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127A - 아스팔트 보도블록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아스팔트 보도블록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127A
KR20160100127A KR1020150022698A KR20150022698A KR20160100127A KR 20160100127 A KR20160100127 A KR 20160100127A KR 1020150022698 A KR1020150022698 A KR 1020150022698A KR 20150022698 A KR20150022698 A KR 20150022698A KR 20160100127 A KR20160100127 A KR 20160100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eve
aggregate
asphalt
layer
s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3475B1 (ko
Inventor
진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리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리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리기술
Priority to KR1020150022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475B1/ko
Publication of KR20160100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01C11/10Packing of plastic or elastic materials, e.g. wood, resi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bituminous binders or from bituminous material, e.g. asphalt mats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팔트를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된 아스팔트 보도블록 및 아스팔트 보도블록을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콘크리트 블록과 탄성 블록의 문제점 및 아스팔트를 적용함에 있어 발생하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반면 장점을 최대한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보도블록은 석유아스팔트, 천연아스팔트, 개질혼합제와 채움혼합재를 혼합하여 높은 온도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고, 골재의 입도를 조절하여 공극률을 비교적 낮게 제작한다. 또한 그 상부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보도블록을 보호하고, 인접 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줄눈부에 다양한 첨가제를 첨가하여 줄눈부의 색상을 변화시키거나, 빛을 반사하는 등 줄눈부의 미적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아스팔트 보도블록 및 그 설치방법{Asphalt sidewalk block and it's installation method}
본 발명은 아스팔트를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된 아스팔트 보도블록 및 아스팔트 보도블록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아스팔트가 열에 약한 성질 때문에 보도블록으로 제작되기 어려운 점을 이용하여, 열에 약한 성질을 개선하여 보도블록을 제작하고, 그 상부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보도블록을 보호하고, 인접 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줄눈부에 다양한 첨가제를 첨가하여 줄눈부의 색상을 변화시키거나, 빛을 반사하는 등 줄눈부의 미적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록은 시멘트와 골재를 이용하는 콘크리트 블록 또는 고무칩을 이용한 탄성 블록으로 제작되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시멘트 사용으로 인해 이산화탄소가 다량으로 발생하는 문제가 제기되었고,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긴 양생 기간을 거쳐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탄성 블록 제작시 결합제로 사용되는 수지 등에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나오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했다.
아스팔트는 일반적으로 높은 온도에 약하고, 공극률이 다른 재료보다 크기 때문에 블록으로 제작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따라서 아스팔트는 주로 차가 이동하는 차도 형성에 사용되었고, 짧은 양생 기간, 소음 저감, 주행성 향상 등의 장점을 보였다.
공개특허 10-2004-0066081
본 발명은 아스팔트를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된 아스팔트 보도블록 및 아스팔트 보도블록을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콘크리트 블록과 탄성 블록의 문제점 및 아스팔트를 적용함에 있어 발생하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반면 장점을 최대한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보도블록은 석유아스팔트, 천연아스팔트, 개질혼합제와 채움혼합재를 혼합하여 높은 온도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고, 골재의 입도를 조절하여 공극률을 비교적 낮게 제작한다. 또한 그 상부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보도블록을 보호하고, 인접 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줄눈부에 다양한 첨가제를 첨가하여 줄눈부의 색상을 변화시키거나, 빛을 반사하는 등 줄눈부의 미적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스팔트를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된 아스팔트 보도블록(100) 및 아스팔트 보도블록(100)을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스팔트 보도블록(100)은 석유아스팔트, 천연아스팔트, 골재, 개질혼합재, 채움혼합재로 이뤄지고, 석유아스팔트는 침입도 기준 85~100이며, 천연아스팔트는 트리니대드 레이크 아스팔트이다.
골재는 4.75mm 체에 잔류하는 굵은골재, 4.75mm체를 통과하는 잔골재로 구분하여 포함되며, 굵은골재는 골재와 아스팔트의 접착성이 좋은 화강암 또는 석회암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동시에 사용하며, 잔골재는 골재파쇄분, 모래, 규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 혼합되어 사용된다.
골재의 입도는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개발되었으며, 입도예1은 통과중량백분율(%)로 19mm체 100%, 13mm체 95~100%, 4.75mm체 65~80%, 2.36mm체 50~65%, 600체 25~40%, 300체 12~27%, 150체 8~20%, 75체 4~10%이며, 입도예2는 통과중량백분율(%)로 19mm체 100%, 13mm체 95~100%, 4.75mm체 60~80%, 2.36mm체 45~65%, 600체 40~60%, 300체 20~45%, 150체 10~25%, 75체 8~13%이며, 입도예3은 통과중량백분율(%)로 19mm체 100%, 13mm체 95~100%, 4.75mm체 75~90%, 2.36mm체 65~80%, 600체 40~65%, 300체 20~45%, 150체 15~30%, 75체 8~15%이다.
개질혼합재는 고무류와 플라스틱류를 포함하며, 고무류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러버, 천연고무. 폐타이어 고무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플라스틱류는 에칠 비닐 아세테이트, 염화폴리비닐, 폴리오레핀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개질혼합재가 액상일 경우, 상기 석유아스팔트와 습식혼합되고, 개질혼합재가 분말일 경우,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개질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된다.
채움혼합재는 수분저항성이 강한 석회 및 산화경화에 대한 취성을 감소하시키기 위해 카본블랙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고, 채움혼합재는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채움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된다.
아스팔트 보도블록(100)은 상면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이며, 두께는 5cm~10cm으로 제작한다. 또한 아스팔트 보도블록(100)의 외부면에는 투명 또는 유색의 표면코팅층(15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아스팔트 보도블록(100)을 설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노상(500) 위에 모래층(200)을 형성하여 평평하게 다지고, 상기 모래층(200) 상부에 아스팔트 보도블록(100)을 설치하게 된다. 또한 노상(500)과 모래층(200) 사이에 추가로 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추가로 형성되는 층은 노상(500) 상부에 보조기층(400)과 기층(300)을 적층하거나, 노상(500) 상부에 보조기층(400)과 기층(300) 중 보조기층(400)만 형성하거나, 노상(500) 상부에 보조기층(400)과 기층(300) 중 기층(300)만 형성한다.
보조기층(400)을 형성 시에는 파쇄골재, 모래, 슬래그로 형성되어 다짐하여 이루어지고, 파쇄골재의 경우, 4.75mm 체를 통과하는 골재의 70%~100%는 2개 이상의 파쇄면을 가지고 있고, 기층(300)을 형성 시에는 입도조정 골재를 이용한 기층, 시멘트 안정처리 기층, 또는 가열 아스팔트 안정처리기층으로 형성하며, 모래층(200)은 3mm 이하의 모래, 주물사, 규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포설한다.
또한 아스팔트 보도블록(100)은 석유아스팔트, 천연아스팔트, 골재, 개질혼합재, 채움혼합재로 이뤄지고, 석유아스팔트는 침입도 기준 85~100이며, 천연아스팔트는 트리니대드 레이크 아스팔트이다.
골재는 4.75mm 체에 잔류하는 굵은골재, 4.75mm체를 통과하는 잔골재로 구분하여 포함되며, 굵은골재는 골재와 아스팔트의 접착성이 좋은 화강암 또는 석회암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동시에 사용하며, 잔골재는 골재파쇄분, 모래, 규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 혼합되어 사용된다.
골재의 입도는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개발되었으며, 입도예1은 통과중량백분율(%)로 19mm체 100%, 13mm체 95~100%, 4.75mm체 65~80%, 2.36mm체 50~65%, 600체 25~40%, 300체 12~27%, 150체 8~20%, 75체 4~10%이며, 입도예2는 통과중량백분율(%)로 19mm체 100%, 13mm체 95~100%, 4.75mm체 60~80%, 2.36mm체 45~65%, 600체 40~60%, 300체 20~45%, 150체 10~25%, 75체 8~13%이며, 입도예3은 통과중량백분율(%)로 19mm체 100%, 13mm체 95~100%, 4.75mm체 75~90%, 2.36mm체 65~80%, 600체 40~65%, 300체 20~45%, 150체 15~30%, 75체 8~15%이다.
개질혼합재는 고무류와 플라스틱류를 포함하며, 고무류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러버, 천연고무. 폐타이어 고무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플라스틱류는 에칠 비닐 아세테이트, 염화폴리비닐, 폴리오레핀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개질혼합재가 액상일 경우, 상기 석유아스팔트와 습식혼합되고, 개질혼합재가 분말일 경우, 상기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개질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된다.
채움혼합재는 수분저항성이 강한 석회 및 산화경화에 대한 취성을 감소하시키기 위해 카본블랙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고, 채움혼합재는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채움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되어 제작된다.
제작된 아스팔트 보도블록(100)은 상기 모래층(200)에 함침되도록 설치하고, 아스팔트 보도블록(100)과 인접 아스팔트 보도블록(100)의 사이에 아스팔트 보도블록(100)의 두께 방향으로 1~2cm 높이로 모래층(200)이 돌출되어 접촉부(250)를 형성하게 하고, 접촉부(250) 상부는 줄눈부(600)를 형성하게 하여 줄눈부(600)에는 채움재(700)를 삽입하게 된다.
아스팔트 보도블록(100)은 상면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이며, 두께는 5cm~10cm으로 제작한다. 또한 아스팔트 보도블록(100) 제작후, 모래층(200)에 함침되기 전에 아스팔트 보도블록(100)의 외부면에 투명 또는 유색의 표면코팅층(150)을 형성하게 된다.
채움재는 골재파쇄분, 모래, 규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줄눈부의 채움재에는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첨가제는 첨가제1, 첨가제2, 첨가제3으로 구분되어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첨가제1은 황토, 적색벽돌 파쇄분, 무기계 분말 안료, 유기계 분말 안료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여 줄눈부의 색상을 변하게 하고, 첨가제2는 야광 안료, 축광 안료, 형광 안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야간에도 줄눈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며, 첨가제3은 글라스비드 및 패쇄유리를 사용하여 줄눈부에서 빛을 반사하게 된다.
첨가제2의 무기계 분말 안료는 산화철, 크롬, 카드뮴, 코발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유기계 분말 안료는 아조 안료 또는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첨가제3의 야광 안료는 알루미늄 산염, 규산염, 아연계, 라듐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축광 안료는 유로폼, 가돌리늄, 디스프로슘, 티븀, 이티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형광 안료는 페릴계, 쿠마린계, 티오크산텐계, 안트라키논계, 메틴계, 벤조피란계, 티오인디고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보도블록은 석유아스팔트, 천연아스팔트, 개질혼합제와 채움혼합재를 혼합하여 높은 온도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고, 골재의 입도를 조절하여 공극률은 낮고, 내마모성을 증진시킨다. 또한 보도블록의 상부에는 코팅층을 형성하여 보도블록을 보호하고, 인접 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줄눈부에 다양한 첨가제를 첨가하여 줄눈부의 색상을 변화시키거나, 빛을 반사하는 등 줄눈부의 미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 아스팔트 보도블록의 형상 예
도 2 : 아스팔트 보도블록 설치시의 층구성
도 3a : 노상과 모래층 사이에 층이 추가된 구성(보조기층과 기층이 동시에 추가)
도 3b : 노상과 모래층 사이에 층이 추가된 구성(기층만 추가)
도 3c : 노상과 모래층 사이에 층이 추가된 구성(보조기층만 추가)
도 4 : A의 확대도(채움재 또는 채움재+첨가제 삽입전)
도 5 : A의 확대도(채움재 또는 채움재+첨가제 삽입후)
도 6 : A의 확대도(코팅층 형성후)
도 7 : 아스팔트 보도블록 설치 후 상부에서 본 형상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내용을 기술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보도블록(100)은 통상적인 보도블록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주로 도 1에서와 같이 아스팔트 보도블록(100)의 상면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이며, 두께는 5cm~10cm로 제작하게 되는데, 석유아스팔트, 천연아스팔트, 골재, 개질혼합재, 채움혼합재로 이뤄지며, 석유아스팔트는 침입도 기준 85~100이며, 천연아스팔트는 트리니대드 레이크 아스팔트이다. 석유아스팔트의 침입도 기준은 이에 상응하는 점도 기준, 노화점도 기준, PG 등급 기준으로 대체가 가능하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트리니대드 레이크 아스팔트는 천연아스팔트의 일종으로, 천연아스팔트는 품질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지만, 엄격한 품질 검사를 통해 본 발명에 적용하였다.
골재는 4.75mm 체에 잔류하는 굵은골재, 4.75mm체를 통과하는 잔골재로 구분하여 포함되며, 굵은골재는 골재와 아스팔트의 접착성이 좋은 화강암 또는 석회암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동시에 사용하며, 잔골재는 골재파쇄분, 모래, 규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며, 경우에 따라 슬래그, 패각파쇄분, 석회, 석고 등도 포함될 수 있다.
골재의 입도는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개발되었으며, 입도예1은 통과중량백분율(%)로 19mm체 100%, 13mm체 95~100%, 4.75mm체 65~80%, 2.36mm체 50~65%, 600체 25~40%, 300체 12~27%, 150체 8~20%, 75체 4~10%이며, 입도예2는 통과중량백분율(%)로 19mm체 100%, 13mm체 95~100%, 4.75mm체 60~80%, 2.36mm체 45~65%, 600체 40~60%, 300체 20~45%, 150체 10~25%, 75체 8~13%이며, 입도예3은 통과중량백분율(%)로 19mm체 100%, 13mm체 95~100%, 4.75mm체 75~90%, 2.36mm체 65~80%, 600체 40~65%, 300체 20~45%, 150체 15~30%, 75체 8~15%이다.
개질혼합재는 고무류와 플라스틱류를 포함하며, 고무류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러버, 천연고무. 폐타이어 고무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플라스틱류는 에칠 비닐 아세테이트, 염화폴리비닐, 폴리오레핀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고무류 개질혼합재는 고온에서 아스팔트 포장에 발생하는 소성변형 저항에 효과적이며, 플라스티류 개질혼합재는 저온과 상온에서 아스팔트 포장에 발생하는 균열 저항성을 증진시킬 수 있어, 아스팔트 보도블록 제작시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개질혼합재는 액상과 분말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데, 개질혼합재가 액상일 경우, 석유아스팔트와 습식혼합되고, 개질혼합재가 분말일 경우,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개질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되거나, 골재의 일부를 대체하지 않고 골재 100중량부에 일정 비율을 더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다. 개질혼합재가 액상일 경우, 석유아스팔트와 습식혼합되고, 개질혼합재가 분말일 경우,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상기 개질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된다.
채움혼합재는 수분저항성이 강한 석회 및 산화경화에 대한 취성을 감소하시키기 위해 카본블랙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고, 경우에 따라 나무칩, 톱밥, 볏집, 왕겨 등 식물성 채움혼합재와 바텀애쉬와 플라이애쉬와 같은 애쉬류도 사용할 수 있다. 채움혼합재는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채움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되거나, 골재의 일부를 대체하지 않고 골재 100중량부에 일정 비율을 더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 재료를 이용하여 아스팔트 보도블록이 제작되면, 도 1과 같이 아스팔트 보도블록의 외부면에 투명 또는 유색의 표면코팅층(150)을 형성하여 아스팔트 보도블록을 보호하게 된다.
표면코팅층(150)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계, 아크릴계, 스티렌계, 폴리카보네이트계, 불소계, 폴리에스테르계, 염화 비닐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계, 셀룰로스계, 폴리에틸렌계, 폴리프로필렌계의 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수지이며, 또한 코코넛 오일, 포도씨 오일, 너츠 오일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식물성 오일이 첨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아스팔트 보도블록(100)을 설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노상(500) 위에 모래층(200)을 형성하여 평평하게 다지고, 모래층(200) 상부에 아스팔트 보도블록(100)을 설치하게 된다. 또한 노상(500)과 모래층(200) 사이에 추가로 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추가로 형성되는 층은 노상(500) 상부에 보조기층(400)과 기층(300)을 적층하거나, 노상(500) 상부에 보조기층(400)과 기층(300) 중 보조기층(400)만 형성하거나, 노상(500) 상부에 보조기층(400)과 기층(300) 중 기층(300)만 형성한다.
보조기층(400)을 형성 시에는 파쇄골재, 모래, 슬래그로 형성되어 다짐하여 이루어지고, 파쇄골재의 경우, 4.75mm 체를 통과하는 골재의 70%~100%는 2개 이상의 파쇄면을 가지고 있고, 기층(300)을 형성 시에는 입도조정 골재를 이용한 기층, 시멘트 안정처리 기층, 또는 가열 아스팔트 안정처리기층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모래층(200)을 형성할 시에는 3mm 이하의 모래, 주물사, 규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포설하게 된다.
아스팔트 보도블록(100)의 형상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본 발명에서는 아스팔트 보도블록(100)의 상면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이며, 두께는 5cm~10cm로 제작하게 되는데, 석유아스팔트, 천연아스팔트, 골재, 개질혼합재, 채움혼합재로 이뤄지며, 석유아스팔트는 침입도 기준 85~100이며, 천연아스팔트는 트리니대드 레이크 아스팔트이다. 석유아스팔트의 침입도 기준은 이에 상응하는 점도 기준, 노화점도 기준, PG 등급 기준으로 대체가 가능하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트리니대드 레이크 아스팔트는 천연아스팔트의 일종으로, 천연아스팔트는 품질이 일정하지 않은 단점이 있지만, 엄격한 품질 검사를 통해 본 발명에 적용하였다.
골재는 4.75mm 체에 잔류하는 굵은골재, 4.75mm체를 통과하는 잔골재로 구분하여 포함되며, 굵은골재는 골재와 아스팔트의 접착성이 좋은 화강암 또는 석회암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동시에 사용하며, 잔골재는 골재파쇄분, 모래, 규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며, 경우에 따라 슬래그, 패각파쇄분, 석회, 석고 등도 포함될 수 있다.
골재의 입도는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개발되었으며, 입도예1은 통과중량백분율(%)로 19mm체 100%, 13mm체 95~100%, 4.75mm체 65~80%, 2.36mm체 50~65%, 600체 25~40%, 300체 12~27%, 150체 8~20%, 75체 4~10%이며, 입도예2는 통과중량백분율(%)로 19mm체 100%, 13mm체 95~100%, 4.75mm체 60~80%, 2.36mm체 45~65%, 600체 40~60%, 300체 20~45%, 150체 10~25%, 75체 8~13%이며, 입도예3은 통과중량백분율(%)로 19mm체 100%, 13mm체 95~100%, 4.75mm체 75~90%, 2.36mm체 65~80%, 600체 40~65%, 300체 20~45%, 150체 15~30%, 75체 8~15%이다.
개질혼합재는 고무류와 플라스틱류를 포함하며, 고무류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러버, 천연고무. 폐타이어 고무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플라스틱류는 에칠 비닐 아세테이트, 염화폴리비닐, 폴리오레핀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고무류 개질혼합재는 고온에서 아스팔트 포장에 발생하는 소성변형 저항에 효과적이며, 플라스티류 개질혼합재는 저온과 상온에서 아스팔트 포장에 발생하는 균열 저항성을 증진시킬 수 있어, 아스팔트 보도블록 제작시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개질혼합재는 액상과 분말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데, 개질혼합재가 액상일 경우, 석유아스팔트와 습식혼합되고, 개질혼합재가 분말일 경우,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개질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되거나, 골재의 일부를 대체하지 않고 골재 100중량부에 일정 비율을 더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다. 개질혼합재가 액상일 경우, 석유아스팔트와 습식혼합되고, 개질혼합재가 분말일 경우,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상기 개질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된다.
채움혼합재는 수분저항성이 강한 석회 및 산화경화에 대한 취성을 감소하시키기 위해 카본블랙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고, 경우에 따라 나무칩, 톱밥, 볏집, 왕겨 등 식물성 채움혼합재와 바텀애쉬와 플라이애쉬와 같은 애쉬류도 사용할 수 있다. 채움혼합재는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채움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되거나, 골재의 일부를 대체하지 않고 골재 100중량부에 일정 비율을 더 첨가하여 혼합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 재료를 이용하여 아스팔트 보도블록(100)이 제작되면, 아스팔트 보도블록(100)의 외부면에 투명 또는 유색의 표면코팅층(150)을 형성하여 아스팔트 보도블록을 보호하게 된다.
또한 도 4와 같이 아스팔트 보도블록(100)은 모래층(200)에 함침되도록 설치하고, 아스팔트 보도블록(100)과 인접 아스팔트 보도블록(100)의 사이에 아스팔트 보도블록(100)의 두께 방향으로 1~2cm 높이로 모래층(200)이 돌출되어 접촉부(250)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접촉부(250) 상부는 줄눈부(600)를 형성하게 되어 줄눈부에 채움재(700)를 삽입하게 된다(도 5 참고). 줄눈부(600)의 채움재(700)에는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첨가제는 첨가제1, 첨가제2, 첨가제3으로 구분되어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첨가제1은 황토, 적색벽돌 파쇄분, 무기계 분말 안료, 유기계 분말 안료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여 줄눈부의 색상을 변하게 하고, 첨가제2는 야광 안료, 축광 안료, 형광 안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야간에도 줄눈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며, 첨가제3은 글라스비드 및 패쇄유리를 사용하여 줄눈부에서 빛을 반사하게 된다. 첨가제2의 무기계 분말 안료는 산화철, 크롬, 카드뮴, 코발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유기계 분말 안료는 아조 안료 또는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첨가제3의 야광 안료는 알루미늄 산염, 규산염, 아연계, 라듐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축광 안료는 유로폼, 가돌리늄, 디스프로슘, 티븀, 이티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형광 안료는 페릴계, 쿠마린계, 티오크산텐계, 안트라키논계, 메틴계, 벤조피란계, 티오인디고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도 6과 같이 채움재와 첨가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채움재 또는 채움재와 첨가제(700)가 혼합되어 줄눈부에 삽입된 후에 그 상부에 투명 수지로 코팅층(800)을 형성할 수 있다. 투명 수지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계, 아크릴계, 스티렌계, 폴리카보네이트계, 불소계, 폴리에스테르계, 염화 비닐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계, 셀룰로스계, 폴리에틸렌계, 폴리프로필렌계의 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수지이며, 또한 코코넛 오일, 포도씨 오일, 너츠 오일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식물성 오일이 첨가될 수 있다.
도 7은 아스팔트 보도블록(100) 설치 후 상측에서 본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 아스팔트 보도블록(100) 사이의 줄눈부(600)에 채움재를 삽입하거나 또는 채움재와 첨가제를 동시에 사용하여 줄눈부(600)의 색상이 변하게 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에 제시된 첨가제를 이용하여 야간에도 줄눈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거나, 빛을 반사하는 등의 기능을 부가할 수도 있다.
100 : 아스팔트 보도블록
150 : 표면코팅층
200 : 모래층
250 : 접촉부
300 : 기층
400 : 보조기층
500 : 노상
550 : 택코트 또는 프라임코트
600 : 줄눈부
700 : 채움재 또는 채움재+첨가제
800 : 코팅층

Claims (17)

  1. 석유아스팔트, 천연아스팔트, 골재, 개질혼합재, 채움혼합재로 이뤄지고,
    상기 석유아스팔트는 침입도 기준 85~100이며,
    상기 천연아스팔트는 트리니대드 레이크 아스팔트이며,
    상기 골재는 4.75mm 체에 잔류하는 굵은골재, 4.75mm체를 통과하는 잔골재로 구분하여 포함되며,
    상기 굵은골재는 골재와 아스팔트의 접착성이 좋은 화강암 또는 석회암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동시에 사용하며,
    상기 잔골재는 골재파쇄분, 모래, 규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 혼합되어 사용되고,
    상기 개질혼합재는 고무류와 플라스틱류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류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러버, 천연고무. 폐타이어 고무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상기 플라스틱류는 에칠 비닐 아세테이트, 염화폴리비닐, 폴리오레핀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상기 개질혼합재가 액상일 경우, 상기 석유아스팔트와 습식혼합되고,
    상기 개질혼합재가 분말일 경우, 상기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상기 개질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되고,
    상기 채움혼합재는 수분저항성이 강한 석회 및 산화경화에 대한 취성을 감소하시키기 위해 카본블랙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고,
    상기 채움혼합재는 상기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상기 채움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보도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골재의 입도는 통과중량백분율(%)로 19mm체 100%, 13mm체 95~100%, 4.75mm체 65~80%, 2.36mm체 50~65%, 600체 25~40%, 300체 12~27%, 150체 8~20%, 75체 4~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보도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골재의 입도는 통과중량백분율(%)로 19mm체 100%, 13mm체 95~100%, 4.75mm체 60~80%, 2.36mm체 45~65%, 600체 40~60%, 300체 20~45%, 150체 10~25%, 75체 8~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보도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골재의 입도는 통과중량백분율(%)로 19mm체 100%, 13mm체 95~100%, 4.75mm체 75~90%, 2.36mm체 65~80%, 600체 40~65%, 300체 20~45%, 150체 15~30%, 75체 8~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보도블록.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스팔트 보도블록은 상면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이며, 두께는 5cm~1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보도블록.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스팔트 보도블록의 외부면에는 투명 또는 유색의 표면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보도블록.
  7. 노상 위에 모래층을 형성하여 평평하게 다지고, 상기 모래층 상부에 설치되는 아스팔트 보도블록에 있어서,
    상기 모래층은 3mm 이하의 모래, 주물사, 규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포설하고,
    상기 아스팔트 보도블록은 석유아스팔트, 천연아스팔트, 골재, 개질혼합재, 채움혼합재로 이뤄지고,
    상기 석유아스팔트는 침입도 기준 85~100이며,
    상기 천연아스팔트는 트리니대드 레이크 아스팔트이며,
    상기 골재는 4.75mm 체에 잔류하는 굵은골재, 4.75mm체를 통과하는 잔골재로 구분하여 포함되며,
    상기 굵은골재는 골재와 아스팔트의 접착성이 좋은 화강암 또는 석회암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동시에 사용하며,
    상기 잔골재는 골재파쇄분, 모래, 규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 혼합되어 사용되고,
    상기 개질혼합재는 고무류와 플라스틱류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류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러버, 천연고무. 폐타이어 고무분말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상기 플라스틱류는 에칠 비닐 아세테이트, 염화폴리비닐, 폴리오레핀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상기 개질혼합재가 액상일 경우, 상기 석유아스팔트와 습식혼합되고,
    상기 개질혼합재가 분말일 경우, 상기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상기 개질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되고,
    상기 채움혼합재는 수분저항성이 강한 석회 및 산화경화에 대한 취성을 감소하시키기 위해 카본블랙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고,
    상기 채움혼합재는 상기 골재와 혼합되는 건식혼합되되, 상기 채움혼합재의 양을 골재 일부와 대체하는 방법으로 혼합되어 제작되고,
    상기 제작된 아스팔트 보도블록은 상기 모래층에 함침되도록 설치하고, 아스팔트 보도블록과 인접 아스팔트 보도블록의 사이에 아스팔트 보도블록의 두께 방향으로 1~2cm 높이로 모래층이 돌출되어 접촉부를 형성하게 하고, 상기 접촉부 상부는 줄눈부를 형성하게 하여 상기 줄눈부에 채움재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보도블록 설치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노상과 모래층 사이에 추가로 층을 형성하되,
    추가로 형성되는 층은 노상 상부에 보조기층과 기층을 적층하거나, 노상 상부에 보조기층과 기층 중 보조기층만 형성하거나, 노상 상부에 보조기층과 기층 중 기층만 형성하고,
    상기 파쇄골재의 경우, 4.75mm 체를 통과하는 골재의 70%~100%는 2개 이상의 파쇄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보조기층을 형성 시에는 파쇄골재, 모래, 슬래그로 형성되어 다짐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층을 형성 시에는 입도조정 골재를 이용한 기층, 시멘트 안정처리 기층, 또는 가열 아스팔트 안정처리기층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층을 이용한 보도블록 설치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골재의 입도는 통과중량백분율(%)로 19mm체 100%, 13mm체 95~100%, 4.75mm체 65~80%, 2.36mm체 50~65%, 600체 25~40%, 300체 12~27%, 150체 8~20%, 75체 4~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보도블록.
  10. 제7항에 있어서,
    골재의 입도는 통과중량백분율(%)로 19mm체 100%, 13mm체 95~100%, 4.75mm체 60~80%, 2.36mm체 45~65%, 600체 40~60%, 300체 20~45%, 150체 10~25%, 75체 8~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보도블록.
  11. 제7항에 있어서,
    골재의 입도는 통과중량백분율(%)로 19mm체 100%, 13mm체 95~100%, 4.75mm체 75~90%, 2.36mm체 65~80%, 600체 40~65%, 300체 20~45%, 150체 15~30%, 75체 8~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보도블록.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스팔트 보도블록은 직육면체, 정육면체, 원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이며, 두께는 5cm~1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보도블록 설치방법.
  13.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스팔트 보도블록 제작후, 모래층에 함침되기 전에 아스팔트 보도블록의 외부면에 투명 또는 유색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보도블록 설치방법.
  14.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채움재는 골재파쇄분, 모래, 규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보도블록 설치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줄눈부의 채움재에는 첨가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보도블록 설치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첨가제1, 첨가제2, 첨가제3으로 구분되어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첨가제1은 황토, 적색벽돌 파쇄분, 무기계 분말 안료, 유기계 분말 안료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여 줄눈부의 색상을 변하게 하고, 첨가제2는 야광 안료, 축광 안료, 형광 안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야간에도 줄눈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며, 첨가제3은 글라스비드 및 패쇄유리를 사용하여 줄눈부에서 빛을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층을 이용한 보도블록 설치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무기계 분말 안료는 산화철, 크롬, 카드뮴, 코발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유기계 분말 안료는 아조 안료 또는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층을 이용한 보도블록 설치방법.
KR1020150022698A 2015-02-13 2015-02-13 아스팔트 보도블록 및 그 설치방법 KR101693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698A KR101693475B1 (ko) 2015-02-13 2015-02-13 아스팔트 보도블록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698A KR101693475B1 (ko) 2015-02-13 2015-02-13 아스팔트 보도블록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127A true KR20160100127A (ko) 2016-08-23
KR101693475B1 KR101693475B1 (ko) 2017-01-06

Family

ID=56875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698A KR101693475B1 (ko) 2015-02-13 2015-02-13 아스팔트 보도블록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4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1292A (zh) * 2017-11-30 2018-02-23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高性能红砖再生轻集料混凝土及其制备方法
RU182757U1 (ru) * 2018-06-13 2018-08-30 Андрей Федорович Ащеульников Дорожная плита из асфальтобетон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2364A (ja) * 2002-09-03 2004-03-25 Uenojo:Kk 透水性アスファルト舗装の補強方法
KR20040066081A (ko) 2004-07-05 2004-07-23 강흥식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블록 제조방법
KR100935465B1 (ko) * 2009-05-20 2010-01-06 정홍기 개질 아스팔트 및 개질 아스팔트콘크리트
KR101002705B1 (ko) * 2008-07-31 2010-12-21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초박층 저소음 교면 포장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2364A (ja) * 2002-09-03 2004-03-25 Uenojo:Kk 透水性アスファルト舗装の補強方法
KR20040066081A (ko) 2004-07-05 2004-07-23 강흥식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블록 제조방법
KR101002705B1 (ko) * 2008-07-31 2010-12-21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초박층 저소음 교면 포장 구조물
KR100935465B1 (ko) * 2009-05-20 2010-01-06 정홍기 개질 아스팔트 및 개질 아스팔트콘크리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1292A (zh) * 2017-11-30 2018-02-23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高性能红砖再生轻集料混凝土及其制备方法
RU182757U1 (ru) * 2018-06-13 2018-08-30 Андрей Федорович Ащеульников Дорожная плита из асфальтобетон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475B1 (ko) 2017-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840B1 (ko) 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한 교면 포장 방수공법
KR101449480B1 (ko) 대마를 이용한 친환경 자전거 도로 및 보도 포장용 아스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22013B1 (ko) 축광 분말과 축광 골재 및 이를 이용하여 복층구조를 갖는 발광 투수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방법
KR100653118B1 (ko) 비가열 급속경화성 살포식 박층포장 및 차선도색용 도료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도포방법
KR20130023928A (ko) 지오폴리머를 이용한 반강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그라우트 주입재
JP5778959B2 (ja) 遮熱性ブロック、遮熱性ブロックの成型方法、及び遮熱性セメント組成物
KR101693475B1 (ko) 아스팔트 보도블록 및 그 설치방법
CN109777224B (zh) 一种彩色薄涂防滑路面用材料及其施工方法
KR101012968B1 (ko) 바텀애쉬 골재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기능을 가진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239075B1 (ko) 초속경 라텍스개질 콘크리트 조성물
KR101759616B1 (ko) 아스팔트 콘크리트 순환 골재 및 백색시멘트를 활용한 동해 방지형 유색 상온순환 아스콘 조성물
KR102351674B1 (ko) 차열 특성이 우수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09089920A1 (de) Betonmischung
KR100982653B1 (ko) 속경형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이를 이용한 경계석 블록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경계석 블록
KR100632867B1 (ko) 유색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색 개질아스팔트
KR101798894B1 (ko) 원형 돌출부 형성을 위한 2액형 상온경화형 플라스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선 시공방법
KR101117781B1 (ko) 칼라 주입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칼라 콘크리트 포장방법
KR100819500B1 (ko) 포장용 칼라 아스팔트
KR101438500B1 (ko)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도로포장용 아스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93474B1 (ko) 보강층을 이용한 보도블록 설치방법
CN111662040A (zh) 一种用于制备半柔性荧光路面的材料及应用方法
KR100947888B1 (ko) 보행도로 및 자전거 전용 도로용 도로 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공법
KR101541045B1 (ko) 보강층을 이용한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내구성 증진 포장공법
JP2012201579A (ja) 遮熱性ブロック及び遮熱性セメント組成物
KR20220134698A (ko) 차열성이 개선된 재귀반사 기능을 갖는 경관 포장재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경관도로 포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