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1969A - 리튬 유황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유황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1969A
KR20160101969A KR1020167018954A KR20167018954A KR20160101969A KR 20160101969 A KR20160101969 A KR 20160101969A KR 1020167018954 A KR1020167018954 A KR 1020167018954A KR 20167018954 A KR20167018954 A KR 20167018954A KR 20160101969 A KR20160101969 A KR 20160101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ur
carbon nanotubes
current collector
lithium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8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츠카하라
요시아키 후쿠다
타츠히로 노제
히로히코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알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알박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알박
Publication of KR20160101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9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16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impregnation with a solution, dispersion, paste or dry pow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21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vapour deposition
    • H01M4/0428Chemical vapour de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6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3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7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1Chalcogenides or intercalation compounds thereof
    • H01M4/5815Sulf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5Composites
    • H01M4/667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s, e.g.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8Posi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탄소나노튜브의 집전체 근방 부분을 확실히 유황으로 덮을 수 있으면서 방전 시에 유황이 부피팽창하더라도 탄소나노튜브의 기단 주변까지 효율적으로 전해액을 공급할 수 있는 리튬 유황 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집전체(P1)와, 집전체 표면, 상기 집전체 표면측을 기단으로 하여 집전체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성장시킨 복수의 탄소나노튜브(4)와, 각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을 각각 덮는 유황(5)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은, 탄소나노튜브의 밀도가 40mg/cm3 이하이다.

Description

리튬 유황 이차전지 {LITHIUM-SULFUR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리튬 유황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차전지는 고 에너지 밀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휴대폰이나 개인용 컴퓨터 등의 휴대 기기뿐만 아니라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 전력 저장 축전 시스템 등에도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의 하나로서 최근 리튬과 유황의 반응에 의해 충방전되는 리튬 유황 이차 전지가 주목을 받고 있다.
리튬 유황 이차전지는, 유황을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을 가지는 양극(positive electrode)과, 리튬을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을 가지는 음극(negative electrode), 양극과 음극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separator)을 포함하는 것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알려져 있다.
이러한 리튬 유황 이차전지의 양극으로는, 집전체와, 집전체 표면, 상기 집전체 표면측을 기단으로 하여 집전체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하도록 성장된 복수의 탄소나노튜브와, 각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을 각각 덮는 유황을 포함하는 것(일반적으로 탄소나노튜브의 밀도는 60mg/cm3이고, 유황의 무게는 탄소나노튜브의 무게의 0.7~3배임)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알려져 있다. 이 양극을 리튬 유황 이차전지에 적용하면, 전해액이 광범위하게 유황과 접촉하여 유황의 이용효율이 향상되므로, 우수한 충방전 속도 특성을 가지며, 리튬 유황 이차전지로서 큰 비용량(유황 단위 무게당 방전용량)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각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을 유황으로 덮는 방법으로, 탄소나노튜브의 성장단에 유황을 적재하고 용융시켜 용융된 유황을 탄소나노튜브 상호간의 간극을 통해 기단측으로 확산시키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탄소나노튜브의 성장단 부근에만 유황이 편재하여 탄소나노튜브의 기단 주변까지 유황이 확산되지 않으며, 해당 부분이 유황으로 덮이지 않거나, 덮인다 하더라도 유황의 막 두께가 매우 얇아질 수 있다. 심지어 방전 시에는 유황이 리튬과 반응하여 Li2S가 되어 부피가 80% 정도 팽창하기 때문에, 인접하는 탄소나노튜브 상호간의 간극이 좁아져 탄소나노튜브의 기단 주변까지 전해액이 효율적으로 공급되지 않으므로, 이것으로는 충방전 속도 특성이 우수하고 비용량이 큰 것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거듭하여, 탄소나노튜브의 밀도를 40mg/cm3 이하로 설정하면, 위와 같은 방법으로도 유황을 용융 확산시킬 때 집전체와 탄소나노튜브의 기단의 경계면까지 유황이 효율적으로 공급되며, 나아가 방전 시에 유황이 부피팽창하더라도 탄소나노튜브의 기단 주변까지 효율적으로 전해액을 공급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특허문헌 1: 국제공개 제 2012/070184호 명세서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탄소나노튜브의 집전체 근방 부분을 확실히 유황으로 덮을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면서 방전 시에 유황이 부피팽창하더라도 탄소나노튜브의 기단 주변까지 효율적으로 전해액을 공급할 수 있는 리튬 유황 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집전체와, 집전체 표면, 상기 집전체 표면측을 기단으로 하여 집전체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하도록 성장시킨 복수의 탄소나노튜브와, 각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을 각각 덮는 유황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은, 탄소나노튜브의 밀도가 40mg/cm3 이하인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각 탄소나노튜브의 밀도의 하한은 소정의 비용량을 얻을 수 있는 범위에서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소나노튜브의 밀도를 40mg/cm3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탄소나노튜브 상호간의 간극을 통해 기단측까지 유황이 확산되어, 탄소나노튜브의 집전체 근방 부분까지 확실히 유황으로 덮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방전 시에 유황이 부피팽창하더라도 인접하는 탄소나노튜브 상호간에 간극이 확보되어 집전체 근방 부분까지 전해액이 효율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유황과 전해액이 광범위하게 접촉한다. 그 결과, 유황의 이용효율이 한층 강화되어, 유황에 충분히 전자를 공여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특히 높은 속도 특성을 얻을 수 있으며 비용량도 한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탄소나노튜브의 집전체 근방까지 유황으로 덮이면, 즉 양극에 함침되는 유황량이 많으면, 방전 시 유황과 리튬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폴리설파이드의 양이 많아진다. 폴리설파이드는 전해액에 용출되기 용이하므로, 전해액을 통해 폴리설파이드가 음극에 도달하면 충전반응이 더 이상 촉진되지 않는다(레독스 셔틀 (REDOX SHUTTLE)현상).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기단에서부터 성장단까지 직선형상으로 성장시킨 경우의 길이를 겉보기 길이로 하고, 각 탄소나노튜브는 기단에서부터 성장단까지에서 적어도 한 군데의 굴곡부분 또는 곡선부분을 가지며, 각 탄소나노튜브의 기단에서부터 성장단까지의 성장높이를 상기 겉보기 길이의 0.4배~0.8배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종래 예에 비해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어,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폴리설파이드가 효과적으로 흡착되어, 폴리설파이드가 전해액에 용출되는 것, 나아가 폴리설파이드가 음극에 도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의 형성방법은, 기판의 표면에 촉매층을 형성하고, 촉매층 표면, 상기 촉매층 표면측을 기단으로 하여 촉매층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하도록 복수의 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키는 성장공정과,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성장단측에서 유황을 용융 확산시켜 각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을 유황으로 덮는 코팅공정을 포함하며, 성장공정은, 촉매층이 형성된 기판을 가열로 내에 배치하고, 가열로 내에 탄화수소가스와 희석가스를 포함하는 원료가스를 도입하여 열CVD법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키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각 탄소나노튜브의 기단으로부터 성장단까지의 성장 높이가 겉보기 길이의 0.4배~0.8배의 범위인 리튬 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을 확실히 얻을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리튬 유황 이차전지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
[도 2] 도 1에 나타낸 양극을 확대하여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
[도 3] (a)~(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리튬 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의 형성단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4] (a)~(c)는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제작한 발명품 1, 2, 비교품의 탄소나노튜브의 단면 SEM사진.
[도 5]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결과(방전용량의 사이클 특성)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유황 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 형성방법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리튬 유황 이차전지(BT)는, 유황을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을 가지는 양극(P)과, 리튬을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을 가지는 음극(N), 이들 양극(P)과 음극(N)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S), 이 분리막(S)을 통해 보유되며 양극(P)과 음극(N) 사이에서 리튬 이온(Li+)의 도전성을 갖는 전해액(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음극(N)으로는, 예를 들어 Li, Li과 Al 또는 In 등의 합금, 또는 리튬 이온이 도핑된 Si, SiO, Sn, SnO2 또는 하드카본을 사용할 수 있다. 분리막(S)으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제 다공질막이나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전해액(L)은 전해질과 전해질을 용해시키는 용매를 포함한다. 전해질로는, 공지의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 이미드(이하, 'LiTFSI'라 함), LiPF6, LiBF4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매로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글라임, 트리글라임, 테트라글라임, 디에톡시에탄(DEE), 디메톡시에탄(DME) 등의 에테르류, 디에틸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방전 곡선을 안정시키기 위해 이 선택된 적어도 1종에 디옥솔란(DOL)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용매로서 디에톡시에탄과 디옥솔란의 혼합액을 사용하는 경우, 디에톡시에탄과 디옥솔란의 혼합비율을 9:1로 설정할 수 있다. 양극(P)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는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양극(P)은, 양극 집전체(P1)와 양극 집전체(P1)의 표면에 형성된 양극 활물질층(P2)을 구비한다. 양극 집전체(P1)는, 예를 들면 기판(1)과, 기판(1)의 표면에 5~80nm의 두께로 형성된 하지막(2)('배리어막'이라고도 함)과, 하지막(2) 상에 0.5~5nm의 막 두께로 형성된 촉매층(3)을 가진다. 기판(1)으로는, 예를 들면 Ni, Cu 또는 Pt로 이루어진 금속 포일이나 금속 메시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막(2)은, 기판(1)과 후술하는 탄소나노튜브(4)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Al, Ti, V, Ta, Mo 및 W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 또는 그 금속질화물로 구성된다. 촉매층(3)은, 예를 들면 Ni, Fe 또는 Co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으로 구성된다.
양극 활물질층(P2)은, 양극 집전체(P1)의 표면, 해당 표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하도록 성장시킨 복수의 탄소나노튜브(4)와, 탄소나노튜브(4)의 각각의 표면 전체를 덮는 유황(5)으로 구성된다. 탄소나노튜브(4) 상호간에는 간극(S1)이 있어, 이 간극(S1)으로 전해액(전해질)이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탄소나노튜브(4)의 성장방법(성장공정)으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열로를 사용하는 열 CVD법이 이용된다. 한편, 탄소나노튜브(4)의 표면을 유황(5)으로 각각 덮는 방법(코팅공정)으로는 탄소나노튜브(4)의 성장단에 과립상의 유황(51)를 살포하고, 유황(5)의 융점(113℃) 이상에서 가열하여 유황(5)을 용융시킨 다음, 용융된 유황(5)을 탄소나노튜브(4) 상호간의 간극(S1)을 통해 기단측까지 확산시키는 방법이 이용된다.
그런데 탄소나노튜브(4) 상호간의 간극(S1)이 좁으면, 용융된 유황(5)이 해당 간극(S1)을 통해 기단측까지 확실하게 확산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방전 시에는 유황(5)이 리튬과 반응하여 부피팽창하므로, 충전 시에 비해 간극이 좁아져 전해액이 유입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소나노튜브(4)의 밀도(단위 부피당 무게)를 40mg/cm3 이하로 설정하였다. 또한, 밀도의 하한은 소정의 비용량을 얻을 수 있는 범위에서 설정된다. 이에 따르면, 탄소나노튜브(4) 상호간의 간극이 확보되기 때문에 탄소나노튜브의 기단측까지 용융된 유황이 확산되어 탄소나노튜브의 기단측까지 유황으로 덮는 것이 가능해지고, 나아가 방전 시에 유황(5)이 부피팽창하더라도 탄소나노튜브의 기단측까지 전해액이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르면, 유황과 전해액이 광범위하게 접촉하여 유황의 이용효율이 한층 강화되고, 유황에 충분히 전자를 공여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특히 높은 속도 특성을 얻을 수 있어, 비용량도 한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탄소나노튜브(4)의 집전체 근방까지 유황(5)으로 덮이면, 양극(P)에 함침되는 유황량이 많아져, 방전 시 유황(5)과 리튬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폴리설파이드의 양이 많아지며, 레독스 셔틀 현상이 일어나기 쉬어진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탄소나노튜브(4)가 기단에서부터 성장단까지 직선형상으로 성장시킨 경우의 길이를 겉보기 길이(l)로 하고, 각 탄소나노튜브(4)는 기단에서부터 성장단까지에서 적어도 한 군데의 굴곡부분 또는 만곡부분을 가져, 각 탄소나노튜브(4)의 기단에서부터 성장단까지의 성장높이(h)가, 겉보기 길이(l)의 0.4배~0.8배의 범위가 되도록 탄소나노튜브(4)를 성장시켰다. 이에 따르면, 종래 예에 비해 탄소나노튜브(4)의 표면적이 증대되므로(예를 들어, 1.3배~2.4배), 탄소나노튜브(4)의 표면에 폴리설파이드가 효과적으로 흡착되어, 폴리설파이드가 전해액(L)에 용출되는 것, 나아가 폴리설파이드가 음극에 도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 0.4배보다 작으면 유황을 다량으로 함침시키는 경우, 유황에 대해 도전성 부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으며, 0.8배보다 크면 표면적이 충분히 증대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하, 도 3도 참고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리튬 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의 형성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기판(1)의 표면에 하지막(2)을 형성하고, 하지막(2)의 표면에 촉매층(3)을 형성하여 양극 집전체(P1)를 제작한다. 하지막(2)과 촉매층(3)의 형성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공지의 전자빔 증착법, 스퍼터링법, 촉매금속을 포함하는 화합물의 용액을 이용한 딥핑(dipping)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성장공정으로서, 상기 집전체(P1)를 공지의 가열로(도시 생략) 내에 배치하고 가열로 내에 탄화수소가스와 희석가스를 포함하는 원료가스를 도입한다. 탄화수소가스로는, 예를 들어 메탄, 에틸렌, 아세틸렌 등이 사용되며, 또한 희석가스로는 질소, 아르곤 또는 수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탄화수소가스 및 희석가스의 유량은 처리실의 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탄화수소가스의 유량을 10~500sccm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고, 희석가스의 유량을 100~5,000sccm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이때의 차동 압력은, 예를 들어 100Pa~대기압으로 한다). 계속해서 가열로 내의 집전체(P1) 및 원료가스를 600~800℃의 온도로 가열한다. 이로 인해 상기와 같이 각 탄소나노튜브(4)는 기단에서부터 성장단의 사이에 적어도 한 군데의 굴곡부분이나 만곡부분을 가지게 되며, 각 탄소나노튜브(4)의 기단에서부터 성장단까지의 성장높이(h)는 겉보기 길이(l)의 0.4배~0.8배의 범위가 된다. 이 때, 탄소나노튜브의 밀도는 40mg/cm3 이하이다. 본 발명에 있어 적어도 한 군데의 굴곡부분이나 만곡부분을 갖는 탄소나노튜브(4)에는 나선형으로 성장된 탄소나노튜브(4)가 포함된다. 여기서, 탄소나노튜브(4)가 굴곡 또는 만곡되는 메커니즘은 반드시 명확하지는 않으나, 도 2의 확대도를 참조하여, 촉매층(3)에 기인하여 탄소나노튜브(4)의 왼쪽부분(4L)의 성장속도가 오른쪽부분(4R) 보다 빠르도록 좌우 방향의 성분을 갖고 성장하며, 인접하는 탄소나노튜브(4)가 존재하기 때문에 넓은 공간(자유 공간)이 있는 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하는 것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이처럼 탄소나노튜브(4)의 부분적인 성장 속도의 차이를 유발할 수 있는 가열로(heating furnace)로는, 챔버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히터에 통전하여 챔버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전기로('머플 가마(muffle furnace)','분위기로atmosphere furnace)'라고도 함)나, 적외선 램프 등의 램프광을 집광하여 가열 대상물(집전체(P1))을 주로 가열하는 이미지로(image furnace)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코팅공정으로, 탄소나노튜브(4)가 성장되는 영역 전체에 걸쳐, 그 상방으로부터 1~100㎛ 범위의 입경(grain size)을 갖는 과립상의 유황(51)을 살포한다. 유황(51)의 무게는, 탄소나노튜브(4) 무게의 0.2배~20배로 설정하면 된다. 0.2배보다 적으면 탄소나노튜브(4) 각각의 표면이 유황에 의해 균일하게 덮이지 않으며, 20배보다 많으면 인접하는 탄소나노튜브(4) 상호간의 간극(S1)까지 유황(5)이 채워지게 된다. 계속해서, 양극 집전체(P1)를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튜브형 반응기 내에 설치하고, 유황의 융점(113℃) 이상인 120~250℃의 온도로 가열하여 유황(51)을 용융시킨다. 덧붙여, 공기 중에서 가열하면 용융된 유황이 공기 중의 수분과 반응하여 이산화유황을 생성하기 때문에 Ar이나 He 등의 불활성 가스분위기 또는 진공 중에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탄소나노튜브(4)의 밀도를 40mg/cm3 이하로 설정했기 때문에 용융된 유황(51)은 탄소나노튜브(4) 상호간의 간극으로 흘러들어 탄소나노튜브(4)의 기단까지 확실하게 확산된다. 그 결과 탄소나노튜브(4)의 표면 전체에 걸쳐 유황(5)으로 덮이며, 인접하는 탄소나노튜브(4) 상호간에 간극(S1)이 존재하게 된다(도 2 참조).
다음으로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먼저 다음과 같이 양극(P)을 제작하였다. 기판(1)을 직경 14mmΦ, 두께 0.020mm의 Ni포일로 하고, Ni포일(1) 상에 하지막(2)에 해당하는 Al막을 50nm의 막 두께로 전자빔 증착법으로 형성한 다음, Al막(2) 상에 촉매층(3)에 해당하는 Fe막을 2nm의 막 두께로 전자빔 증착법으로 형성하여 양극 집전체(P1)를 제작하였다. 제작한 양극 집전체(P1)를 가열로 내에 적재하고, 가열로 내에 아세틸렌 100sccm 및 질소 5,000sccm을 공급한 다음, 작동 압력: 1기압, 온도: 750℃, 성장 시간: 60분의 조건에서, 양극 집전체(P1) 표면에 수직 배향시켜 탄소나노튜브(4)를 성장시켰다. 이 때, 탄소나노튜브(4)의 밀도는 16.5mg/cm3였다. 탄소나노튜브(4) 상에 과립상의 유황(51)을 배치하고 이를 가열로 내에 배치하여, Ar분위기 하에서 250℃로 5분간 가열하여 탄소나노튜브(4)를 유황(5)으로 덮어 양극(P)을 제작하였다. 이 양극(P)에서는 단위 면적당 유황(5)과 탄소나노튜브(4)의 중량비가 7.17(10.27(mg/cm2)/1.43(mg/cm2))였다. 또 분리막(S)을 폴리프로필렌제 다공질막으로 구성하고, 음극(N)을 직경 15mmΦ, 두께 0.6mm의 금속 리튬으로 한 다음, 이들 양극(P)과 음극(N)을 분리막(S)을 통해 대향시켜, 분리막(S)에 전해액(L)을 보유시켜 리튬 유황 이차전지의 코인셀(coin cell)을 제작하였다. 여기서, 전해액(L)은 전해질에 해당하는 LiTFSI를 디에톡시에탄(DEE)과 디옥솔란(DOL)의 혼합액(혼합비율 9:1)에 용해시켜 농도를 2mol/l로 조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렇게 제작한 코인셀을 발명품 1로 설정하였다. 또한 탄소나노튜브를 25.3mg/cm3의 밀도로 성장시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발명품 1과 동일하게 제작한 코인셀을 발명품 2로 설정하였다. 또한 탄소나노튜브를 43.4mg/cm3의 밀도로 성장시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발명품 1과 동일하게 제작한 코인셀을 비교품으로 설정하였다. 이들 발명품 1, 2 및 비교품의 양극의 SEM사진을 도 4(a)~(c)에 각각 나타낸다. 이에 따르면, 탄소나노튜브의 밀도가 40mg/cm3 이하인 발명품 1, 2에서는 탄소나노튜브의 기단까지 유황으로 덮이는 데 비해, 밀도가 40mg/cm3 보다 높은 비교품에서는 탄소나노튜브의 기단까지 유황이 덮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발명품 1에서는 탄소나노튜브(4)의 기단에서부터 성장단까지의 성장높이(h)가 겉보기 길이(l)의 0.6배이고, 발명품 2에서는 0.9배이며, 비교품에서는 0.9배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상기 발명품 1, 2 및 비교품에 대해 각각 충방전을 실시하여 방전용량의 사이클 특성을 도 5에 나타내었다. 이에 따르면 발명품 1에서는 37번째 주기에서도 방전용량이 1,000mAh/g이었으며, 발명품 2 및 비교품에 비해 높은 사이클 특성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발명품 1에서는 상기와 같이 탄소나노튜브(4)의 성장높이(h)가 겉보기 길이(l)의 0.6배로, 0.9배인 발명품 2나 비교품과 비교하여 탄소나노튜브(4)의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폴리설파이드의 전해액으로의 용출을 억제할 수 있어, 레독스 셔틀 현상을 억제할 수 있음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튬 유황 이차전지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코인셀 이외에 버튼형, 시트형, 적층형, 원통형 등이어도 좋다.
 B ... 리튬 유황 이차전지
 P ... 양극
 N ... 음극
 L ... 전해액
 P1 ... 집전체
 1 ... 기판
 4 ... 탄소나노튜브
 h ... 탄소나노튜브의 성장높이
 4 ... 탄소나노튜브의 겉보기 길이
 5 ... 유황

Claims (3)

  1. 집전체와, 집전체 표면, 상기 집전체 표면측을 기단으로 하여 집전체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성장시킨 복수의 탄소나노튜브와, 각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을 각각 덮는 유황을 포함하는 리튬 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에 있어서,
    탄소나노튜브의 밀도는 40mg/cm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유황 이차전지용 양극.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기단으로부터 성장단까지 직선 형상으로 성장시킨 경우의 길이를 겉보기 길이로 하며, 각 탄소나노튜브는 기단으로부터 성장단까지에서 적어도 한 군데의 굴곡부분 또는 만곡부분을 가지고, 각 탄소나노튜브의 기단으로부터 성장단까지의 성장높이는 겉보기 길이의 0.4배~0.8배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유황 이차전지용 양극.
  3. 기판의 표면에 촉매층을 형성하고, 촉매층 표면, 상기 촉매층 표면측을 기단으로 하여 촉매층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복수의 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키는 성장공정과,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성장단측에서부터 유황을 용융 확산시켜 각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을 유황으로 덮는 코팅공정을 포함하며,
    성장공정은 촉매층이 형성된 기판을 가열로(funrnace) 내에 배치하고, 가열로 내에 탄화수소가스와 희석가스를 포함하는 원료가스를 도입하여 열 CVD법으로 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유황 이차전지용 양극의 형성방법.
KR1020167018954A 2013-12-20 2014-10-15 리튬 유황 이차전지 KR201601019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64313 2013-12-20
JPJP-P-2013-264313 2013-12-20
PCT/JP2014/005235 WO2015092958A1 (ja) 2013-12-20 2014-10-15 リチウム硫黄二次電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969A true KR20160101969A (ko) 2016-08-26

Family

ID=53402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954A KR20160101969A (ko) 2013-12-20 2014-10-15 리튬 유황 이차전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97770B2 (ko)
JP (1) JP6227672B2 (ko)
KR (1) KR20160101969A (ko)
CN (1) CN105849941B (ko)
DE (1) DE112014005956T5 (ko)
TW (1) TWI636608B (ko)
WO (1) WO20150929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74113A (zh) * 2016-10-31 2017-02-01 南昌大学 石墨化碳纳米管柔性膜作锂硫电池集流体制备锂硫电池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0184A (ja) 2010-09-22 2012-04-05 Fujitsu Ten Ltd 放送受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5746B2 (ja) * 2006-09-21 2013-02-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とその製造方法
TWI378897B (en) * 2007-12-27 2012-12-11 Univ Nat Taiwan Method for producing carbon nanocoils
JP2010085337A (ja) * 2008-10-01 2010-04-15 Kobe Univ ナノワイヤを用いた微細流路の製造方法
JP5574257B2 (ja) * 2009-09-24 2014-08-2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生成用再利用基材及び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生成用基材並びにその製造方法
US20110281156A1 (en) * 2010-05-17 2011-11-17 Arthur Douglas Boren Vertically Aligned Carbon Nanotube Augmented lithium Ion Anode for Batteries
DE102010030887A1 (de) 2010-07-02 2012-01-0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Kathodeneinheit für Alkalimetall-Schwefel-Batterie
JP5558586B2 (ja) * 2010-11-26 2014-07-23 株式会社アルバック リチウム硫黄二次電池用の正極及びその形成方法
JP2012238448A (ja) * 2011-05-11 2012-12-06 Sony Corp 二次電池、二次電池の製造方法、二次電池用正極、二次電池用正極の製造方法、電池パック、電子機器、電動車両、電力システムおよび電力貯蔵用電源
JP5766052B2 (ja) * 2011-07-08 2015-08-19 株式会社アルバック ナトリ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ナトリ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14203593A (ja) 2013-04-02 2014-10-27 株式会社アルバック リチウム硫黄二次電池用の正極及びその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0184A (ja) 2010-09-22 2012-04-05 Fujitsu Ten Ltd 放送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849941A (zh) 2016-08-10
JP6227672B2 (ja) 2017-11-08
TW201530870A (zh) 2015-08-01
CN105849941B (zh) 2019-12-06
WO2015092958A1 (ja) 2015-06-25
US9997770B2 (en) 2018-06-12
TWI636608B (zh) 2018-09-21
DE112014005956T5 (de) 2016-09-29
JPWO2015092958A1 (ja) 2017-03-16
US20160285075A1 (en) 201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2202B2 (en) Positive electrode for lithium-sulfu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WO2015083314A1 (ja) リチウム硫黄二次電池
US20230216061A1 (en) Anodes for lithium-based energy storage devices
JP2014203593A (ja) リチウム硫黄二次電池用の正極及びその形成方法
KR101849754B1 (ko) 리튬 유황 이차전지용 양극 및 그 형성방법
KR20160100333A (ko) 리튬 유황 이차전지
KR101284025B1 (ko)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30015866A1 (en) Asymmetric anodes for lithium-based energy storage devices
JP6422070B2 (ja) リチウム硫黄二次電池用正極の形成方法
US20220223841A1 (en) Anode structures having a multiple supplemental layers
KR20160101969A (ko) 리튬 유황 이차전지
JP2017004605A (ja) リチウム硫黄二次電池及び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JP2015115312A (ja) リチウム硫黄二次電池用の正極及びその形成方法
JP2015115270A (ja) リチウム硫黄二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