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5314A - 터치 스크린 패널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5314A
KR20160095314A KR1020150016357A KR20150016357A KR20160095314A KR 20160095314 A KR20160095314 A KR 20160095314A KR 1020150016357 A KR1020150016357 A KR 1020150016357A KR 20150016357 A KR20150016357 A KR 20150016357A KR 20160095314 A KR20160095314 A KR 20160095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touch
electrode
sensing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0037B1 (ko
Inventor
구소영
이종찬
강윤호
조선행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6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037B1/ko
Priority to US14/833,358 priority patent/US9791987B2/en
Publication of KR20160095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기판, 기판의 터치 영역에 위치하며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터치 전극, 터치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터치 전극과 연결되어 있고 일단에 연결된 패드를 가지는 연결 배선을 포함하고, 패드는 제1 패드, 상기 제1 패드 위에 위치하며 제1 패드의 경계선 내에 위치하는 제2 패드, 상기 제2 패드의 상면 및 측면을 덮고 있는 제3 패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의 표시 장치, 휴대용 전송 장치, 그 밖의 정보 처리 장치 등은 다양한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 이러한 입력 장치로서 터치 감지 장치를 구비하는 입력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터치 감지 기능은 사용자가 화면 위에 손가락이나 터치 펜(touch pen) 등을 접근하거나 접촉하여 문자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경우 표시 장치가 화면에 가한 압력, 전하, 빛 등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물체가 화면에 접근하거나 접촉하였는지 여부 및 그 접촉 위치 등의 접촉 정보를 알아내는 것이다. 표시 장치는 이러한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를 입력 받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감지 기능은 터치 센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 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전자기 공진형(electromagnetic resonance type, EMR), 광 감지 방식(optical type) 등 다양한 터치 감지 방식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센서의 경우 서로 마주하여 이격되어 있는 두 전극이 외부 물체에 의한 압력에 의해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두 전극이 서로 접촉되면 그 위치에서의 저항 변화에 따른 전압 변화를 인지하여 접촉 위치 등을 알아낼 수 있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는 감지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감지 전극으로 이루어진 감지 축전기를 포함하고, 손가락과 같은 도전체가 센서에 접근할 때 발생하는 감지 축전기의 정전 용량(capacitance)의 변화를 감지하여 접촉 여부와 접촉 위치 등을 알아낼 수 있다. 정전 용량 방식은 사용자가 언제나 터치 스크린을 접촉하여야 터치가 감지될 수 있으며 도전성 물체에 의한 접촉이 필요하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최근 개발되고 있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플렉서블 전자 장치의 플렉서블한 특성으로 인해서 터치 스크린의 전극 또한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유연성(flexibility)을 가지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유연성을 가지는 전극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은 나노 와이어(AgNW) 등의 금속 나노 와이어, 탄소 나노 튜브, 그래핀(graphene), 메탈 메쉬(metal mesh), 도전성 폴리머 등의 다양한 재료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재료들은 전도성이 낮아, 터치 스크린의 패드에 전도성을 보완하기 위해서 구리 등의 저저항 금속으로 별도의 패드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패드는 외부 신호가 인가되는 것으로, 노출될 경우 쉽게 산화되어 부식이 발생하고, 이는 터치 센서 전체로 확산되어 스크린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저저항 금속을 사용하면서도 패드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기판, 기판의 터치 영역에 위치하며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터치 전극, 터치 전극과 연결되어 있고 일단에 연결된 패드를 가지는 연결 배선을 포함하고, 패드는 제1 패드, 상기 제1 패드 위에 위치하며 제1 패드의 경계선 내에 위치하는 제2 패드, 상기 제2 패드의 상면 및 측면을 덮고 있는 제3 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3 패드는 제2 패드의 경계선 밖에 위치하는 제1 패드의 상면과 접촉할 수있다.
상기 제1 패드와 제3 패드는 투명한 도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패드는 구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드는 기판 위에 위치하며 제1 패드와 중첩하는 제4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패드는 금속 나노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은 투명한 도전물질로 이루어지는 제1 전극, 제1 전극 위에 위치하며 투명한 도전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은 기판 위에 위치하며 제1 전극과 중첩하는 제3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전극은 금속 나노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은 행렬로 배치되고, 패드와 인접할수록 터치 전극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전극의 배치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 및 III'-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다음 단계에서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배치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 및 VI'-V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다음 단계에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그리고 "~위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은 도시한 바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와 연결된 감지 신호 제어부(8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외부 물체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로서, 여러 방식의 터치 센서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터치 센서는 표시 패널 또는 별도의 터치 패널 안에 포함되어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센서가 터치 패널에 포함된 예를 주로 설명한다. 여기서 터치란 표시 패널 또는 터치 패널에 외부 물체가 직접 접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접근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기판(100)의 액티브 영역(active area)에 위치하는 복수의 터치 전극(Sx) 및 터치 전극(Sx)과 연결된 복수의 연결 배선(RL)을 포함한다. 액티브 영역(active area)은 터치가 가해지고 터치가 감지될 수 있는 영역으로서 예를 들어 표시 패널의 경우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의 경우 터치 영역일 수 있으며 표시 패널 안에 터치 패널이 내장될 경우 터치 영역은 표시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이후 액티브 영역을 터치 영역(touch area)이라고도 한다.
복수의 터치 전극(Sx)은 행렬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단면 구조로 볼 때 서로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터치 전극(Sx)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 물질과, 금속 나노와이어(metal nanowire)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금속 나노 와이어는 은(Ag) 나노 와이어 일 수 있다.
터치 전극(Sx)의 모양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터치 전극(Sx)은 터치 감도를 높이기 위해 가장자리 변에 형성된 복수의 요철을 포함(도시하지 않음)할 수 있다. 터치 전극(Sx)의 가장자리 변이 복수의 요철을 포함하는 경우 이웃한 터치 전극(Sx)의 요철형 가장자리 변은 서로 맞물려 있을 수 있다.
터치 전극(Sx)의 한 변의 길이는 대략 수mm, 예를 들어 대략 10mm 이하, 더 구체적으로 대략 4mm 내지 대략 5mm일 수 있으나 터치 감지 해상도에 따라 터치 전극(Sx)의 크기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복수의 터치 전극(Sx)은 터치 영역 안에서 서로 분리되어 있고, 서로 다른 터치 전극(Sx)은 서로 다른 연결 배선(RL)을 통해 감지 신호 제어부(80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전극(Sx)은 각각 연결 배선(RL)을 통해 감지 신호 제어부(800)로부터 감지 입력 신호를 입력받고 접촉에 따른 감지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감지 신호 제어부(800)로 보낼 수 있다. 각 터치 전극(Sx)은 자가 감지 축전기(self sensing capacitor)를 형성하여 감지 입력 신호를 입력 받은 후 소정 전하량으로 충전될 수 있다. 이후 손가락 등의 외무 물체의 접촉이 있으면 자가 감지 축전기의 충전 전하량에 변화가 생겨 입력된 감지 입력 신호와 다른 감지 출력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감지 출력 신호를 통해 접촉 여부, 접촉 위치 등의 접촉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연결 배선(RL)은 터치 전극(Sx)과 감지 신호 제어부(800)를 연결하여 감지 입력 신호 또는 감지 출력 신호를 전달한다. 연결 배선(RL)은 터치 전극(Sx)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으며, 터치 전극(Sx)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결 배선(RL)은 터치 전극(Sx)과 다른 층에 위치하며 별도의 연결부를 통해 터치 전극(Sx)과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감지 신호 제어부(800)에 가까워질수록 터치 전극(Sx) 열 사이에 배치된 연결 배선(RL)의 수가 많아진다. 따라서 터치 전극(Sx)의 크기는 감지 신호 제어부(800)에 가까울수록 작아질 수 있다.
연결 배선(RL)의 폭은 대략 10um 이상 100um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터치 전극(Sx)과 연결 배선(RL)의 연결 부분은 폭이 급격히 커지거나 작아지는 병목부(bottle neck portion)를 형성할 수 있다.
감지 신호 제어부(800)는 터치 패널의 터치 전극(Sx)과 연결되어 터치 전극(Sx)에 감지 입력 신호를 전달하고 감지 출력 신호를 입력받는다. 감지 신호 제어부(800)는 감지 출력 신호를 처리하여 접촉 여부 및 접촉 위치 등의 접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감지 신호 제어부(800)는 터치 패널과 별도의 인쇄 회로 기판 위에 위치하여 터치 패널과 연결될 수도 있고, 터치 패널상에 집적 회로 칩의 형태 또는 TCP 형태로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기판(100) 위에 집적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의 층간 구성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전극의 배치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III'선 및 III'-I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은 기판(100), 기판(100)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행렬을 이루는 복수의 터치 전극(Sx)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터치 전극(Sx)은 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터치 전극(Sx)은 연결 배선(RL)을 통해서 패드(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배선(RL)은 입력 신호를 터치 전극(Sx)에 입력하거나 출력 신호를 패드(300)를 통해서 감지 신호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
연결 배선(RL)의 대부분은 터치 전극(Sx)이 형성된 터치 영역(TA) 내에 위치하며, 터치 영역(TA) 밖의 주변 영역(PA)에 위치하는 패드(300)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즉, 연결 배선(RL)은 패드(300)와 마주하는 터치 전극(Sx)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웃하는 두 터치 전극(Sx) 사이에 위치한다.
이처럼, 연결 배선(RL)을 터치 전극(Sx) 사이에 위치시키면 패드(300)가 형성되지 않는 주변 영역(PA)의 폭을 더욱 줄일 수 있다.
터치 전극(Sx)은 패드(300)와 인접할수록 터치 전극(Sx)의 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이는 연결 배선이 터치 전극(Sx)의 일측으로부터 굽힘 없이 직선으로 패드(300)와 연결되기 때문으로, 연결 배선(RL)의 폭 및 연결 배선 사이의 간격만큼 터치 전극(Sx)의 폭이 줄어든다.
따라서, 패드(300)와 가장 멀리 위치하는 행부터 가까워지는 순으로 제1 행 내지 제4행이라 하면, 패드와 가장 멀리 위치하는 제1 행의 터치 전극(Sx)의 면적이 가장 넓고, 패드와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제4행의 터치 전극(Sx)의 면적이 가장 작다. 이는 제4행에 위치하는 터치 전극(Sx) 사이에 제1행, 제2행 및 제3행의 터치 전극(Sx)과 연결되는 연결 배선(RL)이 모두 지나가기 때문이다.
도 2에서는 3열 4행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그 보다 많은 수의 행열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전극(Sx)은 연결 배선(RL)을 통해 감지 입력 신호를 입력 받은 후 소정 전하량으로 충전된다. 이후, 손가락 등의 외부 물체에 의한 접촉이 있으면 자가 감지 축전기의 충전 전하량에 변화가 생겨 입력된 감지 입력 신호와 다른 감지 출력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지 출력 신호의 변화를 통해 접촉 여부, 접촉 위치 등의 접촉 정보를 알아 낼 수 있다.
한편, 기판(100)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 술폰 등의 플라스틱 또는 유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은 접히거나(foldable, bendable), 말리거나(rollable), 적어도 한 방향으로 늘어나는(stretchable) 것과 같은 신축성(elasticity) 등의 유연성을 가지는 투명한 가요성(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기판(100) 위에는 복수의 터치 전극(Sx), 터치 전극(Sx)과 연결 배선으로 각각 연결된 복수의 패드(300)가 형성되어 있다.
터치 전극(Sx)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전극(Sx1), 제2 전극(Sx2) 및 제3 전극(Sx3)을 포함하고, 연결 배선(RL)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배선(RL1), 제2 배선(RL2) 및 제3 배선(RL3)을 포함한다.
제1 전극(Sx1) 및 제1 배선(RL1)은 금속 나노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 나노 와이어는 은(Ag), 구리(Cu) 등의 금속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 나노 와이어들은 그물망 형태로 서로 연결되어 도전성 전극을 이룰 수 있다. 금속 나노 와이어는 슬릿 코팅, 잉크젯 인쇄, 스프레이 등의 용액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극(Sx1) 및 제1 배선(RL1)은 금속 나노 와이어를 보호하며 금속 나노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는 고분자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수지는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수지는 금속 나노 와이어와 함께 혼합되어 도포되거나, 금속 나노 와이어 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도포될 수 있다. 고분자 수지는 금속 나노 와이어 사이의 공간을 채우며, 금속 나노 와이어와 기판(100) 사이의 접착성을 높일 수 있다.
제1 전극(Sx1), 제1 배선(RL1)은 높은 투과도를 가지고 일정 기준 이하의 면 저항 특성을 가져 높은 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금속 박막에 비해서 더욱 유연할 수 있다.
제2 전극(Sx2) 및 제2 배선(RL2)은 제1 전극(Sx1) 및 제1 배선(RL1)의 도전성을 보완하기 위한 층으로 일정 기준 이상의 투과도를 가지며, 건식 식각(dray etching)이 가능한 투명 도전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 전극(Sx2) 및 제2 배선(RL2)은 ITO(indium tin oxide)일 수 있으며, 가시 광선 영역에 대해서 대략 85% 이상의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제3 전극(Sx3) 및 제3 배선(RL3)은 후술하는 제3 패드(35)를 보호하기 위한 층과 동시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2 전극(Sx2) 및 제2 배선(RL2)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극(Sx1), 제2 전극(Sx2) 및 제3 전극(Sx3)은 동일한 평면 모양을 가지고, 제1 배선(RL1), 제2 배선(RL2) 및 제3 배선(RL3)은 동일한 평면 모양을 가진다.
패드(300)는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는 제1 패드(31), 제2 패드(33), 제3 패드(35) 및 제4 패드(37)를 포함한다. 제1 패드(31), 제2 패드(33) 및 제4 패드(37)는 동일한 평면 모양을 가진다.
제3 패드(35)는 제2 패드(33)와 제4 패드(37) 사이에 위치한다. 제3 패드(35)는 제2 패드(33)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패드(33)의 경계선 내에 제3 패드(35)의 경계선이 위치할 수 있다.
제4 패드(37)는 제3 패드(35)의 상면 및 측면과 접촉하고, 제3 패드(35)의 경계선 밖에 위치하는 제2 패드(33)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즉, 제4 패드(37)는 제3 패드(35) 전체를 덮고 있다.
제1 패드(31)는 제1 전극(Sx1) 및 제1 배선(RL1)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 나노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패드(33) 및 제4 패드(37)는 제2 전극(Sx2), 제2 배선(RL2), 제3 전극(Sx3) 및 제3 배선(RL3)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ITO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패드(35)는 저저항 금속인 구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제4 패드(37)를 이용하여 제3 패드(35)를 덮어 보호함으로써, 제3 패드(35)가 노출되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다음 단계에서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배치도이고, 도 6은 도 5의 VI-VI'선 및 VI'-V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다음 단계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00) 위에 제1 도전막(10), 제2 도전막(20) 및 제3 도전막(30)을 형성한다.
제1 도전막(10)은 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은 나노 와이어는 고분자 수지와 함께 용액 공정으로 도포될 수 있다. 또는 제1 도전막(10)은 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DFR(dry film resist)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도전막(20)은 투명한 도전 물질로 ITO를 증착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제3 도전막(30)은 구리를 증착하여 형성한다.
다음,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진 식각 공정 등을 이용하여 제3 도전막을 패터닝하여 구리로 이루어지는 제3 패드(35)를 형성한다.
다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패드(35)를 덮도록 제4 도전막(40)을 형성한다. 제4 도전막(40)은 제2 도전막(20)과 동일한 물질로, 예를 들어 ITO를 증착하여 형성한다.
이후,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진 식각 공정으로 제4 도전막(40), 제2 도전막(20) 및 제1 도전막(10)을 패터닝하여 제3 전극(Sx3), 제2 전극(Sx2) 및 제1 전극(Sx1)으로 이루어지는 터치 전극(Sx), 제3 배선(RL3), 제2 배선(RL2) 및 제1 배선(RL1)으로 이루어지는 연결 배선(RL)과 제4 패드(37), 제3 패드(35), 제2 패드(33) 및 제1 패드(31)로 이루어지는 패드(300)를 형성한다.
이처럼, 제4 도전막, 제2 도전막 및 제1 도전막을 동시에 식각하므로, 제3 전극, 제2 전극 및 제1 전극은 동일한 평면 모양을 가지고, 제3 배선, 제2 배선 및 제1 배선은 동일한 배선을 가지고, 제1 패드, 제2 패드 및 제4 패드도 동일한 평면 모양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 제1 도전막을 패터닝한 후, 제4 도전막과 제2 도전막을 함께 식각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제1 도전막
100: 기판
800: 감지 신호 제어부
RL: 연결 배선
PL: 패드
Sx: 터치 전극

Claims (10)

  1. 기판,
    상기 기판의 터치 영역에 위치하며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터치 전극,
    상기 터치 전극과 연결되어 있고 일단에 연결된 패드를 가지는 연결 배선
    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는 제1 패드, 상기 제1 패드 위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패드의 경계선 내에 위치하는 제2 패드, 상기 제2 패드의 상면 및 측면을 덮고 있는 제3 패드
    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2. 제1항에서,
    상기 제3 패드는 상기 제2 패드의 경계선 밖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패드의 상면과 접촉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3. 제1항에서,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3 패드는 투명한 도전 물질로 이루어지는 터치 스크린 패널.
  4. 제3항에서,
    상기 제2 패드는 구리로 이루어지는 터치 스크린 패널.
  5. 제1항에서,
    상기 패드는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패드와 중첩하는 제4 패드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6. 제5항에서,
    상기 제4 패드는 금속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7. 제1항에서,
    상기 터치 전극은 투명한 도전물질로 이루어지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위에 위치하며 상기 투명한 도전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8. 제7항에서,
    상기 터치 전극은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전극과 중첩하는 제3 전극을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9. 제8항에서,
    상기 제3 전극은 금속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10. 제1항에서,
    상기 터치 전극은 행렬로 배치되고,
    상기 패드와 인접할수록 상기 터치 전극의 크기가 작아지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0150016357A 2015-02-02 2015-02-02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270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357A KR102270037B1 (ko) 2015-02-02 2015-02-02 터치 스크린 패널
US14/833,358 US9791987B2 (en) 2015-02-02 2015-08-24 Touch screen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357A KR102270037B1 (ko) 2015-02-02 2015-02-02 터치 스크린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314A true KR20160095314A (ko) 2016-08-11
KR102270037B1 KR102270037B1 (ko) 2021-06-28

Family

ID=56554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357A KR102270037B1 (ko) 2015-02-02 2015-02-02 터치 스크린 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91987B2 (ko)
KR (1) KR1022700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887A (ko) * 2016-09-20 2018-03-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90006660A (ko) * 2017-07-11 2019-01-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460B1 (ko) * 2014-08-08 2021-05-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2499364B1 (ko) * 2016-07-08 2023-0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US11640210B2 (en) * 2020-11-27 2023-05-02 Tpk Advanced Solutions Inc. Touch panel and touch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1819A1 (en) * 2004-06-23 2006-01-05 Ho-Suk Maeng Display device
KR20140020565A (ko) * 2012-08-09 2014-0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US20140346028A1 (en) * 2013-05-24 2014-11-27 Wintek Corporation Touch panel
KR20150009315A (ko) * 2013-07-16 2015-01-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269B1 (ko) 2010-07-26 2012-03-16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용 투명도전막 및 그 제조방법
JP5436485B2 (ja) * 2011-03-30 2014-03-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WO2013048195A2 (ko) * 2011-09-29 2013-04-04 Lee Sung Ho 드라이빙 백 현상을 이용한 터치 검출수단, 검출방법 및 터치스크린패널과, 그러한 터치스크린패널을 내장한 표시장치
JP5923951B2 (ja) 2011-12-02 2016-05-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センサ基板およびその基板の製造方法
KR101373044B1 (ko) * 2012-04-19 2014-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369881B1 (ko) 2012-06-20 2014-03-19 한국과학기술원 은 나노와이어의 제조방법
KR20140013482A (ko) 2012-07-24 2014-0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JP5968275B2 (ja) * 2012-08-07 2016-08-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センサ付き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218780B1 (ko) * 2014-09-05 2021-02-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1819A1 (en) * 2004-06-23 2006-01-05 Ho-Suk Maeng Display device
KR20140020565A (ko) * 2012-08-09 2014-0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US20140346028A1 (en) * 2013-05-24 2014-11-27 Wintek Corporation Touch panel
KR20150009315A (ko) * 2013-07-16 2015-01-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887A (ko) * 2016-09-20 2018-03-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90006660A (ko) * 2017-07-11 2019-01-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91987B2 (en) 2017-10-17
KR102270037B1 (ko) 2021-06-28
US20160224165A1 (en) 201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8412B2 (en) Touch sensor device
CN105630260B (zh) 包括触摸传感器的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TWI633477B (zh) 觸控視窗及包括該觸控視窗之觸控式裝置
KR102320639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80150179A1 (en) Electrode sheet and touch input device
KR102316212B1 (ko) 터치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97204B1 (ko) 터치 센서
US20150060120A1 (en) Touch panel
US10126886B2 (en) Electrode pattern,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ouch sensor including the same
US10191590B2 (en) Touch window
US9857929B2 (en)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70037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367248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JP5472858B2 (ja) タッチスイッチ
KR102335116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TWI630517B (zh) 觸控視窗以及包含其之觸控裝置
KR20160070265A (ko) 표시 장치 및 터치 센서
US20100039407A1 (en) Sensory structure of capacitive touch panel with predetermined sensing areas
US11237680B2 (en) Fingerprint recognizable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fingerprint recognizable touch sensor
KR20190094878A (ko)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US10521057B2 (en) Touch screen panel having overlapping sensing electrod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205995B2 (ja) タッチパネルセンサおよびタッチ位置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KR20160095707A (ko) 터치 센서
KR20150079264A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