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959A - 세포 배양배지를 포함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세포 배양배지를 포함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959A
KR20160102959A KR1020167002821A KR20167002821A KR20160102959A KR 20160102959 A KR20160102959 A KR 20160102959A KR 1020167002821 A KR1020167002821 A KR 1020167002821A KR 20167002821 A KR20167002821 A KR 20167002821A KR 20160102959 A KR20160102959 A KR 20160102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group
pharmaceutical composition
hydrochloride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화
김영준
김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코즈글로벌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코즈글로벌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코즈글로벌코리아
Publication of KR20160102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9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47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 A61K31/427Thiazoles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15Pyridoxine, i.e. Vitamin B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61K31/51Thiamines, e.g. vitamin B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4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포 배양배지를 포함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과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방법, 또는 피부 상태 개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피부의 탈과립화 및 염증반응 관련 물질의 발현을 억제하고, 피부장벽 관련 물질의 발현을 촉진하며, 손상된 피부의 회복에 효과를 나타내어, 상기 세포 배양배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나, 피부상태를 개선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세포 배양배지를 포함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SKIN DISEASES COMPRISING CELL CULTURE MEDIUM}
본 발명은 세포 배양배지를 포함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과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방법, 또는 피부 상태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 도시화의 심화로 식생활과 주거생활의 변화, 환경오염에 의한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유해물질에 대한 노출로, 다양한 연령층에서 알레르기 질환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인체가 무해한 외부 환경에 대해서도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천식이나 비염과 같은 호흡기 질환 또는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피부질환 등으로 나타나게 된다.
특히 피부는 외부 알레르기 유발 물질이 공기, 음식 등에 의해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과민한 면역 반응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와 같은 알레르기성 피부 질환은 음식물, 세균, 진드기, 기후환경인자 등 외부 항원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발병하는 염증 질환으로 개인의 유전적인 특성 때문에 다양한 환경 인자들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 개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여기서 알레르기란, 면역 불균형에 의한 과민반응의 일종으로 알러젠(allergn)이라는 특정한 항원에 대하여 나타나는 반응이다. 알레르기 반응은, 히스티딘이 L-히스티딘 디카복시레이즈에 의해 디카복실레이션되어 형성된 히스타민이 비만세포나 호염구에 과립형태로 저장되는데 이들이 알러젠과 결합하여 시작되고, 이때 세포가 탈과립되어 히스타민과 β-헥소사미니데이즈(hexoxaminidase)를 분비한다.
알레르기성 질환의 하나인 아토피성 피부염은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서, 주로 유아기 및 소아기에 시작되는 만성적이고 재발성의 피부질환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발병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규명되지 않은 상태이나, 환경적 요인, 유전적 소인, 면역화학적 반응 및 피부보호막 이상 등이 주요 발병원인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이의 증상도 소양증, 피부 건조증, 습진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환자의 연령에 따라 피부 병변의 분포 및 반응 양상도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현재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를 위해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약물은 통상 국소 스테로이드, 국소 면역 조절제, 전신 스테로이드제, 전신면역억제제, 항히스타민제 등이 있으나, 이들 약물의 투여 또는 복용에 의해 각종 부작용의 발생 위험이 있다는 점에서 안전하고, 피부 건조증, 피부 보호막 이상 등의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우수한 활성 성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DMEM/F12(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F12)는 일반적으로 세포의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로, 다양한 종류의 아미노산, 비타민, 무기염 및 기타 물질로 구성되어 있어 세포가 성장 및 분화에 있어 안정적인 환경을 조성하나, 상기 배지 또는 상기 배지의 일부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피부질환 치료 또는 피부상태 개선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은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포 배양배지 또는 이의 일부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포 배양배지 또는 이의 일부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상태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포 배양배지를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의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또한 본 발명은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포 배양배지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상태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또한 본 발명은 피부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화장료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세포 배양배지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피부의 탈과립화 및 염증반응 관련 물질의 발현을 억제하고, 피부장벽 관련 물질의 발현을 촉진하며, 손상된 피부의 회복에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나, 피부상태를 개선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하기 본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의 조성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β-헥소사미니데이즈의 농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조성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히스타민의 농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조성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IL-6의 발현 변화를 mRNA 수준에서 확인한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조성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세린 팔미토일트렌스퍼레이즈(SPT)의 발현 변화를 mRNA 수준에서 확인한 것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조성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 변화를 mRNA 수준에서 확인한 것이다.
도 6은 실시예 2의 조성물 및 비교예 1의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라우릴황산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SLS)으로 손상된 세포의 증식률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2의 조성물 및 비교예 1의 추출물을 처리한 후, UV에 손상된 세포의 증식률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예 2의 조성물 및 비교예 1의 추출물을 처리한 후, UV에 손상된 인공피부의 회복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실시예 2의 조성물 및 비교예 1의 추출물을 처리한 후, UV에 손상된 세포의 IL-1α의 발현량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실시예 2의 조성물 및 비교예 1의 추출물을 처리한 후, UV에 손상된 세포의 TNF-α의 발현량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세포 배양배지를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한 용어 “세포 배양배지”또는 “배양배지”는 시험관 내에서(in vitro) 세포 성장 및 생존을 위해 세포가 필요로 하는 성분을 함유하거나, 세포 성장 및 생존을 돕는 성분을 함유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분은 비타민, 필수 또는 비필수 아미노산, 및 미량 원소일 수 있다. 상기 배지는 세포, 바람직하게는 진핵세포, 더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세포의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일 수 있다.
세포 배양배지의 예로는 DMEM/F12, DMEM, MEMα 등이 알려져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배양배지는 무혈청 배지(serum-free)이다. 무혈청 배지는 인간을 포함한 동물로부터 유래된 혈청(예를 들어, 동물 유래 혈청)을 함유하지 않는 배양 배지를 의미한다. 동물 유래 혈청은 배양하고자 하는 세포의 성장을 위한 범용적인 영양분을 제공하나, 미확인된 미량 성분을 포함하므로 분석이 어렵고, 재현성 있는 시험 및 생산공정을 확립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인체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배양배지는 무혈청 배지로 인체에 대한 안정성이 보장되고, 재현성 있는 시험 및 생산공정의 확립이 가능하다.
상기 세포 배양배지는 아미노산 성분, 비타민 성분, 무기염 성분 및 기타 성분으로 구성되며,
a) 상기 아미노산 성분은 글리세린, L-알라닌, L-아르기닌 하이드로클로라이드, L-시스테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모노하이드레이트, L-글루타민, L-히스티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모노하이드레이트, L-리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L-메티오닌, L-프롤린, L-세린, L-트레오닌 및 L-발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또는 이의 조합이고,
b) 상기 비타민 성분은 i-이노시톨, 티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나이아신아미드 및 피리독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또는 이의 조합이며,
c) 상기 무기염 성분은 염화나트륨(NaCl),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염화칼륨(KCl), 염화칼슘(CaCl2)(무수) 및 인산수소나트륨 모노하이드레이트(NaH2PO4-H2O)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또는 이의 조합이고,
d) 기타 성분은 D-글루코즈(덱스트로즈) 또는 소듐 피루베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구체예에 의하면, 상기 세포 배양배지는 글리세린, L-알라닌, L-아르기닌 하이드로클로라이드, L-시스테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모노하이드레이트, L-글루타민, L-히스티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모노하이드레이트, L-리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L-메티오닌, L-프롤린, L-세린, L-트레오닌, L-발린, i-이노시톨, 티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나이아신아미드, 피리독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화나트륨(NaCl),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염화칼륨(KCl), 염화칼슘(CaCl2)(무수), 인산수소나트륨 모노하이드레이트(NaH2PO4-H2O), D-글루코즈(덱스트로즈) 및 소듐 피루베이트으로 구성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포 배양배지는 상기 약학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0.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그 효과가 미비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아미노산 성분은 단백질 합성의 원료로 세포의 성장에 이용되며, 이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0.2 중량%의 글리세린, 0.01 내지 0.1 중량%의 L-알라닌, 0.5 내지 3 중량%의 L-아르기닌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1 내지 0.2 중량%의 L-시스테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모노하이드레이트, 2 내지 3 중량%의 L-글루타민, 0.1 내지 0.5 중량%의 L-히스티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모노하이드레이트, 0.4 내지 1.0 중량%의 L-리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1 내지 0.5 중량%의 L-메티오닌, 0.1 내지 0.5 중량%의 L-프롤린, 0.1 내지 0.3 중량%의 L-세린, 0.3 내지 0.6 중량%의 L-트레오닌 및 0.3 내지 0.6 중량%의 L-발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미노산 성분 및 함량에 대한 일구체예는 0.12 내지 0.14 중량%의 글리세린, 0.02 내지 0.04 중량%의 L-알라닌, 1.01 내지 1.06 중량%의 L-아르기닌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11 내지 0.15 중량%의 L-시스테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모노하이드레이트, 2.3 내지 2.8 중량%의 L-글루타민, 0.20 내지 0.25 중량%의 L-히스티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모노하이드레이트, 0.5 내지 0.8 중량%의 L-리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1 내지 0.3 중량%의 L-메티오닌, 0.1 내지 0.3 중량%의 L-프롤린, 0.16 내지 0.2 중량%의 L-세린, 0.35 내지 0.40 중량%의 L-트레오닌 및 0.35 내지 0.40 중량%의 L-발린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함량으로 아미노산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세포의 성장 및 유지에 도움을 주고 제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비타민 성분은 세포의 활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0.1 중량%의 i-이노시톨, 0.01 내지 0.1 중량%의 티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005 내지 0.03 중량%의 나이아신아미드 및 0.01 내지 0.1 중량%의 피리독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비타민 성분 및 함량에 대한 일구체예는 0.08 내지 0.09 중량%의 i-이노시톨, 0.01 내지 0.02 중량%의 티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01 내지 0.02 중량%의 나이아신아미드 및 0.01 내지 0.02 중량%의 피리독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함량으로 비타민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세포 활성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무기염 성분은 세포 기능의 발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이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 내지 55 중량%의 염화나트륨(NaCl), 10 내지 20 중량%의 탄산수소나트륨(NaHCO3), 1 내지 3 중량%의 염화칼륨(KCl), 0.5 내지 1.0 중량%의 염화칼슘(CaCl2)(무수) 및 0.2 내지 0.7 중량%의 인산수소나트륨 모노하이드레이트(NaH2PO4-H2O)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무기염 성분 및 함량에 대한 일구체예는 45 내지 50 중량%의 염화나트륨(NaCl), 15 내지 18 중량%의 탄산수소나트륨(NaHCO3), 2.0 내지 2.5 중량%의 염화칼륨(KCl), 0.8 내지 0.9 중량%의 염화칼슘(CaCl2)(무수) 및 0.4 내지 0.5 중량%의 인산수소나트륨 모노하이드레이트(NaH2PO4-H2O)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함량으로 무기염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세포 기능 조절에 도움이 되고 의약품이나 화장품으로 제형화시키는 데 어려움이 없다.
상기 기타 성분은 에너지원으로 역할을 하는 탄소원 또는 배지의 pH를 유지하는 성분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30 중량%의 D-글루코즈(덱스트로즈) 또는 0.3 내지 0.5 중량%의 소듐 피루베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기타 성분 및 함량에 대한 일구체예는 20 내지 25 중량%의 D-글루코즈(덱스트로즈) 또는 0.35 내지 0.4 중량%의 소듐 피루베이트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기타 성분은, 예를 들어 탄소원은 에너지를 생성하여 세포 성장에 도움을 주고 제형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피부 질환은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 피부 습진, 여드름, 건선, 가려움증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아미노산 성분, 비타민 성분, 무기염 성분, 기타 성분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 성분은 일반적인 동물 세포 배양 배지에 사용되는 아미노산 성분이면 어떤 아미노산 성분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L-아스파라긴-모노하이드레이트, L-아스파르트산, L-시스틴 2HCl, L-글루탐산, L-이소류신, L-류신, L-페닐알라닌, L-트립토판, L-티로신 디소듐염 디하이드레이트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비타민 성분은 일반적인 동물 세포 배양 배지에 사용되는 비타민 성분이면 어떤 비타민 성분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바이오틴, D-판토텐산칼슘, 엽산, 리보플라빈, 비타민 B12,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무기염 성분은 일반적인 동물 세포 배양 배지에 사용되는 무기염 성분이면 어떤 무기염 성분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황산동 펜타하이드레이트(CuSO4-5H2O), 황산제이철 헵타하이드레이트(FeSO4-7H2O), 염화마그네슘(무수), 황산마그네슘(MgSO4)(무수), 인산수소이나트륨(Na2HPO4) 무수, 황산아연 헵타하이드레이트(ZnSO4-7H2O)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기타 성분은 일반적인 동물 세포 배양 배지에 사용되는 성분이면 어떤 성분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히포크산틴 Na, 리놀렌산, 리포산, 푸트레신 2HCl, 티미딘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약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중량% 내지 약 9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90 중량% 내지 약 99.99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는 약 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국소 투여 방식으로 피부에 직접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경피 투여 주사제, 연고제, 액제, 크림제, 결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등과 같은 피부 외용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약학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의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이 도포될 수 있는 대상은 포유동물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인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세포 배양배지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은 약학 조성물과 유효성분이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의 발생 억제, 피부 노화 억제,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재생, 상처 또는 창상 회복(wound healing), 각막 재생, 피부자극완화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피부 세포의 기능 저하 또는 손실로부터 피부를 보호 또는 피부 상태를 개선하거나, 또는 피부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피부 질환은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 피부 습진, 여드름, 건선, 가려움증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상태의 개선을 목적으로 피부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화장료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담체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하이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담체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용매, 용매화제, 유탁화제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담체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의 예로는,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이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가칸트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담체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담체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담체 성분"이란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에 접촉 시 인체가 적응가능한 이상의 독성, 불안정성 또는 자극성이 없는 성분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담체 성분 이외에도,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보습제, 안료, 향료,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계면 활성제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라면 사용에 제한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상태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화장료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피부 상태를 개선하는 방법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의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은 포유동물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인간일 수 있다.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그 형태에 따라 피부에 직접 도포하거나, 분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량 및 하루 사용 횟수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용도, 증상의 정도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적당량을 하루 1 내지 6회의 빈도로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용매로서 초순수정제수를 사용하여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무혈청 DMEM/F12 배지(Gibco, USA)의 농도를 각각 2%, 10%, 50% 또는 100%로 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무혈청 DMEM/F12의 조성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실시예 2
하기 표 2에 기재된 각 성분을 용매로서 초순수정제수에 충분히 용해시켜 모든 성분들이 녹은 것을 확인한 뒤, 0.22 ㎛ 여과기로 여과하였다. 그 후, 상기 여과물을 세포 배양 배지 내의 최종 농도가 0.5%, 1%, 2%, 5% 또는 8%가 되도록 초순수정제수로 희석하여 첨가하였다. 하기 기재된 각 구성성분은 대한민국 식약처에서 고시한 화장품 원료집에 등재되어 있는 물질로서, 모두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 USA)에서 구입하였다.
[표 2]
혼합 조성물의 조성
Figure pct00003
비교예 1
대조군으로 사용하기 위한 마치현 추출물은 화장품 전문업체인 코스맥스㈜에서 40% 마치현 추출물을 제공받아 사용하였다. 상기 40%의 마치현 추출물을 처리할 때 초순수정제수로 희석하여 최종 농도가 0.5%, 1%, 2%, 5% 또는 8%가 되도록하였다.
실험예 1: 탈과립화 정도 비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알레르기 반응에 의해 시작되는 탈과립화의 지표인 β-헥소사미니데이즈의 농도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먼저, 배양 접시에서 배양 중인 호염기성 비만세포(rat basophilic leukemia cell, 한국세포주은행)를 트립신 0.5%(w/v)로 처리하여 배양 접시로부터 분리시켰다. 상기 분리된 호염기성 비만세포 2×105개를 0.5 mg/㎖ 농도의 항-DNP IgE(Sigma-Aldrich, USA)와 함께 섞어준 후, 96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넣어 주었다. 하루 동안 37℃ 및 5%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후 96 웰 플레이트 바닥에 세포가 완전히 붙으면 기존의 배양액을 제거한 후, 타이로드 용액(NaCl: 137 mmol/ℓ, KCl: 2.7 mmol/ℓ, CaCl2: 1.8 mmol/ℓ, MgCl2: 1 mmol/ℓ, 글루코즈: 5.6 mmol/ℓ, HEPES: 20 mmol/ℓ, BSA: 0.1%, NaOH로 pH 7.3으로 적정 후, 필터로 멸균하여 4℃에서 보관)을 사용하여 세척하였다. 상기 세척된 세포에 실시예 1의 DMEM/F12 배지를 농도별로 각각 처리하고, 1 μM DNP-HSA 용액(Sigma-Aldrich, USA)을 첨가하여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때, 음성 대조군으로는 DMEM/F12 배지가 포함되지 않은 용매를 사용하였다.
이어, 상기 반응물의 세포배양액 50 ㎕를 취하여 1 mM p-니트로페닐-N-아세틸-β-d-글루코사미니데가 포함된 0.1 M 시트르산나트륨(pH 4.5) 50 ㎕와 혼합한 뒤 이를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을 종료시키기 위해 0.1 M Na2CO3 및 0.1 M NaHCO3(pH 10)가 함유된 카보네이트 완충용액 200 ㎕를 처리한 뒤, 모델 680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Bio-rad, USA)를 이용하여 405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음성 대조군의 흡광도 값을 기준으로 하여 농도별로 DMEM/F12를 처리한 군의 흡광도 값을 비교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DMEM/F12 배지를 100%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β-헥소사미니데이즈의 농도가 약 30% 감소하였으며, 2%, 10% 또는 50%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에도 유의적으로 β-헥소사미니데이즈의 농도가 감소되어 DMEM/F12 배지가 탈과립화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히스타민 합성 억제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히스타민 합성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먼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물을 수득한 뒤, 상기 반응물의 세포 배양액을 모아 제조사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히스타민에 대한 ELISA 분석 키트(Oxford biomedical research,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음성 대조군의 히스타민 농도를 기준으로 하여 농도별로 DMEM/F12를 처리한 군의 히스타민 농도를 비교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DMEM/F12 배지를 100%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히스타민의 농도가 약 30% 감소하였으며, 2%, 10% 또는 50%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에도 유의적으로 히스타민의 농도가 감소되어 DMEM/F12 배지가 히스타민의 합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염증반응 및 피부장벽 관련 물질의 발현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이 아토피에 의한 염증반응 또는 피부장벽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interleukin-6), 피부장벽 구성요소인 필라그린, 및 손상된 피부장벽 회복에 중요한 요소인 세린 팔미토일트렌스퍼레이즈(SPT)의 발현을 mRNA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물을 수득한 뒤, 0.05% 트립신을 처리하여 획득한 세포에서 트리졸(trizol)로 mRNA를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된 mRNA로부터 cDNA의 합성은 ReverTra Ace® qPCR Master Mix(TOYOBO, Japan)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수행하였고, 이때 사용된 프라이머(Cosmogenetech, Korea)는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3]
염증반응 및 피부장벽 관련 물질 발현 확인에 사용된 프라이머
Figure pct00004
그리고 나서, 모든 PCR 결과물은 1.5%의 아가로스 젤에 전기영동을 수행하고, BioRad Molecular Imager® GelDoc™ XR(BioRad, USA)로 이미지를 확인하였으며, 음성 대조군의 IL-6, 필라그린 및 세린 팔미토일트렌스퍼레이즈 발현량을 기준으로 하여 농도별로 DMEM/F12를 처리한 군의 발현량을 비교한 결과를 도 3 내지 5에 나타내었다.
도 3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염증반응 관련물질인 IL-6의 경우 DMEM/F12 배지를 처리한 농도에 의존적으로 발현이 억제된 반면, 피부장벽 관련물질인 필라그린 및 세린 팔미토일트렌스퍼레이즈는 DMEM/F12 배지의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이 증가함으로써, 상기 DMEM/F12 배지가 염증반응을 억제하고, 피부 상태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세포 증식률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조성물이 피부 세포의 증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라우릴황산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SLS) 또는 UV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회복률을 확인하였다.
먼저, 배양 접시에서 배양 중인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 cell, 한국세포주은행)를 트립신 0.5%(w/v)로 처리하여 배양 접시로부터 분리시켰다. 상기 분리된 섬유아세포 4×103개를 96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넣어 주었다. 하루 동안 37℃ 및 5%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무혈청 배지로 굶주리게 한 뒤, 0.005%(v/v)의 SLS 또는 30 mJ의 UVA를 처리하고, 실시예 2의 혼합 조성물을 각각의 농도로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 대조군 및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마치현 추출물 처리군을 사용하였다.
상기 24시간 동안 반응한 세포의 증식율을 분석하기 위해 각각의 웰에 CCK 용액(Dojindo, Japan)을 10 ㎕ 첨가한 뒤, 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모델 680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 대조군의 흡광도 값을 기준으로 하여, 실시예 2 또는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처리한 군의 세포 증식율을 비교한 결과를 도 6 및 7에 나타내었다.
도 6 및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치현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 있어서는 세포 증식이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실시예 2의 혼합 조성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킴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혼합 조성물 또는 상기 조성물을 구성성분으로 포함하는 DMEM/F12 배지가 피부재생 또는 피부자극 완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UVA에 대한 민감도 완화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인공피부에서 UVA에 대한 민감도 완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먼저, 인공피부는 테고사이언스㈜에 표피부분의 제조를 의뢰하여 구입하였다. 상기 인공피부 6개를 한천에서 떼어내어 6웰 플레이트로 옮긴 뒤, 함께 제공받은 보존 배지(maintenance medium, TA-MM001, Tego science, Korea)를 3 ㎖ 첨가하여 하루 동안 37℃ 및 5%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안정화시켰다. 상기 안정화된 인공피부 중 5개를 1 ㎖의 PBS가 첨가된 새로운 6웰 플레이트로 옮겨 1 J의 UVA(ultraviolet-A, 방사스펙트럼 315 내지 400 ㎚)에 노출시킨 뒤, 이를 PBS로 2회 세척하고, UVA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을 포함하는 6개의 인공피부를 새 6 웰 플레이트에 넣어주었다. 그 후, UVA에 노출되지 않은 대조군 및 UVA에 노출된 1개의 인공피부에 3 ㎖의 상기 보존 배지를 넣어주고, 나머지 4개의 인공피부에는 실시예 2의 조성물의 농도가 2%, 및 비교예 1의 마치현 추출물의 농도가 0.5%가 되도록 보존 배지와 섞어 3 ㎖씩 넣어주고 3일간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인공피부를 웰에서 꺼내 카세트에 넣은 뒤, 5% 포름알데히드 용액에 넣어 하루 동안 고정하고, 이를 H&E로 염색하여 피부조직을 관찰 및 촬영한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UVA만 처리한 군은 이를 처리하지 않은 군과 비교하여 인공피부가 손상되었고, 여기에 비교예 1의 마치현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는 손상된 인공피부에 변화가 없었으나, 실시예 2의 혼합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에는 UVA에 의해 손상된 인공 피부가 정상에 가깝게 회복됨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실시예 2의 혼합 조성물 또는 상기 조성물을 구성성분으로 포함하는 DMEM/F12 배지가 피부 민감성 완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UVA에 노출된 인공피부에서 염증반응 관련 물질에 대한 영향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조성물이 UVA에 노출된 인공피부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α(interleukin-1α) 및 TNF-α(tumor necrosis factor-α)의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였다.
먼저, 상기 실험예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인공피부에 실시예 2의 조성물 및 비교예 1의 마치현 추출물을 처리하여 3일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배양액을 수득하여 IL-1α 및 TNF-α의 양을 각각 IL-1α ELISA 키트(Koma biotech, Korea) 및 TNF-a ELISA 키트(R&D System, USA)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가이드라인을 따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9 및 10에 나타내었다.
도 9 및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UVA만 처리한 군은 이를 처리하지 않은 군과 비교하여 IL-1α 및 TNF-α의 양이 증가하였고, 여기에 비교예 1의 마치현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 실시예 2의 혼합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에 상기 IL-1α 및 TNF-α의 양을 더욱 현저하게 저해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혼합 조성물 또는 상기 조성물을 구성성분으로 포함하는 DMEM/F12 배지가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피부질환 치료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23)

  1. 세포 배양배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배양배지는 DMEM/F12, DMEM, MEMα 및 이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배양배지는 무혈청(serum-free) 배지인,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배양배지는 아미노산 성분, 비타민 성분, 무기염 성분 및 기타 성분으로 구성되며,
    a) 상기 아미노산 성분은 글리세린, L-알라닌, L-아르기닌 하이드로클로라이드, L-시스테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모노하이드레이트, L-글루타민, L-히스티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모노하이드레이트, L-리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L-메티오닌, L-프롤린, L-세린, L-트레오닌 및 L-발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또는 이의 조합이고,
    b) 상기 비타민 성분은 i-이노시톨, 티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나이아신아미드 및 피리독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비타민 또는 이의 조합이며,
    c) 상기 무기염 성분은 염화나트륨(NaCl),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염화칼륨(KCl), 염화칼슘(CaCl2)(무수) 및 인산수소나트륨 모노하이드레이트(NaH2PO4-H2O)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기염 또는 이의 조합이고,
    d) 상기 기타 성분은 D-글루코즈(덱스트로즈) 또는 소듐 피루베이트인, 약학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배양배지는 글리세린, L-알라닌, L-아르기닌 하이드로클로라이드, L-시스테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모노하이드레이트, L-글루타민, L-히스티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모노하이드레이트, L-리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L-메티오닌, L-프롤린, L-세린, L-트레오닌, L-발린, i-이노시톨, 티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나이아신아미드, 피리독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화나트륨(NaCl),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염화칼륨(KCl), 염화칼슘(CaCl2)(무수), 인산수소나트륨 모노하이드레이트(NaH2PO4-H2O), D-글루코즈(덱스트로즈) 및 소듐 피루베이트로 구성되는, 약학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성분은 0.1 내지 0.2 중량%의 글리세린, 0.01 내지 0.1 중량%의 L-알라닌, 0.5 내지 3 중량%의 L-아르기닌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1 내지 0.2 중량%의 L-시스테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모노하이드레이트, 2 내지 3 중량%의 L-글루타민, 0.1 내지 0.5 중량%의 L-히스티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모노하이드레이트, 0.4 내지 1.0 중량%의 L-리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1 내지 0.5 중량%의 L-메티오닌, 0.1 내지 0.5 중량%의 L-프롤린, 0.1 내지 0.3 중량%의 L-세린, 0.3 내지 0.6 중량%의 L-트레오닌 및 0.3 내지 0.6 중량%의 L-발린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7. 제4항 있어서, 상기 비타민 성분은 0.01 내지 0.1 중량%의 i-이노시톨, 0.01 내지 0.1 중량%의 티아민클로라이드, 0.005 내지 0.03 중량%의 나이아신아미드 및 0.01 내지 0.1 중량%의 피리독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염 성분은 45 내지 50 중량%의 염화나트륨(NaCl), 15 내지 18 중량%의 탄산수소나트륨(NaHCO3), 2.0 내지 2.5 중량%의 염화칼륨(KCl), 0.8 내지 0.9 중량%의 염화칼슘(CaCl2)(무수) 및 0.4 내지 0.5 중량%의 인산수소나트륨 모노하이드레이트(NaH2PO4-H2O)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 성분은 20 내지 25 중량%의 D-글루코즈(덱스트로즈) 또는 0.35 내지 0.4 중량%의 소듐 피루베이트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배양배지가 1 내지 10 중량%인, 약학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질환이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 피부 습진, 여드름, 건선, 가려움증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약학 조성물.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 배양배지에 아미노산 성분, 비타민 성분, 무기염 성분, 기타 성분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성분을 더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성분이 L-아스파라긴-모노하이드레이트, L-아스파르트산, L-시스틴 2HCl, L-글루탐산, L-이소류신, L-류신, L-페닐알라닌, L-트립토판, L-티로신 디소듐염 디하이드레이트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약학 조성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성분이 바이오틴, D-판토텐산칼슘, 엽산, 리보플라빈, 비타민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약학 조성물.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염 성분이 황산동 펜타하이드레이트(CuSO4-5H2O), 황산제이철 헵타하이드레이트(FeSO4-7H2O), 염화마그네슘(무수), 황산마그네슘(MgSO4)(무수), 인산수소이나트륨(Na2HPO4) 무수, 황산아연 헵타하이드레이트(ZnSO4-7H2O)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약학 조성물.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 성분이 히포크산틴 Na, 리놀렌산, 리포산, 푸트레신 2HCl, 티미딘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약학 조성물.
  17. 제1항에 따른 약학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의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은 포유동물인, 방법.
  19.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용도.
  20. 세포 배양배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이 주름의 발생 억제, 피부 노화 억제,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재생, 상처 또는 창상 회복(wound healing), 각막 재생, 피부자극완화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피부 세포의 기능 저하 또는 손실로부터 피부를 보호 또는 피부 상태를 개선시키는, 조성물.
  22. 제20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상태를 개선시키는 방법.
  23. 피부 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화장료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제20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용도.
KR1020167002821A 2015-01-26 2016-01-12 세포 배양배지를 포함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601029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07593P 2015-01-26 2015-01-26
US62/107,593 2015-01-26
PCT/KR2016/000276 WO2016122140A1 (ko) 2015-01-26 2016-01-12 세포 배양배지를 포함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959A true KR20160102959A (ko) 2016-08-31

Family

ID=56543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821A KR20160102959A (ko) 2015-01-26 2016-01-12 세포 배양배지를 포함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102959A (ko)
WO (1) WO20161221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238A1 (ko) * 2018-09-21 2020-03-26 메디포스트(주) 피부 세포 활성화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419B1 (ko) * 2009-03-20 2011-10-31 주식회사 스템메디언스 양수 내 태아 유래 중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한 피부 상태개선용 조성물
KR101413686B1 (ko) * 2011-12-02 2014-07-02 에스미디아주식회사 피부줄기세포 배양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245553B1 (ko) * 2012-01-19 2013-03-22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천연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단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동물세포 배양용 무혈청 배지 및 피부개선조성물
KR102083324B1 (ko) * 2013-02-19 2020-03-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동물세포 배양용 무혈청 배지 및 이를 이용한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0238A1 (ko) * 2018-09-21 2020-03-26 메디포스트(주) 피부 세포 활성화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00034331A (ko) * 2018-09-21 2020-03-31 메디포스트(주) 피부 세포 활성화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22140A1 (ko) 201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3943B1 (ko) 세포배양배지에 알부민, 히알루론산, 또는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CN107106459B (zh) 包含细胞培养基、表皮生长因子和牛血清白蛋白的用于改善皮肤状态的药物组合物
EP3288531B1 (en) Method of improving skin health and compositions therefor
JP2022500348A (ja) 皮膚科製品
KR20130088997A (ko) 생캐비어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육모, 발모, 탈모방지 및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3294694B2 (ja) ヒオウギ抽出物を含有する細胞賦活剤とその応用
TWI698247B (zh) 茶樹癒傷組織萃取物於護膚之用途
US20220331389A1 (en) Skin composition
KR101945349B1 (ko) 물질 p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 또는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KR20210093838A (ko) 2-푸코실락토오스를 포함하는 자가포식 활성 유도용 조성물
KR20160102959A (ko) 세포 배양배지를 포함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EP2585077B1 (en) Agent for suppressing the formation of abnormal skin cells caused by exposure to light
KR20200136928A (ko) 테트라셀미스 추출물
CN110769840A (zh) 源自节螺藻属的提取物及其用途
US11484484B2 (en) Composition for alleviating skin barrier dysfunction
JP6577581B2 (ja) Abh抗原の発現を調節する物質を含む組成物
EP3471835B1 (en) Use of extracts of deschampsia antartica for counteracting human skin barrier damage caused by environmental aggressions.
RU2352322C1 (ru) Дерматологическое и/или косметолог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защищающее кожу от последствий воздействия повреждающих факторов, средство, обладающее способностью элиминировать клетки с выраженной хромосомной нестабильностью
CN111182887A (zh) 用于改善皮肤皱纹或抗炎活性的包括物质p的化妆品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