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7721A - 광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7721A
KR20140037721A KR20120104228A KR20120104228A KR20140037721A KR 20140037721 A KR20140037721 A KR 20140037721A KR 20120104228 A KR20120104228 A KR 20120104228A KR 20120104228 A KR20120104228 A KR 20120104228A KR 20140037721 A KR20140037721 A KR 20140037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unit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04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0447B1 (ko
Inventor
조종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4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447B1/ko
Priority to US13/757,085 priority patent/US9122012B2/en
Publication of KR20140037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8Anti-reflection coatings having sub-optical wavelength surface structures designed to provide an enhanced transmittance, e.g. moth-ey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유닛은 편광판, 편광판의 제1면 위에 위치하는 제1 보호막, 제1 보호막 위에 위치하는 제1 접착제막을 포함하고, 제1 보호막의 표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광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OPTICAL UNI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판을 포함하는 광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최근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주목 받고 있다.
유기 발광 소자는 자체 발광 특성을 가지며,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전체적인 표시 장치의 두께와 무게를 줄여 표시 장치의 플렉서블(flexible)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는 낮은 소비 전력, 높은 휘도 및 높은 반응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이미지(image)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며 편광판을 포함하는 광학 유닛, 광학 유닛 상에 위치하며 광학 유닛을 보호하는 동시에 윈도우(window)를 포함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표시 장치는 폭넓은 파장대에서 저반사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 3층 이상의 다층막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다층막 구조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패널에서는 패널의 구부림(bending)으로 인한 다층 박막 사이의 밀착력이 약해서 층분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플렉서블 표시판에서 다층 박막 사이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는 광학 유닛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광 반사를 방지하여 투과율을 높일 수 있는 광학 유닛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유닛은 편광판, 편광판의 제1면 위에 위치하는 제1 보호막, 제1 보호막 위에 위치하는 제1 접착제막을 포함하고, 제1 보호막의 표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편광판의 제2면 위에 위치하는 제2 접착제막, 제2 접착제막 위에 위치하며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2 보호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 사이의 간격은 20nm 내지 300nm이고, 돌기의 높이는 50nm 내지 1,000nm이고, 돌기의 폭은 20nm 내지 300nm일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막 및 제2 보호막의 두께는 40㎛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막 및 제2 보호막은 트리아세틸셀루로우스(tri acetyl cellulose, TA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호막 위에 위치하는 위상 지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과 이웃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플렉서블(flexible)한 표시 패널, 표시 패널 위에 위치하며 광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유닛 위에 위치하는 윈도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돌기를 가지는 광학 유닛을 형성하면, 박막 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밀착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플렉서블 기판에서 구부림에 의해서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돌기로 인해서 굴절율 변화가 작아져 발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학 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돌기의 사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돌기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한 화소에 따른 표시 패널의 한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한 화소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학 유닛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학 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돌기의 사진이고,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돌기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학 유닛(1001)은 제1 보호막(10), 편광판(20), 제2 보호막(30) 및 제1 접착제막(40)을 포함한다.
제1 보호막(10) 및 제2 보호막(30)은 투명한 물질로 트리아세틸셀루로우스(tri acetyl cellulose, TA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호막(10)과 제2 보호막(30)은 편광판(20)의 양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편광판(20)보다 경도가 높을 수 있다. 제1 보호막(10)과 제2 보호막(30)은 가요성 특성을 얻기 위해서 40㎛이하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보호막(30)은 표면에 도 2에서와 같은 복수의 돌기(7)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7) 사이의 간격(L)은 광의 파장 이하의 간격으로 예를 들어 20nm 내지 300nm이고, 높이(H)는 50nm 내지 1,000nm이고, 돌기의 폭(D)은 20nm 내지 300n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의 돌기(7)를 형성하면, 상부막과 하부막 사이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 두 박막 사이의 표면 에너지가 증가한다. 따라서 하부막과 상부막의 밀착력이 증가되어 플렉서블 패널의 구부림에 대해서도 들뜨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돌기를 형성하면, 광학 유닛을 통과하는 광에 대해서 급격한 굴절율 변화를 감소시켜 추가적인 반사 방지막을 형성하지 않으면서도 표시 장치의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광학 유닛에 광이 입사 했을 경우에는 입사광, 반사광 및 투과광만의 관계 외에 회절광이 존재하여 복수의 돌기들은 광이 굴절율이 완만하게 변화하도록 함으로써 저반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투과율이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돌기(7)는 도 3에서와 같이 표면 에너지를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면 모두 가능하다.
즉, 도 3의 (a)에서와 같이 원기둥 형태로, 상부가 반구형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하거나, 도 3의 (b)에서와 같이 반구형 구조를 가지거나, 도 3의 (c) 및 (d)에서와 같이 역테이퍼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e)에서와 같이 복수의 소돌기(9)를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돌기(7)는 돌기(7)를 형성하고자 하는 박막을 형성한 후 임프린트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미립자의 분사에 의한 블러스트 가공, 화학 약품을 이용한 에칭법, 무기질 또는 유기질 미립자를 이용한 표면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는 광경화 수지를 이용하여 돌기를 형성하고자 하는 수지 위에 도포하여 광경화 전사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편광판(20)은 편광축을 가지며, 편광판을 통과하는 광을 편광축 방향으로 선편광시킨다. 구체적으로, 편광판(20)은 편광축과 일치하는 광은 통과시키고, 편광축과 일치하지 않는 광은 흡수한다. 이에, 광이 편광판(20)을 통과하면 편광축 방향으로 선편광된다.
편광판(20)은 매트릭스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매트릭스, 요오드 및 염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매트릭스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로 된 구조일 수 있다.
편광판(20)은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연신한 후 요오드와 염료를 합착시키는 방법, 요오드와 염료를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흡착시킨 후 연신하는 방법 및 요오드와 염료를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염착시키면서 동시에 연신하는 방법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연신되어 얇고 강도가 약한 편광판(20)은 제1 보호막(10) 및 제2 보호막(30)에 의해서 보호 및 지지된다.
제1 접착제막(40)은 패널 또는 윈도우를 접착하기 위한 것으로, 광학투명점착(optical clear adhesive, OCA) 물질과 같은 점착제 또는 광학투명수지(optical clear resin)와 같은 접착제 물질일 수 있다.
제1 접착제막(40)은 돌기(7) 사이의 간격을 메우며 돌기(7)로 인해서, 제2 보호막(30)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제2 보호막(30)과의 밀창성이 향상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광학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유닛(1002)은 위상 지연판(50), 제1 보호막(10), 편광판(20), 제1 접착제막(40)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구성은 도 1의 광학 유닛(1001)과 동일하므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의 광학 유닛(1002)은 위상 지연판(50) 위에 제1 보호막(10)이 형성되어 있다. 위상 지연판(50)은 위상 지연판(50)을 통과하는 광을 λ/4만큼 위상 지연 시키며, 위상 지연판(50)을 통과하는 선편광된 광은 원편광된 광으로 변화시키는 동시에, 위상 지연판(50)을 통과하는 원편광된 광은 선편광된 광으로 변환시킨다.
도 4에서와 같이, 위상 지연판(50) 및 편광판(20)을 적층함으로써, 광학 유닛으로 입사되는 외광의 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광학 유닛(1003)은 제1 보호막(10), 제2 접착제막(60), 편광판(20), 제2 보호막(30), 제1 접착제막(40)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구성은 도 1의 광학 유닛(1001)과 동일하므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의 광학 유닛(1003)은 제1 보호막(10)의 표면에 돌기(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보호막(10) 위에 제2 접착제막(60)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접착제막(60)은 제1 보호막(10)의 돌기 사이를 채운다. 제2 접착제막(60)은 돌기로 인해서 제1 보호막(10)과 제2 접착제막(60)의 접촉 면적이 증가함으로써 표면 에너지가 증가하고, 제1 보호막(10)과 제2 접착제막(60) 사이의 표면 밀착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제2 접착제막(60) 상에 위치하는 편광판(20)이 구부림 등에 의해서 제1 보호막(10)으로부터 편광판(20)이 들뜨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제2 접착제막(60)은 편광판(20)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평탄면을 제공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광학 유닛(1004)은 제1 보호막(10), 제2 접착제막(60), 편광판(20), 제2 보호막(30), 제1 접착제막(40)이 형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구성은 도 1 및 도 5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의 광학 유닛(1004)은 편광판(20)의 양면에 위치하는 보호막(10, 30) 모두에 돌기가 형성된 것으로, 편광판(20)과 제1 보호막(10) 및 제2 보호막(30)의 밀착성이 모두 강화되어 도 1, 4 및 5에서 보다 더욱 강한 밀착성을 가지는 광학 유닛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광학 유닛(1005)은 편광판(20), 제2 보호막(30), 제1 접착제막(40)이 형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구성은 도 1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의 광학 유닛(1005)은 편광판(20)의 상부에만 제2 보호막(30)을 형성한다. 도 1, 4 내지 6의 제2 보호막(30) 및 제1 보호막은 편광판 보다 경도가 높아 가요성 특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서와 같이 제2 보호막(30)만을 형성하여 가요성 특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럼 이상의 광학 유닛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001)는 표시 패널(200), 표시 패널(200) 위에 위치하는 터치 패널(400), 터치 패널(400) 위에 위치하는 광학 유닛(500), 광학 유닛(500) 위에 위치하는 윈도우(60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200)은 이미지(image)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과 이웃하는 비표시 영역(DB)을 가지며, 표시 패널(200)은 플렉서블(flexible)한 특성을 가진다. 표시 패널(200)은 기판(100), 배선(도시하지 않음)부, 유기 발광 소자(102) 및 봉지 부재(104)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 소자(102)는 표시 영역(DA)에 위치하며, 배선부는 비 표시 영역(DB)에 위치할 수 있다.
기판(100)은 광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플렉서블한 고분자 기판일 수 있다.
기판(100) 상에는 배선부 및 유기 발광 소자(102)가 위치하며, 봉지 부재(104)는 기판 전면에 형성되어 유기 발광 소자(102)를 덮어서 보호한다. 기판(100)과 봉지 부재(104)는 서로 합착 밀봉되어 있으며, 배선부 및 유기 발광 소자(102)를 외부의 간섭 및 외부의 수분으로부터 보호한다.
배선부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Q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Q2)(도 9에 도시)를 포함하며, 유기 발광 소자(102)에 신호를 전달하여 유기 발광 소자(102)를 구동한다. 유기 발광 소자(102)는 배선부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빛을 발광한다.
유기 발광 소자(102)는 기판(100) 상에 위치하며, 배선부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아 이미지를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200)의 내부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한 화소에 따른 표시 패널의 한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고, 도 10는 도 9에 도시한 한 화소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배선부 및 유기 발광 소자(102)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선부 및 유기 발광 소자(102)는 해당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첨부 도면에서는, 표시 장치로서, 하나의 화소에 두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와 하나의 축전 소자(caDBcitor)를 구비하는 2Tr-1Cap 구조의 능동 구동(active matrix, AM)형 표시 장치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표시 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개수, 축전 소자의 개수 및 배선의 개수가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화소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최소 단위를 말하며,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을 이용해 이미지를 표시한다.
도 10의 단면도에서는 유기 발광 소자(102)와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Q2)만을 도시하였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200)은 하나의 화소마다 각각 형성된 제1 박막 트랜지스터(Q1), 제2 박막 트랜지스터(Q2), 축전기(80) 및 유기 발광 소자(10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박막 트랜지스터(Q1), 제2 박막 트랜지스터(Q2) 및 축전기(80)를 포함하는 구성을 배선부라 한다. 그리고, 배선부는 기판(102)의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게이트 선(121), 게이트선(121)과 절연 교차되는 데이터선(171) 및 정전압선(172)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하나의 화소는 게이트선(121), 데이터선(171) 및 정전압선(172)을 경계로 정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발광 소자(102)는 제1 전극(710)과, 제1 전극(710)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720), 유기 발광층(720) 상에 형성된 제2 전극(730)을 포함한다.
유기 발광층(720)은 개구부(195)를 가지는 화소 정의막(190)의 개구부(195)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전극(710)은 정공 주입 전극인 양극(anode)이 되며, 제2 전극(730)은 전자 주입 전극인 음극(cathode)이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한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따라 제1 전극(710)이 음극이 되고, 제2 전극(730)이 양극이 될 수도 있다. 제1 전극(710) 및 제2 전극(730)으로부터 각각 정공과 전자가 유기 발광층(720) 내부로 주입되며, 유기 발광층(720) 내부로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한 엑시톤(exiton)이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질 때 유기 발광층(720)의 발광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1 전극(710)은 광 반사성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2 전극(730)은 광 투과성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유기 발광 소자(102)는 도 8의 광학 유닛(400) 방향으로 빛을 발광한다.
축전기(80)는 한 쌍의 축전기용 전극과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유전체로 이루어진다. 축전기(80)에서 축전된 전하와 양 축전용 전극 사이의 전압에 의해 축전기(80)의 축전 용량이 결정된다. 축전기용 전극은 게이트 전극(124),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 또는 제1 전극(710)과 같은 도전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유전체는 축전기용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 물질로, 예를 들어 게이트 절연막(140) 또는 층간 절연막(160, 180)일 수 있다.
제1 박막 트랜지스터(Q1)는 발광시키고자 하는 화소를 선택하는 스위칭 소자로서 사용된다.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게이트 라인(121)에 연결되고, 소스 전극은 데이터선(171)에 연결되고, 드레인 전극은 제2 박막 트랜지스터(Q2)의 게이트 전극(135)과 연결된다.
제2 박막 트랜지스터(Q2)는 반도체(135), 게이트 전극(124),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4)을 포함한다. 제1 박막 트랜지스터(Q1)도 반도체,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제2 박막 트랜지스터(Q2)는 선택된 화소 내의 유기 발광 소자(102)의 유기 발광층(720)을 발광시키기 위한 구동 전원을 제2 전극(730)에 인가한다. 제2 박막 트랜지스터(Q2)의 게이트 전극(135)은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어 있으며, 소스 전극(173)은 정전압선(172)과 연결되어 있고, 드레인 전극(175)은 유기 발광 소자(102)의 제1 전극(710)과 연결되어 있다.
이상의 화소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Q1)가 순간적으로 턴온되면 축전기(80)는 충전되고, 이때 충전되는 전하량은 데이터선(171)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의 전위에 비례한다. 그리고 제1 박막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축전기선(131)에 한 프레임 주기로 전압이 증가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2 박막 트랜지스터(Q2)의 게이트 전위는 축전기(80)에 충전된 전위를 기준으로 인가되는 전압의 레벨이 축전기선(131)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압을 따라서 상승한다. 그리고 제2 박막 트랜지스터(Q2)는 게이트 전위가 문턱 전압을 넘으면 턴온된다. 그러면 정전압선(172)에 인가되던 전압이 제2 박막 트랜지스터(Q2)를 통하여 유기 발광 소자(102)에 인가되고, 유기 발광 소자(102)는 발광한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봉지 부재(104)는 기판(100) 상에 유기 발광 소자(102)를 봉지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막 또는 무기막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봉지 부재(104) 위에는 터치 패널(400)이 위치하고 있으며, 터치 패널(400)은 정전 용량식 또는 감압식 일 수 있으며, 표시 장치(2001)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touch) 동작을 감지한다.
터치 패널(400) 위에는 광학 유닛(500)이 위치하고 있으며, 터치 패널(400)과 광학 유닛(500) 사이에는 접착제막(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할 수 있다.
광학 유닛(500)은 도 1에 도시한 광학 유닛(1001)과 동일한 적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유닛(500)은 광이 출사되는 구성인 표시 패널(200)에 의한 외광 반사 및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구성인 터치 패널(400)에 의한 외광 반사를 억제하여 전체적인 표시 장치(2001)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면서 유기 발광 소자(102)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의 손실은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광학 유닛(500)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DA)과 이웃하는 비표시 영역(DB)에 배치될 수 있는 패드(DBd), 배선 또는 박막 트랜지스터로부터 반사되는 빛이 외부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윈도우(600)는 광학 필름 위에 위치하며 표시 패널(200)의 전방에서 사용자가 표시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강화 유리 또는 폴리 카보네이트와 같은 고분자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윈도우는 표시 장치(2001)의 가장 외부에 위치하여 내부의 표시 패널(200) 등이 외부 충격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Q1: 제1 박막 트랜지스터 Q2: 제2 박막 트랜지스터
7: 돌기 10: 제1 보호막
20: 편광판 30: 제2 보호막
40: 접착제막 50: 위상 지연판
60: 제2 접착제막 80: 축전기
67, 69, 81, 82: 접촉 구멍 21: 제1 신호선
71: 제2 신호선 72: 제3 신호선
100: 기판 102: 유기 발광 소자
104: 밀봉 부재 121: 게이트선
124: 게이트 전극 135: 반도체
140: 게이트 절연막 160: 층간 절연막
190: 화소 정의막 195: 개구부
200: 표시 패널 400: 터치 패널
500, 1001, 1003, 1004, 1005: 광학 유닛
600: 윈도우 710: 제1 전극
720: 유기 발광층 730: 제2 전극
1355: 채널 영역 1356: 소스 영역
1357: 드레인 영역 2001: 표시 장치

Claims (9)

  1. 편광판,
    상기 편광판의 제1면 위에 위치하는 제1 보호막,
    상기 제1 보호막 위에 위치하는 제1 접착제막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호막의 표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광학 유닛.
  2. 제1항에서,
    상기 편광판의 제2면 위에 위치하는 제2 접착제막,
    상기 제2 접착제막 위에 위치하며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2 보호막
    을 포함하는 광학 유닛.
  3. 제2항에서,
    상기 돌기 사이의 간격은 20nm 내지 300nm이고, 상기 돌기의 높이는 50nm 내지 1,000nm이고, 상기 돌기의 폭은 20nm 내지 300nm인 광학 유닛.
  4. 제2항에서,
    상기 제1 보호막 및 상기 제2 보호막의 두께는 40㎛이하인 광학 유닛.
  5. 제2항에서,
    상기 제1 보호막 및 상기 제2 보호막은 트리아세틸셀루로우스(tri acetyl cellulose, TA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광학 유닛.
  6. 제2항에서,
    상기 제2 보호막 위에 위치하는 위상 지연판
    을 더 포함하는 광학 유닛.
  7.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과 이웃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플렉서블(flexible)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위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한 광학 유닛
    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광학 유닛 위에 위치하는 윈도우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20104228A 2012-09-19 2012-09-19 광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920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228A KR101920447B1 (ko) 2012-09-19 2012-09-19 광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3/757,085 US9122012B2 (en) 2012-09-19 2013-02-01 Optical uni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228A KR101920447B1 (ko) 2012-09-19 2012-09-19 광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721A true KR20140037721A (ko) 2014-03-27
KR101920447B1 KR101920447B1 (ko) 2018-11-21

Family

ID=50274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228A KR101920447B1 (ko) 2012-09-19 2012-09-19 광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22012B2 (ko)
KR (1) KR1019204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3909B2 (en) 2013-04-15 2015-09-0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220083854A (ko) * 2016-08-15 2022-06-2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및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893B1 (ko) * 2012-11-29 2014-1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스크래치 방지 필름
KR102284511B1 (ko) 2014-09-24 2021-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9467190B1 (en) 2015-04-23 2016-10-11 Connor Sport Court International, Llc Mobile electronic device covering
JP2017009725A (ja) * 2015-06-19 2017-01-1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999075B1 (ko) * 2015-07-22 2019-07-10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및 그것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102455724B1 (ko) * 2016-04-21 2022-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8565353B (zh) * 2018-04-20 2020-03-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背板及显示器件
EP4208742A1 (en) * 2020-10-29 2023-07-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ultifunctional film for display stack and apparatus comprising such display stack
CN113075814A (zh) * 2021-03-25 2021-07-06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视角扩散膜片及显示面板
US11906133B2 (en) 2022-03-31 2024-02-20 Alliance Sports Group, L.P. Outdoor light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9940A (ja) * 1999-05-24 2000-11-30 Nitto Denko Corp 偏光部材及び光学部材
JP4514555B2 (ja) * 2004-08-19 2010-07-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補償偏光板
KR20070028691A (ko) 2005-08-30 2007-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가지는 표시 장치
WO2009069358A1 (ja) * 2007-11-29 2009-06-04 Sharp Kabushiki Kaisha 表示装置
KR20110107694A (ko) 2010-03-25 2011-10-04 미래나노텍(주) 나노 와이어 그리드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122441A (ko) 2010-05-04 2011-1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나노 구조체의 형성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3909B2 (en) 2013-04-15 2015-09-0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220083854A (ko) * 2016-08-15 2022-06-2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및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
KR20220083855A (ko) * 2016-08-15 2022-06-2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점착제층,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 및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22012B2 (en) 2015-09-01
US20140078582A1 (en) 2014-03-20
KR101920447B1 (ko)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447B1 (ko) 광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64426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KR101954220B1 (ko) 박막 봉지 유닛,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964704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ouch display device
TWI503720B (zh) 觸控顯示裝置
US997830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ouch display device
KR20240031991A (ko) 표시 장치
KR20180058165A (ko) 플랙서블 표시 장치
US9818973B2 (en) Display device
US9128312B2 (en) Flat display device
US20170344053A1 (en) Display device
KR10110717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091814B2 (en) Optical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403224B1 (ko)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0705636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170001844A (ko) 표시 장치
US20120007106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120082736A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
KR101919107B1 (ko) 표시 장치
KR102245505B1 (ko) 양면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67236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90025587A (ko) 박막 봉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30077015A (ko)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2409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038214A (ko) 유기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