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718B1 - 터치 윈도우 - Google Patents

터치 윈도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718B1
KR102329718B1 KR1020150138450A KR20150138450A KR102329718B1 KR 102329718 B1 KR102329718 B1 KR 102329718B1 KR 1020150138450 A KR1020150138450 A KR 1020150138450A KR 20150138450 A KR20150138450 A KR 20150138450A KR 102329718 B1 KR102329718 B1 KR 102329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attern
pattern portion
electrode
substrat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9391A (ko
Inventor
진광용
이진웅
최용재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8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718B1/ko
Publication of KR20170039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및 상기 유효 영역 및 상기 비유효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전극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패턴부는 제 1 전극 패턴부 및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와 이격하는 제 2 전극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 및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는 복수 개의 메쉬선들 및 상기 메쉬선들에 의해 형성되는 메쉬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의 폭 및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와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의 이격거리로 정의되는 제 1 길이와, 상기 메쉬 개구부의 폭으로 정의되는 제 2 길이는 하기 수식을 만족할 수 있다.
[수식]
제 1 길이=제 2 길이 * 2n(여기서 n은 양의 정수)

Description

터치 윈도우{TOUCH WINDOW}
실시예는 터치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 등의 입력 장치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입력을 하는 터치 패널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크게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과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로 구분될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입력 장치의 압력에 의하여 유리와 전극이 단락되어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손가락이 접촉했을 때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반복 사용에 의하여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구성이 뛰어나고 수명이 긴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터치 패널의 전극 재료로는 인듐주석산화물(ITO)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인듐주석산화물은 대면적화에 따른 저저항 구현의 한계로 인해 최근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메쉬 형상의 전극 또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메쉬 형상의 전극은 전도성 물질을 기판에 배치하고, 메쉬 형상으로 패터닝 한후, 각각의 전극 패턴들을 형성하기 위해 메쉬선을 단선하는 공정이 요구된다.
이때, 메쉬선을 단선하는 공정에 의해 각각의 전극 패턴에서 전기적인 특성이 불균일해질 수 있고, 단선 공정에 따른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터치 윈도우가 요구된다.
실시예는 향상된 전기적 특성 및 시인성을 가지는 터치 윈도우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및 상기 유효 영역 및 상기 비유효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전극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패턴부는 제 1 전극 패턴부 및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와 이격하는 제 2 전극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 및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는 복수 개의 메쉬선들 및 상기 메쉬선들에 의해 형성되는 메쉬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의 폭 및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와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의 이격거리로 정의되는 제 1 길이와, 상기 메쉬 개구부의 폭으로 정의되는 제 2 길이는 하기 수식을 만족할 수 있다.
[수식]
제 1 길이=제 2 길이 * 2n(여기서 n은 양의 정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전극 패턴의 메쉬 전극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전극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메쉬 전극을 단선하는 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메쉬 전극을 단선하는 과정에서 불량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전극 패턴이 동일한 전극 패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전극 패턴 내부의 노드 영역들도 모두 균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전극 패턴들의 전기적 특성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각각의 전극 패턴들의 패턴 형상 차이로 인해 외부에서 특정 패턴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윈도우의 전체적인 전기적 특성 및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B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전극 패턴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메쉬 전극 형성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전극의 위치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다양한 타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와 표시 패널이 결합되는 터치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7 내지 도 20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가 적용되는 터치 디바이스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기판(100) 및 복수 개의 전극 패턴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리지드(rigid)하거나 또는 플렉서블(flexible)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은 소다라임유리(soda lime glass) 또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유리 등의 화학 강화/반강화유리를 포함하거나,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PPG) 폴리 카보네이트(PC) 등의 강화 혹은 연성 플라스틱을 포함하거나 또는 사파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은 광등방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판(100)은 COC(Cyclic Olefin Copolymer), COP(Cyclic Olefin Polymer), 광등방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광등방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파이어는 유전율 등 전기 특성이 매우 뛰어나 터치 반응 속도를 획기적으로 올릴수 있을 뿐 아니라 호버링(Hovering) 등 공간 터치를 쉽게 구현 할 수 있고 표면 강도가 높아 커버 기판으로도 적용 가능한 물질이다. 여기서, 호버링이란 디스플레이에서 약간 떨어진 거리에서도 좌표를 인식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판(100)은 부분적으로 곡면을 가지면서 휘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기판은(100) 부분적으로는 평면을 가지고, 부분적으로는 곡면을 가지면서 휘어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의 끝단이 곡면을 가지면서 휘어지거나 랜덤한 곡률을 포함한 표면을 가지며 휘어지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은 유연한 특성을 가지는 플렉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은 커브드(curved) 또는 벤디드(bended) 기판일 수 있다. 즉, 상기 기판(100)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도 플렉서블, 커브드 또는 벤디드 특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휴대가 용이하며, 다양한 디자인으로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커버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판(100) 상에는 별도의 커버 기판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 상에 별도의 커버 기판이 더 배치되는 경우, 상기 기판과 상기 커버 기판은 접착층을 통해 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기판과 기판을 각각 별도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터치 윈도우의 대량 생산시 유리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에는 유효 영역(AA)및 비유효 영역(UA)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유효 영역(AA)에서는 디스플레이가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유효 영역(AA) 주위에 배치되는 상기 비유효 영역(UA)에서는 디스플레이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 영역(AA) 및 상기 비유효 영역(UA)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는 입력 장치(예를 들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 윈도우에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면, 입력 장치가 접촉된 부분에서 정전 용량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부분을 접촉 위치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전극 패턴부(200)는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 패턴부(200)는 상기 기판(100)의 상기 유효 영역(AA) 및 상기 비유효 영역(UA)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극 패턴부(200)는 상기 기판(100)의 유효 영역(AA) 및 상기 비유효 영역(U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효 영역(AA) 상에 배치되는 전극 패턴부들은 감지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유효 영역(UA) 상에 배치되는 전극 패턴부들은 배선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영역(AA) 상에 배치되는 전극 패턴부 즉, 감지 전극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 전극은 광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감지 전극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구리 산화물(copper oxide), 주석 산화물(tin oxide), 아연 산화물(zinc oxide), 티타늄 산화물(titanium oxide) 등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효 영역 상에 투명한 물질이 배치되므로, 감지 전극의 전극 패턴 형성시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감지 전극은 나노와이어, 감광성 나노와이어 필름,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핀(graphene), 전도성 폴리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및/또는 벤딩이 구현된 터치 윈도우를 제조할 때, 자유도를 향상할 수 있다.
나노 와이어 또는 탄소나노튜브(CNT)와 같은 나노 합성체를 사용하는 경우 흑색으로 구성할 수 도 있으며, 나노 파우더의 함량제어를 통해 전기전도도를 확보 하면서 색과 반사율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는, 상기 감지 전극은 다양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 전극은 크롬(Cr), 니켈(Ni),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몰리브덴(Mo). 금(Au), 티타튬(Ti)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및/또는 벤딩이 구현된 터치 윈도우를 제조할 때, 자유도를 향상할 수 있다.
상기 비유효 영역(UA) 상에 배치되는 전극 패턴부 즉, 배선 전극(400)은 상기 감지 전극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과 상기 배선 전극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배선 전극에는 구동칩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선 전극의 일단의 본딩부(450)를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감지 전극에서 입력 장치에 의해 감지되는 터치 신호는 상기 배선부를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구동칩에 의해 전달되고, 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유효 영역(AA) 상에 배치되는 감지 전극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전극 패턴부는 제 1 전극 패턴부(210) 및 제 2 전극 패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210)와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220)는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210)와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220)는 상기 기판(100) 상에서 서로 대응되는 방향 즉,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210) 및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220)는 복수 개의 메쉬선들 및 상기 메쉬선들에 의해 형성되는 메쉬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쉬선의 선폭은 약 0.1㎛ 내지 약 10㎛일 수 있다. 상기 메쉬선의 선폭이 약 0.1㎛ 미만인 메쉬선은 제조 공정 상 불가능하거나, 메쉬선의 단락이 발생할 수 있고, 약 10㎛를 초과하는 경우, 전극 패턴이 외부에서 시인되어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쉬선의 선폭은 약 0.5㎛ 내지 약 7㎛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쉬선의 선폭은 약 1㎛ 내지 약 3.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선의 두께는 약 100㎚ 내지 약 500㎚ 일 수 있다. 상기 메쉬선의 두께가 약 100㎚ 미만인 경우, 전극 저항이 높아져서 전기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약 500㎚을 초과하는 경우, 터치 윈도우의 전체적인 두께가 두꺼워지고, 공정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쉬선의 두께는 약 150㎚ 내지 약 200㎚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쉬선의 두깨는 약 180㎚ 내지 약 2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 개구부(OA)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사각형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상기 메쉬 개구부(OA)는 다이아몬드형, 오각형, 육각형의 다각형 형상 또는 원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 개구부(OA)는 규칙적인(regular) 형상 또는 랜덤(random)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쉬 개구부(OA)의 폭은 약 100㎛ 내지 약 500㎛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메쉬 개구부(OA)의 폭은 약 150㎛ 내지 약 40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메쉬 개구부(OA)의 폭은 약 200㎛ 내지 약 300㎛일 수 있다.
상기 메쉬 개구부(OA)의 폭이 약 100㎛ 미만인 경우, 공정 중 오차에 의해 메쉬선들이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인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약 500㎛을 초과하는 경우, 전극 패턴부의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될 수 있고,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전극 패턴부들이 메쉬 형상을 가짐으로써, 유효 영역 일례로,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서 상기 감지 전극의 패턴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 전극이 금속으로 형성되어도, 패턴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전극이 대형 크기의 터치 윈도우에 적용되어도 터치 윈도우의 저항을 낮출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210)의 폭(W1)과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220)의 폭(W2)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210)와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220)의 메쉬 개구부는 일정한 폭(W3)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210)와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220)는 일정한 폭(W4)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 패턴부(200)들은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210)의 폭(W1)과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210) 및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220)의 이격되는 폭(W4)의 합(W1+W4)로 정의되는 제 1 길이(D1)가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210)와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220)의 메쉬 개구부의 폭(W3)인 제 2 길이(D2)가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 패턴부(200)들은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210)의 폭(W2)과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210) 및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220)의 이격되는 폭(W4)의 합(W2+W4)로 정의되는 제 3 길이(D3)가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210)와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220)의 메쉬 개구부의 폭(W3)인 제 2 길이(D2)가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길이(D1) 및 상기 제 2 길이(D2)는 하기의 수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수식 1]
제 1 길이=제 2 길이 * 2n(여기서 n은 양의 정수)
또한, 상기 제 2 길이(D2) 및 상기 제 3 길이(D3)는 하기의 수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수식 1]
제 3 길이=제 2 길이 * 2n(여기서 n은 양의 정수)
즉,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210)의 폭과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210) 및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220)의 이격되는 폭의 합은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210)와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220)의 메쉬 개구부의 폭에 대해 2n배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220)의 폭과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210) 및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220)의 이격되는 폭의 합은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210)와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220)의 메쉬 개구부의 폭에 대해 2의 배수로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전극 패턴부들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메쉬 개구부의 폭, 전극 패턴부의 폭 및 전극 패턴부들의 이격 거리로 형성될 수 있어, 터치 윈도우의 전체적인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정시 각각의 길이들이 2의 배수로 형성됨에 따라,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어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210)는 제 1 메쉬선(LA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220)는 제 2 메쉬선(LA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210)에는 상기 제 1 메쉬선(LA1)들이 서로 교차하여 형성되는 제 1 노드 영역(N1)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220)에는 상기 제 1 메쉬선(LA2)들이 서로 교차하여 형성되는 제 2 노드 영역(N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210)에는 상기 제 1 노드 영역(N1)들이 연장되는 가상의 제 1 연장선(L1)들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220)에는 상기 제 2 노드 영역(N2)들이 연장되는 가상의 제 2 연장선(L2)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선(L1) 및 상기 제 2 연장선(L2)는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210)의 상기 제 1 노드 영역(N1)들은 직선의 상기 제 1 연장선(L1)과 모두 중첩되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220)의 상기 제 2 노드 영역(N2)들은 직선의 제 2 연장선(L2)과 모두 중첩되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선(L1)과 상기 제 2 연장선(L2)는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연장선(L1)과 상기 제 2 연장선(L2)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선(L1)과 상기 제 2 연장선(L2)은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연장선(L1)과 상기 제 2 연장선(L2)은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전극 패턴부에 형성되는 각각의 노드 영역들은 모두 일정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전극 패턴부들의 전기적인 특성을 균일하게 할 수 있어, 터치 윈도우의 전체적인 전기적 특성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210) 내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메쉬선들과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220) 내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메쉬선들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210) 내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메쉬선들과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220) 내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메쉬선들은 서로 동일한 패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210) 내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메쉬선들과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220) 내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메쉬선들을 겹쳐 배치하였을 때, 상기 제 1 메쉬선들과 상기 제 2 메쉬선들은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210) 내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메쉬선들과 상기 기판(100)의 접촉 면적과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220) 내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메쉬선들과 상기 기판(100)의 접촉 면적은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210) 내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메쉬선들과 상기 기판(100)의 접촉 면적과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220) 내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메쉬선들과 상기 기판(100)의 접촉 면적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210) 내에 배치되는 전극의 면적은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220) 내에 배치되는 전극의 면적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전극 패턴부들의 전기적 특성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터치 윈도우의 전체적인 전기적 특성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전극 패턴부들의 전극 패턴 형상을 동일 유사하게 배치하여, 외부에서 전극 패턴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터치 윈도우의 전체적인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전극 패턴부들과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전극 패턴부들이 연결되는 영역이 각각의 전극 패턴부들마다 모두 일정한 위치에 배치되므로, 연결 영역의 위치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전극 패턴부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100)의 유효 영역 상에 동일한 크기로 단위 전극 패턴부 영역(UP)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100)에는 복수 개의 단위 전극 패턴부 영역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각각의 단위 전극 패턴부 영역(UP)들에 메쉬선들을 포함하는 각각의 단위 전극 패턴부를 배치한다. 이에 따라, 기판의 유효 영역(AA) 상에는 메쉬선들을 포함하는 감지 전극 패턴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쉬선을 포함하는 전극들은 하기와 같은 공정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메쉬 전극은 기판(100) 의 전면 상에 금속층(M)을 배치하고, 상기 금속층(M)을 메쉬 형상으로 에칭함으로써, 메쉬 형상의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텔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과 같은 기판(100)의 전면 상에 구리(Cu)와 같은 금속층(M)을 전면에 증착한 후, 상기 구리층을 에칭하여 양각의 메쉬 형상의 구리 금속 메쉬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메쉬 전극은 기판(100) 상에 UV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층을 포함하는 수지층(R)을 형성한 후, 상기 수지층(R) 상에 메쉬 형상의 음각 패턴(P)을 형성한 후, 상기 음각 패턴 내에 금속 페이스트(MP)를 충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지층의 음각 패턴은 양각 패턴을 가지는 몰드를 임프린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 페이스트(340)는 앞서 설명한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 페이스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쉬 형상의 음각 패턴(P) 내에 금속 페이스트를 충진한 후 경화시킴으로써, 음각의 메쉬 형상의 금속 메쉬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메쉬 전극은 기판(100) 상에 UV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층을 포함하는 수지층(R)을 형성한 후, 상기 수지층(R)에 메쉬 형상의 양각의 나노 패턴 및 마이크로 패턴을 형성한 후 금속을 수지층 상에 스퍼터링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 패턴 및 마이크로 패턴의 양각 패턴은 음각 패턴을 가지는 몰드를 임프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나노 패턴(P1) 및 상기 마이크로 패턴(P2) 상에 형성된 금속층(M)을 에칭하여 나노 패턴 상에 형성되는 금속층만을 제거하고, 마이크로 패턴 상에 형성된 금속층만을 남김으로써, 메쉬 형상의 금속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금속층을 에칭시 나노 패턴(P1) 및 마이크로 패턴(P2)과 상기 금속층의 접합 면적 차이에 따라 에칭 속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이크로 패턴과 금속층의 접합 면적이 상기 나노 패턴과 금속층의 접합면적보다 크기 때문에, 마이크로 패턴 상에 형성되는 금속층(M)의 에칭이 적게 일어나고, 동일한 에칭 속도에 따라, 마이크로 패턴 상에 형성된 금속층은 남게되고, 나노 패턴 상에 형성된 금속층은 에칭되어 제거됨에 따라 상기 기판(100) 상에는 마이크로 패턴의 양각 메쉬 형상의 금속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전극 패턴의 메쉬 전극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전극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메쉬 전극을 단선하는 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메쉬 전극을 단선하는 과정에서 불량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전극 패턴이 동일한 전극 패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전극 패턴 내부의 노드 영역들도 모두 균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전극 패턴들의 전기적 특성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각각의 전극 패턴들의 패턴 형상 차이로 인해 외부에서 특정 패턴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윈도우의 전체적인 전기적 특성 및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전극의 위치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다양한 타입을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기판(100) 및 상기 기판(100) 상의 제 1 감지 전극(310) 및 제 2 감지 전극(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은 상기 기판(100)의 상기 유효 영역(AA) 상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은 상기 기판(10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기판(100)의 상기 유효 영역(AA) 상에서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상기 기판(10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기판(100)의 동일 면 상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기판(100) 상에서 서로 절연되며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제 1 단위 감지 전극들은 서로 연결되며 배치되고,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제 2 단위 감지 전극들은 서로 이격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단위 감지 전극들은 브리지 전극(33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브리지 전극(330)이 배치되는 부분에 절연층(350)을 배치하여,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서로 단락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서로 접촉되지 않고, 기판(100)의 동일한 일면 즉, 유효 영역(AA)의 동일 면 상에서 서로 절연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UA)에는 인쇄층(5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커버 기판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과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커버 기판의 동일한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판(100) 상에는 별도의 커버 기판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에는 각각 비유효 영역(UA)에 배치되는 제 1 배선 전극(410) 및 제 2 배선 전극(420)이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다른 타입의 터치 윈도우는 커버 기판(101) 및 기판(100)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기판(101) 상의 제 1 감지 전극(310), 상기 기판(100) 상의 제 2 감지 전극(32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커버 기판(101)의 일면에는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과 연결되는 제 1 배선 전극(410)이 배치되고, 상기 기판(100)의 일면에는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감지 전극(32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과 연결되는 제 2 배선 전극(4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커버 기판(101)에는 감지 전극이 배치되지 않고, 상기 기판(100)의 양면에만 감지 전극이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판(100)의 일면에는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과 연결되는 제 1 배선 전극(410)이 배치되고, 상기 기판(100)의 타면에는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감지 전극(32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과 연결되는 제 2 배선 전극(42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또 다른 타입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커버 기판(101), 제 1 기판(110) 및 제 2 기판(12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판(101) 상의 제 1 감지 전극 및 상기 제 2 기판(102) 상의 제 2 감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기판(110)의 일면에는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과 연결되는 제 1 배선 전극(410)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기판(120)의 일면에는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감지 전극(32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과 연결되는 제 2 배선 전극(42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또 다른 타입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기판(100), 기판 상의 제 1 감지 전극(310) 및 제 2 감지 전극(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기판(100)의 동일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 및 상기 제 2 감지 전극(320)은 상기 기판(100)의 동일 면 상에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감지 전극(310)과 연결되는 제 1 배선 전극(410) 및 제 2 감지 전극(320)과 연결되는 제 2 배선 전극(42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배선 전극(410)은 기판(100)의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배선 전극(420)은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터치 윈도우는 표시 패널과 결합하여 터치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윈도우는 표시 패널과 접착층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는 표시 패널(900) 상에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 디바이스는 상기 기판(100)과 상기 표시 패널(900)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과 상기 표시 패널(900)은 접착층(800)을 통해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과 상기 표시 패널(900)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CA, OCR)를 포함하는 접착층(800)을 통해 서로 합지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900)은 제 1' 기판(910) 및 제 2' 기판(9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900)이 액정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표시 패널(900)은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TFT)와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제 1' 기판(910)과 컬러필터층들을 포함하는 제 2' 기판(920)이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합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900)은 박막트랜지스터, 칼라필터 및 블랙매트릭스가 제 1' 기판(910)에 형성되고, 제 2' 기판(920)이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기판(910)과 합착되는 COT(color filter on transistor)구조의 액정표시패널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제 1' 기판(910)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상에 보호막을 형성하고, 상기 보호막 상에 컬러필터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910)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촉하는 화소전극을 형성한다. 이때, 개구율을 향상하고 마스크 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해 블랙매트릭스를 생략하고, 공통 전극이 블랙매트릭스의 역할을 겸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900)이 액정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900) 배면에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900)이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표시 패널(900)은 별도의 광원이 필요하지 않은 자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900)은 제 1' 기판(910) 상에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접촉하는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된다.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형성된 유기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발광소자 상에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봉지 기판 역할을 하는 제 2' 기판(9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는 표시 패널(900)과 일체로 형성된 터치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을 지지하는 기판이 생략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표시 패널(900)의 적어도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기판(910) 또는 상기 제 2' 기판(920)의 적어도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에 배치된 기판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기판(100)의 일면에 제 1 감지 전극(201)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감지 전극(201)과 연결되는 제 1 배선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900)의 일면에 제 2 감지 전극(202)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감지 전극(202)과 연결되는 제 2 배선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과 상기 표시 패널(900) 사이에는 접착층(800)이 배치되어, 상기 커버 기판과 상기 표시 패널(900)은 서로 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 하부에 편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선 편광판 또는 외광 반사 방지 편광판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 패널(900)이 액정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편광판은 선 편광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900)이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편광판은 외광 반사 방지 편광판 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는 감지 전극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생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두께가 얇고 가벼운 터치 디바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는 표시 패널(900)과 일체로 형성된 터치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을 지지하는 기판이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 영역에 배치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센서 역할을 하는 감지 전극과 상기 감지 전극으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배선이 상기 표시 패널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배선이 상기 표시 패널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제 1' 기판(910) 및 제 2' 기판(9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기판(910) 및 제 2' 기판(920)의 사이에 제 1 감지 전극(210) 및 제 2 감지 전극(220)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이 배치된다. 즉, 상기 제 1' 기판(910) 또는 상기 제 2' 기판(920)의 적어도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감지 전극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기판(100)의 일면에 제 1 감지 전극(201)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감지 전극(201)과 연결되는 제 1 배선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910) 및 제 2' 기판(920) 사이에 제 2 감지 전극(202) 및 제 2 배선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의 내측에 제 2 감지 전극(202) 및 제 2 배선이 배치되고, 표시 패널의 외측에 제 1 감지 전극(201) 및 제 1 배선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감지 전극(202) 및 제 2 배선은 상기 제 1' 기판(910)의 상면 또는 상기 제 2' 기판(92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 하부에 편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이 액정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제 2 감지 전극이 제 1' 기판(910)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감지 전극은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TFT) 또는 화소전극과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감지 전극이 제 2' 기판(920) 배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감지 전극 상에 컬러필터층이 형성되거나, 상기 컬러필터층 상에 감지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이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제 2 감지 전극이 제 1' 기판(91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 2 감지 전극은 박막트랜지스터 또는 유기발광소자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바이스는 감지 전극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생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두께가 얇고 가벼운 터치 디바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에 형성되는 소자와 함께 감지 전극 및 배선을 형성하여 공정을 단순화 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윈도우가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7을 참고하면, 터치 디바이스 장치의 일례로서, 이동식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식 단말기는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영역(AA)은 손가락 등의 터치에 의해 터치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비유효 영역에는 명령 아이콘 패턴부 및 로고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터치 윈도우는 휘어지는 플렉서블(flexible) 터치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장치는 플렉서블 터치 디바이스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휘거나 구부릴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터치 윈도우는 웨어러블 터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이러한 터치 윈도우는 이동식 단말기 등의 터치 디바이스 장치뿐만 아니라 자동차 네비게이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0을 참조하면, 이러한 터치 윈도우는 차량 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 윈도우는 차량 내에서 터치 윈도우가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부분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PND(Personal Navigation Display)뿐만 아니라, 계기판(dashboard) 등에 적용되어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러한 터치 디바이스 장치는 다양한 전자 제품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유효 영역 및 비유효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및
    상기 유효 영역 및 상기 비유효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전극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패턴부는 제 1 전극 패턴부 및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와 이격하는 제 2 전극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 및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는 복수 개의 메쉬선들 및 상기 메쉬선들에 의해 형성되는 메쉬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는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가 배치되는 영역에 정의되는 복수의 단위 전극 패턴부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단위 전극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단위 전극 패턴부가 연결되어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는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가 배치되는 영역에 정의되는 복수의 단위 전극 패턴부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단위 전극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단위 전극 패턴부가 연결되어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의 폭 및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와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의 이격거리로 정의되는 제 1 길이와, 상기 메쉬 개구부의 폭으로 정의되는 제 2 길이는 하기 수식을 만족하는 터치 윈도우.
    [수식]
    제 1 길이=제 2 길이 * 2n(여기서 n은 양의 정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은,
    상기 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감지 전극; 및
    상기 비유효 영역 상에 배치되는 배선 전극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 및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는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터치 윈도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는 제 1 메쉬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는 제 2 메쉬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는 제 1 메쉬선들이 교차하는 제 1 노드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는 제 2 메쉬선들이 교차하는 제 2 노드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노드 영역들의 제 1 연장선 및 상기 제 2 노드 영역들의 제 2 연장선은 직선으로 형성되는 터치 윈도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선과 상기 제 2 연장선은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터치 윈도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선과 상기 제 2 연장선은 평행하게 연장되는 터치 윈도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길이는 100㎛ 내지 500㎛인 터치 윈도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의 메쉬 형상 및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의 메쉬 형상은 서로 대응되는 터치 윈도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는 제 1 메쉬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는 제 2 메쉬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 내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메쉬선들과 상기 기판의 제 1 접촉 면적은,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 내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메쉬선들과 상기 기판의 제 2 접촉 면적과 서로 대응되는 터치 윈도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50138450A 2015-10-01 2015-10-01 터치 윈도우 KR102329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450A KR102329718B1 (ko) 2015-10-01 2015-10-01 터치 윈도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450A KR102329718B1 (ko) 2015-10-01 2015-10-01 터치 윈도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391A KR20170039391A (ko) 2017-04-11
KR102329718B1 true KR102329718B1 (ko) 2021-11-23

Family

ID=58580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450A KR102329718B1 (ko) 2015-10-01 2015-10-01 터치 윈도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7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1318A (ja) * 2012-03-22 2015-06-18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ー一体型タッチ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570A (ko) * 2011-06-27 2013-01-04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KR20140021948A (ko) * 2012-08-13 2014-02-21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1318A (ja) * 2012-03-22 2015-06-18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ー一体型タッチ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391A (ko) 201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340B1 (ko) 터치 윈도우
JP6553339B2 (ja) タッチウィンドウ及びこれを含むタッチデバイス
US9857906B2 (en) Touch window
EP2908230A1 (en)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with the same
US10055074B2 (en) Touch window
US10198113B2 (en) Touch window
CN105320384B (zh) 触摸窗
KR102199361B1 (ko) 전극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KR102175973B1 (ko) 터치 윈도우
KR102304019B1 (ko) 터치 윈도우
KR102329718B1 (ko) 터치 윈도우
US20150253903A1 (en)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238822B1 (ko) 터치 윈도우
US10228580B2 (en) Touch panel
KR102313957B1 (ko) 터치 윈도우
KR102275886B1 (ko) 터치 윈도우
KR102288832B1 (ko)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
KR102303075B1 (ko) 전극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KR102199344B1 (ko) 터치 윈도우
KR102288796B1 (ko) 터치 윈도우
KR102313967B1 (ko) 터치 윈도우
KR102302824B1 (ko) 터치 윈도우 및 터치 디바이스
KR102303068B1 (ko) 터치 윈도우
KR102313951B1 (ko) 터치 윈도우
KR102251865B1 (ko) 터치 윈도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