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41939A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41939A1
WO2020241939A1 PCT/KR2019/006567 KR2019006567W WO2020241939A1 WO 2020241939 A1 WO2020241939 A1 WO 2020241939A1 KR 2019006567 W KR2019006567 W KR 2019006567W WO 2020241939 A1 WO2020241939 A1 WO 202024193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flexible
mobile terminal
roll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656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호석
박진우
박병덕
천세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9/00656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241939A1/ko
Publication of WO202024193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419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rollable display.
  • Terminals can be divided into mobile/portable terminals and stationary terminals depending on whether they can be moved. Again, mobile terminals can be divided into handheld terminals and vehicle mounted terminals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can directly carry them.
  • a display device is a device having a function of receiving, processing, and displaying an image that can be viewed by a user.
  • the display device receives, for example, a broadcast selected by a user among broadcast signals transmitt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separates the video signal from the received signal, and displays the separated video signal on the display.
  • displa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o provide not only contents to be broadcast but also various other contents to users.
  • the display device may provide game play, music appreciation, internet shopping, user customized information, and the like using various applications as well as programs receiv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 the display device is basically connected to other devices or networks using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and provides a user with a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That is, display devices have evolved into smart devices that enable connectivity to a network and always-on computing.
  • the mobile terminal may be referred to as a rollable mobile terminal.
  • the display can be pulled out from the body, and at the same time the display can be expanded to a size desired by the user.
  • the display may be extended in various directions by the user, and the relative orientation or arrangement of the display to the user may also vary according to the expansion direction. Accordingly, in order to show the intended content or screen well to the user, the mobile terminal needs to orient the content or screen on the display in consideration of such a changed display or the relative orientation of the user. Furthermore, the mobile terminal needs to additionally adjust the oriented content in consideration of the expansion direction and orientat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llable mobile terminal having a support structure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the flexible display unit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unfold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llable display device having a sliding structure capable of compensating for a difference in length due to a difference in radius of curvature between a display unit and a support structure.
  • the flexible part includes: a first flexible part positioned between the unit frames; And a second flexible portion cover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unit frame and connecting the first flexible portions.
  • the flexible part may include a third flexible part protruding from both ends in the second direction in a front direction and cover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flexible display part.
  • the unit frame may include a metal material
  • the flexible part may include a silicon material
  • the flexible part may be coupled to the unit frame in a double injection method.
  • It may include an adhesive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flexible display unit and the flexible frame.
  • a first body having a cylindrical receiving portion in which one side of the rolling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is rolled and received, and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rolling portion is drawn in and out of one side of the rolling portion; And a second body 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rolling part in the first direction is coupled, and the rolling part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body, and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closed or the rolling part is drawn outward.
  •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may be converted into an open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One end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body, and may include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flexible frame in the open state.
  • the support may include a telescopic rail in which a plurality of rails are disposed to be overlapped in an inward direction, the plurality of rails move in a first direction step by step, and a length thereof is variable.
  • the plurality of rails may include a suppor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lexible frame.
  • the plurality of rails may include a U-shaped step portion surrounding the rail positioned therein.
  • one end of the support par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art is the mobile terminal It can move along the guide slot according to the state of.
  •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pair of support portions positioned at both end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pair of support portions is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guide slot in the open state, and at the center of the guide slot in the closed state. Can be located.
  • the end of the guide slot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obliquely toward the first body with respect to the second direction.
  • a guide rail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ylindrical accommodating part and slid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olling part in the second direction to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lling part, and the guide rail is circular or It can be formed in a spiral.
  •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stably supported even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unfolded, so that the display device is supported even when held with one hand, and a touch input is possible.
  • the rolling part can be more easily implemented.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sed state as viewed from one side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as viewed from on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sed state as viewed from another side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as viewed from anothe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A and B-B of FIG. 3B.
  • FIG. 6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upport par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one-step modification of a support par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diagram showing a two-step modification of a support par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lide slo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Mobile terminal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 mobile phones, smart phones, laptop computers,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navigation systems, and slate PCs.
  • Tablet PC tablet PC
  • ultrabook ultrabook
  • wearable device wearable device, for example, smartwatch, glass-type terminal (smart glass), HMD (head mounted display)), etc. may be included. have.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n interface unit 160, a memory 170, a control unit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 etc. Sinc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a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configur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other mobile terminal 100,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n external server. It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100 to one or more networks.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reception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
  • the input unit 120 includes a camera 121 or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n image signal, a microphone 122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n audio input unit, and a user input unit 123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for example, , A touch key, a mechanical key, etc.).
  • the voice data or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as a user's control command.
  •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mobile terminal, information on surrounding environments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 the sensing unit 140 includes a proximity sensor 141, an illumination sensor 142,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nd gravity.
  • G-sensor gyroscope sensor
  • motion sensor motion sensor
  • RGB sensor infrared sensor
  • IR sensor infrared sensor
  • fingerprint sensor fingerprint sensor
  • ultrasonic sensor ultrasonic sensor
  • Optical sensor for example, camera (see 121)), microphone (microphone, see 122), battery gauge, environmental sensor (for example, barometer, hygrometer, thermometer, radiation detection senso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eat sensor, a gas sensor, etc.), and a chemical sensor (eg, an electronic nose, a healthcare sensor, a biometric sensor, etc.).
  • the mobile terminal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combine and utilize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sensors.
  • the output unit 150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display unit 151, the sound output unit 152, the hap tip module 153, and the light output unit 154 can do.
  • the display unit 151 may implement a touch screen by forming a layer structure or integrally with the touch sensor. Such a touch screen can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23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user, and can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user.
  • the interface unit 160 serves as a passage between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interface unit 160 connects a wired/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nd a devic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 an audio input/output (I/O) port, an input/output (video I/O) port, and an earphone port.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perform appropriate control related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in response to the connection of the external device to the interface unit 160.
  • the memory 17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memory 17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driven by the mobile terminal 100, data for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command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exist on the mobile terminal 100 from the time of delivery for basic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0 (eg, incoming calls, outgoing functions, message reception, and outgoing functions). Mean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driven by the controller 180 to perform an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 the controller 180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ler 180 gener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controller 180 may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a user by processing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r by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controller 18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n order to drive th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Furthermore, in order to drive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ler 180 may operate by combining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with each other.
  • 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to each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and the battery may be a built-in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in order to implement an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FIG.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losed state as viewed from one side
  •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as viewed from on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a mobile terminal 100 in which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exposed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displaying a screen, and the display unit 151 is bent and exposed to the outside. It expands or contracts the area.
  • the display unit 151 may be configured to be deformable by an external force.
  • the deformation may be at least one of bending, bending, folding, twisting, and curling of the display unit 151.
  • Such a deformable display unit 151 may be referred to as a'flexible display unit'.
  •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ll of a general flexible display, an e-paper, and a combination thereof.
  • a general flexible display refers to a light and sturdy display that is not easily broken because it is manufactured on a thin and flexible substrate that can be bent, bent, folded, twisted or rolled like paper while mai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onventional flat panel display.
  • electronic paper is a display technology to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 ink are applied, and the point of using reflected light may be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flat panel display.
  • Electronic paper can change information using a twist ball or electrophoresis using a capsule.
  • the display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becomes a flat surface.
  • the display area may become a curved surface.
  • the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open state may be visual information output on a curved surface. This visual information is implemented by independently controlling light emission of sub-pixels arranged in a matrix form.
  • the unit pixel means a minimum unit for implementing one color.
  •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may be placed in a curved state (eg, a vertically or horizontally curved state) rather than a flat state. In this cas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may be deformed into a flat state (or a less curved state) or a more curved state.
  • a curved state eg, a vertically or horizontally curved state
  •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may be deformed into a flat state (or a less curved state) or a more curved state.
  •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may be combined with a touch sensor to implement a flexible touch screen.
  • the controller 180 (refer to FIG. 1) may perform a control corresponding to such a touch input.
  • the flexible touch screen may be configured to sense a touch input not only in the closed state but also in the open state.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provided with a deformation detecting means capable of detecting deform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 This deformation detecting means may be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140 (see FIG. 1).
  • the deformation detecting means may be provid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or the bodies 210 and 220 to detect information related to deform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formation may be a direction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s deformed, a deformed degree, a deformed position, a deformed time, and an acceleration at which the deformed flexible display unit 151 is restored, and the like,
  • it may be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that can be detected due to the bending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 the controller 180 may chang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or change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based 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formation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detected by the deformation detecting means.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function of.
  • a battery (not shown)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also be configured to be deformable together with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by an external forc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 a stack and folding method in which battery cells are stacked on top may be applied.
  • it may be provided inside the rolling part inside the first body 210.
  •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first body 210 in which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and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body 210 in a closed state, and the first body 210 in an open state. It includes a rolling par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210.
  • the rolling unit includes a flexible display unit 151 and a flexible frame 230 supporting a rear surface thereof, and the flexible frame 230 may be bent and unfolded together with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 One side of the rolling part in the first direc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ody 220 that is wound and received by the first body 210 and fixes the other side.
  • the first body 210 may have a larger size than the second body 220 because the rolling part is accommodated.
  • the size of the first body 210 may vary according to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rolling unit, a radius of curvature, and the size of a component mounted therein.
  • the second body 220 may also include an electronic component, and the user may grab the second body 220 and pull it in the first direction to take out the rolling part from the first body 210.
  • the rolling unit may move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while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without the user's external force.
  • the clos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means a state in which the rolling part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body 210 and the first body 210 and the second body 220 abut, and the open state is rolling. It means a state withdrawn from the additional first body 210.
  •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s accommodated and deactivated, and in the open state,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ctivated.
  • the first body 210 may be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n opening 215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the time, date or notification may be displayed on this part, or music may be displayed.
  • a plurality of openings may be formed, and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or a square may be formed.
  • the position of the image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51 may be changed because the portion where the flexible display overlaps the opening var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rawing of the rolling unit.
  • the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exposed to the outside when pulled out may be fixed only in a pulled out state, or may be gradually expanded. Therefore, the open state includes not only a state in which the rolling part is completely withdrawn, but also a state in which the rolling part is partially withdrawn.
  •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losed state as viewed from another side
  • FIG. 3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 state viewed from another side.
  • FIG. 2B An embodiment is illustrated in which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s wound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s positioned on the outside when the rolling unit is received in the first body 210, but on the contrary,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s wound so that it is positioned inside and the flexible frame 230 Can be located on the side.
  • the surface viewed in the direction of FIG. 2B becomes the flexible frame 230
  • the surface viewed in the direction of FIG. 3B is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 the surface on which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s located is referred to as the front surface of the rolling unit
  • the surface on which the flexible frame 230 is located is referred to as the rear surface of the rolling unit. Since the size of the first body 210 and the size of the second body 220 are different, it can be arranged to form the same surface in the closed state in the front direction, but the rear direction is the first body 210 as shown in FIG. 3A And the second body 220 may have a step difference.
  •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exposes the flexible frame 230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olling unit.
  • a support part 240 may be further included so that the rolling part is fixed in a pulled-out state.
  • the length of the support part 240 may be extend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withdrawal of the rolling part.
  • the first body 210 may include a cylindrical receiving portion. It may include side cases 211 and 212 having a curved surface forming a side surface of the cylinder and upper and lower cases 213 and 214 cover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ylinder.
  • the side case may include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rolling unit is drawn in and out, and an opening for the rolling unit may be disposed at a coupling portion of the pair of side cases. In the closed state, the opening may be hidden in contact with the second body 220.
  • the receiving portion may have a curved surface having the same curvature so that the rolling portion is evenly wound, but the outer surface may have a different curvature for convenience of mounting.
  • the first body 210 may have a rectangular upper and lower case with rounded corners, and the thickness of the side case is not constant, and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may be thin and the corner portions may be thick.
  • a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the upper and lower cases and the side cases may be disposed by utilizing the edge portions formed with a thicker side case.
  • the upper and lower cases further include guide rails 235 which are located at both ends of the rolling part in the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guide the rolling part to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of the first body 210 while rolling along a certain track. can do.
  • the guide rail 235 may be formed in a spiral or circular shape depending on the number of windings of the rolling part.
  • a gear unit 251 and a motor 252 may be further provided to automatically move the rolling unit in the first direction.
  • the gear unit 251 and the motor 252 are mounted on the first body 210 and the motor 252 provides rotational force to the gear unit 251.
  • the first teeth 231a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lexible frame 230 and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lexible frame 230 may be disposed to mesh with the second teeth of the gear unit 251.
  • the rolling unit may include a flexible display unit 151 and a flexible frame 230 that supports the rear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and is bent and unfolded together with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 the flexible frame 230 may include a flexible part 232 connecting a plurality of unit frames 231 and unit frames 231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5 in order to be bent at the same time while having rigidity.
  • the unit frame 231 is a bar-shaped member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and may include a metal material such as SUS for rigidity.
  • a plurality of unit frames 231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an influence on the change in curvature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rolling unit may be minimized.
  • the unit frame 231 may includ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flexible part 232 may include a member having elasticity such as silicon, and may be implemented integrally with the unit frame 231 using a double injection method.
  • the flexible part 232 may include a second flexible part 2322 covering a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unit frame 231 in addition to the first flexible part 2321 positioned between the unit frames 231.
  • the first flexible part 2321 and the second flexible part 2322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unit frame 231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flexible part 232.
  •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flexible frame 230 including the flexible part 232 to implement the thin flexible frame 230.
  • the flexible part 232 can be stretched and contrac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t can be stretched and contracted by compensating for a difference in length due to the radius of curvature with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even when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s combined with adhesive tape. have.
  • the flexible part 232 may further include a third flexible part 2323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second direction in the front direction to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as shown in FIG. 5A. have. Since the rolling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an open state, both ends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n the second direction ar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re is a risk of damage.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ing unit may further include the third flexible unit 2323 to cover both ends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in the second direction. Since the third flexible part 2323 has elasticity, it may be bent accor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rolling part.
  • the guide rail 235 has a groove shape that is open toward the rolling portion as shown in FIG. 4.
  • the third flexible part 2323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235 to move along the guide rail 235.
  • a groove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lexible part 232 to bend more flexibly. For example, if a groove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is formed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first flexible portion 2321, bending deformation is possible with a smaller radius of curvature. If a V-shaped groove is form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third flexible part 2323,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ending deformation becomes easier.
  • Such a flexible frame 230 may be used not only for the terminal of the type shown in FIG. 2, but also for electronic devices in which bending deformation occurs in one direction,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 the rolling unit may include a flexible display unit 151 and a flexible frame 230 that supports the rear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and is bent and unfolded together with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 the flexible frame 230 may further include a fixed frame 234 coupled to the second body 220. Since the rolling part located on the second body 220 is not bent, a plate-shaped member can be used without using the unit frame 231.
  • the fixing frame 234 may be fixed to the second body 220 and may be disposed across the second body 220 and the first body 210.
  •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display panel 1511 that outputs an image, and a back plate 1512 that supports the back thereof and couples with other members.
  • the back plate 1512 may be formed of a member having rigidity while being bent such as a metal plate, and may be attached between the display panel 1511 and the back plate 1512 using adhesive tape or the like.
  • the adhesive tape may include a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two members may be changed during bending deformation, and thus between the flexible display unit 151 and the flexible frame 230 positioned inside to compensate for this tolerance. Can be combined so that the slide can be moved without being fixedly combined.
  • the flexible frame 230 including the flexible part 232 is used, the length of the flexible frame 230 itself is varied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flexibl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rolling part without a separate slide member ( 151) can be compensated for.
  • a support part 240 for supporting the rear surface is required.
  • the flexible frame 230 including the unit frame 231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cannot support the bending deformation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us a support part 240 for supporting the bending deformation in the first direction is required.
  • FIG. 7 is a view showing a support part 240 of the mobil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upport part 240 of the mobil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One end 2415 of the support part 2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first body 210 and the other end 2416 is fixed to the second body 220 so that the second body 220 is removed from the first body 210.
  • the length increases according to the distance separated in the first direction.
  • the support part 24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 telescopic rail 241 whose length increases in the first direction.
  • a telescopic rail 241 a plurality of unit rails 2411, 2412, 2413, 2414 are arranged overlapping in the inward direction, and the unit rails 2411, 2412, 2413, 2414 located inside are withdrawn to the entire telescopic rail 241.
  • the length of the can be increased. As shown in FIG. 8, if the number of overlapping unit rails 2411, 2412, 2413, and 2414 is increased, a longer rail can be implemented accordingly.
  • 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C-C of FIG. 7(a), which is different from a typical telescopic structure. It is important that the support part 240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ncreases in length but also supports the rear surface of the flexible frame 230. That is, the telescopic rail 241 of the present invention must mainta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lexible frame 230 in the front direction. Accordingly, in the front direction (downward direction in the drawing), the plurality of unit rails 2411, 2412, 2413, and 2414 are all exposed through the rails located on the outside so as to contact the flexible frame 230, 2412a, 2413a, 2414a).
  • the unit rails 2411, 2412, 2413, 2414 of the telescopic rail 241 have a structure that penetrates in the front direction, all rails are all flexible frames 230 even if the telescopic rail 241 is extended as shown in FIG. ) Can be kept in contact. Accordingly, the rolling part in the open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maintained in a flat state.
  • the opposite side of the unit rails 2411, 2412, 2413, 2414 may be opened or closed as shown in FIG. 7(b), but may be configured in an open form to reduce weight.
  • the unit rail located outside may include concave grooves 2411b, 2412b, and 2413b surrounding the rail located inside so that each unit rail is not separated from the unit rail located outside.
  • the grooves 2411b, 2412b, and 2413b may have a concave curved surface in addition to the U shape.
  • the telescopic rail 241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needs to form a straight line in contact with the flexible frame 230, and the remaining portions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 a pair of telescopic rails 241 may be provided to stably support both sides in the second direction.
  • the length of the unit rails 2411, 2412, 2413, 2414 should be shortened, and therefore the overlapping unit rails 2411, 2412, 2413, 2414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umber of is increasing. If too many unit rails 2411, 2412, 2413, and 2414 are overlapped and arranged, frictional force is applied and weight increases when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changes.
  • a hinge structure and a slide structure may be used to minimize the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occupied by the support part 240 in the closed state.
  • FIG. 9 is a diagram showing a one-step modification of the support part 240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upport part 240 may not be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as shown in FIG. 9A but may be disposed obliquely close to the second direction.
  • the support part 240 is gradually disposed toward the first direction.
  •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240 coupled to the first body 210 is rotatably coupled, and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unit 240 coupled to the second body 220 extends in a second direction. It may include a slide slot 237.
  • the slide slot 237 may be formed in the second body 220, or may be formed in the fixing frame 234 fixed to the second body 220.
  • the slide slot 237 guides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art 240 to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second body 22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accordingly, a first coupling part 243 coupled with the first body 210.
  • the support parts 240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first direction as shown in (c) of FIG. 9, the rotational movement of one end of the support part 240 and the slide movement of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art 240 in the second direction are stopped. Instead, as the length of the support part 240 increases in the first direction, the length of the second body 220 increases in the first direction.
  • the second coupling part 244 of the support part 240 is as shown in FIG. 9(a) to 9(c).
  • the length of the step is increased step by step.
  • the length of the support part 240 is shortened,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244 of the support part 240 does not move along the slide slot 237, and thus a problem of stopping in the state of FIG. 9C may occur.
  •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lide slot 237 of a mobile terminal 1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 a section 237a bent obliquely toward the first body 210 may be included at both ends of the slide slot 237 in the second direction.
  • the second body 220 moves toward the first body 210 in the state of FIG. 9(c) after the length of the telescopic rail 241 is reduced to the minimum length
  • the second coupling of the support part 240 The portion 244 may slide and move from the end of the slide slot 237 toward the center along the slope of the bent section 237a of the slide slot 237.
  • the bent sections 237a of both ends of the slide slot 237 serve to guide the support part 240 so that the slide movement and rotation of FIG. 9 occur naturally.
  • the rolling part is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eceiving part, and a battery or a main board may be mounted in the inner space thereof. That is, the accommod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case (not shown) that includes a first receiving unit in which the rolling unit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receiving unit in which other parts are mounted, and partitioning the second receiving unit and the first receiving unit have.
  • a speaker hole is formed in one of the upper and lower cases of the first body 210 and may further include an audio output unit for outputting sound through the speaker hole.
  • the camera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body 220 to enable photographing while viewing the display unit 151. A plurality of cameras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body 220 and may be photographed in various directions by dividing and disposing them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econd body 220.
  • the flexible display unit is stably supported so that the display device is supported even when held with one hand, and a touch input is possible.
  • the rolling unit may be more easily impleme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위치하며 휘어지는 플렉서블 프레임을 포함하는 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링부는 제1 방향으로 휘어지며, 상기 플렉서블 프레임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단위 프레임; 및 상기 복수개의 단위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연성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펼쳐진 상태에서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한 손으로 들어도 디스플레이 장치가 지지되며 터치입력 등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말릴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갖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수신, 처리 및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영상신호를 분리하며, 다시 분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최근들어, 방송기술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인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도 상당히 다양해져 왔으며, 상기 디바이스의 성능도 이에 따라 향상되어 왔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단순히 방송되는 컨텐츠 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컨텐츠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발전해오고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게임 플레이, 음악 감상, 인터넷 쇼핑, 사용자 맞춤정보등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확장된 기능의 수행을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기기들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사용자에게 상시적인 컴퓨팅 환경(ubiquitous computing)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로의 연결성(connectivity) 및 상시적 컴퓨팅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로 진화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충분한 탄성을 가져 큰 변형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말릴 수 있는 정도로 변형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말려진 플레서블 디스플레이를 수용하며 원하는 크기로 상기 디스플레이를 몸체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플렉스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는 보다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말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기는 롤러블 이동 단말기로 불릴 수 있다.
이러한 롤러블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는 몸체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출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확장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대한 디스플레이의 상대적인 배향 또는 배치도 확장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의도된 컨텐츠 또는 화면을 잘 보여주기 위해서는, 이동 단말기는 이와 같은 변화되는 디스플레이 또는 사용자의 상대적인 배향을 고려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컨텐츠 또는 화면을 배향시킬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이동 단말기는 확장방향 및 배향을 고려하여 상기 배향된 컨텐츠를 추가적으로 조절할 필요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펼쳤을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지지구조를 구비한 롤러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부와 지지구조 사이의 곡률반경 차이로 인한 길이 차이를 보상할 수 있는 슬라이딩 구조를 구비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위치하며 휘어지는 플렉서블 프레임을 포함하는 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링부는 제1 방향으로 휘어지며, 상기 플렉서블 프레임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단위 프레임; 및 상기 복수개의 단위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연성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연성부는 상기 단위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연성부; 및 상기 단위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을 커버하며 상기 제1 연성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성부는 상기 제2 방향의 양 단부에서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양측면을 커버하는 제3 연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프레임은 금속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부는 실리콘 소재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 프레임에 이중사출방식으로 상기 연성부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플렉서블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링부의 상기 제1 방향의 일측이 말려서 수납되는 원기둥 형상의 수용부 및 일측에 상기 롤링부가 인입 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제1 바디; 및 상기 롤링부의 상기 제1 방향의 타측이 결합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에 상기 롤링부가 수용되고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가 닫힌상태 또는 상기 롤링부가 외측으로 인출되고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가 이격된 열린상태로 변환할 수 있다.
일단은 상기 제1 바디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제2 바디에 결합하며, 상기 열린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프레임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복수개의 레일이 내측방향으로 중첩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레일이 단계적으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길이가 가변되는 텔레스코픽 레일을 포함할 수 있따.
상기 복수개의 레일은 상기 플렉서블 프레임과 맞닿은 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레일은 내부에 위치하는 레일을 감싸는 ㄷ자 형상의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링부의 타측 또는 상기 제2 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일단은 상기 제1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지지부의 타단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타단은 상기 열린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의 양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닫힌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의 단부는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바디를 향하도록 비스듬한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기둥 형상의 수용부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롤링부의 제2 방향의 양 측 단부와 슬라이드 결합하며 상기 롤링부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원형 또는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롤러블 이동 단말기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펼쳐진 상태에서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한 손으로 들어도 디스플레이 장치가 지지되며 터치입력 등이 가능하다.
또한, 플렉서블 프레임이 두꺼워지지 않아 보다 용이하게 롤링부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롤링부의 감긴상태와 펼쳐진 상태에서 발생하는 길이 공차를 보상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부가 들뜨거나 파손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닫힌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열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닫힌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열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b의 A-A 및 B-B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지지부의 1단계 변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지지부의 2단계 변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슬라이드 슬롯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닫힌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열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노출된 면적을 사용자가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100)가 제공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휘어지면서 의해 외부에 노출되는 영역을 확장되거나 축소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말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부(15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로 명명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전자 종이(e-paper) 및 그 조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또는 말림이 가능한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쉽게 깨지지 않는 튼튼한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또한, 전자 종이는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와 다른 점일 수 있다.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닫힌상태라 한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평면이 된다. 상기 닫힌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열린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곡면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린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단위 화소는 하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닫힌상태에서 평평한 상태가 아닌, 휘어진 상태(예를 들어, 상하 또는 좌우로 휘어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 외력이 가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평평한 상태(혹은 보다 덜 휘어진 상태) 또는 보다 많이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조합되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80, 도 1 참조)는 이러한 터치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상기 닫힌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열린상태에서도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감지수단은 센싱부(140, 도 1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형감지수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바디(210, 220)에 구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형과 관련된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변형된 방향, 변형된 정도, 변형된 위치, 변형된 시간 및 변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복원되는 가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감지 가능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변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배터리(미도시)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를 구현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을 위로 쌓은 스택앤폴딩(stack and folding)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제1 바디(210)의 내측에 롤링부의 내측에 구비될 수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되는 제1 바디(210)와, 닫힌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바디(210)에 수용되고, 열린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바디(210)의 외부에 노출되는 롤링부를 포함한다. 롤링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와 그 배면을 지지하는 플렉서블 프레임(230)을 포함하며, 플렉서블 프레임(23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와 함께 휘어지고 펴질 수 있다.
롤링부의 제1 방향의 일측이 제1 바디(210)로 감겨서 수납되고 타측을 고정하는 제2 바디(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210)는 롤링부가 수납되기 때문에 제2 바디(220)에 비해 큰 사이즈로 구성할 수 있다. 롤링부가 감기는 횟수나 곡률반경에 따라 그리고 내부에 실장되는 부품의 크기에 따라 제1 바디(210)의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 제2 바디(220)에도 전자부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2 바디(220)를 잡고 제1 방향으로 당겨 제1 바디(210)에서 롤링부를 인출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모터(252)를 구비한 경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하지 않고 제1 방향으로 롤링부가 이동하면서 닫힌상태에서 열린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닫힌상태는 제1 바디(210)에 롤링부가 수납되고 제1 바디(210)와 제2 바디(220)가 맞닿은 상태를 의미하고 열린상태는 롤링부가 제1 바디(210)에서 인출된 상태를 의미한다. 닫힌상태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수납되어 비활성화 되고 열린상태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외부로 노출되어 활성화 된다. 닫힌상태에서도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210)에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215)를 통해 부분적으로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 부분에 시간, 날짜나 알림 등을 표시하거나, 음악 등을 재생중일 때 재생을 가이드하는 음량버튼이나 정지 버튼등을 출력하여 닫힌상태에서도 일부 정보를 얻거나 제어할 수 있다. 개구부는 복수개를 형성할 수도 있고, 형상도 원형이나 정사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잇다. 롤링부의 인출정도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개구부와 중첩되는 부분이 달라지므로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출력되는 이미지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도 2b와 같이 인출할 때 외부로 노출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영역은 전부 인출된 상태에서만 고정될 수도 있고, 단계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열린상태는 롤링부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뿐만 아니라 일부 인출된 상태도 포함한다.
도 3a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닫힌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열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롤링부가 제1 바디(210)에 수납 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감기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감기고 플렉서블 프레임(230)이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b의 방향에서 보이는 면은 플렉서블 프레임(230)이 되고 도 3b의 방향에서 보이는 면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위치하는 면을 롤링부의 전면이라 하고 플렉서블 프레임(230)이 위치하는 면을 롤링부의 후면이라 한다. 제1 바디(210)의 크기와 제2 바디(220)의 크기가 다르므로 전면 방향에서는 닫힌상태에서 동일한 면을 형성하도록 배치할 수 있으나, 배면 방향은은 도 3a와 같이 제1 바디(210)와 제2 바디(220)는 단차를 이룰 수 있다.
도 3b와 같이 열린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은 롤링부의 배면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프레임(230)이 노출된다. 롤링부가 인출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지지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40)는 롤링부의 인출 정도에 따라 같이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분해사시도이다. 제1 바디(210)는 원기둥 형상의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원통의 측면을 이루는 곡면을 가지는 측면케이스(211, 212)와 원기둥의 상면과 하면을 커버하는 상하케이스(213, 214)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케이스에는 롤링부가 인입출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한 쌍의 측면케이스의 결합부에 롤링부를 위한 개구부를 배치할 수 있다. 닫힌상태에서는 상기 개구부는 제2 바디(220)와 접하여 가려질 수 있다. 롤링부가 균일하게 감기도록 수용부는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곡면을 가질 수 있으나, 외측면은 거치의 편의성을 위해 곡률을 달리할 수 있다. 바와 같이 제1 바디(210)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형상의 상하케이스를 가질 수 있고, 측면케이스의 두께는 일정하지 않고 전면과 배면 방향은 얇고 모서리 부분은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측면케이스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 모서리부분을 활용하여 상하케이스와 측면케이스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배치할 수 있다.
상하케이스는 롤링부의 제1 방향에 직각인 제2 방향의 양 단부에 위치하며 롤링부가 일정한 궤도를 따라 롤링되면서 제1 바디(210)의 수용부에 수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2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35)은 롤링부의 감김 수에 따라 나선형이나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롤링부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당기거나 밀어 넣을 수 있으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파손 우려가 있으므로 자동으로 롤링부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기어부(251)와 모터(25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기어부(251)와 모터(252)는 제1 바디(210)에 실장되며 모터(252)는 기어부(251)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프레임(230)의 배면에 위치하며 플렉서블 프레임(230)의 배면에 형성된 제1 톱니(231a)는 기어부(251)의 제2 톱니와 맞물리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3b의 A-A 및 B-B단면을도시한 도면이다. 롤링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을 지지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와 함께 휘어지고 펴지는 플렉서블 프레임(23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프레임(230)은 강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휘어질 수 있도록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단위 프레임(231)과 단위 프레임(231) 사이를 연결하는 연성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단위 프레임(231)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상의 부재이고, 강성을 위해 SUS와 같은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단위 프레임(231)은 복수개가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롤링부의 제1 방향 곡률변화에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단위 프레임(231)은 도 5의 (b)와 같이 사각형의 바 형태 이외에 원형 등 다양한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연성부(232)는 실리콘과 같이 탄성을 가진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중사출방식을 이용하여 단위 프레임(231)과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연성부(232)는 단위 프레임(231)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연성부(2321) 이외에 단위 프레임(231)의 전면과 배면의 일부를 커버하는 제2 연성부(2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성부(2321)와 제2 연성부(2322)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단위 프레임(231)이 연성부(232) 내부에 위치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단위 프레임(231) 사이를 힌지 결합으로 구성하는 경우 힌지의 두께로 인하여 플렉서블 프레임(230)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얇은 플렉서블 프레임(230)을 구현하기 위해 연성부(232)를 포함한 형태의 플렉서블 프레임(230)을 이용한다. 또한, 연성부(232)는 소정 범위내에서 신축가능하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와 접착테이프 등으로 결합한 경우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와의 곡률반경에 의한 길이 차이를 보상하여 신장 및 수축될 수 있다.
또한, 단위 프레임(231)의 상면과 후면을 연성부(232)가 커버하는 경우 롤링부의 곡률이 변화시에 단위 프레임(231)과 연성부(232) 사이가 분리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연성부(232)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 단부에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측면을 커버하는 제3 연성부(23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링부는 열린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제2 방향 양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파손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롤링부는 제3 연성부(2323)를 더 구비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제2 방향 양 단부를 커버할 수 있다. 제3 연성부(2323)는 탄성을 가지므로 롤링부의 변형에 따라 휘어질 수 있다.
가이드 레일(23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링부를 향해 개방된 홈 형태를 가진다. 제3 연성부(2323)는 가이드 레일(235)에 삽입되어 가이드 레일(235)를 따라 이동 할 수 있다.
보다 유연하게 휘어지도록 연성부(232)의 배면에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연성부(2321)의 배면 방향에 제2 방향으로 연장된 홈을 형성하면 더 작은 곡률반경으로 휨변형이 가능하다. 제3 연성부(2323)에도 전면 방향에서 V자 형상의 홈을 형성하면 휨변형이 보다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플렉서블 프레임(230)은 도 2에 도시된 형태의 단말기뿐만 아니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하여 일 방향으로 휨변형이 일어나는 전자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롤링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배면을 지지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와 함께 휘어지고 펴지는 플렉서블 프레임(23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프레임(230)은 제2 바디(220)와 결합하는 고정 프레임(2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220)에 위치하는 롤링부는 휘어지지 않는 부분이므로 단위 프레임(231)을 이용하지 않고 판형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234)은 제2 바디(22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바디(220)와 제1 바디(210)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는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패널(1511)과 그 뒤를 지지하고 다른 부재들과 결합하는 백플레이트(1512)를 포함할 수 있다. 백플레이트(1512)는 금속판과 같이 휘어지면서 강성을 가지는 부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표시패널(1511)과 백플레이트(1512) 사이는 접착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표시패널(1511)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 상기 접착테이프는 방열성능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복수개의 부재가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경우 휨변형 시 두 부재의 곡률반경이 달라질 수 있어 이러한 공차를 보상하기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와 내측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프레임(230) 사이는 고정결합하지 않고 슬라이드 이동 할 수 있도록 결합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성부(232)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프레임(230)을 이용하면 플렉서블 프레임(230) 자체의 제1 방향 길이가 가변되므로, 별도의 슬라이드 부재 없이 롤링부의 곡률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와의 공차를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롤링부는 도 3의 (b)와 같이 펼쳐지는 경우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부(240)가 필요하다.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단위 프레임(231)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프레임(230)은 제1 방향의 휨변형을 지지할 수 없는 바, 제1 방향의 휨변형을 지지하는 지지부(240)가 필요하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지지부(24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지지부(240)의 변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지지부(240)의 일단(2415)은 제1 바디(210)에 고정되고 타단(2416)은 제2 바디(220)에 고정되어 제2 바디(220)가 제1 바디(210)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는 거리에 따라 길이가 증가한다.
본 발명의 지지부(240)는 제1 방향으로 길이가 늘어나는 텔레스코픽 레일(241)을 이용할 수 있다. 텔레스코픽 레일(241)은 복수개의 단위레일(2411, 2412, 2413, 2414)이 내측방향으로 중첩 배치되고 내부에 위치하는 단위레일(2411, 2412, 2413, 2414)을 인출하여 전체 텔레스코픽 레일(241)의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되는 단위레일(2411, 2412, 2413, 2414)의 개수를 늘리면 그에 상응하여 더 긴 레일을 구현할 수 있다.
도 7의 (b)는 도 7의 (a)의 C-C단면도로, 통상적인 텔레스코픽 구조와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지지부(240)는 단순히 길이가 증가하는 것뿐만 아니라 플렉서블 프레임(230)의 배면을 지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본 발명의 텔레스코픽 레일(241)은 전면 방향에 플렉서블 프레임(230)의 후면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해야한다. 따라서, 전면 방향(도면상으로 아래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단위레일(2411, 2412, 2413, 2414)이 모두 플렉서블 프레임(230)에 닿도록 외측에 위치하는 레일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부분(2411a, 2412a, 2413a, 2414a)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텔레스코픽 레일(241)의 각 단위레일(2411, 2412, 2413, 2414)이 전면 방향으로 관통된 구조를 가지는 경우, 도 8과 같이 텔레스코픽 레일(241)이 연장되더라도 모든 레일이 다 플렉서블 프레임(230)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가 열린상태에서의 롤링부가 편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단위레일(2411, 2412, 2413, 2414)의 반대편은 도 7의 (b)와 같이 개방되도 되고 막힌 형태도 가능하나 무게를 줄이기 위해 개방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각 단위레일이 외측에 위치하는 단위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외부에 위치하는 단위레일은 내부에 위치하는 레일을 감싸는 오목한 홈(2411b, 2412b, 2413b)을 포함할 수 있다. 홈(2411b, 2412b, 2413b)은 ㄷ자 형태 이외에 오목한 형태의 곡면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텔레스코픽 레일(241)은 플렉서블 프레임(230)과 맞닿는 면만 직선을 이루면 되고, 나머지 부분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텔레스코픽 레일(241)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 구비되어 제2 방향의 양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만, 텔레스코픽 레일(241)이 수축했을 때의 길이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 단위레일(2411, 2412, 2413, 2414)의 길이를 짧해야하며, 따라서 중첩되는 단위레일(2411, 2412, 2413, 2414)의 개수가 늘어나는 문제가 발생한다. 너무 많은 단위레일(2411, 2412, 2413, 2414)을 중첩하여 배치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 변화시 마찰력이 가해지고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중첩되는 단위레일(2411, 2412, 2413, 2414)이 연장되었을 때 내부에 위치하는 단위레일(2411, 2412, 2413, 2414)이 전부 인출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 위치하는 단위레일(2411, 2412, 2413, 2414) 사이에 중첩부가 필요하다. 따라서 실제 원하는 길이만 큼 연장되는 텔레스코픽 레일(241)을 구현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닫힌상태에서 지지부(240)가 차지하는 제1 방향의 길이를 최소화 하기 위해 힌지구조와 슬라이드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지지부(240)의 1단계 변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닫힌상태에서는 지지부(240)가 도 9의 (a)와 같이 제1 방향으로 배치되지 않고 제2 방향에 가깝게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220)를 제1 방향(도면상 아래)으로 당기면 지지부(240)는 점점 제1 방향을 향해 배치된다.
이와 같은 회전 운동을 위해 제1 바디(210)와 결합하는 지지부(240)의 일측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제2 바디(220)와 결합하는 지지부(240)의 타측에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드 슬롯(237)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슬롯(237)은 제2 바디(220)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제2 바디(220)에 고정된 고정 프레임(234)에 형성될 수도 있다.
슬라이드 슬롯(237)은 제2 바디(220)가 제1 방향으로 이동시 지지부(240)의 타단이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고 그에 따라 제1 바디(210)와 결합된 제1 결합부(243)가 회전하며 도 9의 (a)에서 (c)와 같은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9의 (c)와 같이 지지부(240)가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이후에는 지지부(240)의 일단의 회전운동 및 지지부(240)의 타단의 제2 방향의 슬라이드 이동은 중지된다. 대신 지지부(240)가 제1 방향으로 길이가 증가하면서 제2 바디(220)의 제1 방향으로 길이가 증가한다.
제2 바디(220)가 제1 바디(2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지지부(240)의 제2 결합부(244)는 도 9의(a)에서 도 9의 (c)와 같이 이동하고 그 후에 도 8과 같이 단계적으로 길이가 늘어나는 동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반대로 지지부(240)의 길이가 줄어들고 슬라이드 슬롯(237)을 따라 지지부(240)의 제2 결합부(244)가 이동하지 않아 도 9의 (c)의 상태에서 멈추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슬라이드 슬롯(237)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슬라이드 슬롯(237)의 제2 방향 양 단부에 제1 바디(210)를 향하도록 비스듬하게 꺾어진 구간(237a)을 포함할 수 있다. 텔레스코픽 레일(241)의 길이가 최소의 길이로 줄어든 이후 도 9의(c)의 상태에서 제2 바디(220)가 제1 바디(210)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 지지부(240)의 제2 결합부(244)는 슬라이드 슬롯(237)의 꺾어진 구간(237a)의 경사를 따라 슬라이드 슬롯(237)의 단부에서 중앙쪽을 향해 미끌어지며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드 슬롯(237)의 양단부의 꺾어진 구간(237a)는 지지부(240)의 도 9의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롤링부는 수용부의 외측 둘레 부분에 위치하게 되고 그 내부공간에는 배터리나 메인기판 등이 실장될 수 있다. 즉 수용부는 롤링부가 수용되는 제1 수용부와 그 내측에 위치하며 다른 부품이 실장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며 제2 수용부와 제1 수용부를 구획하는 이너 케이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210)의 상하케이스 중 하나에 스피커홀이 형성되고 스피커홀을 통해 소리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카메라는 디스플레이부(151)를 보면서 촬영 가능하도록 제2 바디(220)에 실장할 수 있다. 카메라의 개수는 복수개를 제2 바디(220)에 실장할 수 있으며 제2 바디(220)의 전면과 배면에 나누어 배치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촬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롤러블 이동 단말기(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펼쳐진 상태에서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한 손으로 들어도 디스플레이 장치가 지지되며 터치입력 등이 가능하다.
또한, 플렉서블 프레임(230)이 두꺼워지지 않아 보다 용이하게 롤링부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롤링부의 감긴상태와 펼쳐진 상태에서 발생하는 길이 공차를 보상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부가 들뜨거나 파손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4)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후면에 위치하며 휘어지는 플렉서블 프레임을 포함하는 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링부는 제1 방향으로 휘어지며,
    상기 플렉서블 프레임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단위 프레임; 및
    상기 복수개의 단위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연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부는
    상기 단위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연성부; 및
    상기 단위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을 커버하며 상기 제1 연성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부는
    상기 제2 방향의 양 단부에서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양측면을 커버하는 제3 연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프레임은 금속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연성부는 실리콘 소재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 프레임에 이중사출방식으로 상기 연성부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플렉서블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부의 상기 제1 방향의 일측이 말려서 수납되는 원기둥 형상의 수용부 및 일측에 상기 롤링부가 인입 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제1 바디; 및
    상기 롤링부의 상기 제1 방향의 타측이 결합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에 상기 롤링부가 수용되고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가 닫힌상태 또는 상기 롤링부가 외측으로 인출되고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가 이격된 열린상태로 변환 가능한 이동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제1 바디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제2 바디에 결합하며, 상기 열린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프레임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복수개의 단위레일이 내측방향으로 중첩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단위레일이 단계적으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길이가 가변되는 텔레스코픽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단위레일은 상기 플렉서블 프레임과 맞닿은 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단위레일은 내부에 위치하는 단위레일을 감싸는 ㄷ자 형상의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부의 타측 또는 상기 제2 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일단은 상기 제1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지지부의 타단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2 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타단은 상기 열린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의 양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닫힌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의 단부는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바디를 향하도록 비스듬한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기둥 형상의 수용부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롤링부의 제2 방향의 양 측 단부와 슬라이드 결합하며 상기 롤링부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원형 또는 나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블 이동 단말기.
PCT/KR2019/006567 2019-05-31 2019-05-31 이동 단말기 WO2020241939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6567 WO2020241939A1 (ko) 2019-05-31 2019-05-31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6567 WO2020241939A1 (ko) 2019-05-31 2019-05-31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41939A1 true WO2020241939A1 (ko) 2020-12-03

Family

ID=73552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6567 WO2020241939A1 (ko) 2019-05-31 2019-05-31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0241939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9468A (ko) * 2012-02-02 2013-08-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73466A (ko) * 2014-12-16 2016-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60095285A (ko) * 2015-02-02 2016-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12763A (ko) * 2015-07-23 2017-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EP3173855A1 (en) * 2015-11-27 2017-05-31 LG Electronics Inc. Rollable display device
KR20190050325A (ko) * 2017-11-02 2019-05-13 희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 패널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9468A (ko) * 2012-02-02 2013-08-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73466A (ko) * 2014-12-16 2016-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60095285A (ko) * 2015-02-02 2016-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12763A (ko) * 2015-07-23 2017-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EP3173855A1 (en) * 2015-11-27 2017-05-31 LG Electronics Inc. Rollable display device
KR20190050325A (ko) * 2017-11-02 2019-05-13 희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 패널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96941A1 (ko) 롤러블 이동 단말기
WO2021075608A1 (ko) 이동 단말기
WO2019198983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WO2014119829A1 (ko) 이동 단말기
WO2016190486A1 (ko) 이동단말기
WO2017007076A1 (ko) 이동 단말기
WO2021080041A1 (ko)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7051980A1 (ko)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WO2021157757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6068476A1 (en) Mobile terminal
WO2021141146A1 (ko) 이동 단말기
WO2016021779A1 (ko) 이동 단말기
WO2020122417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0262713A1 (ko) 이동 단말기
WO2021025197A1 (ko)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
WO2021235569A1 (ko) 전자 장치
WO2016143926A1 (ko)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
WO2022092633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촬영 안내 방법 및 장치
WO2021201309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1010566A1 (ko) 듀얼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
WO2022019357A1 (ko) 이동 단말기
WO2015105232A1 (ko) 이동 단말기
WO2017179765A1 (en) Battery charger and battery pack
WO2020241939A1 (ko) 이동 단말기
WO2021251679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313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313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