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8163A -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8163A
KR20160098163A KR1020167006739A KR20167006739A KR20160098163A KR 20160098163 A KR20160098163 A KR 20160098163A KR 1020167006739 A KR1020167006739 A KR 1020167006739A KR 20167006739 A KR20167006739 A KR 20167006739A KR 20160098163 A KR20160098163 A KR 20160098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ribbon
glass
molten metal
cooling
float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6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유키 반
요시히로 시라이시
가이 군지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98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1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8/00Shaping glas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a liquid
    • C03B18/02Forming sheets
    • C03B18/04Changing or regulating the dimensions of the molten glass rib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8/00Shaping glas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a liquid
    • C03B18/02Forming sheets
    • C03B18/04Changing or regulating the dimensions of the molten glass ribbon
    • C03B18/06Changing or regulating the dimensions of the molten glass ribbon using mechanical means, e.g. restrictor bars, edge ro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8/00Shaping glas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a liquid
    • C03B18/02Forming sheets
    • C03B18/04Changing or regulating the dimensions of the molten glass ribbon
    • C03B18/10Changing or regulating the dimensions of the molten glass ribbon using electric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8/00Shaping glas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a liquid
    • C03B18/02Forming sheets
    • C03B18/16Construction of the float tank; Use of material for the float tank; Coating or protection of the tank wa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욕조 내의 용융 금속 상에 있어서 판형의 유리 리본을 성형하는 성형 장치와, 상기 유리 리본을 서냉하는 서냉 장치와, 상기 성형 장치와 상기 서냉 장치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용융 금속으로부터 상기 유리 리본을 인상함과 함께 상기 서냉 장치를 향하여 반송하는 리프트아웃 롤과, 상기 욕조의 하류 단부를 냉각하는 냉각 부재와, 상기 냉각 부재에 의한 상기 유리 리본의 냉복사를 차단하는 단열 부재를 갖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Description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OAT GLA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LOAT GLASS}
본 발명은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는, 욕조 내의 용융 금속 상에 있어서 판형의 유리 리본을 성형하는 성형 장치, 및 유리 리본을 서냉하는 서냉 장치를 구비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유리 리본은, 양쪽 측연부 사이에 평탄부를 갖는다. 유리 리본의 양쪽 측연부는, 유리 리본의 평탄부보다도 두껍기 때문에, 서냉 후에 절제된다. 이에 의해, 대략 균일한 판 두께의 플로트 유리가 얻어진다.
일본 특허 공개 평6-227831호 공보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는, 성형 장치와 서냉 장치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비한다. 인터페이스 장치는, 유리 리본을 용융 금속으로부터 인상함과 함께, 서냉 장치를 향하여 반송하는 리프트아웃 롤을 갖는다.
용융 금속은 열을 머금고 있기 때문에, 유리 리본은 용융 금속과 접촉하고 있는 동안에는 냉각되기 어렵지만, 용융 금속으로부터 이격되면 냉각되기 쉽다. 유리 리본의 평탄부는, 유리 리본의 양쪽 측연부보다도 얇기 때문에, 보다 냉각되기 쉽다. 그로 인해, 유리 리본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온도 불균일이 발생한다. 또한, 이 온도 불균일은 유리 리본의 유동 방향에 있어서의 온도 불균일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유리 리본의 온도는 전이점 부근의 온도이다. 일반적으로, 유리의 선팽창 계수는, 유리의 전이점을 경계로 크게 변화한다. 종래,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유리 리본의 온도 불균일이 컸기 때문에, 유리 리본의 변형이 커서, 유리 리본이 깨지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인터페이스 장치에서의 유리 리본의 깨짐을 방지할 수 있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의 제공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욕조 내의 용융 금속 상에 있어서 판형의 유리 리본을 성형하는 성형 장치와,
상기 유리 리본을 서냉하는 서냉 장치와,
상기 성형 장치와 상기 서냉 장치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용융 금속으로부터 상기 유리 리본을 인상함과 함께 상기 서냉 장치를 향하여 반송하는 리프트아웃 롤과,
상기 욕조의 하류 단부를 냉각하는 냉각 부재와,
상기 냉각 부재에 의한 상기 유리 리본의 냉복사를 차단하는 단열 부재를 갖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페이스 장치에서의 유리 리본의 깨짐을 방지할 수 있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수치 범위를 나타내는 「내지」는 그 전후의 수치를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는, 성형 장치(10), 서냉 장치(20), 및 인터페이스 장치(30)를 구비한다.
성형 장치(10)는 욕조(11) 내의 용융 금속 M 상에 있어서 판형의 유리 리본 G를 성형한다. 유리 리본 G는, 용융 금속 M 상에서 유동하면서 서서히 단단해진다. 유리 리본 G는, 욕조(11) 하류 영역에 있어서 용융 금속 M으로부터 인상되고, 서냉 장치(20)를 향하여 보내진다. 성형 장치(10)는 욕조(11), 루프(15), 히터(16), 및 파이프(17) 등을 갖는다.
욕조(11)는 용융 금속 M을 수용한다. 용융 금속 M은, 일반적인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용융 주석 또는 용융 주석 합금이어도 된다. 욕조(11)는 예를 들어 금속 케이싱(12) 및 벽돌층(13)으로 구성된다.
금속 케이싱(12)은 욕조(11) 내에의 외기의 혼입을 억제한다. 금속 케이싱(12)은 예를 들어 복수의 금속판을 용접하여 이루어진다.
벽돌층(13)은 금속 케이싱(12)의 내면을 덮는다. 벽돌층(13)은 복수의 벽돌을 상자 형상으로 조립한 조립체여도 되고, 내부에 용융 금속 M을 수용한다.
루프(15)는 욕조(11)의 상방에 배치되고, 욕조(11)의 상방 공간을 덮는다. 욕조(11)의 상방 공간에는, 용융 금속 M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루프(15)의 관통 구멍(15a)으로부터 환원성 가스 등이 공급된다. 환원성 가스로서는, 예를 들어 질소 가스와 수소 가스의 혼합 가스가 사용된다. 욕조(11)의 상방 공간은, 외기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대기압보다도 높은 정압으로 된다.
히터(16)는 루프(15)의 관통 구멍(15a)에 삽입 관통되어, 루프(15)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고, 유리 리본 G 등을 가열한다. 히터(16)는 일반적인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SiC 히터여도 된다.
히터(16)는 유리 리본 G의 폭 방향(도 1에 있어서 지면 수직 방향), 및 유리 리본 G의 유동 방향(도 1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된다.
파이프(17)는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를 분사함으로써, 성형 장치(10)의 출구에 기류의 막을 형성한다. 환원성 가스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파이프(17) 대신에 구획판이 설치되어도 된다. 구획판은, 유리 리본 G의 상방에 배치되고, 유리 리본 G와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형성한다.
서냉 장치(20)는 유리 리본 G를 서냉한다. 서냉 장치(20)는 서냉로(21), 반송 롤(22) 등을 갖는다. 반송 롤(22)은 그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고, 모터 등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서냉로(21) 내에서 유리 리본 G를 수평으로 반송한다. 유리 리본 G는, 반송되면서 서냉된다. 유리 리본 G는, 양쪽 측연부의 사이에 평탄부를 갖는다. 유리 리본 G의 양쪽 측연부는, 유리 리본 G의 평탄부보다도 두껍기 때문에, 서냉 후에 절제된다. 이에 의해, 대략 균일한 판 두께의 플로트 유리가 얻어진다.
인터페이스 장치(30)는 성형 장치(10)와 서냉 장치(20)를 접속하고, 용융 금속 M으로부터 이격된 유리 리본 G의 온도 저하를 제한한다. 용융 금속 M은 열을 머금고 있기 때문에, 유리 리본 G는 용융 금속 M과 접촉하고 있는 동안에는 냉각되기 어렵지만, 용융 금속 M으로부터 이격되면 냉각되기 쉽다.
인터페이스 장치(30)는 드로스 박스(31), 실링(32), 리프트아웃 롤(33-1 내지 33-3), 드레이프(34-1 내지 34-3), 시일 블록(35-1 내지 35-3), 냉각 부재(36), 단열 부재(37), 및 히터(38-1 내지 38-8)를 갖는다.
드로스 박스(31)는 유리 리본 G의 하방에 배치되고, 유리 리본 G의 보텀면에 부착된 용융 금속 M의 찌꺼기(드로스라고 불린다)를 회수한다. 드로스 박스(31)의 내면은 단열재(41)로 덮이고, 드로스 박스(31)로부터 외부로의 방열이 제한된다.
드로스 박스(31)는 욕조(11)의 하류 단부(11a)와, 서냉로(21)의 상류 단부를 접속해도 된다. 드로스 박스(31)와, 서냉로(21)의 상류 단부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는 경우, 그 간극은 단열재로 메워져도 된다.
실링(32)은 유리 리본 G의 상방에 배치된다. 실링(32)의 상면은 단열재(42)로 덮이고, 실링(32)으로부터 외부로의 방열이 제한된다.
실링(32)은 루프(15)의 하류 단부와, 서냉로(21)의 상류 단부를 접속해도 된다. 실링(32)과, 서냉로(21)의 상류 단부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는 경우, 그 간극은 단열재로 메워져도 된다.
리프트아웃 롤(33-1 내지 33-3)은, 유리 리본 G를 용융 금속 M으로부터 인상함과 함께, 서냉 장치(20)를 향하여 반송한다. 리프트아웃 롤(33-1 내지 33-3)은, 그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고, 모터 등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드레이프(34-1 내지 34-3)는, 실링(32)으로부터 현수할 수 있어, 유리 리본 G의 상방에 있어서의 가스의 흐름을 차단한다. 이에 의해, 성형 장치(10)로부터의 수소 가스의 혼입을 억제할 수 있고, 수소 가스의 연소에 의한 온도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드레이프(34-1 내지 34-3)는, 리프트아웃 롤(33-1 내지 33-3)의 상방에 설치된다.
시일 블록(35-1 내지 35-3)은, 리프트아웃 롤(33-1 내지 33-3)과 접촉함으로써, 유리 리본 G의 하방에 있어서의 가스의 흐름을 차단함과 동시에, 리프트아웃 롤(33-1 내지 33-3)에 부착된 드로스를 긁어서 떨어뜨린다. 드로스는, 드로스 박스(31)에 회수된다. 시일 블록(35-1 내지 35-3)은, 예를 들어 카본으로 형성된다.
냉각 부재(36)는 냉매 유로(36a)를 형성한다. 냉매 유로(36a)의 냉매는, 기체, 액체 중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냉각 부재(36)는 욕조(11)의 하류 단부(11a)를 냉각한다. 하류 단부(11a)의 금속 케이싱(12)의 용융을 방지할 수 있다.
냉각 부재(36)는 예를 들어 드로스 박스(31)의 내면에 설치되고, 드로스 박스(31)의 내면과의 사이에 냉매 유로(36a)를 형성해도 된다. 냉각 부재(36)는 드로스 박스(31)를 통하여, 욕조(11)의 하류 단부(11a)를 냉각해도 된다.
단열 부재(37)는 냉각 부재(36)를 하류측으로부터 덮어, 냉각 부재(36)에 의한 유리 리본 G의 냉복사를 차단한다. 냉복사란, 열을 빼앗기는 것을 말한다. 유리 리본 G가 용융 금속 M으로부터 이격되는 테이크오프 위치 P1부터, 유리 리본 G가 최상류의 리프트아웃 롤(33-1)과 접촉하는 접촉 위치 P2까지의 사이에 있어서의, 유리 리본 G의 평탄부의 온도 저하가 완만해진다. 따라서, 테이크오프 위치 P1부터 접촉 위치 P2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유리 리본 G의 평탄부와 양쪽 측연부 사이의 두께 차이에 기인하는 온도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어, 온도 불균일에 의한 유리 리본 G의 변형을 어느 정도 저감할 수 있어, 유리 리본 G의 깨짐을 방지할 수 있다.
단열 부재(37)의 열전도율은, 예를 들어 1.0W/mK 이하, 바람직하게는 0.4W/mK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W/mK 이하이다. 또한, 단열재의 두께는 설비에 적합시켜서 적절히 설정 가능하지만 5mm 내지 50mm가 바람직하다.
단열 부재(37)는 가스의 흐름에 의한 열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미세한 다공 구조를 가져도 된다. 예를 들어, 단열 부재(37)는 미립자의 집합체이면 되고, 미립자끼리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어도 된다. 공기의 대류에 의한 열의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또한, 전열 경로가 가늘고 길기 때문에, 단열성이 좋다.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카 미립자가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비정질 실리카 미립자가 사용된다. 단열 부재(37)는 플렉시블한 내열성의 외장을 가져도 되고, 그 외장이 미립자를 보유해도 된다.
각 히터(38-1 내지 38-8)는, 유리 리본 G를 가열한다. 복수의 히터(38-1 내지 38-8)는 독립적으로 제어되어도 된다.
각 히터(38-1 내지 38-8)는, 유리 리본 G의 폭 방향의 온도 분포를 조정하기 위해서, 유리 리본 G의 폭 방향으로 복수의 발열체로 분할되어도 된다. 분할된 복수의 발열체는 독립적으로 제어되어도 된다.
복수의 히터(38-1 내지 38-8) 중 적어도 하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히터(38-1, 38-2)는 최상류의 리프트아웃 롤(33-1)의 중심선보다도 상류(도 1에 있어서 좌측 방향)에 배치되어도 된다.
최상류의 리프트아웃 롤(33-1)의 중심선보다도 상류에는, 종래, 히터가 배치되어 있지 않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히터(38-1, 38-2)가 배치된다. 이에 의해, 테이크오프 위치 P1부터 접촉 위치 P2까지의 사이에 있어서의 유리 리본 G의 평탄부의 온도 저하가 더욱 완만해진다. 따라서, 온도 불균일에 의한 유리 리본 G의 변형을 더 저감할 수 있어, 주름, 굴곡짐, 휨 등의 미세한 변형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히터(38-1)는, 냉각 부재(36)와 동일하게, 유리 리본 G의 하방에 배치된다. 냉각 부재(36)의 냉기와 유리 리본 G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히터(38-2)는, 냉각 부재(36)와 달리, 유리 리본 G의 상방에 배치된다. 냉각 부재(36)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냉각되는 유리 리본 G를 상방으로부터 가열할 수 있다.
복수의 히터(38-1 내지 38-8) 중 적어도 하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히터(38-7, 38-8)는 최하류의 리프트아웃 롤(33-3)의 중심선보다도 하류(도 1에 있어서 우측 방향)에 배치되어도 된다. 히터(38-7)는 유리 리본 G의 하방에 배치되고, 히터(38-8)는 유리 리본 G의 상방에 배치된다.
최하류의 리프트아웃 롤(33-3)의 중심선보다도 하류에는, 종래, 히터가 배치되어 있지 않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히터(38-7, 38-8)가 배치된다. 이에 의해, 서냉로(21)의 입구 부근에서의 유리 리본 G의 급격한 온도 저하를 제한할 수 있어, 미세한 변형의 발생을 더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을 다시 참조하여, 상기 구성의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를 사용한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은, 욕조(11) 내의 용융 금속 M 상에 있어서 판형의 유리 리본 G를 성형하는 성형 공정, 및 유리 리본 G를 서냉하는 서냉 공정을 갖는다. 유리 리본 G는 용융 금속 M 상에서 유동하면서 서서히 단단해진다. 유리 리본 G는, 욕조(11) 하류 영역에 있어서 용융 금속 M으로부터 인상되고, 리프트아웃 롤(33-1 내지 33-3) 상에서 서냉로(21)를 향하여 반송된다. 그 후, 유리 리본 G는, 서냉로(21) 내에서, 반송 롤(22) 상에서 반송되면서 서냉된다. 유리 리본 G는, 양쪽 측연부의 사이에 평탄부를 갖는다. 유리 리본 G의 양쪽 측연부는, 유리 리본 G의 평탄부보다도 두껍기 때문에, 서냉 후에 절제된다. 이에 의해, 대략 균일한 판 두께의 플로트 유리가 얻어진다.
그런데, 유리 리본 G가 용융 금속 M으로부터 이격되는 테이크오프 위치 P1부터, 유리 리본 G가 최상류의 리프트아웃 롤(33-1)과 접촉하는 접촉 위치 P2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유리 리본 G의 평탄부와 양쪽 측연부 사이의 두께의 차이에 기인하는 온도 불균일이 발생할 수 있다. 테이크오프 위치 P1부터 접촉 위치 P2까지의 사이에 있어서의 유리 리본 G의 온도는, 유리의 전이점 부근의 온도이다. 일반적으로, 유리의 선팽창 계수는, 유리의 전이점을 경계로 크게 변화한다.
유리 리본 G의 평탄부와 양쪽 측연부 사이의 두께 차이에 기인하는 온도 불균일이 단열 부재(37)가 냉각 부재(36)에 의한 유리 리본 G의 냉복사를 차단하기 때문에, 테이크오프 위치 P1부터 접촉 위치 P2까지의 사이에 있어서의 유리 리본 G의 평탄부의 온도 저하가 완만해진다. 따라서, 유리 리본 G의 평탄부와 양쪽 측연부 사이의 두께 차이에 기인하는 온도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어, 온도 불균일에 의한 유리 리본 G의 변형을 어느 정도 저감할 수 있어, 유리 리본 G의 깨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1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히터(38-1, 38-2)가 최상류의 리프트아웃 롤(33-1)의 중심선보다도 상류에 배치되기 때문에, 테이크오프 위치 P1부터 접촉 위치 P2까지의 사이에 있어서의 유리 리본 G의 평탄부의 온도 저하가 더욱 완만해진다. 따라서, 온도 불균일에 의한 유리 리본 G의 변형을 더 저감할 수 있어, 미세한 변형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테이크오프 위치 P1에 있어서, 유리 리본 G의 평탄부의 점도는 예를 들어 1010.7dPa·s 내지 1012. 3dPa·s이다. 유리 리본 G를 용융 금속 M으로부터 인상할 수 있을 정도의 경도와, 용융 금속 M으로부터의 인상에 의해 유리 리본 G가 깨지지 않을 정도의 부드러움의 양쪽이 얻어진다. 유리 리본 G의 평탄부의 점도는, 유리 리본 G의 폭 방향 중앙의 점도로 대표된다.
제조되는 플로트 유리의 종류가 무알칼리 유리인 경우, 테이크오프 위치 P1에 있어서의 유리 리본 G의 평탄부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1011. 3dPa·s 내지 1012.3dPa·s이다. 이 점도 범위에 상당하는 무알칼리 유리의 온도 범위는 예를 들어 740℃ 내지 770℃이다.
또한, 제조되는 플로트 유리의 종류가 소다석회 유리의 경우, 테이크오프 위치 P1에 있어서의 유리 리본 G의 평탄부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1010. 7dPa·s 내지 1011.8dPa·s이다. 이 점도 범위에 상당하는 소다석회 유리의 온도 범위는 예를 들어 590℃ 내지 620℃이다.
테이크오프 위치 P1부터 접촉 위치 P2까지의 사이에 있어서의 유리 리본 G의 평탄부의 온도 변화 폭은, 예를 들어 4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상기 온도 변화 폭은 제로℃여도 된다. 상기 온도 변화 폭이 40℃ 이하이면 유리 리본 G의 깨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온도 변화 폭이 30℃ 이하이면 미세한 변형의 발생도 거의 없다.
유리 리본 G의 평탄부의 온도는, 테이크오프 위치 P1부터 접촉 위치 P2에 걸쳐서, 서서히 낮아져도 된다.
유리 리본 G의 평탄부의 온도는, 종래는 접촉 위치 P2에 있어서 너무 낮아 접촉 위치 P2부터 하류를 향하여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촉 위치 P2부터 서냉로(21)의 입구까지 서서히 낮아져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테이크오프 위치 P1부터 접촉 위치 P2까지의 사이에 있어서의 유리 리본 G의 평탄부의 온도 변화 폭이 작고, 접촉 위치 P2에 있어서 유리 리본 G의 평탄부의 온도가 높기 때문이다.
제조되는 플로트 유리의 판 두께는, 예를 들어 0.8mm 이하이다. 이 경우, 유리 리본 G의 평탄부의 두께가 0.8mm 이하이다. 한편, 범용의 플로트 유리의 판 두께는 2mm 내지 6mm 정도이고, 이 경우, 유리 리본의 평탄부 두께가 2mm 내지 6mm 정도이다.
평탄부의 두께가 0.8mm 이하인 유리 리본 G는, 평탄부의 두께가 2mm 내지 6mm 정도인 유리 리본에 비하여 열용량이 작다. 따라서, 유리 리본 G가 성형 장치(10)로부터 인터페이스 장치(30)에 가져오는 현열(열량)이 적어, 종래에는 유리 리본 G가 냉각되기 쉬웠다. 이로 인해, 평탄부의 두께가 0.8mm 이하의 플로트 유리는 테이크오프 위치 P1부터 접촉 위치 P2까지의 사이에 있어서의 유리 리본 G의 평탄부의 온도 저하를 억제하는 효과가 현저하게 얻어진다. 즉, 유리 리본 G의 평탄부와 양쪽 측연부 사이의 두께 차이에 기인하는 온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제조되는 플로트 유리의 판 두께가 얇아지면 얇아질수록 전술한 효과는 현저해서, 그 판 두께는 0.6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3m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조되는 플로트 유리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용의 유리 기판, 디스플레이용의 커버 유리, 창 유리로서 사용된다.
제조되는 플로트 유리는, 디스플레이용의 유리 기판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무알칼리 유리여도 된다. 무알칼리 유리는, Na2O, K2O, Li2O 등의 알칼리 금속 산화물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유리이다. 무알칼리 유리는,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함유량 합량이 0.1질량% 이하여도 된다.
무알칼리 유리는, 예를 들어, 산화물 기준의 질량% 표시로, SiO2: 50% 내지 73%, Al2O3: 10.5% 내지 24%, B2O3: 0% 내지 12%, MgO: 0% 내지 10%, CaO: 0% 내지 14.5%, SrO: 0% 내지 24%, BaO: 0% 내지 13.5%, MgO+CaO+SrO+BaO: 8% 내지 29.5%, ZrO2: 0% 내지 5%를 함유한다.
무알칼리 유리는, 높은 변형점과 높은 용해성을 양립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산화물 기준의 질량% 표시로, SiO2: 58% 내지 66%, Al2O3: 15% 내지 22%, B2O3: 5% 내지 12%, MgO: 0% 내지 8%, CaO: 0% 내지 9%, SrO: 3% 내지 12.5%, BaO: 0% 내지 2%, MgO+CaO+SrO+BaO: 9% 내지 18%를 함유한다.
무알칼리 유리는, 특히 높은 변형점을 얻고자 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산화물 기준의 질량% 표시로, SiO2: 54% 내지 73%, Al2O3: 10.5% 내지 22.5%, B2O3: 0% 내지 5.5%, MgO: 0% 내지 10%, CaO: 0% 내지 9%, SrO: 0% 내지 16%, BaO: 0% 내지 2.5%, MgO+CaO+SrO+BaO: 8% 내지 26%를 함유한다.
제조되는 플로트 유리는, 디스플레이용의 커버 유리로서 사용되는 경우, 화학 강화용 유리여도 된다. 화학 강화용 유리를 화학 강화 처리한 것이 커버 유리로서 사용된다. 화학 강화 처리는, 유리 표면에 포함되는 알칼리 이온 중 작은 이온 반경의 이온(예를 들어 Li 이온이나 Na 이온)을 큰 이온 반경의 이온(예를 들어 K 이온)으로 치환함으로써, 유리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의 압축 응력층을 형성한다.
화학 강화용 유리는, 예를 들어 산화물 기준의 몰% 표시로, SiO2: 62% 내지 68%, Al2O3: 6% 내지 12%, MgO: 7% 내지 13%, Na2O: 9% 내지 17%, K2O: 0% 내지 7%를 함유하고, Na2O 및 K2O의 함유량의 합계로부터 Al2O3 함유량을 감한 차가 10% 미만이고, ZrO2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이 0.8% 이하이다.
별도의 화학 강화용 유리는, 산화물 기준의 몰% 표시로, SiO2: 65% 내지 85%, Al2O3: 3% 내지 15%, Na2O: 5% 내지 15%, K2O: 0% 내지 2% 미만, MgO: 0% 내지 15%, ZrO2: 0% 내지 1%를 함유하고, SiO2 및 Al2O3의 함유량 합계SiO2+Al2O3이 88% 이하이다.
제조되는 플로트 유리는, 창 유리로서 사용되는 경우, 소다석회 유리여도 된다. 소다석회 유리는, 예를 들어 산화물 기준의 질량% 표시로, SiO2: 65% 내지 75%, Al2O3: 0% 내지 3%, CaO: 5% 내지 15%, MgO: 0% 내지 15%, Na2O: 10% 내지 20%, K2O: 0% 내지 3%, Li2O: 0% 내지 5%, Fe2O3: 0% 내지 3%, TiO2: 0% 내지 5%, CeO2: 0% 내지 3%, BaO: 0% 내지 5%, SrO: 0% 내지 5%, B2O3: 0% 내지 5%, ZnO: 0% 내지 5%, ZrO2: 0% 내지 5%, SnO2: 0% 내지 3%, SO3: 0% 내지 0.5%를 함유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플로트 유리를 제조하였다. 인터페이스 장치는, 냉각 부재의 냉복사를 차단하는 단열 부재, 및 최상류의 리프트아웃 롤의 중심선보다도 상류에 배치되는 히터를 갖고 있었다. 플로트 유리의 판 두께는 0.2mm로 하고, 플로트 유리의 종류는 무알칼리 유리로 하였다. 이 무알칼리 유리는, 아사히 가라스 제조의 AN100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인터페이스 장치가 갖는 복수의 히터 중 최상류의 리프트아웃 롤의 중심선보다도 상류에 배치되는 히터의 출력을 실시예 1의 50%로 저감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플로트 유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인터페이스 장치가 갖는 복수의 히터 중 최상류의 리프트아웃 롤의 중심선보다도 상류에 배치되는 히터의 출력을 실시예 1의 0%로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플로트 유리를 제조하였다.
[평가]
플로트 유리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 있어서, 「A」는 유리 리본에 깨짐이 발생하지 않고, 주름 등의 미세한 변형도 없었던 것을, 「B」는 유리 리본에 깨짐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미세한 변형이 있었던 것을 각각 나타낸다. 유리 리본의 깨짐 및 미세한 변형의 유무는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표 1에는, 유리 리본 폭 방향 중앙의 온도를 방사 온도계에 의해 측정한 결과에 대해서도 나타낸다. 표 1에 있어서, 「T1」은 테이크오프 위치 P1에 있어서의 유리 리본 폭 방향 중앙의 온도, 「T2」은 최상류의 리프트아웃 롤과의 접촉 위치 P2에 있어서의 유리 리본 폭 방향 중앙의 온도를 의미한다. 또한, 유리 리본 G의 평탄부 내에서의 온도차는 평탄부와 양쪽 측연부의 온도차(온도 불균일)에 비교하면 작기 때문에, 유리 리본 G의 평탄부의 온도는 유리 리본 폭 방향 중앙의 온도로 대표하였다.
Figure pct00001
표 1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는, 인터페이스 장치가 냉각 부재의 냉복사를 차단하는 단열 부재를 갖기 때문에, 테이크오프 위치 P1부터 접촉 위치 P2까지의 사이에 있어서의 유리 리본 폭 방향 중앙의 온도 변화 폭이 40℃ 이하였다. 그 결과, 유리 리본에 깨짐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는, 인터페이스 장치가 최상류의 리프트아웃 롤의 중심선보다도 상류에 히터를 갖기 때문에, 상기 온도 변화 폭이 30℃ 이하였다. 그 결과, 유리 리본에 깨짐은 발생하지 않고, 주름 등이 미세한 변형도 없었다
또한, 단열 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한 조건에서 플로트 유리를 성형하고자 한 경우, 테이크오프 위치 P1부터 접촉 위치 P2까지의 사이에 유리 리본이 깨질 가능성이 매우 높아, 그러한 조건에서 유리 리본을 제조하는 것은 어렵다.
이상,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의 실시 형태 등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 등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 개량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의 단열 부재(37)는 냉각 부재(36)와 접촉하지만, 냉각 부재(36)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해도 된다.
본 출원은, 2013년 12월 18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3-260798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일본 특허 출원 제2013-260798호의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10: 성형 장치
11: 욕조
11a: 하류 단부
12: 금속 케이싱
13: 벽돌층
20: 서냉 장치
30: 인터페이스 장치
31: 드로스 박스
32: 실링
33-1 내지 33-3: 리프트아웃 롤
36: 냉각 부재
37: 단열 부재
38-1 내지 38-8: 히터
G: 유리 리본
M: 용융 금속

Claims (7)

  1. 욕조 내의 용융 금속 상에 있어서 판형의 유리 리본을 성형하는 성형 장치와,
    상기 유리 리본을 서냉하는 서냉 장치와,
    상기 성형 장치와 상기 서냉 장치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용융 금속으로부터 상기 유리 리본을 인상함과 함께 상기 서냉 장치를 향하여 반송하는 리프트아웃 롤과,
    상기 욕조의 하류 단부를 냉각하는 냉각 부재와,
    상기 냉각 부재에 의한 상기 유리 리본의 냉복사를 차단하는 단열 부재를 갖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유리 리본을 가열하는 히터를 갖고,
    상기 히터 중 적어도 1개가, 최상류의 리프트아웃 롤의 중심선보다도 상류에 배치되는,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플로트 유리를 제조하는,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리본이 상기 용융 금속으로부터 이격되는 테이크오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 중앙의 점도가 1010. 7dPa·s 내지 1012.3dPa·s인,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리본이 상기 용융 금속으로부터 이격되는 테이크오프 위치로부터, 상기 유리 리본이 최상류의 리프트아웃 롤과 접촉하는 접촉 위치까지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 중앙의 온도 변화 폭이 40℃ 이하인,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리본이 상기 용융 금속으로부터 이격되는 테이크오프 위치로부터, 상기 유리 리본이 최상류의 리프트아웃 롤과 접촉하는 접촉 위치까지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유리 리본의 폭 방향 중앙의 온도 변화 폭이 30℃ 이하인,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조되는 플로트 유리의 판 두께가 0.8mm 이하인,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KR1020167006739A 2013-12-18 2014-12-15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KR201600981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60798A JP2017030978A (ja) 2013-12-18 2013-12-18 フロートガラス製造装置、およびフロートガラス製造方法
JPJP-P-2013-260798 2013-12-18
PCT/JP2014/083120 WO2015093432A1 (ja) 2013-12-18 2014-12-15 フロートガラス製造装置、およびフロートガラス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163A true KR20160098163A (ko) 2016-08-18

Family

ID=53402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6739A KR20160098163A (ko) 2013-12-18 2014-12-15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7030978A (ko)
KR (1) KR20160098163A (ko)
CN (1) CN105612130A (ko)
WO (1) WO20150934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524A (ko) * 2019-06-28 2021-0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판유리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614954D0 (en) 2016-09-02 2016-10-19 Pilkington Group Ltd Float boath exit seal
JP2018127393A (ja) * 2017-02-09 2018-08-16 Agc株式会社 フロートガラス製造装置、およびフロートガラス製造方法
CN112119044B (zh) * 2018-05-17 2022-08-30 Agc株式会社 浮法玻璃制造装置和浮法玻璃制造方法
CN110862219B (zh) * 2019-12-28 2024-05-14 蚌埠中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浮法玻璃锡槽断板提升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7831A (ja) 1993-02-05 1994-08-16 Asahi Glass Co Ltd フロートガラス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77978A2 (fr) * 1976-04-23 1978-08-18 Saint Gobain Dispositif d'extraction d'un ruban de verre a la sortie d'un four de flottage
JPS59128222A (ja) * 1983-01-12 1984-07-24 Nippon Sheet Glass Co Ltd フロ−ト式板ガラス製造装置
DE10209742A1 (de) * 2002-03-06 2003-09-18 Schott Glas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loatglas
CN102056851A (zh) * 2008-06-06 2011-05-11 旭硝子株式会社 平板玻璃的制造装置及平板玻璃的制造方法
CN103221352B (zh) * 2010-11-18 2015-07-29 旭硝子株式会社 玻璃板的制造装置及玻璃板的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7831A (ja) 1993-02-05 1994-08-16 Asahi Glass Co Ltd フロートガラス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524A (ko) * 2019-06-28 2021-0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판유리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30978A (ja) 2017-02-09
WO2015093432A1 (ja) 2015-06-25
CN105612130A (zh)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984B1 (ko)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설비
JP5428288B2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製造設備
KR20160098163A (ko)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KR101223395B1 (ko) 유리판의 제조 장치 및 유리판의 제조 방법
TWI716561B (zh) 無鹼玻璃基板及無鹼玻璃基板之製造方法
CN103108840B (zh) 玻璃板的制造方法及玻璃板的制造装置
JP5752787B2 (ja)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成形装置
JP6144740B2 (ja) ディスプレイ用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KR20130050936A (ko) 글라스판의 제조 방법 및 글라스판 제조 장치
KR20150095213A (ko)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WO2009081740A1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製造設備
JP5848329B2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板製造装置
JP6675849B2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板の製造装置
JP2015105216A (ja) フロートガラス製造装置、およびフロートガラス製造方法
JP2013139342A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
WO2005063635A1 (ja) フロートバスおよびフロート成形方法
JP6498546B2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および、熔解槽
JP6577215B2 (ja)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KR101944563B1 (ko) 플로트 유리 제조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플로트 유리 제조 방법
TWI454435B (zh) Glass plate manufacturing method
JP2014214062A (ja) ガラス板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板製造装置
JP6429185B2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板の製造装置
WO2009081741A1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製造設備
JP2016011235A (ja)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JP6498547B2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板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