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8452A - 바이로좀용의 개선된 제형 - Google Patents

바이로좀용의 개선된 제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8452A
KR20160098452A KR1020167019131A KR20167019131A KR20160098452A KR 20160098452 A KR20160098452 A KR 20160098452A KR 1020167019131 A KR1020167019131 A KR 1020167019131A KR 20167019131 A KR20167019131 A KR 20167019131A KR 20160098452 A KR20160098452 A KR 20160098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oncentration
virosome
virosomes
formul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9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1228B1 (ko
Inventor
자니크 아드리안센
프란세스코 도로
Original Assignee
크루셀 홀란드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셀 홀란드 비.브이. filed Critical 크루셀 홀란드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60098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61K39/145Orthomyxoviridae, e.g. influenza vi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6Viruses; Subviral particles; Bacterioph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07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5123Organic compounds, e.g. fats, sug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1Nanocapsules; Nanoparticles
    • A61K9/5107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5176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e.g. material from plants or animals
    • A61K9/5184Virus capsids or envelopes enclosing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25Virus
    • A61K2039/5258Virus-like 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1Non-conventional liposomes, e.g. PEGylated liposomes, liposomes coated wit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6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RNA viruses negative-sense
    • C12N2760/00011Details
    • C12N2760/16011Orthomyxoviridae
    • C12N2760/16111Influenzavirus A, i.e. influenza A virus
    • C12N2760/16134Use of virus or viral component as vaccine, e.g. live-attenuated or inactivated virus, VLP, viral prote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6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RNA viruses negative-sense
    • C12N2760/00011Details
    • C12N2760/16011Orthomyxoviridae
    • C12N2760/16211Influenzavirus B, i.e. influenza B virus
    • C12N2760/16234Use of virus or viral component as vaccine, e.g. live-attenuated or inactivated virus, VLP, viral prote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i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physics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로좀 제형, 특히 바이로좀을 포함하는 액상 약제학적 제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는 a) 바이로좀; b) 포스페이트 농도가 약 15 mM 내지 30 mM 범위인 KH2PO4/Na2HPO4 완충제; c) 염 농도가 60 mM 초과인 염; d) 이당류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며, 여기에서 상기 조성물은 6.5 내지 8 범위의 pH를 갖는다. 또한 바로 정의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바이로좀을 보존하는 방법이 기술된다.

Description

바이로좀용의 개선된 제형{IMPROVED FORMULATIONS FOR VIROSOMES}
본 발명은 바이로좀용의 제형 및 치료학적 용도 및 백신 적용을 위한 연관된 약제학적 제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바이로좀이 안정하게 잔류하도록 하기 위한 온도 영역을 확장시키는 바이로좀용의 액상 제형이 여기에서 기술된다. 이는 약 2 내지 8℃ 범위 또는 그 이상에서 저장되는 경우에 바이로좀 양 및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단백질 성분 및 구조적 일체성을 보존하는 한편으로 또한 우발적 동결로부터 야기되는 손상을 방지하고 비경구 투여와 호환되는 것에 의하여 수행된다.
바이로좀은 바이러스 유래 단백질을 내포하는 단일라멜라 인 지질막을 포함하는 소포이며, 이러한 조합은 바이로좀이 표적 세포와 융합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바이로좀은 리포좀과는 상이하며 매우 효율적인 약물 또는 백신 전달 시스템인 것으로 여겨진다.
약물 전달 및 백신 연구의 분야에서 바이로좀이 장기간에 걸쳐 그리고 넓은 온도 영역 내에서 안정하게 잔류하는 바이로좀용의 액상 제형을 생성하기 위한 도전이 계속되고 있다. 실제로, 임의의 우발적 동결(예를 들어 저장 또는 운송 동안)이 제품 일체성 및 그에 따른 효능에 악영향을 준다. 임의의 우발적 가열 또한 악영향을 주어 제품 불안정성 및 효능 손실(예를 들어 응집으로 인하여)을 야기한다. 보다 긴 유통 기한을 야기하는 약 2℃ 내지 약 8℃와 같은 넓은 저장 온도 범위 내에서의 보다 긴 안정성이 대체로 임의의 주사가능한 액체 제형에 대하여 바람직하다.
바이로좀 입자의 생물학적 활성은 입자의 형태 일체성 및 그의 막과 연관되는 항원성 분자의 양에 의존한다. 전통적인 유기 및 무기 약물과는 달리, 바이로좀 입자는 착체이고 소소한 화학적 또는 물리적 스트레스 요인들이 바이로좀 입자의 분해에 기여할 수 있는 많은 특정한 인지질 및 단백질로부터 구축되었다. 따라서 바이로좀 제제용의 안정한 조성물이 긴 유통 기한을 보장하는 데 중요하나, 바이로좀의 안정화가 특별한 도전을 부과한다. 바이로좀은 매립된 단백질의 변성, 입자 응집(가용성 및 불용성 응집물 형성 둘 다) 또는 융합, 해리, 침전 및 흡착을 포함하여 물리적인 불안정성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가수분해, 탈아미드화 및 산화를 포함하여 화학적인 불안정성의 결과로서 효능을 상실할 수 있다. 더욱이, 바이로좀의 구조 성분인 지질은 가수분해 및 산화에 약하다. 이러한 분해 경로들 중의 임의의 것이 저감된 생물학적 활성을 야기할 수 있으나, 잠재적으로 또한 증가된 독성 및/또는 변형된 면역원성을 갖는 부산물 또는 유도체의 형성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넓은 조건의 범위에 대하여 안정성을 보장하는 바이로좀용의 강력한 조성물을 찾기 위한 맞춤의 접근법이 요구되고 있다. 완충액 타입의, pH 및 특정화된 부형제가 독특한 조합으로 결합되고 바이로좀이 화학적으로 물리적으로 그리고 생물학적으로 안정하게 유지되도록 철저하게 최적화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변화될 수 있는 모든 인자의 관점에서, 바이로좀을 제형화하는 최적의 조건을 발견하는 것은 도전하기에 부담이 되고, 양호한 조성물의 조성은 연역적으로 예기될 수 없는 것이다.
리포좀을 포함하는 제형은 이미 기술되었다. 비록 리포좀이 근본적으로 바이로좀과는 상이하나, 이러한 제형은 관련된 선행 기술로서 고려될 수 있었다. AmBisome®, (Gilead Sciences, Inc, San Dimas, CA), Amphotec®(Ben Venue Laboratories, Inc, Bedford, OH), Myocet, Visudyne®(Novartis Pharma AG, Basel, Switzerland), 및 LEP-ETU(liposome-entrapped paclitaxel easy-to-use; NeoPharm, Inc, Lake Bluff, IL; Freixeiro et al.; Meunier et al.) 등과 같은 많은 동결건조된 리포좀 제형이 시장에 존재하고 이는 상당히 안정하나, 고가이고 투여 이전에 실수하기 쉬운, 시간 소모가 큰 취급을 요구한다. 따라서 2 내지 8℃ 또는 -65℃ 이하에서 저장될 수 있는 액상 조성물이 바이로좀에 대한 바람직한 생성물 형태가 될 것이다. 특히 상기 조성물이 바이로좀이 운송 또는 저장 자체 동안의 우발적 동결에 대하여 저항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우에, 상기 액상 조성물은 바이로좀에 대한 바람직한 생성물 형태가 될 것이다.
선행 기술에서, 리포좀 액상 제형 중에서의 단당류 또는 이당류의 사용을 조사하는 단지 몇몇 실시예들이 기술되었다. 흥미롭게도, 이러한 단당류 또는 이당류가 동결-해동 손상에서의 극적인 증가(Hincha et al)를 야기하거나 2 내지 8℃에서의 저장 동안의 안정성을 감소(Freixeiro et al)시키기 때문에 이들의 영향이 해로운 것으로 밝혀졌다.
바이로좀용의 액상 제형이 앞서 기술되었고 Inflexal®V 및 Epaxal® 등과 같이 수년간 시판된 제품으로 사용되었다. 상기 제형들은 여기에서 이들이 동결된 이후 바이로좀의 안정성을 보존할 수 없다는 점에서 차선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제형들이 수년간 시판되어 왔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제조 회사들은 우발적 동결 사건 또는 장기 저온 저장(즉 -65℃ 이하)에 저항성인 바이로좀 제형을 제조하려고 하지는 않았다.
우발적 동결로부터의 바이로좀 구조 및 항원 함량에 대한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한편으로 2 내지 8℃에서의 저장 동안의 최적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제형의 확인은 여전히 도전 과제로 남아 있으며, 상기 제형의 비용을 줄이고 임상 적용을 용이하게 하는 막대한 이점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당해 기술 분야에서 저장 또는 운송 동안 우발적 동결의 경우에서의 바이로좀의 안정성을 보존하는 액상 제형의 발견에 대한 요구가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개선된 제형은 연장된 기간의 저장 동안 포함된 바이로좀의 양 및 질을 보존할 것이다. 더욱이, 제형은 비경구 투여용으로 적절하여야 하고, 잘 견딜 수 있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단순한 조성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로좀용의 이러한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우발적 동결의 경우에서 바이로좀의 안정성을 보존하고, 그에 의하여 앞서 기술된 조성물(또는 제형)에 비하여 바이로좀의 양 및 질을 보존하는 것에 의하여 바이로좀 안정성을 개선시키는 조성물을 발견하고 여기에 기술하였다. 놀랍게도, 6.5 내지 8 범위의 pH를 갖는 결합된 KH2PO4/Na2HPO4 완충제와 이당류의 조합이 동결된 후의 바이로좀의 양 및 질의 보존과 함께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다른 조성물과 비교하여 전체 바이로좀 안정성을 향상시킴에 있어 뛰어난 조성물이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이로좀을 안정화하기 위한 조성물(또는 제형) 및 예를 들어 치료학적으로 그리고 백신 적용에 사용될 수 있는 연관된 약제학적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b) 포스페이트 농도가 15 mM 내지 30 mM 범위인, 6.5 내지 8 범위의 pH의 결합된 KH2PO4/Na2HPO4 완충제 c) 60 mM 초과인 농도의 염 내의 a) 바이로좀을 포함하고; d) 이당류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이로좀 제형은 2℃ 내지 8℃ 또는 -65℃ 이하에서 6 개월 초과, 1 년, 1.5 년, 2년 또는 그 이상 동안 연장된 저장을 수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 20 ㎍/㎖ 내지 300 ㎍/㎖의 총 항원 농도를 갖는 바이로좀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이당류의 농도는 2%(중량/중량) 내지 10%(중량/중량) 범위이다. 이당류는 바람직하게는 트레할로스 및 수크로스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트레할로스는 바람직한 이당류이다. 트레할로스는 바람직하게는 2%(중량/중량) 내지 10%(중량/중량) 범위의 농도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수크로스가 바람직한 이당류이다. 수크로스는 바람직하게는 약 2%(중량/중량) 내지 10%(중량/중량) 범위의 농도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조성물은 약 6.5 내지 8 범위의 pH를 갖고; KH2PO4/Na2HPO4 완충제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포스페이트 농도가 15 mM 내지 30 mM 범위이고; 조성물은 또한 염을 60 mM 초과의 농도로 포함하고; 이당류를 2%(중량/중량) 내지 10%(중량/중량) 범위의 농도로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조성물은 약 6.5 내지 8 범위의 pH를 갖고; KH2PO4/Na2HPO4 완충제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포스페이트 농도가 15 mM 내지 30 mM 범위이고; 조성물은 또한 염을 60 mM 초과의 농도로 포함하고 트레할로스 및 수크로스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이당류를 2%(중량/중량) 내지 10%(중량/중량) 범위의 농도로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조성물은 약 7 내지 7.8 범위의 pH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조성물은 약 7 내지 7.8 범위의 pH를 갖고; KH2PO4/Na2HPO4 완충제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포스페이트 농도가 15 mM 내지 30 mM 범위이고; 조성물은 또한 염을 60 mM 초과의 농도로 포함하고; 트레할로스 및 수크로스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이당류를 2%(중량/중량) 내지 10%(중량/중량) 범위의 농도로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조성물은 약 7.5의 pH를 갖고; KH2PO4/Na2HPO4 완충제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포스페이트 농도가 15 mM 내지 30 mM 범위이고; 조성물은 또한 염을 60 mM 초과의 농도로 포함하고; 트레할로스 또는 수크로스를 3%(중량/중량) 내지 5%(중량/중량) 범위의 농도로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염을 약 60 내지 85 mM 범위의 농도로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염은 NaCl이다.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액상 조성물이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이알 내에 포함된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조성물은 백 내에 포함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조성물은 (사전-충진된) 주사기 또는 카트리지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바이로좀을 보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여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조성물을 2℃ 내지 8℃ 범위의 온도로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바이로좀을 보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6 개월 초과, 1 년, 1.5 년, 2 년 또는 그 이상 동안 저장된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여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조성물을 -15℃ 내지 -30℃ 범위의 온도로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바이로좀을 보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여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조성물을 -80℃ 내지 -65℃ 범위의 온도로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바이로좀을 보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넓은 온도 범위에 대하여 향상된 장기 안정성은 여기에서 기술된 바이로좀 조성물(또는 제형)의 연장된 유통 기한이라는 결과를 가져오고 활성의 1가 항원 농도의 수용가능한 손실(즉, 2 내지 8℃에서 HA 농도의 관점에서의 27% 이하의 손실)로 약 1 내지 2 년의 기간에 걸쳐 이러한 조성물의 저장 및 종국적인 숙주 투여를 허용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승된 온도, 동결/해동 사이클 또는 장기 저온 저장(즉 -65℃ 이하)에의 노출 동안 안정성을 나타낸다.
도 1(a 및 b). 평균 직경 크기 및 HA 농도가 1회 동결/해동 사이클 전후에서 인플루엔자(A/캘리포니아) 유래 바이로좀에 대하여 측정되었다.
도 2(a 및 b). 인플루엔자(A/캘리포니아) 유래 바이로좀이 5±3℃에서 12 주 동안 저장되었다. 평균 직경 크기 및 HA 농도가 t=0, t=4 및 t=12 주에서 측정되었다.
도 3(a 및 b). 평균 직경 크기 및 HA 농도가 1회 동결/해동 사이클 전후에서 인플루엔자(B/브리스베인) 유래 바이로좀에 대하여 측정되었다.
도 4(a 및 b). 인플루엔자(B/브리스베인) 유래 바이로좀이 5±3℃에서 12 주 동안 저장되었다. 평균 직경 크기가 t=0, t=4, t=12 및 t=24 주에서 측정되었고 HA 농도는 t=0 t=4 및 t=12에서 측정되었다
도 5(a 및 b). 평균 직경 크기 및 HA 농도가 1회 동결/해동 사이클 전후에서 인플루엔자(A/빅토리아) 유래 바이로좀에 대하여 측정되었다.
도 6(a 및 b). 인플루엔자(A/빅토리아) 유래 바이로좀이 5±3℃에서 12 주 동안 저장되었다. 평균 직경 크기가 t=0 및 t=4 주에서 측정되었고 HA 농도는 t=0 t=4 및 t=12 주에서 측정되었다.
도 7(a, b 및 c). 서로 다른 시험된 제형 중에서의 3개의 서로 다른 인플루엔자 균주로부터 유래된 바이로좀의 응집 개시 온도 및 전체 크기 변동을 확인하기 위해 온도에 대한 바이로좀 크기 변동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온도 의존 프로파일을 수득하였다.
도 8. 염 농도 감소 시 응집 개시 및 전체 크기 변동을 확인하기 위한 염 농도에 대한 세포 유래 A/빅토리아 바이로좀 크기 변동을 측정하는 적정 프로파일.
도 9(a 및 b). 평균 직경 크기 및 HA 농도가 1회 동결/해동 사이클 전후에서 세포 배양된 A/캘리포니아 유래 바이로좀에 대하여 측정되었다.
도 10(a 및 b). 세포 배양된 A/캘리포니아 유래 바이로좀이 5±3℃에서 12 주 동안 저장되고 평균 직경 크기 및 HA 농도가 t=0, t=4 및 t=12 주에서 측정되었다.
도 11(a 및 b). 평균 직경 크기 및 HA 농도가 1회 동결/해동 사이클 전후에서 세포 배양된 B/브리스베인 유래 바이로좀에 대하여 측정되었다.
도 12(a 및 b). 세포 배양된 B/브리스베인 유래 바이로좀이 5±3℃에서 4 주 동안 저장되고 평균 직경 크기 및 HA 농도가 t=0, t=4 및 t=12 주에서 측정되었다.
도 13(a 및 b). 평균 직경 크기 및 HA 농도가 1회 동결/해동 사이클 전후에서 A/빅토리아 유래 바이로좀에 대하여 측정되었다.
도 14(a 및 b). A/빅토리아 유래 바이로좀이 5±3℃에서 12 주 동안 저장되고 평균 직경 크기 및 HA 농도가 t=0, t=4 및 t=12 주에서 측정되었다.
도 15(a, b, c 및 d). 평균 직경 크기 및 HA 농도가 1회 동결/해동 사이클 전후에서 혼합된 3가 바이로좀에 대하여 측정되었다.
도 16(a, b, c 및 d). 3가의 혼합된 바이로좀이 5±3℃에서 12 주 동안 저장되고 평균 직경 크기 및 HA 농도가 t=0, t=4 및 t=12 주에서 측정되었다.
도 17(a, b, c 및 d). 3가의 혼합된 바이로좀이 -65℃ 미만에서 12 주 동안 저장되고 평균 직경 크기 및 HA 농도가 t=0 및 t=12 주에서 측정되었다.
본 발명의 제형은 적어도 하나의 바이로좀을 포함한다. 바이로좀은 바이러스 유래 단백질을 내포하여 바이로좀이 표적 세포에 융합되는 것을 허용하는 단일라멜라 인지질 막 소포로 이루어지는 약물 또는 백신 전달 메카니즘이다. 바이로좀은 복제될 수 없으나 순수한 융합-활성 소포이다.
바이로좀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부터의 헤마글루티닌(HA) 및 뉴라미니다아제(NA)와 같이 바이러스로부터의 단백질을 포함하는 재구성된 인지질(PL) 막이다. HA 및 NA 항원은 바람직하게는 A/캘리포니아 균주, B/브리스베인 균주 또는 A/빅토리아 균주 등과 같은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인플루엔자 균주로부터 유래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균주는 A/캘리포니아 균주, B/브리스베인 및 A/빅토리아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또는 제형) 중의 바이로좀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부터 또는 하기의 패밀리 등과 같은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다른 외피-보유 바이러스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플라비바이러스과(flaviviridae; 예를 들어 뎅기열 바이러스, C형 간염 바이러스 HEV, 일본뇌염 바이러스, 황열병 바이러스, 웨스트나일 바이러스), 폭스바이러스과(Poxviridae; 즉 우두 바이러스, 원숭이폭스 바이러스, 천연두 바이러스, 두창 바이러스), 레트로바이러스과(즉 면역결핍 바이러스 HIV/SIV, 파라믹소바이러스과(즉 홍역 바이러스, 이하선염 바이러스, 유사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메타뉴모바이러스, 호흡기합포체바이러스 RSV) 및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즉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바이로좀이 바이러스성 유전자 물질(예를 들어 바이러스성 RNA 또는 DNA)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이는 본래 비-증식성이며, 표적화 리간드를 수반하거나 수반함이 없이 면역원성 조성물(예를 들어 백신으로서)의 형태 또는 보조제로서 또는 약물(단백질) 전달 소포로서 동물 및 인간에 대한 투여에 대하여 이에 안전을 부여한다. 따라서 바이로좀은 백신화의 분야에서 특히 유용하며, 여기에서 특정한 질병 또는 장애와 연관된 항원 또는 항원들에 대한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항원(또는 항원들)은 전형적으로 바이로좀 내에 캡슐화되거나 매립되거나 바이로좀과 연계되며, 계속해서 이는 이러한 항원 또는 항원들을 백신화되어야 할 대상체의 숙주 면역계에 전달한다.
따라서 바이로좀은 통상의 백신을 넘어서는 영역에서의 유망한 응용들에 대한 보조제 특성을 갖는, 혁신적이고 광범위하게 적용가능한 수송 시스템을 대표한다. 바이로좀은 매우 효율적이고 광범위하게 사용된 약물 또는 백신 전달 시스템인 것으로 고려된다.
바이로좀은 대체로 바이로좀 막의 재구성에 앞서 가용화된 바이러스 분획에의 외인성 지질의 첨가를 포함하는 하나의 접근법(예를 들어 US2009/0263470, US2009/0087453에서 기술됨) 및 외인성 지질의 첨가를 수반함이 없이 바이러스성 막을 재구성하는 것에 기초하는 다른 하나의 접근법(예를 들어 US 7,901,920에서 기술됨)의 2가지 서로 다른 접근법 중의 하나를 사용하여 가용화된 바이러스 분획으로부터 제조된다. 바이로좀의 구조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충분히 이해되고 있고, 예를 들어, 문헌[Stegmann et al., Mishler et al. 및 Herzog et al.]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표준 기술의 사용을 포함한다. 투여의 방법은 근육내, 피내 및 비강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안정성"은 제형 중에서 분해에 저항하고 그에 의하여 그의 기대된 유용성의 기간에 대하여 그의 생물학적 효과를 유지하는 바이로좀 입자의 경향을 의미한다.
다른 무엇보다도, 양(즉 HA 농도의 관점에서 27% 이하의 손실) 및 생물학적 활성의 관점들에서 최소 손실을 나타내고, 주요 단백질 변성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 조성물 또는 약제학적 제형 중의 바이로좀이 "그의 물리적 안정성을 유지"한다. 게다가, 응집, 해리, 침전, 색상의 변화 및/또는 시각적 검사에 의한 투명성의 징후가 관측되지 않아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약(about)"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10%를 의미한다.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부형제"에 대하여는 알맞거나 편리한 투여 형태를 제조하기 위하여 바이로좀 등과 같은 활성 분자와 결합되는 임의의 비활성 물질을 의미한다.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부형제"는 사용된 투여량 및 농도에서 수령인에게 비-독성인 부형제이고; 바이로좀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 양립할 수 있는 부형제이다.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부형제의 예들로는 식품의약국(FDA)에 의해 승인된 동해방지제, 비-이온성 세정제, 완충제, 염, 유리 라디칼 산화 억제제가 있다.
용어 "부산물"은 원치않는 생성물을 포함하며, 이는 주어진 제형 내에서의 활성 바이로좀의 비율을 감소시키거나 약화시킨다. 전형적인 부산물에는 바이로좀 응집물이 포함된다. 이는 바이로좀보다 더 큰 입자 크기를 갖는 가용성 또는 불용성 착체이다. 바이로좀 응집물에 더해, 바이로좀 분해 생성물에는, 예를 들어, 미구축 바이로좀, 단백질 응집물 또는 침전된 물질이 포함된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안정한 제형"이라고도 불리우는, 바이로좀 안정성을 개선하는 조성물(제형으로 교환가능하게 칭해짐)은 그 안에서 바이로좀이 근본적으로 저장 시에 그들의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 일체성 및/또는 생물학적 활성을 유지하는 조성물이다. 안정성은 일정한 기간 동안에 그리고 특정한 저장 조건 하에서 바이로좀 제형 내에 포함된 단백질(들)의 농도, 지질 함량, 효능 및/또는 조성물 중의 바이로좀의 다른 품질 관점들 등과 같은 서로 다른 특성들을 결정하는 것에 의하여 평가될 수 있다. 특히 평균 입자 크기가 바이로좀의 응집 상태의 지시로서 측정될 수 있고 약 50 내지 300 ㎚, 이상적으로는 100 내지 250 ㎚ 이어야 한다. 바이로좀 조성물의 특성은 상승된 온도에서 또는 다른 스트레스를 받는 조건 하에서 측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형은 25℃에서 배양에 적용되거나 유통 기한에 대한 서로 다른 제형들의 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 동결/해동 사이클 및 교반에 적용될 수 있다. 안정성을 결정하는 상기 특성은 시각적 검사, 일원방사면역확산법(SRID) 및 제타 사이저(Zeta sizer) 측정 또는 다른 적용가능한 방법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원방사면역확산법(SRID )
문헌[Wood et al. 1977]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일원방사면역확산법은 바이로좀 샘플 중의 HA의 정량적 및 정성적 결정을 유도한다. 항원이 세정제(Zwittergent 3-14 detergent, VWR) 중에 가용화되어 균주 특이적 항체를 포함하는 한천 겔 중에서의 이의 확산이 허용되도록 한다. 항원이 과량으로 존재하는 경우 항원 및 항체는 결합하고 작고 가용성인 항원-항체 착체를 형성할 것이다. 겔 내로의 확산으로 인하여, 평형에 도달되고 불용성 침전 고리가 형성될 때까지 다수의 항체들이 결합할 것이다. 원의 외부 모서리에서의 불용성 항원-항체 착체의 양이 시간에 따라 증가하고 따라서 원의 직경이 시간에 따라 증가한다. 원의 직경의 제곱(및 면적)은 항원의 초기 농도에 비례하고 겔 내의 항체 농도에 반비례한다. 직경 크기를 측정하고 이를 표준 곡선과 비교하여 샘플 중의 활성 항원의 농도를 수득한다.
내부 대조로서, 적절한 균주의 비활성화된 난-유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사용되었다. 각 내부 대조를 국제 표준에 대하여 보정하였다.
침전 고리 직경(㎜ 단위)을 Immulab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측정하거나 대안적으로는 10배 확대경으로 육안으로 측정할 수 있다.
국제 표준 제제를 적절한 농도로 PBSA에 용해시키고, 10% Zwittergent를 1%의 최종 농도를 갖도록 첨가하였다. 30분 배양(Zwittergent가 샘플과 반응하도록) 후 연속 희석을 통하여 표준 곡선을 수득할 수 있다. 샘플을 PBSA로 사전희석시키고 Zwittergent를 1%의 최종 농도로 첨가하였다. 30 분 배양 후 연속 희석을 수행하여 시험할 서로 다른 샘플 농도들을 수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아가로스 겔을 제조하기 위하여, 한천 용액이 용융되고 계속해서 60℃까지 냉각시켜야 했다. 적절한 양의 혈청(균주에 따라 그리고 NIBSC 증명에 따라)이 첨가되어야 하고 용액이 겔 챔버 내로 옮겨져야 할 필요가 있다. 겔 형성 이후, 실린더를 절단하여 웰이 수득된다.
시험 절차:
샘플을 웰 내로 이중으로 피펫팅하고, 계속해서 이를 18 내지 24 시간 동안 항습기 내에서 배양시켰다. 계속해서 겔을 증류수로 세정하고 계속해서 염색 용액 내에 15 분 동안 함침시켰다. 그 후 겔을 탈염색 용액 내에 4 분 동안 함침시키고, 12 시간 동안 건조시켜 평가될 준비를 하였다. Immulab 소프트웨어로 겔의 주사된 영상에 대한 평가가 수행되었다. 원 직경의 측정치를 Combistats 소프트웨어로 전송하여 정량화시켰다.
제타 사이저 (Zeta sizer ) 측정
스트레스를 받는 조건 및 저장에서 바이로좀의 질을 확인하기 위하여 바이로좀 직경 평균 크기를 Malvern's Z-sizer nano ZS로 측정하였다. 희석되지 않은 샘플을 Z-size 큐벳에 적하시키고 He-Ne 레이저(λ = 633㎚) 및 173° 전방 검출기로 직접적으로 측정하였다.
기기는 한정된 유체 중에서의 브라운 운동에 기초한 입자의 고유 특성을 측정하고: 내부 대조나 표준 곡선이 요구되지 않는다. 누적 분석 핏(cumulant analysis fit; 국제 표준 ISO13321:1996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을 적용하여 평균 직경이 측정되었다.
기기 지시에 따라 구축된 Malvern Z-sizer ZS 상에서 온도를 35에서 75℃ 까지 승온시켜 온도 프로파일링을 수행하는 한편으로 상기 기술된 바와 동일한 매개변수로 입자 크기를 측정하였다.
기기 지시에 따라 구축된 Malvern Z-sizer ZS 상에서 세포 배양된 A/빅토리아 바이로좀에 대한 NaCl 적정을 수행하여 염 NaCl 농도를 130에서 33mM 까지 희석시키는 한편으로 상기 기술된 바와 동일한 매개변수로 입자 크기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은 바이로좀을 안정화시키는 제형 및 바람직하게는 유전자 요법 및/또는 백신 응용에 사용하기 위한 연관된 약제학적 제품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기술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바람직한 안정화된 바이로좀은 액상 조성물이고, 이는 약 2 내지 8℃ 범위 내에서 저장되는 경우에 개선된 바이로좀 안정성 및 우발적 동결 또는 가열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한편으로 비경구 투여와 호환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제형은 또한 예를 들어 -20℃ 이하, -40℃ 이하, -65℃ 이하, -80℃ 이하의 더 낮은 온도에서 저장될 수 있다. 이는 또한 8℃ 초과, 예를 들어 25℃ 또는 심지어 그 이상의 온도에서 보다 더 안정할 수 있다. 바이로좀을 안정화할 수 있는 이러한 조성물은 결합된 KH2PO4/Na2HPO4 완충제 및 안정화제로서 이당류를 포함하며, 이는 바이로좀의 열적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완충제의 pH는 6.5 내지 8 사이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조성물은 약 6.5 내지 8 범위의 pH를 갖고; KH2PO4/Na2HPO4 완충제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포스페이트 농도가 15 Mm 내지 30 mM 범위이고; 염을 60 mM 초과의 농도로 포함하고 이당류를 2%(중량/중량) 내지 10%(중량/중량) 범위의 농도로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농도에서 바이로좀에 대하여 안정성을 제공하고 다양한 척추동물 유기체,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및 특히 인간에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정화된 제형은 바이로좀-기반 조성물이고, 이는 예를 들어 앞서 미감염된 개체에, 예를 들어 인플루엔자에 대하여 예방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백신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는 약 25 ㎍/㎖ 내지 약 300 ㎍/㎖ 범위 내에서 바이로좀 매립 HA 농도로 여기에서 기술된 향상된 안정성 특성을 나타내는 바이로좀 함유 조성물이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약 25 ㎍/㎖ 내지 약 100 ㎍/㎖이며, 특히 바람직한 HA 농도는 약 30 내지 40 ㎍/㎖이다. 본 발명의 제형의 예방학적 조성물은 개체에 개별 장애를 방지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인간 투여를 위한 유효량은 개체의 상태, 체중, 성별 및 연령 등과 같은 다양한 인자들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다른 인자들에는 투여의 방법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b) 포스페이트 농도가 15 mM 내지 30 mM 범위인, 6.5 내지 8 범위의 pH의 결합된 KH2PO4/Na2HPO4 완충제 c) 60 mM 초과의 농도의 염 중의 a) 바이로좀을 포함하고; 추가로 d) 이당류를 포함한다. 예기치 못하게 상기 조합은 바이로좀의 양 및 질의 보존에 뛰어난 조성물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KH2PO4/Na2HPO4 완충제 중의 포스페이트 농도는 약 15 mM 내지 30 mM, 예를 들어 약 15mM 내지 25 mM 범위, 예를 들어 약 20 mM이다.
큰 온도 범위에 걸쳐 연장된 저장 기간 동안 바이로좀 안정화에 기여하는 이러한 제형 중의 다른 필수적인 성분은 이당류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이당류의 농도는 약 2%(중량/중량) 내지 10%(중량/중량), 예를 들어 약 3%(중량/중량) 내지 8%(중량/중량), 예를 들어 약 3%(중량/중량) 내지 5%(중량/중량) 범위, 예를 들어 약 4%(중량/중량), 예를 들어 약 3%(중량/중량) 이다.
본 제형 중의 이당류는 바람직하게는 트레할로스 및 수크로스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KH2PO4/Na2HPO4로 6.5 내지 8 범위의 pH로 완충되고 이당류로서 트레할로스 또는 수크로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 중의 트레할로스 또는 수크로스의 농도는 약 2%(중량/중량) 내지 10%(중량/중량), 예를 들어 약 3%(중량/중량) 내지 8%(중량/중량), 예를 들어 약 3%(중량/중량) 내지 5%(중량/중량) 범위, 예를 들어 약 4%(중량/중량) 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조성물은 20 mM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KH2PO4/Na2HPO4 완충제로 7 내지 7.8 범위의 pH로 완충되고 트레할로스 또는 수크로스를 약 2%(중량/중량) 내지 6%(중량/중량) 범위의 농도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조성물은 20 mM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KH2PO4/Na2HPO4 완충제로 약 7.5의 pH로 완충되고; 트레할로스 또는 수크로스가 약 4%(중량/중량)의 농도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조성물은 20 mM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KH2PO4/Na2HPO4 완충제로 약 7.5의 pH로 완충되고; 트레할로스가 약 4%(중량/중량)의 농도로 존재한다.
여기에서 세포 유래 A/빅토리아 플루 균주로부터의 항원을 포함하는 바이로좀에서 바이로좀 크기를 수용가능한 범위(300 mM) 내로 유지하는 데 60 mM NaCl의 최소 농도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나 바이로좀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65 mM의 최소 NaCl 농도가 최종 조성물에 첨가되어야 함을 암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염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60 mM을 초과하여야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염 농도는 예를 들어 60 내지 85 mM, 예를 들어 65mM 내지 75 mM, 예를 들어 65 내지 70 mM 범위, 예를 들어 약 65mM이다.
이러한 염의 양은 제형의 등장성에 도달하기에 충분할 것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염은 NaCl이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다른 형태의 염이 본 발명에 따른 제형에 대하여 동등하게 적절하다. 숙련된 자로서는 어느 염을 선택할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논의의 관점에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유전자 요법 및/또는 유전자 백신화 응용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바이로좀; 및 이당류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이는 개선된 안정성 특성을 나타내고 이는 적어도 KH2PO4/Na2HPO4 완충제를 6.5 내지 8의 pH로 포함하고, 여기에서 포스페이트 농도는 15 내지 30 mM 범위이고; 추가로 염을 60 내지 85 mM 농도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한 구현예는 KH2PO4/Na2HPO4로 약 pH 6.5 내지 pH 8 범위로 완충되는 바이로좀; 2%(중량/중량) 내지 10%(중량/중량) 범위의 농도의 이당류; 추가로 염을 60 내지 85 mM 농도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구현예는 KH2PO4/Na2HPO4로 약 pH 7 내지 pH 7.8 범위로 완충되고, 여기에서 포스페이트 농도가 15 내지 30 mM 범위이고; 이당류가 2%(중량/중량) 내지 10%(중량/중량) 범위의 농도의 트레할로스 및 수크로스의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추가로 60 내지 85 mM 농도의 염을 포함하는 바이로좀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조성물은 KH2PO4/Na2HPO4 완충제로 약 7.5의 pH로 완충되고, 여기에서 포스페이트 농도가 20 mM이고; 트레할로스 또는 수크로스가 약 4%(중량/중량)의 농도로 존재하고 추가로 NaCl을 60 내지 85 mM 농도로 포함한다. 게다가, 상기 언급된 인자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조성물은 KH2PO4/Na2HPO4 완충제로 약 7.5의 pH로 완충되고, 여기에서 포스페이트 농도가 20 mM이고; 트레할로스 또는 수크로스가 약 4%(중량/중량)의 농도로 존재하고; NaCl이 65 mM 농도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조성물은 KH2PO4/Na2HPO4 완충제로 약 7.5의 pH로 완충되고, 여기에서 포스페이트 농도가 20 mM이고; 트레할로스가 약 4%(중량/중량)의 농도로 존재하고; NaCl이 65 mM 농도로 존재한다. 게다가, 상기 언급된 인자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예를 들어 DIN 2R I형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바이알 등과 같은 바이알 내에 포함된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제형은 백(bag)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형을 포함하는 백은 예를 들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또는 에틸비닐알코올(EVOH)로 이루어지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제형은 예를 들어 유리,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사전-충진 주사기 등과 같은 주사기 내에 포함된다.
여기에서 기술된 바이로좀 제형은 척추동물 숙주(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숙주 및 특히 인간 수령인)에 비경구 또는 경비 경로 등과 같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술된 제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65℃ 미만 및 약 2 내지 8℃ 범위 및 가능하게는 그 이상에서 저장되는 경우에 개선된 바이로좀 안정성의 결과를 가져오는 한편으로 비경구 투여, 특히 인간에의 비경구 투여와 호환되는 것인 것과 같은 여기에서 기술된 제형을 포함하는 바이로좀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바이로좀을 보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여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조성물을 제조하고 2℃ 내지 8℃ 범위의 온도에서 상기 조성물을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바이로좀을 보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여기에 한정됨이 없이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실시예
실시예 1
실험 설계 및 방법론.
각각 서로 다른 인플루엔자 균주로부터의 HA 분자를 포함하는 3가지 서로 다른 인플루엔자 유래 바이로좀 제제를 대조 조성물 내에서 제조하고 "Cogent μSCALE TFF system" UF/DF 기기(Millipore)로 8개의 실험적인 제형(표 1) 내에 재완충시켰다. 용출액을 여과 멸균시키고(0.22 ㎛) 유리 바이알(바이알 당 3 ㎖) 내에 분획시켰다. 대조 조성물은 50 mM KH2PO4/Na2HPO4로 7.4의 pH로 완충된 현재 시판되고 있는 Inflexal®V 조성물이고; 이는 NaCl을 약 82 mM의 농도로 포함한다.
후속하여, 둘 다 실시간 조건을 모의하는 안정성 시험을 위하여(1 개월 및 3 개월 동안) 바이알을 1 사이클의 동결/해동(F/T)에 적용시키거나 5±3℃에서 배양시켰다. 샘플 분석이 이중으로 수행될 때까지 바이알을 분획 중의 개개 대조들과 함께 5±3℃에서 저장하였다. 샘플을 본 상세한 설명에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HA 정량을 위한 일원방사면역확산법(SRID) 및 바이로좀 입자 직경 측정을 위한 Z-sizer nano(ZS)로 분석하였다.
[표 1] 본 연구를 위하여 선택된 제형의 목록.
Figure pct00001
결과 및 결론.
평균 직경 크기 및 HA 농도가 A/캘리포니아 유래 바이로좀에 대하여 1회의 동결/해동 사이클 전후에 측정되었다(도 1). 1회의 동결/해동 사이클 이후, 대조 조성물은 직경 크기(도 1a) 및 HA 농도(도 1b)의 관점 둘 다에서 바이로좀 안정성에 대하여 해롭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예기치 못하게, 시험된 실험 제형에 대하여 평균 직경 크기의 관점에서 우수한 성능이 관찰되었고 특히 pH 7.0에서 단당류 또는 이당류를 첨가하는 경우 명백한 추가된 값이 관찰되었다(도 1a). 결국, 이 제형에 있어서, 바이로좀 크기에서의 유의미한 변화가 동적 광 산란에 의해 측정되지 않았다. 양호한 안정성 프로파일이 시험된 실험 제형에 대하여 동결/해동 후에 HA 농도 변동의 관점에서 관찰되었다(도 1b).
A/캘리포니아 유래 바이로좀이 5±3℃에서 12 주 동안 저장되었고 평균 직경 크기 및 HA 농도가 t=0, t=4 및 t=12 주에서 측정되었다(도 2). 모든 분석된 제형에 대하여 바이로좀 크기의 관점에서 시간에 따른 유의미한 변동이 관찰되지 않았다(도 2a). 대조 조성물 및 시험된 실험 제형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동일한 경향의 HA 농도 변동이 관찰되었다(도 2b).
평균 직경 크기 및 HA 농도가 B/브리스베인 유래 바이로좀에 대하여 1회의 동결/해동 사이클 전후에 측정되었다(도 3). 1회의 동결/해동 사이클 이후, 대조 조성물은 직경 크기(도 3a) 및 HA 농도(도 3b)의 관점 둘 다에서 바이로좀 안정성에 대하여 해롭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예기치 못하게, 시험된 대안의 제형에 대하여 평균 크기(도 3a) 및 HA 농도(도 3b)의 관점 둘 다에서 우수한 성능이 관찰되었고: 바이로좀 직경 크기뿐만 아니라 HA 농도에서 유의미한 변동이 동결/해동 후에 측정되지 않았다. 단당류 또는 이당류를 첨가하는 경우 동결/해동 이후 직경 크기 변동을 방지하는 명백한 추가된 값이 관찰되었다.
B/브리스베인 유래 바이로좀이 5±3℃에서 24 주 동안 저장되었고 평균 직경 크기가 t=0, t=4, t=12 및 t=24 주에서 측정되었고 HA 농도가 t=0 t=4 및 t=12에서 측정되었다(도 4). 모든 분석된 제형에 대하여 바이로좀 직경 크기(도 4a)의 관점에서 그리고 HA 농도(도 4b)의 관점에서 시간에 따른 유의미한 변동이 관찰되지 않았다. 함께 고려하면, 이 데이터는 실험 제형과 대조 제형의 양호한 비교가능성을 암시한다.
평균 직경 크기 및 HA 농도가 A/빅토리아 유래 바이로좀에 대하여 1회의 동결/해동 사이클 전후에서 측정되었다(도 5). 대조 조성물은 명백하게 이러한 스트레스 요인 이후 특히 HA 농도의 관점에서의 안정성을 보증함에 있어서 차선이었다. 모든 시험된 실험 제형에 대하여 평균 크기의 관점에서 양호한 성능이 관찰되었으며(무 당 포스페이트 pH 7.0에 대하여는 제외)(도 5a): 바이로좀 직경 크기에서의 유의미한 변동이 동적 광 산란을 통하여 측정되지 않았다. 예기치 못하게, 단당류 또는 이당류를 포함하는 모든 실험 제형에 대하여 동결/해동 이후 HA 농도 변동의 관점에서 우수한 성능이 관찰되었다(도 5b). A/빅토리아 유래 바이로좀이 5±3℃에서 12 주 동안 저장되었고 평균 직경 크기가 t=0 및 t=4 주에서 측정되었고 HA 농도가 t=0, t=4 및 t=12 주에서 측정되었다(도 6). 유의미한 변동이 시간에 따라 바이로좀 크기(도 6a)의 관점에서 그리고 HA 농도(도 6b)의 관점에서 무 당 포스페이트 pH 7.0에 대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분석된 실험 제형에 대하여 관찰되지 않아 이러한 완충제에의 단당류 또는 이당류의 추가된 값을 나타내고 있다. 함께 고려하면, 이 데이터는 대안의 제형과 대조 제형의 양호한 비교가능성을 암시한다.
동결/해동 실험(도 1, 도 3 및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이 놀랍게도 바이로좀을 우발적 동결로부터 보호하는 데 매우 적합하고 그에 의하여 바이로좀에 대하여 더욱 안정성을 제공함을 나타내고 있다.
모두를 함께 고려하면, 평균 직경 크기 및 HA 농도가 측정된(도 2, 도 4 및 도 6) 안정성 시험(5±3℃에서 12 주)은 실험 제형과 대조 제형 간에 양호한 비교가능성을 나타내고, 이는 이미 수년 동안 양호하고 유효한 것으로 입증되었고 현재 여전히 시장에서 바이로좀을 보존하는 데 사용되고 있는 조성물이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수득된 모든 데이터를 결합하고 통계학적 분석을 한 후, 변수들의 특정한 조합이 명백하게 바이로좀에 대한 최선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을 입증하였다. 바이로좀 안정성에 대하여 가장 양호한 것으로 입증된 조성물은 7.5의 pH로 20 mM Na2HPO4/KH2PO4을 포함하고 추가로 8% 트레할로스를 포함하는 완충된 조성물이었다.
실시예 2
실험 설계 및 방법론.
시험된 서로 다른 제형에서 온도의 증가에 의하여 응집 개시 및 전체 크기 변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온도에 대한 바이로좀 직경 크기 변동을 측정하는 것에 의하여 온도 프로파일이 수득되었다. Z-sizer ZS(Malvern)으로 35℃에서 75℃ 까지 온도 승온이 수득되었고 바이로좀 크기가 매 3℃ 마다 직접적으로 동일 큐벳 내에서 측정되었다.
결과 및 결론.
시험된 서로 다른 제형 중에서 응집 개시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 의존 프로파일 및 바이로좀의 전체 크기 변동을 도 7(a, b 및 c)에 나타내었다. 분석된 3가지 균주 모두에 대하여, 대조 조성물이 촉진된 온도 스트레스 이후 열적 안정성을 보증하기에 차선이었다. 결국, 모든 균주에 대하여, 바이로좀 직경 크기가 52℃ 내지 62℃의 온도 범위 내에서 극적으로(300 ㎚ 초과까지) 증가하였다. B/브리스베인(도 7b)에 대하여는 시험된 거의 모든 신규한 제형이 개시 온도를 증가시켰고, pH 7.5에서 조성물을 함유하는 트레할로스가 고온에서 도달된 최대 크기에 대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즉 최대 직경 크기가 300 ㎚를 대체하지 못하였다.
A/캘리포니아(도 7a) 및 A/빅토리아(도 7c)에 대하여, 개시 온도에서의 증가가 덜 확연하였으나, 시험된 모든 신규한 제형이 놀랍게도 바이로좀의 직경 크기에서의 증가를 감소시키는 명백한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 실험의 최종 결과는 실시예 1에서 수득된 결과들을 확인하여, 7.5의 pH에서 20 mM Na2HPO4/KH2PO4로 완충되고 추가로 8% 트레할로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바이로좀 안정성의 증가를 위한한 가장 유망한 조합임을 암시하고 있다.
실시예 3
실험 설계 및 방법론.
염 농도 감소에 대한 응집 개시 및 전체 크기 변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염 농도에 따른 바이로좀 크기 변동을 측정하는 적정 프로파일 세포-배양 A/빅토리아 유래 바이로좀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Z-sizer ZS(Malvern) 내에서 130으로부터 33 mM로의 염(NaCl) 농도 감소를 수행하고 바이로좀 크기를 동일한 큐벳 내에서 감소하는 NaCl 농도에서 19회 측정하였다.
결과 및 결론.
특정한 NaCl 농도에서의 바이로좀 응집 개시를 나타내는 NaCl 농도 의존 프로파일 및 A/빅토리아 바이로좀의 전체 크기 변동을 도 8에 나타내었다.
7.5의 pH에서 20 mM Na2HPO4/KH2PO4 및 130 mM NaCl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자동적으로 희석하는 것에 의하여 NaCl 농도를 130으로부터 33 mM 까지 감소시켰다. A/빅토리아 바이로좀 직경 크기가 65 mM 미만의 NaCl 농도에서 극적으로(300 ㎚ 초과까지) 증가하였다. 동일한 효과가 8% 트레할로스가 첨가된 유사한 실험(데이터는 나타내지 않음)에서 관찰되었다.
이 실험의 최종 결과는 세포 유래 A/빅토리아 균주에 대하여 수용가능한 범위(300 mM) 내로 바이로좀 크기를 유지하는 데 65 mM NaCl의 최소 농도가 요구됨을 나타내어 바이로좀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65 mM의 최소 NaCl 농도가 최종 조성물에 첨가되어야 함을 암시하고 있다.
실시예 4
실험 설계 및 방법론.
각각 서로 다른 인플루엔자 균주로부터의 HA 분자를 포함하는 3가지 서로 다른 인플루엔자 유래 바이로좀 제제를 대조 제형으로 제조하고 2가지 실험 제형(표 2) 내에서 "Cogent μSCALE TFF system" UF/DF 기기(Millipore)로 재완충시켰다. 대조 조성물을 또한 동일한 시스템으로 재완충시켜 완충제 교환 효과를 배제시켰다.
[표 2] 사용된 실험 완충제의 조성.
Figure pct00002
용출액을 여과 멸균시키고(0.22 ㎛) 유리 바이알(바이알 당 3 ㎖) 내에 분획시키거나 3가의 생성물 내로 부어넣고 계속해서 유리 바이알 내에 분획시켰다. 상기 3가의 생성물(또한 "3가"로 약칭됨)은 각각이 서로 다른 인플루엔자 균주로부터의 항원을 포함하는 3가지 서로 다른 바이로좀의 혼합물이다. 본 실험에서, 3가는 A/빅토리아 균주, B/브리스베인 균주 또는 A/캘리포니아로부터의 인플루엔자 항원을 갖는 3가지 서로 다른 바이로좀을 포함한다.
대조 조성물은 50 mM KH2PO4/Na2HPO4로 7.4의 pH로 완충된 현재 시판되는 Inflexal®V 조성물 중의 하나이고; 이는 NaCl을 약 82 mM의 농도로 포함한다. 후속하여, 둘 다 실시간 조건을 모의하는 안정성 시험을 위하여(1 개월 및 3 개월 동안) 바이알을 1 사이클의 동결/해동(F/T)에 적용시키거나 5±3℃에서 배양시켰다. 샘플 분석이 삼중으로 수행될 때까지 바이알을 분획 중의 개개 대조들과 함께 5±3℃에서 저장하였다. 샘플을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HA 정량을 위한 일원방사면역확산법(SRID) 및 바이로좀 입자 직경 측정을 위한 Z-sizer nano(ZS)로 분석하였다.
결과 및 결론.
평균 직경 크기 및 HA 농도가 세포 유래 A/캘리포니아 바이로좀에 대하여 1회의 동결/해동 사이클 전후에 측정되었다(도 9). 1회의 동결/해동 사이클 이후, 대조 조성물은 직경 크기(도 9a) 및 HA 농도(도 9b)의 관점 둘 다에서 바이로좀 안정성에 대하여 해롭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예기치 못하게, 시험된 실험 제형(완충제 T 및 완충제 S)에 대하여 평균 직경 크기의 관점에서 우수한 성능이 관찰되었고 이당류를 첨가하는 경우 명백한 추가된 값이 관찰되었다(도 9a). 결국, 이 제형에 있어서, 바이로좀 크기에서의 유의미한 변화가 동적 광 산란에 의해 측정되지 않았다. 매우 양호한 안정성 프로파일이 시험된 실험 제형에 대하여 동결/해동 후에 HA 농도 변동의 관점에서 관찰되었다(도 9b).
A/캘리포니아 세포 유래 바이로좀이 5±3℃에서 12 주 동안 저장되었고 평균 직경 크기 및 HA 농도가 t=0, t=4 및 t=12 주에서 측정되었다(도 10). 모든 분석된 제형에 대하여 바이로좀 크기의 관점에서 시간에 따른 유의미한 변동이 관찰되지 않았다(도 10a). 대조 조성물 및 시험된 실험 제형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동일한 경향의 HA 농도 변동이 관찰되었다(도 10b).
평균 직경 크기 및 HA 농도가 B/브리스베인 유래 바이로좀에 대하여 1회의 동결/해동 사이클 전후에 측정되었다(도 11). 1회의 동결/해동 사이클 이후, 대조 조성물은 직경 크기(도 11a) 및 HA 농도(도 11b)의 관점 둘 다에서 바이로좀 안정성에 대하여 해롭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예기치 못하게, 시험된 대안의 제형(완충제 T 및 완충제 S)에 대하여 평균 크기(도 11a) 및 HA 농도(도 11b)의 관점 둘 다에서 우수한 성능이 관찰되었고: 바이로좀 직경 크기뿐만 아니라 HA 농도에서 유의미한 변동이 동결/해동 후에 측정되지 않았다. 이당류를 첨가하는 경우 동결/해동 이후 직경 크기 변동을 방지하는 명백한 추가된 값이 관찰되었다.
B/브리스베인 유래 바이로좀이 5±3℃에서 12 주 동안 저장되었고 평균 직경 크기가 t=0, t=4 및 t=12 주에서 측정되었고 HA 농도가 t=0 t=4 및 t=12에서 측정되었다(도 12). 모든 분석된 제형에 대하여 바이로좀 직경 크기(도 12a)의 관점에서 그리고 HA 농도(도 12b)의 관점에서 시간에 따른 유의미한 변동이 관찰되지 않았다. 함께 고려하면, 이 데이터는 실험 제형과 대조 제형의 양호한 비교가능성을 암시한다(도 12).
평균 직경 크기 및 HA 농도가 A/빅토리아 유래 바이로좀에 대하여 1회의 동결/해동 사이클 전후에서 측정되었다(도 13). 대조 조성물은 명백하게 이러한 스트레스 요인 이후 특히 크기 변동의 관점에서의 안정성을 보증함에 있어서 차선이었다. 시험된 2가지 실험 제형에 대하여 평균 크기의 관점에서 양호한 성능이 관찰되었고(도 13a): 바이로좀 직경 크기에서의 유의미한 변동이 동적 광 산란을 통하여 측정되지 않았다. 예기치 못하게, 이당류를 포함하는 실험 제형(완충제 T 및 완충제 S)에 대하여 동결/해동 이후 HA 농도 변동의 관점에서 우수한 성능이 관찰되었다(도 13b).
A/빅토리아 유래 바이로좀이 5±3℃에서 12 주 동안 저장되었고 평균 직경 크기 및 HA 농도가 t=0, t=4 및 t=12 주에서 측정되었다(도 14). 유의미한 변동이 시간에 따라 바이로좀 크기(도 14a)의 관점에서 그리고 HA 농도(도 14b)의 관점에서 분석된 실험 제형에 대하여 관찰되지 않아 이러한 완충제에의 이당류의 추가된 값을 나타내고 있다.
1회의 동결/해동 사이클 전후에서 바이로좀의 3가의 혼합물에 대하여 평균 직경 크기 및 HA 농도가 측정되었다(도 15). 대조 조성물은 명백하게 이러한 스트레스 요인 이후 HA 농도 및 크기의 관점 둘 다에서 안정성을 보증함에 있어서 차선이었다. 시험된 2가지 실험 제형에 대하여 평균 크기의 관점에서 양호한 성능이 관찰되었으며(도 15a): 바이로좀 직경 크기에서의 유의미한 변동이 동적 광 산란을 통하여 측정되지 않았다. 예기치 못하게, 이당류를 포함하는 실험 제형에 대하여 동결/해동 이후 HA 농도 변동의 관점에서 우수한 성능이 관찰되었다(도 15b, 도 15c, 도 15d). 3가의 바이로좀이 5±3℃에서 12 주 동안 저장되었고 평균 직경 크기 및 HA 농도가 t=0, t=4 및 t=12 주에서 측정되었다(도 16). 유의미한 변동이 시간에 따라 바이로좀 크기(도 16a)의 관점에서 그리고 HA 농도(도 16b, 도 16c 및 도 16d)의 관점에서 분석된 실험 제형에 대하여 관찰되지 않아 이러한 완충제에의 이당류의 추가된 값을 나타내고 있다.
함께 고려하면, 이 데이터는 대안의 제형의 대조 제형과의 양호한 비교가능성을 암시한다. 동결/해동 실험(도 9, 도 11, 도 13 및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이 놀랍게도 바이로좀을 우발적 동결로부터 보호하는 데 매우 적합하고 그에 의하여 바이로좀에 대하여 더욱 안정성을 제공함을 나타내고 있다.
모두를 함께 고려하면, 평균 직경 크기 및 HA 농도가 측정된(도 10, 도 12, 도 14 및 도 16) 안정성 시험(5±3℃에서 12 주)은 실험 제형과 대조 제형 간에 양호한 비교가능성을 나타내고, 이는 이미 수년 동안 양호하고 유효한 것으로 입증되었고 현재 여전히 시장에서 바이로좀을 보존하는 데 사용되고 있는 조성물이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수득된 모든 데이터를 결합하고 통계학적 분석을 한 후, 변수들의 특정한 조합이 명백하게 바이로좀에 대한 최선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을 입증하였다. 바이로좀 안정성에 대하여 가장 양호한 것으로 입증된 조성물은 7.5의 pH에서 20 mM Na2HPO4/KH2PO4, 75 mM NaCl을 포함하고 추가로 4% 트레할로스를 포함하는 완충된 조성물이었다.
실시예 5
실험 설계 및 방법론.
각각 서로 다른 인플루엔자 균주로부터의 HA 분자를 포함하는 3가지 서로 다른 인플루엔자 유래 바이로좀 제제를 대조 제형으로 제조하고 2가지 실험 제형(표 1에서 기술됨) 내에서 "Cogent μSCALE TFF system" UF/DF 기기(Millipore)로 재완충시켰다. 대조 조성물을 또한 동일한 시스템으로 재완충시켜 완충제 교환 효과를 배제시켰다.
용출액을 여과 멸균시키고(0.22 ㎛) 3가의 생성물 내로 부어넣고 계속해서 유리 바이알(바이알 당 3 ㎖) 내에 분획시켰다. 대조 조성물은 50 mM KH2PO4/Na2HPO4로 7.4의 pH로 완충된 현재 시판되는 Inflexal®V 조성물 중의 하나이고; 이는 NaCl을 약 82 mM의 농도로 포함한다. 후속하여, 바이알을 -65℃ 미만에서 안정성 시험을 위하여(12 주 동안) 배양시켰다. 샘플 분석이 삼중으로 수행될 때까지 바이알을 분획 중의 개개 대조들과 함께 -65℃ 미만에서 저장하였다. 샘플을 분석 설명에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HA 정량을 위한 일원방사면역확산법(SRID) 및 바이로좀 입자 직경 측정을 위한 Z-sizer nano(ZS)로 분석하였다.
결과 및 결론.
3가의 바이로좀을 -65℃ 미만에서 12 주 동안 저장하고 평균 직경 크기 및 HA 농도를 t=0 및 t=12 주에서 측정되었다(도 17). 시험된 신규한 제형에서 바이로좀 크기의 관점에서 시간에 따른 유의미한 변동이 관찰되지 않았다(도 17a). 시험된 신규한 제형은 -65℃ 미만에서 12 주 동안 바이로좀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한편으로 대조 샘플(현재 제형)에 대하여는 바이로좀 크기에서 명백한 증가가 관찰되었다. -65℃ 미만의 저장 t=0 및 t=12 주에서 3가의 조성물 중에 포함된 3가지 균주 각각에 대하여 HA 농도가 측정되었다(도 17b, 도 17c 및 도 17d). 특히 B/브리스베인 및 A/캘리포니아에 대하여 대조(현재 제형)에 비하여 시험된 2가지 신규한 제형에 대하여 명백한 개선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2가지 균주의 HA 농도는 대조 제형에서 -65℃ 미만에서 12 주 동안의 저장 이후 극적으로 하강하는 반면, 바이로좀이 시험된 2가지 신규한 제형 내에 제형화된 경우 근본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수득된 데이터를 결합하고 통계학적 분석을 한 후, 변수들의 특정한 조합이 명백하게 -65℃ 미만에서의 저장 동안 바이로좀에 대한 최선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을 입증하였다. -65℃ 미만에서의 저장 이후 바이로좀 안정성에 대하여 가장 양호한 것으로 입증된 조성물은 7.5의 pH에서 20 mM Na2HPO4/KH2PO4, 75 mM NaCl을 포함하고 추가로 4% 트레할로스를 포함하는 완충된 조성물이었다.
참고문헌
Freixeiro et al., "Study of the stability of proteoliposomes as vehicles for vaccines against Neisseria meningitidis based on recombinant porin complexes", Int J Pharm. 2013 Feb 25; 443(1-2):1-8. doi: 10.1016/j.ijpharm.2012.12.046. Epub 2013 Jan 7.
Herzog et al., "Eleven years of Inflexal V-a virosomal adjuvanted influenza vaccine", Vaccine. 2009 Jul 16;27(33):4381-7. doi: 10.1016/j.vaccine.2009.05.029. Epub 2009 May 29.
Hincha et al. "Trehalose Increases Freeze-Thaw Damage in Liposomes Containing Chloroplast Glycolipids", Cryobiology. 1998 May;36(3):245-9.
Meunier F et al. "Liposomal amphotericin B(AmBisome): safety data from a phase II/III clinical trial." J Antimicrob Chemother. 1991;28 Suppl B:83-91.
Mishler et al, "Inflexal®V a trivalent virosome subunit influenza vaccine: production", Vaccine 20 (2002) B17-B23
Stegmann et al., "Functional reconstitution of influenza virus envelopes." EMBO J. 1987 Sep;6(9):2651-9.
Wood et al., "An improved single-radial-immunodiffusion technique for the assay of influenza haemagglutinin antigen: application for potency determinations of inactivated whole virus and subunit vaccines", J Biol Stand. 1977;5(3):237-47.

Claims (14)

  1. a) 바이로좀;
    b) 포스페이트 농도가 약 15 mM 내지 30 mM 범위인 KH2PO4/Na2HPO4 완충제;
    c) 염 농도가 60 mM 초과인 염;
    d) 이당류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여기서 상기 조성물이 6.5 내지 8 범위의 pH를 갖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이당류 농도가 약 2%(중량/중량) 내지 10%(중량/중량) 범위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당류가 트레할로스 및 수크로스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이당류가 트레할로스인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이당류가 수크로스인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약 7 내지 7.8 범위의 pH를 갖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약 7.5의 pH를 갖고; 트레할로스 또는 수크로스를 3%(중량/중량) 내지 5%(중량/중량) 범위의 농도로 포함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염을 60 mM 내지 85 mM 범위의 농도로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염이 NaCl인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액상 조성물인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로좀을 보존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조성물을 2℃ 내지 8℃ 범위의 온도에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로좀을 보존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조성물을 -80℃ 내지 -65℃ 범위의 온도에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로좀을 보존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조성물을 -15℃ 내지 -30℃ 범위의 온도에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로좀을 보존하는 방법.
KR1020167019131A 2013-12-19 2014-12-18 바이로좀용의 개선된 제형 KR1023912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98296 2013-12-19
EP13198296.9 2013-12-19
PCT/EP2014/078463 WO2015091798A2 (en) 2013-12-19 2014-12-18 Improved formulations for virosom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452A true KR20160098452A (ko) 2016-08-18
KR102391228B1 KR102391228B1 (ko) 2022-04-28

Family

ID=49880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9131A KR102391228B1 (ko) 2013-12-19 2014-12-18 바이로좀용의 개선된 제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20160317646A1 (ko)
EP (1) EP3082769B1 (ko)
JP (1) JP6469698B2 (ko)
KR (1) KR102391228B1 (ko)
CN (1) CN105899220B (ko)
AU (1) AU2014368594B2 (ko)
BR (1) BR112016013920B1 (ko)
CA (1) CA2934434C (ko)
EA (1) EA030733B1 (ko)
SG (1) SG11201604136PA (ko)
WO (1) WO201509179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3988B2 (en) 2018-11-29 2022-12-13 Catalent U.K. Swindon Zydis Limited Oral dispersible vaccine comprising virosomes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4228A (en) * 1975-09-29 1977-04-07 Wellcome Found Antigenic medicine
US4148876A (en) * 1975-09-29 1979-04-10 Burroughs Wellcome Co. Biological preparations
KR19980701500A (ko) * 1995-01-19 1998-05-15 래이젼 어팰 트레할로스를 포함하는 건조 혈액 인자 조성물(dried blood factor composition comprising trehalose)
KR20030031561A (ko) * 2000-07-26 2003-04-21 위스콘신 얼럼나이 리서어치 화운데이션 생물학적 물질용 보존 및 저장 배지
JP2003525909A (ja) * 2000-03-07 2003-09-02 メルク エンド カムパニ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アデノウイルス製剤
KR20050056965A (ko) * 2002-08-13 2005-06-16 글락소스미스클라인 바이오로지칼즈 에스.에이. 항원 조성물
KR20050084626A (ko) * 2002-11-01 2005-08-26 글락소스미스클라인 바이오로지칼즈 에스.에이. 건조 공정
EP1676569A1 (en) * 2004-12-30 2006-07-05 Pevion Biotech Ltd. Lyophilization of virosomes
WO2012073257A2 (en) * 2010-11-30 2012-06-07 Bharat Biotech International Limited Vaccine formulation for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chandipura virus infections in mammal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1871B2 (ja) * 1986-10-09 1995-12-25 国立予防衛生研究所長 インフルエンザワクチン凍結乾燥製剤
US7253262B2 (en) * 1995-01-19 2007-08-07 Quandrant Drug Delivery Limited Dried blood factor composition comprising trehalose
US20040028687A1 (en) * 2002-01-15 2004-02-12 Waelti Ernst Rudolf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targeted delivery of therapeutic substances to specific cells and tissues
BR0316402A (pt) * 2002-11-21 2006-02-21 Pevion Biotech Ltd vesìcula fusogênica, métodos para preparar uma vesìcula fusogênica encapsulante, e para encapsular pelo menos uma substáncia terapêutica ou imunologicamente ativa em uma vesìcula fusogênica, uso de uma vesìcula fusogênica, e, formulação farmacêutica
US20130028933A1 (en) * 2009-12-28 2013-01-31 Ligocyte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stabilizing influenza antigen enveloped virus-based virus-like particle solutions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4228A (en) * 1975-09-29 1977-04-07 Wellcome Found Antigenic medicine
US4148876A (en) * 1975-09-29 1979-04-10 Burroughs Wellcome Co. Biological preparations
KR19980701500A (ko) * 1995-01-19 1998-05-15 래이젼 어팰 트레할로스를 포함하는 건조 혈액 인자 조성물(dried blood factor composition comprising trehalose)
JP2003525909A (ja) * 2000-03-07 2003-09-02 メルク エンド カムパニ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アデノウイルス製剤
US20040166122A1 (en) * 2000-03-07 2004-08-26 Evans Robert K. Adenovirus formulations
JP5118798B2 (ja) * 2000-03-07 2013-01-16 メルク・シャープ・エンド・ドーム・コーポレイション アデノウイルス製剤
KR20030031561A (ko) * 2000-07-26 2003-04-21 위스콘신 얼럼나이 리서어치 화운데이션 생물학적 물질용 보존 및 저장 배지
KR20050056965A (ko) * 2002-08-13 2005-06-16 글락소스미스클라인 바이오로지칼즈 에스.에이. 항원 조성물
KR20050084626A (ko) * 2002-11-01 2005-08-26 글락소스미스클라인 바이오로지칼즈 에스.에이. 건조 공정
EP1676569A1 (en) * 2004-12-30 2006-07-05 Pevion Biotech Ltd. Lyophilization of virosomes
WO2012073257A2 (en) * 2010-11-30 2012-06-07 Bharat Biotech International Limited Vaccine formulation for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chandipura virus infections in mamm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02012A (ja) 2017-01-19
WO2015091798A3 (en) 2015-08-27
CA2934434C (en) 2022-05-24
CN105899220A (zh) 2016-08-24
SG11201604136PA (en) 2016-07-28
KR102391228B1 (ko) 2022-04-28
CN105899220B (zh) 2020-01-10
EA030733B1 (ru) 2018-09-28
AU2014368594B2 (en) 2020-03-05
EP3082769A2 (en) 2016-10-26
AU2014368594A1 (en) 2016-06-16
EA201691270A1 (ru) 2016-12-30
BR112016013920A2 (ko) 2017-08-08
BR112016013920B1 (pt) 2023-02-07
EP3082769B1 (en) 2018-01-31
US20160317646A1 (en) 2016-11-03
US20200360510A1 (en) 2020-11-19
JP6469698B2 (ja) 2019-02-13
WO2015091798A2 (en) 2015-06-25
CA2934434A1 (en) 2015-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58068B2 (ja) 熱安定性ワクチン製剤及びマイクロニードル
CA2469623C (en) Composition for the preservation of viruses
CA2680193C (en) Lyophilized preparation comprising influenza vaccine,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BRPI0614053A2 (pt) emulsão adjuvante de óleo-em-água, uso da referida emulsão, processo para preparação de uma composição imunogênica compreendendo pelo menos um antìgeno de vacina e uma emulsão óleo-em-água, e composição imunogênica
EP4010014A1 (en) Immunogenic composition
Zamani et al. Characterization of stability, safety and immunogenicity of the mRNA lipid nanoparticle vaccine Iribovax® against COVID-19 in nonhuman primates
US20200360510A1 (en) Formulations for virosomes
KR20220081367A (ko) 폐 계면활성제-생체모방 나노입자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Hamouda et al. NanoBio™ Nanoemulsion for Mucosal Vaccine Deli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