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9315A - 터치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9315A
KR20150009315A KR1020130083659A KR20130083659A KR20150009315A KR 20150009315 A KR20150009315 A KR 20150009315A KR 1020130083659 A KR1020130083659 A KR 1020130083659A KR 20130083659 A KR20130083659 A KR 20130083659A KR 20150009315 A KR20150009315 A KR 20150009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base material
electrode unit
touch window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8383B1 (ko
Inventor
박성규
권도엽
강문숙
류지창
이규린
이진석
허재학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3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383B1/ko
Priority to TW103123921A priority patent/TW201514802A/zh
Priority to EP14177166.7A priority patent/EP2827230A1/en
Priority to JP2014146118A priority patent/JP2015022768A/ja
Priority to US14/333,255 priority patent/US9851859B2/en
Priority to CN201410339278.1A priority patent/CN104298391B/zh
Publication of KR20150009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위치를 감지하는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는 모재 및 상기 모재 상에 위치하는 전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TOUCH WINDOW AND METHOD OF THE SAME}
본 기재는 터치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 등의 입력 장치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입력을 하는 터치 패널이 적용되고 있다.
터치 패널은 크게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과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로 구분될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입력 장치의 압력에 의하여 유리와 전극이 단락되어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손가락이 접촉했을 때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이러한 터치 패널의 전극으로써,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을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인 나노와이어가 대두되고 있다. 나노와이어는 투과도 및 전도도 등 다양한 면에서 인듐 주석 산화물보다 뛰어난 특성을 가진 물질이다.
이러한 나노와이어들은 입사하는 빛을 산란시키는 특성이 있어, 나노와이어를 포함한 전극이 뿌옇게 보이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터치 패널의 시인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나노와이어를 전극으로 형성 시, 나노와이어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오버코팅층(overcoating layer)이 추가로 필요하여 두께가 두꺼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는 두께가 얇은 터치 윈도우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위치를 감지하는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는 모재 및 상기 모재 상에 위치하는 전극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감광성 물질 및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전극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부가 감광성 나노와이어 필름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극부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즉, 상기 전극부가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면서도, 전체적인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기존에는, 전극부가 나노와이어를 포함할 경우, 나노와이어의 산화방지를 위해 오버코팅층(overcoating layer)을 추가로 형성해야 하고, 이로 인해 공정이 복잡해지고 터치 윈도우의 두께가 두꺼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나노와이어가 감광성 물질 내에 배치되어, 오버코팅층 없이도 나노와이어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부가 나노 와이어를 포함함으로써, 플렉서블한 터치 윈도우 및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에서는, 전극과 상기 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의 높이 차이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전극의 시인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전극필름 합착 시, 단차로 인한 기포 발생을 줄일 수 있어 터치 윈도우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전극부와 연결되는 배선이 인출될 때, 전극부의 두께로 인한 배선의 단차를 개선할 수 있어, 배선의 단락 및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평면도이다.도 3은 도 2의 Ⅰ-Ⅰ’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도 4 내지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단면도들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평면도이다.도 11은 도 10의 Ⅱ-Ⅱ’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도 12 내지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7 내지 도 2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단면도들이다.
도 24는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가 결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Ⅰ-Ⅰ’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10)는 입력 장치(예를 들어, 손가락 등)의 위치를 감지하는 유효 영역(AA)과 이 유효 영역(AA)의 주위에 배치되는 비유효 영역(UA)이 정의되는 기판(100)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100)은 유리 기판,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halate), PET) 필름 또는 수지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위에 전극부(200) 및 배선(300) 등이 형성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영역(AA)에는 입력 장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전극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전극부(200)가 바(bar)형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전극부(200)는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부(20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전극부(210) 및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전극부(22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에서는, 상기 제1 전극부(210) 및 상기 제2 전극부(220)가 동일한 기판(100) 상에 형성되는 1 layer 구조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전극부(210) 및 상기 제2 전극부(220)는 상기 기판(100) 상에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전극부(210) 및 상기 제2 전극부(220)가 각각 다른 기판 상에 형성되는 2 layer 등 다양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 윈도우에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면, 입력 장치가 접촉된 부분에서 정전 용량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부분을 접촉 위치로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기판(100) 상에는 커버 윈도우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 윈도우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 윈도우는 화학강화유리를 포함한다. 상기 화학강화유리는 화학적으로 강화된 유리를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화학강화유리는 소다라임유리(soda lime glass)(Na2O?CaO?SiO2) 또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유리(Na2O?Al2O3?SiO2)일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는 상기 기판(100), 전극부(200) 및 배선(300) 등을 보호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전극부(210)는 모재(211) 및 상기 모재(211) 상에 배치되는 전극(212)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212)은 상기 모재(211)의 상부에서 실질적으로 전기적 역할을 한다.
상기 모재(211) 및 상기 전극(212)은 동일한 패턴을 가진다. 즉, 상기 제1 전극부(21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형태의 패턴을 가질 때, 상기 모재(211) 및 상기 전극(212) 또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태의 패턴을 가진다.
상기 모재(211)는 감광성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모재(211)가 감광성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 전극부(210)는 노광 및 현상 등의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212)은 나노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212)은 금속 나노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나노와이어는 상기 제1 전극부(2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나노와이어는 상기 제1 전극부(210)의 상부에서부터 1 ㎛ 깊이의 영역(D)에만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노와이어는 상기 제1 전극부(210)의 상부에서부터 100 nm 깊이의 영역(D)에만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212)은 상기 기판(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 윈도우에 가까워질수록 농도가 높을 수 있다. 즉, 상기 나노와이어의 농도는 상기 모재(212)의 표면으로 갈수록 농도가 높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와이어의 농도는 동일한 부피 상에 존재하는 나노와이어의 개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와이어의 농도는 상기 기판(100)에서 멀어질수록 농도가 높을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부(210)는 감광성 나노와이어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부(210)가 감광성 나노와이어 필름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전극부(210)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전극부(210)가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면서도, 전체적인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기존에는, 전극부(210)가 나노와이어를 포함할 경우, 나노와이어의 산화방지를 위해 오버코팅층(overcoating layer)을 추가로 형성해야 하고, 이로 인해 공정이 복잡해지고 터치 윈도우의 두께가 두꺼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나노와이어가 감광성 물질 내에 배치되어, 오버코팅층 없이도 나노와이어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부(210)의 두께는 1 ㎛ 내지 6 ㎛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1 전극부(210)의 두께는 2 ㎛ 내지 5 ㎛일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2 전극부(220)는 모재(221) 및 상기 모재(221) 상에 배치되는 전극(222)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222)은 상기 모재(221)의 상부에서 실질적으로 전기적 역할을 한다.
상기 모재(221) 및 상기 전극(222)은 동일한 패턴을 가진다. 즉, 상기 제2 전극부(220)는 타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형태의 패턴을 가질 때, 상기 모재(221) 및 상기 전극(222) 또한 타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태의 패턴을 가진다.
상기 모재(221)는 감광성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모재(221)가 감광성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2 전극부(220)는 노광 및 현상 등의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222)은 나노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222)은 금속 나노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나노와이어는 상기 제2 전극부(22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나노와이어는 상기 제2 전극부(220)의 상부에서부터 1 ㎛ 깊이의 영역(D)에만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노와이어는 상기 제2 전극부(220)의 상부에서부터 100 nm 깊이의 영역(D)에만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222)은 상기 기판(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 윈도우에 가까워질수록 농도가 높을 수 있다. 즉, 상기 나노와이어의 농도는 상기 모재(212)의 표면으로 갈수록 농도가 높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와이어의 농도는 동일한 부피 상에 존재하는 나노와이어의 개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와이어의 농도는 상기 기판(100)에서 멀어질수록 농도가 높을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부(220)는 감광성 나노와이어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부(220)가 감광성 나노와이어 필름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전극부(220)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 전극부(220)가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면서도, 전체적인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기존에는, 전극부가 나노와이어를 포함할 경우, 나노와이어의 산화방지를 위해 오버코팅층(overcoating layer)을 추가로 형성해야 하고, 이로 인해 공정이 복잡해지고 터치 윈도우의 두께가 두꺼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나노와이어가 감광성 물질 내에 배치되어, 오버코팅층 없이도 나노와이어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부(220)의 두께는 1 ㎛ 내지 6 ㎛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2 전극부(220)의 두께는 2 ㎛ 내지 5 ㎛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부(210) 및 상기 제2 전극부(220) 사이에 중간층(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층(400)은 상기 제1 전극부(210) 및 상기 제2 전극부(220)를 절연할 수 있다. 상기 중간층(400)은 상기 제1 전극부(210) 및 상기 제2 전극부(220)를 접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층(400)은 상기 제1 전극부(210)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제2 전극부(220)가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평탄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중간층(400)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층(400)은 감광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부(210) 및 상기 제2 전극부(220)의 두께가 얇게 형성됨으로써, 터치 패널의 전체적인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부(210) 및 상기 제2 전극부(220)의 모재(211, 221)가 나노와이어의 산화방지 및 보호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나노와이어를 보호하기 위한 추가적인 층을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유효 영역(UA)에는 전극부(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3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선(300)은 상기 제1 전극부(210)를 연결하는 제1 배선(310) 및 상기 제2 전극부(220)를 연결하는 제2 배선(320)을 포함한다.
상기 배선(300)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이러한 배선(300)은 크롬(Cr), 니켈(Ni),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몰리브덴(Mo) 및 이들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배선(300)은 인쇄 공정으로 형성이 가능한 다양한 금속 페이스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선(300)의 끝단에는 전극 패드가 위치한다. 이러한 전극 패드는 인쇄 회로 기판과 접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어느 일면에는 접속 단자가 위치하고, 상기 전극 패드는 상기 접속 단자와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전극 패드는 상기 접속 단자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인쇄 회로 기판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이 적용될 수 있다.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예 따른 터치 윈도우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전극물질(21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극물질(210’)은 감광성 나노와이어 필름일 수 있다. 상기 전극물질(210’)을 라미네이션(lamination)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극물질(210’) 상에 보호층(5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 상에 형성하고자 하는 패턴을 포함하는 마스크(60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마스크(600) 상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노광 공정을 통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보호층(500)을 제거하고, 상기 전극물질(210’)을 현상함으로써, 패턴이 형성된 전극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부(220)도 이러한 공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들을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전극부(210) 및 상기 제2 전극부(220)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층(400)이 상기 제1 전극부(210) 사이의 공간에도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중간층(400) 및 상기 제1 전극부(210)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이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하면, 제1 전극부(210)의 전극(212)이 상기 제1 전극부(210)의 상부에만 배치되고, 제2 전극부(220)의 전극(222)이 상기 제2 전극부(220)의 상부에만 배치되며, 도 7에서의 중간층(400)이 생략되는 구조이다. 즉, 상기 전극(212, 222)들이 상기 제1 전극부(210) 및 상기 제2 전극부(220)의 상부에만 배치됨으로써, 별도의 중간층이 없어도 절연될 수 있고, 따라서 중간층(400)이 생략될 수 있다.이어서, 도 9를 참조하면, 제1 전극부(210)의 전극(212)이 상기 제1 전극부(210) 내에서 전체적으로 배치되고, 제2 전극부(220)의 전극(222)이 상기 제2 전극부(220) 내에서 전체적으로 배치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제1 전극부(210) 및 상기 제2 전극부(220) 사이에 절연을 위한 중간층(4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명확하고 간략한 설명을 위해 앞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Ⅱ-Ⅱ’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전극부(230)는 제1 모재(231a), 제2 모재(231b) 및 전극(23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모재(231a)는 상기 제1 전극부(230)의 가장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모재(231a)는 감광성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모재(231b)는 상기 제1 모재(231a) 상에 위치한다. 상기 제2 모재(231b)는 감광성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모재(231b)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의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232)은 상기 제2 모재(231b)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전극(232)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의 패턴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2 모재(231b) 및 상기 전극(232)은 동일한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모재(231a)를 통해 상기 전극(232)의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모재(231a)를 통해, 상기 전극(232)과 상기 전극(232)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의 높이 차이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전극(232)의 시인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부(230)와 제2 전극부(240) 합착 시, 단차로 인한 기포 발생을 줄일 수 있어 터치 윈도우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전극부(230)와 연결되는 배선이 인출될 때, 전극부(230)의 높이에 따른 배선(300)의 단차를 개선할 수 있어, 배선의 단락 및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전극부(240)는 제1 모재(241a), 제2 모재(241b) 및 전극(24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모재(241a)는 상기 제2 전극부(240)의 가장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모재(241a)는 감광성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모재(241b)는 상기 제1 모재(241a) 상에 위치한다. 상기 제2 모재(241b)는 감광성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모재(241b)는 타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의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242)은 상기 제2 모재(241b)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전극(242)은 타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의 패턴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2 모재(241b) 및 상기 전극(242)은 동일한 패턴을 포함한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전극물질(230’) 및 보호층(500)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기판(100) 상에 형성하고자 하는 패턴을 포함하는 마스크(60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마스크(600) 상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1 노광 공정을 통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노광 공정에서는 보호층(500)이 배치된 상태로 노광을 진행하기 때문에 전극물질(230’)이 산소로부터 차단된다. 따라서, 전극물질(230’)의 경화가 진행된다. 이때, 상기 제1 노광 공정에서 노광량은 10 mJ 내지 50 mJ 일 수 있다.
이어서, 도 14를을 참조하면, 상기 보호층(500)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보호층(500)이 제거된 상기 전극물질(230’)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제2 노광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노광 공정에서는 전면 노광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노광 공정에서는 전극물질(230’) 상에 보호층(500) 없이 노광을 진행하기 때문에, 상기 전극물질(230’)이 산소와 반응하게 된다. 따라서, 전극물질(230’)의 비경화가 진행되고, 전극물질(230’)의 현상되는 영역을 줄일 수 있다. 즉, 상기 제2 노광 공정을 통해, 전극부(230) 상부에 배치되는 전극(232)과 전극(232)이 형성되지 않은 상면 사이의 단차를 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노광 공정에서 노광량은 50 mJ 내지 500 mJ 일 수 있다. 상기 제2 노광 공정의 노광량 에너지가 상기 제1 노광 공정의 노광량 에너지보다 크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전극물질(230’)을 현상함으로써, 패턴이 형성된 전극부(23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부(240)도 이러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7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를 설명한다. 도 17 내지 도 2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전극부(230) 및 상기 제2 전극부(240)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층(400)이 상기 제1 전극부(230) 사이의 공간에도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중간층(400) 및 상기 제1 전극부(230)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이다.
이어서, 도 18을 참조하면, 제1 전극부(230)의 전극(232)이 상기 제1 전극부(230)의 상부에만 배치되고, 제2 전극부(240)의 전극(242)이 상기 제2 전극부(240)의 상부에만 배치되며, 도 17에서의 중간층(400)이 생략되는 구조이다. 즉, 상기 전극(232, 242)들이 상기 제1 전극부(230) 및 상기 제2 전극부(240)의 상부에만 배치됨으로써, 별도의 중간층이 없어도 절연될 수 있고, 따라서 중간층(400)이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윈도우의 두께를 감소할 수 있고,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전극부(240)를 연결하는 제2 배선(320)이 단차없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극부(230)는 곡면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전극부(230)는 라운드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어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00)의 양면에 제1 전극부(230) 및 제2 전극부(24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전극부(230) 및 제2 전극부(240)는 서로 다른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극부(230) 및 제2 전극부(240)는 서로 다른 기판(100, 120) 상에 각각 배치되고, 이러한 기판(100, 120)들을 합착하는 접착층(7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 전극부(230) 및 제2 전극부(240)는 서로 다른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윈도우는 휘어지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부(230) 및 제2 전극부(240)는 전극(232, 242)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232, 242)은 나노와이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나노와이어는 기판의 굽힘과 휨(bending)에 적용할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한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전극(232, 242)을 통해 휘어지는 터치 윈도우를 구현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터치 윈도우는 구동부(20) 및 광원부(30)와 합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특히, 터치 윈도우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휘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이러한 터치 윈도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특히, 상기 구동부(20)는 표시패널일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2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어떠한 종류의 디스플레이장치인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액정표시장치(LCD),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및 전기영동 표시장치(EPD)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패널(2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위치를 감지하는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는 전극을 포함하는 모재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커버 윈도우를 더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 및 상기 전극은 동일한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는 제1 모재 및 상기 제1 모재 상에 위치하는 제2 모재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제2 모재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전극 및 상기 제2 모재는 동일한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는 감광성 물질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감광성 나노와이어 필름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모재 표면에 가까울수록 농도가 높은 터치 윈도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모재 내에서 기판에서 멀어질수록 농도가 높은 터치 윈도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커버 윈도우에 가까울수록 농도가 높은 터치 윈도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모재 표면으로부터 1 ㎛ 내에 존재하는 터치 윈도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모재 표면으로부터 100 nm 내에 존재하는 터치 윈도우.
  14.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전극부 및 제2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2 전극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극을 포함하는 모재인 터치 윈도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2 전극부는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는 터치 윈도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부와 상기 제2 전극부는 서로 다른 평면 상에 형성되는 터치 윈도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커버 윈도우를 더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18. 터치 윈도우;
    상기 터치 윈도우 상에 배치되는 광원; 및
    상기 터치 윈도우 상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윈도우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전극부 및 제2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2 전극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극을 포함하는 모재인 디스플레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윈도우는 휘어지고,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KR1020130083659A 2013-07-16 2013-07-16 터치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8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659A KR102098383B1 (ko) 2013-07-16 2013-07-16 터치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
TW103123921A TW201514802A (zh) 2013-07-16 2014-07-11 觸控螢幕以及包含其之觸控裝置
EP14177166.7A EP2827230A1 (en) 2013-07-16 2014-07-15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14146118A JP2015022768A (ja) 2013-07-16 2014-07-16 タッチウィンドウ及びこれを含むタッチデバイス
US14/333,255 US9851859B2 (en) 2013-07-16 2014-07-16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410339278.1A CN104298391B (zh) 2013-07-16 2014-07-16 触摸窗口以及包括其的触摸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659A KR102098383B1 (ko) 2013-07-16 2013-07-16 터치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315A true KR20150009315A (ko) 2015-01-26
KR102098383B1 KR102098383B1 (ko) 2020-04-07

Family

ID=52572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659A KR102098383B1 (ko) 2013-07-16 2013-07-16 터치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3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999A (ko) * 2015-01-30 2016-08-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 장치
KR20160095314A (ko) * 2015-02-02 2016-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60104189A (ko) * 2015-02-25 2016-09-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10070515B2 (en) 2015-08-10 2018-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parent electrode using amorphous allo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2695A (ko) * 2008-02-27 2009-09-01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표시 패널
JP2011096225A (ja) * 2009-09-30 2011-05-12 Dainippon Printing Co Ltd タッチパネル用電極フィルム及びタッチパネ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2695A (ko) * 2008-02-27 2009-09-01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표시 패널
JP2011096225A (ja) * 2009-09-30 2011-05-12 Dainippon Printing Co Ltd タッチパネル用電極フィルム及びタッチパネル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999A (ko) * 2015-01-30 2016-08-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 장치
KR20160095314A (ko) * 2015-02-02 2016-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60104189A (ko) * 2015-02-25 2016-09-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11747947B2 (en) 2015-02-25 2023-09-05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070515B2 (en) 2015-08-10 2018-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parent electrode using amorphous allo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383B1 (ko)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3321B2 (en) Touch window
KR102262548B1 (ko) 터치 윈도우
US20150109245A1 (en) Touch panel
US20140016048A1 (en) Capacitance type touch screen
KR102053258B1 (ko) 터치 윈도우
US9851859B2 (en)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3907081A (zh) 触控面板
KR20150059331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62530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33468A (ko) 터치 패널
KR200474894Y1 (ko) 이중-층 전극 장치
KR20150047297A (ko) 터치 패널
KR20150072838A (ko) 터치패널
KR102008795B1 (ko) 터치 윈도우
KR20150009315A (ko) 터치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320384B (zh) 触摸窗
US9342171B2 (en) Touch panel with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but on opposite surfaces of a substrate
KR20150032150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91306B1 (ko) 인쇄법을 적용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313959B1 (ko) 터치 윈도우
KR20160014942A (ko) 터치 윈도우
KR102199344B1 (ko) 터치 윈도우
KR102008736B1 (ko) 터치 패널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693672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 방법과 터치 스크린 패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29718B1 (ko) 터치 윈도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