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3266A - 쓰레기통 및 포장용구 - Google Patents

쓰레기통 및 포장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3266A
KR20160103266A KR1020150025526A KR20150025526A KR20160103266A KR 20160103266 A KR20160103266 A KR 20160103266A KR 1020150025526 A KR1020150025526 A KR 1020150025526A KR 20150025526 A KR20150025526 A KR 20150025526A KR 20160103266 A KR20160103266 A KR 20160103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elope
line
lid
perforation line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8466B1 (ko
Inventor
안영섭
Original Assignee
안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섭 filed Critical 안영섭
Priority to KR1020150025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466B1/ko
Publication of KR20160103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2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having means for storing or dispensing spare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5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with means aiding the insertion of the flexibl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Pedal-operat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7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쓰레기통과 포장용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은,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단에 배치되어 수용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덮개부, 및 덮개부의 일 측에 형성되어 봉투를 수납하며 일 측에 봉투를 인출하는 인출부가 형성되는 수납부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구는, 복수의 봉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봉투부와, 띠 형상의 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쓰레기통 및 포장용구{Wastebasket and packaging kit}
본 발명은 쓰레기통 및 포장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쓰레기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쓰레기통 및 포장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통은 내부에 쓰레기를 담기 위한 공간이 마련된 용기로, 내부에 직접 쓰레기를 담기도 하지만, 쓰레기통의 위생성 향상과 쓰레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내부에 비닐봉투 등을 내입한 후 비닐봉투 내에 쓰레기를 담기도 한다. 이와 같이 쓰레기통 내부에 비닐봉투를 내입하여 쓰레기를 담는 경우, 비닐봉투에 일정량 이상의 쓰레기가 담기면 상단부를 묶어 배출하므로 보다 위생적으로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비닐봉투는 낱장으로 분리된 형태의 봉투를 사용하거나, 연속적으로 권취된 롤 형태의 봉투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비닐봉투를 사용하여 쓰레기를 처리하는 경우, 별도의 장소에 보관된 비닐봉투를 필요에 따라 쓰레기통에 내입하므로, 사용자의 동선이 길어져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쓰레기통의 몸체 부분에 비닐봉투가 수납되는 공간을 마련한 쓰레기통이 개시되었으나, 비닐봉투가 수납되는 공간으로 인해 쓰레기통의 용량이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비닐봉투의 상단부를 묶어 배출할 때, 매듭을 짓기 위한 일정 길이 이상의 여분이 필요하므로, 비닐봉투에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용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5410호 2012. 07. 2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쓰레기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쓰레기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포장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나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은,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일 측에 형성되어 봉투를 수납하며, 일 측에 상기 봉투를 인출하는 인출부가 형성되는 수납부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안착되며, 일 측에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제1 덮개부와, 상기 제1 덮개부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관통부를 덮는 제2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덮개부 또는 상기 제2 덮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몸체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덮개부는 상기 몸체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압판과, 일단부가 상기 가압판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연결로드, 및 일단부가 상기 제1 연결로드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덮개부에 접하는 제2 연결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는, 상기 제1 덮개부 또는 상기 제2 덮개부 중 하나 이상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봉투를 수납하는 수납홈과, 상기 수납홈을 덮으며, 일 측에 상기 인출부가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인출부와 연결되는 내측면에 상기 봉투와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봉투는 일단이 개방되고 상기 일단을 제외한 나머지 타단이 폐쇄되며, 복수 개가 연속적으로 심지부에 권취될 수 있다.
상기 봉투는 상기 일단이 상기 타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심지부에 권취될 수 있다.
상기 봉투는 복수의 봉투로 이루어져 포장용구에 포함되고, 상기 포장용구는, 상기 복수의 봉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봉투부와, 띠 형상의 밴드부를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쓰레기통은 막대 형상의 심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봉투는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심지부에 감겨지고, 상기 밴드부는 상기 봉투부의 일 측에 위치하여 상기 심지부에 감겨질 수 있다.
상기 밴드부는 상기 봉투부의 적어도 일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봉투는 각각의 상기 봉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봉투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절취선에 의해 각각 분리되고, 상기 밴드부는 상기 봉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절취선에 의해 상기 봉투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쓰레기통은 각각의 상기 제1 절취선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절취선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접합선과, 상기 제2 절취선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 접합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봉투는 후단이 개방되고 전단이 폐쇄될 수 있다.
상기 밴드부는 연속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는 상기 밴드부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절취선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제3 절취선은 상기 제1 절취선으로부터 동일 선상으로 연장되거나, 상기 제1 절취선과 어긋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3 절취선은 상기 밴드부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쓰레기통은 상기 제2 절취선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4 절취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4 절취선은 상기 제2 절취선과 동일 측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2 절취선과 대향된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인출부는 상기 봉투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봉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확장구가 형성되고, 상기 밴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확장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봉투는 연속적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상기 봉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봉투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절취선에 의해 각각 분리되고, 상기 밴드부는 상기 제1 절취선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 절취선에 의해 상기 봉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쓰레기통은 각각의 상기 제1 절취선 또는 각각의 상기 제2 절취선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절취선 또는 상기 제2 절취선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접합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봉투는 후단이 개방되고 전단이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쓰레기통은 막대 형상의 심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봉투와 상기 밴드부는 상기 심지부에 감겨질 수 있다.
상기 제1 덮개부는 일 면에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봉투의 개구부를 거치하는 거치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쓰레기통은 상기 거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봉투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하나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장용구는, 복수의 봉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봉투부와, 띠 형상의 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포장용구는 막대 형상의 심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봉투는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심지부에 감겨지고, 상기 밴드부는 상기 봉투부의 일 측에 위치하여 상기 심지부에 감겨질 수 있다.
상기 밴드부는 상기 봉투부의 적어도 일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봉투는 각각의 상기 봉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봉투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절취선에 의해 각각 분리되고, 상기 밴드부는 상기 봉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절취선에 의해 상기 봉투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포장용구는 각각의 상기 제1 절취선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절취선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접합선과, 상기 제2 절취선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 접합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봉투는 후단이 개방되고 전단이 폐쇄될 수 있다.
상기 밴드부는 연속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는 상기 밴드부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절취선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제3 절취선은 상기 제1 절취선으로부터 동일 선상으로 연장되거나, 상기 제1 절취선과 어긋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3 절취선은 상기 밴드부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포장용구는 상기 제2 절취선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4 절취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4 절취선은 상기 제2 절취선과 동일 측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2 절취선과 대향된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봉투는 연속적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상기 봉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봉투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절취선에 의해 각각 분리되고, 상기 밴드부는 상기 제1 절취선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 절취선에 의해 상기 봉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포장용구는 각각의 상기 제1 절취선 또는 각각의 상기 제2 절취선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절취선 또는 상기 제2 절취선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접합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봉투는 후단이 개방되고 전단이 폐쇄될 수 있다.
상기 포장용구는 막대 형상의 심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봉투와 상기 밴드부는 상기 심지부에 감겨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쓰레기통의 덮개부에 봉투가 수납되는 공간이 마련되므로, 쓰레기통의 본래 용량을 유지하면서 봉투를 수납할 수 있다. 특히, 수납된 봉투로 인해 덮개부의 중량이 증가하여 몸체부와 덮개부 사이를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몸체부와 덮개부 사이로 악취가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구비된 밴드부를 이용하여 봉투의 상단을 묶을 수 있어 매듭을 짓기 위한 일정 길이 이상의 여분이 필요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봉투에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용량이 줄어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봉투를 분리하기 위한 절취선이 접합선의 전방에 위치하므로, 봉투의 방향을 전환하지 않고 바로 쓰레기통에 내입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쓰레기통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쓰레기통을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쓰레기통에 적용 가능한 포장용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수납부로부터 봉투가 인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쓰레기통에 봉투가 수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쓰레기가 수용된 봉투의 단부를 마감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 및 포장용구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1) 및 포장용구(도 2의 100 참조)는 쓰레기(도 6의 T 참조)를 담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포장용구(100)는 쓰레기통(1)에 내입되어 내부에 쓰레기(T)를 담을 수 있다. 그러나, 포장용구(100)가 쓰레기통(1) 내부에 내입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포장용구(100)는 쓰레기통(1)과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포장용구(100)가 쓰레기(T)를 담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포장용구(100)는 내부에 식료품 등을 담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1)은 덮개부(20)에 봉투(도 4의 110a 참조)가 수납되는 공간이 마련되므로, 몸체부(10)의 본래 용량을 유지하면서 봉투(110a)를 수납할 수 있다. 특히, 수납된 봉투(110a)로 인해 덮개부(20)의 중량이 증가하여 몸체부(10)와 덮개부(20) 사이를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몸체부(10)와 덮개부(20) 사이로 악취가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구(100)는, 별도로 구비된 밴드부(도 4의 120 참조)를 이용하여 봉투(110a)의 상단을 묶을 수 있어 매듭을 짓기 위한 일정 길이 이상의 여분이 필요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봉투(110a)에 쓰레기(T)를 담을 수 있는 용량이 줄어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봉투(110a)를 분리하기 위한 절취선이 접합선의 전방에 위치하므로, 봉투(110a)의 방향을 전환하지 않고 바로 쓰레기통(1)에 내입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쓰레기통(1) 및 포장용구(100)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쓰레기통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쓰레기통을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쓰레기통에 적용 가능한 포장용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수납부로부터 봉투가 인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쓰레기통에 봉투가 수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쓰레기가 수용된 봉투의 단부를 마감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1)은 몸체부(10)와, 덮개부(20), 및 수납부(30)를 포함한다.
몸체부(10)는 통 형상의 부재로, 내부에 수용공간(10a)이 형성된다. 수용공간(10a)은 상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쓰레기(T)가 수용될 수 있으며, 격벽(13)에 의해 제1 수용공간(11a)과 제2 수용공간(12a)으로 분할될 수 있다. 격벽(13)은 몸체부(1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1 격벽(13a)과, 몸체부(10)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되 제1 격벽(13a)과 접하는 제2 격벽(13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수용공간(11a)은 제1 격벽(13a)과 제2 격벽(13b)의 내측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쓰레기(T)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수용공간(12a)은 제1 격벽(13a)과 제2 격벽(13b)의 외측으로 형성되어 제1 수용공간(11a)의 일부를 둘러싸며, 양단이 각각 외부와 연통되어 후술할 제1 연결로드(41)와 제2 연결로드(42)를 수용할 수 있다. 그러나, 수용공간(10a)이 격벽(13)에 의해 제1 수용공간(11a)과 제2 수용공간(12a)으로 분할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수용공간(10a)은 분할되지 않고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몸체부(10)의 상단에는 덮개부(20)가 배치된다.
덮개부(20)는 수용공간(10a)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것으로, 제1 덮개부(21)와 제2 덮개부(22)를 포함한다.
제1 덮개부(21)는 몸체부(10)의 상단에 안착되어 제2 수용공간(12a)과 제1 수용공간(11a)의 적어도 일부를 덮으며, 일 측에 수용공간(10a)과 외부를 연통하는 관통부(21a)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21a)는 제1 수용공간(11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 수용공간(11a)과 외부를 연통하며, 쓰레기(T)는 관통부(21a)를 통해 제1 수용공간(11a)에 수용될 수 있다. 관통부(21a)의 외측에는 거치부(21b)가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21b)는 제1 덮개부(21)의 일 면에 형성되어 수용공간(10a)에 수용되는 봉투(110a)의 개구부를 거치하는 것으로, 제1 덮개부(21)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거치부(21b)가 제1 덮개부(21)의 상면에 형성되는 구조를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거치부(21b)는 제1 덮개부(21)의 상면에 형성되며, 관통부(21a)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덮개부(21)는 상면이 거치부(21b)를 향하여 점차 경사지며 만입 형성되므로, 거치부(21b)가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봉투(110a)의 개구부가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거치부(21b)의 외주면에는 고정부(6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60)는 거치부(21b)에 거치된 봉투(110a)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봉투(110a)를 압착하여 거치부(21b)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면 상에는, 고정부(60)가 링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봉투(110a)를 거치부(21b)에 압착 또는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제1 덮개부(21)의 상측에는 제2 덮개부(22)가 안착된다. 제2 덮개부(22)는 제1 덮개부(21)에 형성된 관통부(21a)를 덮어 제1 수용공간(11a)을 밀폐하는 것으로, 하면이 거치부(21b)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덮개부(22)가 거치부(21b)의 상면에 밀착되어 제1 수용공간(11a)을 밀폐함으로써, 제1 수용공간(11a)에 수용된 봉투(110a)에 담긴 쓰레기(T)로부터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제2 덮개부(22)가 제1 덮개부(21)의 상면 전체를 덮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2 덮개부(22)는 제1 덮개부(21)의 상면 일부, 즉, 관통부(21a)를 포함하는 제1 덮개부(21)의 일부만 덮을 수도 있다.
제1 덮개부(21) 또는 제2 덮개부(22) 중 적어도 하나는 몸체부(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1 덮개부(21) 또는 제2 덮개부(22) 중 적어도 하나가 몸체부(10)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제1 덮개부(21) 또는 제2 덮개부(22)가 몸체부(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 덮개부(21) 또는 제2 덮개부(22)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이하, 제1 덮개부(21)와 제2 덮개부(22)가 모두 몸체부(10)에 힌지 결합된 구조를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몸체부(10)는 상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연장부(14)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장부(14)는 쌍을 이루어 마련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1 연장부(14)는 각각 몸체부(10)의 최외곽에 위치하여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연장부(14) 사이에는 제1 덮개부(21)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연장부(21c)와, 제2 덮개부(22)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3 연장부(22b)가 개재될 수 있다. 제2 연장부(21c)는 제1 덮개부(21)의 외측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1 연장부(14)와 같이, 한 쌍이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연장부(22b)는 제2 덮개부(22)의 하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2 연장부(21c)와 같이, 한 쌍이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연장부(14)와 제2 연장부(21c), 및 제3 연장부(22b)는 서로 중첩되어 배치되며, 힌지축(50)은 각각의 제1 연장부(14)와 제2 연장부(21c), 및 제3 연장부(22b)를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제1 연장부(14)와 제2 연장부(21c) 사이에 제3 연장부(22b)가 개재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1 연장부(14)와 제2 연장부(21c), 및 제3 연장부(22b)의 배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몸체부(10)에 힌지 결합된 제2 덮개부(22)는 가압판(40)과 제1 연결로드(41), 및 제2 연결로드(42)에 의해 관통부(21a)를 개폐할 수 있다.
가압판(40)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의 부재로, 적어도 일부가 몸체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압판(40)은 양단이 외부와 연통되는 제2 수용공간(12a)의 일단에 배치되어 몸체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일 측에 제1 연결로드(41)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로드(41)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막대 또는 봉 형상의 부재로, 제2 수용공간(12a)에 수용되어 몸체부(10)의 저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결로드(41)는 몸체부(10)의 일 측, 예를 들어, 몸체부(10)의 저면 또는 제2 격벽(13b)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 측에 제2 연결로드(42)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로드(42)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막대 또는 봉 형상의 부재로, 일단부가 제1 연결로드(41)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제2 수용공간(12a)에 수용되되 몸체부(10)의 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제2 연결로드(42)는 몸체부(10)의 측면 또는 제1 격벽(13a)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제2 연결로드(4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링(43)을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연결로드(41)와 제2 연결로드(42)가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1 연결로드(41)와 제2 연결로드(4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판(4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제2 연결로드(42)와 연결되는 제1 연결로드(41)의 일 측이 하방으로 내려져 제2 연결로드(42)가 하방으로 내려질 수 있다. 제2 연결로드(42)가 하방으로 내려짐으로써, 제2 덮개부(22)는 제1 덮개부(21)의 상면에 안착되어 관통부(21a)를 밀폐할 수 있다. 반대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판(40)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제1 연결로드(41)가 회전축(41a)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제2 연결로드(42)와 연결되는 제1 연결로드(41)의 일 측과 제2 연결로드(42)가 상방으로 올려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연결로드(42)는 가이드링(43)을 관통하므로, 횡 방향 요동 없이 안정적으로 올려질 수 있다. 제2 연결로드(42)가 상방으로 올려짐으로써, 제2 연결로드(42)의 타단부는 제2 덮개부(22)에 접하여 제2 덮개부(22)를 밀어 올리게 되며, 이로 인해, 관통부(21a)는 개방될 수 있다. 이 때, 제2 덮개부(22)는 하면에 걸림턱(22a)이 형성되므로, 제2 연결로드(42)는 제2 덮개부(22)를 안정적으로 밀어 올릴 수 있다.
몸체부(10)에 힌지 결합된 제1 덮개부(21)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5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제1 수용공간(11a)을 개방할 수 있다.
한편, 덮개부(20)의 일 측에는 수납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수납부(30)는 봉투(110a)를 수납하며, 일 측에 봉투(110a)를 인출하는 인출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20)의 일 측에 봉투(110a)를 수납하는 수납부(30)가 형성됨으로써, 몸체부(10), 특히, 제1 수용공간(11a)의 본래 용량을 유지하며 봉투(110a)를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수납된 봉투(110a)로 인해 덮개부(20)의 전체 중량이 증가하여 몸체부(10)와 덮개부(20) 사이를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수납부(30)에 수납되는 봉투(110a)는 일단이 개방되고 일단을 제외한 나머지 타단이 폐쇄되며, 낱장으로 분리된 형태이거나 복수 개가 연속적으로 심지부(130)에 권취된 형태일 수 있다. 이하, 복수 개의 봉투(110a)가 연속적으로 심지부(130)에 권취된 형태를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봉투(110a)는 복수 개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심지부(130)에 권취되며, 이 때, 개방된 일단이 폐쇄된 타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심지부(130)에 권취될 수 있다. 여기서, 후방이라 함은, 봉투(110a)가 권출되는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봉투(110a)의 개방된 일단이 폐쇄된 타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심지부(130)에 권취됨으로써, 봉투(110a)의 방향을 전환하지 않고 바로 몸체부(10)에 봉투(110a)의 폐쇄된 타단을 우선하여 내입할 수 있다.
수납부(30)는 수납홈(30a)과 커버부(31)를 포함한다.
수납홈(30a)은 봉투(110a)를 수납하며, 제1 덮개부(21) 또는 제2 덮개부(22) 중 하나 이상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수납홈(30a)이 제1 덮개부(21)에 형성된 구조를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수납홈(30a)은 제1 덮개부(21)의 상면에 폭 방향(도 2의 x 방향 참조)을 따라 형성되며, 관통부(21a)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수납홈(30a)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측이 개방된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수납홈(30a)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홈(30a)은 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측이 폐쇄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수납홈(30a)이 제1 덮개부(21)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수납홈(30a)은 제1 덮개부(21)의 길이 방향(도 2의 y 방향 참조)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수납홈(30a)은 커버부(31)에 의해 덮어진다.
커버부(31)는 봉투(110a)가 수납홈(30a)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 측에 인출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인출부(32)는 커버부(31)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봉투(110a)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커버부(31)는 외측면에 체결돌기(31a)가 형성되며, 체결돌기(31a)는 수납홈(30a)의 내측면에 형성된 체결홈(30b)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돌기(31a)가 체결홈(30b)에 삽입되면, 커버부(31)가 수납홈(30a)에 체결될 수 있다. 그러나, 커버부(31)에 체결돌기(31a)가 형성되고 수납홈(30a)에 체결홈(30b)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커버부(31)에 체결홈이 형성되고 수납홈(30a)에 체결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커버부(31)와 수납홈(30a)이 체결돌기(31a)와 체결홈(30b)에 의해 체결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커버부(31)와 수납홈(30a)은 어느 하나에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서로 슬라이딩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커버부(31)는 인출부(32)와 연결되는 내측면에 봉투(110a)와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도 5의 33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31)의 내측면에 지지돌기(33)가 형성됨으로써, 연속적으로 연결된 봉투(110a)가 서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즉, 심지부(130)에 권취된 봉투(110a)의 일 측이 지지돌기(33)에 지지되므로, 인출부(32)를 통해 노출되는 봉투(110a)가 심지부(130)에 권취된 봉투(110a)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포장용구(100)에 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구(100)는 봉투부(110)와 밴드부(120)를 포함한다.
봉투부(110)는 복수의 봉투(11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밴드부(120)는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봉투(110a)는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막대 형상의 심지부(130)에 감겨지며, 밴드부(120)는 봉투부(110)의 일 측에 위치하여 심지부(130)에 감겨질 수 있다. 이 때, 밴드부(120)는 봉투부(110)의 적어도 일 측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봉투(110a)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봉투부(110)의 적어도 일 측에는 밴드부(120)가 연결되며, 봉투부(110)와 밴드부(120)는 동시에 심지부(130)에 권취될 수 있다. 이하, 봉투부(110)의 일 측에 밴드부(120)가 연결된 구조를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연속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봉투(110a)는 제1 절취선(D1)에 의해 각각 분리될 수 있다. 제1 절취선(D1)은 슬릿(slit) 형태의 절취용 구멍을 연속적으로 형성한 것으로, 각각의 봉투(110a) 사이에 위치하여 봉투(110a)의 폭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절취선(D1)이 각각의 봉투(110a)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가위나 칼과 같은 별도의 절단도구 없이도 각각의 봉투(110a)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절취선(D1)의 후방에는 제1 접합선(C1)이 위치한다. 여기서, 제1 절취선(D1)의 후방이라 함은, 봉투(110a)가 권출되는 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제1 접합선(C1)은 연속적으로 열융착하여 형성된 것으로, 제1 절취선(D1)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절취선(D1)의 후방에 제1 접합선(C1)이 위치함으로써, 봉투(110a)는 후단이 개방되고 전단이 폐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봉투(110a)는 권출되는 방향에 위치한 전단이 폐쇄되고, 권출되는 방향과 대향되는 후단이 개방된다. 따라서, 봉투(110a)의 방향을 전환하지 않고 봉투(110a)의 폐쇄된 전단을 우선하여 바로 제1 수용공간(11a)에내입할 수 있다.
한편, 봉투부(110)의 일 측에 연결된 밴드부(120)는 제2 절취선(D2)에 의해 봉투부(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2 절취선(D2)은 슬릿 형태의 절취용 구멍을 연속적으로 형성한 것으로, 봉투부(110)와 밴드부(120) 사이에 위치하여 봉투(110a)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절취선(D2)이 봉투부(110)와 밴드부(12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별도의 절단도구 없이도 밴드부(120)를 봉투부(1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제2 절취선(D2)의 일 측에는 제2 접합선(C2)이 위치한다. 제2 접합선(C2)은 연속적으로 열융착하여 형성된 것으로, 제2 절취선(D2)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접합선(C2)은 봉투(110a)의 양 측단에 각각 형성되므로, 봉투(110a)는 양 측단이 폐쇄될 수 있다.제2 절취선(D2)에 의해 봉투부(110)로부터 분리된 밴드부(120)는 연속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밴드(12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각각의 밴드(120a)는 제3 절취선(D3)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제3 절취선(D3)은 슬릿 형태의 절취용 구멍을 연속적으로 형성한 것으로, 밴드부(12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밴드부(120)의 폭 방향으로 제3 절취선(D3)이 형성됨으로써, 필요한 길이만큼 밴드(120a)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제3 절취선(D3)은 봉투(110a)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절취선(D1)과 동일 선상으로 연장되거나 제1 절취선(D1)과 어긋나게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어긋나게 연장된다는 것은 밴드부(12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 절취선(D1)과 만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제3 절취선(D3)이 제1 절취선(D1)과 동일 선상으로 연장되는 경우, 밴드(120a)는 봉투(110a)와 동일한 길이로 분리될 수 있으며, 제3 절취선(D3)이 제1 절취선(D1)과 어긋나게 연장되는 경우, 밴드(120a)는 봉투(110a)의 길이보다 길거나 짧은 길이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포장용구(100)는 수납홈(30a)에 수납되며, 커버부(31)에 형성된 인출부(32)를 통해 인출될 수 있다. 봉투(110a)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인출부(32)는 봉투부(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확장구(32a)가 형성되고, 밴드부(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확장구(32b)가 형성될 수 있다. 봉투부(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확장구(32a)가 형성됨으로써,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 확장구(32a)를 통해 봉투(110a)를 파지하여 제1 확장구(32a) 및 인출부(32)를 통해 봉투(110a)를 인출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부(31)는 인출부(32)와 연결되는 내측면에 지지돌기(33)가 형성되므로, 제1 확장구(32a) 및 인출부(32)를 통해 인출되는 봉투(110a)는 심지부(130)에 권취된 봉투(110a)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밴드부(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확장구(32b)가 형성됨으로써,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2 확장구(32b)를 통해 밴드(120a)를 파지하여 제2 확장구(32b) 및 인출부(32)를 통해 밴드(120a)를 인출시킬 수 있다. 커버부(31)는 인출부(32)와 연결되는 내측면에 지지돌기(33)가 형성되므로, 제2 확장구(32b) 및 인출부(32)를 통해 인출되는 밴드(120a)는 심지부(130)에 권취된 밴드(120a)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봉투(110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된 전단이 하방에 위치하도록 몸체부(10)의 제1 수용공간(11a)에 수용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봉투(110a)의 후단은 거치부(21b)에 거치되어 고정부(6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봉투(110a)는 개구부를 통해 내부에 쓰레기(T)를 담을 수 있으며, 쓰레기(T)가 가득 찬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120a)를 이용하여 봉투(110a)의 개구부를 묶을 수 있다. 밴드(120a)를 이용하여 봉투(110a)의 개구부를 묶음으로써, 매듭을 짓기 위한 여분의 길이가 필요하지 않아 봉투(110a)에 쓰레기(T)를 최대한 많이 담을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1-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1-1)은 수납홈(30a)이 관통부(21a)의 전방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1-1)은 수납홈(30a)이 관통부(21a)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
수납홈(30a)은 제1 덮개부(21)의 상면에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관통부(21a)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수납홈(30a)이 관통부(21a)의 전방에 배치됨으로써, 제1 덮개부(21)의 상측에 안착된 제2 덮개부(22)가 일부만 상방으로 올려지더라도 봉투(110a) 또는 밴드부(120)를 인출할 수 있다. 즉, 봉투(110a) 또는 밴드부(120)를 인출하기 위해 제1 덮개부(21)로부터 제2 덮개부(22)를 완전히 올리지 않아도 된다.
또한, 거치부(21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60)는 덮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60)는 거치부(21b)와 접하는 내측면이 거치부(21b)의 외측면 형상에 대응하여 만입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거치부(21b)의 외측면에 완전히 씌워질 수 있다. 고정부(60)가 거치부(21b)의 외측면에 완전히 씌워짐으로써, 봉투(110a)에 수용된 쓰레기(T)의 무게로 인해 봉투(110a)가 하방으로 처져 거치부(21b)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60)가 덮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2 덮개부(22)의 하면에는 고정부(60)의 외측면 형상에 대응하는 만입홈(22c)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덮개부(22)가 관통부(21a)를 덮을 때 고정부(60)로 인해 제2 덮개부(22)와 제1 덮개부(21)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1-2)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1-2)은 수납부(30)가 제2 덮개부(22)의 하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1-2)은 수납부(30)가 제2 덮개부(22)의 하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
수납부(30)는 제2 덮개부(22)의 하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덮개부(22)의 하면에 수납부(30)가 형성됨으로써, 제2 덮개부(22)의 중량이 증가하여 관통부(21a)를 효과적으로 덮을 수 있다. 수납부(30)는 제2 덮개부(22)의 하면에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관통부(21a)와 접하는 면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수납부(30)와 접하는 제1 덮개부(21)의 상면에는 수납부(30)의 외측면 형상에 대응하는 삽입홈(21d)이 형성되어, 제2 덮개부(22)가 관통부(21a)를 덮을 때 수납부(30)로 인해 제2 덮개부(22)와 제1 덮개부(21)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납부(30)는 앞서 설명한 수납홈 및 커버부와 동일성 범위의 수납홈 및 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1-3)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1-3)은 수납부(30)가 제2 덮개부(22)의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1-3)은 수납부(30)가 제2 덮개부(22)의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
수납부(30)는 제2 덮개부(22)의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덮개부(22)의 상면에 수납부(30)가 형성됨으로써, 제2 덮개부(22)의 중량이 증가하여 관통부(21a)를 효과적으로 덮을 수 있다. 수납부(30)는 제2 덮개부(22)의 상면에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인출부(32)는 제1 덮개부(21)의 상면을 향하여 제2 덮개부(22)를 관통할 수 있다. 그러나, 인출부(32)가 제1 덮개부(21)의 상면을 향하여 제2 덮개부(22)를 관통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인출부(32)는 제1 덮개부(21)의 반대 방향으로 수납부(3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인출부(32)가 제1 덮개부(21)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2 덮개부(22)가 관통부(21a)를 덮은 상태에서도 봉투(110a) 또는 밴드(120a)를 인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납부(30)는 앞서 설명한 수납홈 및 커버부와 동일성 범위의 수납홈 및 커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구(100-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구(100-1)는 제2 절취선(D2)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4 절취선(D4)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구(100-1)는 제2 절취선(D2)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4 절취선(D4)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
제4 절취선(D4)은 슬릿 형태의 절취용 구멍을 연속적으로 형성한 것으로, 제2 절취선(D2)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제4 절취선(D4)은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절취선(D2)과 동일 측에 위치하거나,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절취선(D2)과 대향된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절취선(D2)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4 절취선(D4)이 형성됨으로써, 밴드부(120)가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밴드부(120)는 서로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일체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밴드부(120) 중 어느 하나는 봉투(110a)를 거치부(21b)에 고정하는 고정부(60)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는 봉투(110a)의 개구부를 묶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밴드부(120)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부(60) 대용으로 사용한 후, 봉투(110a)의 개구부를 묶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제3 절취선(D3)은 각각의 밴드부(12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 절취선(D1)과 동일 선상으로 연장되거나 제1 절취선(D1)과 어긋나게 연장될 수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구(100-2)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구(100-2)는 제2 절취선(D2)이 제1 절취선(D1)과 나란하게 연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구(100-2)는 제2 절취선(D2)이 제1 절취선(D1)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
연속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봉투(110a)는 각각의 봉투(110a) 사이에 위치하여 봉투(110a)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절취선(D1)에 의해 각각 분리되며, 밴드부(120)는 제1 절취선(D1)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 절취선(D2)에 의해 봉투(110a)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2 절취선(D2)이 제1 절취선(D1)과 나란하게 연장됨으로써, 봉투(110a)를 분리할 때 힘을 가하는 방향과 밴드부(120)를 분리할 때 힘을 가하는 방향이 일치하여 좀 더 용이하게 밴드부(120)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봉투(110a)로부터 밴드부(120)를 분리하지 않고 사용할 경우, 밴드부(120)의 두께만큼 봉투(110a)의 길이가 연장되어 좀 더 많은 양의 쓰레기(T)를 수용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제1 절취선(D1)이 제2 절취선(D2)의 전방에 위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1 절취선(D1)은 제2 절취선(D2)의 후방에 위치할 수도 있다.
각각의 제1 절취선(D1) 또는 각각의 제2 절취선(D2)의 후방에는 제1 접합선(C1)이 위치하며, 제1 접합선(C1)은 제1 절취선(D1) 또는 제2 절취선(D2)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절취선(D1) 또는 제2 절취선(D2)의 후방에 제1 접합선(C1)이 위치함으로써, 봉투(110a)는 권출되는 방향에 위치한 전단이 폐쇄되고 권출되는 방향에 대향되는 후단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봉투(110a)의 방향을 전환하지 않고 폐쇄된 전단을 우선하여 제1 수용공간(11a)에 내입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봉투(110a)와 밴드부(120)는 막대 형상의 심지부(130)에 감겨질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봉투(110a)와 밴드부(120)가 심지부(130)에 감겨지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복수의 봉투(110a)와 밴드부(120)는 지그재그 형태로 중첩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포장용구의 실시예들과 쓰레기통의 실시예들에서 각각 언급된 사항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각각의 실시예에 서로 동일성 범위에서 적용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1-1, 1-2, 1-3: 쓰레기통 10: 몸체부
10a: 수용공간 11a: 제1 수용공간
12a: 제2 수용공간 13: 격벽
13a: 제1 격벽 13b: 제2 격벽
14: 제1 연장부 20: 덮개부
21: 제1 덮개부 21a: 관통부
21b: 거치부 21c: 제2 연장부
21d: 삽입홈 22: 제2 덮개부
22a: 걸림턱 22b: 제3 연장부
22c: 만입홈 30: 수납부
30a: 수납홈 30b: 체결홈
31: 커버부 31a: 체결돌기
32: 인출부 32a: 제1 확장구
32b: 제2 확장구 33: 지지돌기
40: 가압판 41: 제1 연결로드
41a: 회전축 42: 제2 연결로드
43: 가이드링 50: 힌지축
60: 고정부
100, 100-1, 100-2: 포장용구 110: 봉투부
110a: 봉투 120: 밴드부
130: 심지부
C1: 제1 접합선 C2: 제2 접합선
D1: 제1 절취선 D2: 제2 절취선
D3: 제3 절취선 D4: 제4 절취선
T: 쓰레기

Claims (31)

  1.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일 측에 형성되어 봉투를 수납하며, 일 측에 상기 봉투를 인출하는 인출부가 형성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쓰레기통.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안착되며, 일 측에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제1 덮개부와,
    상기 제1 덮개부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관통부를 덮는 제2 덮개부를 포함하는 쓰레기통.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부 또는 상기 제2 덮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몸체부에 힌지 결합되는 쓰레기통.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덮개부는 상기 몸체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압판;
    일단부가 상기 가압판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연결로드; 및
    일단부가 상기 제1 연결로드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 덮개부에 접하는 제2 연결로드를 더 포함하는 쓰레기통.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제1 덮개부 또는 상기 제2 덮개부 중 하나 이상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봉투를 수납하는 수납홈과,
    상기 수납홈을 덮으며, 일 측에 상기 인출부가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하는 쓰레기통.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인출부와 연결되는 내측면에 상기 봉투와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쓰레기통.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는 일단이 개방되고 상기 일단을 제외한 나머지 타단이 폐쇄되며, 복수 개가 연속적으로 심지부에 권취되는 쓰레기통.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는 상기 일단이 상기 타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심지부에 권취되는 쓰레기통.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는 복수의 봉투로 이루어져 포장용구에 포함되고,
    상기 포장용구는, 상기 복수의 봉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봉투부와, 띠 형상의 밴드부를 포함하는 쓰레기통.
  10. 제9 항에 있어서,
    막대 형상의 심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봉투는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심지부에 감겨지고, 상기 밴드부는 상기 봉투부의 일 측에 위치하여 상기 심지부에 감겨지는 쓰레기통.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상기 봉투부의 적어도 일 측에 연결되는 쓰레기통.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봉투는 각각의 상기 봉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봉투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절취선에 의해 각각 분리되고,
    상기 밴드부는 상기 봉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절취선에 의해 상기 봉투부로부터 분리되는 쓰레기통.
  13. 제1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절취선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절취선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접합선과,
    상기 제2 절취선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 접합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봉투는 후단이 개방되고 전단이 폐쇄되는 쓰레기통.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연속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는 상기 밴드부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절취선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제3 절취선은 상기 제1 절취선으로부터 동일 선상으로 연장되거나, 상기 제1 절취선과 어긋나게 연장되는 쓰레기통.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취선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4 절취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4 절취선은 상기 제2 절취선과 동일 측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2 절취선과 대향된 측에 위치하는 쓰레기통.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상기 봉투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봉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확장구가 형성되고, 상기 밴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확장구가 형성되는 쓰레기통.
  17.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봉투는 연속적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상기 봉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봉투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절취선에 의해 각각 분리되고,
    상기 밴드부는 상기 제1 절취선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 절취선에 의해 상기 봉투로부터 분리되는 쓰레기통.
  18. 제17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절취선 또는 각각의 상기 제2 절취선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절취선 또는 상기 제2 절취선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접합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봉투는 후단이 개방되고 전단이 폐쇄되는 쓰레기통.
  19. 제18 항에 있어서,
    막대 형상의 심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봉투와 상기 밴드부는 상기 심지부에 감겨지는 쓰레기통.
  2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부는 일 면에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봉투의 개구부를 거치하는 거치부가 형성되는 쓰레기통.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봉투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쓰레기통.
  22. 복수의 봉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봉투부; 및
    띠 형상의 밴드부를 포함하는 포장용구.
  23. 제22 항에 있어서,
    막대 형상의 심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봉투는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심지부에 감겨지고, 상기 밴드부는 상기 봉투부의 일 측에 위치하여 상기 심지부에 감겨지는 포장용구.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상기 봉투부의 적어도 일 측에 연결되는 포장용구.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봉투는 각각의 상기 봉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봉투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절취선에 의해 각각 분리되고,
    상기 밴드부는 상기 봉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절취선에 의해 상기 봉투부로부터 분리되는 포장용구.
  26. 제25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절취선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절취선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접합선과,
    상기 제2 절취선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 접합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봉투는 후단이 개방되고 전단이 폐쇄되는 포장용구.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연속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는 상기 밴드부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절취선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제3 절취선은 상기 제1 절취선으로부터 동일 선상으로 연장되거나, 상기 제1 절취선과 어긋나게 연장되는 포장용구.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취선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4 절취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4 절취선은 상기 제2 절취선과 동일 측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2 절취선과 대향된 측에 위치하는 포장용구.
  29.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봉투는 연속적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상기 봉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봉투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절취선에 의해 각각 분리되고,
    상기 밴드부는 상기 제1 절취선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 절취선에 의해 상기 봉투로부터 분리되는 포장용구.
  30. 제29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절취선 또는 각각의 상기 제2 절취선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절취선 또는 상기 제2 절취선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1 접합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봉투는 후단이 개방되고 전단이 폐쇄되는 포장용구.
  31. 제30 항에 있어서,
    막대 형상의 심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봉투와 상기 밴드부는 상기 심지부에 감겨지는 포장용구.
KR1020150025526A 2015-02-24 2015-02-24 쓰레기통 KR101688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526A KR101688466B1 (ko) 2015-02-24 2015-02-24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526A KR101688466B1 (ko) 2015-02-24 2015-02-24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266A true KR20160103266A (ko) 2016-09-01
KR101688466B1 KR101688466B1 (ko) 2016-12-21

Family

ID=56942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526A KR101688466B1 (ko) 2015-02-24 2015-02-24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4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963Y1 (ko) * 2017-01-12 2017-03-21 안영섭 롤형 비닐봉투의 인출 및 절단장치
KR200482840Y1 (ko) * 2017-01-02 2017-03-22 안영섭 쓰레기통의 악취 방지용 보조덮개 개폐장치
CN110626679A (zh) * 2019-09-30 2019-12-31 淮阴工学院 一种智能厨房垃圾桶
CN114572477A (zh) * 2022-02-28 2022-06-03 深圳市普渡科技有限公司 垃圾打包装置、清洁设备及打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547Y1 (ko) * 2017-05-01 2019-02-18 이재석 쓰레기통
KR102099953B1 (ko) * 2018-10-12 2020-04-13 전규리 냉동보관용 음식물 쓰레기통
KR102300874B1 (ko) * 2020-01-17 2021-10-21 이현구 비닐봉투 밀봉 및 절단 기능을 구비한 휴지통
KR200495146Y1 (ko) 2020-11-06 2022-03-14 안영섭 쓰레기통의 악취 차단용 밀폐덮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5910U (ja) * 1992-02-11 1993-08-31 倉三 桜井 ゴミ袋付き容器
JP2005219841A (ja) * 2004-02-03 2005-08-18 Makino Sogo Kenkyusho:Kk ゴミ袋
JP2006327703A (ja) * 2005-05-23 2006-12-07 Iris Ohyama Inc 開閉装置、及び袋収納容器
KR20100006760U (ko) * 2008-12-24 2010-07-02 싱클레어 월드와이드 인코포레이티드 이중 덮개를 갖는 휴지통
KR20120005410U (ko) 2011-01-18 2012-07-26 김기홍 인출식 비닐봉지가 수납된 쓰레기통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5910U (ja) * 1992-02-11 1993-08-31 倉三 桜井 ゴミ袋付き容器
JP2005219841A (ja) * 2004-02-03 2005-08-18 Makino Sogo Kenkyusho:Kk ゴミ袋
JP2006327703A (ja) * 2005-05-23 2006-12-07 Iris Ohyama Inc 開閉装置、及び袋収納容器
KR20100006760U (ko) * 2008-12-24 2010-07-02 싱클레어 월드와이드 인코포레이티드 이중 덮개를 갖는 휴지통
KR20120005410U (ko) 2011-01-18 2012-07-26 김기홍 인출식 비닐봉지가 수납된 쓰레기통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840Y1 (ko) * 2017-01-02 2017-03-22 안영섭 쓰레기통의 악취 방지용 보조덮개 개폐장치
KR200482963Y1 (ko) * 2017-01-12 2017-03-21 안영섭 롤형 비닐봉투의 인출 및 절단장치
CN110626679A (zh) * 2019-09-30 2019-12-31 淮阴工学院 一种智能厨房垃圾桶
CN110626679B (zh) * 2019-09-30 2024-03-26 淮阴工学院 一种智能厨房垃圾桶
CN114572477A (zh) * 2022-02-28 2022-06-03 深圳市普渡科技有限公司 垃圾打包装置、清洁设备及打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8466B1 (ko)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466B1 (ko) 쓰레기통
US11772888B2 (en) Cassette and apparatus for packing disposable objects into an elongated tube of flexible material
US20080083757A1 (en) Liner replacement trash can
US6283405B1 (en) Dispenser for trash container liners
MX2008016021A (es) Receptaculo de basura con bolsas suministrables.
JP2005517606A (ja) 廃棄物収納パックを形成及び収納する装置
KR20150096680A (ko) 담뱃갑
KR200449987Y1 (ko) 쓰레기통
US4941653A (en) Combination newspaper and trash receptacle
KR200421371Y1 (ko) 연속적으로 비닐봉투를 공급하는 쓰레기통
JP2586224Y2 (ja) パッケージング装置
US20050098464A1 (en) Dispenser for trash container liners
KR101548723B1 (ko) 압축 쓰레기통
KR200252431Y1 (ko) 쓰레기통
JP2001070196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用容器及びその取出・収納方法
JP2002370801A (ja) ごみ箱
KR20030032710A (ko) 쓰레기 봉투 거치함
CA2383799A1 (en) Apparatus for packaging objects to be disposed of into pouches formed along a tube of plastic material
KR102339877B1 (ko) 링형 두루마리 봉지용 카트리지
KR200306517Y1 (ko) 포장재 및 폐기물 압축고정용 압착테이프
KR200188615Y1 (ko) 묶음이 용이한 봉투
EP1673235B1 (en) A dispenser for folders
JPH0948477A (ja) ティッシュペーパの包装容器
KR970004714Y1 (ko) 압축식 쓰레기통
CN116472238A (zh) 废弃物储存薄膜替换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