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199A -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199A
KR20160100199A KR1020150142866A KR20150142866A KR20160100199A KR 20160100199 A KR20160100199 A KR 20160100199A KR 1020150142866 A KR1020150142866 A KR 1020150142866A KR 20150142866 A KR20150142866 A KR 20150142866A KR 20160100199 A KR20160100199 A KR 20160100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support
bar
booth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0944B1 (ko
Inventor
전심수
Original Assignee
전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심수 filed Critical 전심수
Publication of KR20160100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0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recording
    • H04N13/0242
    • H04N13/025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유닛과 카메라의 위치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삼차원 촬영장치는 지지프레임(A)에 가이드레일(10)이 구비되어 촬영유닛(B)이 가이드레일(10)을 따라 대상물쪽으로 전후진될 수 있도록 하여 촬영유닛(B)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상기 촬영유닛(B)에는 승강부재(50)가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70)이 구비되어 승강부재(50)에 구비된 카메라(60)의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SUBJECT-CUSTOMIZED AND ADJUSTABLE BOOTH-TYPE THREE DIMENSIONAL SHOO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촬영유닛과 카메라의 위치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대상물을 입체적인 3차원으로 촬영한 뒤 이를 데이터화하여 활용하는 기법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대상물을 3차원으로 촬영하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다양한 각도에서 동시에 촬영을 하고 컴퓨터를 이용하여 촬영된 대상물의 사진을 분석하여 데이터화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때, 상기 대상물을 촬영하기 위한 삼차원 촬영장치는 상기 대상물의 둘레부에 원을 이루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촬영유닛으로 구성된다.
상기 촬영유닛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대(2)와, 상기 지지대(2)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복수개의 카메라(3)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바(2a)와, 상기 가이드바(2a)의 하단에 구비된 받침대(2B)로 구성되어, 바닥면에 배치하면 상기 가이드바(2a)가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3)는 일반적인 DSLR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으로, 복수개가 상기 가이드바(2a)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구비되어지며 각각의 카메라(3)가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하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촬영유닛(1)을 대상물의 주위에 원형을 이루도록 배치하고 동시에 대상물을 촬영함으로써, 대상물을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사진을 얻고 이와 같이 얻어진 사진을 분석하여 대상물의 입체적인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삼차원 촬영장치는 대상물을 촬영하기 위해 대상물의 위치나 크기에 따라 작업자가 각각의 촬영유닛(1)의 위치를 각각 별도로 조절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촬영유닛(1)에 구비된 카메라(3)는 대상물의 높이에 따라 상하방향의 위치를 조절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대상물의 높이에 따라 카메라(3)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할 때에는 상기 지지대(2)에 구비된 복수개의 카메라(3)를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조절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3)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삼차원 촬영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150426호 등록특허 10-1219859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촬영유닛과 카메라의 위치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상물을 다양한 각도에서 동시에 촬영할 수 있도록 된 삼차원 촬영장치로서, 상기 대상물을 향하도록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가이드레일(10)에 구비된 지지프레임(A)과, 상기 가이드레일(10)에 결합된 복수개의 촬영유닛(B)을 포함하며, 상기 촬영유닛(B)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0)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바(40)와, 상호 상하방향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4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승강부재(50)와, 상기 승강부재(50)에 상기 대상물을 향하도록 결합된 복수개의 카메라(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승강부재(50)에 연결되어 각각의 승강부재(50)가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간격조절수단(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승강부재(50)의 일측에는 힌지축(52)이 구비되고, 상기 간격조절수단(70)은 상기 승강부재(50)에 결합된 복수개의 X자형 링크(71)를 상호 연결하여 구성되며, 상기 X자형 링크(71)는 상기 힌지축(52)에 X자를 이루도록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1 및 제2 링크부재(72,73)로 구성되고, 상측에 위치된 X자형 링크(71)의 제1 및 제2 링크부재(72,73)는 하단이 하측에 구비된 X자형 링크(71)의 제2 및 제1 링크부재(72,73)의 상단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A)은 상기 대상물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0)을 지지하는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를 연결하여 상기 지지대(20)가 원형을 이루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2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수직바(21)와, 상기 수직바(21)의 상하단에서 중앙부를 향해 연장된 상하측 수평바(22,23)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레일(10)은 상기 상하측 수평바(22,23)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승강부재(50)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바(40)를 전후진시키면 자동으로 상기 승강부재(50)가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수단(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수단(80)은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A)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향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승강부재(50)에 힌지결합된 막대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촬영유닛(B)을 전후진시키면, 상기 승강수단(80)이 회동승강되어 상기 승강부재(5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승강부재(50)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바(40)를 전후진시키면 자동으로 상기 승강부재(50)가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수단(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수단(80)은 지지바(40)의 상단에 구비된 도르레(81)와, 상기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A)의 내측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르레(81)의 둘레면을 경유하여 하측을 연장된 후 상기 승강부재(50)에 연결된 지지와이어(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가 제공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가이드레일이 구비되어 촬영유닛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대상물쪽으로 전후진될 수 있도록 하여 촬영유닛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촬영유닛에는 승강부재가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승강부재에 구비된 카메라의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삼차원 촬영장치의 촬영유닛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C-C선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의 간격조절수단을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의 촬영유닛을 도시한 확대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대상물의 주위에 구비되어 대상물을 다양한 각도에서 동시에 촬영할 수 있도록 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는 상기 대상물을 향하도록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가이드레일(10)에 구비된 지지프레임(A)과, 상기 가이드레일(10)에 결합된 복수개의 촬영유닛(B)으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A)은 상기 대상물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0)을 지지하는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를 연결하여 상기 지지대(20)가 원형을 이루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수직바(21)와, 상기 수직바(21)의 상하단에서 중앙부를 향해 연장된 상하측 수평바(22,23)로 구성된 ㄷ자 형태로 된 것으로, 상호 일정한 각도로 이격되어 원형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0)은 상기 상측 수평바(22)의 하측면과 상기 하측 수평바(23)의 상면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측 수평바(22,23)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부재(30)가 결합되기 위한 브라켓(24)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30)는 강도가 높은 금속재의 바형태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상하측 수평바(22,23)의 브라켓(24)에 결합되어 지지대(20)가 원형을 이루도록 고정한다.
상기 촬영유닛(B)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0)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바(40)와, 상호 상하방향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4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승강부재(50)와, 상기 승강부재(50)에 상기 대상물을 향하도록 결합된 복수개의 카메라(60)와, 상기 승강부재(50)에 연결되어 각각의 승강부재(50)가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간격조절수단(70)과, 상기 승강부재(50)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바(40)를 전후진시키면 자동으로 상기 승강부재(50)가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수단(8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4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봉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하단에 상기 가이드레일(10)에 결합되는 지지휠(41)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전후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부재(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단관형태로 구성된 관부재(51)와, 상기 관부재(51)의 둘레면에서 지지프레임(A)의 중앙부 쪽으로 연장된 힌지축(52)과, 상기 힌지축(52)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6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브라켓(5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바(40)에는 연장홈(미도시)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50)에는 상기 연장홈에 삽입되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재(50)가 지지바(40)를 따라 승강만 되고 회동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바(40)의 하단에는 가장 하측의 승강부재(50)가 걸리는 스토퍼(42)가 구비되어, 승강부재(50)가 하강되는 높이를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42)는 바람직하게는 부드러운 슬라이딩을 위한 다이얼식 스토퍼인 것이 선호되지만,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종류의 스토퍼를 사용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카메라(60)는 일반적인 DSLR카메라(60)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브라켓(53)에 상기 대상물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간격조절수단(70)은 상기 승강부재(50)에 결합된 복수개의 X자형 링크(71)를 상호 연결하여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X자형 링크(71)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축(52)에 X자를 이루도록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1 및 제2 링크부재(72,73)로 구성된다.
즉, 상기 X자형 링크(71)는 각각의 승강부재(50)에 구비된 힌지축(52)에 각각 1개씩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5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바(40)에 상호 상하방향에 위치되도록 구비됨으로, 각각의 지지바(40)에 구비된 X자형 링크(71) 역시 상호 상방향에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상측에 위치된 X자형 링크(71)의 제1 및 제2 링크부재(72,73)는 하단이 하측에 구비된 X자형 링크(71)의 제2 및 제1 링크부재(72,73)의 상단에 힌지결합된다.
즉, 상측의 제1 링크부재(72)의 하단은 하측의 제2 링크부재(73)의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상단의 제2 링크부재(73)의 하단은 하측의 제1 링크부재(72)의 하단에 힌지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간격조절수단(70)은 임의의 X자형 링크(71)에 구비된 제1 및 제2 링크부재(72,73)를 회동시키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X자형 링크(71)에 구비된 제1 및 제2 링크부재(72,73)가 이에 연동되어 동일한 각도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각 X자형 링크(71)의 제1 및 제2 링크부재(72,73)를 연결하는 힌지축(52)은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호 근접 또는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바(40)에 구비된 승강부재(50) 중에서 어느 하나를 승강시키면, 지지바(40)에 구비된 모든 승강부재(50)가 동시에 승강되어, 각각의 승강부재(50)가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호 근접 또는 이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는 상기 촬영유닛(B)은 승강수단(80)을 생략함(미도시)으로써 지지바(40)의 전후진과 승강부재(50)의 승강이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되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바(40)에 구비된 승강부재(50) 중에서 어느 하나를 승강시키면, 지지바(40)에 구비된 각각의 승강부재(50)가 동시에 승강되어 각각의 승강부재(50)가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근접 또는 이격되도록 승강되어지고, 상기 지지바(40)를 전후진시키면 촬영유닛(B)이 가이드레일(10)을 따라 대상물쪽으로 전후진되어짐으로써 촬영유닛(B)의 위치가 조절된다.
즉, 촬영자는 상기 지지바(40)를 대상물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밀거나 대상물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승강부재(50)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상기 지지바(40)를 전후진시킬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촬영자는 상기 지지바(40)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상기 승강부재(50)를 조정하여 대상물에 대한 상하방향 포커스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촬영유닛(B)에는 승강수단(80)이 구비되어지며, 상기 승강수단(80)은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A)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향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승강부재(50)에 힌지결합된 막대형태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수단(80)은 일단은 상기 지지대(20)의 수직바(2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부재(50) 중에서 가장 상측에 위치된 승강부재(50)에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수단(80)은 텔레스코픽방식으로 신축가능하게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바(40)가 상기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전후진되도록 하면, 상기 수직바(21)와 지지바(40)의 간격변화에 따라 상기 승강수단(80)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가장 상측에 구비된 승강부재(50)가 승강된다.
이때, 각각의 승강부재(50)는 상기 간격조절수단(70)에 의해 상호 연결됨으로, 상단의 승강부재(50)가 승강되면 상기 지지바(40)에 구비된 각각의 승강부재(50)가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승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A)에 가이드레일(10)이 구비되어, 촬영유닛(B)이 가이드레일(10)을 따라 대상물쪽으로 전후진될 수 있도록 하여 촬영유닛(B)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촬영유닛(B)에는 승강부재(50)가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70)이 구비되어 승강부재(50)에 구비된 카메라(60)의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A)은 상기 대상물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0)을 지지하는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를 연결하여 상기 지지대(20)가 원형을 이루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2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수직바(21)와, 상기 수직바(21)의 상하단에서 중앙부를 향해 연장된 상하측 수평바(22,23)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레일(10)은 상기 상하측 수평바(22,23)에 구비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며 위치이동이 손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50)에는 상기 지지바(40)를 전후진시키면 자동으로 상기 승강부재(50)가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수단(80)이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촬영유닛(B)을 전후진시키면 상기 승강수단(80)이 회동승강되어 상기 승강부재(50)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된다.
즉, 크기가 작은 대상물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지지바(40)를 전진시키면, 상기 승강수단(80)에 의해 승강부재(50)가 자동으로 하강되어 카메라(60)가 하강되도록 하고, 반대를 지지바(40)를 후퇴시키면 상기 카메라(60)가 상승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지지바(40)를 전후진시키면 자동으로 각 카메라(60)의 높이가 조절됨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승강수단(80)은 지지바(40)의 상단에 구비된 도르레(81)와, 상기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A)의 내측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르레(81)의 둘레면을 경유하여 하측을 연장된 후 상기 승강부재(50)에 연결된 지지와이어(82)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와이어(82)는 강도가 높은 피아노선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승강부재(50) 중에서 가장 상측에 위치된 승강부재(50)에 연결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40)를 전진시키면 상기 승강부재(50)가 하강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40)를 후퇴시키면 상기 지지와이어(82)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50)가 상측으로 당겨져 상승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는 상기 지지바(40)를 전후진시키는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승강부재(50)가 승강됨으로, 상기 승강부재(50)와 승강부재(50)에 구비된 카메라(60)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더욱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삼차원 촬영장치의 상하?항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자바라 형상의 간격조절수단(70')과, 상기 간격조절수단(70')을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바(40')와, 삼차원 촬영장치의 포커스 영역 조절을 위한 가이드레일(10')과, 포커스 영역을 확대 및 축소하기 위한 승강수단(80')과, 상기 가이드레일(1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간격조절수단(70')은 하부에서부터 상부까지 소정의 간격으로 DSLR 카메라(60')의 거치를 위한 카메라 고정용 브라켓(53')이 형성되어짐으로써, 상기 브라켓(53')마다 DSLR 카메라가 거치되어져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바(40')는 상기 간격조절수단(70')이 상하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53')과 대응되는 위치에 승강부재(5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지바(40')와 상기 간격조절수단(70')이 연동되어 이동되어진다.
이때 스토퍼(42')가 상기 지지바(4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한개씩 형성되어져 있어 상기 간격조절수단(70')은 레벨이 조정된 후 고정되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10') 상에서 이동되어지며 상기 지지바(40')와 연동되어 피사체 방향 또는 피사체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지기 위한 지지휠(41')이 구비되어진다.
이때 상기 상기 지지휠(41')과 가이드레일(10') 사이의 유격을 조정하기 위한 지지휠 연결바(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되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수단(80')은 일측이 상기 지지대(20')의 중단에 연결되어지며 타측은 상기 승강부재(50')와 연결되어져, 상기 승강수단(80')을 피사체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간격조절수단(70')은 축소되어지고 상기 지지바(40')는 상기 가이드레일(10')에 의해 피사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되어진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80')을 피사체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간격조절수단(70')은 확대되어지고 상기 지지바(40')는 상기 가이드레일(10')에 의해 피사체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되어진다.
한편, 상기 승강수단(80')은 상기 지지대(20')와 연결되어지는 일측에 부드러운 레일 슬라이딩을 위한 다이얼식 스토퍼(42')가 형성되어짐으로써, DSLR 카메라(60')의 레벨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 지지프레임 10: 가이드레일
20: 지지대 30: 고정부재
B: 촬영유닛 40: 지지바
50: 승강부재 60: 카메라
70: 간격조절수단 80: 승강수단

Claims (11)

  1. 대상물을 다양한 각도에서 동시에 촬영할 수 있도록 된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로서,
    상기 대상물을 향하도록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가이드레일(10)에 구비된 지지프레임(A)과,
    상기 가이드레일(10)에 결합된 복수개의 촬영유닛(B)을 포함하며,
    상기 촬영유닛(B)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0)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바(40)와,
    상호 상하방향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바(4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승강부재(50)와,
    상기 승강부재(50)에 상기 대상물을 향하도록 결합된 복수개의 카메라(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50)에 연결되어 각각의 승강부재(50)가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간격조절수단(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50)의 일측에는 힌지축(52)이 구비되고,
    상기 간격조절수단(70)은 상기 승강부재(50)에 결합된 복수개의 X자형 링크(71)를 상호 연결하여 구성되며,
    상기 X자형 링크(71)는 상기 힌지축(52)에 X자를 이루도록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제1 및 제2 링크부재(72,73)로 구성되고,
    상측에 위치된 X자형 링크(71)의 제1 및 제2 링크부재(72,73)는 하단이 하측에 구비된 X자형 링크(71)의 제2 및 제1 링크부재(72,73)의 상단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A)은
    상기 대상물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0)을 지지하는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를 연결하여 상기 지지대(20)가 원형을 이루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2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수직바(21)와,
    상기 수직바(21)의 상하단에서 중앙부를 향해 연장된 상하측 수평바(22,23)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레일(10)은 상기 상하측 수평바(22,23)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유닛(B)은 지지바(40)의 전후진과 승강부재(50)의 승강이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되어지며,
    상기 지지바(40)에 구비된 승강부재(50) 중에서 어느 하나를 승강시키면, 지지바(40)에 구비된 각각의 승강부재(50)가 동시에 승강되어 각각의 승강부재(50)가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근접 또는 이격되도록 승강되어지고, 상기 지지바(40)를 전후진시키면 촬영유닛(B)이 가이드레일(10)을 따라 대상물쪽으로 전후진되어짐으로써 촬영유닛(B)의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50)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바(40)를 전후진시키면 자동으로 상기 승강부재(50)가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수단(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수단(80)은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A)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향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승강부재(50)에 힌지결합된 막대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촬영유닛(B)을 전후진시키면, 상기 승강수단(80)이 회동승강되어 상기 승강부재(5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50)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바(40)를 전후진시키면 자동으로 상기 승강부재(50)가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수단(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수단(80)은
    지지바(40)의 상단에 구비된 도르레(81)와,
    상기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A)의 내측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르레(81)의 둘레면을 경유하여 하측을 연장된 후 상기 승강부재(50)에 연결된 지지와이어(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40)의 하단에는 승강부재(50)가 하강되는 높이를 제한하도록 가장 하측의 승강부재(50)가 걸리는 스토퍼(42)가 구비되어지며, 상기 스토퍼(42)는 부드러운 슬라이딩을 위한 다이얼식 스토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5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단관형태로 구성된 관부재(51)와, 상기 관부재(51)의 둘레면에서 지지프레임(A)의 중앙부 쪽으로 연장된 힌지축(52)과, 상기 힌지축(52)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6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브라켓(5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
  10. 대상물을 다양한 각도에서 동시에 촬영할 수 있도록 된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로서,
    삼차원 촬영장치의 상하?항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자바라 형상의 간격조절수단(70')과, 상기 간격조절수단(70')을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바(40')와, 삼차원 촬영장치의 포커스 영역 조절을 위한 가이드레일(10')과, 포커스 영역을 확대 및 축소하기 위한 승강수단(80')과, 상기 가이드레일(1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40')는 상기 간격조절수단(70')이 상하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브라켓(53')과 대응되는 위치에 승강부재(50')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수단(80')은 일측이 상기 지지대(20')의 중단에 연결되어지며 타측은 상기 승강부재(50')와 연결되어져, 상기 승강수단(80')을 피사체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간격조절수단(70')은 축소되어지고 상기 지지바(40')는 상기 가이드레일(10')에 의해 피사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되어지며,
    상기 승강수단(80')을 피사체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간격조절수단(70')은 확대되어지고 상기 지지바(40')는 상기 가이드레일(10')에 의해 피사체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
KR1020150142866A 2015-02-13 2015-10-13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 KR1016709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22553 2015-02-13
KR1020150022553 2015-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199A true KR20160100199A (ko) 2016-08-23
KR101670944B1 KR101670944B1 (ko) 2016-10-31

Family

ID=56875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866A KR101670944B1 (ko) 2015-02-13 2015-10-13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9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866B1 (ko) * 2017-11-30 2019-09-10 주식회사 큐비콘 모듈형 3차원 스캐너
KR20210038368A (ko) * 2019-09-30 2021-04-07 주식회사 라씨엔블루 얼굴인식용 인공지능학습을 위한 빅 데이터 수집 방법
CN113592984A (zh) * 2021-08-05 2021-11-02 江西师范大学 一种三维游戏动画制作用的运动机
KR102500763B1 (ko) * 2022-10-31 2023-02-16 주토스 주식회사 한우의 성장검사 영상정보 카메라 설치용 경량 이동식 프레임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648B1 (ko) * 2019-11-29 2021-07-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정형 식물 영상 획득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426B1 (ko) 2010-07-14 2012-06-01 허성용 3차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
KR101219859B1 (ko) 2011-08-31 2013-01-0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3d촬영장치에서의 반자동 주시각 제어장치 및 반자동 주시각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2544B2 (ja) 1993-06-18 2001-05-08 三井化学株式会社 ポリヒドロキシ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KR101413393B1 (ko) 2014-02-25 2014-06-27 송승욱 3차원 모델링을 위한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426B1 (ko) 2010-07-14 2012-06-01 허성용 3차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
KR101219859B1 (ko) 2011-08-31 2013-01-0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3d촬영장치에서의 반자동 주시각 제어장치 및 반자동 주시각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866B1 (ko) * 2017-11-30 2019-09-10 주식회사 큐비콘 모듈형 3차원 스캐너
KR20210038368A (ko) * 2019-09-30 2021-04-07 주식회사 라씨엔블루 얼굴인식용 인공지능학습을 위한 빅 데이터 수집 방법
CN113592984A (zh) * 2021-08-05 2021-11-02 江西师范大学 一种三维游戏动画制作用的运动机
CN113592984B (zh) * 2021-08-05 2023-08-15 江西师范大学 一种三维游戏动画制作用的运动机
KR102500763B1 (ko) * 2022-10-31 2023-02-16 주토스 주식회사 한우의 성장검사 영상정보 카메라 설치용 경량 이동식 프레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0944B1 (ko) 2016-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944B1 (ko) 피사체 맞춤조절이 가능한 부스형 삼차원 촬영장치
US11089865B2 (en) Synchronized monitor mount and desk height adjustment system
US20220192364A1 (en) Synchronized monitor mount and desk height adjustment system
US20210085072A1 (en) Automatic height adjustment system
CN110486580A (zh) 支架装置
CN105358011A (zh) 具有悬吊座椅的翻转运动基座
CN206626359U (zh) 拍摄架
KR102214540B1 (ko) 감시카메라의 촬영 영역 조정형 전신주
CN208566100U (zh) 一种集成有移动摄像头的显示器
KR20130042819A (ko) 수직형 열처리용 턴오버 장치
CN105953053B (zh) 一种设备支撑台装置
CN108600593A (zh) 一种便于伸缩调节的自动清洗摄像头
JP2014039593A (ja) 歯科治療用椅子の昇降装置
JP2006125583A (ja) カメラ用ペデスタル
CN210785085U (zh) 一种三电机电动床
JP3217392U (ja) 多機能x線ベッド
CN205577499U (zh) 一种可调式假台口
TW200944780A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with gantry
KR101852467B1 (ko) 3차원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200487423Y1 (ko) 책상 일체형 모니터 거치대
KR20170000237U (ko) 병원 침대용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CN205908963U (zh) 一种可自动升降和平移的图像采集装置
JPH0496736A (ja) 移動形x線装置
CN219848162U (zh) 一种可调节的视觉效果控制台
CN210865637U (zh) 一种二自由度纳米定位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