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6154A - 광기전 패널용 부유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광기전 패널용 부유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6154A
KR20160096154A KR1020167018176A KR20167018176A KR20160096154A KR 20160096154 A KR20160096154 A KR 20160096154A KR 1020167018176 A KR1020167018176 A KR 1020167018176A KR 20167018176 A KR20167018176 A KR 20167018176A KR 20160096154 A KR20160096154 A KR 20160096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s
elements
devices
floating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8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3253B1 (ko
Inventor
알렉시스 가보
Original Assignee
시엘 에 떼흐 엥떼흐나시오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엘 에 떼흐 엥떼흐나시오날 filed Critical 시엘 에 떼흐 엥떼흐나시오날
Publication of KR20160096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F24J2/5237
    • F24J2/5269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0/00Solar hea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environments
    • F24S20/70Waterborne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1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extending in directions away from a supporting surface
    • F24S25/11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extending in directions away from a supporting surface using shaped bodies, e.g. concrete elements, foamed elements or moulded box-lik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20Solar ther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광기전 패널용 부유지지장치(1)는 부유장치의 네트워크(R)가 형성되게 하는 식으로 다른 부유장치들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소자들(3)을 구비한 구조물(2); 장치가 뜨는 것을 보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구조물(2)에 단단히 연결된 하나 또는 복수의 플로트들(4); 및 적어도 하나의 광기전 패널(P)을 보유하기 위한 소자들을 구비하고, 상기 구조물은 네트워크에서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로 힘을 전달하지 않고 네트워크(R)의 부유장치들 간에 힘이 전달되게 하도록 상기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소자이다.

Description

광기전 패널용 부유지지장치{FLOATING SUPPORT DEVICE FOR A PHOTOVOLTAIC PANEL}
본 발명은 광기전 패널 또는 패널들용 부유지지장치 뿐만 아니라 부유장치의 어셈블리로 인해 발생한 부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야는 광기전 설비, 보다 상세하게는 모듈식 디자인의 부유장치들, 패널 또는 패널들용의 지지물의 어셈블리로 인해 발생한 부유식 광기전 설비 분야이다.
이런 모듈식 장치들은 동일한 행의 광기전 패널들을 정렬하고 매우 종종 여러 행의 광기전 패널들을 구성함으로써 현장에서 신속히 조립될 수 있다.
예컨대, 참조문헌 US 2008/0029148 A1과 모듈식 디자인의 패널용 부유지지장치의 어셈블리로 인해 발생한 설비가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다.
상기로부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모듈식 부유장치들은 2개의 실린더식 세장 플로트들뿐만 아니라 함께 용접된 튜브들의 어셈블리로 인해 발생한 셀프-베어링 구조를 포함한다.
구조의 4개 튜브들은 플로트의 단부들의 신장시 길이방향으로 각각 뻗어 있고, 이들 튜브들의 말단에 단부 링이 제공된다.
부유장치의 단부 링들을 인접한 모듈식 장치의 단부 링들과 직접 결합시킴으로써 세장 플로트들의 방향을 따라 부유식 광기전 설비의 어셈블리가 얻어진다.
부유장치는 수직방향을 따라 이웃한 부유장치들의 어셈블리를 제공하도록 4개의 다른 추가 측면결합링들을 구비한다.
연결부를 매개로 인접한 모듈식 장치의 측면 링들에 부유장치의 측면 링들을 결합함으로써 세장 플로트들에 직각 방향을 따라 부유 광기전 설비의 어셈블리가 얻어진다.
이 구조는 구조에 대해 회전식으로 실장된 2개의 광기전 패널들의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에 개시된 이런 모듈식 장치들의 제조는 대표적으로 기계 용접된 튜브들의 어셈블리로부터 발생한 구조물의 반송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자의 관찰에 따르면, 이런 디자인은 매우 고가의 제조비용으로 인해 경제적으로 이익이 없다.
당업자는 또한 참조문헌 WO2012/139998으로부터 자체가 플로트 형태로 있는 모듈식 디자인과 연결소자들의 패널용 부유지지장치의 어셈블리로부터 발생한 설비를 안다. 지지장치 및 연결소자들은 플로트 네트워크를 이루기 위해 어셈블리되게 되어 있다.
이런 모듈식 설계에 따라, 패널용의 각 모듈식 지지장치는 실질적으로 다수의 기능들을 갖는 플라스틱 엔벨로프로 구성되고, 특히:
- 부유기능: 플라스틱 엔벨로프는 장치가 부유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는 공기 부피를 밀봉식으로 둘러싼다;
- 가능하게는, 2개의 광기전 패널들을 경사지게 하기 위한 소자기능: 수역에 대해 광기전 패널의 경사를 보장하도록 이러한 방식으로 상부벽은 하부벽에 대해 경사져 있다;
- 구조적 소자기능: 플라스틱 엔벨로프는 플로트 네트워크의 힘들을 전달하는 구조를 구성한다.
이런 모듈식 장치의 다기능 플라스틱 엔벨로프는 일반적으로 단일 피스의 로토몰딩(rotomoulding) 또는 송풍압출(blowing extrusion)에 의해 구해지며, 이는 참조문헌 US 2008/0029148 Al의 장치의 기계용접 구조에 대해 비용을 절감한다.
당업자는, WO2011/094803로부터, 플로트들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이들 사이에 직접 어셈블리된 모듈식 디자인의 패널용 부유지지장치들의 어셈블리로 인해 발생한 설비를 또한 안다.
이런 모듈식 디자인에 따라면, 각 장치는 엔벨로프로 구성된 것처럼 보이는 플로트를 구비하고, 상기 플로트에 대해 2개의 광기전 패널들을 기울일 수 있게 하는 지지물을 구비한다.
엔벨로프는 16-22로 표시된 결합요소들을 이루어 플로트들 일부 간에 어셈블리를 가능하게 한다
엔벨로프는 여러 가지 기능을 갖는다. 즉:
- 부유기능; 및
- 매개구조물기능: 엔벨로프는 플로트들의 네트워크의 힘을 전달하는 구조물을 구성한다.
물의 표면에 대해 패널을 기울이는 기능은 플로트들과 별개의 소자들에 의해 보장된다.
참조문헌 WO2012/139998 또는 WO2011/094803에서, 엔벨로프는 네트워크의 힘을 견디도록 충분한 내성이 있어야 한다. 본 발명자의 관찰에 따르면, 실제로, 단지 부유기능만을 보장하는데 필요할 수 있는 것보다 더 큰 벽 두께를 제공함으로써 이 소자의 내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참조문헌 WO2012/139998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복잡한 형태의 플라스틱 엔벨로프의 송풍 압출이 수행될 수 있고 본 출원인에 의해 제조되었다. 그러나, 이는 플라스틱의 소비를 제한하면서 엔벨로프의 전체 면에 걸쳐 상대적으로 균일한 벽 두께를 얻기 위해 압출업체들의 실질적인 노-하우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자의 관찰에 따르면, WO2012/139998 및 WO2011/094803의 장치의 또 다른 단점은 구성소자들과 특히 상당히 부피가 큰 플로트 소자들, 반강체부 또는 강체부의 설비지역에 운반이 단점다.
본원의 목적은 제어된 제조비용과 간략한 제조와 더불어 모듈식 디자인의 패널용 지지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원의 또 다른 목적은 본원에 따른 장치의 어셈블리와 가능하게는 자체적으로 부유하는 연결소자들의 어셈블리로부 인해 발생한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원의 또 다른 목적은 적어도 일실시예에 따른 이런 지지장치 또는 설비지역으로 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특히 지역으로 플로트의 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반송을 위한 하나의 장비를 제안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정보 목적으로 단지 제공되며 본원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닌 명세서에 나타나 있다.
본원은 우선:
- 부유장치의 네트워크가 형성되게 하는 식으로 다른 부유장치들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소자들을 구비한 구조물;
- 장치가 뜨는 것을 보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구조물에 단단히 연결된 하나 또는 복수의 플로트들; 및
- 적어도 하나의 광기전 패널을 보유하기 위한 소자들을 구비하고,
상기 구조물은 네트워크에서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로 힘을 전달하지 않고 네트워크의 부유장치들 간에 힘이 전달되게 하도록 상기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소자인 광기전 패널용 부유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는 모듈식 소자로서 특정 적용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편으로는 플로트의 기능과 다른 한편으로는 네트워크의 힘들을 전달하게 하는 구조적 기능이 분리된 소자들, 즉, 플로트와 상기 구조물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네트워크의 힘들을 전달하게 하는 소자 기능은 한편으로는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과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이 장치에 의해 생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기전 패널이 네트워크의 힘에서 이격되는 식으로 상기 구조물에 의해서만 생긴다.
상대적으로 낮은, 가령 2mm 이하의 벽 두께를 갖는 엔벨로프로 형성된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이와 같이 플로트들 또는 플로트들의 각 하나를 치수화할 수 있다.
네트워크의 힘의 전달을 보장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구조물은 가령 일체의 플라스틱 소자일 수 있다. 이 구조물은 몰딩, 특히 사출몰딩, 또는 플라스틱을 변형하기 위한 다른 방법들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 구조는 네트워크의 힘들을 견뎌야하기 때문에, 벽 두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소자 상에 3mm 이상, 바람직하게는 10mm 보다 클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의 플라스틱 소자는 바람직하게는 밀봉된 중공바디이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플라스틱 소자는 천공된, 가령 격자식 소자이다. 중공 및/또는 천공된 것으로서 이런 소자의 디자인으로 플라스틱의 소비를 제한하고 따라서 장치의 비용을 제한하며 심지어 단단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조물은 바람직하게는 착탈식으로 다수의 소자들의 어셈블리로 인해 발생된다. 상기 소자들은 상기 구조물을 반송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나사체결 시스템, 스냅핏 시스템 또는 스트랩 시스템이나 소자들의 신속한 어셈블리를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다른 시스템에 의해 어셈블리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 및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은 나사체결 시스템, 스트랩 시스템 또는 스냅핏 시스템에 의해 함께 단단히 연결된다. 체결 시스템은 착탈식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구조물과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 간에 도구없이 신속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부유장치들에 결합하기 위한 상기 결합소자들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평인 돌출러그일 수 있다. 상기 구조물이 다수의 소자들의 어셈블리로부터 발생하는 경우, 이들 러그들은, 다른 부유장치들에 지지장치의 어셈블리를 위한 소자들로서 기능 이외에, 구조물의 소자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어셈블리를 위한 소자로서 기능을 축적할 수 있다.
이 효과를 위해, 상기 구조물의 상기 소자들 중 일부는 상기 러그를 포함하구, 상기 소자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구조물의 상기 소자들의 적어도 2개의 별개의 소자들에 속하는 마주보는 러그들을 매개로 그리고 상기 러그를 관통하는 볼트와 같은 락킹부재를 매개로 함께 어셈블리된다.
별개로 또는 조합해 취해진 본 발명의 선택적 특징에 따르면,
- 구조물은 상기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에 대해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의 주변에 연속으로 측면으로 돌출한 것으로 제공된다;
- 장치는 수면에 대해 가령 10°내지 30°경사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기전 패널을 포함하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지지소자들을 갖는다;
- 플로트들 또는 플로트들 중 각 하나는 공기의 부피를 둘러싼 플라스틱 엔벨로프로 구성되거나, 대안으로;
- 플로트들 또는 플로트들 중 각 하나는 팽창소자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플로트들 또는 플로트들 중 각 하나는 공기의 부피를 가두며 하방으로 개방된 포켓을 형성하도록 하는 식으로 구조물에 단단히 연결된, 절단된 원뿔 또는 대안으로 각뿔대로서 밀봉된 반개방 바디를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플로트의 운송을 용이하게 하는데, 운송 동안 반개방 바디들이 이점적으로 서로 적층될 수 있고 가령 설비 현장에서 직접 단지 제 2 단계만으로 구조물에 어셈블리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은 특히 착탈식 타입의 체결 시스템(나사/너트 시스템, 가역성 클립, 스트립)에 의해 상기 구조의 하부면에 지닌 구조물에 단단히 연결된다.
이점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장치는 하나의 광기전 패널을 보유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유지용 소자들은 측면으로 특히 상기 장치의 두 면에 돌출한 광기전 패널의 실장을 가능하게 하는 식으로 배열된다.
이런 디자인은 장치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특히 플라스틱 재료의 소비를 줄이고 이와 같이 비용을 제한하는데 다시 참여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널용의 복수의 모듈식 지지장치들을 포함한 광기전 설비를 반송하기 위한 하나의 장비에 관한 것이다.
장비의 패널용 모듈식 지지장치는 직접적으로 결합소자들을 어셈블리하거나 간접적으로 결합소자와 매개연결소자를 거쳐 부유장치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함께 어셈블리되게 되어 있다.
별개로 또는 조합해 취해진 장비의 선택적 특징에 따르면,
- 장비는 부유하는 모듈식 연결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비는 상기 연결소자와 상기 지지장치의 결합소자들 간에 어셈블리를 가능하게 하는 상기 연결소자와 상기 지지장치 간에 분포된 결합소자를 갖는다.
- 각 부유식 연결소자는 상기 연결소자가 뜨는 것을 보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는 플라스틱 엔벨로프의 형태이고, 상기 플라스틱 엔벨로프는 상기 결합소자를 갖거나, 대안적으로;
- 각 연결소자는, 한편으로, 부유장치가 네트워크를 형성하게 하는 식으로 다른 부유장치들에 결합하기 위한 상기 결합소자들을 구비한 구조물과, 다른 한편으로, 상기 구조물에 단단히 연결되고, 장치가 뜨는 것을 보장하도록 되어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플로트들을 포함한다: 상기 구조물은 상기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에 네트워크의 힘들을 전달하지 않고, 네트워크의 부유장치들 간에 힘들을 전달하게 하는 식을 상기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에서 이격된 소자이다.
- 상기 결합소자는 돌출러그이며, 상기 장비는 핀 또는 볼트와 같은 락킹부재를 포함하고, 각 락킹부재는 어셈블리의 고정을 보장하기 위해 마주보며 배치된 다수의 러그들을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부유장치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결합소자들을 매개로 집적으로 또는 결합소자들과 삽입된 연결소자들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비의 지지장치들의 어셈블리로부터 발생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용 지지장치들의 적어도 2개의 행들을 갖고, 상기 2개의 행들은 상기 삽입된 연결소자들의 행에 의해 유지된다: 이 연결소자의 행은 가능하게는 연속 또는 불연속으로 유지보수를 위한 통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행에 속하는 2개의 연속지지장치들은 상기 연속장치들을 나란히 고정시키는 연결소자, 심지어 2개의 연결소자들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일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행에 속하는 2개의 연속지지장치들은 상기 연속장치들을 나란히 고정시키는 지지장치의 인접한 행의 지지장치에 의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런 장치들의 네트워크 구성은 패널용의 2개의 연속지지장치들을 별개로 떨어져 보유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행의 방향을 따라, 장치에 대해 돌출한 패널의 실장을 이점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장치의 구조물들은 장치들의 동일한 행에 속하는 구조물들의 돌출부들이 조작자의 유지보수를 위한 통로를 형성하게 하는 식으로 구성된 구조물에 의해 생긴 광기전 패널의 치수에 대해 큰 치수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수반된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용 지지장치와 연결소자들의 어셈블리로 인해 발생한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장치의 구조가 여러 소자들의 어셈블리로 인해 발생한 본원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의 대안이다.
도 6은 각 연결소자가 한편으로는 결합소자들(즉, 러그)을 보유한 구조, 및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연결소자가 부유하는 것을 보장하는 플로트를 구비하는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결합소자들을 매개로 직접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의 어셈블리로 인해 발생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패널 미도시).
도 8은 광기전 패널들이 도시된 도 7의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적층될 수 있는 설계를 가진 플로트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5 실시예의 사시도, 측면(좌우)도 및 점변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개방형이며 적층될 수 있는 설계를 갖고 도 10 내지 도 14에 따른 장치에 사용된 플로트와 함께 아래에서 본 사시도, 위, 정면, 측면에서 본 각각의 사시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광기전 패널들이 각각 있고 없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시각에서 부분 개략도들(플로트 미도시)이며, 장치의 상기 구조는 유지보수를 위한 통로를 만들기 위해 이런 식으로 광기전 패널들에 대해 큰 치수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 부유장치가 네트워크(R)를 형성하게 하는 식으로 다른 부유장치들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소자들(3)을 포함한 구조물(2);
- 장치가 뜨는 것을 보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구조물(2)에 단단히 연결된 하나 또는 다수의 플로트들(4);
- 적어도 하나의 광기전 패널(P)을 보유하기 위한 소자들을 포함한 광기전 패널용 부유지지장치(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조물(2)은, 네트워크(R)의 힘들을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4)로 전달하지 않고, 네트워크(R)의 부유장치들(1,7)(또는 1, 7') 간에 힘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이와 같은 식으로 상기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4)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소자이다. 이 지지장치(1)는 모듈식 소자로서 특별한 적용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편으로는, 플로트의 기능 및 네트워크(R)의 두 방향을 따라 네트워크의 힘들의 전달을 허용하는 구조적 기능이 분리된 소자들에 의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재료의 두께가 작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4)을 이와 같이 치수화할 수 있다. 플로트들 또는 플로트들(4) 중 각 하나는 가령 2mm 이하의 상대적으로 작은 벽 두께를 갖는 플라스틱 엔벨로프로 형성될 수 있다. 송풍압출, 로토몰딩 또는 기타에 의해 반강체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이 구해질 수 있다. 각 플로트는 공기 부피를 둘러싸는 밀봉된 엔벨로프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이와 같은 플로트 방안은 플로트들의 공간이 상당히 큰 단점이 있으며, 현장에 이들을 운송하는 게 쉽지 않다. 또 다른 대안(미도시)에 다르면, 플로트들 또는 플로트들 중 각 하나는 팽창소자자일 수 있다 이 경우, 플로트는 밀봉되는 식으로 공기 부피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는 가요성 엔벨로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한다. 이 팽창소자는 수축상태, 특히 평평한 상태, 최소 공간의 위치로 운송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런 후 부유를 입증하며 공기 부피를 둘러싸도록 이런 식으로 설비현장에서만 팽창 및/또는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9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플로트들 또는 플로트들(4) 중 각 하나는 공기 부피를 가두며 하방 개방형 포켓을 이루도록 이런 식으로 구조에 단단히 연결된 밀봉된 반개방형 바디(40)를 포함한다. 이런 반개방형 바디는 예컨대 열성형을 통해 구해진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런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플로트의 운송을 용이하게 하며 테이퍼진 형태(미도시)의 또는 각뿔대(미도시)로서 반개방형 바디(40)는 운송 동안 서로 이점적으로 적층될 수 있고 가령 설비현장에서 직접적으로 단지 제 2 단계로 이들의 구조에 어셈블리될 수 있다.
반개방형 바디는 도 15 내지 도 19의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형태 또는 다각형, 특히 (각뿔대 같이) 직사각형으로 될 수 있다. 각뿔대의 경우, 반개방형 바디는 특히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다각형 상부벽(41) 및 특히 피라미드의 벽을 이루는 4개의 측벽(42에서 45)을 이와 같이 포함할 수 있다. 테이퍼진 형태의 반개방형 바디의 경우, 상부벽은 원형 형태, 즉 디스크로 되고, 측벽은 절단된 원뿔을 이룬다.
반개방형 바디가 절단된 원뿔 또는 각뿔대이든지 간에 양 경우에, 하방 개방된다. 즉 이 반개방형 바디가 하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타입의 다수의 동일한 반개방형 바디들과 서로 적층될 수 있는 식으로 하부 벽이 없다.
물에 놓이면, 장치(1)가 소정의 수평을 유지함으로써 플로트들의 개방 공간에 공기를 가두도록 특별한 주의가 장치의 경사에 제공된다.
상기 결합소자들을 갖는, 네트워크의 힘들의 전달을 보장하도록 의도된 상기 구조물(2)은 특히,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된 소자일 수 있다. 이런 실시예가 도 1에서 3 및 도 6의 실시예들에 대해 비제한적인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 구조물은 몰딩, 특히 로토몰딩, 송풍압출 또는 플라스틱을 변형하기 위한 기타 방법들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구조물은 네트워크 힘들을 견뎌야 하므로, 벽 두께가 적어도 결합소자(3)에 대해 3mm 이상, 바람직하게는 10mm 이상일 수 있다.
재료의 소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구조물은 가령 도 2에서 비제한적인 식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바디(20)일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플라스틱 소자는 가령, 도 3에 서 비제한적인 식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 가령 격자화된 바디(21)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소자(3)는 돌출러그(32)일 수 있다. 결합소자(3), 특히 상기 러그들(32)은 구조물(2)의 4개 코너에 제공될 수 있다.
구조물(2)은, 위에서 보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될 수 있다.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4)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물의 하부면을 받치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구조물(2)의 하부에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착탈식으로, 및 바람직하게는 도구 없이,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과 구조물의 신속한 어셈브리를 가능하게 하는 체결 시스템이 선호된다. 이들 시스템 스캔은 나사체결 시스템(5), 스트랩 시스템, 또는 스냅핏 시스템에서 선택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나사체결 시스템의 2개의 나사들(5)이 구조물(2)의 2개의 구멍을 지나 플로트(4)의 탭핑과 결합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과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은 접착, 용접 등과 같은 또 다른 기술에 의해 단단히 연결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도 4 및 도 5에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조물(2)은 다수의 소자들(22, 23, 24, 25, 26, 27)의 어셈블리로 인해 발생한다. 이들 소자들(22, 23, 24, 25, 26, 27)은 가령, 몰딩, 특히 사출몰딩을 통해 얻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소자들(22,23,24,25)은 나사체결 시스템, 스냅핏 시스템, 또는 스트랩 시스템 또는 현장에서 신속한 어셈블리를 허용하는 임의의 다른 시스템에 의해 어셈블리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의 실시예들은 구조물(2)의 소자들(22,23,24 및 25, 심지어 26 및 27)의 어셈블리를 가능하게 하도록 나사체결 시스템(볼트(34))을 이용한다.
이 이점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볼트와 같은 락킹소자(34)는 네트워크(R)의 이웃 부유장치들과 지지장치(1)의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 구조물(2)의 소자들(22,23,24 및 25, 심지어 26 및 27)의 어셈블리뿐만 아니라 이웃한 부유장치들의 러그(32)와 협력하게 한다.
전반적으로, 상기 구조물(2)의 상기 소자들(22,23,24,25)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러그(3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소자들(22,23,24,25)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소자들(22, 25; 23, 25; 23, 24; 22, 24) 중 각각의 적어도 2개에 속하는 마주보는 러그들(3)을 매개로 그리고 상기 러그(34)를 관통하는 볼트와 같은 락킹부재(34)를 매개로 함께 어셈블리된다.
보다 상세하게, 도 4의 실시예의 구조물(2)은 4개의 소자들(22,23,24,25)을 포함한다. 4개의 소자들(22,23,24,25) 각각은 2개의 러그(32)를 포함한다. 소자들은 2개의 각각의 소자들(22, 25; 23, 25; 23, 24; 22, 24)에 속하는 러그들(32) 중 마주보는 2개를 배치함으로써 그리고 2개의 러그들(32)을 관통한 볼트(34)와 같은 락킹부재(34) 대신에 셋팅을 함으로써 2×2로 함께 어셈블리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소자들(22 및 23)은, 위에서 보면, X자를 형성하기 위해 이와 같은 방식으로 머리에서 발끝까지 배열된 V자 형태이고, 특히 중앙부에서 나사체결에 의해 플로트(4)에 각각 고정된다. V자 단부들에 상기 러그들(32)이 각각 제공된다.
2개의 다른 소자들(24 및 25)은 단부에서 러그(32)가 각각 제공된 가느다란 물품이다. 각 소자(24 또는 25)는 V자 형태로 2개의 소자들(22 및 23)을 연결하고, 각 소자(24 및 25)의 2개 러그들은 소자들(22 및 23)에 속하는 2개의 러그들(32)과 각각 마주보며 배치되고 볼트와 같은 락킹부재(34)에 의해 소자들(22 및 23)에 연결된다. 이런 동일한 락킹부재(34)는 관통해 참조부호 7로 표시된 이웃 부유장치의 러그(32)를 보유한다. 구조물(2)의 어셈블리를 위한 소자들은 바람직하게는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 위의 면을 따라 뻗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플로트(4)는 특히 평행육면체 형태의 하나의 플로트일 수 있다. 구조물(2)은 그런 후 바람직하게는 이 플로트의 상부면에 있게 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2)은 상기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2)에 대해 측면으로 돌출해 제공된다.
상기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에 대해 측면으로 돌출한 구조물(2)을 제공함으로써 충돌의 경우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을 보호할 수 있다. 가령 도면에서, 구조물(2)은 바람직하게는 플로트(4)의 4개 측면들 및 결합소자, 특히 러그만이 아니라 플로트의 주변으로 연속해서 측면으로 돌출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수면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기전 패널(P)을 경사지게 하기 위해 하나 또는 다수의 지지소자들(60,61)을 갖는다. 이 소자는 수역에 대해 2개의 광기전 패널들을 특히 10°내지 30°사이 각도로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이 지지소자(60)는 상기 구조물(2)을 이루는 상기 소자를 포함하거나 상기 소자에 의해 구성될 수 있거나, 하나 또는 다수의 별개의 소자들을 포함하거나 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체의 플라스틱으로 된 소자로 형성된 상기 구조물(2)은 적어도 하나의 바닥체결리브(10) 및 광기전 패널(P)의 경사를 가능하게 하는 더 높은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상단체결리브(11)를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2)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리브(10)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상단체결리브(11)는 더 높은 위치에서 구조물(2)에서 분리된 지지소자(61)에 제공된다. 이들 리브(10 및 11)는 광기전 패널(P)의 경사를 가능하게 한다.
이들 체결리브(10,11)는 상기 리브(10 및 11)를 각각 스레딩함으로써 본 출원인의 참조문헌 WO2013/153329에 개시된 광기전 패널의 체결장치를 부유를 위해 상기 소자들의 추가 체결 그루브에 보유하기 위한 소자들 대신에 셋팅을 가능하게 한다. 하단리브(10)에 스레드된 보유용 소자로 측면들 중 하나에 의해 패널을 보유할 수 있게 되고 상단리브(11)에 스레드된 보유용 소자로 측면들 중 다른 하나에 패널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반적으로, 보유용 소자들은는 참조문헌 WO2013/153329A의 체결장치에 기술된 소자들일 수 있으며, 상기 문헌은 참조로 합체되어 있다. 이런 소자들은 이점적으로 두 측면들 만으로 2개의 광기전 패널(P)을 보유할 수 있게 되고, 지지장치(1)에 대해 돌출한 광기전 패널의 실장을 가능하게 한다.
도 5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2)은 특히 구조물의 러그(32) 및 볼트와 같은 락킹부재(34)을 매개로 다수의 소자들(22, 23, 24, 25, 26, 27)의 어셈블리로 인해 발생한다.
소자들 중 일부는 참조문헌 WO2013/153329A의 장치를 보유하기 위한 소자들 대신에 셋팅을 위한 리브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소자(26)는 패널의 측면을 보유하도록 되어 있는 보유용 소자의 셋팅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리브(12)를 갖는다. 반대편의 또 다른 소자(27)는 패널의 다른 측면을 보유하도록 되어 있는 보유용 소자의 셋팅을 위한 리브(12)를 갖는다.
그러나, 보유용 소자들은 당업자에 알려진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보유용 소자에 대한 이와 같은 다른 체결장치들, 특히 클램핑 시스템, 나사를 갖는 체결시스템, 스냅핏 시스템, 캠 시스템, 또는 당업자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체결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유지보수 동작을 위해 광기전 패널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도록 착탈식 타입의 체결 시스템이 바람직하다. 이점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유용 소자들은 상기 장치(1)의 2 측면에서 측면으로 돌출한 광기전 패널(P)을 실장하게 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널용의 복수의 모듈식 지지장치(1)를 포함한 광기전 설비를 반송하기 위한 하나의 장비에 관한 것이다.
장비의 패널용 모듈식 지지장치(1)는 이들의 결합소자들에 의해 직접으로(도 7, 8 또는 도 20 및 21 참조) 또는 이들의 결합소자들과 연결소자들(7,7')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부유장치(1,7)(또는 1,7')의 네트워크(R)를 형성하도록 함께 어셈블리되게 되어 있다.
네트워크의 부유장치(1,7)(또는 1,7')는 수역의 두 방향을 따라 뻗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령 도 20 및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플로트 미도시), 상기 장치의 구조물(2)은 구조물(2)에 실린 광기전 패널(P)의 치수에 대해 큰 치수로 될 수 있다. 네트워크의 구조물(2)의 큰 부분들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비제한인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자의 유지보수를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특히 구조물(2)은 네트워크의 지지장치들의 동일한 행에 속하는 구조물(2)의 큰 부분들이 조작자의 유지보수를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식으로 구성된다. 이런 실시예는 지지장치들(1)이 결합소자들(3)에 의해 이들 사이에 직접 어셈블리될 때 특별한 적용을 갖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와 같은 장비는 모듈식, 바람직하게는 부유식 연결소자(7)를 포함한다.
예컨대, 각 연결소자는 플라스틱 엔벨로프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엔벨로프는 상기 연결소자가 뜨는 것을 보장할 수 있게 하는 내부 공간을 둘러싼다. 상기 연결소자의 이 플라스틱 엔벨로프는 하부 벽, 상부 벽 및 4개의 측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소자(7)의 밀봉된 엔벨로프는 플러그에 의해 막히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송풍압출, 로토몰딩에 의해 상기 연결소자(7)의 반강체 플라스틱 엔벨로프를 얻을 수 있다.
대안으로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각 연결소자(7')는:
- 부유장치가 네트워크(R)를 형성하도록 하는 식으로 부유장치(1)에 결합하기 위한 상기 결합소자(3)를 포함하는 구조물(70);
- 장치가 부유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구조물(70)에 단단히 연결된 하나 또는 다수의 플로트들(71)을 포함한다.
상기 구조물(70)은 이점적으로 상기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71)에 네트워크의 힘들을 전달하지 않고 네트워크(R)의 플로팅 장치들(1,7') 간에 힘들을 전달하도록 하는 식으로 상기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71)과 별개의 소자이다.
구조물(70)은 플라스틱의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된 소자일 수 있다. 이 구조물은 몰딩, 로토몰딩, 송풍압출 또는 플라스틱을 변형하기 위한 다른 방법들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구조물은 네트워크의 힘들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벽 두께는 결합소자(3)에 대해 3mm 이상, 바람직하게는 10mm 이상 클 수 있다. 재료의 소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구조물은 가령 도 6에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바디일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플라스틱 소자는 천공된 바디, 예컨대 격자식 바디일 수 있다. 대안으로, 구조물(70)은 나사체결 시스템, 스트랩 시스템 또는 스냅핏 시스템에 의해 다수의 소자들(미도시)의 어셈블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소자(3)는 돌출러그(32)일 수 있다.
상기 연결소자(7')의 플로트들(71) 및 플로트들 중 각 하나는 반강체 플라스틱 엔벨로프 또는 팽창소자일 수 있다.
더욱이, 장비는 상기 연결소자(7)와 상기 지지장치(1)의 결합소자들 간에 어셈블리를 가능하게 하며 상기 연결소자(7)와 상기 지지장치(1) 사이에 분포된 결합소자들(3)을 갖는다.
예컨대, 결합소자들(3)은 장치(1)의 돌출러그(32)와 상기 결합소자들의 돌출러그(32)이다. 상기 장비는 락킹부재(34)(볼트)를 포함하고, 각 부재는 어셈블리의 고정을 보장하기 위해 마주보게 배치된 다수의 러그들을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러그(32)에는 상기 연결소자들(7 또는 7')의 4개 코너들이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가능하게, 엘라스토머 스탬프가 동일한 락킹부재(34)에 의해 통과한 러그들 간에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장비의 모듈소자의 어셈블리로 인해 발생한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1)의 적어도 2행들(R1,R2)을 가질 수 있고, 상기 2행들은 삽입된 연결소자들(7)의 행(R3)에 의해 보유될 수 있다. 연결소자들의 이 행(R3)은 연속 또는 불연속으로 유지보수 통로를 구성할 수 있다.
부유연결소자(7)(또는 7')는 조작자가 이동할 수 있는 연속 유지보수 통로와 같이 형성된 단부 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보폭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연결소자(7)(또는 7')의 상부면은 주름식이거나 엠보싱될 수 있거나 파지에 알맞는 또 다른 양각을 가질 수 있다. 대안으로, 행(R3)의 연결소자(7)(또는 7')는 가령 불연속 유지보수 통로를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행(R1)에 속하는 2개의 연속지지장치(1)는 연결소자(7), 심지어 나란히 상기 연이은 장치들(1)을 고정시키는 2개의 연결소자(7)에 의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령, 연결소자는 행(R1)의 지지장치의 결합소자에 고정된 결합소자 및 동일한 행(R1)에서 연속한 지지장치의 결합소자에 고정된 결합소자를 갖는다.
2개의 연속 지지장치들(1) 간에 자유공간은 행(R1)의 방향을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더 크게 광기전 패널(P)의 실장을 인가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및 동일한 목적으로, 동일한 행(R4)에 속하는 2개의 연속지지장치들(1)은 지지장치(1)에 의해 상기 연속지지장치들(1)을 고정시키는 인접한 지지장치들(R5)의 행에서 이격될 수 있다.
도 1은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라 지지장치들(1)을 고정시키는 2개의 연결소자들(7)을 이용해 이격된 행(R1)의 2개의 연속지지장치들(1)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비제한적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지지장치들(1)을이용해 2개의 인접한 행들로부터 이격된 동일한 행의 2개의 연속지지장치들(1)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비제한적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연속지지장치들을 각각 고정시키는 연결소자와 지지장치를 이용해 이격된 동일한 행의 2개의 연속지지장치들(1)을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의 예에 따르면, 지지장치(1)는 체크무늬 형태에 따른 예로서, 이들의 결합소자들(즉, 이들의 러그들)에 의해 직접 어셈블리된다.
지지장치들의 동일한 행의 패널들은 바람직하게는 평행하며 수면에 대해 동일한 기울이기를 갖는다. 인접한 행의 장치들의 패널은 동일한 기울기로 평행할 수 있거나 도 8에 따른 반대 경사각도에 따라 지향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지지장치(1) 및 연결소자의 결합소자(3)는 한편으로는 지지장치와 상응하게 연결소자의 어셈블리를, 다른 한편으로는, 2개의 지지장치를 고정시키는 연결소자의 어셈브리를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상응하는 것으로 어셈블리를 위해; 2개의 결합소자들, 특히 지지장치의 2개의 러그들은 2개의 결합소자들, 특히, 상기 연결소자(7)의 2개의 러그들과 각각 어셈블리된다.
고정시키는 것으로 어셈블리를 위해, 연결소자(7)의 결합소자들 중 하나는 제 1 장치(1)의 결합소자에 어셈블리되고 상기 연결소자(7)의 또 다른 결합소자는 제 2 지지장치(1)의 결합소자에 어셈블리된다. 가능하기로, 이들 2개 타입의 어셈블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합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상기 구조물(2)과 플로트들(4)과 가능하게는 패널의 경사를 가능하게 하는 소자들(60,61)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소자들(7)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이들 다양한 소자들은 구성 세트와 같이 현장에서 신속히, 바람직하게는 도구 없이 어셈블리되게 되어 있다. 이들 소자들은 바람직하게는 유지보수 동안 손상된 소자만 신속히 바꿀 수 있도록 그러한 방식으로 쉽게 제거된다.
당연히, 그러나 하기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는 다른 실시예들도 고려할 수 있다.
1. 패널용 부유지지장치
2. 네트워크의 힘을 전달하기 위한 구조물
20. 중공바디(구조물)
21. 특히 추가된, 천공 바디(구조물)
22,23,24,25,26 소자(구조물)
3. 결합소자
30. 결합소자(장치 1)
31. 결합소자(연결소자 7)
32. 러그
34. 락킹부재
4. 플로트
40. (도 15 내지 도 19에 따른 각뿔대와 같이) 밀봉된 반개방형 바디
41. 상부벽
42 내지 45. 4개 측면을 갖는 피라미드의 측벽
5. 나사체결 시스템
60,61. 2개의 광기전 패널들을 경사지게 하는 소자들
7. (일체의) 연결소자들
7'. (다수의 부분들의) 연결소자들
70. 네트워크의 힘을 전달하기 위한 구조물(소자 7')
71. 플로트(소자 7')
10. 체결리브(하단)
11. 체결리브(상단)
12. 체결리브
Am. 유지보수용 통로
P. 광기전 패널
R. 부유장치의 네트워크
R1,R2; R4,R5. 패널용 지지장치의 행
R3. 연결소자의 삽입된 행

Claims (28)

  1. 부유장치의 네트워크(R)가 형성되게 하는 식으로 다른 부유장치들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소자들(3)을 구비한 구조물(2);
    장치가 뜨는 것을 보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구조물(2)에 단단히 연결된 하나 또는 복수의 플로트들(4); 및
    적어도 하나의 광기전 패널(P)을 보유하기 위한 소자들을 구비하고,
    상기 구조물(2)은 네트워크에서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4)로 힘을 전달하지 않고 네트워크(R)의 부유장치들(1,7) 간에 힘이 전달되게 하도록 상기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4)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소자인 광기전 패널용 부유지지장치(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2)은 일체의 플라스틱 소자인 광기전 패널용 부유지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소자는 바람직하게는 밀봉된 중공바디(20)인 광기전 패널용 부유지지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소자는 천공식, 가령 격자식 바디(21)인 광기전 패널용 부유지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2)은 바람직하게는 착탈식으로 다수의 소자들(22,23,24,25,26)의 어셈블리로 인해 발생한 광기전 패널용 부유지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들(22,23,24,25,26)은 나사체결 시스템, 스트랩 시스템, 또는 스냅핏 시스템에 의해 어셈블리되는 광기전 패널용 부유지지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소자들(3)은 돌출러그들(32)을 포함하는 광기전 패널용 부유지지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2)의 상기 소자들(22,23,24,25,26)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러그들(32)을 포함하고, 상기 소자들(22,23,24,25,26)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소자들(22, 25; 23, 25; 23, 24; 22, 24, 등)로부터 적어도 2개에 각각 속하는 마주보는 러그들(32)을 매개로, 그리고 상기 러그들(32)을 관통하는 볼트와 같은 락킹부재들(34)을 매개로 함께 어셈블리되는 광기전 패널용 부유지지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조물(2)은 상기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4)에 대해 측면으로 상기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의 주변 위에 연속으로 돌출한 것으로 제공되는 광기전 패널용 부유지지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조물(2)과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은 나사체결 시스템(5), 스트랩 시스템 또는 스냅핏 시스템에 의해 함께 단단히 연결되는 광기전 패널용 부유지지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면에 대해 상기 적어도 광기전 패널(P)을 포함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지지소자들(60,61)을 갖는 광기전 패널용 부유지지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용 소자들은 상기 장치(1)의 두 면들에서 측면으로 돌출한 광기전 패널의 실장을 가능하게 하는 식으로 배열된 광기전 패널용 부유지지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로트들 또는 플로트들(4)의 각 하나는 공기 부피를 둘러싼 플라스틱 엔벨로프로 구성되는 광기전 패널용 부유지지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로트들 또는 플로트들의 각 하나는 팽창소자인 광기전 패널용 부유지지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로트들 또는 플로트들(4)의 각 하나는 공기 부피를 가두는 하방으로 개방된 포켓을 형성하는 식으로 구조물에 단단히 밀봉 연결된 각뿔대 또는 절단된 원뿔로서 반개방형 바디(40)를 구비하는 광기전 패널용 부유지지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로트들 또는 플로트들(4)은 상기 구조물(2)의 하부면에 실린 구조물(2)에 단단히 연결된 광기전 패널용 부유지지장치.
  17. 제 12 항에 따른 지지장치(1)와 상기 장치(1)에 의해 유지되고, 상기 장치(1)에 대해 측면으로 돌출해 제공되어 있는 광기전 패널(P)을 구비한 어셈블리.
  18. 부유장치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어셈블리될 수 있는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패널에 대해 복수의 모듈식 지지장치(1)를 포함한 광기전 설비를 반송하기 위한 장비.
  19. 제 18 항에 있어서,
    모듈식 부유연결소자(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비는 상기 연결소자(7)와 상기 지지장치(1)의 결합소자 간에 어셈브리를 가능하게 하며 상기 연결소자(7,7')와 상기 지지장치(1) 사이에 분포된 결합소자들(3)을 갖는 광기전 설비를 반송하기 위한 장비.
  20. 제 19 항에 있어서,
    각 부유연결소자(7)는 상기 연결소자가 뜨는 것을 보장할 수 있게 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플라스틱 엔벨로프 형태이며, 상기 엔벨로프는 상기 결합소자들(3)을 갖는 광기전 설비를 반송하기 위한 장비.
  21. 제 19 항에 있어서,
    각 연결소자(7)는:
    - 부유장치가 네트워크(R)를 형성하게 하는 식으로 부유장치(1)에 결합하기 위한 상기 결합소자(3)를 포함한 구조물(70);
    - 장치가 뜨는 것을 보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구조물(70)에 단단히 연결된 하나 또는 다수의 플로트들(71)을 구비하고,
    상기 구조물(70)은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71)에 네트워크의 힘을 전달하지 않고, 상기 네트워크(R)의 부유장치들(1,7) 간에 힘을 전달하도록 하는 식으로 상기 플로트 또는 플로트들(71)에서 이격된 소자인 광기전 설비를 반송하기 위한 장비.
  22.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소자(3)는 돌출러그이며, 상기 장비는 어셈블리의 고정을 보장하도록 마주보며 배치된 다수의 러그들을 관통하도록 되어 있는 핀 또는 볼트와 같은 락킹부재를 포함한 광기전 설비를 반송하기 위한 장비.
  23. 부유장치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결합소자들을 매개로 집적으로 또는 삽입된 연결소자들(7,7')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제 18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비에 대한 지지장치의 어셈블리로 인해 발생한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2개의 행들(R1,R2)을 갖고, 상기 2개의 행들은 상기 삽입된 연결소자들(7)의 행(R3)에 의해 유지되는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동일한 행(R1)에 속하는 2개의 연속지지장치들(1)은 상기 연속장치들(1)을 나란히 고정시키는 연결소자(7), 심지어 2개의 연결소자들(7)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는 시스템.
  26. 제 23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일한 행(R4)에 속하는 2개의 연속지지장치들(1)은 상기 연속장치들(1)을 나란히 고정시키는 지지장치의 인접한 행(R5)에 속하는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에 의해 이격되어 있는 시스템.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1)의 구조물(2)은 네트워크(R)의 지지장치의 동일한 행에 속하는 구조물(2)의 돌출한 부분들이 조작자의 유지보수를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식으로 구성된, 구조물(2)에 의해 생겨난 광기전 패널(P)의 치수에 대해 큰 치수로 되는 시스템.
  28. 부유 광기전 설비를 반송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1), 제 18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비, 또는 제 23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스템의 사용.
KR1020167018176A 2013-12-16 2014-12-12 광기전 패널용 부유지지장치 KR1022832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62700A FR3014830B1 (fr) 2013-12-16 2013-12-16 Dispositif flottant support de panneau photovoltaique
FR1362700 2013-12-16
PCT/FR2014/053323 WO2015092237A1 (fr) 2013-12-16 2014-12-12 Dispositif flottant support de panneau photovolta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154A true KR20160096154A (ko) 2016-08-12
KR102283253B1 KR102283253B1 (ko) 2021-07-29

Family

ID=50780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176A KR102283253B1 (ko) 2013-12-16 2014-12-12 광기전 패널용 부유지지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9849945B2 (ko)
EP (1) EP3083392B1 (ko)
JP (1) JP6559682B2 (ko)
KR (1) KR102283253B1 (ko)
CN (1) CN106061833B (ko)
AU (1) AU2014369622B9 (ko)
BR (1) BR112016013884B1 (ko)
CA (1) CA2933631A1 (ko)
ES (1) ES2689653T3 (ko)
FR (1) FR3014830B1 (ko)
IL (1) IL246229B (ko)
MX (1) MX2016007874A (ko)
MY (1) MY177841A (ko)
PH (1) PH12016501172B1 (ko)
PT (1) PT3083392T (ko)
WO (1) WO20150922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68282B2 (ja) * 2014-03-31 2019-02-13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ソーラパネル用フロートの連結構造
ITUB20153078A1 (it) 2015-08-12 2017-02-12 Nrg Energia S R L Elemento galleggiante per realizzare strutture galleggianti per il supporto di pannelli fotovoltaici e metodo per produrre detto elemento galleggiante
CN105871308B (zh) * 2016-04-01 2018-02-16 淮南阳光浮体科技有限公司 一种漂浮式光伏电站及其锚固系统
CN105827191A (zh) * 2016-05-23 2016-08-03 青岛迪玛尔海洋工程有限公司 一种半潜浮动式光伏发电系统
US10723422B2 (en) * 2016-06-29 2020-07-28 Concept Clean Energy, Llc Photovoltaic array system and method
MX2019002761A (es) 2016-09-20 2019-08-14 Solarisfloat Lda Conectores para plataforma de soporte modular.
MX2019002759A (es) * 2016-09-26 2019-05-09 Solarisfloat Lda Modulo flotante para plataformas de paneles solares modulares.
JP6933795B2 (ja) * 2016-12-27 2021-09-08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ソーラパネル用のフロート
FR3069741A1 (fr) * 2017-07-27 2019-02-01 Ciel Et Terre International Procede de fabrication d'un dispositif support pour panneau photovoltaique
JP6666966B2 (ja) * 2017-08-14 2020-03-18 ▲長▼江勘▲測▼▲規▼▲劃▼▲設▼▲計▼研究有限▲責▼任公司 離散型操作および保守チャネルのための独立支持される水面太陽光発電システムとその設置方法
FR3071221B1 (fr) 2017-09-18 2020-01-31 Ciel Et Terre International Equipement pour la realisation d'une installation photovoltaique flottante
CN108063592B (zh) * 2018-01-08 2023-06-27 长江勘测规划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一种多功能踏板插拔式水面光伏发电系统
CN108706079A (zh) * 2018-04-04 2018-10-26 宿州诺亚坚舟光伏科技有限公司 一种漂浮式水上浮体阵列
CN108706080A (zh) * 2018-04-04 2018-10-26 宿州诺亚坚舟光伏科技有限公司 一种漂浮式水上浮体
WO2020044403A1 (ja) * 2018-08-27 2020-03-05 株式会社環境資源開発コンサルタント 水上設置太陽光発電装置
FR3087083B1 (fr) 2018-10-09 2020-10-30 Ciel Et Terre Dispositif electronique flottant et centre de donnees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FR3088233B1 (fr) 2018-11-08 2020-12-11 Ciel Et Terre Int Procede d'obtention d'une installation photovoltaique flottante
FR3093991B1 (fr) * 2019-03-20 2022-08-05 Cubisystem Sarl Structure flottante comprenant une pluralité de blocs flottants modulaires
CN109911135A (zh) * 2019-03-29 2019-06-21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漂浮光伏电站及其承载系统
US11447216B2 (en) 2019-05-23 2022-09-20 Sean A. Barnes Floating platform
US11745838B2 (en) 2019-05-23 2023-09-05 Sean A. Barnes Boat lift construct
BR112022003313A2 (pt) 2019-08-22 2022-05-24 Flotaics Llc Sistema solar flutuante
US11685483B2 (en) * 2020-03-26 2023-06-27 Yonghua Wang Inflatable non-imaging non-tracking solar concentrator based solar powered electric ships
FR3109568B1 (fr) * 2020-04-28 2024-04-26 Ciel Et Terre Int Installation solaire flottante
WO2022045893A1 (en) * 2020-08-31 2022-03-03 Profloating B.V.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sign of a floating photovoltaic installation
FR3114296B1 (fr) * 2020-09-18 2022-09-09 Cubisystem Structure flottante pour former un barrage flottant
EP4001087A1 (en) * 2020-10-26 2022-05-25 Sean A. Barnes Floating construct
ES2828225A1 (es) * 2020-12-10 2021-05-25 Baez Cristian Javier Martin Estructura modular de soporte para instalaciones solares
US20240043094A1 (en) * 2020-12-23 2024-02-08 Solarduck Holding B.V. Articulated floating structure
KR20240063810A (ko) 2021-05-19 2024-05-10 헬리오슬라이트 부유형 태양광 시스템 조립 방법 및 이에 대응하는 시스템
CN114701596A (zh) * 2022-04-06 2022-07-05 奕江山环境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浮岛柔性连接件
WO2024105283A1 (es) * 2022-11-15 2024-05-23 Isigenere, S.L. Sistema flotante para paneles fotovoltaicos
WO2024105285A1 (es) * 2022-11-18 2024-05-23 Isigenere, S.L. Flotador de pasarela para sistema flotante para paneles fotovoltaicos y sistema flotante para paneles fotovoltaicos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9486A (ja) * 1999-12-28 2001-07-10 Kawasaki Steel Corp 水上設置用太陽電池発電装置
JP2003069063A (ja) * 2001-08-28 2003-03-07 Takiron Co Ltd 覆蓋パネル装置
JP2004071965A (ja) * 2002-08-08 2004-03-04 Sharp Corp 水上用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水上用太陽電池電源装置ならびに水上用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使用方法
KR20080093477A (ko) * 2007-04-17 2008-10-22 (주)에코리소스랩 발광 부력통
KR20080104248A (ko) * 2008-11-18 2008-12-02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태양광 발전장치
JP2010199366A (ja) * 2009-02-26 2010-09-09 Kyocera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
WO2012139998A2 (fr) * 2011-04-15 2012-10-18 Ciel Et Terre Dispositif support de panneau
KR20130085110A (ko) * 2012-01-19 2013-07-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태양전지
KR20130110932A (ko) * 2012-03-30 2013-10-10 조계찬 부력체 고정장치를 갖는 부유식 태양전지판의 지지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7729A (ja) * 1994-12-12 1996-06-25 Kubota Corp 独立浮遊型太陽電池モジュール
US5746839A (en) * 1996-04-08 1998-05-05 Powerlight Corporation Lightweight, self-ballasting photovoltaic roofing assembly
US20080029148A1 (en) 2004-10-29 2008-02-07 Thompson Daniel S Floating support structure for a solar panel array
US20070234945A1 (en) * 2005-11-28 2007-10-11 Khouri Bruce M Photovoltaic floatation device
CN101143616B (zh) * 2006-08-18 2011-12-28 潘戈 一种太阳能发电水上专用平台
IT1392792B1 (it) * 2008-12-02 2012-03-23 Daiet S R L Impianto fotovoltaico galleggiante
EP2531780A4 (en) 2010-02-02 2014-02-19 C & L Pastoral Company Pty Ltd DRIVE DEVICE FOR SOLAR PANELS
FR2968070B1 (fr) * 2010-11-30 2015-01-09 Active Innovation Man Panneau solaire flottant et installation solaire constituee d'un assemblage de tels panneaux.
TWM419900U (en) * 2011-09-02 2012-01-01 Sunny Rich Power Co Ltd Waterborne solar power device (I)
DE102012100759A1 (de) * 2012-01-31 2013-08-01 Christof Zosel Plattenförmiger Schwimmkörper und Anordnung von plattenförmigen Schwimmkörpern
WO2013116897A1 (en) 2012-02-08 2013-08-15 Water Innovations Power And Technology Holdings Pty Ltd Solar generator platform
FR2989154A1 (fr) 2012-04-10 2013-10-11 Ciel Et Terre Procede de fixation de panneau photovoltaique.
CN103395480A (zh) * 2013-08-06 2013-11-20 山东华业风能设备有限公司 漂浮式太阳能电站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9486A (ja) * 1999-12-28 2001-07-10 Kawasaki Steel Corp 水上設置用太陽電池発電装置
JP2003069063A (ja) * 2001-08-28 2003-03-07 Takiron Co Ltd 覆蓋パネル装置
JP2004071965A (ja) * 2002-08-08 2004-03-04 Sharp Corp 水上用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水上用太陽電池電源装置ならびに水上用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使用方法
KR20080093477A (ko) * 2007-04-17 2008-10-22 (주)에코리소스랩 발광 부력통
KR20080104248A (ko) * 2008-11-18 2008-12-02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태양광 발전장치
JP2010199366A (ja) * 2009-02-26 2010-09-09 Kyocera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
WO2012139998A2 (fr) * 2011-04-15 2012-10-18 Ciel Et Terre Dispositif support de panneau
KR20130085110A (ko) * 2012-01-19 2013-07-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태양전지
KR20130110932A (ko) * 2012-03-30 2013-10-10 조계찬 부력체 고정장치를 갖는 부유식 태양전지판의 지지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3083392T (pt) 2018-10-31
BR112016013884A2 (ko) 2017-08-08
IL246229A0 (en) 2016-07-31
PH12016501172A1 (en) 2016-08-15
MY177841A (en) 2020-09-23
ES2689653T3 (es) 2018-11-15
CN106061833A (zh) 2016-10-26
CA2933631A1 (fr) 2015-06-25
AU2014369622B9 (en) 2018-07-26
FR3014830B1 (fr) 2017-02-17
BR112016013884B1 (pt) 2022-09-27
US9849945B2 (en) 2017-12-26
JP6559682B2 (ja) 2019-08-14
WO2015092237A1 (fr) 2015-06-25
US20160368577A1 (en) 2016-12-22
EP3083392B1 (fr) 2018-07-04
FR3014830A1 (fr) 2015-06-19
CN106061833B (zh) 2020-02-28
JP2017501079A (ja) 2017-01-12
EP3083392A1 (fr) 2016-10-26
IL246229B (en) 2021-07-29
AU2014369622B2 (en) 2018-07-19
MX2016007874A (es) 2017-02-28
AU2014369622A1 (en) 2016-07-07
KR102283253B1 (ko) 2021-07-29
PH12016501172B1 (en) 2016-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6154A (ko) 광기전 패널용 부유지지장치
US20200331570A1 (en) Float, float assembly, and method for installing float assembly
JP5934263B2 (ja) 太陽光パネル支持体
US8292117B2 (en) Stackable water holding tank
US9832941B2 (en)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BR112015000148B1 (pt) Estrutura de superfície de planta, elemento de base e método para formar uma estrutura de superfície de planta
US20110232183A1 (en) Water supply and wetness adjustment flowerpot assembly
KR101827520B1 (ko) 블록 조립형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KR101987194B1 (ko) 상변이물질을 포함한 태양광 전지모듈
JPWO2018047625A1 (ja) 育苗装置、育苗装置に用いられる支持装置及びセルプラグ
KR20200090746A (ko) 부유식 태양광 설비를 생산하기 위한 장비
US9578818B2 (en) Modular reservoir wick
KR102176931B1 (ko) 자석홀더를 구비한 식물 재배판
KR101615553B1 (ko) 부체 및 이를 이용한 해상구조물
CN111418149A (zh) 光伏板支撑体
WO2014131928A1 (es) Sistema modular de suspension de plantas macrofitas para la depuracion natual de aguas
KR20200000769U (ko) 일체형 부력체 및 일체형 부력체의 제조를 위한 회전 성형틀
KR101452408B1 (ko) 배수 및 식생이 가능한 블록고정 지지판
JP2004245032A (ja) 植栽用トレー設置構造
ES2198293T3 (es) Soporte para esquejes de plantas.
ES2742236T3 (es) Elemento flotante para realizar estructuras flotantes para soportar paneles fotovoltaicos y método para producir dicho elemento flotante
US20120137580A1 (en) System, watering device and method for developing roots on plant cuttings
JP6458178B1 (ja) フロートユニット、フロートおよび浮体構造物
CN202565845U (zh) 长轨支撑装置及系统
KR101720631B1 (ko) 조립식 물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