리에 따르면 이 접합에 의해 이른바 '헤테로 접합'이 형성된다. 그리고 일함수와 밴드 갭으로부터 짐작되는 전기적 접합 특성은 전자의 이동에 대해서는 낮은 장벽, 즉 오믹 특성을 나타내고, 정공의 이동에 대해서는 높은 장벽, 즉 차단 효과를 갖는, 이른바 다이오드 특성을 나타낸다고 생각된다.
본원 발명자들은 제1 검증으로서 a-C12A7:e-와 Si을 접합한 구조가 다이오드 특성을 갖는 것을 실험으로부터 명백하게 하는 한편, 제2 검증으로서 이 특성을 전계 효과 박막 트랜지스터에 적용하여 정공 차단 효과를 갖는 것도 실험으로부터 명백히 했다.
우선 헤테로 접합을 형성할 것으로 추측되는 C12A7:e-/Si 구조를 제작하여 정공 차단 효과, 즉 '다이오드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한 제1 검증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 다이오드 특성 검증을 수행했을 때의 접합 제작 방법과 전기 특성 측정 방법을 도시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P형 실리콘 웨이퍼 혹은 N형 실리콘 웨이퍼의 이면(裏面)측은 Al-Nd을 스퍼터 성막하는 한편, 표면측은 C12A7:e-가 있는 제1 샘플과 C12A7:e-가 없는 제2 샘플을 각각 제작했다.
그리고 전압 Vd를 -5V부터 +5V까지 0.2V 단계로 변화시키고, 그 때의 전류값 Id를 측정함으로써 다이오드 특성 검증을 수행했다. 그 실험 결과가 본 발명의 원점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 P형 실리콘의 제1 샘플 및 제2 샘플을 사용하여 측정한 전기 특성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 N형 실리콘의 제1 샘플 및 제2 샘플을 사용하여 측정한 전기 특성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서 'CA 유'는 표면측에 C12A7:e-가 형성된 제1 샘플을 의미하고, 'CA 무'는 표면측에 C12A7:e-가 형성되지 않은 제2 샘플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 횡축이 -5V~0V 범위에 상당하는 좌측 반면은 표면측으로부터 이면측으로 흐르는 전류를 종축에 나타내고 있고, 횡축이 0V~+5V 범위에 상당하는 우측 반면은 이면측으로부터 표면측으로 흐르는 전류를 종축에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P형 Si의 표면측에 대해서 C12A7:e-층을 형성함으로써 양호한 다이오드 특성(정류성)이 얻어진다. 즉, 정공의 유입에 대하여 C12A7:e-는 높은 장벽, 즉 차단 효과를 갖고, 전자의 유입에 대해서는 오믹성을 갖는 것을 실증할 수 있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N형 Si의 표면측에 대해서 C12A7:e-층을 형성한 경우에는 거의 오믹 특성을 나타냈다. 또한 도 3과 비교하여 도 4에서의 전류값이 작은 이유는 C12A7:e- 자체의 저항이 Al-Nd에 비교하여 높기 때문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비정질 C12A7:e-층은 '정공'을 차단할 수 있고, 다이오드 특성을 갖는 것이 제1 검증에 의해 확인되었다. 그러면 다음으로 이 다이오드 특성을 전계 효과 박막 트랜지스터에 적용하여 정공의 차단 효과를 확인한 제2 검증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2 검증에서는 SIMOX법으로 제작된, 이른바 SOI 단결정 실리콘 박막 웨이퍼를 사용하고 Si 기판을 게이트 전극, 삽입 SiO2층을 게이트 절연층, 그리고 50nm의 SOI층을 채널에 사용한 TFT를 제작하여, TFT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평가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제2 검증에서 사용한 SOI의 사양을 정리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제2 검증을 수행했을 때의 TFT 구조와 전기 특성 측정 방법을 도시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전극 구조로서는 C12A7:e-층 상에 Al-Nd이 적층된 소스·드레인 전극을 갖는 제3 샘플과, C12A7:e-층이 없고 Al-Nd 전극만으로 형성된 소스·드레인 전극을 갖는 제4 샘플을 각각 제작했다.
그리고 전압 Vds가 1.0V, 10V인 2 패턴에 대하여, Vgs를 -10V부터 +20V까지 0.5V 단계로 변화시키고 그 때의 전류값 Ids를 측정함으로써 정공 전류의 차단 효과 검증을 수행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C12A7:e-층을 갖는 제3 샘플을 사용하여 측정한 전기 특성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C12A7:e-층을 갖지 않는 제4 샘플을 사용하여 측정한 전기 특성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의 결과를 비교하면, C12A7:e-의 유무에 따른 전극 구조의 차이에 의해 음의 게이트 바이어스 하의 드레인 전류에 큰 차이가 인정되었다. 즉, 도 7 및 도 8의 Vgs가 약 5V 이하인 특성 결과를 비교하면, C12A7:e-층을 형성함으로써 드레인 전류(=누설 전류)를 극적으로 줄일 수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즉, C12A7:e-가 없는 Al-Nd 전극의 TFT에서는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Vgs가 약 5V 이하가 되면 정공 전류가 흐른다. 한편 C12A7:e-가 있는 전극 구조의 TFT에서는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불과 20nm 정도의 CA층을 끼우는 것만으로 정공 전류를 차단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C12A7:e-층을 갖는 제3 샘플에서의 측정 결과인 도 7의 점선 원으로 도시한 부분에서는 전극 면적이 1mm×3mm로 크기 때문에 전류의 대부분은 드레인 전극(40)으로부터 게이트 전극으로의 D→G 누설 전류이다. 한편 C12A7:e-층을 갖지 않는 제4 샘플에서의 측정 결과인 도 8의 점선 원으로 도시한 부분에서는 전극 면적이 1mm×3mm로 크기 때문에 전류의 대부분은 게이트 전극으로부터 드레인 전극(40)으로의 G→D 누설 전류이다.
이상과 같은 제1 검증, 제2 검증의 결과에 입각하여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로의 적용을 예로, 본 실시형태 1에 따른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전형적인 a-Si:H·TFT의 종단면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 1의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는 소스 전극(30) 및 드레인 전극(40)인 Al 혹은 Cu 하측에 C12A7:e-층(2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실리콘계 박막(10)과 소스 전극(30) 및 드레인 전극(40) 각각의 사이에 C12A7:e-층(2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C12A7:e-층(20)은 두께가 10~30nm로 얇고 비교적 저항이 높기 때문에 전면(全面)에 C12A7:e-층(20)을 남겨도 TFT의 전기적 특성에 어떤 영향도 끼치지 않는다. 그리고 C12A7:e-층(20)은 이른바 n+ a-Si:H층을 대신하는 층으로, 상술한 제1 검증, 제2 검증으로부터 명백한 것처럼 정공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이른바 전달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와 같이 비정질 전자화물 C12A7:e-층(2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음의 게이트 바이어스 하에서는 누설 전류가 1×10-12대에 도달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효과는 비정질 전자화물 C12A7:e-층(20)을 형성함으로써 누설 전류의 원인인 '정공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10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것과 같이 누설 전류를 1×10-14대에 근접할 정도까지 극적으로 줄일 수 있다.
미결정 실리콘 TFT에서도, 또한 LTPS-TFT에서도, 비정질 전자화물 C12A7:e-층(20)을 형성함으로써 동일하게 정공 기인 누설 전류를 줄일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전자화물 C12A7:e-층(20)은 화학적으로 안정한 세라믹으로, TFT 제조 공정의 소스 전극(30) 및 드레인 전극(40)의 구조로서 몇 가지 개선을 제안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실시예 1~실시예 3으로서, 구체적인 전극 구조에 대해서 도면을 가지고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C12A7:e-층을 전면에 남기는 전극 구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실시예 1의 전극 구조를 갖는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모식적 종단면도이다. 실시예 1은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C12A7:e-층(20)을 전면에 남기는 전극 구조를 갖고 있다. 즉, C12A7:e-층(20)을 에칭 제거하지 않는 전극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C12A7:e-층(20)이 플라즈마 건식 에칭(dry etching)에 대해서 에칭되기 어려운, 즉 에칭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이른바 사이드 에칭이 들어가기 어렵다. 이 성질을 이용함으로써 상부 Al 전극 재료가 직접 Si층에 접촉하지 않는 구조가 얻어진다. 또한 소스·드레인 전극 형성은 이른바 리프트 오프(lift off)여도 된다.
<실시예 2: C12A7:e-층을 전극부에만 남기는 전극 구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실시예 2의 전극 구조를 갖는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모식적 종단면도이다. 실시예 2는 도 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C12A7:e-층(20)을 전극부(30, 40)에만 남기는 전극 구조를 가지고 있고, 실리콘계 TFT 전체에 적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전극부의 비정질 전자화물 C12A7:e-층(20)의 폭(넓이)은, 비정질 전자화물 C12A7:e-층(20) 상에 적층되는 전극 배선 재료보다 커지도록 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전극 재료로서 일반적인 Al-Nd 합금을 적층한 경우에는 에칭 가공에 염소 플라즈마를 사용한 건식 에칭을 이용함으로써 도 12와 같은 전극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극 재료의 에칭 속도는, 예를 들면 에칭 가스로서 염소를 사용한 경우에는 이하와 같이 된다.
비정질 C12A7:e-: 0.1nm/초
Al-Nd: 0.54nm/초
즉, Al계 재료의 에칭 속도는 C12A7에 비교하여 5배나 빠르다. 따라서 염소 플라즈마 건식 에칭을 수행함으로써 C12A7층(20)은 사이드 에칭 홀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3: 일반적인 자기 정합(self align)형 LTPS-TFT에 적용한 전극 구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실시예 3의 전극 구조를 갖는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모식적 종단면도이다. 실시예 3은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일반적인 자기 정합형 LTPS-TFT에 C12A7:e-층(20)을 적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스·드레인 컨택 형성 공정에서, 예를 들면 종래의 배리어 메탈인 Mo를 대신하여 C12A7:e-층(20)을 성막한다. 이 구조의 특징은 이온 도핑으로 형성된 n+ LTPS층 상에 C12A7:e-층(20)을 형성함으로써 정공 유입을 저지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소스·드레인 전극 형성은 일반적인 습식 에칭(wet etching)이어도 되고 염소계 플라즈마 에칭이어도 된다. 그리고 도 13에서는 게이트 절연막과 소스 전극(30) 및 드레인 전극(40) 각각의 사이에 C12A7:e-층(20)이 형성되게 된다.
다음으로 비정질계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의 대표인 a-Si:H·TFT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의 구체적인 제조 방법에 대해서 제법 1~제법 3으로서 도면을 가지고 설명한다.
<제법 1: 일반적인 백 채널(back channel) 에칭형 a-Si:H·TFT로의 적용>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제법 1에 의한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제법 1은 이하의 3 공정으로 이뤄진다.
공정 1
게이트 전극 형성→게이트 절연막 형성→진성 비정질 실리콘층(i-a-Si:H) 형성→i-a-Si:H 아일랜드 형성의 순으로 종래 기술 공정을 실행하여 실리콘계 박막(10)을 형성한다.
공정 2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인 비정질 C12A7층(20)의 스퍼터 성막(예를 들면 두께 20nm)을 실행하고, 계속해서 전극 배선용 Al층 스퍼터 성막(예를 들면 두께 400nm)을 실행하여 전극 재료를 형성한다.
또한 C12A7:e-층(20)의 스퍼터 성막은 스퍼터 타켓으로서 결정질 C12A7:e-를 사용하고 진공 배기된 챔버 내에 순 아르곤을 유입시켜, 예를 들면 가스압을 2Pa로 유지하면서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법에 의해 성막했다.
공정 3
레지스트 도포→소스 전극(30) 및 드레인 전극(40)의 마스크 형성→Al층 및 비정질 C12A7층 에칭(예를 들면 염소 플라즈마 에칭: 선택비 Al:a-CA=5:1 채용)→레지스트 박리→소스 전극(30) 및 드레인 전극(40) 완성의 순으로 소스 전극(30) 및 드레인 전극(40)을 형성한다. 또한 a-C12A7:e-층(20)은 도 1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선택비 차이를 이용하여 두께를 수nm 남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염소 플라즈마 에칭에 의한 실리콘계 박막(10)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법 2: 일반적인 에칭 스토퍼(E/S)형 a-Si:H·TFT로의 적용>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제법 2에 의한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제법 2는 이하의 3 공정으로 이뤄진다.
공정 1
게이트 전극 형성→게이트 절연막 형성→진성 비정질 실리콘층(i-a-Si:H) 형성→에칭 스토퍼 절연층(SiNx) 형성→에칭 스토퍼(E/S) 형성→i-a-Si:H 아일랜드 형성의 순으로 종래 기술 공정을 실행하여 실리콘계 박막(10)을 형성한다.
공정 2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인 비정질 C12A7층(20)의 스퍼터 성막(예를 들면 두께 20nm)을 실행하고, 계속해서 전극 배선용 Cu층 스퍼터 성막(예를 들면 두께 400nm)을 실행하여 전극 재료를 형성한다.
또한 C12A7:e-층(20)의 스퍼터 성막은 스퍼터 타켓으로서 결정질 C12A7:e-를 사용하고 진공 배기된 챔버 내에 순 아르곤을 유입시켜, 예를 들면 가스압을 2Pa로 유지하면서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법에 의해 성막했다.
공정 3
레지스트 도포→소스 전극(30) 및 드레인 전극(40)의 마스크 형성→Cu층 및 비정질 C12A7층 에칭(예를 들면 과산화수소계 습식 에칭, 염소계 플라즈마 에칭을 채용)→레지스트 박리→소스 전극(30) 및 드레인 전극(40) 완성의 순으로 소스 전극(30) 및 드레인 전극(40)을 형성한다. Al층을 이용하는 경우, Al층 및 비정질 C12A7층 에칭은 인산계 약액으로 수행해도 된다.
<제법 3: 일반적인 자기 정합형 LTPS-TFT로의 적용>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제법 3에 의한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제법 3은 이하의 2 공정으로 이뤄진다.
공정 1
버퍼층 형성→진성 비정질 실리콘층(i-a-Si:H) 형성→탈수소 공정→ELA에 의한 LTPS층 형성→LTPS 아일랜드 형성→게이트 절연층 형성→게이트 전극 형성→소스·드레인 전극용 컨택홀 형성→이온 도핑법에 의한 n+ LTPS층 형성의 순으로 종래 기술 공정을 실행하여 실리콘계 박막(10)을 형성한다.
공정 2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인 비정질 C12A7층(20)의 스퍼터 성막(예를 들면 두께 20nm)을 실행하고, 계속해서 전극 배선용 Cu층 스퍼터 성막(예를 들면 두께 400nm)을 실행하여 전극 재료를 형성한다. 그 후, 또 레지스트 도포→소스 전극(30) 및 드레인 전극(40)의 마스크 형성→Cu층 및 비정질 C12A7층 에칭(예를 들면 과산화수소계 습식 에칭, 염소계 플라즈마 에칭을 채용)→레지스트 박리→소스 전극(30) 및 드레인 전극(40) 완성의 순으로 소스 전극(30) 및 드레인 전극(40)을 형성한다.
또한 C12A7:e-층(20)의 스퍼터 성막은 스퍼터 타켓으로서 결정질 C12A7:e-를 사용하고 진공 배기된 챔버 내에 순 아르곤을 유입시켜, 예를 들면 가스압을 2Pa로 유지하면서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법에 의해 성막했다.
상술한 제법 1~2는 n+ a-Si:H층을 생략한 혁신적 제법 프로세스이다. 이 프로세스가 가능해지는 이유는 C12A7:e-가 정공 차단 효과를 가지고 있는 점에 있다. C12A7:e-의 가공은 Al이나 Cu의 가공과 동일 프로세스로서 염소 플라즈마 건식 에칭으로 수행해도 된다.
상술한 제법 1~2는 n+ a-Si:H층을 생략할 수 있음으로써 n+ a-Si:H층 성막의 플라즈마 CVD 성막 공정이 불필요해지고, 고가인 플라즈마 CVD 장치가 불필요해진다. 또한 유독 가스인 포스핀(phosphine)이 불필요해져서 제독 장치도 불필요해지는 메리트가 있다.
더욱이 제법 1은 이른바 백 채널 에칭 공정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진성 비정질 실리콘층(i-a-Si:H)의 두께를 종래의 3분의 1 이하로 박층화할 수 있다. 이것은 성막 시간 저감, 즉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지는 메리트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조 라인의 생산성 향상 및 안전 관리에 대한 부담 경감을 도모할 수 있어, 생산 코스트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 1에서는 비정질 전자화물 C12A7:e-층을 소스·드레인 전극 재료의 일부에 사용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물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밴드 갭이 액정 실리콘의 3배 이상이어도 전자 전도를 갖는 물질이라면 정공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1의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는, 전자 전도를 갖고 작은 일함수와 큰 밴드 갭을 갖는 비정질 전자화물 C12A7:e-를, 실리콘계 TFT의 소스ㆍ드레인 전극의 금속 재료와 실리콘계 박막 사이에 형성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그 결과 정공 기인 누설 전류를 저감하여 개구율 향상, 소비 전력 저감을 실현할 수 있으며 TFT 액정 디스플레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제조 프로세스로서도 a-Si:H·TFT에서는 PE-CVD 장치를 사용한 n+ a-Si:H층의 제조 공정이 불필요해져서 성막 시간도 줄일 수 있다. 다결정 Si·TFT에서는 이온 도핑 장치를 사용한 n+ Si층의 제조 공정이 불필요해진다. 그 결과 제조 공정 간소화에 의해 제품 코스트 저감도 실현할 수 있다.
10: 실리콘계 박막 20: 비정질 전자화물
30: 소스 전극 40: 드레인 전극

Claims (9)

  1. 결정 실리콘의 밴드 갭의 3배 이상인 밴드 갭을 갖고, 전자 또는 정공의 이동에 따른 전기 전도성을 갖는 물질을,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각각과 실리콘계 박막 사이에 형성한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전자 이동에 따른 전기 전도를 갖는 비정질 전자화물 C12A7:e-인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전자화물 C12A7:e-는 조성 12CaO·7Al2O3의 전자를 포접한 케이지 구조가 유지되고, 전자화물로서의 물성을 갖는 전기 전도 물질인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전자화물 C12A7:e-는 5eV를 초과하는 밴드 갭을 갖는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전자화물 C12A7:e-의 일함수는 2.5eV~3.3eV이고, 알루미늄과 몰리브덴에 비교하여 작은 일함수를 갖는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전자화물 C12A7:e-는 두께가 10nm~30nm로 형성되는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박막은 비정질 실리콘, 미결정 실리콘 또는 다결정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인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
  8. 결정 실리콘의 밴드 갭의 3배 이상인 밴드 갭을 갖고, 전자 또는 정공의 이동에 따른 전기 전도성을 갖는 물질을,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각각과 실리콘계 박막 사이에 형성한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
    상기 실리콘계 박막 상에 상기 물질로서 비정질 전자화물 C12A7:e-를 적층하는 제1 공정과,
    상기 비정질 전자화물 C12A7:e- 상에 저저항 전극 배선 재료를 적층하는 한편 상기 저저항 전극 배선 재료가 상기 실리콘계 박막에 접하지 않도록 해서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제2 공정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정에서 상기 저저항 전극 배선 재료로서 Al계 재료를 사용하고, 염소 플라즈마 건식 에칭에 의해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이 형성되는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50068830A 2015-02-25 2015-05-18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 및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3827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35534A JP6517535B2 (ja) 2015-02-25 2015-02-25 シリコン系薄膜半導体装置、およびシリコン系薄膜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JP-P-2015-035534 2015-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898A true KR20160103898A (ko) 2016-09-02
KR102382762B1 KR102382762B1 (ko) 2022-04-04

Family

ID=56826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830A KR102382762B1 (ko) 2015-02-25 2015-05-18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 및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517535B2 (ko)
KR (1) KR1023827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115A (ko) * 2018-08-06 2020-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일렉트라이드 전극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1919A (ko) * 2006-11-08 2008-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계 발광소자
JP4245608B2 (ja) 2003-06-26 2009-03-25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電気伝導性12CaO・7Al2O3化合物とその製造方法
JP2011216872A (ja) * 2010-03-15 2011-10-27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
JP2013076656A (ja) * 2011-09-30 2013-04-25 Dainippon Printing Co Ltd 透明バイオセンサ
JP2015029038A (ja) * 2013-05-28 2015-02-12 旭硝子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160101904A (ko) * 2013-12-26 2016-08-26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63156B2 (ja) * 2003-10-03 2012-06-2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KR101425131B1 (ko) * 2008-01-15 2014-07-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746198B1 (ko) * 2009-09-04 2017-06-1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장치 및 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5608B2 (ja) 2003-06-26 2009-03-25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電気伝導性12CaO・7Al2O3化合物とその製造方法
KR20080041919A (ko) * 2006-11-08 2008-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계 발광소자
JP2011216872A (ja) * 2010-03-15 2011-10-27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
JP2013076656A (ja) * 2011-09-30 2013-04-25 Dainippon Printing Co Ltd 透明バイオセンサ
JP2015029038A (ja) * 2013-05-28 2015-02-12 旭硝子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160101904A (ko) * 2013-12-26 2016-08-26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SID Information Display, 2014 March/April, Vol.30, No.2 pp26-29 by John Wag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115A (ko) * 2018-08-06 2020-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일렉트라이드 전극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US11799010B2 (en) 2018-08-06 2023-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istor including electride electr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17535B2 (ja) 2019-05-22
KR102382762B1 (ko) 2022-04-04
JP2016157856A (ja) 201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1866B2 (en) Field effect transistor
US10756207B2 (en) Lateral III-nitride devices including a vertical gate module
JP4755961B2 (ja) 窒化物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2525884A (ja) エンハンスメントモードiii族-n高電子移動度トランジスタ及びディプリーションモードiii族-n高電子移動度トランジスタの両方を有する半導体構造体
WO2017123999A1 (en) Enhancement mode iii-nitride devices having an al(1-x)sixo gate insulator
US20140048850A1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device
US857495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gate-control diod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akechi et al. Dual-Gate Characteristics of Amorphous $\hbox {InGaZnO} _ {4} $ Thin-Film Transistors as Compared to Those of Hydrogenated Amorphous Silicon Thin-Film Transistors
US20150279983A1 (en) Semiconductor device
WO2017008331A1 (zh) Tft基板结构及其制作方法
JP4815020B2 (ja) 窒化物半導体装置
Lee et al. A three-mask-processed coplanar a-IGZO TFT with source and drain offsets
TW201947766A (zh) 高電子遷移率電晶體
US9252284B2 (en) Display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substrate
Zhang et al. Investigation of normally-off GaN-based p-channel and n-channel heterojunction field-effect transistors for monolithic integration
JP2011142358A (ja) 窒化物半導体装置
TW201508841A (zh) 改善金氧半導體層之導電性的方法
Lu et al. GaN power electronics
US9614095B2 (en) Semiconductor device
KR102382762B1 (ko)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 및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TWI803770B (zh) 二極體、二極體的製造方法及電氣機器
JP2018160668A (ja) 窒化物半導体装置
KR20150055475A (ko) 높은 온/오프 전류비를 가진 박막 트랜지스터
Chang et al. Fully transparent AlGaN/GaN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s fabricated with indium-tin-oxide electrodes
KR102571072B1 (ko)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