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7530A - 필터 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필터 청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7530A
KR20160097530A KR1020150019303A KR20150019303A KR20160097530A KR 20160097530 A KR20160097530 A KR 20160097530A KR 1020150019303 A KR1020150019303 A KR 1020150019303A KR 20150019303 A KR20150019303 A KR 20150019303A KR 20160097530 A KR20160097530 A KR 20160097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unit
dust
guide groov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3165B1 (ko
Inventor
강완구
박찬영
박현욱
이건희
이제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9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165B1/ko
Priority to EP16154321.0A priority patent/EP3056255B1/en
Priority to ES16154321T priority patent/ES2713237T3/es
Priority to US15/019,535 priority patent/US9943164B2/en
Publication of KR20160097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D46/00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B01D46/005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5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involving cleaning of the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5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involving cleaning of the cleaning members
    • B08B1/54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involving cleaning of the cleaning members using mechanical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등에 사용되는 필터에서 먼지를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필터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청소 장치는, 필터, 필터의 일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필터로부터 먼지를 분리시키는 브러시 유닛, 브러시 유닛이 필터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브러시 이동 유닛 및 브러시 유닛의 양측에 설치되고, 브러시 유닛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브러시 가이드를 포함하고, 브러시 가이드는 브러시 유닛이 필터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제1 가이드 홈 및 브러시 유닛이 필터에 이격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제2 가이드 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필터 청소 장치{FILTER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등에 사용되는 필터에서 먼지를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필터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열교환이 진행되고,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유출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에는 일반적으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필터가 마련된다. 또한 공기조화기 외에도 제습기, 가습기 등에도 내부에 필터가 제공된다.
필터가 포함된 공기조화기 등이 계속적으로 구동되면, 외부 공기가 계속적으로 필터를 통과하면서 필터에 이물질이 쌓여 공기의 유입을 방해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청소하는 청소 장치가 제공된다.
청소 장치는 브러시가 계속적으로 필터에 부착된 먼지를 분리시키도록 구성되나, 브러시가 계속적으로 동작되면 브러시에 먼지가 부착되어 필터 청소의 효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필터의 청소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필터 청소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이동 방향에 따라 필터에 접촉되거나 필터로부터 이격되어 이동되도록 구성된 필터 청소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필터의 먼지를 제거하는 브러시에 부착된 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진 필터 청소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필터의 먼지를 제거하는 브러시에서 분리된 먼지가 외부로 이동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필터 청소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청소 장치는, 필터, 필터의 일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필터로부터 먼지를 분리시키는 브러시 유닛, 상기 브러시 유닛이 상기 필터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브러시 이동 유닛 및 상기 브러시 유닛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브러시 유닛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브러시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 가이드는 상기 브러시 유닛이 상기 필터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브러시 유닛이 상기 필터에 이격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제2 가이드 홈을 포함한다.
상기 브러시 가이드는 상기 브러시 이동 유닛이 상기 제1 가이드 홈과 상기 제2 가이드 홈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제1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부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이 상기 제2 가이드 홈보다 높게 단차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시 가이드는 상기 제1 이동부의 반대편에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 이동 유닛이 상기 제1 가이드 홈과 상기 제2 가이드 홈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제2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부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이 상기 제2 가이드 홈보다 낮게 단차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시 유닛은 브러시 바디, 상기 브러시 바디에서 상기 필터를 향하여 설치된 브러시, 상기 브러시 바디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홈과 상기 제2 가이드 홈의 내측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브러시 바디 사이에 설치되는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시 유닛은 상기 브러시 바디와 결합되는 제1 영역과, 상기 브러시 이동 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결합 하우징,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브러시 바디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브러시 바디의 일측에 접촉되어 배치된 간격 조절 부재 및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간격 조절 부재의 반대측에서 상기 브러시 바디와 상기 결합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절 부재는 제1 두께를 가지는 제1 조절부 및 상기 제1 두께보다 두껍게 마련된 제2 두께를 가지는 제2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시 이동 유닛은 상기 브러시 유닛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평행하게 형성된 렉기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렉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면서 상기 샤프트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웜기어 및 상기 샤프트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웜기어는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브러시 유닛과 함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필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브러시에 부착된 먼지를 분리시키도록 마련된 먼지 분리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먼지 분리 부재는 상기 브러시 바디와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 바디, 상기 회전 바디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 및 상기 회전 바디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브러시에 부착된 먼지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 바디의 외측면에 형성된 먼지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 분리부는 나선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시로부터 분리된 먼지를 이동시키는 먼지 배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먼지 배출 유닛은 상기 먼지 분리부와 상기 브러시의 하방에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로부터 분리된 먼지가 유입되는 먼지 유입부를 가지는 석션 케이스, 상기 석션 케이스에 전달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석션 모터 및 상기 먼지 유입부를 개폐시키는 석션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 배출 유닛은 상기 브러시 이동 유닛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석션 커버와 마주하는 측면에 형성된 제1 기어부가 형성된 커버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석션 커버는 상기 제1 기어부와 맞물릴 수 있도록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조절부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이동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커버 조절부는 상기 브러시 유닛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브러시 유닛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면서 상기 먼지 유입부가 오픈되도록 상기 석션 커버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먼지 배출 유닛은 상기 커버 조절부의 일측에 설치된 복원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원 부재는 상기 커버 조절부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청소 장치는, 필터, 필터의 일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필터로부터 먼지를 분리시키는 브러시 유닛, 상기 브러시 유닛이 상기 필터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브러시 이동 유닛 및 상기 필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브러시 유닛에 부착된 먼지를 분리시키도록 마련된 먼지 분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 분리 부재는 상기 브러시 유닛과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 바디, 상기 회전 바디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 및 상기 회전 바디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브러시 유닛에 부착된 먼지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 바디의 외측면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먼지 분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브러시로부터 분리된 먼지를 이동시키는 먼지 배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먼지 배출 유닛은 상기 먼지 분리부와 상기 브러시 유닛의 하방에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먼지가 유입되는 먼지 유입부를 가지는 석션 케이스, 상기 석션 케이스에 전달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석션 모터 및 상기 먼지 유입부를 개폐시키는 석션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 배출 유닛은 상기 브러시 이동 유닛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석션 커버와 마주하는 측면에 형성된 제1 기어부가 형성된 커버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석션 케이스는 상기 제1 기어부와 맞물릴 수 있도록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조절부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이동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커버 조절부는 상기 브러시 유닛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브러시 유닛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면서 상기 먼지 유입부가 오픈되도록 상기 석션 커버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먼지 배출 유닛은 상기 커버 조절부의 일측에 설치된 복원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원 부재는 상기 커버 조절부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상기 브러시 유닛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브러시 유닛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브러시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 가이드는 상기 브러시 유닛이 상기 필터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브러시 유닛이 상기 필터에 이격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제2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시 가이드는 상기 브러시 이동 유닛이 상기 제1 가이드 홈과 상기 제2 가이드 홈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제1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부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이 상기 제2 가이드 홈보다 높게 단차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시 가이드는 상기 제1 이동부의 반대편에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 이동 유닛이 상기 제1 가이드 홈과 상기 제2 가이드 홈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제2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부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이 상기 제2 가이드 홈보다 낮게 단차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시 유닛은 브러시 바디, 상기 브러시 바디에서 상기 필터를 향하여 설치된 브러시, 상기 브러시 바디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홈과 상기 제2 가이드 홈의 내측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브러시 바디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의하면, 필터의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 청소 장치는 필터의 먼지를 분리시키는 브러시를 이동 경로에 따라 필터에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먼지 분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먼지 분리 부재를 나선형으로 형성하여 브러시에 부착된 먼지를 효율적으로 분리시키고, 분리된 먼지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석션 케이스가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분리된 먼지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청소 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필터 청소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필터 청소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필터 청소 장치의 브러시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필터 청소 장치의 브러시 유닛과 브러시 가이드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필터 청소 장치의 브러시 유닛, 브러시 이동 유닛 및 먼지 배출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브러시 유닛, 브러시 이동 유닛 및 먼지 배출 유닛의 반대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필터 청소 장치의 브러시 가이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브러시 가이드의 종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필터 청소 장치의 브러시 유닛이 브러시 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경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B 영역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필터 청소 장치의 먼지 분리 부재와 먼지 배출 유닛을 전방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의 필터 청소 장치의 브러시 유닛과 먼지 분리 부재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의 필터 청소 장치에서 브러시 유닛의 먼지가 분리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청소 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필터 청소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필터 청소 장치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18의 필터 청소 장치의 브러시 유닛과 브러시 이동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8의 필터 청소 장치의 브러시 가이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18의 필터 청소 장치에서 브러시 유닛이 브러시 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경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의 A'영역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23의 B'영역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6은 도 18의 필터 청소 장치의 먼지 분리 부재와 먼지 배출 유닛을 전방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7 및 도 28은 도 18의 필터 청소 장치에서 브러시 유닛의 먼지가 분리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청소 장치(1)는 필터가 포함된 공기조화기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필터 청소 장치(1)는 공기조화기 외에도 내부에 필터가 포함되는 제습기, 가습기 등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공기조화기와 같이 필터를 포함하는 장치에 필터 청소 장치(1)가 설치된 것으로 가정하고 필터 청소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청소 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필터 청소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필터 청소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필터 청소 장치(1)는 필터(10)와 브러시 유닛(20) 그리고 브러시 이동 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10)는 공기조화기 등과 같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제품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필터(10)가 프레임(1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공기조화기 등의 내부에 실제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프레임(11) 없이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10)는 공기조화기 외에도 가습기, 제습기 등의 전자제품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필터(10)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필터(10)가 설치되는 제품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필터 청소 장치의 브러시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필터 청소 장치의 브러시 유닛과 브러시 가이드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 유닛(20)은 브러시 바디(21)와 브러시(22)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22)는 브러시 바디(21)의 일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브러시(22)는 브러시 바디(21)에서 필터(10)에 마주하는 측면에 형성되어, 필터(10)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22)는 필터(10)와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필터(10)에 부착된 먼지를 분리시킬 수 있다.
브러시 바디(21)는 필터(10)의 일측의 길이와 상응하는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브러시 바디(21)는 브러시 이동 유닛(30)에 의하여 이동되면서 필터(10)의 전 영역과 브러시(22)가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 유닛(20)은 결합 하우징(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하우징(25)을 브러시 바디(21)와 결합되는 제1 영역(25a)과, 브러시 이동 유닛(30)과 결합되는 제2 영역(25b)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하우징(25)은 브러시 바디(21)의 중앙부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결합 하우징(25)은 제1 영역(25a)과 제2 영역(25b)이 형성된 몸체부(25c)와 몸체부(25c)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 커버(25d)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필터 청소 장치의 브러시 유닛, 브러시 이동 유닛 및 먼지 배출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브러시 유닛, 브러시 이동 유닛 및 먼지 배출 유닛의 반대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브러시 이동 유닛(30)은 필터(10)를 따라 브러시 바디(2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브러시 이동 유닛(30)은 샤프트(31), 렉기어(32), 웜기어(33) 및 구동 부재(35)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31)는 브러시 유닛(20)의 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31)는 브러시 유닛(20)이 필터(10)를 따라 이동되도록 필터(1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31)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샤프트(31)는 구동 부재(35)와 연결되어 구동 부재(3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렉기어(32)는 샤프트(3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렉기어(32)는 샤프트(31)와 마주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렉기어(32)는 샤프트(31)와 마주하는 면에 기어부(32a)가 형성될 수 있다. 렉기어(32)는 기어부(32a)가 마련된 양 측면에 후술하는 커버 조절부(63)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렉기어 가이드 홈(32b)이 형성될 수 있다.
웜기어(33)는 샤프트(31)를 따라 이동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웜기어(33)는 중공(33a)을 가지고 측면에는 기어(33b)가 형성될 수 있다. 웜기어(33)는 중공(33a)에 샤프트(31)와 함께 회전되고, 샤프트(31)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웜기어(33)는 기어(33b)가 렉기어(32)의 기어부(32a)와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웜기어(33)는 샤프트(31)와 함께 회전되면서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샤프트(31)의 양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웜기어(33)는 결합 하우징(25)의 제2 영역(25b)에 배치될 수 있다. 웜기어(33)는 제2 영역(25b)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이로 인하여 브러시 유닛(20)과 함께 샤프트(31)의 양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동 부재(35)는 샤프트(31)의 일측과 연결되어 샤프트(31)로 전달되는 회전력을 생성한다. 구동 부재(35)에서 발생된 회전력은 샤프트(31)로 전달되고, 샤프트(31)와 함께 회전되는 웜기어(33)가 렉기어(32)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필터 청소 장치의 브러시 가이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브러시 가이드의 종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1의 필터 청소 장치의 브러시 유닛이 브러시 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경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10의 B 영역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필터 청소 장치(1)는 브러시 가이드(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 가이드(40)는 브러시 유닛(20)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브러시 가이드(40)는 브러시 유닛(20)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브러시 가이드(40a)와 제2 브러시 가이드(40b)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 가이드(40)는 브러시 유닛(20)의 양측면의 이동 경로를 각각 가이드하여 브러시 유닛(20)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브러시 가이드(40)는 제1 가이드 홈(41)과 제2 가이드 홈(4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41)은 제2 가이드 홈(43)보다 필터(10)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41)은 필터(10)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41)은 브러시(22)가 필터(10)와 접촉된 상태로 브러시 유닛(20)이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홈(43)은 제1 가이드 홈(41)과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홈(43)은 제1 가이드 홈(41)보다 필터(10)와의 거리가 멀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홈(43)은 브러시(22)가 필터(10)와 이격된 상태로 브러시 유닛(20)이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 가이드(40)는 제1 이동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부(45)는 브러시 유닛(20)이 제1 가이드 홈(41)에서 제2 가이드 홈(43)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41)과 제2 가이드 홈(43)은 격벽으로 구분되어 있으나, 제1 이동부(45)에서는 브러시 유닛(20)이 제1 가이드 홈(41)과 제2 가이드 홈(43)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부(45)는 제1 가이드 홈(41)의 저면(41a)이 제2 가이드 홈(43)의 저면(43a)보다 높게 단차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후술하는 브러시 유닛(20)의 슬라이드 부재(23)가 제1 가이드 홈(41)에서 제2 가이드 홈(43)으로 이동 가능하나, 제2 가이드 홈(43)에서 제1 가이드 홈(41)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브러시 유닛(20)의 구동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브러시 가이드(40)는 제2 이동부(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동부(47)는 브러시 유닛(20)이 제2 가이드 홈(43)에서 제2 가이드 홈(41)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이동부(47)는 브러시 가이드(40)에서 제1 이동부(45)의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이동부(47)는 제1 이동부(45)와 유사하게 이 제1 가이드 홈(41)과 제2 가이드 홈(43)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동부(47)는 제1 가이드 홈(41)의 저면(41a)이 제2 가이드 홈(43)의 저면(43a)보다 낮게 단차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후술하는 브러시 유닛(20)의 슬라이드 부재(23)가 제2 가이드 홈(43)에서 제1 가이드 홈(41)으로 이동 가능하나, 제1 가이드 홈(41)에서 제2 가이드 홈(43)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홈(41)과 제2 가이드 홈(43)은 위치에따라 그 저면(41a, 43a)의 높이가 달라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이동부(45)와 제2 이동부(47)에서 제1 가이드 홈(41)과 제2 가이드 홈(43)의 높이가 상이하게 단차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 유닛(20)은 슬라이드 부재(23)와 제1 탄성 부재(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부재(23)는 브러시 바디(2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 부재(23)는 일측이 브러시 바디(21)에 결합되고, 타측은 브러시 가이드(40)의 제1 가이드 홈(41) 또는 제2 가이드 홈(43)의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24)는 브러시 바디(21)와 슬라이드 부재(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탄성 부재(24)는 슬라이드 부재(23)가 제1 가이드 홈(41) 또는 제2 가이드 홈(43)의 내측에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홈(41)과 제2 가이드 홈(43)은 바닥면의 높이가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마련되므로, 제1 탄성 부재(24)는 슬라이드 부재(23)가 제1 가이드 홈(41) 또는 제2 가이드 홈(43)의 내측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부(45)에서는 제1 가이드 홈(41)의 저면(41a)이 제2 가이드 홈(43)의 저면(43a)보다 높게 형성되므로, 슬라이드 부재(23)는 제1 가이드 홈(41)에서 제2 가이드 홈(43)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드 부재(23)는 제1 탄성 부재(24)로 인하여 제1 이동부(45)에서 제2 가이드 홈(43)보다 높은 제1 가이드 홈(41)으로 이동될 수 없다. 따라서, 슬라이드 부재(23)는 제1 가이드 홈(41)을 따라 제1 이동부(45)로 이동되고, 제1 이동부(45)에서 제2 가이드 홈(43)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에는 제2 가이드 홈(43)을 따라 제2 이동부(47)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동부(47)에서는 제1 가이드 홈(41)의 저면(41a)이 제2 가이드 홈(43)의 저면(43a)보다 낮게 형성되므로, 슬라이드 부재(23)는 제2 가이드 홈(43) 에서 제1 가이드 홈(41)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드 부재(23)는 제2 가이드 홈(43)을 따라 제2 이동부(47)로 이동되고, 제2 이동부(47)에서 제1 가이드 홈(41)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에는 제1 가이드 홈(41)을 따라 제1 이동부(45)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 유닛(20)은 간격 조절 부재(26)와 제2 탄성 부재(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격 조절 부재(26)는 브러시 바디(21)가 필터(10)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간격 조절 부재(26)는 결합 하우징(25)의 제1 영역(25a)에 배치될 수 있다. 간격 조절 부재(26)는 브러시 바디(21)와 결합 하우징(25) 사이에 배치되어 브러시 바디(21)와 필터(1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간격 조절 부재(26)는 제1 조절부(26a)와 제2 조절부(2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부(26a)는 제1 두께를 가지고, 제2 조절부(26b)는 제2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조절부(26b)의 제2 두께는 제1 조절부(26a)의 제1 두께보다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 간격 조절 부재(26)는 제2 조절부(26b)가 브러시 바디(21)와 결합 하우징(25) 사이에 배치되면, 브러시(22)가 필터(10)에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간격 조절 부재(26)는 결합 하우징(25)의 제1 영역(25a)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간격 조절 부재(26)는 브러시 바디(21)와 결합 하우징(25) 사이에 제1 조절부(26a) 또는 제2 조절부(26b)가 위치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간격 조절 부재(26)는 브러시 가이드(40)와 함께 브러시 유닛(20)과 필터(10)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간격 조절 부재(26)는 브러시 유닛(20)의 중앙 영역에서 필터(10)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조절 부재(26)는 커버 조절부(63)와의 충돌로 인하여 그 위치가 변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간격 조절 부재(26)는 커버 조절부(63)와 충돌되면서 브러시 바디(21)와 결합 하우징(25)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조절부(26b)가 제1 조절부(26a)로 변경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브러시 유닛(20)과 필터(10)와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브러시 바디(21)와 결합 하우징(25) 사이에 제1 조절부(26a)가 위치하면 브러시(22)가 필터(1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브러시 바디(21)와 결합 하우징(25) 사이에 제1 조절부(26a)가 위치하면 슬라이드 부재(23)는 제2 가이드 홈(43)에 위치할 수 있다. 브러시 바디(21)와 결합 하우징(25) 사이에 제2 조절부(26b)가 위치하면, 브러시(22)가 필터(10)에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브러시 바디(21)와 결합 하우징(25) 사이에 제2 조절부(26b)가 위치하면, 슬라이드 부재(23)는 제1 가이드 홈(41)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27)는 결합 하우징(25)의 제1 영역(25a)에서 간격 조절 부재(26)와 결합 하우징(2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27)는 브러시 바디(21)를 중심으로 간격 조절 부재(26)와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27)는 브러시 바디(21)가 간격 조절 부재(26)와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27)는 간격 조절 부재(26)가 이동되는 경우에도 브러시 바디(21)가 간격 조절 부재(26)와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인하여, 필터 청소 부재(1)는 브러시 유닛(20)이 필터(10)에 접촉된 상태로 일방으로 이동되면서 필터(10)에 부착된 먼지를 필터로부터 분리시킨다. 이후 브러시 유닛(20)이 필터(10)에 이격된 상태로 타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 청소 부재(1)는 필터(10)를 청소한 브러시 유닛(20)이 필터(10)와 이격시켜 브러시(22)에 이물질이 붙은 상태에서 필터(10)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필터(10)의 재오염을 방지하고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10)와 브러시(22) 사이의 불필요한 마찰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도 1의 필터 청소 장치의 먼지 분리 부재와 먼지 배출 유닛을 전방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의 필터 청소 장치의 브러시 유닛과 먼지 분리 부재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의 필터 청소 장치에서 브러시 유닛의 먼지가 분리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필터 청소 장치(1)는 먼지 분리 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지 분리 부재(50)는 브러시 유닛(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먼지 분리 부재(50)는 필터(10)의 하부에서 브러시 유닛(20)의 브러시(22)가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먼지 분리 부재(50)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먼지 분리 부재(50)는 회전되면서 브러시(22)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시킬 수 있다.
먼지 분리 부재(50)는 회전 바디(51), 먼지 분리부(52) 및 모터(5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바디(51)는 필터(10)의 일측면과 평행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회전 바디(51)는 필터(10)의 일측면과 동일한 길이로 마련된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회전 바디(51)는 모터(5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회전 바디(51)는 길이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먼지 분리부(52)는 회전 바디(51)의 회전축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먼지 분리부(52)는 회전 바디(51)의 회전으로 인하여 회전되면서 브러시(22)에 부착된 먼지를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분리부(52)는 회전 바디(51)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먼지 분리부(52)는 회전되면서 브러시(22)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접촉되면서 먼지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브러시(22)에 부착된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먼지 분리부(52)는 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먼지 분리부(52)는 브러시 유닛(20)과 동일한 브러시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필터 청소 장치(1)는 먼지 배출 유닛(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지 배출 유닛(60)은 먼지 분리부(52)가 브러시 유닛(20)에서 분리시킨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먼지 배출 유닛(60)은 석션 케이스(61), 석션 커버(62), 커버 조절부(63), 복원 부재(64) 및 석션 모터(6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배출 유닛(60)은 프레임(11)과 프레임 커버(13)가 형성하는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석션 케이스(61)는 먼지 분리 부재(50)와 브러시 유닛(2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석션 케이스(61)는 상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석션 케이스(61)는 브러시(22)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질 상부의 개구로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석션 커버(62)는 석션 케이스(61)에 결합되어 내부 공간(66)을 형성할 수 있다. 석션 커버(62)과 석션 케이스(61)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66)의 일측에는 석션 홀(61a)이 형성될 수 있다. 석션 홀(61a)은 석션 케이스(61)의 내부 공간(66)으로 이동된 이물질이 석션 케이스(61) 외부로 이동되는 통로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석션 커버(62)는 석션 케이스(61)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석션 커버(62)는 석션 케이스(61)를 따라 회전되면서 내부 공간(66)을 개방하거나 폐쇄시킬 수 있다.
커버 조절부(63)는 렉기어(32)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커버 조절부(63)는 렉기어(32)의 렉기어 가이드 홈(32b)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커버 조절부(63)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브러시 유닛(20)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조절부(63)는 브러시 유닛(20)이 이동되면서 충돌될 수 있도록 브러시 유닛(20)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커버 조절부(63)는 브러시 유닛(20)과의 충돌로 인하여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커버 조절부(63)는 제1 기어부(63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어부(63a)는 석션 커버(62)의 일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어부(63a)는 석션 커버(62)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2 기어부(62a)와 맞물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커버 조절부(63)는 그 위치가 이동되면서 석션 커버(62)를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커버 조절부(63)는 그 위치가 이동되면서 석션 커버(62)가 석션 케이스(61)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 조절부(63)는 하부에 복원 부재(64)가 설치될 수 있다. 복원 부재(64)는 커버 조절부(63)를 중심으로 브러시 유닛(20)과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조절부(63)는 복원 부재(64)로 인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위치는 커버 조절부(63)와 브러시 유닛(20)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커버 조절부(63)의 위치이고, 제2 위치는 브러시 유닛(20)과의 충돌로 인하여 커버 조절부(63)가 최대 범위로 이동된 위치로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조절부(63)는 브러시 유닛(20)과의 충돌로 인하여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커버 조절부(63)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되면서 석션 커버(62)가 석션 케이스(61)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브러시 유닛(20)이 먼지 분리 부재(50)와 접촉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되면, 브러시 유닛(20)이 커버 조절부(63)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키고, 커버 조절부(63)는 석션 커버(62)가 석션 케이스(61)를 개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버 조절부(63)는 브러시 유닛(20)이 필터(10)와 이격되어 상부로 이동되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커버 조절부(63)는 브러시 유닛(20)과 분리되면서 복원 부재(64)로 인하여 제1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석션 커버(62)가 석션 케이스(61)를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먼지 배출 유닛(60)은 브러시 유닛(20)의 이동에 따라 석션 커버(62)가 석션 케이스(61)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브러시(22)가 먼지 분리 부재(50)의 근처로 이동되어 이물질이 분리되는 경우에는 따라 석션 커버(62)가 석션 케이스(61)를 개방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석션 커버(62)가 석션 케이스(61)를 개방한 상태에서 먼지 분리 부재(50)는 브러시(22)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시키고, 이로 인하여 분리된 이물질은 개방된 석션 케이스(61)의 내부 공간(66)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브러시(22)가 이물질이 분리된 상태로 필터(10)에서 이격되어 이동되는 경우에는 석션 커버(62)가 석션 케이스(61)의 개구를 닫도록 이동되어 내부 공간(66)을 형성할 수 있다. 내부 공간(66)에 이동된 이물질들은 석션홀(61a)에 연결된 석션 모터(65)에서 전달되는 흡입력에 의해 석션홀(61a)을 통하여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청소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청소 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9는 도 18의 필터 청소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8의 필터 청소 장치의 횡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1은 도 18의 필터 청소 장치의 브러시 유닛과 브러시 이동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18의 필터 청소 장치의 브러시 가이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3은 도 18의 필터 청소 장치에서 브러시 유닛이 브러시 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경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4는 도 23의 A'영역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5는 도 23의 B'영역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필터 청소 장치(100)는 필터(110), 브러시 유닛(120), 브러시 이동 유닛(130) 및 브러시 가이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 유닛(120), 브러시 이동 유닛(130) 및 브러시 가이드(140)는 도 1에 도시된 필터 청소 장치(1)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고, 일부 구성이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필터 청소 장치(1)와 비교하여 필터 청소 장치(10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 유닛(120)은 브러시 바디(121), 브러시(122), 슬라이드 부재(123), 탄성 부재(124) 및 제1 샤프트(125)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부재(123)는 일측이 브러시 바디(121)와 연결되고, 타측이 브러시 가이드(140)를 따라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드 부재(123)는 브러시 가이드(140)에 형성된 제1 가이드 홈(141)과 제2 가이드 홈(143)의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탄성 부재(124)는 브러시 바디(121)와 슬라이드 부재(1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124)는 슬라이드 부재(123)가 제1 가이드 홈(141) 또는 제2 가이드 홈(143)의 내측에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브러시 가이드(140)의 제1 가이드 홈(141)과 제2 가이드 홈(143)은 바닥면의 높이가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마련되므로, 제1 탄성 부재(124)는 슬라이드 부재(123)가 제1 가이드 홈(141) 또는 제2 가이드 홈(143)의 내측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샤프트(125)는 브러시 바디(121)와 평행한 상태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샤프트(125)는 브러시 바디(12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샤프트(125)는 브러시 바디(121)와 함께 필터(110)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 샤프트(125)는 브러시 바디(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샤프트(125)는 양단에 후술하는 브러시 이동 유닛(130)의 승강 기어(135)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샤프트(125)는 브러시 이동 유닛(130)에서 전달받은 회전력으로 인하여 승강 기어(135)와 함께 회전되면서 필터(110)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브러시 이동 유닛(130)은 필터(110)를 따라 브러시 유닛(120)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브러시 이동 유닛(130)은 제2 샤프트(131), 렉기어(132), 웜기어(133), 웜휠기어(134), 승강 기어(135), 결합 하우징(137) 및 구동 부재(139)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샤프트(131)는 브러시 바디(121)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샤프트(131)는 구동 부재(139)와 연결되어 구동 부재(139)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2 샤프트(131)는 전달된 회전력을 렉기어(132), 웜기어(133) 및 웜휠기어(134)를 통하여 제1 샤프트(125)로 전달할 수 있다.
렉기어(132)는 브러시 바디(121)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렉기어(132)는 필터(11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렉기어(132)는 제1 샤프트(125)에 결합된 승강 기어(135)와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렉기어(132)는 승강 기어(135)의 회전으로 인하여 제1 샤프트(125)와 결합된 브러시 유닛(120)이 함께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웜기어(133)는 제2 샤프트(131)를 따라 이동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웜기어(133)는 제2 샤프트(131)와 함께 회전되고, 제2 샤프트(131)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웜기어(133)는 렉기어(132)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웜기어(133)는 제2 샤프트(131)와 함께 회전되면서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제2 샤프트(131)의 양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웜기어(133)는 결합 하우징(137)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 하우징(137)은 상면이 개방된 형상의 몸체(137a)와 몸체(137a)의 상면에 결합되는 커버(137b)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37a)와 커버(137b)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웜기어(133)가 배치될 수 있다.
결합 하우징(137)의 내부 공간에는 웜기어(133)와 맞물리도록 웜휠기어(134)가 마련될 수 있다. 웜휠기어(134)는 기어부가 웜기어(133)와 맞물리고, 회전축이 제1 샤프트(125)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웜휠기어(134)는 제2 샤프트(131)의 회전력을 웜기어(133)를 통해 전달받아 제1 샤프트(125)로 전달할 수 있다. 웜휠기어(134)는 제2 샤프트(131)의 회전력을 제2 샤프트(131)와 수직한 위치에 배치된 제1 샤프트(125)에 전달하여 제1 샤프트(125)가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승강 기어(135)는 제1 샤프트(125)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승강 기어(135)는 웜휠기어(134)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승강 기어(135)는 웜휠기어(134) 및 제1 샤프트(125)와 함께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승강 기어(135)는 렉기어(132)와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렉기어(132)를 따라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승강 기어(135)와 결합된 제1 샤프트(125)를 포함한 브러시 유닛(120)이 렉기어(132)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브러시 가이드(140)는 브러시 유닛(120)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브러시 가이드(140)는 브러시 유닛(120)의 양측면의 이동 경로를 각각 가이드하여 브러시 유닛(120)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브러시 가이드(140)는 슬라이드 부재(123)
브러시 가이드(140)는 제1 가이드 홈(141), 제2 가이드 홈(143), 제1 이동부(145) 및 제2 이동부(147)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141), 제2 가이드 홈(143), 제1 이동부(145) 및 제2 이동부(147)는 도 1의 필터 청소 장치(1)의 제1 가이드 홈(41), 제2 가이드 홈(43), 제1 이동부(45) 및 제2 이동부(47)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브러시 가이드(140)는 제1 가이드 홈(141), 제2 가이드 홈(143), 제1 이동부(145) 및 제2 이동부(147)에서 슬라이드 부재(123)가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브러시 가이드(140)는 렉기어(132)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브러시 가이드(140)는 슬라이드 부재(123)를 가이드하고, 렉기어(132)는 제1 샤프트(125)를 가이드하여, 제1 샤프트(125)와 슬라이드 부재(123)가 결합된 브러시 유닛(120)이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123)가 제1 가이드 홈(41)을 따라 이동되는 경우에는 브러시 유닛(120)이 브러시(122)가 필터(110)에 접촉되어 필터(110)를 청소하면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드 부재(123)가 제1 이동부(45)를 통해 제2 가이드 홈(43)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부재(123)가 필터(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나 제1 샤프트(125)는 필터(110)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브러시 유닛(120)이 회전될 수 있다.
브러시 유닛(120)이 회전되면서 브러시(122)가 필터(11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슬라이드 부재(123)가 제2 가이드 홈(143)에서 이동되는 경우에는 브러시 유닛(120)이 회전되어 브러시(122)가 필터(110)로부터 이격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6은 도 18의 필터 청소 장치의 먼지 분리 부재와 먼지 배출 유닛을 전방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27 및 도 28은 도 18의 필터 청소 장치에서 브러시 유닛의 먼지가 분리되는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필터 청소 장치(100)는 먼지 분리 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지 분리 부재(150)는 회전 바디(151), 먼지 분리부(152) 및 제1 모터(155)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 분리 부재(150)는 도 1의 먼지 분리 부재(50)와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필터 청소 장치(100)는 먼지 배출 유닛(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지 배출 유닛(160)은 석션 케이스(161), 먼지 배출 부재(163), 제2 모터(165) 및 배출구(167)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청소 장치(100)는 도 1의 먼지 배출 유닛(60)과 비교하면, 석션 커버(62), 커버 조절부(63) 및 복원 부재(64) 대신에 먼지 배출 부재(16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먼지 배출 부재(163)는 먼지 분리 부재(15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먼지 배출 부재(163)는 제2 모터(165)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먼지 배출 부재(163)는 회전축(163a)과 회전축(163a)의 측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163b)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163b)는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회전축(163a)이 회전되면 나선형의 블레이드(163b)가 회전되면서 필터(110)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블레이드(163b)를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먼지 배출 부재(163)는 회전되면서 이물질을 배출구(167)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100: 필터 청소 부재 10, 110: 필터
20, 120: 브러시 유닛 21: 브러시 바디
22: 브러시 23: 슬라이드 부재
24: 제1 탄성 부재 26: 간격 조절 부재
27: 제2 탄성 부재 30, 130: 브러시 이동 유닛
31: 샤프트 32: 렉기어
33: 웜기어 40, 140: 브러시 가이드
41: 제1 가이드 홈 43: 제2 가이드 홈
45: 제1 이동부 47: 제2 이동부
50, 150: 먼지 분리 부재 60, 160: 먼지 배출 유닛
61: 석션 케이스 62: 석션 커버
63: 커버 조절부 64: 복원 부재
66: 내부 공간

Claims (22)

  1. 필터;
    상기 필터의 일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필터로부터 먼지를 분리시키는 브러시 유닛;
    상기 브러시 유닛이 상기 필터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브러시 이동 유닛; 및
    상기 브러시 유닛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브러시 유닛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브러시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 가이드는
    상기 브러시 유닛이 상기 필터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브러시 유닛이 상기 필터에 이격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제2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필터 청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가이드는 상기 브러시 이동 유닛이 상기 제1 가이드 홈과 상기 제2 가이드 홈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제1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부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이 상기 제2 가이드 홈보다 높게 단차진 형상으로 마련되는 필터 청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가이드는 상기 제1 이동부의 반대편에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 이동 유닛이 상기 제1 가이드 홈과 상기 제2 가이드 홈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제2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부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이 상기 제2 가이드 홈보다 낮게 단차진 형상으로 마련되는 필터 청소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유닛은
    브러시 바디;
    상기 브러시 바디에서 상기 필터를 향하여 설치된 브러시;
    상기 브러시 바디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홈과 상기 제2 가이드 홈의 내측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브러시 바디 사이에 설치되는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필터 청소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유닛은 상기 브러시 바디와 결합되는 제1 영역과, 상기 브러시 이동 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결합 하우징;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브러시 바디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브러시 바디의 일측에 접촉되어 배치된 간격 조절 부재; 및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간격 조절 부재의 반대측에서 상기 브러시 바디와 상기 결합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필터 청소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 부재는
    제1 두께를 가지는 제1 조절부; 및
    상기 제1 두께보다 두껍게 마련된 제2 두께를 가지는 제2 조절부;를 포함하는 필터 청소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이동 유닛은
    상기 브러시 유닛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평행하게 형성된 렉기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렉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면서 상기 샤프트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웜기어; 및
    상기 샤프트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웜기어는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브러시 유닛과 함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필터 청소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브러시에 부착된 먼지를 분리시키도록 마련된 먼지 분리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먼지 분리 부재는
    상기 브러시 바디와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 바디;
    상기 회전 바디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 및
    상기 회전 바디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브러시에 부착된 먼지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 바디의 외측면에 형성된 먼지 분리부;를 포함하는 필터 청소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분리부는 나선 형상으로 마련되는 필터 청소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로부터 분리된 먼지를 이동시키는 먼지 배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먼지 배출 유닛은
    상기 먼지 분리부와 상기 브러시의 하방에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로부터 분리된 먼지가 유입되는 먼지 유입부를 가지는 석션 케이스;
    상기 석션 케이스에 전달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석션 모터; 및
    상기 먼지 유입부를 개폐시키는 석션 커버;를 포함하는 필터 청소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배출 유닛은
    상기 브러시 이동 유닛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석션 커버와 마주하는 측면에 형성된 제1 기어부가 형성된 커버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석션 커버는 상기 제1 기어부와 맞물릴 수 있도록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기어부를 포함하는 필터 청소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조절부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이동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커버 조절부는 상기 브러시 유닛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브러시 유닛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면서 상기 먼지 유입부가 오픈되도록 상기 석션 커버를 이동시키는 필터 청소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배출 유닛은 상기 커버 조절부의 일측에 설치된 복원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원 부재는 상기 커버 조절부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원시키는 필터 청소 장치.
  14. 필터;
    필터의 일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필터로부터 먼지를 분리시키는 브러시 유닛;
    상기 브러시 유닛이 상기 필터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브러시 이동 유닛; 및
    상기 필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브러시 유닛에 부착된 먼지를 분리시키도록 마련된 먼지 분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 분리 부재는
    상기 브러시 유닛과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 바디;
    상기 회전 바디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 및
    상기 회전 바디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브러시 유닛에 부착된 먼지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 바디의 외측면에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먼지 분리부;를 포함하는 필터 청소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로부터 분리된 먼지를 이동시키는 먼지 배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먼지 배출 유닛은
    상기 먼지 분리부와 상기 브러시 유닛의 하방에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먼지가 유입되는 먼지 유입부를 가지는 석션 케이스;
    상기 석션 케이스에 전달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석션 모터; 및
    상기 먼지 유입부를 개폐시키는 석션 커버;를 포함하는 필터 청소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배출 유닛은
    상기 브러시 이동 유닛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석션 커버와 마주하는 측면에 형성된 제1 기어부가 형성된 커버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석션 케이스는 상기 제1 기어부와 맞물릴 수 있도록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기어부를 포함하는 필터 청소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조절부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이동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커버 조절부는 상기 브러시 유닛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브러시 유닛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면서 상기 먼지 유입부가 오픈되도록 상기 석션 커버를 이동시키는 필터 청소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배출 유닛은 상기 커버 조절부의 일측에 설치된 복원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원 부재는 상기 커버 조절부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원시키는 필터 청소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유닛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브러시 유닛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브러시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 가이드는
    상기 브러시 유닛이 상기 필터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브러시 유닛이 상기 필터에 이격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형성된 제2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필터 청소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가이드는 상기 브러시 이동 유닛이 상기 제1 가이드 홈과 상기 제2 가이드 홈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제1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부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이 상기 제2 가이드 홈보다 높게 단차진 형상으로 마련되는 필터 청소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가이드는 상기 제1 이동부의 반대편에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 이동 유닛이 상기 제1 가이드 홈과 상기 제2 가이드 홈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제2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부는 상기 제1 가이드 홈이 상기 제2 가이드 홈보다 낮게 단차진 형상으로 마련되는 필터 청소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유닛은
    브러시 바디;
    상기 브러시 바디에서 상기 필터를 향하여 설치된 브러시;
    상기 브러시 바디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홈과 상기 제2 가이드 홈의 내측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브러시 바디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필터 청소 장치.
KR1020150019303A 2015-02-09 2015-02-09 필터 청소 장치 KR102373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303A KR102373165B1 (ko) 2015-02-09 2015-02-09 필터 청소 장치
EP16154321.0A EP3056255B1 (en) 2015-02-09 2016-02-04 Filter cleaning device
ES16154321T ES2713237T3 (es) 2015-02-09 2016-02-04 Dispositivo de limpieza de filtro
US15/019,535 US9943164B2 (en) 2015-02-09 2016-02-09 Filter clean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303A KR102373165B1 (ko) 2015-02-09 2015-02-09 필터 청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530A true KR20160097530A (ko) 2016-08-18
KR102373165B1 KR102373165B1 (ko) 2022-03-11

Family

ID=55349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303A KR102373165B1 (ko) 2015-02-09 2015-02-09 필터 청소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43164B2 (ko)
EP (1) EP3056255B1 (ko)
KR (1) KR102373165B1 (ko)
ES (1) ES2713237T3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8878A (zh) * 2017-05-09 2017-07-18 陈麒如 一种空气净化装置
CN108758948A (zh) * 2018-06-26 2018-11-06 安徽应力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集成型新风空调一体机
KR102023988B1 (ko) * 2019-05-07 2019-09-23 리셋컴퍼니 주식회사 중력구동멤브레인 여과필터를 구비한 우수 활용 자동 세척 시스템
KR20230001973A (ko) * 2021-06-29 2023-01-05 (주)에이치앤스카이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87752B (zh) * 2015-03-27 2019-05-17 三菱电机株式会社 空气调节机的室内机
JP6289740B2 (ja) * 2015-03-27 2018-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US9973963B2 (en) 2015-05-07 2018-05-15 Parallel Wireless, Inc. Virtual guard bands
JP6876214B2 (ja) * 2017-04-17 2021-05-26 株式会社コーワ フィルター清掃装置及び乾燥機
CN107262416B (zh) * 2017-07-06 2019-10-18 安徽禄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射频通信无源器件用防尘装置
JP6853612B2 (ja) * 2018-10-23 2021-03-31 中野冷機株式会社 冷凍機内蔵型ショーケース
CN109373507B (zh) * 2018-11-01 2021-05-04 壹格建筑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新风系统的自动清洁滤网装置及其控制方法
US11007465B2 (en) 2018-11-09 2021-05-18 Cnh Industrial America Llc Rotating suction wand for a non-circular air screen
CN110017441A (zh) * 2019-03-05 2019-07-16 泉州台商投资区五季网络有限公司 轨道交通用区间隧道灯
US11395984B2 (en) * 2019-05-24 2022-07-26 Flory Industries Dust control system and related methods
CN110385326B (zh) * 2019-07-06 2022-01-14 浙江雷速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穿戴设备用纺织机械
CN110449438B (zh) * 2019-07-10 2020-09-08 浙江工贸职业技术学院 一种计算机防尘装置
CN110800685A (zh) * 2019-11-01 2020-02-18 淮安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自动清洗式生态养殖辅助装置
CN110802753A (zh) * 2019-11-21 2020-02-18 哈尔滨学院 一种新型陶瓷艺术品雕刻用加工装置
CN112337829B (zh) * 2020-09-27 2022-06-07 重庆大学 一种小型齿轮箱观察窗内壁除污装置
CN112718713B (zh) * 2020-12-23 2022-04-12 湖北理工学院 一种计算机主机用的震动除尘装置
CN112650375A (zh) * 2021-01-18 2021-04-13 湖南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大数据与云计算的智能终端处理器
KR102608925B1 (ko) * 2023-10-06 2023-12-01 박문수 먼지 제거가 가능한 필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6287A (ko) * 2006-09-20 2008-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20090188216A1 (en) * 2008-01-28 2009-07-30 Lg Electronics Inc.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JP2010525285A (ja) * 2007-04-18 2010-07-22 ハイアー グループ コーポレイション エアコンフィルターセルフクリーニング装置
KR20110055104A (ko) * 2009-11-19 2011-05-25 (주)엘포에스 축사 환기장치의 탈진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5659121B2 (ja) * 2011-10-05 2015-01-2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6331A (ja) * 1998-02-18 1999-08-24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US8038517B2 (en) * 2005-09-13 2011-10-18 Fujitsu General Limited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5294440B2 (ja) * 2007-09-28 2013-09-18 株式会社コーワ 空気調和機
DE102008035681A1 (de) * 2008-03-11 2009-09-17 Ulrich Hartge Automatische Filterreinigung
JP2012112550A (ja) 2010-11-22 2012-06-14 Hitachi Appliances Inc 空気調和機
JP5530944B2 (ja) 2011-01-26 2014-06-2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6287A (ko) * 2006-09-20 2008-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10525285A (ja) * 2007-04-18 2010-07-22 ハイアー グループ コーポレイション エアコンフィルターセルフクリーニング装置
US20090188216A1 (en) * 2008-01-28 2009-07-30 Lg Electronics Inc.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20110055104A (ko) * 2009-11-19 2011-05-25 (주)엘포에스 축사 환기장치의 탈진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5659121B2 (ja) * 2011-10-05 2015-01-2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8878A (zh) * 2017-05-09 2017-07-18 陈麒如 一种空气净化装置
CN108758948A (zh) * 2018-06-26 2018-11-06 安徽应力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集成型新风空调一体机
CN108758948B (zh) * 2018-06-26 2023-05-09 安徽应力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集成型新风空调一体机
KR102023988B1 (ko) * 2019-05-07 2019-09-23 리셋컴퍼니 주식회사 중력구동멤브레인 여과필터를 구비한 우수 활용 자동 세척 시스템
KR20230001973A (ko) * 2021-06-29 2023-01-05 (주)에이치앤스카이 세척수단이 구비된 취출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43164B2 (en) 2018-04-17
EP3056255A1 (en) 2016-08-17
US20160227916A1 (en) 2016-08-11
ES2713237T3 (es) 2019-05-20
KR102373165B1 (ko) 2022-03-11
EP3056255B1 (en) 201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7530A (ko) 필터 청소 장치
EP3000371B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US11224321B2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cleaner having the same
KR102656583B1 (ko) 로봇 청소기
KR101781997B1 (ko) 집진기
CN103417163A (zh) 自主真空吸尘器
KR20100088637A (ko) 공기 조화 장치
CN108471918B (zh) 气旋集尘器以及具有该气旋集尘器的真空吸尘器
US10335002B2 (en) Hand-held vacuum cleaner
CN102138766A (zh) 真空吸尘器的刷子组件
KR10134052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EP3005923A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101833162B1 (ko) 연속 필터청소기능이 구비된 집진장치
EP3005924B1 (en)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EP3238590A1 (en) Hand-held vacuum cleaner
KR100540439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케이싱
KR20200085264A (ko) 수분 측정 장치 및 곡물 건조기
KR101774103B1 (ko) 공기 정화 장치
KR20100104792A (ko) 분리형 원심분리기와 먼지통을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JP6419142B2 (ja) クーラント濾過装置
KR101362318B1 (ko) 공기조화기
KR101635501B1 (ko) 진공청소기
KR10141215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429883B1 (ko) 싸이클론 집진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의 호스핸들
KR20200139652A (ko) 양 방향 토출 유로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