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901A - 식품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901A
KR20160102901A KR1020160019627A KR20160019627A KR20160102901A KR 20160102901 A KR20160102901 A KR 20160102901A KR 1020160019627 A KR1020160019627 A KR 1020160019627A KR 20160019627 A KR20160019627 A KR 20160019627A KR 20160102901 A KR20160102901 A KR 20160102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plate
sushi
lift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9529B1 (ko
Inventor
아츠시 누마베
다카시 호소가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Publication of KR20160102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3P1/10
    • A23L1/182

Landscapes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성형 장치에 있어서, 초밥용 밥 등의 성형부(4)에는, 복수의 플레이트(70~73)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개 상태에서 판형으로 성형된 초밥용 밥이 배치되는 권체부(7)와, 왕동 동작에 의해 상기 권체부(7)를 통형으로 절첩함으로써 상기 초밥용 밥을 권체하여 기둥형으로 성형하고, 복동 동작에 의해 상기 권체부(7)를 전개 상태로 하는 리프터(8, 9)와, 상기 리프터를 왕복 구동시키는 권체 구동 모터(105)가 구비된다. 상기 권체 구동 모터(105)는, 상기 리프터(8, 9)를 왕동 동작시켜 상기 초밥용 밥을 말아 조인 상태에서, 미리 정해놓은 토크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리프터(8, 9)의 왕동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받는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초밥용 밥 상에 토핑되는 재료의 양이나 반력이 상이해도, 항상 일정한 밀도를 갖는 롤초밥을 얻을 수 있는 식품 성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품 성형 장치{APPARATUS FOR SHAPING FOOD}
본 발명은, 권체부(卷締部)에 공급되는 예컨대 초밥용 밥 상에, 필요에 따라 재료를 토핑하여 상기 권체부를 마는 것에 의해, 롤초밥 등을 제조하는 식품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숙련되지 않아도 김초밥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식품 성형 장치가 실용에 제공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11992호 공보(이하, 특허문헌 1이라고 함)에 기재되어 있는 식품 성형 장치는 그 하나로서, 초밥용 밥을 투입하는 호퍼와, 상기 초밥용 밥을 압연하는 압연부와, 복수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권체부를 구비한 성형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압연부는,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초밥용 밥을 판형으로 압연한다. 또한 권체부 상에는, 통상, 시트형의 건조 김(이하, 간단히 「김」이라고 함)이 깔리고, 이 김 상에 상기 판형으로 압연한 초밥용 밥이 겹쳐진다. 상기 성형부가 권체부를 구동하여 권체 동작을 함으로써, 김과 함께 초밥용 밥이 기둥형으로 성형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식품 성형 장치에서의 권체부는, 1장의 고정 플레이트와, 그 양끝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 플레이트와, 한쪽의 회전 플레이트에 더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또 하나의 회전 플레이트의 4장의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4장의 플레이트는 서로 링크 아암으로 연결되어 있다. 회전 플레이트의 이면측에 설치되어 있는 캠 부재가 리프트판에 의해 들어 올려짐으로써 각 회전 플레이트가 절첩(折疊)된다.
이 경우, 고정 플레이트의 양측의 회전 플레이트는 고정 플레이트에 대하여 직립한다. 또한, 또 하나의 회전 플레이트는, 링크 아암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에 연결됨으로써, 고정 플레이트에 대하여 평행이 되도록 절첩되어, 사각 기둥형의 김초밥을 제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식품 성형 장치는, 고정 플레이트의 양측의 회전 플레이트의 한쪽에 연결되어 있는 또 하나의 회전 플레이트를 상기 양측의 회전 플레이트에 추종하여 절첩하고, 초밥용 밥을 위에서 누름으로써 권체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김초밥을 예쁜 형태로 성형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21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식품 성형 장치의 제어 양태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 예에 있어서, 식품 성형 장치는 권체부에서의 2개의 위치를 센서(하위치 센서, 상위치 센서)로 검지하는 것과 경과 시간에 의해 권체 정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위치 센서는, 상기한 권체부를 구성하는 4장의 플레이트가 평면형으로 전개되는 리프트판의 하한 위치 부근에 배치되고, 상위치 센서는, 4장의 플레이트가 절첩 상태가 되는 리프트판의 상한 위치 부근에 배치된다.
성형 동작의 스타트와 함께, 리프트판을 이동시키는 권체 구동 모터(이하, 와인딩 모터라고 함)가 시동(스텝 S1)하고, 와인딩 모터는 정회전한다(스텝 S2). 이에 따라 리프트판은 상승하여, 4장의 플레이트가 순차적으로 절첩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위치 센서가 리프트판의 상한 위치 부근을 감지한 경우(스텝 S3)에는, 소정 시간 경과 후(스텝 S4)에, 와인딩 모터는 역회전된다(스텝 S5).
이에 따라 상승 상태의 리프트판은 하강하여, 권체부를 구성하는 4장의 플레이트는, 절첩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복귀한다. 계속해서 하위치 센서가 리프트판의 하한 위치 부근을 감지한 경우(스텝 S6)에는, 소정 시간 경과 후(스텝 S7)에, 와인딩 모터의 회전은 정지되고, 롤초밥의 성형 동작은 종료된다.
그런데, 상기한 식품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김초밥을 성형하는 경우에는, 권체부 상에 공급되는 판형으로 압연된 초밥용 밥 상에, 재료가 토핑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권체부가 마는 동작을 한다. 그리고, 토핑한 재료가 초밥용 밥의 대략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김초밥이 성형된다.
이 경우, 토핑되는 재료는 다종다양하고, 또한 초밥용 밥의 대략 중심부에 말아 넣어지는 재료의 양(체적)이나 재료가 갖는 반력도, 재료의 종류에 따라 변화된다. 예컨대, 조미된 박고지를 재료로 하는 박고지 김초밥을 성형하는 경우와, 오이와 다랑어육을 재료로 하는 갓파마키나 텟카마키를 성형하는 경우에서는, 재료의 양이나 재료의 반력도 각각 상이한 것이 된다.
이에 대하여,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식품 성형 장치는, 상기한 리프트판의 상한 부근의 위치 검출과, 그 후의 획일적인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와인딩 모터의 반전 구동에 의해, 권체부를 개폐 구동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초밥용 밥의 중심부에 말아 넣어지는 재료의 양(체적)이나 재료의 반력 등에 따라 김초밥의 성형 형태가 크게 상이하고, 성형된 김초밥의 권체의 정도가 일정하지 않다는 과제가 있다.
즉, 상기한 박고지 김초밥을 성형하는 경우에는, 재료의 체적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롤초밥의 중심부가 소위 듬성듬성해져 권체가 부족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한 갓파마키나 텟카마키를 성형하는 경우에는, 재료의 체적이 크고, 재료의 반력도 크기 때문에 단단히 권체되어, 외측의 김에 균열이 생기는 것과 같은 문제도 발생한다.
또,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식품 성형 장치에 관련된 발명으로서, 성형 동작 후의 권체부의 복귀 동작이 원활히 행해지도록, 상기 캠 부재와 리프트판을 자성체와 마그넷에 의해 자기적으로 결합한 식품 성형 장치가 제안되어 있고, 이것은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11991호 공보(이하, 특허문헌 2라고 함)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12-217364호 공보(이하, 특허문헌 3이라고 함)에는 두꺼운말이(후토마키), 중간말이(츄마키), 가는말이(호소마키)라고 불리는 것과 같이 직경이 상이한 롤초밥을 성형하기 위해, 권체부를 교환 가능하게 한 식품 성형 장치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즉, 직경이 상이한 롤초밥을 성형하는 각각의 권체부는, 서로 사이즈가 상이하기 때문에, 이것에 대응하여 리프트판의 돌출 위치 등의 설정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 설정이 잘못된 경우에는, 권체부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권체부나 리프트판의 구동부 등을 파손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장치는, 리프트판을 상승시키는 초기 단계에서, 리프트판의 구동 모터(와인딩 모터)를 낮은 토크로 구동하는 제어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에 개시된 식품 성형 장치에 있어서도, 초밥용 밥을 권체하는 최종 공정에서는, 구동 모터에 의한 획일적인 구동 동작에 기초하여 권체 동작이 행해진다. 따라서 이러한 점에서는, 상기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식품 성형 장치와 마찬가지이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3에 개시된 식품 성형 장치에 있어서도, 재료에 따라 성형된 김초밥의 권체의 정도가 일정하지 않고, 그 밀도가 고르지 않다고 하는 과제가 남겨진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 즉 판형으로 압연된 초밥용 밥 상에 토핑되는 재료의 양이나 반력이 상이해도, 안정된 권체 동작이 가능하고, 속의 재료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밀도를 갖는 롤초밥을 얻을 수 있는 식품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성형 장치는, 판형으로 성형된 식재료를 기둥형으로 말아 성형하는 성형부를 구비한 식품 성형 장치로서, 상기 성형부에는, 복수의 플레이트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개 상태에서 판형으로 성형된 식재료가 배치되는 권체부와, 상기 권체부를 구동시키는 권체 구동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권체 구동 모터는, 상기 권체부를 동작시켜 상기 식재료를 권체한 상태에서, 상기 권체 구동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가 미리 정해놓은 부하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권체부의 권체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가 이루어지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이 경우, 상기한 미리 정해놓은 부하가, 임의로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권체부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양끝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및 제2 회동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회동 플레이트에 더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3 회동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성형부는, 왕동(往動) 동작에 의해 상기 권체부를 통형으로 절첩함으로써 상기 식재료를 권체하여 기둥형으로 성형하는 상기 권체 동작을 하고, 복동(復動) 동작에 의해 상기 권체부를 전개 상태로 하는 리프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3 회동 플레이트의 이면에는, 상기 리프터에 접촉하여 상기 권체부를 통형으로 절첩하는 롤러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터에는 마그넷이 배치되고, 상기 롤러는 각각 자성체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상기 리프터와 롤러가 자기 흡인 수단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자기 흡인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리프터의 복동 동작에 따라 상기 권체부를 전개 상태로 하는 구성이 채용된다.
또한, 상기 리프터로서, 제1 회동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있는 롤러와, 제3 회동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있는 롤러를 각각 개별적으로 밀어 움직이는 2개의 리프터를 구비한 구성을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권체 구동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는, 권체 모터의 토크의 변화로부터 검출하는 수단, 권체 구동 모터의 회전 속도의 변화로부터 검출하는 수단, 권체 구동 모터로서 스테핑 모터를 이용하여, 스테핑 모터의 탈조(脫調) 상태로부터 검출하는 수단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식품 성형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권체부가 절첩됨으로써, 식재료가 권체된다. 이 경우, 상기 식재료를 권체하는 권체 구동 모터는, 상기 식재료를 권체한 상태에서, 권체 구동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가 미리 정해놓은 부하에 도달한 경우(예컨대 설정 토크에 도달한 경우, 회전 속도가 저하된 경우, 탈조 상태가 된 경우)에, 권체부의 권체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권체부에 의해 성형되는 식재료는, 권체 구동 모터에 미리 정해놓은 부하가 가해질 때까지, 권체되게 된다. 그 때문에, 예컨대 초밥용 밥 상에 토핑되는 재료의 양이나 반력이 상이해도, 각각 안정된 권체 동작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중앙 부분에 말아 넣어지는 재료의 양이나 반력 등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밀도를 갖는 롤초밥을 얻을 수 있는 식품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성형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권체부가 슬라이드하여 케이스 내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권체부가 절첩 상태가 된 성형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권체부의 전개 상태를 부감(俯瞰) 방향으로부터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권체부의 전개 상태를 올려다보는 방향으로부터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권체부의 전개 상태를 측판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7은 권체부의 전개 상태를 측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8은 권체부의 절첩 상태를 부감 방향으로부터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권체부의 절첩 상태를 올려다보는 방향으로부터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권체부의 절첩 상태에서의 중앙 단면도이다.
도 11은 권체부를 전개 및 절첩 상태로 제어하는 리프터의 정면도이다.
도 12의 (A)와 (B)는, 전개 상태에서의 권체부와 리프터를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각각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의 (A)와 (B)는, 절첩 도중 상태에서의 권체부와 리프터를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각각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의 (A)와 (B)는, 절첩 상태에서의 권체부와 리프터를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각각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권체부의 구동 장치의 제1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내는 제1 예의 구동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7은 권체부의 구동 장치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나타내는 제2 예의 구동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9는 권체부의 구동 장치의 제3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나타내는 제3 예의 구동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1은 종래의 식품 성형 장치에서의 권체부의 구동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성형 장치에 관해, 김초밥의 성형에 적합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각 도면에 있어서는, 각각 동일 부분을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있는데, 지면(紙面) 상황에 따라 일부의 도면에 있어서는 대표적인 부분에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것은 다른 도면에 붙인 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하는 경우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식품 성형 장치(1)는, 주요한 구성 부분으로서, 초밥용 밥을 수용하는 호퍼(2)와, 케이스(3)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된 초밥용 밥의 교반부(도시 생략)와, 이 교반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초밥용 밥을 판형으로 압연하는 압연부(도시 생략)와, 압연된 초밥용 밥을 기둥형으로 성형하는 케이스(3)의 프론트 부분에 형성된 성형부(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성형부(4)에는 케이스(3)의 프론트측의 하부에 수평 상태로 배치된 가이드판(5)과, 가이드판(5)의 상면을 따라 전후로 수평 이동되는 슬라이드 베이스(6)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베이스(6) 상에, 권체부(7)가 슬라이드 베이스(6)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도 3은, 권체부(7)가 절첩된 상태의 상기 성형부(4)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상기 가이드판(5) 및 슬라이드 베이스(6)의 각각의 중앙부의 겹치는 위치에는, 후술하는 리프터(8, 9)의 상승에 대한 도피 구멍(5a, 6a)이 전후 방향을 향하여 슬릿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도 7은 전개 상태가 된 권체부(7)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 권체부(7)는, 고정 플레이트(70)와, 고정 플레이트(70)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제2 회전 플레이트(71, 72)와, 제2 회전 플레이트(7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3 회전 플레이트(73)의 합계 4장의 플레이트를 갖고 있다.
또한, 4장의 각 플레이트(70, 71, 72, 73)에는, 각각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재의 상면에, 예컨대 폴리프로필렌에 의한 수지층이 성막되어 있다. 상기 제3 회전 플레이트(73)의 앞쪽의 끝가장자리에는, 권체부(7)에 올리는 김의 앞쪽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 결정 돌기(73c)가 적절한 수로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돌기(73c)는 상기 수지층의 일부가 기립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플레이트(70~73)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재의 길이 방향의 각 단부에는, 상면측으로 기립한 절곡부(70a, 71a, 72a, 73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절곡부(70a, 71a, 72a, 73a)의 중첩 부분에 삽입 관통된 연결축(74, 75, 76)에 의해, 각 회전 플레이트(71, 72, 73)는 고정 플레이트(70)에 대하여 단독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플레이트(70~73)는 그 상면이 내측이 되도록 절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8~도 10은 각 플레이트(70~73)가 통형으로 절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도 10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70)의 하면측에는, 고정 플레이트(7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즉 식품 성형 장치(1)의 전후 방향으로 한 쌍의 지지판(701)이 고착되어 있다. 각 지지판(701)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70)와의 교차부에 있어서, 원추 형상의 선단부를 구비한 핀(702)이 고착되어 있다. 또, 이 원추 형상의 핀(702)은, 상기한 슬라이드 베이스(6)측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수용 구멍에 장착됨으로써, 권체부(7)를 슬라이드 베이스(6)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각 지지판(701)은, 제3 회전 플레이트(73)를 제외한 3장의 플레이트(70, 71, 72)에 걸치는 길이를 갖고 있다. 각 지지판(701)의 안쪽 단부에는 스토퍼(704)가 고착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704)는 제1 회전 플레이트(71)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권체부(7)에 올리는 김의 안쪽의 위치를 규제한다.
도 5~도 10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회전 플레이트(71)의 이면에는, 그 길이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롤러 지지판(706)이 고착되어 있다. 롤러 지지판(706)은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롤러 지지판(706)의 U자형의 서로 대향하는 지지편에 의해 2개의 롤러(707, 708)가 이들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2개의 롤러(707, 708)는 서로 평행하며 또한 인접하고 있다. 도 5~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권체부(7)에 의한 권체 동작 전의 상태에서는, 롤러(707)가 하측에 있고, 롤러(708)가 경사 전방 상측에 있다.
제3 회전 플레이트(73)의 이면에도, 그 길이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U자형으로 형성된 롤러 지지판(709)이 고착되어 있다. 롤러 지지판(709)의 U자형의 서로 대향하는 지지편에 의해 1개의 롤러(71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롤러(710)의 지지축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 지지판(709)의 긴 구멍(712)에 끼워져, 이 긴 구멍(712)의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1은 리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리프터는 도 1에 나타내는 권체부(7)의 바로 밑에 있어서 케이스(3)의 밑바닥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리프터는 제1 및 제2 리프터(8, 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리프터(8, 9)는, 비교적 단단한 수지에 의해 전후로 긴 후판(厚板)형으로 형성되고, 서로 L자형, 역 L자형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적절한 가이드 부재에 의해, 제1 및 제2 리프터(8, 9)의 상단부가, 상기한 가이드판(5) 및 슬라이드 베이스(6)에 각각 형성된 도피 구멍(5a, 6a)을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직진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리프터(8, 9)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은, 후술하는 권체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을 받는 제1 및 제2 구동 원반(81, 91)에 의해 제어된다. 제1 및 제2 구동 원반(81, 91)은 서로 역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구동 원반(81)에는, 구동 아암(82)과 구동 아암(82)에 부착된 구동 핀(83)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리프터(8)에 형성된 캠 홈(84)에 상기 구동 핀(83)이 끼워짐으로써 구성된 캠 팔로워에 의해, 제1 리프터(8)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제2 구동 원반(91)에는, 그 회전 중심을 약간 벗어난 위치에 구동 핀(93)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리프터(9)에 형성된 캠 홈(94)에 상기 구동 핀(93)이 끼워짐으로써 구성된 캠 팔로워에 의해, 제2 리프터(9)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후술하는 권체부(7)에 의한 초밥용 밥의 권체 동작시,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구동 원반(81, 91)은 서로 역방향으로, 동기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회전 구동한다. 캠 홈(84)은 캠 홈(94)보다 전후 방향으로 길며 또한 대략 직선형이고, 구동 아암(82)의 회전 중심보다 비교적 멀리에 있다. 이에 비하여 캠 홈(94)은, 전후 방향으로 짧게 되어 있다. 또한, 구동 핀(93)은 제2 구동 원반(91)의 회전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따라서, 앞쪽의 제1 리프터(8)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 스트로크는, 뒤쪽의 제2 리프터(9)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 스트로크보다 크다.
제1 리프터(8)의 상단면은, 권체부(7)에 부착된 상기 롤러(710)의 접촉면으로 되어 있다. 제2 리프터(9)의 상단면은 상기 롤러(707, 708)의 접촉면으로 되어 있다. 제1 리프터(8)에는 상단면을 따라 판형의 마그넷(85)이 매립되어 있다. 또한, 제2 리프터(9)에도 상단면을 따라 판형의 마그넷(95)이 매립되어 있다. 한편, 상기 롤러(707, 708, 710)는 자성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마그넷(85)과 롤러(710) 사이에 자기 흡인력이 작용하고 있고, 또한 마그넷(95)과 롤러(707, 708) 사이에도 자기 흡인력이 작용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식품 성형 장치(1)는 제1 리프터(8)의 상하 이동의 위치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즉,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리프터(8)의 일부에는 감지판(도그)(103)이 부착되어 있고, 제1 리프터(8)의 상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감지판(103)의 이동 궤적 상에는, 2개의 근접 센서(101, 102)가 배치되어 있다.
근접 센서(101)는 제1 리프터(8)의 하한 위치 부근을 검출하는 것이고, 근접 센서(102)는 제1 리프터(8)의 상한 위치 부근을 검출하는 것이다. 근접 센서(101)를 하위치 센서, 근접 센서(102)를 상위치 센서라고 하기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성형 장치(1)는, 권체부(7)에 의한 권체 동작에 있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위치 센서(102)는 이용하지 않고, 하위치 센서(101)만을 이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권체 동작에는 상위치 센서(102)는 불필요하다. 그러나, 상위치 센서(102)는 토크 계측 개시를 위한 트리거 등에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드 베이스 구동 기구에 구비된 전동 모터가 회전 제어됨으로써, 예컨대 피니언과 랙의 맞물림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적정한 위치가 되도록, 슬라이드 베이스(6)가 제어된다. 슬라이드 베이스(6)의 슬라이드 범위는, 슬라이드 베이스(6)의 전단이 식품 성형 장치(1)의 전단과 거의 일치하는 전진 위치(도 1에 도시된 위치)부터, 상기한 압연부에서 압연되어 도시되지 않은 커터에 의해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초밥용 밥을 권체부(7)에서 수취할 수 있는 후퇴 위치(도 2에 도시된 위치)까지의 범위이다.
그리고, 슬라이드 베이스(6)의 전진 위치에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리프터(8), 제2 리프터(9)의 동작에 따르는 권체부(7)에 의한 초밥용 밥의 권체 동작이 행해진다.
도 12~도 14는, 제1 및 제2 리프터(8, 9)와, 이들 리프터(8, 9)에 의해 작동되는 권체부(7)의 동작을 순서대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2~도 14에서의 각 (A)와 각 (B)는, 정면도 및 우측면도의 관계로 나타내어져 있다.
그리고, 도 12~도 14의 각 (B)에 나타내어진 부호 105는, 권체 구동 모터(이하, 와인딩 모터라고도 함)를 나타내고 있다. 권체 구동 모터는, 리프터(8, 9)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권체부(7)가 절첩 상태와 전개 상태가 되도록 구동한다.
도 12는 동작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권체부(7)를 구성하는 4장의 상기 플레이트(70, 71, 72, 73)의 상면은 동일 평면 상에 있어, 권체부(7)는 거의 플랫한 전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때, 리프터(8, 9)는 가장 하강한 위치에 있어, 권체부(7)측의 롤러(707, 710)는 리프터(8, 9)의 각 상단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낸 구동 아암(82)이 초기 상태로부터 90도 정도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1 리프터(8)의 상단면에서 롤러(710)가 밀려 올라가고, 제2 리프터(9)의 상단면에서 롤러(708)가 밀려 올라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앞쪽의 제1 리프터(8)의 상승 스트로크는, 뒤쪽의 제2 리프터(9)의 상승 스트로크보다 크다.
따라서, 롤러(710)를 갖고 있는 제3 회전 플레이트(73)의 밀어올림량은, 롤러(708)를 갖고 있는 제1 회전 플레이트(71)의 밀어올림량보다 크다.
제3 회전 플레이트(73)는, 상기 축(75)(도 4, 도 5 참조)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기울어진 자세를 취하고, 또한 축(74)을 통해 제2 회전 플레이트(72)의 앞쪽을 끌어올린다. 이에 따라, 제2 회전 플레이트(72)는 상기 축(74)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기울어진 자세를 취한다. 한편, 제1 회전 플레이트(71)는 상기 축(76)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기울어진 자세를 취한다.
도 14는, 도 11에 나타낸 구동 아암(82)이 초기 상태로부터 110도 정도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롤러(710)가 리프터(8)의 상단면에서 밀려 올라가고, 또한 롤러(708)는 리프터(9)의 상단면에서 더 밀려 올라간다. 이 결과, 제2, 제3 회전 플레이트(72, 73)가 더 반시계 방향으로, 제1 회전 플레이트(71)는 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결과, 제1 회전 플레이트(71)와 제2 회전 플레이트(72)는 거의 수직의 양태를 취한다. 또한, 제3 회전 플레이트(73)는, 고정 플레이트(70)와, 제1, 제2 회전 플레이트(71, 72)에 의해 3방이 둘러싸인 횡단면 U자형의 공간의 상부에 덮어 씌워지는 양태를 취한다.
이와 같이 하여, 4장의 플레이트(70, 71, 72, 73)가 절첩됨으로써, 횡단면 사각형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4장의 플레이트(70, 71, 72, 73)를 절첩함으로써, 초밥용 밥을 횡단면 사각형의 기둥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이 평면 상태에 있는 상기 4장의 플레이트(70, 71, 72, 73) 상에, 미리 사각형의 김을 올리고, 이 김 상에 판형으로 압연된 초밥용 밥을 올려 상기 권체 동작을 행하게 함으로써, 횡단면 사각형의 기둥형의 김초밥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도 14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와인딩 모터(105)의 구동을 역회전시키면, 리프터(8, 9)는, 도 13에 나타내는 상태를 거쳐, 도 12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이때, 리프터(8)의 상단부 부근에 매립되어 있는 마그넷(85)과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롤러(710) 사이에는 자기 흡인력이 작용한다. 리프터(8)가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때, 마그넷(85)은 롤러(710)를 자기적으로 흡인하여, 롤러(710)를 갖는 제3 회전 플레이트(73)의 원위치로의 복귀를 돕는다.
마찬가지로 리프터(9)의 상단부 부근에 매립되어 있는 마그넷(95)은, 롤러(707, 708)를 자기적으로 흡인한다. 그 때문에, 마그넷(95)은 롤러(707, 708)를 갖는 제1 회전 플레이트(71)의 원위치로의 복귀를 돕는다.
이 결과, 권체부(7)를 구성하는 4장의 플레이트(70, 71, 72, 73)는, 도 4~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형으로 복귀한다.
도 15는 와인딩 모터(105)의 구동 제어 회로의 예를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와인딩 모터(105)는 상기한 리프터(8, 9)의 수직 이동 및 이 이동에 따르는 권체부(7)의 전개와 절첩을 행한다. 이 실시형태에서의 와인딩 모터(105)에는, 예컨대 DC 모터가 이용된다. 이 구동 제어 회로는, 토크 설정 수단(31)과 비교기(32), 및 동작 제어 수단(33)을 구비한 CPU와, 이 CPU에 접속된 드라이버 회로(34)를 구비한다. 그리고 드라이버 회로(34)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류에 의해 상기한 와인딩 모터(105)가 회전 구동한다. 또한 와인딩 모터(105)에 내장된 토크 센서(도시 생략)에 의해, 와인딩 모터(105)의 회전 토크 정보가 동작 모니터 신호로서 비교기(32)에 입력된다.
상기 토크 설정 수단(31)에는 입력 단자(In1)가 구비되어 있다. 이 입력 단자(In1)에 입력되는 토크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토크 설정 수단(31)으로부터 비교기(32)에 기준이 되는 비교 전압 또는 비교 전류가 공급된다. 비교기(32)에는 와인딩 모터(105)측의 토크 센서로부터의 회전 토크 정보도 전압치 또는 전류치로서 입력되어 있다. 따라서 비교기(32)로부터 기준이 되는 토크 설정 정보와 회전 토크 정보의 차분 출력이 드라이버 회로(34)에 부여된다.
이에 따라, 예컨대 드라이버 회로(34)로부터 와인딩 모터(105)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가 제어되고, 와인딩 모터(105)는 토크 설정 수단(31)의 입력 단자(In1)에 입력된 토크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회전 구동 토크를 권체부(7)에 부여한다. 또한, 와인딩 모터(105)에 내장된 토크 센서의 출력을 동작 모니터 신호로서 비교기(32)에 입력하는 구성 외에, 모터의 제어에 관련된 구성은 적절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동작 모니터 신호는, 드라이버 회로를 통해 비교기(32)에 입력하는 구성이어도 좋고, 비교기(32)가 드라이버 회로에 내장되어 있어도 좋다.
한편, CPU 내의 동작 제어 수단(33)은, 입력 단자(In2)로부터의 동작 개시 신호, 상기 하위치 센서(101)로부터의 감지 신호, 또한 상기 비교기(32)로부터의 차분 출력이 입력된다. 그리고, 동작 제어 수단(33)으로부터의 제어 출력은 드라이버 회로(34)에 공급된다. 이 구성에 의해, 동작 제어 수단(33)은 와인딩 모터(105)의 회전 구동 개시, 정회전, 역회전, 및 구동 정지의 제어를 실행한다.
그런데, 식품 성형 장치(1)의 케이스(3)의 앞면에는, 전원 스위치, 비상 정지 스위치, 프로그램 스위치, 스타트 스위치 등이 구비된다. 상기 프로그램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토크 설정 정보가 토크 설정 수단(31)에 도 15에 나타낸 입력 단자(In1)를 통해 미리 입력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상태의 권체부(7)에 사각형의 김을 올린 후, 상기 스타트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권체부(7)는 슬라이드 베이스(6)를 타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3) 내로 후퇴한다. 그리고, 압연부에서 압연된 초밥용 밥을 권체부(7)에서 수취하면서, 권체부(7)는 슬라이드 베이스(6)를 타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진한다. 슬라이드 베이스(6)의 전진 동작 중 또는 전진 동작의 정지 후, 권체부(7) 상의 초밥용 밥에 재료가 수동으로 토핑된다. 재료의 토핑 후, 다시 스타트 스위치가 조작됨으로써, 도 15에 나타낸 입력 단자(In2)에는, 동작 개시 신호가 공급된다.
도 16은, 입력 단자(In2)에 동작 개시 신호가 공급된 상태에서, 와인딩 모터(105)에 가해지는 일련의 제어를 플로우차트로 나타낸 것이다. 그 동작을 도 15에 나타낸 블록도와 함께 설명한다.
도 15에 나타낸 입력 단자(In2)에 동작 개시 신호가 공급되면, 동작 제어 수단(33)은 드라이버 회로(34)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에 따라 와인딩 모터(105)는 시동(스텝 S11)하고, 정회전한다(스텝 S12). 와인딩 모터(105)가 정회전하는 상태에서는, 드라이버 회로(34)는 비교기(32)로부터 공급되는 차분 출력에 의해, 와인딩 모터(105)에 대하여 토크 제어를 실행한다. 와인딩 모터(105)는 토크 설정 수단(31)에 설정된 미리 정해놓은 토크의 범위 내에서 회전 구동한다.
이 상태는, 전개 상태에 있는 상기 권체부(7)를 순차적으로 절첩 상태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권체부(7)를 절첩함으로써, 기둥형으로 성형되는 재료를 포함하는 초밥용 밥은 미리 정해놓은 토크의 범위 내에 의해 권체된다. 그리고, 권체부(7)가 권체 상태로 되고, 초밥용 밥의 권체가 강해짐에 따라, 와인딩 모터(105)에는 회전 부하가 가해진다. 와인딩 모터(105)의 토크 센서는 식품 성형 장치(1)의 동작 상태에서, 항상 와인딩 모터(105)의 토크를 감시하고 있다. 그 때문에, 와인딩 모터(105)에 회전 부하가 가해짐으로써, 토크 센서가 검출하는 회전 토크 정보는 증대된다. 그리고, 토크 센서는 비교기(32)에 회전 토크 정보를 출력한다.
이 상태에서의 비교기(32)로부터의 차분 출력이 동작 제어 수단(33)에도 공급되고 있고, 동작 제어 수단(33)은 와인딩 모터(105)의 토크가 미리 정해놓은 설정 토크에 도달했는지 여부(스텝 S13)를 판정하고 있다.
와인딩 모터(105)의 회전 토크가 미리 정해놓은 설정 토크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동작 제어 수단(33)은 드라이버 회로(34)에 와인딩 모터(105)를 정지시키라는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에 따라 와인딩 모터(105)의 정회전은 정지된다(스텝 S14).
이 동작에 의해, 권체부(7)에 의해 성형되는 초밥용 밥은, 미리 정해놓은 와인딩 모터(105)의 회전 토크에 의해 권체된 것이 된다. 따라서, 초밥용 밥 상에 토핑된 재료의 양이나 반력이 허용 범위 내에서 그때마다 상이해도, 각각 안정된 권체 동작이 실행된다. 그 결과, 김초밥은 일정한 밀도가 되도록 권체되어, 과도한 조임에 의한 김의 찢어짐이나 권체 부족에 의한 재료의 탈락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한 동작에 계속해서 동작 제어 수단(33)은 드라이버 회로(34)에 역회전의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에 따라 와인딩 모터(105)는 역회전한다(스텝 S15). 이 와인딩 모터(105)의 역회전에 의해, 상승 상태의 상기한 리프터(8, 9)는 강하한다. 그리고 권체부(7)를 구성하는 4장의 플레이트는 절첩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복귀한다.
또, 권체부(7)의 상기 전개 동작은, 상기한 바와 같이 리프터(8, 9)에 구비된 마그넷(85, 95)과, 권체부(7)에 구비된 롤러(707, 708, 710)에 의한 자기적인 흡인 수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하위치 센서(101)는 리프터(8)의 강하 상태를 감시(스텝 S16)한다. 하위치 센서(101)가 리프터(8)의 하한 위치 부근을 감지한 경우에는, 소정 시간 경과 후(스텝 S17)에, 동작 제어 수단(33)은 드라이버 회로(34)에 와인딩 모터의 회전 정지 신호를 보낸다. 이 회전 정지 신호에 의해, 와인딩 모터(105)는 정지하고, 김초밥의 성형 동작은 종료된다.
그리고, 상기한 스타트 스위치를 다시 조작할 때마다, 권체부(7)는 슬라이드 베이스(6)를 타고 이동하여, 상기한 압연부로부터의 압연된 초밥용 밥의 공급을 받는다. 그리고, 권체부(7)에 의한 초밥용 밥의 권체 동작이 반복된다.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는, 와인딩 모터(105)에 가해지는 부하를 모터의 회전 속도로부터 검출하는 것이다. 제2 실시형태에서의 식품 성형 장치(1)는, 부하의 검출 방법이 모터의 회전 속도의 변화에 의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와인딩 모터(105)에는, 예컨대 서보모터가 이용된다.
도 18은, 입력 단자(In2)에 동작 개시 신호가 공급된 상태에서, 와인딩 모터(105)에 가해지는 일련의 제어를 플로우차트로 나타낸 것이다. 그 동작을 도 17에 나타낸 블록도와 함께 설명한다.
도 17에 나타낸 입력 단자(In2)에 동작 개시 신호가 공급되면, 동작 제어 수단(33)은 드라이버 회로(34)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에 따라 와인딩 모터(105)는 시동(스텝 S21)하고, 정회전한다(스텝 S22). 와인딩 모터(105)가 정회전하는 상태에서는, 드라이버 회로(34)는 비교기(32)로부터 공급되는 차분 출력에 의해, 와인딩 모터(105)에 대하여 회전 속도 제어를 실행한다. 와인딩 모터(105)는 회전 속도 설정 수단(36)에 설정된 미리 정해놓은 회전 속도에 있어서 회전 구동한다.
이 상태는, 전개 상태에 있는 상기 권체부(7)를 순차적으로 절첩 상태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권체부(7)를 절첩함으로써, 기둥형으로 성형되는 재료를 포함하는 초밥용 밥은 권체된다. 그리고, 권체부(7)가 권체 상태로 되고, 초밥용 밥의 응력에 의해, 와인딩 모터(105)에는 회전 부하가 가해진다. 드라이버 회로(34)는, 와인딩 모터(105)의 회전 속도가 저하되어 온 것을 검지하고, 비교기(32)에 회전 속도 정보를 출력한다. 드라이버 회로(34)는 식품 성형 장치(1)의 동작 상태에서, 항상 와인딩 모터(105)의 회전 속도를 감시하고 있다. 그 때문에, 와인딩 모터(105)에 회전 부하가 가해짐으로써, 드라이버 회로가 검출하는 회전 속도 정보는 저하된다.
이 상태에서의 비교기(32)로부터의 차분 출력이 동작 제어 수단(33)에도 공급되고 있고, 동작 제어 수단(33)은 와인딩 모터(105)의 회전 속도가 미리 정해놓은 설정 속도 이하에 도달했는지 여부(스텝 S23)를 판정하고 있다.
와인딩 모터(105)의 회전 속도가 미리 정해놓은 설정 속도 이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동작 제어 수단(33)은 드라이버 회로(34)에 와인딩 모터(105)를 정지시키라는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에 따라 와인딩 모터(105)의 정회전은 정지된다(스텝 S24).
이 동작에 의해, 권체부(7)에 의해 성형되는 초밥용 밥은, 미리 정해놓은 조임 토크에 의해 권체되는 것과 동등해진다. 따라서, 초밥용 밥 상에 토핑된 재료의 양이나 반력이 허용 범위 내에서 그때마다 상이해도, 각각 안정된 권체 동작이 실행된다. 그 결과, 김초밥은 일정한 밀도가 되도록 권체되어, 과도한 조임에 의한 김의 찢어짐이나 권체 부족에 의한 재료의 탈락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 도 18에 나타낸 스텝 S25 이후의 동작은, 도 16에 나타낸 스텝 S15 이후의 동작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제3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는, 와인딩 모터(105)에 스테핑 모터를 사용하는 점에서,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스테핑 모터인 와인딩 모터(105)에 가해지는 부하는, 스테핑 모터 특유의 특성인 탈조 현상을 검출함으로써 제어된다. 제3 실시형태에서의 식품 성형 장치(1)는, 상기 2점의 차이를 제외하고,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다.
도 20은, 입력 단자(In2)에 동작 개시 신호가 공급된 상태에서, 와인딩 모터(105)에 가해지는 일련의 제어를 플로우차트로 나타낸 것이다. 그 동작을 도 19에 나타낸 블록도와 함께 설명한다.
도 19에 나타낸 입력 단자(In2)에 동작 개시 신호가 공급되면, 동작 제어 수단(33)은 드라이버 회로(34)에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에 따라 스테핑 모터인 와인딩 모터(105)는 시동(스텝 S31)하고, 정회전한다(스텝 S32).
이 상태는, 전개 상태에 있는 상기 권체부(7)를 순차적으로 절첩 상태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권체부(7)를 절첩함으로써, 기둥형으로 성형되는 재료를 포함하는 초밥용 밥은 권체된다. 그리고, 권체부(7)가 권체 상태가 되고, 초밥용 밥의 응력에 의해, 와인딩 모터(105)에는 회전 부하가 가해진다. 권체부(7)에 의해 권체가 계속됨으로써 회전 부하가 증대되어, 와인딩 모터(105)는 탈조라는 현상을 일으킨다. 이 탈조는, 스테핑 모터에 과부하가 가해졌을 때에, 입력 펄스 신호와 모터 회전의 동기가 소실됨으로써 발생한다. 와인딩 모터는 이 탈조에 의해 공회전을 야기한다. 그 때문에, 권체의 강도가 설정치를 초과함으로써 탈조에 의한 모터의 공회전이 발생하여, 토크 리미터로서 기능하게 된다. 권체된 초밥용 밥은, 와인딩 모터의 공회전에 의해, 설정한 토크로 권체된 상태가 된다.
와인딩 모터(105)가 탈조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스텝 S33)에는, 동작 제어 수단(33)은 와인딩 모터(105)로부터 탈조 검출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동작 제어 수단(33)은 와인딩 모터(105)를 정지하는 지령 신호를 보낸다. 이에 따라 와인딩 모터(105)의 정회전은 정지된다(스텝 S34).
이 동작에 의해, 권체부(7)에 의해 성형되는 초밥용 밥은, 미리 정해놓은 조임 토크에 의해 권체되는 것과 동등해진다. 따라서, 초밥용 밥 상에 토핑된 재료의 양이나 반력이 허용 범위 내에서 그때마다 상이해도, 각각 안정된 권체 동작이 실행된다. 그 결과, 김초밥은 일정한 밀도가 되도록 권체되어, 과도한 조임에 의한 김의 찢어짐이나 권체 부족에 의한 재료의 탈락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 도 20에 나타낸 스텝 S35 이후의 동작은, 도 16에 나타낸 스텝 S15 이후의 동작과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성형 장치를, 초밥용 밥의 성형 장치, 예컨대 김초밥의 성형 장치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성형 장치는 초밥용 밥의 성형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식품의 성형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으깬 어육에 의한 어묵 등의 성형 장치, 원기둥형의 권심(卷芯)의 주위에 으깬 어육을 말아 성형하는 치쿠와(竹輪)의 성형 장치, 키리탄포의 성형 장치, 롤 케이크의 성형 장치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9)

  1. 판형으로 성형된 식재료를 기둥형으로 말아 성형하는 성형부를 구비한 식품 성형 장치로서,
    상기 성형부에는, 복수의 플레이트가 서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개 상태에서 판형으로 성형된 식재료가 배치되는 권체부(卷締部)와,
    상기 권체부를 구동시키는 권체 구동 모터
    를 구비하고,
    상기 권체 구동 모터는, 상기 권체부를 동작시켜 상기 식재료를 권체한 상태에서, 상기 권체 구동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가 미리 정해놓은 부하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권체부의 권체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성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놓은 부하는,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성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체부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양끝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및 제2 회동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회동 플레이트에 더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3 회동 플레이트
    로 구성되는 것인 식품 성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는, 왕동(往動) 동작에 의해 상기 권체부를 통형으로 절첩(折疊)함으로써 상기 식재료를 권체하여 기둥형으로 성형하는 상기 권체 동작을 하고, 복동(復動) 동작에 의해 상기 권체부를 전개 상태로 하는 리프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3 회동 플레이트의 이면에는, 상기 리프터에 접촉하여 상기 권체부를 통형으로 절첩하는 롤러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성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에는 마그넷이 배치되며,
    상기 롤러는 각각 자성체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상기 리프터와 롤러가 자기 흡인 수단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자기 흡인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리프터의 복동 동작에 따라 상기 권체부를 전개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성형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제1 회동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있는 롤러와, 제3 회동 플레이트에 부착되어 있는 롤러를 각각 개별적으로 밀어 움직이는 2개의 리프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성형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상기 권체 구동 모터의 토크의 변화로부터 검출되는 것인 식품 성형 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상기 권체 구동 모터의 회전 속도의 변화로부터 검출되는 것인 식품 성형 장치.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체 구동 모터는 스테핑 모터이고,
    상기 부하는, 상기 스테핑 모터의 탈조 상태로부터 검출되는 것인 식품 성형 장치.
KR1020160019627A 2015-02-23 2016-02-19 식품 성형 장치 KR1024195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33047 2015-02-23
JP2015033047A JP6516506B2 (ja) 2015-02-23 2015-02-23 食品成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901A true KR20160102901A (ko) 2016-08-31
KR102419529B1 KR102419529B1 (ko) 2022-07-08

Family

ID=56744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627A KR102419529B1 (ko) 2015-02-23 2016-02-19 식품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516506B2 (ko)
KR (1) KR102419529B1 (ko)
CN (1) CN105901756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8469A (ja) * 2003-09-19 2005-04-07 Minoguruupu:Kk スクリーン印刷機における印刷装置
JP2008211991A (ja) * 2007-02-28 2008-09-18 Audio Technica Corp 米飯成形装置
JP2012217364A (ja) * 2011-04-06 2012-11-12 Suzumo Machinery Co Ltd 巻き寿司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2959A (en) * 1979-08-23 1981-04-02 Shinko Kikai Kk Prepartion of bar-shaped boiled rice
KR20130016196A (ko) * 2010-03-17 2013-02-14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액추에이터의 제어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작업 기계
JP6008659B2 (ja) * 2012-08-28 2016-10-19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食品成形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8469A (ja) * 2003-09-19 2005-04-07 Minoguruupu:Kk スクリーン印刷機における印刷装置
JP2008211991A (ja) * 2007-02-28 2008-09-18 Audio Technica Corp 米飯成形装置
JP2012217364A (ja) * 2011-04-06 2012-11-12 Suzumo Machinery Co Ltd 巻き寿司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54454A (ja) 2016-09-01
CN105901756B (zh) 2020-03-17
CN105901756A (zh) 2016-08-31
KR102419529B1 (ko) 2022-07-08
JP6516506B2 (ja)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4379B2 (ja) 米飯成形装置
JP4875999B2 (ja) 米飯成形装置
US9700173B2 (en) Two-surface grill with adjustable gap and multi-stage method for cooking food
JP4854988B2 (ja) 食品素材の移載方法および移載装置
JP6008659B2 (ja) 食品成形装置
KR20090114257A (ko) 자동 용기 실링 장치
WO2017141273A1 (en) An automatic machine for making flat edibles
KR20160102901A (ko) 식품 성형 장치
CA3004392A1 (en) Automated preparation of breads
CN109662113B (zh) 一种煎饼自动叠饼机
JP6096619B2 (ja) 包み込み食品の折り畳み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4042501A (ja) 食品成形装置
JP2010502211A (ja) 食品調理装置
JP2014082950A (ja) 米飯成形機構および米飯成形方法
JP5716993B2 (ja) 巻き寿司製造装置
JP3157044U (ja) 皮状食品の製造機器
CN214284453U (zh) 烹饪器具
JPH08298917A (ja) 連続的に移動するシート材料を巻き上げる設備および方法
JP5033749B2 (ja) 米飯成形装置
CN111248239A (zh) 一种全自动卷饼机
JP2011200186A (ja) 揉捻機
CN103653221B (zh) 食品成型装置
CN111436839A (zh) 一种厚蛋烧制作机
KR20050101008A (ko) 전병제조장치
JP6955821B2 (ja) 巻物食材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