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5285A -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5285A
KR20160095285A KR1020150016182A KR20150016182A KR20160095285A KR 20160095285 A KR20160095285 A KR 20160095285A KR 1020150016182 A KR1020150016182 A KR 1020150016182A KR 20150016182 A KR20150016182 A KR 20150016182A KR 20160095285 A KR20160095285 A KR 20160095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layer
modulus
control areas
modulus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2284B1 (ko
Inventor
이정헌
김연준
이상조
이주석
장미
최경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6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284B1/ko
Priority to US14/964,361 priority patent/US9991468B2/en
Priority to CN201610068799.7A priority patent/CN105845704B/zh
Publication of KR20160095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285A/ko
Priority to US15/997,638 priority patent/US1021142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10K59/8731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내로 권취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은,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반대면인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상에 각각 위치하는 층들을 서로 접합시키는 투광성 접착층이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권출되는 방향인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접착층의 제1 연신율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따른 상기 접착층의 제2 연신율보다 큰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Roll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장치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하려는 노력과 함께, 전자 장치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자발광형 표시 장치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별도의 광원이 불필요하므로 저전압으로 구동이 가능하고 경량의 박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넓은 시야각, 높은 콘트라스트(contrast) 및 빠른 응답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으로 인해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 받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내로 권취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은,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반대면인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상에 각각 위치하는 층들을 서로 접합시키는 투광성 접착층이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권출되는 방향인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접착층의 제1 연신율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따른 상기 접착층의 제2 연신율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베이스와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표면에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은 상기 접착층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접착층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 각각의 깊이는 상기 접착층의 두께의 10% 내지 90%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스 조절 영역의 깊이는 상기 접착층의 두께의 10% 내지 50%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신율은 상기 접착층의 일단에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증가하고, 상기 일단은 상기 프레임과 근접한 측이고, 상기 타단은 상기 일단과 반대측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 간의 간격은, 상기 일단에서 상기 타단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의 깊이는 상기 일단에서 상기 타단으로 갈수록 깊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은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은 상기 접착층의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된 복수의 제1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과, 상기 접착층의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된 복수의 제2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과 상기 복수의 제2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은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의 디스플레이 층, 상기 디스플레이 층을 밀봉하는 박막 봉지층 및 상기 박막 봉지층 상의 기능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박막 봉지층과 상기 기능층을 접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롤 형태로 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층, 상기 디스플레이 층을 밀봉하는 박막 봉지층, 상기 박막 봉지층 상의 기능층 및 상기 박막 봉지층과 상기 기능층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라인 형태의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은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스트라이프 패턴을 이루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은 서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제1 모듈러스는 상기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의 제2 모듈러스 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접착층의 제1 연신율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따른 상기 접착층의 제2 연신율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표면에서,상기 베이스와 상기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은 상기 접착층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접착층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롤 형태로 권취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권출되는 방향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신율은 상기 접착층의 일단에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증가하고, 상기 일단은 상기 프레임과 근접한 측이고, 상기 타단은 상기 일단과 반대측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 간의 간격은, 상기 일단에서 상기 타단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의 깊이는 상기 일단에서 상기 타단으로 갈수록 깊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스 조절 영역의 깊이는 상기 접착층의 두께의 10% 내지 90%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스 조절 영역의 깊이는 상기 접착층의 두께의 10% 내지 50%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은 상기 접착층의 제1 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된 복수의 제1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과, 상기 제1 면과 반대면인 상기 접착층의 제2 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된 복수의 제2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과 상기 복수의 제2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은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층은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편광층, 터치스크린층과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편광층, 상기 터치스크린층 및 상기 보호층을 서로 접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롤 형상으로 권취될 때, 중심축에서 멀어질수록 누적되는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스트레스의 누적에 의한 층간 박리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착층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접착층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접착층의 다른 변형예로, 도 3의 II-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접착층의 또 다른 변형예로, 도 3의 II-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각 구성요소의 설명에 있어서, 상(on)에 또는 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하(under)는 직접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하며, 상(on) 및 하(under)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착층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그리고 도 4는 도 3의 II-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프레임(F)과 프레임(F) 내에 감겨 들어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F)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0)가 말려 들어가는 공간을 제공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0)의 일단(E1)과 결합된 로드(R)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0)는 로드(R)를 중심축으로 하여 권취되고, 또한 프레임(F)으로부터 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며,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플레서블 디스플레이부(10)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프레임(F)이 롤 형상을 가지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으며, 내부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0)가 말려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갖는 한 프레임(F)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0)는 플렉서블 기판(100), 플렉서블 기판(100) 상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층(200), 디스플레이 층(200)을 밀봉하는 박막봉지층(300), 박막봉지층(300) 상에 위치하는 기능층(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기능층(500)은 편광층(510), 터치스크린층(520) 및 보호층(53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0)는 편광층(510), 터치스크린층(520)과 보호층(53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추가적인 기능층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0)는 적어도 하나의 접착층(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400)은 투광성을 가지고,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반대면인 제2 면 상에 각각 위치하는 층들을 서로 접합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접착층(400)은 봉지층(300)과 기능층(500) 사이에 개재되어, 봉지층(300)과 기능층(500)을 서로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층(400)은 기능층(500)에 포함된 편광층(510), 터치스크린층(520) 및 보호층(530)을 서로 부착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플렉서블 기판(100)은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서, 금속재, 또는 PET(Polyethylen terephthalate), PEN(Polyethylen naphtha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등과 같은 플라스틱재 등, 다양한 재료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SUS(Steel Use Stainless)와 같은 얇은 금속 호일을 이용할 수도 있다.
플렉서블 기판(100) 상에는 박막트랜지스터(TFT)의 반도체층(120)으로 불순물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옥사이드 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으로 형성된 버퍼층(110)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층(200)은 박막트랜지스터(TFT), 커패시터(CAP) 및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트랜지스터(TFT)는 비정질실리콘, 다결정실리콘, 산화물반도체 또는 유기반도체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층(120), 게이트전극(140), 소스전극(160) 및 드레인전극(162)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120)은 버퍼층(1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반도체층(120)의 상부에는 게이트전극(140)이 배치되는데, 이 게이트전극(140)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소스전극(160) 및 드레인전극(162)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게이트전극(140)은 인접층과의 밀착성, 적층되는 층의 표면 평탄성 그리고 가공성 등을 고려하여, 예컨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구리(Cu)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층(120)과 게이트전극(140) 사이에는 실리콘옥사이드 및/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으로 형성되는 게이트절연막(130)이 위치할 수 있다.
게이트전극(140)의 상부에는 층간절연막(150)이 배치될 수 있다. 층간절연막(150)은 실리콘옥사이드 또는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등의 물질로 단층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절연막(150)의 상부에는 소스전극(160) 및 드레인전극(162)이 배치된다. 소스전극(160) 및 드레인전극(162)은 층간절연막(150)과 게이트절연막(130)에 형성되는 컨택홀을 통하여 반도체층(12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소스전극(160) 및 드레인전극(162)은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몰리브덴(Mo), 티타늄(Ti), 텅스텐(W), 구리(Cu)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소스전극(160) 및 드레인전극(162) 상에는 제1 절연막(17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막(170)은 박막트랜지스터(TFT) 상부에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되는 경우 박막트랜지스터(TFT) 의 상면을 대체로 평탄화하게 하고, 박막트랜지스터(TFT) 및 각종 소자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 절연막(170)은 아크릴계 유기물 BCB(Benzocyclobutene), 무기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박막트랜지스터(TFT) 상부에는 제2 절연막(18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막(180)은 화소정의막일 수 있다. 제2 절연막(180)은 상술한 제1 절연막(170)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절연막(180)은 기판(100) 상에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절연막(180)은 예컨대 유기 절연막으로 구비될 수 있다. 유기 절연막으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와 같은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스티렌(PS), phenol그룹을 갖는 고분자 유도체, 이미드계 고분자, 아릴에테르계 고분자, 아마이드계 고분자, 불소계고분자, p-자일렌계 고분자, 비닐알콜계 고분자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막(180)에 의해 정의된 화소영역에는 적색부화소(250R), 녹색부화소(250G), 청색부화소(250B)를 형성하는 유기발광소자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적색부화소(250R)는 적색발광용 화소전극(210R), 적색발광용 중간층(220R) 및 대향전극(230)을 포함하고, 녹색부화소(250G)는 녹색발광용 화소전극(210G), 녹색발광용 중간층(220G) 및 대향전극(230)을 포함하며, 청색부화소(250B)는 청색발광용 화소전극(210G), 청색발광용 중간층(220B) 및 대향전극(230)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전극들(210R, 210G, 210B)은 박막 트랜지스터(TFT)들과 각각 연결되며, 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화소전극들(210R, 210G, 210B)이 투명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ITO, IZO, ZnO, In2O3, IGO 또는 AZO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화소전극들(210R, 210G, 210B)이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및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형성된 반사막과, ITO, IZO, ZnO, In2O3, IGO 또는 AZO로 형성된 층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구조 또한 단층 또는 다층이 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적색부화소(250R), 녹색부화소(250G) 및 청색부화소(250B)에 각각 포함된 적색발광용 중간층(220R), 녹색발광용 중간층(220G) 및 청색발광용 중간층(220B) 은, 적색, 녹색 및 청색으로 발광하는 발광층(EML: Emission Layer)을 각각 포함하며, 이외에도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중간층(220R, 220G, 220B)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대향전극(230)은 적색부화소(250R), 녹색부화소(250G) 및 청색부화소(250B)의 공통전극일 수 있다. 대향전극(230)은 투명 전극 또는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향전극(230)이 투명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일함수가 작은 금속 즉, Li, Ca, LiF/Ca, LiF/Al, Al, Ag, Mg 및 이들의 화합물로 형성된 층과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투명 도전층을 가질 수 있다. 대향전극(230)이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때에는 Li, Ca, LiF/Ca, LiF/Al, Al, Ag, Mg 및 이들의 화합물로 형성된 층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대향전극(230)의 구성 및 재료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박막봉지층(300)은 디스플레이층(200)을 밀봉하여 외부의 산소 및 수분 등이 디스플레이층(200)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박막봉지층(300)은 다수의 유기막(310, 330)들과 다수의 무기막(320, 34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다수의 유기막(310, 330)들과 다수의 무기막(320, 340)들은 서로 교번적으로 적층된 다층구조를 이룰 수 있다.
유기막(310, 330)들은 예컨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막(320, 340)들은 예컨대,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질화물, 지르코늄 질화물, 티타늄 질화물, 하프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주석 산화물, 세륨 산화물 및 실리콘 산화질화물(SiO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봉지층(300) 상에는 기능층(500)이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기능층(500)은 편광층(510), 터치스크린층(520) 및 보호층(53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인 다른 기능층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편광층(510), 터치스크린층(520) 및 보호층(530)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적층 순서는 이에 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편광층(510)은 디스플레이층(200)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편광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 투과시키고, 그 외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은 흡수하거나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층(510)은 서로 수직인 두 편광 성분에 λ/4만큼의 위상차를 부여하여 선편광을 원편광으로 바꾸거나 원편광을 선편광으로 바꾸는 위상차 필름과, 위상차 필름을 통과한 빛의 방향을 정렬하며, 서로 직교하는 두 가지 편광 성분으로 나누고 그 한 성분만을 통과시키고 다른 성분은 흡수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편광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터치스크린층(520)은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교차 배열된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일 예로, 서로 교차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1전극과 복수의 제2전극에서 발생되는 정전용량의 변동을 감지하여 해당부분의 접촉 여부를 판단하는 정전용량 방식일 수 있다.
보호층(530)은 플렉서블한 성질을 가지고,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디스플레이층(200) 등을 보호할 수 있다. 보호층(53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틸렌(PS),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에틸렌(P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접착층(400)들은 일 예로, 봉지층(300)과 기능층(500) 사이 및, 기능층(500)에 포함된 편광층(510), 터치스크린층(520) 및 보호층(530)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이들을 서로 부착시킬 수 있다. 접착층(400)들은 실리콘계 접착제 또는 아크릴계 접착제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경화제, 가교제, 자외선 안정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400)들은 감압 접착체(PSA), 광학 투명 접착제(OCA) 등일 수 있다.
접착층(400)들 각각은, 베이스(410)와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들은 베이스(410)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며, 제2 방향(Y)을 따라 연장되고, 제1 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스트라이프 패턴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X)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0)가 프레임(F)으로부터 권출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제2 방향(Y)은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Z)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0)의 두께 방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2 방향(Y)은 제1 방향(X)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접착층(400)의 표면에서 베이스(410)와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들은 제1 방향(X)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410)와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들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베이스(410)는 제1 모듈러스를 가지고,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들은 상기 제1 모듈러스 보다 작은 제2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모듈러스는 인장에 대한 탄성계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접착층(400)은 모듈러스가 증가할수록 딱딱한 성질을 가지며 접착력과 복원력이 향상될 수 있다. 반면에, 모듈러스가 작을수록 접착층(400)은 연신성이 증가할 수 있다.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들은, 베이스(410) 상에 코로나 방전 또는 플라즈마를 국부적으로 조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코로나 방전 또는 플라즈마가 조사된 영역에서는, 접착제에 포함된 가교제(cross-linking agent)들의 결합이 끊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들은 베이스(4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듈러스는 3 내지 10Kgf/cm2일 수 있고, 제2 모듈러스는 0.1 내지 2 Kgf/cm2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4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모듈러스를 가지는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들이 제1 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제1 방향(X)에 따른 접착층(400)의 제1 연신율은, 제2 방향(Y)에 따른 접착층(400)의 제2 연신율보다 커지게 된다. 여기서 연신율은, 인장 하중을 걸었을 때 늘어난 길이의 최초 길이에 대한 백분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연신율은 약 100 내지 1000%일 수 있으며, 제1 방향(X)과 수직한 제2 방향(Y)을 따른 제2 연신율은 약 0 내지100%일 수 있다.
즉, 접착층(400)은 큰 모듈러스를 가지는 베이스(410)에 의해 우수한 접착력과 복원력을 가지면서, 제1 방향(X)으로는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들에 의해 연신율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봉지층(300)과 기능층(500) 간의 접합력이 유지되면서 동시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0)가 롤 형태를 가지도록 말릴 때, 권취축에서 멀어질수록 누적되는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은 접착층(400)의 일단(A) 및 타단(B)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일단(A)은 프레임(F)과 근접한 측이고, 타단(B)은 일단(A)과 반대측을 의미한다. 상기 일단(A)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0)의 권취시 스트레스가 가장 적게 누적되는 부위이므로 모듈러스가 큰 베이스(41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타단(B)에서 접착층(400)의 밀림 현상에 의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타단(B)에도 접착력이 큰 베이스(410)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들을 형성하기 위한 코로나 방전 또는플라즈마의 조사시 접착층(400)으로 전달된 에너지는 접착층(400)의 표면에서부터 일정 깊이까지 침투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들은 접착층(400)의 표면으로부터 접착층(400)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접착층(400)의 내부에서 베이스(41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때,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의 깊이(T2)가 너무 ?汰만? 제1 방향(X)으로의 접착층(400)의 연신율이 증가되기 어렵고, 반대로,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의 깊이(T2)가 가 너무 깊으면, 제1 방향(X)으로의 접착층(400)의 연신시 접착층(400)이 부분적으로 끊어짐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연신율의 향상 및 접착층(400)의 안정적인 유지를 위해,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의 깊이(T2)는 접착층(400) 두께(T1)의 10% 내지 90%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의 폭(W)은 조사되는 플라즈마 등의 빔 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의 폭(W)은 접착층(400)의 표면에서의 폭을 의미하며,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의 폭(W)이 증가할수록 접착층(400)의 접착력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층(400) 표면에서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들의 전체 면적은, 접착층(400)의 표면적의 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과 베이스(410) 사이에는 접착제의 접착력이 구배를 가지고 변하는 경계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과 베이스(410) 사이에서 모듈러스가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5는 도 3의 접착층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접착층(400B)은 베이스(410)와 베이스(410)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들은 제1 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스트라이프 패턴을 이루고, 베이스(410) 보다 작은 모듈러스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방향에 따른 접착층(400B)의 제1 연신율이 제2 방향(Y)에 따른 접착층(400B)의 제2 연신율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들 간의 간격은 접착층(400B)의 일단(A)에서 타단(B)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D1〉D2). 여기서, 일단(A)은 프레임(도 1의 F)과 근접한 측이고, 타단(B)은 일단(A)과 반대측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들 간의 간격이 접착층(400B)의 일단(A)에서 타단(B)으로 갈수록 감소하면, 일단(A)에서 타단(B)으로 갈수록 제1 연신율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도 1의 10)가 롤 형태를 가지도록 말릴 때, 일단(A)에서 타단(B)으로 갈수록 누적되는 스트레스를 더욱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접착층의 다른 변형예로, 도 3의 II-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접착층(400C)은 베이스(410)와 베이스(410)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들은 제1 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제2 방향(Y)을 따라 라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들은 베이스(410) 보다 작은 모듈러스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방향에 따른 접착층(400C)의 제1 연신율이 제2 방향(Y)에 따른 접착층(400C)의 제2 연신율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들의 깊이는 접착층(400C)의 일단(A)에서 타단(B)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T3〈T4〈T5). 이와 같이,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들의 깊이가 접착층(400C)의 일단(A)에서 타단(B)으로 갈수록 증가하면,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들 간의 간격(D)이 모두 일정하게 형성되더라도, 제1 연신율은 일단(A)에서 타단(B)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도 1의 10)가 롤 형태를 가지도록 말릴 때, 일단(A)에서 타단(B)으로 갈수록 누적되는 스트레스를 더욱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들 간의 간격(D)이 모두 일정하게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는다. 즉,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들의 깊이가 접착층(400C)의 일단(A)에서 타단(B)으로 갈수록 증가하면서 동시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들 간의 간격이 점차 감소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접착층의 또 다른 변형예로, 도 3의 II-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접착층(400D)은 베이스(410)와 베이스(410)에 형성된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들은 제1 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스트라이프 패턴을 이루고, 베이스(410) 보다 작은 모듈러스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방향에 따른 접착층(400D)의 제1 연신율이 제2 방향(Y)에 따른 접착층(400D)의 제2 연신율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420)들은 접착층(400D)의 제1 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된 복수의 제1 모듈러스 조절 영역(422)들과, 제1 면과 반대면인 제2 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된 복수의 제2 모듈러스 조절 영역(424)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모듈러스 조절 영역(422)들과 복수의 제2 모듈러스 조절 영역(424)들은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층(400)의 접착력은 유지하면서 제1 연신율은 더욱 향상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도 1의 10)가 롤 형태를 가지도록 말릴 때, 일단(A)에서 타단(B)으로 갈수록 누적되는 스트레스를 더욱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100: 기판
200: 디스플레이층
300: 봉지층
400, 400B, 400C, 400D: 접착층
410: 베이스
420: 모듈러스 조절 영역
500: 기능층
510: 편광층
520: 터치 스크린층
530: 보호층

Claims (28)

  1.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내로 권취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은,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반대면인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상에 각각 위치하는 층들을 서로 접합시키는 투광성 접착층이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권출되는 방향인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접착층의 제1 연신율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따른 상기 접착층의 제2 연신율보다 큰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수직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베이스와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표면에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은 상기 접착층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접착층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에 의해 둘러싸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 각각의 깊이는 상기 접착층의 두께의 10% 내지 90%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스 조절 영역의 깊이는 상기 접착층의 두께의 10% 내지 50%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신율은 상기 접착층의 일단에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증가하고,
    상기 일단은 상기 프레임과 근접한 측이고, 상기 타단은 상기 일단과 반대측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 간의 간격은, 상기 일단에서 상기 타단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의 깊이는 상기 일단에서 상기 타단으로 갈수록 깊어지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은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으로부터 이격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은 상기 접착층의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된 복수의 제1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과, 상기 접착층의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된 복수의 제2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을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과 상기 복수의 제2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은 교번하여 배치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의 디스플레이 층, 상기 디스플레이 층을 밀봉하는 박막 봉지층 및 상기 박막 봉지층 상의 기능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박막 봉지층과 상기 기능층을 접합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4. 롤 형태로 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층;
    상기 디스플레이 층을 밀봉하는 박막 봉지층;
    상기 박막 봉지층 상의 기능층; 및
    상기 박막 봉지층과 상기 기능층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라인 형태의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은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스트라이프 패턴을 이루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은 서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제1 모듈러스는 상기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의 제2 모듈러스 보다 큰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접착층의 제1 연신율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따른 상기 접착층의 제2 연신율보다 큰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수직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표면에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은 상기 접착층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접착층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에 의해 둘러싸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롤 형태로 권취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권출되는 방향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신율은 상기 접착층의 일단에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증가하고,
    상기 일단은 상기 프레임과 근접한 측이고, 상기 타단은 상기 일단과 반대측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 간의 간격은, 상기 일단에서 상기 타단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의 깊이는 상기 일단에서 상기 타단으로 갈수록 깊어지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스 조절 영역의 깊이는 상기 접착층의 두께의 10% 내지 90%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스 조절 영역의 깊이는 상기 접착층의 두께의 10% 내지 50%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은 상기 접착층의 제1 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된 복수의 제1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과, 상기 제1 면과 반대면인 상기 접착층의 제2 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된 복수의 제2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을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과 상기 복수의 제2 모듈러스 조절 영역들은 교번하여 배치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2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층은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2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편광층, 터치스크린층과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편광층, 상기 터치스크린층 및 상기 보호층을 서로 접합시키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016182A 2015-02-02 2015-02-02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52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182A KR102352284B1 (ko) 2015-02-02 2015-02-02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4/964,361 US9991468B2 (en) 2015-02-02 2015-12-09 Rollable display device
CN201610068799.7A CN105845704B (zh) 2015-02-02 2016-02-01 可卷曲显示装置
US15/997,638 US10211426B2 (en) 2015-02-02 2018-06-04 Rollabl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182A KR102352284B1 (ko) 2015-02-02 2015-02-02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285A true KR20160095285A (ko) 2016-08-11
KR102352284B1 KR102352284B1 (ko) 2022-01-18

Family

ID=56553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182A KR102352284B1 (ko) 2015-02-02 2015-02-02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991468B2 (ko)
KR (1) KR102352284B1 (ko)
CN (1) CN105845704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1939A1 (ko) * 2019-05-31 202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2108362A1 (ko) * 2020-11-18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36436A1 (ko) * 2022-01-14 2023-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21409A (ja) * 2015-06-25 2018-08-02 シェンジェン ロイオル テクノロジ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タッチ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の製作方法
USD803178S1 (en) * 2015-08-31 2017-11-21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806664S1 (en) * 2015-11-18 2018-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USD806663S1 (en) * 2015-11-18 2018-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USD807312S1 (en) * 2015-11-18 2018-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USD807311S1 (en) * 2015-11-18 2018-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USD807310S1 (en) * 2015-11-18 2018-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USD806662S1 (en) * 2015-11-18 2018-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EP3393790A1 (en) 2015-12-22 2018-10-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onding layer having discrete adhesive patches
JP6692194B2 (ja) * 2016-03-23 2020-05-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534599B1 (ko) * 2016-05-10 2023-05-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JP6783573B2 (ja) * 2016-07-22 2020-11-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592956B1 (ko) * 2016-08-29 2023-10-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28529B1 (ko) * 2016-10-06 2023-05-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KR20180076590A (ko) * 2016-12-28 2018-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KR102325171B1 (ko) * 2017-03-20 2021-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870384B (zh) 2017-07-13 2022-07-05 堺显示器制品株式会社 有机el设备及其制造方法
KR102646718B1 (ko) * 2018-11-16 2024-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장치
US10879499B2 (en) * 2018-12-03 2020-12-29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modu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CN109448554A (zh) * 2018-12-03 2019-03-0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JP6814230B2 (ja) * 2019-01-11 2021-01-13 株式会社Joled 発光パネル、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11613130B (zh) * 2019-02-25 2022-03-11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面板
US11024584B2 (en) * 2019-05-29 2021-06-01 Innolux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CN111210723B (zh) * 2020-01-13 2022-06-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组件、可卷曲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JP2021147438A (ja) * 2020-03-17 2021-09-27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内の積層体に用いる粘着シート、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に用いる積層体、及び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
CN111833749B (zh) * 2020-07-13 2022-11-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以及电子设备
KR20220091150A (ko) * 2020-12-23 2022-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42412A1 (en) * 2003-06-04 2006-06-29 Mitsubishi Plastics, Inc. Transparent gel adhesive agent, transparent gel adhesive sheet, and optical filter for display
JP2011081069A (ja) * 2009-10-05 2011-04-21 Sony Corp 表示装置
US8001711B2 (en) * 2004-05-21 2011-08-23 Creator Technology B.V. Rollable display device with strain reduction
US20120064275A1 (en) * 2010-09-14 2012-03-15 Nitto Denko Corporation Optic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KR102218649B1 (ko) * 2014-09-16 2021-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5368B2 (ja) * 2000-12-12 2011-03-23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端末
JP3864750B2 (ja) * 2001-10-18 2007-01-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素子用基板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素子
US7936338B2 (en) * 2002-10-01 2011-05-03 Sony Corporation Display uni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U2003272033A1 (en) 2002-11-21 2004-06-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lexible display
JP5623754B2 (ja) 2010-02-04 2014-11-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1105878A2 (ko) 2010-02-26 2011-09-01 (주)Lg화학 점착제 조성물
JP2011204364A (ja) 2010-03-24 2011-10-13 Brother Industries Ltd El発光素子
CN103502005B (zh) * 2011-04-15 2015-05-06 东洋纺株式会社 层叠体、其制造方法及使用其的器件结构体的制造方法
KR101320384B1 (ko) *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30038820A1 (en) * 2011-10-28 2013-02-14 Shi-Chiung Chen Micro structure substrates for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921927B2 (ja) 2012-03-27 2016-05-24 日東電工株式会社 加熱剥離型粘着シート
KR101935552B1 (ko) * 2012-06-27 2019-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9439315B2 (en) * 2012-06-29 2016-09-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35453B1 (ko) * 2013-05-24 2020-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착필름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9276055B1 (en) * 2014-08-31 2016-03-01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micro cover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CN113540130A (zh) * 2014-10-28 2021-10-22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显示装置、显示装置的制造方法及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42412A1 (en) * 2003-06-04 2006-06-29 Mitsubishi Plastics, Inc. Transparent gel adhesive agent, transparent gel adhesive sheet, and optical filter for display
US8001711B2 (en) * 2004-05-21 2011-08-23 Creator Technology B.V. Rollable display device with strain reduction
JP2011081069A (ja) * 2009-10-05 2011-04-21 Sony Corp 表示装置
US20120064275A1 (en) * 2010-09-14 2012-03-15 Nitto Denko Corporation Optic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KR102218649B1 (ko) * 2014-09-16 2021-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1939A1 (ko) * 2019-05-31 202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2108362A1 (ko) * 2020-11-18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36436A1 (ko) * 2022-01-14 2023-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87096A1 (en) 2018-10-04
CN105845704A (zh) 2016-08-10
US10211426B2 (en) 2019-02-19
KR102352284B1 (ko) 2022-01-18
CN105845704B (zh) 2020-10-30
US20160226021A1 (en) 2016-08-04
US9991468B2 (en) 201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5285A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18649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14599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78361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50514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54769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6609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304917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313990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TWI618274B (zh) 具有改良之彎曲特性的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KR102343573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4597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160043336A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82425B1 (ko) 평판표시장치
KR102390448B1 (ko)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37721A (ko) 광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124274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78182A (ko) 플렉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6575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83460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9960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10988B1 (ko) 보호 시트 및 이를 구비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