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3794A - 상황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상황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3794A
KR20160103794A KR1020150026612A KR20150026612A KR20160103794A KR 20160103794 A KR20160103794 A KR 20160103794A KR 1020150026612 A KR1020150026612 A KR 1020150026612A KR 20150026612 A KR20150026612 A KR 20150026612A KR 20160103794 A KR20160103794 A KR 20160103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phylococcus aureus
resistant staphylococcus
methicillin
beta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8184B1 (ko
Inventor
홍승복
Original Assignee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6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184B1/ko
Publication of KR20160103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 A61K31/429Thiazoles 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Compounds containing 4-thia-1-azabicyclo [3.2.0] hep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penicillins, pen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황버섯(P.bumii, Phellinus baumi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여기서, 상기 상황버섯 추출물은 베타 락탐계 항생제와 병용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상기 베타 락탐계 항생제는 페니실린, 옥사실린, 세포졸린, 세피핌, 피페라실린-타조박탐, 이미페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황버섯 추출물을 베타 락탐계 항생제와 병용하여 마련되는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을 통해 베타 락탐계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갖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항균성의 상승적 효과를 마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황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Antibacterial composition against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omprising Phellinus baumii extracts as an effe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은 사람의 피부와 코에서 발견되는 세균에 한 종류로, 이러한 황색포도상구균 중에서는 감염에 의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과거에 사용되었던 메티실린과 같은 페니실린 계열의 항생제와 같은 베타 락탐계(β-lactam)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갖춘 균종들이 있다.
이와 같은 균종을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이라하고 이러한 균에 의한 감염증은 항생물질이 거의 없기 때문에 치료하기가 힘들었다.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은 피부 균열을 통해 체내에 침입하거나 혈류를 통해 침입하여 감염증상을 나타내고, 이러한 감염 증상은 종기 및 농가진 등의 피부 감염을 비롯하여, 봉소염과 같은 피부 밑 조직에 대한 감염 또한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구자들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감염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베타 락탐계의 항생제를 대체할 만한 치료제의 개발을 위해 많은 연구를 진행하였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1871호의 "설포라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과 같은 항생제 내성 균주에 대한 치료의 목적으로 심자화과 식물에서 유래한 설포라펜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베타 락탐계 항생제를 대신하여 사용될 뿐 기존의 내성을 통해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었던 베타 락탐계 항생제의 약학적 항균성을 회복시킬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으로부터 획득 가능한 항균물질의 추출물과 베타 락탐계의 항생제를 병용하여 사용함을써, 내성을 갖춘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회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은, 상황버섯(P.bumii, Phellinus baumi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여기서, 상기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은 베타 락탐계 항생제를 더 포함하여 병용 투여되며, 이러한 상기 베타 락탐계 항생제는 페니실린(Penicillin), 옥사실린(Oxacillin), 세파촐린(Cefazolin) , 세페핌(Cefepime), 피페라실린-타조박탐(Piperacillin-tazobactam), 이미페넴(Imipenem)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상황버섯 추출물은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추출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상황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해 항균성을 갖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황버섯 추출물을 베타 락탐계 항생제와 병용하여 마련되는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을 통해 베타 락탐계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갖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항균성의 상승적 효과를 마련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약학적 조성물의 시간-균사멸 분석법(Time killing analysis)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약학적 조성물의 시간-균사멸 분석법(Time killing analysis)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상황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설명>
본 발명은 상황버섯(P.bumii, Phellinus baumi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베타 락탐계(β-lactam) 항생제와 병용되어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베타 락탐계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가진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상승적(Synergistic) 항균 효과를 구비하는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이에 대해 이하에서 표 및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상황버섯 추출물은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추출물로 마련되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메탄올(Methanol)과 같은 용매를 통해 추출되는 상황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PBE, P.bumii Ethyl acetate Extracts)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베타 락탐계 항생제는 페니실린(Penicillin), 옥사실린(Oxacillin), 세파촐린(Cefazolin) , 세페핌(Cefepime), 피페라실린-타조박탐(Piperacillin-tazobactam), 이미페넴(Imipenem)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감염은 원내 감염(hospital-acquired infection)의 형태로써 메티실린을 비롯한 모든 베타 락탐 계열 항생제에 내성인 황색포도알균에 의해 발생한다. 따라서, 기존에 황색포도알균의 의한 감염에 사용되던 베타 락탐계 항생제는 균주의 내성 획득에 의해 더 이상 항균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은 상황버섯으로부터 추출되는 물질과 베타 락탐 계열의 항생제를 병용함으로써,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감염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항균 효과를 지니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 본 발명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이 약리적 상승(synergistic) 효과가 있음에 대해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실험예1: 상황버섯 추출물의 항균(Anti-bacterial) 활성 확인
본 실시예를 통해서 실험자는 액체배치 미세희석법(Broth microdilution method)을 이용해 항균성을 지니는 상황버섯 추출물의 최소발육저지농도(MIC,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및 최소살균농도(MBC, Minimal Bactericidal Concentration)를 판단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 상황버섯(P.bumii, Phellinus baumii)의 자실체(fruiting body)를 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얻어진 분말을 메탄올과 같은 용매를 이용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추출한다.
이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메탄올을 통해 상황버섯의 분말로부터 추출물을 생성하고, 이와 같이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기를 통해 여과한 뒤, 강압 농축 과정을 통해 여과된 추출물을 헥산(Hexane) 분획층과 물(Water) 분획층으로 분획시킨다. 그 후 이와 같이 분획된 수용성 층(Aqueous potyion)으로부터 에틸 아세트이트 추출물을 분획시켜 얻어낸다.
이와 같이 마련된 상황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희석하여 서로 상이한 농도로 마련된 복수개의 희석액을 제조한다. 이 과정에서 복수개의 희석액 농도는 반감되는 형태로 마련하며, 이후 최소발육저지농도(MIC,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판단을 위한 기준 값들로 사용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항균효과를 지니는 상황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일정 무게만큼 측정한 후, 디메틸술폭시드(DMSO, Dimethyl sulfoxide)와 같은 유기용매에 녹여 용해액을 만든다. 그리고 만들어진 용해액에 증류수(DW, Distilled water)로 희석하여 소정의 농도로 마련되는 원액(stock solution)을 만든다. 그리고 M-H broth Ⅱ 액체배지와 원액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CLSI(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기준에 의한 상이한 농도로 복수개의 상항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에 대한 희석액을 마련한다.
예를 들어, 10,240ug/mL의 원액 1mL를 9mL의 M-H broth Ⅱ에 혼합하여 1,024ug/mL의 희석액을 마련하고, 1,024ug/mL의 원액 1mL를 1mL의 M-H broth Ⅱ에 혼합하여 512ug/mL의 희석액을 마련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1,024ug/mL,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반감되어 512ug/mL, 256ug/mL, 128ug/mL 등의 비율로 마련된 희석액을 제조한다.
이후에는 다양한 농도로 마련된 복수개의 상항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에 대한 희석액을 홈판(Well plate)에 마련된 복수개의 웰(Well)에 각 열별로 희석액 농도의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구분하여 분주한다.
여기서, 홈판(Well plate)는 보통 96개의 well이 구비되어 있는 96 well plate를 주로 사용하며, 분주하는 과정에서 각 열별로 희석액 농도의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분주함으로써, 같은 행에 분주된 희석액들은 동일한 농도를 가진다.
다시 말해 각각 상이한 농도로 마련된 희석액을 F type의 96 well plate(P)에 각 웰(W)의 열별로 농도의 오름차순에 따라 100uL씩 분주한다.
또한, 추가로 2개의 행을 더 마련하여, 각각 양성대조와 음성대조를 위한 웰(W)로 사용한다. 양성, 음성 대조를 위한 웰(W)에는 추후 진행될 균주의 분주 시 대대조 균주로 사용될 ATCC43300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및 ATCC29213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알균(MSSA, methicillin susceptible staphylococcus aureus)이 분주된다.
그 다음으로 상항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에 대한 희석액이 분주된 홈판 상의 각 웰에 균주를 분주하게 된다. 여기서, 각 웰에 분주되는 균주는 접종할 세균의 일정 집락을 따서 실험 결과가 판단 불가능할 정도로 배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접종액의 농도를 희석 시켜 탁도를 맞춘 후 접종시킨다.
예를 들어, 세균 접종액은 접종할 세균(MRSA, MSSA)의 1개의 집락을 따서 0.5 McFarland 표준탁도(세균수: 1×108 CFU/mL)를 만든 후 10배 희석하여 마련한다.
그 후 10배 희석된 1×107 CFU/mL의 세균접종액을 0.005ml씩 웰(W)에 분주하여 최종 접종농도가 웰(Well)당 5×105CFU/mL가 되게 한다. 여기서, 1열부터 4열까지는 임상 균주인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Clinical MRSA1~4)을 최종 접종농도에 맞춰 분주하고, 5열은 양성대조를 위해 표준균주로써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ATCC43300 MRSA)을, 6열에는 음성대조를 위해 표준균주로써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알균(ATCC29213 MSSA)을 최종접종농도에 맞춰 분주시킨다.
이와 같이 균주의 분주 과정까지 완료된 홈판은 호일로 감싼 뒤 35℃ 비-이산화탄소 환경에서 18 내지 24시간 가량 배양한다.
배양 시간이 지나고 나면 육안 판독을 통해 웰 간의 탁도 비교를 통해 최소발육저지농도(MIC) 및 최소살균농도(MBC)를 판단한다.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균주 MIC(ug/mL) MBC(ug/mL)
Clinical MRSA1 512 >2,048
Clinical MRSA2 512 >2,048
Clinical MRSA3 256 1,024
Clinical MRSA4 256 2,048
MRSA(ATCC 43300) 512 >2,048
MSSA(ATCC 29213) 512 >2,048
표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황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및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최소발육저지농도는 256 내지 512ug/mL 정도로 나타났으며, 최소살균 농도는 2048ug/mL이상의 정도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상황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및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최소발육저지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실험예2: 상황버섯 추출물 및 베타 락탐계 항생제의 병용 투여를 통한 상승적 항균(Anti-bacterial) 효과 확인(E-test 실험법)
본 실시예를 통해서 실험자는 공지된 E-test 실험법을 통해 상황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포함 유무에 따른 베타 락탐계 항생제들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최소발육저지농도(MIC,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 실험하고자 하는 베타 락탐계 항생제 별로 상황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M-H agar 배지와 상기 실험예1을 통해 측정한 상황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메 M-H agar 배지(상황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첨가량:4ug, 사용된 M-H agar양: 24ug)를 각 6개씩 준비한다.
이와 같이 준비된 각각의 6개 배지에는 0.5 McFarland 표준탁도의 균주들이 접종되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는 4개의 임상 균주인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Clinical MRSA1~4), 표준균주로써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ATCC43300 MRSA) 및 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알균(ATCC29213 MSSA)이 배지별로 접종된다.
이와 같이 6종류의 균이 각각 접종된 2종류의 배지에는 E-test용 항생제 스트립이 놓여지고, 18시간의 배양과정을 거친 뒤 육안 판단을 통해 최소발육저지농도를 판단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E-test용 항생제 스트립은 윗면에 최소발육저지농도의 판든을 위한 눈금이 인쇄되어 있으며, 항생제의 종류별로 상이하게 마련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베타 락탐계의 항생제와 비-베타 락탐계의 항생제에 대한 실험을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우선 베타 락탐계의 항생제인 페니실린, 옥사실린, 세파촐린 , 세페핌, 피페라실린-타조박탐, 이미페넴에 대한 E-test용 항생제 스트립을 이용해 E-test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항생제 PBE의 포함 MIC(ug/mL) for strains
MSSA
(ATCC 29213)
MRSA
(ATCC 43300)
Clinical MRSA1 Clinical MRSA2 Clinical MRSA3 Clinical MRSA4
옥사실린 - 0.5 64 64 64 >256 >256
+ 1 4 8 8 2 8
세파촐린 - 0.5 32 128 128 256 128
+ 0.25 0.5 4 4 4 2
세피핌 - 2 24 96 128 >256 >256
+ 2 4 6 6 2 8
페니실린 - 0.5 32 16 32 >32 32
+ 0.5 1 2 2 1 1
피페라실린-타조박탐 - 0.75 12 12 16 >32 64
+ 1 3 4 4 0.75 6
이미페넴 - 0.016 0.03 0.125 0.25 12 >32
+ 0.03 <0.03 0.06 0.047 0.06 0.38
표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베타 락탐계의 항생제들은 상황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PBE)이 동시에 첨가되어 작용함에 따라 최소발육저지농도를 의미있게 감소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옥사실린의 경우 최대 170배 이상의 감소를 보이고, 세파촐린 역시 최대 64배 정도의 감소를 보이고 있다.
이와 비교하여 비-베타 락탐계의 항생제인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 아미카신(Amikacin), 시프로플록사신(Ciprofloxacin), 반코마이신(Vancomycin)에 대한 E-test용 항생제 스트립을 이용해 E-test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3에 나타내었다.
항생제 PBE의 포함 MIC(ug/mL) for strains
MSSA
(ATCC 29213)
MRSA
(ATCC 43300)
Clinical MRSA1 Clinical MRSA2 Clinical MRSA3 Clinical MRSA4
에리트로마이신 - 0.38 >256 >256 >256 >256 >256
+ 0.38 >256 >256 >256 >256 >256
아미카신 - 2 16 8 16 8 4
+ 4 32 32 32 8 8
시프로플록사신 - 0.5 0.5 1 1 >32 >32
+ 1 1 1 0.5 >32 >32
반코마이신 - 2 2 2 2 1 2
+ 2 2 2 2 1 2
표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비-베타 락탐계의 항생제들은 상황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PBE)의 첨가 유무와 무관하게 최소발육저지농드의 변화가 미약하거나 나타나지 않았다.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은 PBP2a(Penicillin binding protein 2a)라는 세포벽을 형성하는데, 이와 같은 세포벽의 형태는 베타락탐계 항균제의 성분과 결합하지 않아 베타 락탐계열의 항생제를 단독으로 치료에 사용할 수 없었으나, 표2에 나타난바와 같이 상황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통한 병용 시 상승적 항균효과가 나타남을 확일할 수 있다.
실험예3: 상황버섯 추출물 및 베타 락탐계 항생제의 병용 투여를 통한 상승적 항균(Anti-bacterial) 효과 확인(Time-killing assay 실험법)
본 실시예를 통해서 실험자는 공지된 Time-killing assay 실험법을 통해 상황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포함 유무에 따른 베타 락탐계 항생제들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항균성의 상승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우선적으로 항생제 및 상황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아 대조군으로 사용될 M-H broth 배지(제1배지), 실험될 항생제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최소발육저지농도의 절반에 해당하는 농도로 항생제가 포함된 M-H broth 배지(제2배지), 상황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최소발육저지농도(512ug/mL)의 절반 값인 256ug/mL 농도로 상황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PBE)이 포함된 M-H broth 배지(제3배지), 항생제와 상황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PBE)이 제2배지 및 제3배지에 포함된 농도를 가지도록 마련된 M-H broth 배지(제4배지)를 준비한다. 여기서 각 배지의 총 양을 8mL로 마련한다.
그 후 4개의 배지 상에 0.5 McFarland 표준탁도(세균수: 1×108 CFU/mL)의 균주를 100배 희석 후 접종하여 배지(8mL) 상 접종된 균주의 최종 농도를 1×106 CFU/mL가 되게 한다. 이렇게 접종이 된 배지들은 배양 과정을 거치게 된다.
배양이 진행되면, 각각의 배지들은 0, 4, 8, 24시간 별 균수 변화를 측정하여 관찰한다. 시간에 따른 균수의 측정 방법은 아래와 같다.
시간별로 상기 배양액의 0.5mL을 취하여 4.5mL의 식염수(Saline) 혹은 증류수를 사용해 희석하여 희석된 기준 배양액을 마련하고, 이와 같이 마련된 기준 배양액을 10배 단위로 반복 희석하여 10배부터 108배 희선된 배양액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8개의 배양액은 각 25ul씩 피펫을 통해 취하여 혈액한천 평판배지(BAP, Blood Agar Plate)상에 8개의 구획으로 구분된 영역에 각각 분주시킨 뒤 24시간의 배양과정을 거쳐 구획 별로 형성된 균집락(Colony) 수를 측정한다.
여기서, 측정되는 균집락 수 및 해당 희석배수를 이용하여 균수를 확인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균수=균집락수×희석배수×50 CFU/mL로 측정되며 ,예를 들어 104배 희석한 배양액이 분주된 영역상에 20개의 균집락이 형성되었다면 균수는 107 CFU/mL로 확인된다.
상기 언급된 Time-killing assay 실험법을 통해 상황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포함 유무에 따른 옥사실린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항균성의 상승정도를 측정해본 결과 하기 표4 및 도1과 같이 나타났다.
여기서, 표4에 기재된 c-MIC는 상기 실험예2에서 도출되어진 상황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첨가된 옥사실린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최소발육저지농도를 나타내며, MASD(more activate single drug between oxacillin and PBE)는 제2배지와 제3배지를 기반으로 Time-killing assay 실험법을 수행하여 얻어진 균수 중 항균성이 더 강한 값을 나타낸다.
또한, △LC24(△Log10 CFU/mL between MASD and PBE+항생제 at 24hour)는 두 항균물질의 병용투여에 의한 항균효과의 상승정도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값으로써, △LC24값이 2이상일 경우 혼합된 두 항균물질에 의한 항균성의 정도가 상승적(Synergistic)이라 판단할 수 있으며, 1이상 2미만일 경우 가성성(Additivity)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1이상 1미만일 경우 균등(Indifference)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1미만일 경우 길항적(Antagonism)이라 판단될 수 있다.
MRSA MIC
(ug/mL)
c-MIC
(ug/mL)
24시간 후 확인된 균집락 수(Log10CFU/mL)
MASD PBE+옥사실린 △LC24
ATCC 43300 64 4 6.70 3.88 2.82±0.51
Clinical MRSA1 64 8 6.94 4.07 2.87±0.09
Clinical MRSA2 64 8 6.64 3.92 2.72±0.33
Clinical MRSA3 >256 2 6.20 3.72 2.48±0.38
Clinical MRSA4 >256 8 5.86 3.52 2.34±0.40
따라서, 표4 및 도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옥사실린 항생제의 경우 상황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과 병용 투여되어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상승적 항균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Time-killing assay 실험법을 통해 상황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포함 유무에 따른 세파촐린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항균성의 상승정도를 측정해본 결과 하기 표5 및 도2와 같이 나타났다.
여기서, 표5에 기재된 c-MIC는 상기 실험예2에서 도출되어진 상황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첨가된 세파촐린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최소발육저지농도를 나타내며, MASD(more activate single drug between cefazolin and PBE)는 제2배지와 제3배지를 기반으로 Time-killing assay 실험법을 수행하여 얻어진 균수 중 항균성이 더 강한 값을 나타낸다.
MRSA MIC
(ug/mL)
c-MIC
(ug/mL)
24시간 후 확인된 균집락 수(Log10CFU/mL)
MASD PBE+세파촐린 △LC24
ATCC 43300 32 0.5 6.53 3.49 3.04±0.04
Clinical MRSA1 128 4 6.74 4.07 2.67±0.39
Clinical MRSA2 128 4 6.65 3.58 3.07±0.51
Clinical MRSA3 256 4 6.63 3.58 3.05±0.19
Clinical MRSA4 128 2 5.83 3.72 2.10±0.10
따라서, 표5 및 도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세파촐린 항생제의 경우 상황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과 병용 투여되어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상승적 항균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실험예를 통해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상황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항균적 성질을 지닐 뿐만 아니라,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던 베타 락탐게열의 항생제에 대한 항균성 상승 효과를 발생시킴으로써, 베타 락탐계 항생제의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항균적 성질을 회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상황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은 베타 락탐계 항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타 락탐계 항생제는 베타 락탐계 항생제는 페니실린(Penicillin), 옥사실린(Oxacillin), 세파촐린(Cefazolin) , 세페핌(Cefepime), 피페라실린-타조박탐(Piperacillin-tazobactam), 이미페넴(Imipenem)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버섯 추출물은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추출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50026612A 2015-02-25 2015-02-25 상황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68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612A KR101668184B1 (ko) 2015-02-25 2015-02-25 상황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612A KR101668184B1 (ko) 2015-02-25 2015-02-25 상황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794A true KR20160103794A (ko) 2016-09-02
KR101668184B1 KR101668184B1 (ko) 2016-10-20

Family

ID=56943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612A KR101668184B1 (ko) 2015-02-25 2015-02-25 상황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18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931A (ko) * 2010-12-24 2012-07-0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에노일 리덕테이즈 저해 및 항균 활성을 갖는 신규한 히스피딘계 화합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931A (ko) * 2010-12-24 2012-07-0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에노일 리덕테이즈 저해 및 항균 활성을 갖는 신규한 히스피딘계 화합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허종문 외, "상황버섯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활성", 한국영양학회 2003년도 연합학술대회, 2003, P8-0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8184B1 (ko) 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ng et al. In vitro anti-Helicobacter pylori effects of medicinal mushroom extracts,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Lion's Mane mushroom, Hericium erinaceus (higher Basidiomycetes)
Choi et al. In vitro activity of methyl gallate isolated from galla rhois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ciprofloxacin against clinical isolates of salmonella
EP3903827A1 (en) Use of rifamycin-quinolizidone coupling molecule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CN1085101A (zh) 抗葡萄球菌的抗微生物剂
CN114129547A (zh) 香芹酚在提高耐甲氧西林金黄色葡萄球菌对β-内酰胺类抗生素敏感性方面的应用
Feng et al. Effect of matrine on reducing damage to bovine mammary epithelial cells induced by Staphylococcus aureus alpha-hemolysin
CN107073124A (zh) 增效的抗微生物剂
MOHAMED et al. In vitro Efficiency of Ampicillin, Thymol and Their Combinations against Virulence Strains of Klebsiella pneumoniae.
Rabadia et al. Study of synergistic action of cefotaxime and Terminalia chebula on Acinetobacter baumannii using checkerboard assay
CN110461343A (zh) 用于保护或治疗细菌感染患者的具有杀菌或抑菌特性的细胞外基质组合物
KR101668184B1 (ko) 상황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에 대한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
EP2317998B1 (en) Fulvic acid and antibiotic combination
CN103920137A (zh) 一种具有抗耐药性革兰阳性细菌作用的药物组合物
Panthong et al. Bactericidal Effec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assia garettiana Heartwood Extract
CN115350197A (zh) 泽泻醇A-24-醋酸酯在提高MRSA对β-内酰胺类抗生素敏感性方面的应用
Tanase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Spruce Bark (L.) Extract against
CN108186618B (zh) 柠檬醛及其衍生物在制备mrsa感染性疾病药物中的新用途
Sharifi et al. Antimicrobial potentials of crude fractions of polysaccharides of Ganoderma spp.
Aktas In vitro synergistic effect of vancomycin combined with daptomycin against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KR102504101B1 (ko) 항균 활성을 가지는 크리신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790296B1 (ko) 네트롭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그람음성 세균에 대한 폴리믹신의 항균 활성을 증가시키는 조성물
CN116747221B (zh) 一种抗菌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498619B (zh) 一种化合物在制备用于治疗和/或预防细菌性疾病的药物中的用途
KR20090124397A (ko)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 구균에 대해 기존 항생제인젠타마이신과 고량강 으로부터 분리한 천연항균제인갈란진을 혼합하여 개발한 항균조성물
Sunusi Adam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Carica papaya against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epidermidis Isolated from Wards Surfaces of Kampala International University Teaching Hospital, Bushenyi, Ugan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