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9795A - 식생판넬과 이를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식생판넬과 이를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9795A
KR20160099795A KR1020150021889A KR20150021889A KR20160099795A KR 20160099795 A KR20160099795 A KR 20160099795A KR 1020150021889 A KR1020150021889 A KR 1020150021889A KR 20150021889 A KR20150021889 A KR 20150021889A KR 20160099795 A KR20160099795 A KR 20160099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panel
retaining wall
stiffener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4763B1 (ko
Inventor
강명헌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주)대한콜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콜크 filed Critical (주)대한콜크
Priority to KR1020150021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763B1/ko
Publication of KR20160099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G9/1013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01G9/108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 Soi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판넬(30)과 이를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후방향으로 개구된 관통홀(31')이 형성된 판넬프레임(31,32)과, 상기 판넬프레임(31,32)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된 식생포트(36)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포트(36)에는 상기 관통홀(31')에 연결되고 전방으로 개구된 식생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식생판넬(30)의 전방으로 돌출된 식생포트(36)에 식생공간이 형성되어, 식생공간이 자연상태에서 식물이 자라는 각도를 유지시켜줌으로써 녹화용 식물(P)의 식생이 보다 원활하도록 유도되고, 따라서 상대적으로 급한 경사의 옹벽구조에서도 녹화가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식생판넬과 이를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Vegetative panel, reinforced earth walls structure having this and c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절토 또는 성토에 의해 발생하는 고경사면 또는 다양한 형태의 수직벽을 전방 방향으로 녹화할 수 있도록 하는 식생블록과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나 하천변 등 절토 또는 성토되어 발생하는 사면은 토사의 유실과 붕괴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경관을 개선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면의 안정화와 함께 녹화를 실시하게 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수직벽에도 녹화를 하여 친환경적으로 수직벽을 만들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수직벽의 예로는 절토 또는 성토에 의해 발생하는 사면을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만든 수직벽, 대형 건물의 벽면 등이 있다.
사면을 녹화하기 위한 공법으로 다양한 것이 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1040호의 식생옹벽 시공방법이 있는데, 이는 절토나 성토지의 사면을 녹화함에 있어서, 식생 및 기울기의 조절이 가능한 식생판넬을 이용하여 급경사면을 시공하거나 붕괴된 벽면을 보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판넬이나 블록을 이용하여 사면의 녹화를 가능하게 하는 종래기술들은 녹화를 위한 식물의 종류가 매우 한정되었다. 사면경사가 70°이상의 고경사면이거나 수직면인 경우에는 수분의 지속적인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덩굴식물이나 양치식물과 같은 특정 종류의 식물 이외에는 생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녹화용 식물에 인위적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도 있으나, 도로변이나 부지(敷地)에 설치되는 토목옹벽의 경우 설치환경으로 인하여 수분을 강제로 공급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며, 공급수단을 설치하더라도 설치비용이 매우 높아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판넬이나 블록을 형성하는 콘크리트의 독성으로 인하여 녹화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면이 있다.
또한 식생판넬만으로 옹벽의 전면을 형성할 경우에는 식생이나 안정성 측면에서 경사각이 일정각도 이상으로 형성되지 못하고 제한될 수밖에 없어 설계자유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급한 사면경사를 갖는 옹벽의 축조를 위해서 보강토공법이 사용되기도 하는데, 보강토옹벽은 전면에 설치되는 블록벽체와 그 후면의 뒷채움흙과 뒷채움흙 사이에 부설되는 보강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보강재가 외력이나 토압에 저항하는 힘을 증가시키게 된다.
그러나 보강토옹벽의 시공에 사용되는 띠형 섬유 보강재는 흙과의 마찰저항력이 부족하여 안정검토시, 필요 이상으로 보강재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섬유 보강재의 포설 길이를 늘여줌으로써 마찰저항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으나, 이는 결국 뒷채움 토공량을 증가시켜 시공성 및 경제성 측면에서 불리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104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녹화용 식물에 충분한 수분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급한 경사각을 갖는 보강토옹벽에도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이용한 녹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녹화가 가능함과 동시에 경사각을 수직에 가깝도록 형성할 수 있는 보강토옹벽구조를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동마찰저항수단이 구비된 띠형 보강재를 이용하여 마찰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뒷채움흙의 포설길이를 줄이고 토공량 및 보강재량을 줄이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후방향으로 개구된 관통홀이 형성된 판넬프레임과, 상기 판넬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된 식생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포트에는 상기 관통홀에 연결되고 전방으로 개구된 식생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식생포트는 상기 판넬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측면가이드와, 상기 측면가이드 사이에 구비되는 하부가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측면가이드 및 하부가이드 사이에는 전방 및 상방으로 개구된 식생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가이드는 상기 하부가이드와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돌출된 정도가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판넬프레임에는 상기 식생포트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보강부가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판넬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다.
상기 판넬프레임에는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측면가이드 및 하부가이드는 각각 평면플레이트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판넬프레임에는 다수개의 열과 행으로 구성하도록 다수개의 식생포트가 구비된다.
하부가이드의 돌출된 일단에는 가이드리브가 도출되어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에 세워지는 식생수단과, 상기 식생판넬의 후방에 위치되는 식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식생판넬은 전후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판넬프레임과, 상기 판넬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식생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포트는 상기 판넬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측면가이드와 상기 측면가이드 사이를 연결하는 하부가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측면가이드 및 하부가이드 사이에 식생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일단이 상기 식생판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식생판넬 후방으로 연장되는 띠형 보강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측면가이드는 상기 하부가이드와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돌출된 정도가 작아져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띠형 보강재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연한 재질의 스트립베이스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상면 또는 저면 중 어느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구비되는 저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항수단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외면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저항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판넬프레임에는 상기 식생포트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보강부가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판넬프레임에는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띠형 보강재는 상기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거나, 상기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블록에 고정된다.
상기 식생판넬은 다수개서 적층되어 구비되고, 상기 기초부와 식생판넬 사이 또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적층된 다수개의 상기 식생판넬 사이에는 전면블록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초부가 형성되는 기초단계와, 상기 기초부의 상방에 식생판넬이 설치되는 판넬설치단계와, 상기 식생판넬의 배면에 식생수단이 설치되는 식생수단설치단계와, 상기 식생판넬에 띠형 보강재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보강재설치단계와, 상기 식생판넬의 후방에 뒷채움흙을 포설하고 이를 다지는 포설단계와, 상기 식생판넬 상부에 식생판넬을 설치하는 적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식생판넬은 상기 식생수단을 향해 전후방향으로 개구된 관통홀이 형성된 판넬프레임과, 상기 판넬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홀과 연결된 식생공간이 형성된 구비되는 식생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식생포트는 상기 판넬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측면가이드와 상기 측면가이드 사이를 연결하는 하부가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측면가이드 및 하부가이드 사이에 상기 식생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식생판넬 사이 또는 상기 기초부와 상기 식생판넬 사이에 전면블록이 설치되는 블록설치단계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전면블록에도 보강재가 설치된다.
상기 띠형 보강재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연한 재질의 스트립베이스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상면 또는 저면 중 어느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구비되는 저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띠형 보강재의 일단은 상기 식생판넬에 구비된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거나, 상기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블록에 고정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판넬 및 이를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와 그 시공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식생판넬의 전방으로 돌출된 식생포트에 식생공간이 형성되어, 식생공간이 자연상태에서 식물이 자라는 각도를 유지시켜줌으로써 녹화용 식물의 식생이 보다 원활하도록 유도되고, 따라서 상대적으로 급한 경사의 옹벽구조에서도 녹화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수동마찰저항 띠형보강재가 식생판넬에 연결되어 높은 강도의 식생판넬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옹벽구조의 경사각을 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보강토옹벽의 설계자유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식생공간이 식생판넬의 관통홀을 통해 후방의 뒷채움흙 및 식생매트와 직접 연결되므로, 녹화용 식물의 식생층이 원지반 즉, 흙과 연속성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수분의 증발 및 뿌리가 자랄 수 있는 환경 등이 자연상태와 매우 유사하게 모사되므로 녹화용 식물의 식생률 및 생착률이 좋아지고 이를 통해 원활한 식생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식생포트의 돌출된 구조를 통하여 흙의 안식각보다 낮은 각도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식생이 발현되어 전면이 보강되기 전인 시공초기에도 토사 및 토분유출을 줄여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자연우수시에 전면에서 물이 아래로 흘러내리지 않고 옹벽 배면쪽인 식물의 뿌리방향으로 수분이 전달될 수 있어 녹화용 식물의 생장이 더욱 촉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식생판넬에 다양한 크기의 식생포트 및 식생공간을 다수개 형성하여,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초화류와 관목류를 비롯한 다양한 녹화용 식물를 직접 식재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경사각으로 세워지는 식생판넬과, 수직 또는 이에 가까운 각도로 세워지는 전면블록을 혼합한 복합옹벽을 구현함으로써, 보다 큰 경사각을 갖는 녹화 보강토옹벽의 시공이 가능해지고, 이를 통해 토지이용률을 증대시키고 경제성을 증대할 수 있으며, 또한 새로운 형태의 옹벽구조를 통해 미관을 보다 개선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저항수단이 띠형 보강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므로, 띠형 보강재의 수동저항 마찰력 및 인발저항능력이 크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저항수단을 통해 향상된 인발저항능력으로 인해 띠형 보강재의 포설 개수 및 포설 길이가 줄어들게 되고, 이는 흙의 운반, 터파기, 뒷채움흙의 포설 및 다짐과 같은 토공사의 물량 감소를 가능하게 하므로, 보강토 옹벽의 시공성 및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식생판넬을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의 구성을 보인 구조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강토옹벽구조의 일부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식생판넬, 식생매트 및 띠형보강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식생판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따른 식생판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례에 따른 식생판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례에 따른 식생판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식생판넬을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를 구성하는 띠형보강재의 서로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각각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띠형보강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식생판넬을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를 구성하는 고정피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고정피스에 띠형보강재의 일단이 고정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따른 식생판넬을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의 구성을 보인 구조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례에 따른 식생판넬을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의 구성을 보인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식생판넬을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의 구성이 구조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보강토옹벽구조의 일부 구성이,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식생판넬, 식생매트 및 띠형보강재의 구성이 보다 확대된 모습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보강토옹벽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판넬(30)을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이하 '보강토옹벽구조'라 한다)는 크게, 옹벽기초인 기초부(A)와, 상기 기초부(A) 상에 세워지는 전면블록(10), 그리고 전면블록(10) 상에 축적되는 식생판넬(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전면블록(10)과 식생판넬(30)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옹벽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옹벽의 후방에는 뒷채움흙(B)과 뒷채움흙(B) 사이에 존재하는 띠형 보강재(200)가 포설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보강토옹벽구조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보강토옹벽을 구성하는 기초부(A)는 무근콘크리트 등을 지면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는 보강토옹벽시공 후 토압 등 외력에 의해 제일 하단부가 외측으로 밀리는 경우를 대비해 턱을 형성해줄 수도 있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기초부(A)의 상부에는 전면블록(10)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블록(10)은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옹벽의 일부로서,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경사각을 갖도록 구비된다. 상기 전면블록(10)은 다수개가 서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전면블록(10) 사이에는 저항수단(250)이 구비된 띠형 보강재(200)가 포설되어 수동저항 마찰력 및 인발저항능력이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띠형 보강재(2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기초부(A)의 상부에는 전면블록(10)이 설치된다. 상기 전면블록(10)은 콘크리트 재질의 옹벽구조물로, 다수개가 적층되어 보강토옹벽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전면블록(10)의 크기와 형상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전면블록(10)의 식생판넬(30)이 설치된다. 상기 식생판넬(30)은 도 1에서 보듯이,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어느 정도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70°이상의 고경사도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식생판넬(30)은 보강토옹벽을 녹화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서 보듯이, 식생판넬(30)에는 녹화용 식물(P)이 자라게 된다. 상기 녹화용 식물(P)은 반드시 덩굴식물이나 양치식물과 같은 특정 종류의 식물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식물이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여 식생판넬(3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식생판넬(30)은 크게 전후방향으로 개구된 관통홀(31')이 형성된 판넬프레임(31,32)과, 상기 판넬프레임(31,32)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된 식생포트(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판넬프레임(31,32)은 상기 식생판넬(30)의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 4에는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다각형상 또는 곡면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판넬프레임(31,32)에는 관통홀(31')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31')은 상기 판넬프레임(31,32)의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관통홀(31')을 통해 아래에서 설명될 식생수단이 판넬프레임(31,32)의 전방에 형성된 식생공간과 서로 연결된다. 물론, 식생매트(40)의 후방에 위치되는 뒷채움흙(B) 역시 상기 관통홀(31')을 통해 식생공간과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판넬프레임(31,32)에는 상부플레이트(32)와 하부플레이트(31)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32)와 하부플레이트(31)는 각각 상기 판넬프레임(31,32)의 상부와 하부에 평판구조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 4에서 보듯이 판넬프레임(31,32)의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판넬프레임(31,32)에는 식생포트(36)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보강부(33)가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33)는 상기 판넬프레임(31,32)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판넬프레임(31,32)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강부(33)는 상기 상부플레이트(32) 또는 하부플레이트(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보강부(33)는 상기 판넬프레임(31,32)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되고, 이들은 각각 상기 상부플레이트(32) 및 하부플레이트(31)에 연결되는 평판구조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보강부(33)는 판넬프레임(31,32)의 상부 또는 하부에만 구비되거나, 상기 상부플레이트(32) 및 하부플레이트(31)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판넬프레임(31,32)에는 식생포트(36)가 구비된다. 상기 식생포트(36)는 상기 판넬프레임(31,32)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식생포트(36)가 녹화용 식물(P)이 식생하는 식생공간을 조성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식생포트(36)가 형성하는 식생공간에서 녹화용 식물(P)이 생장하게 되고, 이는 녹화용 식물(P)이 식생판넬(30)이나 옹벽의 외면으로부터 직교한 방향으로 생장하지 않고, 상기 식생포트(36)의 하부를 일종의 지반으로 하여 식물이 생장하는 일반적인 방향인 상방으로 자연스럽게 생장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식생포트(36)는 상기 판넬프레임(31,32)으로부터 돌출된 측면가이드(38)와, 상기 측면가이드(38) 사이에 구비되는 하부가이드(37)로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가이드(38)와 하부가이드(37)는 각각 평판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가이드(38) 및 하부가이드(37) 사이에는 식생공간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측면가이드(38) 및 하부가이드(37)가 반드시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필요는 없으며 서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식생판넬(30)의 식생포트(36)를 구성하는 측면가이드(38) 및 하부가이드(37)는 전방 및 상방으로 개구된 식생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전방이란 상기 식생판넬(30)이 판넬프레임(31,32)으로부터 돌출된 방향을 나타내며, 상방은 도 4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상기 하부플레이트(31)로부터 판넬프레임(31,32)의 몸체가 연장되는 직교한 방향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식생공간이 전방 및 상방으로 개구됨에 따라 식생공간에서 생장되는 녹화용 식물(P)은 전방 뿐 아니라 상방으로도 생장할 수 있게 되며, 이는 하부플레이트(31)를 지반으로 하였을 때 식물들이 일반적으로 생장하는 상방으로 자랄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식생판넬(30)이 소정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되면, 상기 식생포트(36)의 하부가이드(37)가 일종의 지반이 되어 식물이 자연스럽게 생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그리고, 만약 상기 식생판넬(30)이 더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되면, 상기 하부가이드(37)와 판넬프레임(31,32)이 하부 지반을 형성하고 상기 측면가이드(38)의 외면은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역시 식물이 원활하게 생장할 수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측면가이드(38)는 상기 하부가이드(37)와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돌출된 정도가 작아지도록 형성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측면가이드(38)는 삼각형상을 갖는다. 물론, 상기 측면가이드(38)는 반드시 삼각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양한 형상의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판넬프레임(31,32)에는 식생포트(36)가 다수개의 열과 행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하나의 식생판넬(30)에는 다수개의 식생포트(36)가 구비되고, 이들은 다시 다수개의 열과 행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다수개의 식생포트(36)가 구성하는 독립된 식생공간이 다수개 형성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식생판넬(30)의 두번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식생판넬(30)의 식생포트(36)에는 가이드리브(39)가 도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39)는 식생포트(36)의 하부가이드(37)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식생공간의 하부 일부를 가로막아 토사나 토분의 유출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생판넬(30)에 구비된 보강부(33)에는 연결수단(33')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수단(33')은 상기 식생판넬(30)과 이에 인접한 다른 식생판넬(30) 사이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돌기와 요입된 홈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연결수단(33')은 관통홀(31')로 구성되고, 별도의 체결구(미도시)로 이들을 통과시켜 묶을 수도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식생판넬(30)의 세번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식생판넬(30)의 식생포트(36)는 좌우로 길게 연장되는 하나의 하부가이드(37)와, 상기 하부가이드(37) 양단에 구비되는 측면가이드(38)로 구성된다. 이 경우, 식생공간은 좌우로 길게 연장된 공간이 되는데, 식재하는 녹화용 식물(P)의 종류나 시공환경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식생판넬(30)의 네번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식생판넬(30)에는 하나의 식생포트(36)가 구비되고, 따라서 하나의 식생공간만이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식생공간의 크기는 생장하는 녹화용 식물(P)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다수개의 식생포트(36)가 하나의 식생판넬(30)에 구비될 필요는 없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식생판넬(30)의 후방에는 식생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식생수단은 옹벽의 녹화를 위한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식생매트(40,vegetation-mat)로 구성된다. 식생매트(40)는 다수겹의 매트(짚, 섬유 등) 사이에 식물 종자와 피트모스와 같은 식생기반재를 샌드위치형태로 일체화한 것으로, 녹화용 식물(P)의 생장을 위한 것이다. 물론, 상기 식생수단은 상기 식생매트(40)를 대신하여 식생토낭(vegetated soilbag)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그밖에 식물 종자와 식생기반재를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물이 가능하다.
상기 식생판넬(30)에는 띠형 보강재(200)가 연결된다. 상기 띠형 보강재(200)는 뒷채움흙(B)에 포설되어 뒷채움흙(B)과의 마찰력을 통해 뒷채움흙(B)이 횡으로 변하고자 하는 토압을 경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뒷채움흙(B)과 상기 띠형 보강재(200)의 마찰에 의하여 토압을 경감시킴으로써 뒷채움흙(B)의 점착력과 내부마찰각이 증진되고, 이에 따라 뒷채움흙(B)의 전단강도가 향상되어 견고한 보강토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띠형 보강재(200)는 얇은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본적으로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띠형 보강재(200)는 섬유 재질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띠형 보강재(200)는 폴리머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여기에 폴리에틸렌 피복이 씌워져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띠형 보강재(200)는 섬유 재질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인장강도가 높은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띠형 보강재(200)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피스(300)를 통해 상기 식생판넬(30)에 쉽게 고정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는 띠형 보강재(200)의 서로 다른 실시례들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8에서 보듯이, 상기 띠형 보강재(20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립베이스(210)와, 상기 스트립베이스(210)에 구비된 저항수단(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트립베이스(210)와 저항수단(250)은 각각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동일한 재질이거나 서로 다른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스트립베이스(210)는 납작한 띠형상을 가지면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데, 상기 스트립베이스(210)는 소정간격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스트립베이스(210)는 제1스트립 및 제2스트립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스트립베이스(210)에 연결되는 저항수단(250)은 상기 스트립베이스(210)의 상면 또는 저면 중 어느 일측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는데, 도 8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저항수단(250)은 상기 스트립베이스(210)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토체와 띠형 보강재(200) 사이의 수동저항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항수단(250)은 상기 스트립베이스(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구비되는데, 도 8에는 그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저항수단(250)은 상기 스트립베이스(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됨으로써 띠형 보강재(200)에 의한 마찰저항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저항수단(250)은 다시, 상기 스트립베이스(210)의 외면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252)와, 상기 연결부(252) 사이에 위치되는 저항부(255)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252)는 상기 스트립베이스(210)와 상기 저항수단(25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착제나 체결구(350)와 같은 별물을 이용하여 스트립베이스(210)와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연결부(252)가 스트립베이스(210)와 일체로 제조됨으로써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저항부(255)는 상기 연결부(25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스트립베이스(210)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으로, 실질적으로 마찰저항을 증가시키는 부분에 해당한다. 도 8에서 보듯이, 상기 저항부(255)는 상기 스트립베이스(210)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저항부(255)에 의한 마찰저항을 최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저항부(255)는 상기 보강블록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에 따라, 토압 등에 의해 띠형 보강재(200)가 상기 보강블록 방향으로 당겨지는 과정에서 뒷채움흙(B)은 상기 저항부(255)의 내측으로 더욱 삽입되어 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저항수단(250)의 중심부, 즉 저항부(255)의 중심은 상기 스트립베이스(2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방향 중에서 어느 일방으로 치우져 형성되는데, 상기 저항부(255)의 중심이 후방으로 치우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저항부(255)는 상기 연결부(252) 사이에서 곡면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저항부(255)는 가장 높이 돌출된 중심으로부터 상기 연결부(252)로 연장되는 부분이 연속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연결부(252)와 상기 저항부(255)는 하나의 모재가 휘어져 연속된 곡면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9을 참조하면, 띠형 보강재(200)를 구성하는 스트립베이스(210)가 하나의 평면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스트립베이스(210)는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되지 않고 얇고 납작한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252)는 상기 스트립베이스(210)의 좌우측 말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52) 사이에는 상기 스트립베이스(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저항부(255)가 구비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트립베이스(210)의 상기 다수개의 저항부(255)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관통부가 다수개 구비되어 그 사이로 토사가 지나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0에는 띠형 보강재(200)의 또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스트립베이스(210)를 따라 다수개 구비된 저항수단(250) 중 일부는 저항부(255)가 일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저항부(255)가 그 반대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띠형 보강재(200)는 양방향으로 대칭되게 구성되어 방향성이 없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이는 옹벽을 향한 방향 및 그 반대방향 양쪽으로 모두 저항력을 향상시켜 상기 띠형 보강재(200)를 보다 다양한 환경 및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에서 보듯이, 상기 저항수단(250)의 연결부(252)와 상기 스트립베이스(210)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스트립베이스(2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결합부분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여 저항수단(250)와 스트립베이스(210)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연결부(252)와 스트립베이스(210)는 고주파용접을 통해 서로 결합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저항부(255)가 일방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항수단(250) 및 상기 저항부(255)가 타방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항수단(250)은 상기 스트립베이스(210)를 따라 서로 엇갈려 한개씩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물론, 반드시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저항수단(250)이 한개씩 순차적으로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다수개씩 구비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띠형 보강재(200)의 저항수단(250)은 상기 스트립베이스(210)의 상면 및 저면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으며, 저항수단(250)이 일종의 포켓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고정피스(3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고정피스(300)는 대략 육면체의 피스몸체로 구성되고, 전면블록(10)의 수납공간(미도시)에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식생판넬(30)의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물론, 상기 피스몸체의 형상은 육면체 형상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수납공간이나 식생판넬(30)의 고정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피스(300)에는 고정슬롯(320)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슬롯(320)은 상기 띠형 보강재(200)의 일부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고정피스(300)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슬롯(320) 내부로 상기 띠형 보강재(200)의 스트립베이스(210)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띠형 보강재(200)가 고정피스(3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고정슬롯(320)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슬롯 330) 제2슬롯(3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슬롯(330) 및 제2슬롯(340)은 각각 상기 고정피스(300)를 관통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띠형 보강재(200)의 스트립베이스(210)의 일단은 상기 제1슬롯(330)을 통과한 후 제2슬롯(340)을 통해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정슬롯(320)이 생략되고 띠형 보강재(200)가 상기 고정피스(300)의 외면을 둘러 후방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고정슬롯(320)이 상기 고정피스(300)에 한 개만 형성되어 상기 띠형 보강재(200)가 상기 고정슬롯(320)을 통과한 후에 상기 고정피스(300)의 외면을 둘러 후방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도 13에서 보듯이, 상기 고정피스(300)에는 체결구(350)가 상기 고정슬롯(320)이 개구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삽입된다. 상기 체결구(350)는 상기 고정피스(300)에 조립되어 상기 고정슬롯(320)의 폭을 좁힘으로써 이에 삽입된 띠형 보강재(200)의 일단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체결구(350)는 상기 고정피스(300)에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345는 상기 체결구(350)가 삽입되는 체결홀을 나타낸다.
도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서 상기 띠형 보강재(200)는 상기 식생판넬(30)과 전면블록(10) 각각에 연결된다.
한편, 도 14 및 도 1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옹벽구조의 다른 실시례들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옹벽구조는 소정의 경사각으로 세워지는 식생판넬(30)과, 수직 또는 이에 가까운 각도로 세워지는 전면블록(10)을 혼합한 복합옹벽을 구현되되, 도 14에서 보듯이, 서로 이격된 두 전면블록(10) 사이에 식생판넬(30)이 위치하는 복합옹벽으로 구성되거나, 도 15에서 보듯이 전면블록(10)과 식생판넬(30)이 서로 번갈아 다수개씩 축적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경사진 식생판넬(30)만을 다수개 적층하는 것에 비하여,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면블록(10)과 식생판넬(30)을 번갈아 시공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큰 경사각을 갖는 녹화 보강토옹벽의 시공이 가능해지고, 이를 통해 토지이용률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새로운 형태의 옹벽구조를 통해 미관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옹벽구조의 시공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작업자는 옹벽을 시공할 장소의 지면을 고르고 다진 후에 기초공사가 이루어진다. 기초공사는 무근콘크리트 등의 기초부(A)을 지면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보강토 옹벽시공 후 토압 등 외력에 의해 제일 하단부가 외측으로 밀리는 경우를 대비해 턱을 형성해줄 수도 있다.(기초단계)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듯이, 가장 하단에 전면블록(10)이 안착된다. 상기 전면블록(10)은 다수개가 서로 인접하도록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안착될 수 있다.(블록설치단계) 물론, 아래에서 설명될 판넬설치단계가 선행되어 가장 하단에 식생판넬(30)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어서, 작업자는 상기 전면블록(10)의 후방으로 띠형 보강재(200)를 설치한다.(보강재 설치단계) 상기 띠형 보강재(200)는 축적되는 전면블록(10)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고정피스(300)를 통해 상기 전면블록(1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띠형 보강재(200)는 상기 저항부(255)의 상향 경사진 부분이 상기 전면블록(10)을 향하도록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는 띠형 보강재(200)가 토압 등으로 인해 상기 전면블록(10) 방향으로 당겨지는 외력을 받는 경우에, 상기 저항부(255)가 이에 대한 저항력을 크게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상기 띠형 보강재(200)의 저항수단(250)의 구조가 도 10에 도시된 실시례와 같이 양방향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띠형 보강재(200)의 설치 방향성이 없다.
상기 띠형 보강재(200)를 설치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띠형 보강재(200)는 그 일단이 상기 고정피스(300)의 제1슬롯(330)에 삽입되어 이를 통과한 후에 제2슬롯(340)을 통해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피스(300)에는 체결구(350)가 조립되어 상기 고정슬롯(320)의 폭을 좁히게 되고, 이 과정에서 띠형 보강재(200)는 고정슬롯(320) 내부에 가압되어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고정피스(300)를 전면블록(10)의 수납공간(미도시)에 삽입시킨다. 이를 통해 고정피스(300) 및 이에 연결된 띠형 보강재(200)의 일단이 자연스럽게 고정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띠형 보강재(200)를 전면블록(10)에 고정하기 위해 전면블록(10)을 감싸는 등의 작업은 생략된다.
이어서 상기 전면블록(10)의 상부에 다른 전면블록(10)이 축적되고, 상기 전면블록(10)의 배면측에는 새로운 뒷채움흙(B)이 포설되어 앞서 설치된 띠형 보강재(200)의 상부를 덮게 된다.(포설단계) 그리고 상기 뒷채움흙(B)을 다져 마무리하며, 상기 블록설치단계 내지 흙포설단계가 반복수행됨에 따라 보강토 옹벽이 축조된다.
물론, 상기 띠형 보강재(200)의 설치와, 상기 뒷채움흙(B)을 포설하는 순서는 반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먼저 전면블록(10)의 후방으로 뒷채움흙(B)을 포설한 후에 그 위에 상기 띠형 보강재(200)을 안착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전면블록(10)의 상부에 식생판넬(30)이 설치된다.(판넬설치단계) 상기 식생판넬(30)은 상기 전면블록(10)과 달리 지면으로부터 어느 정도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식생판넬(30)을 상기 전면블록(10) 상에 설치한 후에는, 상기 식생판넬(30)의 배면에 식생매트(40)를 설치한다.(매트설치단계) 즉,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식생판넬(30)의 배면에 식생매트(40)가 위치됨으로써, 녹화용 식물(P)이 상기 식생판넬(30)의 관통홀(31')을 통과하여 식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식생판넬(30)의 식생공간이 관통홀(31')을 통해 후방의 뒷채움흙(B) 및 식생매트(40)와 직접 연결되므로, 녹화용 식물(P)의 식생층이 원지반 즉, 흙과 연속성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수분의 증발 및 뿌리가 자랄 수 있는 환경 등이 자연상태와 매우 유사하게 모사되므로 녹화용 식물(P)의 식생률 및 생착률이 좋아질 수 있다.
다음으로 앞서 전면블록(10)의 설치와 마찬가지로, 작업자는 상기 전면블록(10)의 후방으로 띠형 보강재(200)를 설치한다.(보강재 설치단계) 상기 띠형 보강재(200)는 축적되는 식생판넬(30)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고정피스(300)를 통해 상기 식생판넬(30)에 고정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띠형 보강재(200)의 일단은 상기 식생판넬(30)에 구비된 상부플레이트(32) 또는 하부플레이트(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거나, 상기 상부플레이트(32) 또는 하부플레이트(31)의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블록(미도시)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띠형 보강재(200)의 보다 구체적인 설치에 대해서는 앞서 전면블록(10) 시공단계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상기 전면블록(10)의 상부에 다른 전면블록(10)이 축적되고, 상기 전면블록(10)의 배면측에는 새로운 뒷채움흙(B)이 포설되어 앞서 설치된 띠형 보강재(200)의 상부를 덮게 된다.(포설단계) 그리고 상기 뒷채움흙(B)을 다져 마무리하며, 상기 블록설치단계 내지 흙포설단계가 반복수행됨에 따라 보강토 옹벽이 축조된다. 이와 같은 단계를 거쳐 시공된 보강토옹벽의 모습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강토옹벽이 시공되면, 도 2 및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식생판넬(30)의 식생포트(36)는 상기 판넬프레임(31,32)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식생포트(36)가 녹화용 식물(P)이 식생하는 식생공간을 조성한다. 즉, 상기 식생포트(36)가 형성하는 식생공간에서 녹화용 식물(P)이 생장하게 되고, 이는 녹화용 식물(P)이 식생판넬(30)이나 옹벽의 외면으로부터 직교한 방향으로 생장하지 않고, 상기 식생포트(36)의 하부를 일종의 지반으로 하여 식물이 생장하는 일반적인 방향인 상방으로 자연스럽게 생장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급한 경사의 옹벽구조에서도 녹화가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식생포트(36)의 돌출된 구조를 통하여 흙의 안식각보다 낮은 각도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식생이 발현되어 전면이 보강되기 전인 시공초기에도 토사 및 토분유출을 줄일 수 있으며, 자연우수시에 전면에서 물이 아래로 흘러내리지 않고 옹벽 배면쪽인 식물의 뿌리방향으로 수분이 전달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보강토옹벽을 구성하는 수동마찰저항 띠형보강재가 식생판넬(30)에 연결되어 높은 강도의 식생판넬(30)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옹벽구조의 경사각을 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으며, 띠형 보강재(200) 자체의 길이가 짧아져 뒷채움흙(B)의 포설길이 및 토공량 역시 감소하게 된다.
또한, 시공과정에서 상하로 적층되는 전면블록(10)의 자중에 의한 결속력도 보태어져, 띠형 보강재(200)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자연환경이나 특수한 외부환경에 의해 뒷채움흙(B)이 횡으로 변하고자 하는 토압이 크게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전면블록(10)에 의해 형성된 옹벽은 외측으로 힘을 받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전면블록(10)에 연결된 띠형 보강재(200) 역시 외측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띠형 보강재(200)에는 저항수단(250)이 구비되어, 뒷채움흙(B)과의 사이에서 큰 마찰력을 가지며, 이러한 마찰력은 띠형 보강재(200)가 전면블록(10)에 의해 옹벽 방향으로 소정의 힘을 받을수록 함께 커지게 된다. 따라서 띠형 보강재(200)의 인발저항능력이 크게 향상되어 옹벽 역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옹벽의 경사각 역시 상대적으로 크게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3)

  1. 전후방향으로 개구된 관통홀이 형성된 판넬프레임과,
    상기 판넬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된 식생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포트에는 상기 관통홀에 연결되고 전방으로 개구된 식생공간이 형성되는 식생판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포트는
    상기 판넬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측면가이드와,
    상기 측면가이드 사이에 구비되는 하부가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측면가이드 및 하부가이드 사이에는 전방 및 상방으로 개구된 식생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판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가이드는 상기 하부가이드와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돌출된 정도가 작아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판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프레임에는 상기 식생포트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보강부가 연장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판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판넬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판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프레임에는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판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가이드 및 하부가이드는 각각 평면플레이트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판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프레임에는 다수개의 열과 행으로 구성하도록 다수개의 식생포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판넬.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가이드의 돌출된 일단에는 가이드리브가 도출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판넬.
  10.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부와,
    상기 기초부에 세워지는 식생수단과,
    상기 식생판넬의 후방에 위치되는 식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식생판넬은
    전후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판넬프레임과,
    상기 판넬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식생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포트는 상기 판넬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측면가이드와 상기 측면가이드 사이를 연결하는 하부가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측면가이드 및 하부가이드 사이에 식생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판넬을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식생판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식생판넬 후방으로 연장되는 띠형 보강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식생판넬을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가이드는 상기 하부가이드와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돌출된 정도가 작아져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판넬을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 보강재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연한 재질의 스트립베이스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상면 또는 저면 중 어느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구비되는 저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생판넬을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수단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외면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저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생판넬을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프레임에는 상기 식생포트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보강부가 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판넬프레임에는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판넬을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 보강재는 상기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거나, 상기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블록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판넬을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판넬은 다수개서 적층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판넬을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와 식생판넬 사이 또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적층된 다수개의 상기 식생판넬 사이에는 전면블록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판넬을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
  19. 기초부가 형성되는 기초단계와,
    상기 기초부의 상방에 식생판넬이 설치되는 판넬설치단계와,
    상기 식생판넬의 배면에 식생수단이 설치되는 식생수단설치단계와,
    상기 식생판넬에 띠형 보강재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보강재설치단계와,
    상기 식생판넬의 후방에 뒷채움흙을 포설하고 이를 다지는 포설단계와,
    상기 식생판넬 상부에 식생판넬을 설치하는 적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식생판넬은 상기 식생수단을 향해 전후방향으로 개구된 관통홀이 형성된 판넬프레임과, 상기 판넬프레임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홀과 연결된 식생공간이 형성된 구비되는 식생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강토옹벽구조 시공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포트는 상기 판넬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측면가이드와 상기 측면가이드 사이를 연결하는 하부가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측면가이드 및 하부가이드 사이에 상기 식생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옹벽구조 시공방법.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판넬 사이 또는 상기 기초부와 상기 식생판넬 사이에 전면블록이 설치되는 블록설치단계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전면블록에도 보강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옹벽구조 시공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 보강재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연한 재질의 스트립베이스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상면 또는 저면 중 어느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구비되는 저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강토옹벽구조 시공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 보강재의 일단은 상기 식생판넬에 구비된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거나, 상기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블록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옹벽구조 시공방법.
KR1020150021889A 2015-02-12 2015-02-12 식생판넬과 이를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914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889A KR101914763B1 (ko) 2015-02-12 2015-02-12 식생판넬과 이를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889A KR101914763B1 (ko) 2015-02-12 2015-02-12 식생판넬과 이를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795A true KR20160099795A (ko) 2016-08-23
KR101914763B1 KR101914763B1 (ko) 2018-12-31

Family

ID=56875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889A KR101914763B1 (ko) 2015-02-12 2015-02-12 식생판넬과 이를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7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7668A (zh) * 2018-02-08 2018-11-23 韦随庆 生态挡土板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591B1 (ko) 2019-01-25 2019-12-06 김형대 지오벨트 지지구, 지오벨트 고정장치 및 옹벽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040B1 (ko) 2011-12-26 2013-02-07 강석조 식생판넬과 이를 이용한 사면의 식생옹벽 시공 및 보수방법 그리고 성토부의 식생옹벽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749B1 (ko) * 2013-04-25 2013-11-29 주식회사 성원안전 옹벽용 계단식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040B1 (ko) 2011-12-26 2013-02-07 강석조 식생판넬과 이를 이용한 사면의 식생옹벽 시공 및 보수방법 그리고 성토부의 식생옹벽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7668A (zh) * 2018-02-08 2018-11-23 韦随庆 生态挡土板结构
CN108867668B (zh) * 2018-02-08 2023-12-22 韦随庆 生态挡土板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763B1 (ko) 201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664B1 (ko) 식생유닛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
EP0574233A1 (en) Method for forming vegetated slopes in strengthened ground and a product obtained by such method
KR101914763B1 (ko) 식생판넬과 이를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
US6764252B2 (en) Retaining wall system
KR101276291B1 (ko) 식물 생장이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KR100753958B1 (ko) 토사마대와 연결재를 이용한 그린월 구조
KR101193330B1 (ko) 식생경관 연출용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JP6186031B1 (ja) ハニカム擁壁
KR101029317B1 (ko) 옹벽용 식생블록
KR101578349B1 (ko) 경계재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
KR20140123351A (ko) 식생토낭용 연결판
KR100631379B1 (ko) 환경 친화적인 보강토 옹벽용 조적식 식생 블록 및 이를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 방법
KR100889257B1 (ko) 옹벽 전면의 녹화를 이용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
JP2008038369A (ja) 植生ネットおよび柔性枠組の結合による土地改良措置工法
KR101187407B1 (ko) 벽면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녹화방법
JPS61137922A (ja) 法面土留工法
KR100794221B1 (ko) 친환경 식생옹벽
KR20150127991A (ko) 벽체 구조물
KR100938571B1 (ko) Η파일과 식생부를 이용한 사면안정 및 녹화용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탑다운 공법
JP2003313872A (ja) 緑化用シート
KR101927290B1 (ko) 식생 옹벽블록
CN219410924U (zh) 一种可快速安装的生态型护坡结构
KR101138192B1 (ko)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반조립체
KR102543986B1 (ko) 식생 옹벽
KR20090104213A (ko) 적층각 조절이 가능한 식생용 보강토 옹벽블럭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02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102

Effective date: 201809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